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471B1 -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 - Google Patents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7471B1 KR102487471B1 KR1020200114018A KR20200114018A KR102487471B1 KR 102487471 B1 KR102487471 B1 KR 102487471B1 KR 1020200114018 A KR1020200114018 A KR 1020200114018A KR 20200114018 A KR20200114018 A KR 20200114018A KR 102487471 B1 KR102487471 B1 KR 1024874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age
- opening
- closing
- drain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9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 상기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가 그 내부에 물 및 수용 대상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와, 상기 수용 용기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의 내외부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 현상에 의해 상기 수용 용기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결로수가 상기 수용 용기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함에 따라,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상기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결로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어 전기세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조에 대한 편리한 관리 및 상기 수조의 미려한 외관으로 관상 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에 관한 것이다.
수조는 합성 수지 또는 유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물고기, 해산물 등의 수생 생물이 물과 함께 수용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수조는 상기 수생 생물을 기르거나, 소정 시간동안 상기 수생 생물을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하는 용도로 이용된다.
이러한 상기 수조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상기 수조에 수용된 상기 수생 생물을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하기 위해선 상기 수조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 수조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물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수조 내에 수용되는 물은 미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수조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와 대기 온도의 온도 차이에 의해 상기 수조의 표면에는 공기 중의 이슬이 맺히면서 결로수가 생성되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결로수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다 보면, 상기 수조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전기세가 과하게 발생되고, 상기 결로수가 자중에 의해 상기 수조가 설치된 바닥면에 떨어져 상기 바닥면을 오염시키거나, 상기 결로수가 계속 상기 수조 표면에 머물러 있어 상기 수조에 곰팡이가 발생되는 등 상기 수조의 관리가 어려워지며, 외관상으로도 관상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수조에 의하면, 결로 현상에 의해 상기 수조의 표면에 상기 결로수가 발생되는 경우, 작업자가 수시로 수건 등을 이용하여 상기 수조의 표면에 생성된 상기 결로수를 제거하는 것 외에는 해결 방법이 없어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결로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어 전기세 절감과 함께 수조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는 그 내부에 물 및 수용 대상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 상기 수용 용기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의 내외부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 현상에 의해 상기 수용 용기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결로수가 상기 수용 용기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닛은 상기 수용 용기의 하단부에서 상기 수용 용기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배수 본체와, 상기 배수 본체 내부에서 상기 수용 용기의 외곽을 둘러 싸는 형태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결로 현상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결로수가 수집되는 배수 유로와, 상기 배수 유로의 저면에서 적어도 하나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배수 유로에 수집된 상기 결로수를 상기 배수 유로로부터 배수시키는 배수 홀과,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배수된 상기 결로수가 저장되는 저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로 현상에 의해 상기 수용 용기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결로수는 상기 배수 유로에 수집된 후 상기 배수 홀 쪽으로 유동되어 상기 배수 홀을 경유한 다음, 상기 저장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에 의하면, 상기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가 그 내부에 물 및 수용 대상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와, 상기 수용 용기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의 내외부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 현상에 의해 상기 수용 용기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결로수가 상기 수용 용기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함에 따라,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상기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결로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어 전기세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조에 대한 편리한 관리 및 상기 수조의 미려한 외관으로 관상 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2는 도 1 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의 모습을 다른 각도로 위헤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화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를 구성하는 배수 유닛에 적용된 배수 부재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를 구성하는 배수 유닛에 적용된 배수 부재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배수 부재를 구성하는 개폐식 배수부로부터 배수 승강부가 상승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C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2는 도 1 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의 모습을 다른 각도로 위헤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화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를 구성하는 배수 유닛에 적용된 배수 부재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를 구성하는 배수 유닛에 적용된 배수 부재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배수 부재를 구성하는 개폐식 배수부로부터 배수 승강부가 상승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C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의 모습을 다른 각도로 위헤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화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100)는 그 내부에 물 및 수용 대상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는 수조의 외측 표면에 발생되는 결로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수용 용기(110)와, 배수 유닛(120)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 용기(11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물 및 수용 대상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는 것으로, 가정에서 물고기를 기르는 수족관, 횟집 등의 식당에서 물고기 및 해산물 등을 보관하는 수족관 및 진공 포장된 육류를 물에 넣은 상태에서 상기 육류를 숙성시키는 육류의 워터에이징 등 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수용 대상체는 상기 수용 용기(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생 생물 및 육류 등으로 정의한다.
