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067B1 - Trail 유도를 위한 약리단 - Google Patents

Trail 유도를 위한 약리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067B1
KR102611067B1 KR1020227042050A KR20227042050A KR102611067B1 KR 102611067 B1 KR102611067 B1 KR 102611067B1 KR 1020227042050 A KR1020227042050 A KR 1020227042050A KR 20227042050 A KR20227042050 A KR 20227042050A KR 102611067 B1 KR102611067 B1 KR 102611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trail
cancer
nmr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2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3533A (ko
Inventor
킴 디. 잔다
니콜라스 티. 제이콥
조나단 더블유. 로크너
Original Assignee
더 스크립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스크립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더 스크립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Publication of KR2022016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71/1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대식세포에서 TRAIL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는 활성을 갖는 이미다졸리노피리미디논 화합물이 개시된다. 화학식 (I)의 구조를 갖는 유효량의 이미다졸리노피리미디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더 개시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시토카인 TRAIL을 생산하도록 TRAIL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는 세포에서 TRAIL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유효량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과 관련된다.

Description

TRAIL 유도를 위한 약리단 {PHARMACOPHORE FOR TRAIL INDUCTION}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4년 3월 31일에 출원되고, 그 개시내용이 그 전체로서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미국 가출원 일련 번호 제61/972,689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정부 지원에 대한 진술>
본 발명은 미국 국립 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서 지급된 HHSN27200700038C, AI077644, AI079436, 및 AI094348하의 정부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미국 정부는 본 발명에 일정 권리를 갖는다.
암 면역감시는 유도성 및 자연 발암 모두를 변형시킬 수 있는 면역 시스템의 다양한 효과기 기능에 의존한다.  TRAIL은 정상 세포보다 암 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선택적으로 유도하는 그의 능력으로 인해 이 과정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면역감시 시토카인이다 (문헌 [S. R. Wiley, K. Schooley, P. J. Smolak, W. S. Din, C. P. Huang, J. K. Nicholl, G. R. Sutherland, T. D. Smith, C. Rauch, C. A. Smith, Immunity 1995, 3, 673-682]; 문헌 [A. Ashkenazi, V. M. Dixit, Science 1998]; 문헌 [H. Walczak, R. E. Miller, K. Ariail, B. Gliniak, T. S. Griffith, M. Kubin, W. Chin, J. Jones, A. Woodward, T. Le, et al., Nat. Med. 1999, 5, 157-163]; 및 문헌 [A. Ashkenazi, R. C. Pai, S. Fong, S. Leung, D. A. Lawrence, S. A. Marsters, C. Blackie, L. Chang, A. E. McMurtrey, A. Hebert, et al., J. Clin. Invest. 1999, 104, 155-162]). TRAIL 유전자는 다양한 조직 및 세포에서 발현되며 (문헌 [S. R. Wiley, K. Schooley, P. J. Smolak, W. S. Din, C. P. Huang, J. K. Nicholl, G. R. Sutherland, T. D. Smith, C. Rauch, C. A. Smith, Immunity 1995, 3, 673-682]); 예를 들어 수지상 세포, 자연 살해(NK) 세포, 및 단핵구/대식세포에서 발현된다 (문헌 [M. J. Smyth, K. Takeda, Y. Hayakawa, J. J. Peschon, M. R. M. van den Brink, H. Yagita, Immunity 2003, 18, 1-6.]). 그의 유전자 발현은 여러 전사 조절자, 예컨대 전사 인자 NF-κB 및 p53의 제어하에 있다 (문헌 [K. Kuribayashi, G. Krigsfeld, W. Wang, J. Xu, P. A. Mayes, D. T. Dicker, G. S. Wu, W. S. El-Deiry, Cancer Biol. Ther. 2008, 7, 2034-2038.]). TRAIL 유전자 결여 생쥐에서의 TRAIL 발현 제거(ablation) 및 항체 중화에 의한 TRAIL 발현의 감소는, 특히 p53-결핍 생쥐에서 발암물질-유도성 섬유육종, 육종, 및 림프종의 발병을 가져온다 (문헌 [E. Cretney, K. Takeda, H. Yagita, M. Glaccum, J. J. Peschon, M. J. Smyth, J. Immunol. 2002]; 및 문헌 [K. Takeda, M. J. Smyth, E. Cretney, Y. Hayakawa, N. Kayagaki, H. Yagita, K. Okumura, J. Exp. Med. 2002, 195, 161-169]). 이들 데이터는 또한 면역 세포의 TRAIL 발현의 변화가 암 세포의 TRAIL 내성과 연관이 있다는 관찰과 일치한다 (문헌 [N. S. M. Azahri, M. M. Kavurma, Cell. Mol. Life Sci. 2013, 70, 3617-3629]). 따라서, 면역 세포의 TRAIL 생산의 효과기는 임상 관련성이 있으며 (문헌 [M. J. Smyth, K. Takeda, Y. Hayakawa, J. J. Peschon, M. R. M. van den Brink, H. Yagita, Immunity 2003, 18, 1-6.]), 또한 복잡한 면역감시 신호 시스템을 연구하기 위한 모델 시스템을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시토카인 TRAIL을 생산하도록 TRAIL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는 세포에서 TRAIL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는 화합물 및 유효량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과 관련된다. TRAIL (시토카인)은 정상 세포보다 암 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선택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암을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인 화합물 및 제약물을 제공한다. 이론에 구애됨 없이, 개시된 화합물 및 제약 조성물은 TRAIL의 발현을 유도한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과 관련된다.
<화학식 (I)>
여기서,
Cyc는 질소 원자에 결합된 화학식 Ar1-CR2-의 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단일 5- 내지 8-원 헤테로시클릴 고리이고;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0, 1, 또는 2 J 기로 독립적으로 치환된 아릴 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R은 H 또는 (C1-C6)알킬이고;
J는 (C1-C6)알킬, (C3-C9)시클로알킬, (C3-C9)시클로알킬(C1-C6)알킬, 또는 할로이다.
본 개시내용은,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TRAIL을 유도하는 데에 사용한 화합물은 화합물 (2)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이다.
<화합물 (2)>
화합물 (2)의 IUPAC 명칭은 7-벤질-4-(2-메틸벤질)-1,2,6,7,8,9-헥사히드로이미다조[1,2-a]피리도[3,4-e]피리미딘-5(4H)-온이다.
본 개시내용은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예컨대 화합물 (2)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광범위의 포유류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여기서 치료될 광범위의 포유류 암은 난소암, 대장암, 유방암, 간암, 췌장암, 위장암,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전립선암, 폐암, 흑색종, 교모세포종, 골수종, 신경모세포-유래 CNS 종양, 단핵구성 백혈병, B-세포 유래 백혈병, T-세포 유래 백혈병, B-세포 유래 림프종, T-세포 유래 림프종, 및 비만 세포 유래 종양, 및 그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도 1은 a) 지시된 용량의 선형 이성질체 (1) 또는 각형(angular) 이성질체 (2)로 48 시간 동안 처리된 RAW 세포에서의 TRAIL mRNA의 유도; b) 지시된 시간 동안 5 μM 화합물 (1) 및 화합물 (2)에 대한 TRAIL mRNA 유도의 유도; c) 각형 (2) 및 (9)에 대한 용량-의존 반응을 보여준다. 화합물 (2a)는 NCI 리포지토리(repository)로부터 얻은 샘플이고, 화합물 (2b)는 본원에서 합성된 화합물이며; 둘 다 구조 (2)의 화합물로 보여진다.
