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776B1 - 오일레벨 센서 - Google Patents

오일레벨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776B1
KR101223776B1 KR1020100128029A KR20100128029A KR101223776B1 KR 101223776 B1 KR101223776 B1 KR 101223776B1 KR 1020100128029 A KR1020100128029 A KR 1020100128029A KR 20100128029 A KR20100128029 A KR 20100128029A KR 101223776 B1 KR101223776 B1 KR 101223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loat
engine
substrate
engin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6768A (ko
Inventor
박영현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8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7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66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11/12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lubricant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오일팬에 설치되어 엔진오일의 잔량에 따른 경고신호를 인가하는 오일레벨 센서에 있어서, 상기 오일팬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외부와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오일팬의 내측으로 관통하며, 상기 엔진오일의 잔량을 감지하는 리드스위치를 갖는 기판; 상기 기판이 밀봉상태로 내장되고, 상기 커넥터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봉형태의 기판하우징; 상기 기판하우징의 단부에서 상기 엔진오일의 잔량에 따라 승강하고, 부력에 의해 상기 기판의 리드스위치에 근접하면서 자기력을 제공하여 상기 엔진오일의 잔량을 감지하는 마그넷이 마련된 플로트; 및 상기 플로트와 함께 상기 기판하우징을 차폐하면서 플로트가 승강하는 챔버를 제공하고, 상기 챔버에 상기 엔진오일의 유입 및 유출을 허용하는 입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입출구를 통해 챔버에 관류하는 엔진오일에 의해 플로트를 승강시키는 커버;를 포함하는 오일레벨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일팬의 외측면에서 장착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오일팬을 엔진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탈착할 수 있으므로 교환 및 수리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오일레벨 센서{ OIL LEVEL SENSOR }
본 발명은 오일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오일팬에 장착되어 엔진오일의 잔량을 감지하는 오일레벨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팬은 엔진의 운전과정에서 엔진의 작동부 및 마찰부를 윤활하고 냉각하기 위한 오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소정의 용적을 갖는 용기로서, 엔진의 실린더 블럭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오일팬은 엔진의 원활한 운전을 위해서 적당량의 오일이 채워져야 하고, 엔진 오일을 교환한 후의 차량의 운행거리가 일정수준에 달하게 되면 오일의 성질이 변하게 되므로서 새로운 오일로 교환해주어야만 한다. 또한, 엔진 오일은 엔진의 운전조건 등에 따라서 소모되는 양이 다르므로, 차량의 운전자 및 정비자는 오일 팬 내의 오일량은 수시로 체크 하여 오일이 부족할 경우에는 오일을 보충해주어야 한다. 엔진 오일량의 측정을 위해서 엔진의 일측에는 오일 팬의 내부까지 깊숙히 입력하였다가 게이지에 묻어나오는 오일의 위치를 기준으로 오일 팬 내의 오일량을 측정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의 차량에는 오일 팬 내의 오일량이 부족하게 되면 이를 운전자에게 전기신호로 경고하는 등의 차량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오일 레벨 센서가 장착되고 있으며, 오일 레벨 센서를 장착하는 차량은 점차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오일레벨 센서는 오일팬의 내측 저면에 수직상태로 설치되거나, 오일팬의 내측 측면에 설치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오일팬은 내측에 오일레벨 센서가 설치된 상태에서 엔진에 장착되었다.
