KR102209106B1 -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106B1
KR102209106B1 KR1020190040187A KR20190040187A KR102209106B1 KR 102209106 B1 KR102209106 B1 KR 102209106B1 KR 1020190040187 A KR1020190040187 A KR 1020190040187A KR 20190040187 A KR20190040187 A KR 20190040187A KR 102209106 B1 KR102209106 B1 KR 102209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float
main body
filled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696A (ko
Inventor
박경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특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특장
Priority to KR1020190040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10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8Measuring or indicating means, e.g. of level, volume,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5Arrangements for hoses, tubes, or r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using buoyant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저장탱크 내부로 채워지는 오수의 일부가 유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채워지고, 오수저장탱크의 오수 배출시 내부에 채워진 오수가 배출되도록 오수저장탱크와 상하단부가 연통되고, 내부에 채워진 오수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 개구부에 투명창이 구비되어 오수저장탱크의 외측에 수직 설치되는 중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등분하여 본체로 유입된 오수가 채워지는 오수채움부가 내측부에 구비되고 투명창을 향하는 외측부에는 오수가 채워지지 않는 빈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 상기 본체의 오수채움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오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되,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를 향하는 일측면에 일정한 자력을 갖는 자성체가 구비된 플로트; 상기 본체의 빈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플로트에 구비된 자성체의 자력으로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분재의 표면에 밀착되어 오수채움부에 채워지는 오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와 함께 승강되도록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를 향하는 일측면에 자성체가 구비된 플로트 동조체; 상기 오수채움부에 채워지는 오수의 수위를 투명창의 외측에서 식별이 용이하도록 상기 플로트 동조체에 결합되어 투명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지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Sewage level indicating device for vacuum car}
본 발명은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저장탱크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오수저장탱크 내부에 채워지는 오수의 레벨을 외부로 표출되도록 하되, 오수의 찌꺼기 등에 의해 표시창이 오염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외부에서 오수저장탱크에 채워지는 오수의 수위를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오수(분뇨, 오폐수 등)를 수집, 운반하는 차량은 진공흡입차량을 이용하여 오수를 진공 흡입하여 오수저장탱크에 저장 운반하게 되는데, 오수저장탱크에 채워지는 오수의 수위를 차량 운전자나 작업자가 외부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오수저장탱크 일측에 오수 레벨표시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 오수 수거에 사용되는 진공흡입차량의 개략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오수저장탱크 일측에 설치되는 오수 레벨표시장치의 발췌도 및 일측 절단 단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진공흡입차량(V)의 개략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가 진공 흡입되어 저장되는 오수저장탱크(12)가 차량의 후레임(10) 상면에 설치되고, 오수저장탱크(12)의 후면에 오수 레벨표시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흡입차량(V)의 오수저장탱크(12)에 오수가 채워질 경우, 오수저장탱크(12)의 후단에 설치되어 오수저장탱크(12)와 상하단부가 연통된 오수레벨표시장치(15) 내부로 오수가 일부 유입되면서 오수 레벨표시장치(15)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투명창(16)을 통해 오수저장탱크(12) 내부로 유입되어 채워지는 오수의 수위가 표시된다.
즉, 도 2의 발췌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수레벨표시장치(15)는 하단부에 오수출입구(17)가 구비되어 오수저장탱크(12) 내부로 유입되어 채워지는 오수의 수위만큼 기둥 형상의 오수레벨표시장치(15) 내부로 유입되어 채워짐으로써 오수저장탱크(12)의 내부에 채워지는 오수의 수위를 외부에서 투명창(1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오수레벨표시장치(15)는 오수가 그 내부에 채워졌다 배출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오수의 찌꺼기 등이 투명창(16)의 내면에 달라붙어 일정기간 사용하다보면 외부에서 투명창(16)을 통해 오수의 수위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거나 식별이 불가능한 수준이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정기간 사용한 후에 오수레벨표시장치를 분해하여 투명창을 깨끗이 청소하거나 새로운 투명창으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였다.