도 2는 TRAIL 발현의 측면에서 불활성 화합물 (1) 및 활성 화합물 (2)의 이미다졸리노피리미다논 구조 비교를 보여준다. 각각의 구조는 X-선 결정학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도 3은 구조 이성질체인 화합물 (9)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4는 화합물 (1) 및 화합물 (2)의 구조 비교를 보여준다.
도 5는 화합물 (2)에 대해 얻은 X-선 결정 구조를 보여준다.
도 6은 화합물 (9)에 대해 얻은 X-선 결정 구조를 보여준다.
도 7은 본원의 화합물 (2)(HIPPO) 및 화합물 (A) 내지 (R)을 포함하는 다양한 화합물의 20 mM 농도의 활성을 비교하는 세포 생존율 분석을 보여준다.
본 개시내용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여기서,
Cyc는 고리 질소 원자에 결합된 화학식 Ar1-CR2-의 기를 갖는, 하나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8-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 고리이고;
Ar1 및 A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1, 또는 2 J 기로 치환된 아릴 기이고;
R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C6)알킬이고;
J는 독립적으로 (C1-C6)알킬, (C3-C9)시클로알킬, (C3-C9)시클로알킬(C1-C6)알킬, 할로, 또는 (C1-C6)할로알킬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아속(subgenus)의 화학식 (IA)에 포함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이다.
<화학식 (IA)>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Ar1 및 Ar2가 각각, 0, 1, 또는 2 J 기로 치환된 페닐 기이고;
R이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H 또는 (C1-C6)알킬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합물 (2)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이다.
<화합물 (2)>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 (2)가 아닌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화학식 (I)>
여기서,
Cyc는 질소 원자에 결합된 화학식 Ar1-CR2-의 기를 갖는, 하나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8-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 고리이고;
Ar1 및 Ar2는 0, 1, 또는 2 J 기로 치환된 아릴 기이고;
R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C6)알킬이고;
J는 독립적으로 (C1-C6)알킬, (C3-C9)시클로알킬, (C3-C9)시클로알킬(C1-C6)알킬, 할로, 또는 (C1-C6)할로알킬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합물은 아속의 화학식 (IA)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이다.
<화학식 (IA)>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A)의 화합물에서, Ar1 및 Ar2는 0, 1, 또는 2 J 기로 치환된 페닐 기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합물 (2)이다.
<화합물 (2)>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로 다양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합물 (2)가 아니다.
본 방법을 광범위의 포유류 암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치료될 광범위의 포유류 암은 난소암, 대장암, 유방암, 간암, 췌장암, 위장암,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전립선암, 폐암, 흑색종, 교모세포종, 골수종, 신경모세포-유래 CNS 종양, 단핵구성 백혈병, B-세포 유래 백혈병, T-세포 유래 백혈병, B-세포 유래 림프종, T-세포 유래 림프종, 및 비만 세포 유래 종양, 및 그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이미다졸리노피리미디논(본원에서 화합물 (1)로 지칭됨)이 2012년 11월 1일에 공개된 미국 특허 출원 제2012027608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출원은 본원에서 비교 목적으로 사용되는 선형 화합물 (1)을 개시한다. 본 발명자는 4-클로로니코틴산으로부터 4 단계를 거쳐 화합물 (1)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1).
<반응식 1>
화합물 (1)의 합성 : (a) SOCl2, 90 ℃, 1 시간, 이후 2-메틸티오이미다졸린 히드로아이오다이드, Et3N, CH2Cl2, 0 ℃ 내지 실온, 19 시간, 96 %; (b) 2-메틸벤질아민, K3PO4,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환류, 1 시간, 79 %; (c) 45 psi H2(g), PtO2, MeOH/TFA, 실온, 5 시간, 80 %; (d) 벤즈알데히드, Na(OAc)3BH, AcOH, CH2Cl2, 실온, 4 시간, 87 %.
간략하게는, 활성화된 카르복실산의 아실화, 이어 이중 치환 반응(displacement reaction)이 이어지며, 후속적 수소화 및 환원적 아민화로 화합물 (1)을 52 %의 전체 수득률로 수득하였다. 이 화합물 (1)의 구조를 질량 분석법, 핵자기 공명(NMR) 분광법, 및 X-선 결정학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실시예 단락을 참조한다).
화합물 (1)의 생물학적 활성을 쥐의 대식세포 세포주 RAW 264.7에서의 TRAIL mRNA 발현의 RT-PCR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심지어 10 μM만큼 높은 용량 (도 1a) 또는 연장된 노출에서도 (도 1b) 대조군에 비한 TRAIL mRNA 발현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도 1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화합물 (2a) (NCI로부터 입수함)는, 합성된 화합물 (2b)가 나타냈던 것처럼 원하는 TRAIL 생물활성을 나타내지만, 합성된 화합물 (1)은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보다 각형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인,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이미다졸리노피리미디논 및 특히 화합물 (2)를 생성할 필요가 당업계에 존재한다.
화합물 (2)를 3 단계를 거쳐 82 % 수득률로 제조하였다 (반응식 2). 본원에서 화합물 (2b)로 지칭되는 합성 생성물을 얻었으며, 그의 구조를 (2)로 확인하였다.
<반응식 2>
화합물 (2)의 합성: (a)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Et3N, CH2Cl2, 0 ℃ 내지 실온, 44 시간, 97 %; (b) 2-메틸벤질아민, MeOH, AcOH, 환류, 45 시간, 87 %; (c) NaOMe, MeOH, 환류, 18 시간, 97 %.
환류 메탄올 및 나트륨 메톡시드 중의 구아니딘 (7) 및 1-벤질-4-옥소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8)의 혼합물은 (2b)를 거의 배타적으로 수득하였으며; 미량의 (1)이 이 반응의 후처리에 이어지는 1H NMR에 의해 검출되었으나, 후속적 정제에 의해 제거하였다. 본 발명자는 이 결과를 (7)의 이미다졸리닐 질소가 (7)의 벤질 질소에 비해 통계적 및 입체적 장점을 둘 다 보유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8)의 케톤 카르보닐에서 질소의 초기 공격은, 분자내 고리축합을 겪어 합성 샘플 (2b)를 제공하는 아미노카비놀 중간체를 얻는다. 그의 구조 (2)를 질량 분석법 및 NMR 분광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합성 샘플 (2b)로서 얻은 화합물 (2)는 리포지토리 화합물 (2a)가 유도했던 것처럼 TRAIL mRNA 발현을 유도할 수 있었다 (도 1c).
따라서, 각형 화합물 (2)(발명자에 의해 본원에서 활성 TRAIL 유도 인자인 것으로 보여짐)는 구조 (2)를 가지며
<구조 (2)>
화합물 (1)(활성인 것으로 여겨지지 않음)은 구조 (1)을 가지며
<구조 (1)>
이성질체성 선형 화합물이 구조 (9)를 갖는다
<구조 (9)>
이들 세 가지 화합물 중, 오직 화합물 (2)만이 원하는 TRAIL 생물활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단락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얻은 X-선 결정 구조가 도면에서 제공된다.