그런데, 기존의 오일레벨 센서는 오일팬의 내측에 설치되므로, 고장이나 예방정비로 인한 교환시 오일팬을 엔진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오일레벨 센서는 교환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오일팬을 분리하기 위하여 엔진오일 또한 배출시켜야 하므로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오일레벨 센서는 엔진오일의 잔량에 따라 부상하는 감지부재가 유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승강하여 정확한 엔진오일의 잔량을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기존의 오일레벨 센서는 단순히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엔진오일의 기울어짐에 의해 감지부재가 하강하여 경고신호를 송출하므로, 운전자가 혼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오일팬의 외측에서 조립식으로 장착되어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탈착이 용이하여 교환이 간편한 오일레벨 센서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차량의 경사에 의해 엔진오일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발생하는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는 오일레벨 센서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엔진의 오일팬에 설치되어 엔진오일의 잔량에 따른 경고신호를 인가하는 오일레벨 센서에 있어서, 상기 오일팬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외부와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오일팬의 내측으로 관통하며, 상기 엔진오일의 잔량을 감지하는 리드스위치를 갖는 기판; 상기 기판이 밀봉상태로 내장되고, 상기 커넥터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봉형태의 기판하우징; 상기 기판하우징의 단부에서 상기 엔진오일의 잔량에 따라 승강하고, 부력에 의해 상기 기판의 리드스위치에 근접하면서 자기력을 제공하여 상기 엔진오일의 잔량을 감지하는 마그넷이 마련된 플로트; 및 상기 플로트와 함께 상기 기판하우징을 차폐하면서 플로트가 승강하는 챔버를 제공하고, 상기 챔버에 상기 엔진오일의 유입이나 유출을 허용하는 입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입출구를 통해 챔버에 관류하는 엔진오일에 의해 플로트를 승강시키는 커버;를 포함하는 오일레벨 센서에 관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플로트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플로트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커버는 상기 입출구를 통해 상기 챔버에 유입된 상기 엔진오일의 유출시간을 지연시키는 딜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딜레이는, 상기 입출구 중에서 출구의 내경을 입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감소된 출구측 배출유량에 의해 유출시간이 지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달리, 상기 딜레이는 상기 입출구 중에서 출구의 개수를 입구의 개수보다 많은 수로 형성하여 출구측 배출유량을 감소시켜 유출시간이 지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기판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기판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레벨 센서는, 오일팬의 외측면에서 장착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오일팬을 엔진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탈착할 수 있으므로 교환 및 수리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엔진오일의 잔량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트가 가이더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므로 엔진오일의 잔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 가이더가 커버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내편 및 플로트에 형성되는 슬롯으로 구성되므로, 플로트가 커버에 결합되면서 센터링되는 동시에 안내편을 따라 수직상태로만 승강할 수 있다.
더욱이, 플로트가 수직타원형태의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내부공간의 내측면이 기판하우징의 외측면이 밀착되므로 좌우로의 유동없이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특히, 플로트가 딜레이에 의해 하강시간이 지연되므로, 단순히 차량의 경사로 주행에 따른 엔진오일의 기울어짐에 의해 발생되는 오작동이 예방될 수 있다.
아울러, 딜레이가 일측공 및 딜레이공에 의해 챔버에서 유출되는 엔진오일의 유량을 감소시키면서 플로트의 하강시간을 지연시키므로, 간단한 구성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덧붙여, 기판의 패스너에 의해 기판하우징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되므로 기판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일레벨 센서가 오일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일레벨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오일레벨 센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오일레벨 센서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
도 5는 도 2의 오일레벨 센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 및 도 7은 플로트의 승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오일레벨 센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일레벨 센서(10)는 차량의 엔진(EG)에 장착되는 오일팬(op)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삽입된 형태로 고정볼트(BT)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장착된다.
오일레벨 센서(10)는 오일팬(op) 내부에 저장되는 엔진오일(oil)의 잔량을 감지하여 엔진오일(oil)의 소모 또는 누유에 따른 엔진오일(oil)의 부족시 경고신호를 차량에 인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일레벨 센서(10)는 커넥터(20)와 커버(60), 그리고 후술되는 기판(30), 기판하우징(40) 및 플로트(50)를 포함한다.
커넥터(20)는 오일팬(op)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차량과 연결된다. 이러한 커넥터(20)는 전술한 고정볼트(BT)가 설치되는 볼트공(20a)이 마련되며, 차량에 연결되어 경고신호가 인가되는 터미널(TM)이 후단에 형성된다.
또한, 커넥터(20)는 오일팬(op)에 밀착되면서 엔진오일의 누유를 방지하는 패킹과 같은 기밀부재(21)가 마련된다.