- 특허등록 제10-0984267호(등록일: 2010.09.20, 발명의 명칭: 진공상태로 흡입하고 압축상태로 배출하는 슬러지 이송차량) - 실용신안등록 제20-0333650호(등록일: 2003.11.07, 고안의 명칭: 차량 연료량 측정장치) - 특허등록 제10-1379488호(등록일: 2014.03.24, 발명의 명칭: 연료량 측정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진공흡입차량용 오수 레벨표시장치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오수 레벨표시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외부에서 오수레벨 식별이 가능하고, 오수레벨 식별을 위한 투명창이 오수의 찌거기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잦은 교체와 청소작업을 반복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 표시장치는 오수저장탱크 내부로 채워지는 오수의 일부가 유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채워지고, 오수저장탱크의 오수 배출시 내부에 채워진 오수가 배출되도록 오수저장탱크와 상하단부가 연통되고, 내부에 채워진 오수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 개구부에 투명창이 구비되어 오수저장탱크의 외측에 수직 설치되는 중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등분하여 본체로 유입된 오수가 채워지는 오수채움부가 내측부에 구비되고 투명창을 향하는 외측부에는 오수가 채워지지 않는 빈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 상기 본체의 오수채움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오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되,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를 향하는 일측면에 일정한 자력을 갖는 자성체가 구비된 플로트; 상기 본체의 빈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플로트에 구비된 자성체의 자력으로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분재의 표면에 밀착되어 오수채움부에 채워지는 오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와 함께 승강되도록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를 향하는 일측면에 자성체가 구비된 플로트 동조체; 상기 오수채움부에 채워지는 오수의 수위를 투명창의 외측에서 식별이 용이하도록 상기 플로트 동조체에 결합되어 투명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지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는 상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본체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삽입되어 본체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 설치되는 측벽부와, 상기 양쪽 측벽부 말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본체의 내부를 오수채움부와 빈공간부로 이등분하고, 상기 플로트의 자성체와 플로트 동조체의 자성체가 자력에 의해 전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격벽부;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일측 개구부에 설치된 전면덮개를 분리하고 본체 내측으로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의 격벽부 상단에는 오수채움부와 빈공간부 사이가 상호 연통하는 공기소통관이 구비되어 오수저장탱크 내부와 빈공간부가 동일한 압력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로트에는 상하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격벽부에 상하단이 고정된 가이드바가 관통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플로트가 안정되게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는 오수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오수가 일부 유입되는 수직 기둥형태의 본체 내부에 오수가 채워지는 오수채움부와 빈공간부가 이등분되어 분리구성되고, 오수채움부에는 오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력체인 플로트(float)가 설치되고, 상기 플로트의 승강시 상호 자력에 의해 함께 승강되도록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를 사이에 두고 빈공간부에 수위지침부가 구비된 플로트 동조체가 구비되어 오수 수위에 따른 플로트 승강시 플로트 동조체가 함께 승강됨으로써 오수가 채워지지 않은 빈공간부에 구비된 지침부를 통해 투명창 외부에서 오수의 수위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오수의 수위를 표시하는 지침부와, 상기 지침부가 결합된 플로트 동조체가 오수가 채워지지 않은 빈공간부에 설치되어 오수 및 오수 찌꺼기로 인해 투명창이 오염되어 수위를 파악하기 어려웠던 종래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진공흡입차량에 설치된 오수레벨표시장치에서 투명창을 분리한 후에 본체 내측으로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를 끼워넣어 오수채움부 공간과 빈공간부로 이등분하고, 오수채움부에 자성체가 구비된 플로트를 삽입하고, 빈공간부에 자성체가 구비된 플로트 동조체를 삽입하여 투명창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의 차량에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 오수의 수위 식별이 용이한 오수레벨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일 실시예로,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레벨표시장치가 구비된 진공흡입차량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오수저장탱크 후면에 설치되는 오수레벨표시장치의 분리상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수직 절단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의 개략적 외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의 분리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일측 평단면도와 수직 절단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의 일측 수직 절단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는 