이들 발견은 구조-활성 상관관계를 제공하며, 여기서 삼환성 코어의 각도 융합은 대식세포에서 TRAIL 유도를 위한 약리단(pharmacophore)에 필수이다.
본 발명자의 화합물 (2)의 3-단계 합성은 카바메이트 (6)의 제조 (문헌 [T. Smejkal, D. Gribkov, J. Geier, M. Keller, B. Breit, Chemistry 2010, 16, 2470-2478]) 및 그의 구아니딘 (7)으로의 전환으로 시작된다 (문헌 [W. K. Fang, P. X. Nguyen, K. Chow, T. M. Heidelbaugh, D. G. Gomez, M. E. Garst, S. C. Sinha, Allergan Inc., USA, 2011]). 만일 1,1-디아민이 비대칭이라면, 생성물의 이성질체 혼합물이 가능하다 (문헌 [J. V. Greenhill, M. J. Ismail, P. N. Edwards, P. J. Taylor, J Chem Soc Perk T 2 1985, 1255-1264]; 문헌 [C. Romano, E. Delacuesta, C. Avendano, F. Florencio, J. Sainzaparicio, Tetrahedron 1988, 44, 7185-7192]; 문헌 [F. Esser, K. H. Pook, A. Carpy, Synthesis-Stuttgart 1990, 72-78]을 참조한다). 환류 메탄올 (NaOMe의 조력과 함께) 중의 구아니딘 (7) 및 1-벤질-4-옥소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은 화합물 (2)를 거의 배타적으로 얻었으며; 미량의 화합물 (1)이 이 반응의 후처리에 이어지는 1H NMR에 의해 검출되었다. 발명자는 이 결과를 (7)의 이미다졸리닐 질소가 (7)의 벤질 질소에 비해 통계적 및 입체적 장점을 둘 다 보유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케톤 카르보닐에서의 질소에 의한 초기 공격은, 분자내 고리축합을 겪어 (2)를 제공하는 아미노카비놀 중간체를 수득하였다.
β-케토 에스테르와 2-아미노-2-옥사졸린(비대칭 1,1-디아민의 유형)의 K2CO3-매개 반응은 선형 및 각형 생성물의 혼합물을 얻는다 (문헌 [I. Forfar, C. Jarry, M. Laguerre, J. M. Leger, I. Pianet, Tetrahedron 1999, 55, 12819-12828]). 저자는 "엔도시클릭(endocyclic) 질소 원자는 가장 친핵성이며 이친전자체(biselectrophile)의 가장 친전자성인 탄소를 공격한다. 엑소시클릭(exocyclic) 질소 원자 및 두 번째 친전자성 중심 간의 고리 닫힘은 이환성 헤테로고리 합성을 종결시킨다"는 개념을 뒷받침하는 실험적 및 이론적 증거를 축적하였다. 이것은 유사한 전략을 통한 (7)의 합성에서의 본 발명자의 관찰과 일치한다.
본 합성의 두드러진 특징을 반복하기 위해, 환류 메탄올 중의 나트륨 메톡시드를 사용함으로써 (문헌 [M. F. Koehler, P. Bergeron, E. Blackwood, K. K. Bowman, Y. H. Chen, G. Deshmukh, X. Ding, J. Epler, K. Lau, L. Lee, L. Liu, C. Ly, S. Malek, J. Nonomiya, J. Oeh, D. F. Ortwine, D. Sampath, S. Sideris, L. Trinh, T. Truong, J. Wu, Z. Pei, J. P. Lyssikatos, J. Med. Chem. 2012, 55, 10958-10971]), 화합물 (2)를 거의 배타적으로 제조한다. 만일 축합이 더 높은 온도 및/또는 염기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면, 화합물 (2)를 가져오는 신속한 분자내 고리축합을 겪는, 통계적으로 및 입체적으로 더 가능한 아미노카비놀 중간체에 대한 충분한 수단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더해, 관련된 화합물 (A) 내지 (R)을 합성하였다. 화합물 (A) 내지 (R)의 특징이 아래 표 1에서 제공된다:
<표 1>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형 "한", "하나" 및 "그"는 문맥상 달리 명시적으로 지정되지 않은 한 복수의 지시대상을 포함한다.
용어 "약"은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수치 또는 범위를 지칭할 때, 값 또는 범위의 어느 정도의 변동, 예를 들어, 지시된 값 또는 지시된 범위의 한계의10 % 내, 또는 5 % 내를 허용한다.
모든 백분율 조성물은 달리 지시되지 않은 한 중량백분율로 주어진다.
용어 "질병" 또는 "장애" 또는 "상태이상"은 혼용되어 사용되며, 질병 또는 상태를 지칭하도록 사용되고, 여기서 TRAIL, 예컨대 세포에서 TRAIL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이 질병 또는 상태이상 또는 그의 증상(들)과 관련된 생화학적 메커니즘에서 역할을 하여, 치료적으로 유익한 효과가,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암 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고 TRAIL의 발현을 유도하기에 적당한 본 발명의 합성 리간드의 유효량 또는 유효 농도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에 의해 치료될 암은 광범위의 포유류 암을 포함하며, 여기서 치료될 광범위의 포유류 암은 난소암, 대장암, 유방암, 폐암, 골수종, 신경모세포-유래 CNS 종양, 단핵구성 백혈병, B-세포 유래 백혈병, T-세포 유래 백혈병, B-세포 유래 림프종, T-세포 유래 림프종, 및 비만 세포 유래 종양, 및 그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표현 "유효량"은, 장애로 고통받는 사람에 대한 요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때, 그 사람의 조직에서의 TRAIL의 발현을 유도하는 데에 효과적인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 또는 농도를 지칭한다.
용어 "할로" 또는 "할로겐" 또는 "할라이드"는 그들 자체 또는 또 다른 치환체의 일부로서, 달리 지시되지 않은 한, 플루오린, 염소, 브로민, 또는 아이오딘 원자,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린, 염소, 또는 브로민을 의미한다.
"염"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유기 화합물, 예컨대 카르복실산, 설폰산, 또는 아민을 이온 형태로, 반대이온과 함께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산은 그들의 음이온 형태에서, 양이온, 예컨대 금속 양이온,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등; 암모늄 염, 예컨대 NH4 + 또는 다양한 아민의 양이온, 예를 들어 테트라알킬 암모늄 염, 예컨대 테트라메틸암모늄, 또는 다른 양이온 예컨대 트리메틸설포늄, 등과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제약상 허용가능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인간의 소비에 대해 승인되고 일반적으로 비독성인 이온으로부터 형성된 염이며, 예컨대 클로라이드 염 또는 나트륨 염이다. "양쪽성이온"은 내부 염이며, 예컨대 둘 이상의 이온화가능 기를 갖는 분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는 음이온, 다른 것은 양이온을 형성해 서로 균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 예컨대 글리신은 양쪽성이온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양쪽성이온"은 본원의 의미 내의 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용어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인 유리 산 또는 유리 염기의 부가 염을 포함한다. 염은 "제약상-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용어 "제약상-허용가능한 염"은 제약 분야에서의 활용성을 가져오는 범위 내의 독성 프로파일을 보유하는 염을 지칭한다. 제약상 허용불가능한 염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실시에서의 활용성, 예컨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 정제 또는 제형화 공정에서의 활용성을 갖는 성질, 예컨대 높은 결정성을 보유할 수 있다.