커넥터(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일팬(op)의 외측면에 설치되므로 오일팬(op)이 엔진(EG)에 장착된 상태에서 오일팬(op)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오일팬(op)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커버(60)는 커넥터(20)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오일팬(op)의 내측에 삽입된다. 이러한 커버(60)는 엔진오일이 유입 및 유출되는 입출구(63)가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기판(30)은 커넥터(20)에 결합되고, 오일팬(op)의 내측으로 관통하여 엔진오일의 잔량을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다. 기판(30)은 커넥터(20)에 형성되는 단자공(23)에 일체적으로 매립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일단부에 차량에 연결되는 단자(33)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후술되는 마그넷(51)과 함께 엔진오일의 잔량을 감지하는 리드스위치(31)가 설치된다. 또한, 기판(30)은 리드스위치(31)와 단자(33)를 연결하면서 리드스위치(31)의 상태에 따라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미도시된 회로부가 내장된다.
기판하우징(40)은 기판(30)이 밀봉상태로 내장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기판하우징(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폐쇄된 봉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가 개방되어 기판(30)이 타단부를 통해 삽입된다.
기판하우징(40)은 개방된 타단부가 커넥터(20)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기판(30)을 밀폐시킨다. 이때, 기판하우징(40)은 커넥터(20)에 융착되면서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기판하우징(40)은 커넥터(20)에 나사결합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기판하우징(40)은 일측의 외경이 좁아지면서 단턱(40a)이 형성된다. 단턱(40a)은 후술되는 플로트(50)가 기판(40)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플로트(50)는 기판하우징(40)의 단부에서 엔진오일의 잔량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강하는 구성요소이다.
플로트(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하우징(40)의 단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관체로 형성된다. 즉, 플로트(50)는 단턱(40a)에 의해 외경이 좁아진 기판하우징(40)의 일측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승강하며 탄턱(40a)에 의해 기판하우징(40)의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플로트(50)는 내측면의 하부에 마그넷(51)이 마련된다. 마그넷(51)은 플로트(50)와 함께 승강하여 전술한 기판(30)의 리드스위치(31)에 근접하면서 자기력을 제공한다.
커버(60)는 내측에 챔버(61)가 마련되어 기판하우징(40)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면서 기판하우징(40) 및 플로트(50)를 차폐한다. 챔버(61)는 플로트(50)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플로트(50)가 승강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전술한 입출구(63)는 커버(60)에 복수로 형성되어 챔버(61)에 엔진오일이 유입 및 유출된다. 즉, 입출구(63)는 챔버(61)에 엔진오일을 관류시키고, 관류하는 엔진오일에 따라 플로트(50)를 승강시킨다.
이러한 입출구(63)는 일측공(63a) 및 딜레이공(6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측공(63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0)의 상부에 형성되고, 딜레이공(63b)은 커버(60)의 하부 및 측방에 형성된다. 즉, 딜레이공(63b)은 전술한 오일팬(op)에 엔진오일이 채워지면서 챔버(61)에 엔진오일을 유입시키고, 일측공(63a)은 딜레이공(63b)을 통해 챔버(61)에 채워지는 엔진오일이 유출된다. 따라서, 엔진오일은 일측공(63a) 및 딜레이공(63b)에 의해 챔버(61)에 관류한다.
물론, 엔진오일은 오일팬(op)으로부터 배출될 경우, 일측공(63a)을 통해 유입되어 딜레이공(63b)을 통해 유출된다.
여기서, 일측공(63a) 및 딜레이공(63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딜레이를 형성한다.
딜레이는 입출구(63) 중에서 출구의 내경을 입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감소된 출구측 배출유량에 의해 챔버(61)로부터 유출되는 엔진오일의 유출시간을 지체시켜 전술한 플로트(50)의 하강시간을 지연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일측공(63a)은 입구이고, 딜레이공(63b)은 일측공(63a)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된 출구이다.