오수가 저장되는 오수저장탱크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오수저장탱크에 채워지는 수위와 연동되어 오수가 채워지도록 본체가 구성되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오수가 채워지는 오수채움부와 별도로 분리되어 오수가 채워지지 않는 빈공간부로 이등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오수채움부에 삽입된 부력체인 플로트(float)가 승강될 때 빈공간부에 구비된 플로트 동조체가 함께 승강되고, 이로 인해 플로트 동조체에 구비된 지침부가 투명창을 통해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오수 레벨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오수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는 오수저장탱크 내부로 채워지는 오수의 일부가 유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채워지고, 오수저장탱크의 오수 배출시 내부에 채워진 오수가 배출되도록 오수저장탱크와 상하단부가 연통되고, 내부에 채워진 오수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 개구부에 투명창이 구비되어 오수저장탱크의 외측에 수직 설치되는 중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등분하여 본체로 유입된 오수가 채워지는 오수채움부가 내측부에 구비되고 투명창을 향하는 외측부에는 오수가 채워지지 않는 빈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와; 상기 본체의 오수채움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오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되,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를 향하는 일측면에 일정한 자력을 갖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있는 플로트와; 상기 본체의 빈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플로트에 구비된 자성체의 자력으로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분재의 표면에 밀착되어 오수채움부에 채워지는 오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와 함께 승강되도록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를 향하는 일측면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플로트 동조체와; 상기 오수채움부에 채워지는 오수의 수위를 투명창의 외측에서 식별이 용이하도록 상기 플로트 동조체에 결합되어 투명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수위 지침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는 상기 본체의 플랜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본체의 내측 양쪽면에 오수의 침투가 방지되도록 긴밀하게 밀착되는 일정 길이의 양쪽 측벽부와, 상기 양쪽 측벽부 말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본체의 내부를 오수채움부와 빈공간부로 이등분하고, 상기 플로트의 자성체와 플로트 동조체의 자성체가 자력에 의해 전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격벽부;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일측 개구부에 설치된 투명창을 분리하고 본체 내측으로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종래의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와 동일한 기능이나 구성에 대해서는 가능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과 구성 위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100)를 발췌한 개략적 외관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100)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분리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조립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100)는 외관상 종래의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지만, 도 5의 분리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에 있어서 그 차이점이 있다.
즉, 본체(110)의 일측 하단에는 오수저장탱크와 연통되어 오수저장탱크 내부로 유입된 오수의 출입이 가능한 오수출입구(112)가 돌출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오수저장탱크 내부와 소통되면서 오수저장탱크 내부와 동일한 내부 압력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연결관(114)이 돌출 형성되어 오수저장탱크 외측면에서 수직 상태로 연결 설치되되, 상기 오수출입구(112)와 연결관(114)이 오수저장탱크 내부와 연통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본체(110)는 일측 하부에 구비된 오수출입구(112)로 유입된 오수가 내부에서 수직으로 차오를 수 있도록 직사각형 박스형으로 이루어지되, 일측면에 개구부(115)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15)에 투명창(122)이 구비된 전면덮개(120)가 체결볼트(127)로 결합되어 박스형으로 이루어진 본체(110)의 내부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는 본체(110)의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가 삽입 설치되는데,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가 본체의 내측에 삽입 설치됨으로 인해서 오수출입구(112)가 형성된 내측방향으로 오수채움부가 구성되고, 전면덮개(120)가 결합되는 외측방향으로 상기 오수채움부와 분리되어 오수가 채워지지 않는 빈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의 분리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좌우 분할하는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는 본체(110)의 개구부(115)를 통해 본체(11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오수채움부와 빈공간부가 분할 구성될 수 있도록
Figure 112019035204851-pat00001
형의 평단면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참조).