"제약상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적당히 동물, 또는 인간에게 투여했을 때, 불리한, 알레르기 또는 다른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분자 실체 및 조성물을 포함한다. 인간 투여에 있어서, 제제는 FDA 사무국의 생물학 기준(FDA Office of Biologics standard)에 의해 요구되는 무균성, 발열원성, 및 일반적 안전성 및 순도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실시예
일반적 방법
달리 지시되지 않은 한, 모든 반응을 아르곤 대기하에서 무수 조건을 사용한 건조 용매로 수행하였다. 화학물질은 아크로스 오가닉스(Acros Organics), 오크우드 프로덕츠(Oakwood Products), 및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로부터 구입하였다.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이들을 수취한대로 사용하였다. 건조 디클로로메탄(CH2Cl2)을 칼슘 히드라이드(CaH2)를 통해 증류에 의해 얻었다. 건조 메탄올(MeOH)을 마그네슘 조각을 통해 증류에 의해 얻었다. 시약은 최상의 상업적 품질로 구입하였으며, 달리 지시되지 않은 한, 추가적인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수득률은, 달리 지시되지 않은 한, 크로마토그래피상 및 분광학상(1H NMR) 균일한 물질을 지칭한다. 반응을 가시화제(visualizing agent)로서 UV 광, 또는 염기성 수성 과망간산칼륨(KMnO4), 및 현상제(developing agent)로서 열을 사용하는 0.25 mm 이. 머크(E. Merck) 실리카 겔 판 (60F-254)에서 수행한 박막 크로마토그래피(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이. 머크 실리카 겔(60, 입자 크기 0.040-0.063 mm)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해 사용하였다. 분취 박막 크로마토그래피(PTLC) 분리를 0.50 mm 이.머크 실리카 겔 판(60F-254)에서 수행하였다. 유기 용매의 농축을 회전 증발기에서 감압하에 이어 듀얼 스테이지 기계 펌프를 사용한 추가적인 배기에 의해 수행하였다. NMR 스펙트럼을 브루커(Bruker) DRX-600, DRX-500, 및 AMX-400 기기로 기록하였으며 내부 기준으로서 잔여의 중수소화되지 않은 용매를 사용하여 보정하였다 (CHCl3 @ δ 7.26 ppm 1H NMR, δ 77.16 ppm 13C NMR; CD3OD @ δ 4.87 ppm 1H NMR, δ 49.00 ppm 13C NMR). 다음의 약자 (또는 그의 조합)를 1H NMR 다중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s = 단일선, d = 이중선, t =삼중선, m = 다중선, br = 넓음. 고해상도 질량 스펙트럼(HRMS)을 아질렌트(Agilent) LC/MSD TOF 질량 분석기로 전자분무 이온화 비행시간(time-of-flight) 리플렉트론 실험에 의해 기록하였다. IR 스펙트럼을 ATR 부속품을 갖는 퍼킨엘머(PerkinElmer) 스펙트럼 100 FTIR 분석기 또는 자스코(Jasco) 480 플러스 FTIR 분석기로 기록하였다. 녹는점을 피셔-존스(Fisher-Johns) 12-144 녹는점 장치로 기록하였으며 보정하지 않았다.
합성 방법
(4-클로로피리딘-3-일)(2-(메틸티오)-4,5-디히드로-1 H -이미다졸-1-일)메탄온 (3)
4-클로로니코틴산(1.00 g, 6.35 mmol) 및 SOCl2(15 mL)의 혼합물을 9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회전 증발에 의한 SOCl2의 제거는 옅은 황색(pale yellow) 고체로서 4-클로로니코틴산 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수득하고, 이것을 아르곤 벌룬하에 배치하고, 0 ℃로 냉각하고, CH2Cl2(45 mL)에 용해하였다. CH2Cl2(75 mL) 중의 2-메틸티오-2-이미다졸린 히드로아이오다이드(1.32 g, 5.40 mmol) 및 Et3N(2.92 mL, 20.95 mmol)의 용액을 캐뉼라(cannula)를 통해 첨가하였다. 옅은 호박색(pale amber)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19 시간 후, CH2Cl2(150 mL)를 첨가하였으며 얻은 용액을 포화 수성 NaHCO3(2 × 100 mL) 및 염수(2 × 10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하였으며(Na2SO4)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19:1 CH2Cl2/MeOH)로 옅은 황색 시럽으로서 (3)(1.32 g, 96 %)을 수득하였다.
Rf = 0.19 (실리카 겔, 19:1 CH2Cl2/MeOH)
IR (순수(neat)) νmax 1661, 1574, 1377, 1200, 903, 724 cm-1
1H NMR (600 MHz, CDCl3) δ 8.56 (d, J = 5.5 Hz, 1 H), 8.54 (s, 1 H), 7.37 (d, J = 5.2 Hz, 1 H), 4.15 - 3.65 (m, 2 H), 3.93 (t, J = 8.3 Hz, 2 H), 2.37 (s, 3 H)
13C NMR (150 MHz, CDCl3) δ 162.1, 151.9, 148.6, 131.9, 124.7, 54.1, 48.5, 15.6
HRMS (ESI-TOF) C10H10ClN3OSH+ [M + H+]에 대한 분석 계산치 256.0306, 실측치 256.0309
10-(2-메틸벤질)-2,3-디히드로이미다조[1,2- a ]피리도[4,3- d ]피리미딘-5(10 H )-온 (4)
(3)(1.30 g, 5.08 mmol), 2-메틸벤질아민(1.89 mL, 15.25 mmol), 분말 K3PO4(1.08 g, 5.08 mmol),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10 mL)의 혼합물을 가열하고 1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얻은 혼합물을 냉각하였으며 CH2Cl2(30 mL) 및 H2O(30 mL)로 분할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하였으며 (Na2SO4)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19:1 CH2Cl2/MeOH) 및 차가운 헥산으로의 연화처리(trituration)로 백색 고체로서 (4)(1.17 g, 79 %)를 수득하였다.
m.p. 182-188 ℃ (헥산)
Rf = 0.32 (실리카 겔, 19:1 CH2Cl2/MeOH)
IR (순수) νmax 1674, 1634, 1591, 1455, 1400, 1284, 747 cm-1
1H NMR (500 MHz, CDCl3) δ 9.15 (s, 1 H), 8.45 (d, J = 5.9 Hz, 1 H), 7.23 (d, J = 7.4 Hz, 1 H), 7.19 (t, J = 7.4 Hz, 1 H), 7.11 (t, J = 7.4 Hz, 1 H), 6.84 (d, J = 7.7 Hz, 1 H), 6.55 (d, J = 5.9 Hz, 1 H), 5.21 (s, 2 H), 4.20 (t, J = 8.9 Hz, 2 H), 3.96 (t, J = 8.9 Hz, 2 H), 2.41 (s, 3 H)
13C NMR (150 MHz, CDCl3) δ 158.0, 154.6, 151.0, 150.2, 147.7, 135.0, 131.6, 131.0, 127.8, 126.7, 124.2, 111.9, 107.9, 50.2, 46.7, 45.3, 19.2
HRMS (ESI-TOF) C17H16N4OH+ [M + H+]에 대한 분석 계산치 293.1397, 실측치 293.1397
10-(2-메틸벤질)-2,3,6,7,8,9-헥사히드로이미다조[1,2- a ]피리도[4,3- d ]피리미딘-5(10 H )-온 (5)
(4)(300 mg, 1.03 mmol), PtO2(60 mg), MeOH(3 mL), 및 TFA(3 mL)의 혼합물을 파르(Parr) 진탕기에서 5 시간 동안 수소화(45 psi)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였으며, 이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무색 시럽을 1:1 EtOAc/H2O(40 mL)에 용해시켰으며, 2 M NaOH(10 mL)의 첨가에 의해 염기성으로 만들었으며,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EtOAc (4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 mL)로 세척하고, 건조하고(Na2SO4),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19:1:0.1 CH2Cl2/MeOH/NH4OH)로 백색 고체로서 (5)(244 mg, 80 %)를 수득하였다.