상기 수용 용기(110)는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직육면체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면 번호 101은 상기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100)가 설치되는 설치면에서 상기 수용 용기(110)가 소정 높이의 상공에 머물게 하기 위해 상기 수용 용기(110)를 지지하는 수조 본체이고, 도면 번호 105는 상기 수조 본체(101)의 전면 및 후면을 막는 수조 덮개이다.
상기 수조 본체(101)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 대상체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펌프 등이 설치된다.
도면 번호 102는 상기 수용 용기(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용기(110)로부터 상기 수조 본체(101) 쪽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하여 상기 수용 용기(110)의 보온이 유지되도록 하는 보온 수단이다.
즉, 상기 수용 용기(110)의 내부에 상기 물과 상기 수용 대상체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용기(110)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수용 용기(110)가 보온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상기 수용 용기(110)로부터 상기 수조 본체(101) 쪽으로 열이 전달되면, 상기 수용 용기(110)가 보온 상태로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보온 수단(102)이 형성된다.
상기 보온 수단(102)은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온 수단(102)은 상기 수용 용기(110)의 하부에 소정 크기의 우레탄 폼을 먼저 배치한 후, 상기 수용 용기(110)의 가장자리와 상기 우레탄 폼 사이의 이격 공간에 액상의 우레탄을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배수 유닛(120)은 상기 수용 용기(110)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110)의 내외부 온도차로 발생되는 상기 결로 현상에 의해 상기 수용 용기(110)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결로수가 상기 수용 용기(110)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으로, 배수 본체(121)와, 배수 유로(122)와, 배수 홀(123)과, 저장체(124)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 본체(121)는 상기 수용 용기(110)의 하단부에서 상기 수용 용기(110)의 외곽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수용 용기(110)의 외곽을 둘러싸면서 서로 연통되는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ㅁ자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 본체(121)는 상기 수조 본체(101)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수조 본체(10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수 유로(122)는 상기 배수 본체(121) 내부에서 상기 수용 용기(110)의 외곽을 둘러 싸는 형태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수용 용기(110)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결로 현상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결로수가 수집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 유로(122)는 상기 배수 본체(121)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면서, 상기 배수 본체(121)를 따라 상기 수용 용기(110)의 각 면의 하부에 생긴 것들이 서로 연통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ㅁ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러면, 상기 수용 용기(110)의 복수 개의 면에서 발생되는 상기 결로수는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 유로(122) 중 상기 수용 용기(110)의 복수 개의 면 하부에 위치된 것에 각각 낙하되고, 상기와 같이 낙하된 상기 결로수는 서로 연통되는 형태로 형성된 상기 배수 유로(122)에서 모이게 된다.
상기 배수 홀(123)은 상기 배수 유로(122)의 저면에서 적어도 하나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배수 유로(122)에 수집된 상기 결로수를 상기 배수 유로(122)로부터 외부로 배수시키는 것이다.
상기 배수 홀(123)이 형성되어 상기 결로수가 상기 배수 홀(123)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배수 유로(122)에 수집된 상기 결로수에는 유동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상기 결로수가 유동되면서 상기 배수 유로(122)로부터 상기 배수 홀(123)을 통해 외부로 배수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저장체(124)는 상기 배수 홀(123)을 통해 배수된 상기 결로수가 저장되는 것으로, 물탱크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25는 상기 배수 홀(123)과 상기 저장체(124)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관이다.
상기 배수 유로(122)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로 현상에 의해 상기 수용 용기(110)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결로수는 상기 배수 유로(122)에 수집된 후 상기 배수 홀(123) 쪽으로 유동되어 상기 배수 홀(123)을 경유한 다음, 상기 연결관(125)를 통해 상기 저장체(124)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수 유닛(120)은 상기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결로수를 배수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작압자가 상기 수용 용기(110)의 내부에 물을 유입시키거나, 작업자가 상기 수용 용기(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상기 수용 용기(110)의 외부로 범람되는 물도 상기 배수 유닛(120)을 통해 배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100)에서 상기 결로수가 배수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수용 용기(110)의 내부와 외부 대기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상기 결로 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수용 용기(110)의 외측 표면에 상기 결로수가 생성되고, 상기 결로수가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 유로(122)의 내부로 낙하된다.