즉, 도 6의 수평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는 상기 본체(110)의 외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116)에 좌우 양측 또는 좌우 및 상하 사방에서 결합되는 일정 폭을 갖는 고정부(132)와, 상기 양측 또는 사방으로 형성된 고정부(132)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본체(110)의 내측으로 일정깊이 삽입되면서 본체(110)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본체(110)의 내측으로 구성되는 오수채움부에 채워지는 오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측벽부(134)와, 상기 측벽부(134)의 말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본체(110)의 내부를 오수채움부와 빈공간부로 이등분하도록 하는 격벽부(13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본체(110)의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좌우 이등분하는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의 격벽부(135) 외측(오수저장탱크 방향)으로 오수의 유입시 부력에 의해 오수의 상면에 부상하는 부력체인 플로트(140)가 설치되고, 상기 격벽부(135)의 내측(투명창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로트(140)와 대응하도록 플로트 동조체(150)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의 격벽부(135)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플로트(140)와 플로트 동조체(150)가 자력에 의해 밀착되어 오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의 동작시 플로트 동조체(150)가 함께 동작되도록 상기 격벽부(135)를 향하는 플로트(140)의 일측면과 플로트 동조체(150)의 일측면에는 일정한 자력을 보유한 자성체(145,155)가 각각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투명창(122)이 구비된 전면덮개(120)의 외측에서 투명창(122)을 통해 오수가 채워지는 오수채움부에 구비된 플로트(140)의 승강과 동기화되어 함께 승강되는 플로트 동조체(150)의 높이를 통해 오수의 수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플로트 동조체(150)의 외측면에는 지침부(指針部,160)가 구비되어 상기 투명창(122)외측에서 투명창(122)으로 보이는 지침부(160)의 위치를 통해 오수의 수위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투명창(122) 일측에는 눈금(125)이 구비되어 지침부(160)가 가리키는 위치를 통해 수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본체(110)의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등하여 투명창(1222)이 구비된 일측을 빈공간부(118)로 만드는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의 격벽부(135) 상단에는 오수저장탱크 내부와 연통되어 오수저장탱크 내부와 동일한 압력상태가 유지되는 오수채움부(117)와 빈공간부(118)가 동일한 압력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공기소통관(136)이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일측 수직절단 단면도를 참고하여 상술한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와 플로트(140) 및 플로트 동조체(150)의 설치구조와 기능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는 전면 개부구(115)에 결합되는 전면덮개(120)에 의해 밀폐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개구부(115)를 통해 삽입 설치된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에 의해 본체(110)의 내부가 좌우로 분리되고,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에 의해 좌우로 구분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채움부(117) 내부에는 부력체인 플로트(140)가 삽입 설치되고, 오수 유입이 안되는 빈공간부(118)에는 플로트 동조체(150)가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즉, 본체(110)의 내측 오수채움부(117)에 플로트(140)가 위치되고, 오수가 채워지지 않는 빈공간부(118)에 플로트 동조체(150)가 각각 설치되며, 플로트(140)의 일측면에 구비된 자성체(145)와 플로트 동조체(150)의 일측면에 구비된 자성체(155)가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의 격벽부(135)를 향하도록 하여 양쪽 자성체(145,155)의 자력으로 격벽부(135)로 분리된 양쪽 공간부에 위치한 플로트(140)와 플로트 동조체(150)가 격벽부(135)에 밀착된 상태에서 오수의 수위에 따라 플로트(140)가 승강될때 빈공간부(118)에 위치한 상기 플로트 동조체(150)도 함께 승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로트 동조체(150)가 승강됨에 따라 플로트 동조체(150)의 전면에 구비된 지침부(160)도 함께 승강되면서 오수의 수위를 가르키게 되며, 투명창(122)의 외부에서 상기 지침부(160)를 보고 오수저장탱크 내부의 오수 수위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좀 더 상술하면, 오수저장탱크 내부와 연통된 오수출입구(112)를 통해 본체(110)의 오수채움부(117) 내측으로 오수가 유입되면, 오수채움부(117) 내측에 구비된 플로트(140)가 오수의 유입량에 따라 오수의 수면위에 떠 있게 되고, 플로트(140)가 일정 높이로 상승할 경우 오수가 유입되지 않는 빈공간부(118)에 위치한 플로트 동조체(150)는 자성체(155)의 자력으로 격벽부(135) 반대편에 위치한 플로트(140)와 동기화가 이루어기 때문에 플로트(140)의 상승과 함께 격벽부(135) 표면을 미끄러지면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오수의 수위는 플로트(140)를 통해 플로트(140)의 자성체(145)와 자력으로 연결된 플로트 동조체(150)에 그대로 전달되고, 플로트 동조체(150)에는 