즉, 딜레이공(63b)은 엔진오일의 하강 시, 일측공(63a)으로 유입되어 챔버(61)에서 유출되는 엔진오일의 유출시간을 지연시켜 플로트(50)의 하강을 지연시킨다. 따라서, 플로트(50)는 딜레이에 의해 하강이 지연되므로, 단순한 차량의 경사에 의한 엔진오일의 급하강시 엔진오일을 따라 하강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오일레벨 센서(10)는 가이더(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더(70)는 챔버(61)에서 승강하는 플로트(50)를 가이드하면서 플로트(50) 회전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가이더(70)는 안내편(71) 및 슬롯(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내편(71)은 커버(60)의 내측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61)에 수직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슬롯(73)은 플로트(50)의 전방에 홈형태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롯(73)은 안내편(71)에 끼워져 안내편(71)을 따라 수직상태로 승강한다. 즉, 플로트(50)는 가이더(7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기판하우징(40)의 외측에서 승강하므로, 전술한 마그넷(51)을 수직상태로 승강시킨다. 따라서, 마그넷(51)은 수직상태로 승강하여 기판하우징(40)에 접촉하므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30)는 전술한 단자(33)가 커넥터(20)를 관통하여 터미널(TM)로 돌출된다. 단자(33)는 터미널(TM)에 결합되는 미도시된 연결잭을 통해 엔진오일의 잔량에 따른 경고신호를 차량에 인가한다.
입출구(6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딜레이공(63b)의 내경을 일측공(63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딜레이를 형성한다. 여기서, 딜레이는 도시된 바와 달리 일측공(63a)의 개수를 딜레이공(63b)의 개수보다 많은 수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딜레이는 일측공(63a)의 유입유량이 딜레이공(63b) 배출유량보다 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로트(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타원형태의 내부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플로트(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하우징(40)이 삽입되는 내경이 수직타원형태로 형성된다.
플로트(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하우징(40)의 외측에 수직타원형태를 이루는 내부공간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로 승강하므로 좌우로의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플로트(50)는 양측의 단면적이 상,하부의 단면적에 대하여 넓게 형성되어 양측에 웨이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플로트(50)는 좀더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한편, 기판하우징(40)은 내측에 기판(30)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스너는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하우징(40)의 내측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기판(30)의 양단부가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는 슬릿(4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기판(30)은 슬릿(45)에 삽입되면서 기판하우징(40)에 고정된다. 따라서, 기판(30)은 패스너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특히, 리드스위치(31)의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부위를 포함하는 오일레벨 센서(1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마그넷(51)은 엔진오일의 잔량에 따라 플로트(50)와 함께 승강하면서 기판(30)의 리드스위치(31)에 자기력을 제공한다. 즉, 마그넷(51)은 엔진오일이 전술한 입출구(63)를 통해 챔버(61)에 채워짐에 따라 플로트(50)에 의해 상승하고, 기판하우징(40)에 내장된 리드스위치(31)에 인접하면서 리드스위치(31)에 자기력을 제공한다. 이때, 리드스위치(31)는 마그넷(51)으로부터 제공된 자기력에 의해 엔진오일이 잔존함을 인식한다.
한편, 플로트(50)는 슬롯(73)에 의해 안내편(71)에 끼워진 상태로 승강하므로 회전없이 수직상태로 승강하며, 내부공간이 수직타원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면이 기판하우징(40)의 외측면에 밀착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한다. 따라서, 마그넷(51)은 리드스위치(31)에 오차없이 근접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로트(50)는 엔진오일이 소모 또는 누유될 경우 엔진오일의 잔량에 따라 마그넷(51)과 함께 하강한다. 이때, 리드스위치(31)는 마그넷(51)이 하강에 의해 마그넷(51)으로부터 제공되는 자기력이 소멸됨에 따라 엔진오일의 부족을 감지하고, 전술한 회로부 및 단자(33)를 통해 경고신호를 인가한다. 인가된 경고신호는 터미널(TM)에 연결된 연결잭을 통해 차량에 인가된다.(도 5참조)
도 8을 참조하면, 오일팬(op)은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진다. 또한, 엔진오일(oil)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팬(op)의 일측으로 몰리면서 급하강한다.