그런 다음, 상기 결로수는 서로 연통된 상기 배수 유로(122)에서 서로 혼합되되면서 상기 배수 홀(123) 쪽으로 유동된다.
그런 다음, 상기 결로수는 상기 배수 홀(123)을 통해 상기 배수 유로(122)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 다음, 상기 배수 홀(123)로부터 배출된 상기 결로수는 상기 연결관(125) 내부를 유동한 후 상기 저장체(124)에 저장된다.
상기 결로수가 상기 저장체(124)에 미리 설정된 양만큼 저장되면, 상기 작업자는 상기 결로수를 상기 저장체(124)로부터 외부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100)가 그 내부에 상기 물 및 상기 수용 대상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는 상기 수용 용기(110)와, 상기 수용 용기(110)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110)의 내외부 온도차로 발생되는 상기 결로 현상에 의해 상기 수용 용기(110)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결로수가 상기 수용 용기(110)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상기 배수 유닛(120)을 포함함에 따라,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상기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결로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어 전기세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조에 대한 편리한 관리 및 상기 수조의 미려한 외관으로 관상 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200)를 구성하는 상기 수용 용기(210)가 내측 용기 케이스(211) 및 외측 용기 케이스(21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수용 용기(210)는 그 내부에 물 및 수용 대상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는 상기 내측 용기 케이스(211)와, 상기 내측 용기 케이스(211)의 외곽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외측 용기 케이스(212)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용기 케이스(211)로부터 상기 외측 용기 케이스(212)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내측 용기 케이스(211)와, 상기 외측 용기 케이스(21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공기층이 단열 기능을 하게 되어 상기 내측 용기 케이스(211)가 보온됨으로써 상기 내측 용기 케이스(211)에서 발생되는 결로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를 구성하는 배수 유닛에 적용된 배수 부재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를 구성하는 배수 유닛에 적용된 배수 부재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배수 부재를 구성하는 개폐식 배수부로부터 배수 승강부가 상승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C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11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를 구성하는 배수 유닛(320)이 배수 본체(321)와, 배수 유로(322)와, 배수 홀(323)과, 저장체 및 배수 부재(330)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 부재(330)는 상기 배수 홀(323)에 삽입되어 상기 배수 유로(322)에서 유동되는 결로수를 상기 배수 유로(322)로부터 상기 저장체로 배수시키는 것으로, 배수 몸체(335)와, 개폐식 배수부(340)와, 배수 승강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 몸체(335)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그 상부는 개방되고 그 하부에는 배수 몸체측 관통 홀(336)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배수 몸체(335)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원통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외측 플랜지(337)와, 상기 원통의 내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내측 플랜지(338)와, 상기 외측 플랜지(337)와 상기 내측 플랜지(338)를 연결시키는 연결체(339)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 홀(323)의 상면에는 상기 외측 플랜지(337)의 크기 및 두께에 대응되는 형태의 함몰홈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홈에 상기 외측 플랜지(337)가 삽입됨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측 플랜지(337)와, 상기 내측 플랜지(338) 및 상기 연결체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배수 몸체(335)와 분리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외측 플랜지(337)와, 상기 내측 플랜지(338)의 사이 공간에 후술되는 승강 몸체(351)를 먼저 삽입하고, 상기 승강 몸체(351)에 후술되는 바닥판(357)을 연결시킨 다음, 상기 승강 몸체(351) 및 상기 바닥판(357)이 연결된 상기 외측 플랜지(337)를 상기 배수 몸체(335)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배수 몸체(335)와 상기 배수 승강부(350)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배수 몸체측 관통 홀(336)은 상기 배수 몸체(335)의 저면 중앙부에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배수 홀(323)로 유입된 상기 결로수가 상기 저장체 쪽으로 유동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체(339)는 소정 길이의 바아(bar) 형태를 가지면서 두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나, 상기 배수 부재(330)의 크기 또는 상기 결로수의 배수량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상기 개폐식 배수부(340)는 상기 배수 몸체(335)에 결합되고, 상기 배수 유로(322)에서 유동되는 상기 결로수가 배수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배수체(341)와, 개폐체(342)와, 회전 수단(343)과, 한 쌍의 개폐측 영구 자석(344)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체(341)는 상기 배수 몸체(335)의 내측면에 배치되되, 그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진적으로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 홀(323)로 유동된 상기 결로수는 상기 배수체(341)의 상단으로 유입된 후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체(341)의 하단으로 이동된다.