지침부(16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창(122)의 외부에서 투명창(122)을 통해 보이는 지침부(160)가 가리키는 눈금(125)을 보고 오수저장탱크 내부의 오수 수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플로트(140)와 플로트 동조체(150)에 각각 구비되는 자성체(145,155)는 격벽부(135)를 사이에 두고 플로트(140) 승강시 플로트 동조체(150)가 격벽부(135)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일정한 자력을 갖도록 구성되며, 격벽부(135)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이 가능한 정도의 자력세기는 상기 격벽부(135)의 재료 특성이나 두께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크기의 자력을 갖는 자성체를 채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동조체(150)가 구비되는 빈공간부(118)는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의 격벽부(135) 상단부에 구비된 공기소통관(136)을 통해 오수저장탱크 내부와 동일한 압력상태가 유지되는 오수채움부(117)와 연통된 상태가 되어 오수채움부(117) 및 오수저장탱크 내부와 동일한 압력상태가 유지되어 플로트(140)의 승강에 따른 플로트 동조체(15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수레벨표시장치의 수직 절단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플로트(140)가 오수채움부(117)에 채워지는 오수의 수위에 따라 격벽부(135)에 밀착되어 승강이 이루어진 구조임에 반해서,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로트의 상하 중심부에 가이드바(137)가 관통 설치되어 오수채움부에 오수가 채워질 경우 플로트가 가이드바(137)를 따라 승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플로트(140)의 상하 중심선에 일정 크기의 관통공(142)이 형성되고, 플로트(140)의 관통공(142)에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의 격벽부(135)에 상하단이 고정되는 가이드바(137)가 관통 설치되어 오수채움부(117) 내측으로 오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유동이 발생되거나 또는 차량의 운행과정에서 오수가 심한 유동을 발생하더라도 플로트(140)가 격벽부(135)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승강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플로트(140)의 승강동작이 안정되게 이루어짐으로써 빈공간부(118)에 구비된 플로트 동조체(150) 역시 격벽부(135)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된 승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바(137)는 오수와 접촉으로 쉽게 부식되지 않으면서 오수의 찌꺼기가 쉽게 달라붙지 않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바(137)의 상하단은 격벽부(135)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체(11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와 본체(110)의 내외측면 사이 및 전면덮개(120)와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 사이에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패킹부재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체(110)와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 및 전면덮개(120) 사이에는 오수의 누수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는 패킹부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킹부재의 설치는 당업자가 통상의 창작능력의 범위 이내에서 당연히 적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 : 후레임 12 : 오수저장탱크
15 : 오수레벨표시장치 16 : 투명창
17 : 오수출입구
100 : 오수레벨표시장치
110 : 본체 112 : 오수출입구
114 : 연결관 115 : 개구부
116 : 플렌지부 117 : 오수채움부
118 : 빈공간부
120 : 전면덮개 122 : 투명창
125 : 눈금 127 : 체결볼트
130 :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 132 : 고정부
134 : 측벽부 135 : 격벽부
136 : 공기소통관 137 : 가이드바
140 : 플로트(float) 142 : 관통공
145 : 자성체(磁性體)
150 : 플로트 동조체 155 : 자성체(磁性體)
160 : 지침부
V : 진공흡입차량

Claims (3)

  1. 삭제
  2. 일측 개구부(115)에 투명창(122)이 구비된 전면덮개(120)가 결합되고, 오수저장탱크 내부의 오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하단부가 연통되어 오수저장탱크의 외측에 설치되는 중공형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등분하여 일측에 오수채움부(117)가 구비되고 타측에 오수가 채워지지 않는 빈공간부(118)가 형성되도록 하는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 상기 오수채움부(117)의 내측에서 오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되,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를 향하는 일측면에 자성체(145)가 구비된 플로트(140); 상기 자성체(145)의 자력으로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분재(130)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오수채움부(117)의 오수의 수위에 따라 플로트(140)와 함께 승강되도록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를 향하는 일측면에 자성체(155)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10)의 빈공간부(118)에 삽입되는 플로트 동조체(150); 상기 오수채움부(117)에 채워진 오수의 수위를 외부에서 식별가능하도록 상기 플로트 동조체(150)에 결합되어 투명창(122)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지침부(160);를 포함하되,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는,