이에 따라, 챔버(61)는 내측에 채워진 엔진오일(oil)이 중력에 의해 딜레이공(63b)로 유출된다. 이때, 딜레이공(63b)은 일측공(63a)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므로 유출되는 엔진오일(oil)을 지체시킨다. 즉, 플로트(50)는 딜레이공(63a)에 의해 하강시간이 지연되면서 마그넷(51)이 리드스위치(31)로부터 이격되지 않으므로 경고신호가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로트(50)는 딜레이에 의해 급하강이 방지되므로 단순한 경사로 주행시 경고신호를 인가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오일레벨 센서(10)는 오일팬(op)의 외측면에서 장착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오일팬(op)을 엔진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탈착할 수 있으므로 교환 및 수리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엔진오일의 잔량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트(50)가 가이더(7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므로 엔진오일의 잔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 가이더(70)가 커버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내편(71) 및 플로트(50)에 형성되는 슬롯(73)으로 구성되므로, 플로트(50)가 커버(60)에 결합되면서 센터링되는 동시에 안내편(71)을 따라 수직상태로만 승강할 수 있다.
더욱이, 플로트(50)가 수직타원형태의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내부공간의 내측면이 기판하우징(40)의 외측면이 밀착되므로 좌우로의 유동없이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특히, 플로트(50)가 딜레이에 의해 하강시간이 지연되므로, 단순히 차량의 경사로 주행에 따른 엔진오일의 기울어짐에 의해 발생되는 오작동이 예방될 수 있다.
아울러, 딜레이가 일측공(63a) 및 딜레이공(63b)에 의해 챔버(61)에서 유출되는 엔진오일의 유량을 감소시키면서 플로트(50)의 하강시간을 지연시키므로, 간단한 구성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덧붙여, 기판(30)이 패스너에 의해 기판하우징(40)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되므로 기판(3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오일레벨 센서 20 : 커넥터
30 : 기판 31 : 리드스위치
33 : 단자 40 : 기판하우징
45 : 슬릿 50 : 플로트
51 : 마그넷 60 : 커버
61 : 챔버 63 : 입출구
63a : 일측공 63b : 딜레이공
70 : 가이더 71 : 안내편
73 : 슬롯 TM : 터미널
op : 오일팬 oil : 엔진오일

Claims (5)

  1. 엔진(EG)의 오일팬(op)에 설치되어 엔진오일의 잔량에 따른 경고신호를 인가하는 오일레벨 센서에 있어서,
    상기 오일팬(op)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외부와 연결되는 커넥터(20);
    상기 커넥터(20)에 결합되어 상기 오일팬(op)의 내측으로 관통하며, 상기 엔진오일의 잔량을 감지하는 리드스위치(31)를 갖는 기판(30);
    상기 기판(30)이 밀봉상태로 내장되고, 상기 커넥터(20)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봉형태의 기판하우징(40);
    상기 기판하우징(40)의 단부에서 상기 엔진오일의 잔량에 따라 승강하고, 부력에 의해 상기 기판(30)의 리드스위치(31)에 근접하면서 자기력을 제공하여 상기 엔진오일의 잔량을 감지하는 마그넷(51)이 마련된 플로트(50); 및
    상기 플로트(50)와 함께 상기 기판하우징(40)을 차폐하면서 플로트(50)가 승강하는 챔버(61)를 제공하고, 상기 챔버(61)에 상기 엔진오일의 유입이나 유출을 허용하는 입출구(63)가 마련되며, 상기 입출구(63)를 통해 챔버(61)에 관류하는 엔진오일에 의해 플로트(50)를 승강시키는 커버(6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플로트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플로트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더(70);를 더 포함하는 오일레벨 센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70)는,
    상기 커버(60)의 내측에 수직상태로 형성되는 안내편(71); 및
    상기 안내편(71)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플로트(50)에 마련되고, 안내편(71)에 끼워진 상태로 안내편(71)을 따라 승강하면서 플로트(50)의 회전을 방지하는 슬롯(73);을 포함하는 오일레벨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50)는,
    상기 기판하우징(40)이 삽입되는 수직타원형태의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내부공간의 내측면이 기판하우징(40)의 외측에 마주하는 상태로 승강함에 따라 좌우로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레벨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60)는,
    상기 입출구(63)를 통해 상기 챔버(61)에 유입된 상기 엔진오일의 유출시간을 지연시키는 딜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딜레이는,
    상기 입출구(63) 중에서 출구의 내경을 입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감소된 출구측 배출유량에 의해 유출시간이 지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레벨 센서.