상기 개폐체(342)는 상기 배수체(34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쌍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 수단(343)은 상기 배수체(341)에 상기 개폐체(34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으로 힌지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개폐체(342)는 서로 상기 배수체(341)의 중심을 수직으로 지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각 회전 수단(343)에 의해 회전되면서 서로 이격되거나 근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개폐식 배수부(340), 더 정확하게는 상기 개폐체(34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개폐식 배수부(340)의 내부로 상기 결로수가 유입되면서 상기 배수 승강부(350)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의해 상승되면, 상기 배수 승강부(350)의 상승에 의해 상기 개폐식 배수부(340), 더 정확하게는 상기 개폐체(342)가 상기 회전 수단(343)에 의해 회전되면서 열리게 되어 상기 결로수가 상기 배수 몸체(335)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 개폐식 배수부(340)에 유입된 상기 결로수가 상기 개폐식 배수부(340)의 외부로 배수되면서 상기 배수 승강부(350)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의해 하강되면, 상기 배수 승강부(350)의 하강에 의해 상기 개폐식 배수부(340), 더 정확하게는 상기 개폐체(342)가 상기 회전 수단(343)에 의해 회전되면서 닫히게 되어 상기 결로수의 배수가 정지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은 상기 각 개폐체(342)의 말단부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 승강부(350)는 상기 배수 몸체(335)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폐식 배수부(340)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승강 몸체(351)와, 굽힘체(352)와, 승강 대면체(353)와, 한 쌍의 승강측 영구 자석(355)과, 승강측 관통 홀(354)과, 부유체(356)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 몸체(351)는 그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배수 몸체(335), 더 정확하게는 상기 외측 플랜지(337)와 상기 내측 플랜지(33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 몸체(351)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 몸체(351)의 하부를 덮는 바닥판(357)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 몸체(335)와 상기 배수 승강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승강 몸체(351) 및 상기 바닥판(357)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수 몸체(335) 내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몸체(351)의 외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된 부분이 형성되고, 이러한 함몰된 부분이 상기 연결체(339)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배수 승강부(350)가 상기 배수 몸체(335)에 승강됨과 함께 상기 배수 승강부(350)가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굽힘체(352)는 상기 승강 몸체(351)의 상부에서 상기 승강 몸체(351)의 중심 쪽으로 굽혀진 것이다.
상기 승강 대면체(353)는 상기 승강 몸체(351)에 하부에 형성된 상기 바닥판(357)으로부터 실린더 형태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개폐체(342)와 대면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측 관통 홀(354)은 상기 승강 몸체(351)의 상기 바닥판(357) 중 상기 승강 대면체(353)의 내부에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체(342)로부터 유동되는 상기 결로수가 상기 배수 승강부(35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은 상기 승강 대면체(353)의 내측면 중 서로 대면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각 개폐측 영구 자석(344)은 서로 다른 극성끼리 대면되도록 상기 각 개폐체(342)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체(34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과 상기 개폐체(342)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은 N극과 S극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러면, 한 쌍의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이 서로 끌어 당기게 되어 상기 개폐체(342)의 말단부가 한 쌍의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에 의해 서로 접촉되면서 붙을 수 있다.
상기 부유체(356)는 상기 굽힘체(352)의 말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결로수의 수면 상에 뜰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부유체(356)는 단면이 원으로 형성되면서 그 중앙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도넛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결로수가 상기 개폐식 배수부(340)에 점진적으로 유입되어 상기 결로수의 수위가 상승되면 상기 부유체(356)도 함께 상승되고, 그에 따라 상기 부유체(356)와 연결된 상기 굽힘체(352)와, 상기 승강 몸체(351)와, 상기 승강 대면체(353)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은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력이 센 것으로 배치된다.