m.p. 170-174 ℃ (MeOH)
Rf = 0.12 (실리카 겔, 19:1:0.1 CH2Cl2/MeOH/NH4OH)
IR (순수) νmax 3287, 1660, 1627, 1605, 1472, 1293, 919 cm-1
1H NMR (600 MHz, CDCl3) δ 7.20 - 7.14 (m, 3 H), 6.92 - 6.90 (m, 1 H), 4.98 (s, 2 H), 4.05 (t, J = 9.4 Hz, 2 H), 3.82 (t, J = 9.4 Hz, 2 H), 3.68 (t, J = 1.9 Hz, 2 H), 2.95 (t, J = 5.8 Hz, 2 H), 2.30 (s, 3 H), 2.28 - 2.25 (m, 2 H), 1.66 (br s, 1 H)
13C NMR (150 MHz, CDCl3) δ 160.0, 152.8, 147.2, 134.6, 133.8, 130.7, 127.4, 126.8, 123.7, 106.6, 49.9, 46.0, 45.2, 42.7, 42.2, 25.5, 19.1
HRMS (ESI-TOF) C17H20N4OH+ [M + H+]에 대한 분석 계산치 297.1710, 실측치 297.1709
7-벤질-10-(2-메틸벤질)-2,6,7,8,9,10-헥사히드로이미다조[1,2- a ]피리도[4,3- d ]피리미딘-5(3 H )-온 (1)
CH2Cl2(2.5 mL) 중의 (5)(230 mg, 0.78 mmol) 및 벤즈알데히드(103 μL, 1.02 mmol)의 용액을 AcOH(76 μL, 1.35 mmol) 및 Na(OAc)3BH(267 mg, 1.26 mmol)로 실온에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교반하였으며, 이후 CH2Cl2(10 mL)로 희석하였고 포화 수성 NaHCO3(1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CH2Cl2(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하고 (Na2SO4)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19:1 CH2Cl2/MeOH)로 백색 고체로서 (1)(261 mg, 87 %)을 수득하였다.
m.p. 166-168 ℃ (MeOH)
Rf = 0.25 (실리카 겔, 19:1 CH2Cl2/MeOH)
IR (순수) νmax 2866, 2358, 2339, 1616, 1456, 983 cm-1
1H NMR (600 MHz, CDCl3) δ 7.37 - 7.28 (m, 4 H), 7.26 - 7.14 (m, 4 H), 6.93 - 6.91 (m, 1 H), 4.98 (s, 2 H), 4.06 (t, J = 9.4 Hz, 2 H), 3.84 (t, J = 9.4 Hz, 2 H), 3.64 (s, 2 H), 3.38 (s, 2 H), 2.54 (t, J = 5.7 Hz, 2 H), 2.37 (t, J = 5.5 Hz, 2 H), 2.29 (s, 3 H)
13C NMR (150 MHz, CDCl3) δ 159.8, 152.9, 147.1, 137.6, 134.6, 133.7, 130.7, 129.2, 128.5, 127.5, 127.4, 126.8, 123.7, 105.7, 62.1, 49.9, 49.6, 48.6, 46.4, 45.3, 26.1, 19.1
HRMS (ESI-TOF) C24H26N4OH+ [M + H+]에 대한 분석 계산치 387.2179, 실측치 387.2189
메틸 2-(메틸티오)-4,5-디히드로-1 H -이미다졸-1-카르복실레이트 (6)
0 ℃의 CH2Cl2(50 mL) 중의 2-메틸티오-2-이미다졸린 히드로아이오다이드 (12.21 g, 50 mmol) 및 Et3N(16 mL, 115 mmol)의 용액을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5.0 mL, 65 mmol)를 적가하여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데워지도록 하였으며 밤새 교반하였다. 44 시간 후, 혼합물을 EtOAc(200 mL)로 희석하고, 교반하고, 이후 여과하여 불용성 염을 제거하였다. 염을 EtOAc(50 mL)로 씻어냈다. 여과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여, 백색 고체로서 (6)(8.47 g, 97 %)을 수득하였다.
Rf = 0.33 (실리카 겔, 19:1 CH2Cl2/MeOH)
IR (순수) νmax 1717, 1576, 1429, 1378, 1218, 1023, 758 cm-1
1H NMR (600 MHz, CDCl3) δ 3.92 - 3.85 (m, 4 H), 3.78 (s, 3 H), 2.41 (s, 3 H)
13C NMR (150 MHz, CDCl3) δ 159.7, 152.5, 53.9, 53.2, 47.5, 15.2
HRMS (ESI-TOF) C6H10N2O2SH+ [M + H+]에 대한 분석 계산치 175.0536, 실측치 175.0539
N- (2-메틸벤질)-4,5-디히드로-1 H -이미다졸-2-아민 (7)
MeOH(48 mL) 중의 (6)(1.5 g, 8.61 mmol) 및 2-메틸벤질아민(1.08 mL, 8.74 mmol)의 용액을 AcOH(4.8 mL)로 처리하였다. 용액을 온화하게 환류하여 교반하였다. 45 시간 후,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으며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CH2Cl2(100 mL)에 용해하고, 1 M NaOH(55 mL), 염수(55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세척하고, 여과하고,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차가운 CH3CN으로의 연화처리로, 백색 고체로서 (7)(1.42 g, 87 %)을 수득하였다.
Rf = 0.14 (실리카 겔, 9:1:0.1 CH2Cl2/MeOH/NH4OH)
IR (순수) νmax 2862, 2358, 1684, 1635, 1521, 1349, 1238 cm-1
1H NMR (600 MHz, CD3OD) δ 7.25 - 7.15 (m, 4 H), 4.34 (s, 2 H), 3.61 (s, 4 H), 2.32 (s, 3 H)
13C NMR (150 MHz, CD3OD) δ 163.0, 161.5, 137.4, 136.7, 131.4, 128.8, 128.5, 127.2, 46.2, 45.8, 18.9
HRMS (ESI-TOF) C11H15N3H+ [M + H+]에 대한 분석 계산치 190.1339, 실측치 190.1344.