    상기 본체(110)의 플랜지부에 결합되도록 테두리부에 구비되는 고정부(132)와,
    상기 고정부(132)의 말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본체(110)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삽입되어 본체의 내벽에 긴밀하게 밀착 설치되는 측벽부(134)와,
    상기 측벽부(134)의 말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본체(110)의 내부를 오수채움부(117)와 빈공간부(118)로 이등분하고, 상기 플로트(140)의 자성체(145)와 플로트 동조체(150)의 자성체(155)가 자력에 의해 전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격벽부(135);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10)의 일측 개구부에 설치된 전면덮개(120)를 분리하고 본체(11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차단 및 분리부재(130)의 격벽부(135) 상단에는 오수채움부(117)와 빈공간부(118) 사이가 상호 연통하는 공기소통관(136)이 설치되어 오수저장탱크 내부와 오수채움부(117) 및 빈공간부(118)가 동일한 압력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로트(140)에는 상하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공(14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42)에는 격벽부(135)에 상하단이 고정된 가이드바(137)가 관통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바(137)를 따라 플로트(140)가 안정되게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
KR1020190040187A 2019-04-05 2019-04-05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 KR102209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187A KR102209106B1 (ko) 2019-04-05 2019-04-05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187A KR102209106B1 (ko) 2019-04-05 2019-04-05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696A KR20200117696A (ko) 2020-10-14
KR102209106B1 true KR102209106B1 (ko) 2021-01-28

Family

ID=7284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187A KR102209106B1 (ko) 2019-04-05 2019-04-05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1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045B1 (ko) * 2007-09-21 2008-07-04 대지정공주식회사 액체 저장탱크용 수위표시장치
KR200471661Y1 (ko) * 2012-10-10 2014-03-07 강병운 자석식 레벨게이지 회전자 및 그를 포함하는 레벨게이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650Y1 (ko) 2003-08-18 2003-11-14 구영송 차량 연료량 측정 장치
KR100984267B1 (ko) 2010-05-07 2010-09-30 한빛테크원 (주) 진공상태로 흡입하고 압축상태로 배출하는 슬러지 이송차량
KR101379488B1 (ko) 2012-08-22 2014-04-10 에스넷시스템(주) 연료량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045B1 (ko) * 2007-09-21 2008-07-04 대지정공주식회사 액체 저장탱크용 수위표시장치
KR200471661Y1 (ko) * 2012-10-10 2014-03-07 강병운 자석식 레벨게이지 회전자 및 그를 포함하는 레벨게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696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5964B (zh) 排水疏水阀
US6106712A (en) Vehicle liquid waste collection system
EP0547182B1 (en) Storage drum with drain channel
US20150008226A1 (en) Waste Container Stabilization System
JPH06502232A (ja) 排気可能なマンホールのための雨水流入防止装置
US5779884A (en) Automatic water changing system and apparatus for aquariums
KR102209106B1 (ko)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
ITMI20010343A1 (it) Contenitore a paletta per liquidi
US20140230904A1 (en) Float Device
US6159362A (en) Skimmer valve
JP5864412B2 (ja) フロート装置
GB2446011A (en) Float device for drawing liquid from tank
KR200382613Y1 (ko) 유류 저장탱크용 유류 측정 및 채취 장치
KR200493084Y1 (ko)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기
JP2018205269A (ja) 水位計、仮設トイレシステム、及び汚物搬送方法
US9194094B1 (en) Oil collection assembly
CN216454852U (zh) 一种基站
KR102487471B1 (ko)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
WO2006068616A1 (en) Reservoir for running material
CN218173409U (zh) 一种用于白酒品评废液的回收装置
JPH0223484Y2 (ko)
US6546956B1 (en) Opaque container fluid indicator
CN217534024U (zh) 一种便于使用的防溢流不锈钢水箱
JP3175652U (ja) 円筒型貯水タンク
CN210533701U (zh) 一种加油站油罐防溢阀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