한 쌍의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과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 중 각각 서로 대면되는 것들은 서로 다른 극성이 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 중 일측에 배치된 것은 N극이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 중 일측에 배치된 것과 대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 중 일측에 배치된 것은 S극이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 중 일측에 배치된 것의 N극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 중 타측에 배치된 것은 S극이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 중 타측에 배치된 것과 대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 중 타측에 배치된 것은 N극이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 중 타측에 배치된 것의 S극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 승강부(350)가 하강된 상태일 때는 상대적으로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과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이 서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될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과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 간의 자력에 비해 한 쌍의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 간의 자력이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작용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이 서로 끌어당겨서 상기 각 개폐체(342)가 서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개폐체(342)가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다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 승강부(350)가 상승된 상태일 때는 상대적으로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과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이 서로 근접되어 한 쌍의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 간의 자력에 비해 서로 마주보는 상기 각 승강측 영구 자석(355)과 상기 각 개폐측 영구 자석(344) 간의 자력이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됨으로써, 서로 마주보는 상기 각 승강측 영구 자석(355)과 상기 각 개폐측 영구 자석(344)이 각각 서로 끌어당기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각 개폐체(342)가 상기 회전 수단(34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각 개폐체(342)의 접촉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개폐체(342)가 열린 상태가 된다.
상기 각 개폐체(342)가 닫힐 때 상기 개폐체(342) 사이의 공간이 밀폐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개폐체(342)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상기 개폐체(34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배수체(341)의 내부로 상기 결로수가 수용되면서 그 수위가 점진적으로 상승되면, 상기 부유체(356)도 상기 결로수의 상승되는 수위에 따라 상승되고, 상기 부유체(356)의 상승에 의해 상기 승강 몸체(351)와, 상기 승강 대면체(353)가 함께 상승되어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이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과 근접되고,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과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이 상대적으로 최고로 근접되는 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각 개폐체(342)가 상기 각 회전 수단(343)에 의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이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에 각각 붙음으로써 상기 개폐체(342)가 열리게 된다.
반면, 상기 개폐체(342)가 열린 상태로 상기 결로수가 상기 개폐체(342)로부터 외부로 배수되면서 그 수위가 점진적으로 하강되면, 상기 부유체(356)도 상기 결로수의 하강되는 수위에 따라 하강되고, 상기 부유체(356)의 하강에 의해 상기 승강 몸체(351)와, 상기 승강 대면체(353)가 함께 하강되어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이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과 각각 이격되고,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과 각각 이격된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은 상기 회전 수단(343)에 의해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붙게 됨으로써 상기 개폐체(342)가 닫히게 된다.
도면 번호 358은 상기 승강 몸체(351)의 상기 바닥판(357)에서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승강 몸체측 관통 홀이다.