KR1020100128029A 2010-12-15 2010-12-15 오일레벨 센서 KR101223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029A KR101223776B1 (ko) 2010-12-15 2010-12-15 오일레벨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029A KR101223776B1 (ko) 2010-12-15 2010-12-15 오일레벨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768A KR20120066768A (ko) 2012-06-25
KR101223776B1 true KR101223776B1 (ko) 2013-01-17

Family

ID=4668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029A KR101223776B1 (ko) 2010-12-15 2010-12-15 오일레벨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5309A (zh) * 2018-09-10 2019-01-01 上海昂津实业有限公司 一种密封箱体内液体液位测量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0820A (en) * 1985-03-08 1986-07-15 Kelsey-Hayes Company Electrical cut off float switch
JPH09178536A (ja) * 1995-12-26 1997-07-11 Nippon Biniron Kk 移動体用液面レベル測定装置
EP1467189A1 (en) * 2003-04-10 2004-10-13 Key Safety Systems, Inc. Side-mountable fluid level sensor
JP2010107370A (ja) * 2008-10-30 2010-05-13 Asmo Co Ltd 液面レベル検出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0820A (en) * 1985-03-08 1986-07-15 Kelsey-Hayes Company Electrical cut off float switch
JPH09178536A (ja) * 1995-12-26 1997-07-11 Nippon Biniron Kk 移動体用液面レベル測定装置
EP1467189A1 (en) * 2003-04-10 2004-10-13 Key Safety Systems, Inc. Side-mountable fluid level sensor
JP2010107370A (ja) * 2008-10-30 2010-05-13 Asmo Co Ltd 液面レベル検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768A (ko) 201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627B2 (en) Low liquid level detecting device and method
KR20030080179A (ko) 과급유 방지 밸브
EP2518302B1 (en) Valve device for fuel tank
CN110382076B (zh) 过滤器装置及过滤装置
KR20120089762A (ko) 연료탱크용 밸브 장치
KR101223776B1 (ko) 오일레벨 센서
KR101588636B1 (ko) 온도 측정이 용이한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KR101704133B1 (ko) 차량의 냉각수 부족 감지장치
US9478790B2 (en) Water addition plug for storage battery
KR100879059B1 (ko) 컷 밸브
KR101610478B1 (ko) 탱크로리용 오버플로우 차단장치
CN116163869A (zh) 排气结构、燃油滤清器及车辆
CN207231601U (zh) 一种缝纫机的油盘油量检测装置
CN108204320B (zh) 燃料油移送装置
KR102419466B1 (ko) 유체탱크용 레벨타워
US11713766B2 (en) Submersible motor and method for mitigating water invasion to a submersible motor
CN210684168U (zh) 缝纫机及其加油装置
CN212690969U (zh) 一种带防漏水保护的盐阀及盐箱装置
JP3162714U (ja) フロート式液面計およびこの液面計が付設される液圧装置
CN220841933U (zh) 一种墨盒
CN116215485B (zh) 一种刹车油壶及其应用
KR100995112B1 (ko) 수위조절용 이중 플로트 밸브
US20180031008A1 (en) Bleed valve arrangements; and methods
KR20050039909A (ko) 오일팬의 오일 보충 장치
US11668305B2 (en) Vacuum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