7-벤질-4-(2-메틸벤질)-1,2,6,7,8,9-헥사히드로이미다조[1,2- a ]피리도[3,4- e ]피리미딘-5(4 H )-온 (2)
메틸 1-벤질-4-옥소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8)(568 mg, 2.0 mmol) 및 (7)(795 mg, 4.2 mmol)의 혼합물을 MeOH(0.5 M, 3.0 mL, 1.5 mmol) 중의 나트륨 메톡시드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온화하게 밤새 환류하여 교반하였다. 18 시간 후,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CH2Cl2(50 mL)로 희석하고, 염수(2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19:1 CH2Cl2/MeOH)로, 옅은 황색 고체로서 (2)(753 mg, 97 %)를 수득하였다.
m.p. 132-135 ℃ (MeOH)
Rf = 0.25 (실리카 겔, 19:1 CH2Cl2/MeOH)
IR (순수) νmax 2750, 2358, 1646, 1616, 1487, 1296, 738 cm-1
1H NMR (500 MHz, CDCl3) δ 7.33 (m, 5 H), 7.11 (m, 4 H), 5.05 (s, 2 H), 3.89 (m, 4 H), 3.67 (s, 2 H), 3.32 (s, 2 H), 2.68 (m, 2 H), 2.51 (m, 2 H), 2.40 (s, 3 H)
13C NMR (150 MHz, CDCl3) δ 161.6, 153.4, 145.8, 137.7, 135.7, 134.4, 130.4, 129.3, 128.6, 127.5, 127.0, 126.0, 125.4, 102.1, 62.5, 50.7, 49.7, 48.3, 47.1, 43.3, 27.0, 19.4
HRMS (ESI-TOF) C24H26N4OH+ [M + H+]에 대한 분석 계산치 387.2179, 실측치 387.2166
<표 2> 화합물 (1), (2), 및 (9)에 대한 13C NMR 화학적 이동의 비교
스펙트럼을 150 MHz로 CDCl3에서 기록하였다.
X-선 결정 구조
화합물 (2) (합성 샘플 (2b)) 및 (9)의 X-선 결정 구조를 얻었다. 파라미터는 아래에 주어졌으며, 얻은 구조는 도 5 및 6에 각각 제공된다.
화합물 (2)(HIPPO로도 지칭됨)
단일 결정 X-선 회절 연구를 Mo Kα 방사선(λ = 0.71073)을 구비한 브루커 X8 APEX II 울트라 CCD 회절계로 수행하였다. 0.18 x 0.16 x 0.08 mm 투명한 무색 판의 (2)를 파라톤(Paratone) 오일을 가진 크라이오루프(Cryoloop) 상에 배치하였다. 데이터를 질소 기체 스트림으로 100 K에서 ω 스캔을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결정-대-검출기 거리는 5 초 노출 시간과 1.0 ° 스캔 폭을 사용할 때 50 mm였다. 데이터 수집은, 25.00 °까지의 θ에서 99.9 % 완성하였다. 총 14019 반사를 지수 -11<=h<=10, -11<=k<=11, -19<=l<=18을 포함하여 수집하였다. 4833 반사가 0.0391의 Rint를 갖는 대칭 독립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덱싱 및 단위 셀 정밀화는 단순(primitive), 삼사정계(triclinic) 격자를 나타내었다. 스페이스 그룹은 P-1인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를 브루커 SAINT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합하였으며 SADABS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규모조정하였다. 직접적 방법(SHELXT)에 의한 풀이는 제안된 구조와 일치하는 완전 위상화(phasing) 모델을 가져왔다.
모든 비-수소 원자를 전-행렬 최소-자승(SHELXL)에 의해 이방성으로 정밀화하였다. 모든 수소 원자를 라이딩(riding) 모델을 사용하여 배치하였다. 이들의 위치는 SHELXL의 적당한 HFIX 커맨드를 사용하여 이들의 부모 원자에 비해 제한되었다.
결정학 데이터를 아래에 요약하였다. 전체 계량 파라미터는 CCDC로부터 번호 981022로 입수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한다.
화합물 (2)에 대한 결정 데이터 및 구조 정밀화
무색 결정의 화합물 (9)를 파라톤 오일을 가진 크라이오루프 상에 배치하였으며 데이터를 100 K에서 Mo Kα 방사선(Mo 회전 음극으로부터 생성됨)을 갖는 브루커 APEX II CCD로 수집하였다. 데이터를 SADABS 흡수에 대해 보정하였으며 구조를 직접적 방법에 의해 풀었다.
모든 비-수소 원자를 F2 상의 전-행렬 최소-자승에 의해 이방성으로 정밀화 하였으며 모든 수소 원자를 적당한 라이딩 파라미터를 갖는 계산된 위치에 배치하였다.
최고 피크 0.4224 0.6962 0.1821에서 0.20 [C9에서 0.63 A]
최저 홀 0.0912 0.4660 0.3644에서 -0.23 [C17에서 0.93 A]
결정학 파라미터를 아래에 요약하였다. 전체 계량 파라미터는 CCDC로부터 번호 981024로 입수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한다.
화합물 (9)에 대한 결정 데이터 및 구조 정밀화
생물학적 방법
세포 배양 방법:
RAW 264.7 세포(ATCC TIB-71)를 L-글루타민,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비필수 아미노산(100x 스톡, 인비트로겐 코포레이션(Invitrogen Corp.)), 10mM HEPES, pH 7.4(1 M 스톡, 인비트로겐), 및 10 % 소 태아 혈청(FBS, 하이클론(Hyclone))으로 보충된 둘베코(Dulbecco) 변형 이글(Eagle) 배지(4.5 g/L 글루코스 및 피루베이트를 갖는 DMEM, 미국 소재, 깁코(Gibco) BRL, 인비트로겐 코포레이션)의 성장 배지에 유지시켰다; (문헌 [V. V. Kravchenko, R. J. Ulevitch, G. F. Kaufmann, Methods Mol. Biol. 2011, 692, 133-145]).
RNA RT-PCR 실험:
세포를 3 mL 성장 배지에 1:5로 희석된 6-웰 판(코닝 코스타(Corning Costar) 3506)에 플레이팅하였으며, 세포가 부착된 후 배지를 바꿔주었다. 12 시간 인큐베이션 후, 세포를 DMSO 중의 기술한 농도의 화합물로 처리하였으며, 상기 화합물 또는 비히클(vehicle)의 존재하에서 기술된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이 때,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TRIzol 시약(라이프 테크놀로지스(Life Technologies))으로 처리하였으며, 동봉된 프로토콜을 통해 RNA 추출하였다. RNA 농도는 히타치(Hitachi) U-2000 UV-Vis 분광광도계 및 H2O에 12 μg / 5 μL로 희석된 샘플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이 용액을 H2O에 1:5로 희석하였으며 1 μL의 이 용액을 50 μL의 RT-PCR 반응 혼합물(퀴아젠 원스텝(Qiagen Onestep) RT-PCR 키트) 및 TRAIL 프라이머와 혼합하였다.
생쥐: mTRAIL-F: 5'-GACACCATTTCTACAGTTCCAG-3' (서열 1), mTRAIL-R: 5'-CGGATAGCTGGTGTACTTGTAG-3' 3' (서열 2).
인간: hTrail-F2: 5'-ACAGACCTGCGTGCTGATCGTG-3' 3' (서열 3) (엑손 1) hTrail-R2: 5'-ACGAGCTGACGGAGTTGCCAC-3' 3' (서열 4) (엑손 2).