상기 승강 몸체측 관통 홀(358)은 상기 각 승강측 영구 자석(355) 및 상기 각 개폐측 영구 자석(344)의 근접에 의해 상기 개폐체(342)가 열리면서 상기 개폐체(342)로부터 상기 승강 대면체(353) 쪽으로 상기 결로수가 이동될 때, 와류 등의 발생으로 열린 상태로 유지되는 한 쌍의 상기 개폐체(342) 외부로 탈출되거나, 상기 승강 대면체(353)의 외부로 탈출되는 상기 결로수가 상기 승강 몸체(351)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개폐체(342)가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355) 및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344)에 의해 자동으로 반복 개폐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배수 유로(322)에 모여진 상기 상기 결로수가 상기 저장체 쪽으로 배출되는 것과 배출 중지되는 것이 자동적으로 반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상기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결로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어 전기세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조에 대한 편리한 관리 및 상기 수조의 미려한 외관으로 관상 가치를 높일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
110 : 수용 용기 120 : 배수 유닛 211 : 내측 용기 케이스 212 : 외측 용기 케이스 330 : 배수 부재 335 : 배수 몸체 340 : 개폐식 배수부 350 : 배수 승강부
110 : 수용 용기 120 : 배수 유닛 211 : 내측 용기 케이스 212 : 외측 용기 케이스 330 : 배수 부재 335 : 배수 몸체 340 : 개폐식 배수부 350 : 배수 승강부
Claims (5)
- 그 내부에 물 및 수용 대상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
상기 수용 용기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의 내외부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 현상에 의해 상기 수용 용기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결로수가 상기 수용 용기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닛은
상기 수용 용기의 하단부에서 상기 수용 용기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배수 본체와,
상기 배수 본체 내부에서 상기 수용 용기의 외곽을 둘러 싸는 형태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결로 현상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결로수가 수집되는 배수 유로와,
상기 배수 유로의 저면에서 적어도 하나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배수 유로에 수집된 상기 결로수를 상기 배수 유로로부터 배수시키는 배수 홀과,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배수된 상기 결로수가 저장되는 저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로 현상에 의해 상기 수용 용기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결로수는 상기 배수 유로에 수집된 후 상기 배수 홀 쪽으로 유동되어 상기 배수 홀을 경유한 다음, 상기 저장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는
그 내부에 상기 물 및 상기 수용 대상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는 내측 용기 케이스와,
상기 내측 용기 케이스의 외곽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외측 용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용기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용기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닛은
상기 배수 홀에 삽입되어 상기 배수 유로에서 유동되는 상기 결로수를 상기 배수 유로로부터 상기 저장체로 배수시키는 배수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 부재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그 상부는 개방되고 그 하부에는 배수 몸체측 관통 홀이 형성되면서 상기 배수 홀에 삽입되는 배수 몸체와,
상기 배수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배수 유로에서 유동되는 상기 결로수가 배수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식 배수부와,
상기 배수 몸체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폐식 배수부를 개폐시키는 배수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식 배수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배수 승강부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의해 상승되면, 상기 배수 승강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개폐식 배수부가 열리게 되어 상기 결로수가 상기 배수 몸체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고,
상기 배수 승강부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의해 하강되면, 상기 배수 승강부의 하강에 의해 상기 개폐식 배수부가 닫히게 되어 상기 결로수의 배수가 정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배수부는
상기 배수 몸체의 내측면에 배치되되, 그 하부로 내려갈수록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수체와,
상기 배수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쌍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개폐체와,
상기 배수체에 상기 개폐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 수단과,
상기 각 개폐체의 말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개폐측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승강부는
그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배수 몸체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 몸체와,
상기 승강 몸체의 상부에서 상기 승강 몸체의 중심 쪽으로 굽혀진 굽힘체와,
상기 승강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바닥판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개폐체와 대면되도록 형성되는 승강 대면체와,
상기 승강 몸체의 바닥면 중 상기 승강 대면체의 내부에서 관통 형성되는 승강측 관통 홀과,
상기 승강 대면체의 내측면 중 서로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승강측 영구 자석과,
상기 굽힘체의 말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결로수의 수면 상에 뜰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부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배수체의 내부로 상기 결로수가 수용되면서 그 수위가 점진적으로 상승되면, 상기 부유체도 상기 결로수의 상승되는 수위에 따라 상승되고, 상기 부유체의 상승에 의해 상기 승강 몸체와, 상기 승강 대면체가 함께 상승되어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이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과 근접되고,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과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이 상대적으로 최고로 근접되는 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각 개폐체가 상기 각 회전 수단에 의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이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에 각각 붙음으로써 상기 개폐체가 열리게 되고,
상기 개폐체가 열린 상태로 상기 결로수가 상기 개폐체로부터 외부로 배수되면서 그 수위가 점진적으로 하강되면, 상기 부유체도 상기 결로수의 하강되는 수위에 따라 하강되고, 상기 부유체의 하강에 의해 상기 승강 몸체와, 상기 승강 대면체가 함께 하강되어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이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과 각각 이격되고, 상기 승강측 영구 자석과 각각 이격된 상기 개폐측 영구 자석은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붙게 됨으로써 상기 개폐체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4018A KR102487471B1 (ko) | 2020-09-07 | 2020-09-07 |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4018A KR102487471B1 (ko) | 2020-09-07 | 2020-09-07 |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2351A KR20220032351A (ko) | 2022-03-15 |
KR102487471B1 true KR102487471B1 (ko) | 2023-01-10 |
Family
ID=8081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4018A KR102487471B1 (ko) | 2020-09-07 | 2020-09-07 |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7471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89598B1 (ja) * | 1998-12-17 | 1999-12-13 | 株式会社トモフジ | 鑑賞魚用水槽 |
KR100564697B1 (ko) | 2004-09-23 | 2006-03-30 | 주식회사 삼양테크 | 콘크리트 물탱크의 배수시스템 |
KR101101298B1 (ko) | 2009-11-03 | 2012-01-02 | 김미성 |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심해생물용 수족관 |
KR101556407B1 (ko) | 2015-06-19 | 2015-09-30 | 주식회사 문창 | 콘크리트 물탱크의 결로 배출장치 |
KR102061842B1 (ko) | 2019-10-18 | 2020-01-02 | 주식회사 문창 | 결로수의 배출 및 그 점검이 용이한 콘크리트 물탱크 |
JP2021155115A (ja) | 2020-03-30 | 2021-10-07 | 株式会社石井鐵工所 | タンク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65368U (ko) * | 1987-04-18 | 1988-10-27 | ||
KR101179583B1 (ko) | 2009-08-27 | 2012-09-04 | 김선탁 | 양식용 수조의 급배수 시스템 |
KR102089841B1 (ko) | 2017-12-19 | 2020-03-16 | 어업회사법인진솔원주식회사 |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
-
2020
- 2020-09-07 KR KR1020200114018A patent/KR1024874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89598B1 (ja) * | 1998-12-17 | 1999-12-13 | 株式会社トモフジ | 鑑賞魚用水槽 |
KR100564697B1 (ko) | 2004-09-23 | 2006-03-30 | 주식회사 삼양테크 | 콘크리트 물탱크의 배수시스템 |
KR101101298B1 (ko) | 2009-11-03 | 2012-01-02 | 김미성 |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심해생물용 수족관 |
KR101556407B1 (ko) | 2015-06-19 | 2015-09-30 | 주식회사 문창 | 콘크리트 물탱크의 결로 배출장치 |
KR102061842B1 (ko) | 2019-10-18 | 2020-01-02 | 주식회사 문창 | 결로수의 배출 및 그 점검이 용이한 콘크리트 물탱크 |
JP2021155115A (ja) | 2020-03-30 | 2021-10-07 | 株式会社石井鐵工所 | タンク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2351A (ko) | 2022-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44274B2 (en) | Wastebasket for facilitating reuse of plastic shopping bags | |
KR102487471B1 (ko) |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 | |
RU98109957A (ru) | Транспортно-складско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жидкостей | |
US5038959A (en) | Coffee lid | |
PT2949590T (pt) | Recipiente isotérmico | |
RU2003133186A (ru) | Складская емкость для жидкосте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аруж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емкости | |
US4328637A (en) | Snail trap | |
CA2972712A1 (en) | Waste receptacle having false bottom | |
CN206822268U (zh) | 一种便携式旅行用茶具 | |
KR101268839B1 (ko) |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 | |
KR102209106B1 (ko) | 진공흡입차량용 오수레벨표시장치 | |
CN208325947U (zh) | 一种防潮茶叶盒 | |
US6357391B1 (en) | Fish tank with filling by aspiration of air | |
KR200177496Y1 (ko) | 제수변밸브 개폐장치 | |
CN211186729U (zh) | 一种方便打开和关闭的陶瓷杯 | |
CN207242394U (zh) | 一种茶叶桶 | |
KR200419642Y1 (ko) | 자동 주전자 | |
KR20160057566A (ko) | 수반 어항용 여과장치 | |
US20190322085A1 (en) | Floating Tile | |
CA1334818C (en) | Bilge pump float unit | |
KR200235132Y1 (ko) | 컵보호케이스. | |
JPH079259U (ja) | 食器乾燥庫用水受け容器 | |
CN105766818A (zh) | 一种自卸式集鱼装置 | |
KR200213722Y1 (ko) | 쓰레기통 뚜껑 | |
JPS6120143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