RT-PCR을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즈(Applied Biosystems) 진 앰프(Gene Amp) 9700 PCR 시스템 상에서 수행하였다. RT-PCR 생성물을 TAE 완충액 중의 5.5 % 아크릴아미드 겔 상에서 분석하였다 (문헌 [T. Maniatis, E. F. Fritsch, J. Sambrook,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1989]).
RAW 264.7 세포를 10 % 소 태아 혈청(미국 소재, 깁코 BRL, 인비트로겐 코포레이션), L-글루타민, 피루베이트,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비필수 아미노산(100x 스톡, 인비트로겐)으로 보충된 무-페놀(phenol-free)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4.5 g/L 글루코스를 갖는 DMEM, 미국 소재, 깁코 BRL, 인비트로겐 코포레이션)의 코스타 96-웰 판(뉴욕 소재, 코닝 인코포레이티드)에 ~500 세포/웰로 플레이팅 하였다. 4 시간 후, 세포를 이후, 비히클, 세포용해(lysis) 완충액, 20 μM의 화합물 (2)(HIPPO), 또는 상기 표 1에 열거된 20 μM의 18 개의 유도체 화합물 ((A) 내지 (R))로 삼중으로 처리하였다. 48 시간 후, 세포 생존율을 제조사의 프로토콜법에 따른 비색(colorimetric) XTT 포르마잔(formazan) 분석(셀 시그널링 테크.(Cell Signaling Tech.))에 의해 평가하였다. 상대 흡광도를 비히클 처리된 세포(음성 대조군) 및 세포용해 완충액 처리된 세포(양성 대조군)로, 맥(Mac)용 프리즘(Prism) 5 (그래프패드(GraphPad))를 사용하여 정규화하였다. 도 7은 이 분석 결과를 요약한다. 도 7은 화합물 (A) 내지 (R)의, HIPPO와 비교한 RAW 264.7 암 세포 증식을 감쇠시키는 이들의 능력의 비교를 보여준다. 화합물 (A) 내지 (F)는 HIPPO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며, 삼환성 코어 밖의 아미드 질소의 치환체의 변형이 잘 견디며 옥소포어(auxophore)를 나타냄을 설명한다.
SEQUENCE LISTING <110> Janda, Kim D. Jacob, Nicholas T. Lockner, Jonathan W.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120> PHARMACOPHORE FOR TRAIL INDUCTION <130> 1361.214WO1 <140> PCT/US2015/023362 <141> <150> US 61/972,689 <151> 2014-03-31 <160> 4 <170> FastSEQ for Windows Version 4.0 <210> 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 synthetic primer <400> 1 gacaccattt ctacagttcc ag 22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 synthetic primer <400> 2 cggatagctg gtgtacttgt ag 22 <210> 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 synthetic primer <400> 3 acagacctgc gtgctgatcg tg 22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 synthetic primer <400> 4 acgagctgac ggagttgcca c 21

Claims (9)

  1. 구조 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는, 하기 화학식:

    의 화합물(2).
  2. 구조 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는, 하기 화학식:

    의 화합물(2)의 합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카바메이트(6): 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카바메이트(6)를 구아니딘(7): 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구아니딘(7)을 1-벤질-4-옥소피페리딘-3-카르복실레이트 HCl(8): 과 혼합하여 생성 화합물(2):을 얻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잔류 구조 이성질체를 제거하기 위해 생성 화합물(2)을 정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7042050A 2014-03-31 2015-03-30 Trail 유도를 위한 약리단 KR102611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72689P 2014-03-31 2014-03-31
US61/972,689 2014-03-31
PCT/US2015/023362 WO2015153468A1 (en) 2014-03-31 2015-03-30 Pharmacophore for trail induction
KR1020167029994A KR102473930B1 (ko) 2014-03-31 2015-03-30 Trail 유도를 위한 약리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994A Division KR102473930B1 (ko) 2014-03-31 2015-03-30 Trail 유도를 위한 약리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533A KR20220163533A (ko) 2022-12-09
KR102611067B1 true KR102611067B1 (ko) 2023-12-06

Family

ID=542411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050A KR102611067B1 (ko) 2014-03-31 2015-03-30 Trail 유도를 위한 약리단
KR1020167029994A KR102473930B1 (ko) 2014-03-31 2015-03-30 Trail 유도를 위한 약리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994A KR102473930B1 (ko) 2014-03-31 2015-03-30 Trail 유도를 위한 약리단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4) US10239877B2 (ko)
EP (2) EP3662910A1 (ko)
JP (4) JP6756435B2 (ko)
KR (2) KR102611067B1 (ko)
CN (2) CN111499636B (ko)
AU (3) AU2015241069B2 (ko)
CA (2) CA3158795A1 (ko)
CY (1) CY1123093T1 (ko)
DK (1) DK3125898T3 (ko)
ES (1) ES2779979T3 (ko)
HR (1) HRP20200478T1 (ko)
HU (1) HUE049013T2 (ko)
LT (1) LT3125898T (ko)
PL (1) PL3125898T3 (ko)
PT (1) PT3125898T (ko)
RS (1) RS60163B1 (ko)
SI (1) SI3125898T1 (ko)
WO (1) WO2015153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8679B2 (en) 2013-03-13 2017-06-27 Oncoceutics, Inc. 7-benzyl-4-(methylbenzyl)-2,4,6,7,8,9-hexahydroimidazo[1,2-A]pyrido[3,4-E]pyrimidin-5 (1H)-one, salts thereof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in combination therapy
EP2968294B1 (en) 2013-03-13 2019-05-01 Oncoceutics, Inc. 7-benzyl-10-(2-methylbenzyl)-2,6,7,8,9,10-hexahydroimidazo[1,2-a]pyrido[4,3-d]pyrimidin-5(3h)-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US9376437B2 (en) 2013-03-13 2016-06-28 Oncoceutics, Inc 7-benzyl-4-(2-methylbenzyl)-2,4,6,7,8,9-hexahydroimidazo[1,2-a]pyrido[3,4-e]pyrimidin-5(1H)-one, salts thereof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in combination therapy
MX2016006318A (es) * 2013-11-15 2017-01-19 Oncoceutics Inc 7-bencil-4-(2-metilbencil)-2,4,6,7,8,9-hexahidroimidazo[1,2-a]pir ido[3,4-e]pirimidin-5(1h)-ona, sales de la misma y metodos de uso.
EP3662910A1 (en) 2014-03-31 2020-06-10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Pharmacophore for trail induction
MD3250208T2 (ro) * 2015-01-30 2021-02-28 Oncoceutics Inc 7-Benzil-4-(4-(trifluorometil)benzil)-1,2,6,7,8,9-hexahidroimidazo[1,2-a]pirido[3,4-e]pirimidin-5(1h)-onă și sărurile acesteia și utilizarea lor în terapie
CN104860948B (zh) * 2015-05-15 2017-09-26 南京盖特医药技术有限公司 咪唑并嘧啶酮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SG10202108306UA (en) * 2016-01-29 2021-08-30 Oncoceutics Inc G protein-coupled receptor (gpcr) modulation by imipridones
AU2017310526B2 (en) 2016-08-12 2021-08-12 Edwin J. Iwanowicz Protein kinase regulators
US10172862B2 (en) 2017-01-30 2019-01-08 Oncoceutics, Inc. Imipridones for gliomas
GB2596010B (en) * 2019-02-11 2023-03-01 Madera Therapeutics Llc Use of caseinolytic protease P function as a biomarker of drug response to imipridone-like agents
WO2022029459A1 (en) 2020-08-06 2022-02-10 Eötvös Loránd Tudományegyetem Synthesis of novel imipridone derivatives and their evaluation for their anticancer activity
CN115448921B (zh) * 2021-06-08 2023-08-01 四川大学 一类咪唑烷并嘧啶酮化合物及在治疗HsClpP介导的疾病中的用途
CN116751199A (zh) * 2023-06-02 2023-09-15 中国科学院基础医学与肿瘤研究所(筹) 一种线粒体蛋白酶靶向嵌合体、制备方法及用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8789A2 (en) 2011-04-04 2012-10-11 Netherlands Cancer Institut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dicting resistance to anticancer treatment
JP2013525308A (ja) 2010-04-16 2013-06-20 キュリ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K−ras変異を有する癌の治療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86028A (fr) * 1971-07-08 1973-01-08 Boehringer Sohn Ingelheim 2,3-dihydro-oxo-imidazo(1,2-a)-pyrimidines, leurs sels d'addition avec des acides et procedes pour les fabriquer
DE2150062A1 (de) 1971-10-07 1973-04-12 Boehringer Sohn Ingelheim Imidazo- eckige klammer auf 1,2-a eckige klammer zu -pyrido- eckige klammer auf 4,3-d eckige klammer zu -pyrimidine, deren saeureadditionssalz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S5374893A (en) 1976-12-15 1978-07-03 Fujitsu Ltd Driving method for semiconductor photosensitive device
JPS6132833U (ja) 1984-07-31 1986-02-27 日信工業株式会社 デイスクブレ−キ装置
EP2932968B1 (en) 2008-06-09 2018-01-17 Allergan, Inc. Compound for treating alpha adrenergic mediated conditions
WO2012078448A1 (en) * 2010-12-06 2012-06-14 Schering Corporation Tricyclic heterocycles useful as dipeptidyl peptidase-iv inhibitors
CN103391945B (zh) * 2011-03-15 2016-11-09 奇斯药制品公司 异噁唑烷衍生物
EP3679934B1 (en) 2011-04-29 2024-06-05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Small molecule trail gene induction by normal and tumor cells as an anticancer therapy
US9376437B2 (en) 2013-03-13 2016-06-28 Oncoceutics, Inc 7-benzyl-4-(2-methylbenzyl)-2,4,6,7,8,9-hexahydroimidazo[1,2-a]pyrido[3,4-e]pyrimidin-5(1H)-one, salts thereof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in combination therapy
WO2015073072A1 (en) * 2013-11-15 2015-05-21 Oncoceutics, Inc. 7-benzyl-4-(2-methylbenzyl)-2,4,6,7,8,9-hexahydroimidazo[1,2-a]pyrido[3,4-e]pyrimidin-5(1h)-one
US9688679B2 (en) 2013-03-13 2017-06-27 Oncoceutics, Inc. 7-benzyl-4-(methylbenzyl)-2,4,6,7,8,9-hexahydroimidazo[1,2-A]pyrido[3,4-E]pyrimidin-5 (1H)-one, salts thereof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in combination therapy
EP2968294B1 (en) * 2013-03-13 2019-05-01 Oncoceutics, Inc. 7-benzyl-10-(2-methylbenzyl)-2,6,7,8,9,10-hexahydroimidazo[1,2-a]pyrido[4,3-d]pyrimidin-5(3h)-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US9181237B2 (en) * 2013-10-04 2015-11-10 Mallinckrodt Llc Substituted berbines and their synthesis
EP3662910A1 (en) 2014-03-31 2020-06-10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Pharmacophore for trail indu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5308A (ja) 2010-04-16 2013-06-20 キュリ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K−ras変異を有する癌の治療
WO2012138789A2 (en) 2011-04-04 2012-10-11 Netherlands Cancer Institut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dicting resistance to anticancer treatme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SHIZAWA, J. et al., Blood, 2013, 122(21), 3822
WAGNER, J. et al., Oncotarget, 2015, 5(24), 127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RP20200478T1 (hr) 2020-07-24
JP7186256B2 (ja) 2022-12-08
CA3158795A1 (en) 2015-10-08
CN106456643A (zh) 2017-02-22
JP6873201B2 (ja) 2021-05-19
EP3125898A4 (en) 2017-08-16
CY1123093T1 (el) 2021-10-29
AU2020286314A1 (en) 2021-01-21
ES2779979T3 (es) 2020-08-21
CN106456643B (zh) 2020-04-17
EP3125898B1 (en) 2019-12-25
LT3125898T (lt) 2020-04-10
KR20220163533A (ko) 2022-12-09
CN111499636A (zh) 2020-08-07
AU2015241069B2 (en) 2020-10-15
JP2020002170A (ja) 2020-01-09
PT3125898T (pt) 2020-04-01
KR20160138513A (ko) 2016-12-05
EP3662910A1 (en) 2020-06-10
HUE049013T2 (hu) 2020-08-28
CA2944452A1 (en) 2015-10-08
US10633385B2 (en) 2020-04-28
AU2015241069A1 (en) 2016-10-20
EP3125898A1 (en) 2017-02-08
US11891392B2 (en) 2024-02-06
CN111499636B (zh) 2023-01-13
DK3125898T3 (da) 2020-03-30
US20190284188A1 (en) 2019-09-19
JP6756435B2 (ja) 2020-09-16
SI3125898T1 (sl) 2020-07-31
KR102473930B1 (ko) 2022-12-05
JP2017511321A (ja) 2017-04-20
US10239877B2 (en) 2019-03-26
JP2021119157A (ja) 2021-08-12
US20200283440A1 (en) 2020-09-10
AU2022283729A1 (en) 2023-02-02
US20170107221A1 (en) 2017-04-20
WO2015153468A1 (en) 2015-10-08
CA2944452C (en) 2022-07-19
JP2023022184A (ja) 2023-02-14
RS60163B1 (sr) 2020-05-29
PL3125898T3 (pl) 2020-11-16
US20220002300A1 (en)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067B1 (ko) Trail 유도를 위한 약리단
EP2424368B1 (en) Pyrrolotriazine compounds
WO2019175897A1 (en) Bicyclic compounds as inhibitors of pd1/pd-l1 interaction/activation
JP6458029B2 (ja) 新規なインドリジン誘導体、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KR20150140287A (ko) Jak 저해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중간생성물
KR20150119401A (ko) 3환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3환성 화합물
US20230416252A1 (en) Process toward the manufacture of (6r,10s)-10-{4-[5-chloro-2-(4-chloro-1h-1,2,3-triazol-1-yl)phenyl]-6-oxo-1(6h)-pyrimidinyl}- 1-(difluoromethyl)-6-methyl-1,4,7,8,9,10-hexahydro-11,15-(metheno)pyrazolo[4,3-b][1,7]diazacyclotetradecin-5(6h)-one
CA3230542A1 (en) Novel ras inhibitors
US9499552B2 (en) Pyrazolo[1,5-A]pyrimidine derivative and use of anti-tumo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