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934B1 -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934B1
KR102610934B1 KR1020160124176A KR20160124176A KR102610934B1 KR 102610934 B1 KR102610934 B1 KR 102610934B1 KR 1020160124176 A KR1020160124176 A KR 1020160124176A KR 20160124176 A KR20160124176 A KR 20160124176A KR 102610934 B1 KR102610934 B1 KR 102610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actobacillus sakei
hair
eluate
ly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086A (ko
Inventor
이용희
명길선
나용주
김용진
유세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12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934B1/ko
Publication of KR20180034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의 용출물(lysat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에 관하여 기술한다. 상기 조성물은 현저하게 우수한 육모 증진 및 탈모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Composition for hair or scalp comprising lysate of Lactobacillus sakei}
본 명세서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에 관한다.
최근 화학 원료, 곤충 및 동물성 원료를 지양하는 추세에 따라 자연 유래의 소재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미생물 자원은 재생산 가능한 점에서 지속 가능한 자원으로서 다양한 환경에서 적응한 미생물 고유의 특성을 이용하는 유용성이 높은 소재이다. 이 중 유산균은 인체에 위험성 없이 사용 가능한 소재로서 식품 분야에서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활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5397호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육모 증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체 독성이나 자극 없이 육모 증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연 유래의 성분을 이용하여 육모 증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낭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그 사멸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모근초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그 사멸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의 용출물(lysat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에 관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a)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을 배양하고,
(b) 상기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를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고, 그리고
(c) 상기 (b)에서 얻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를 80℃ 내지 120℃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여 용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육모 증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인체 독성이나 자극 없이 육모 증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자연 유래의 성분을 이용하여 우수한 육모 증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모낭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그 사멸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외모근초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그 사멸을 억제하는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모낭 모유두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와 동속 이종 균주의 모낭 모유두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비교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외모근초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나타낸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와 동속 이종 균주의 외모근초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비교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외모근초 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외모근초 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나타낸 형광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의 용출물(lysat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는 금은화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다. 일예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는 금은화(LONICERA japonica)의 꽃에서 분리 동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은 동속 이종의 균주와 비교할 때 현저하게 우수한 육모 증진 및 탈모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일예에서, 상기 용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세포를 가열하여 용출시켜 얻은 가열 용출물일 수 있다. 상기 가열은 80℃ 내지 120℃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용출물은 천연 성분으로서 인체 적용시 자극이나 독성이 거의 없으며, 육모 증진 및 탈모 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할 수 있다.
일예에서, 상기 용출물은 (a)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을 배양하고,
(b) 상기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를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고, 그리고
(c) 상기 (b)에서 얻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를 80℃ 내지 120℃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여 용출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성분으로서 인체 적용시에 자극이나 독성이 거의 없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또한 모낭 모유두 세포, 외모근초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그 사멸을 억제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육모 증진 효과와 탈모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일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용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두피용 또는 모발용 조성물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두피 및 모발에 함께 사용하는 제형, 예를 들어 샴푸, 린스,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두피 모발 겸용 트리트먼트, 탈모 방지 모발용 트리트먼트, 손상모발용 트리트먼트, 잔류(leave-in) 컨디셔너, 워시오프(wash-off) 컨디셔너 또는 헤어 에센스 등 두피 또는 모발, 두피 및 모발 겸용 제품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상기한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 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두피 또는 모발 조성물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일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용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중량% 내지 5중량%, 예를 들어 0.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체중 1 ㎏당 0.1~500 ㎎, 바람직하게는 1~100 ㎎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률,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피부 외용제, 좌제, 주사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용출물의 제조
1.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의 분리
금은화에서 획득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는 금은화 꽃을 1차 증류수에 2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세척한 금은화의물기를 털어내고 중량 대비 10배의 증류수에 침지시킨 후 250 rpm의 속도로 진탕 30분간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액을 10-105배의 1차 증류수에 십진희석하고 디프코 락토바실리 MRS 아가 (Difco Lactobacilli MRS Agar®) 배지에 분주하여 배양하였다. 이때 배양은 32℃, 혐기 조건의 챔버에서 2일간 배양한 후 백색 집락을 보이는 콜로니를 취하였으며, 위와 같은 방법으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수탁번호: KCTC12675BP)를 금은화 꽃으로부터 분리하였다.
2.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배양 및 용출
분리 동정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를 탈지유(Skim milk)에 10중량%로 크라이오튜브(Cryotube)에서 보관하여 배지(MRS Broth)에 접종하여 37℃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액체 배지 내 균 농도가 5 X 108 ~ 1 X 109 CFU/㎖가 되었을 때, 4℃에서, 4000 rpm 원심 분리를 통하여 영양세포를 수확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균체를 세척하였다. 세척된 균체를 PBS에 5 X 108 ~ 1 X 109 CFU/mL의 농도로 재분산(resuspension)시키고 10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용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동속 이종 균주의 용출물 제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와 동속 이종인 균주로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전통주 제조용 누룩)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3, 수탁번호 KCCM11180P)을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열 용출시켜 용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모낭모유두 세포의 증식 효과
상기 제조예 1 및 2 에서 제조된 용출물을 이용하여 모낭 모유두 세포(hDPCs ; human Dermal papilla Cell)에서의 증식 효과를 확인하였다.
1. hDPCs 분리 및 배양
후두부 두피조직으로부터 현미경을 이용하여 모유두 세포를 분리하여 1형 콜라겐(collagen type Ⅰ)이 코팅된 배양접시에서 14일 동안 배양하였다. 항생제(1%), 펀지존(fungizone, 0.1%), 20% FBS를 첨가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HyClone GE Healthcare)을 포함하는 배양 배지, 5% CO2, 37℃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 후, 10% FBS 첨가한 DMEM 배지로 배지를 교체한 후, 세포가 dish의 90% 이상 자랐을 때, 배양된 세포를 0.25% trypsin/10mM EDTA (Welgene)를 이용하며 세포를 모으고, 10% FBS 첨가한 DMEM 배지, 5% CO2, 37℃ 에서 72시간(세포가 dish의 90% 이상 자랄 때까지) 동안 배양하여 이후 실험에 제공하였다.
2. hDPCs 세포 증식 효과 확인을 위한 배양
96 well plate에 hDPCs를 2000개/well씩 접종 후 5% CO2,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여기에 상기 제조예 1 및 2에서 제조된 용출물을 각각 10부피%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5% CO2, 37℃에서 배양하였다. 대조군(control)으로는 무처리군을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5% FBS를 상기 용출물과 동량 처리하였다.
3. 세포 증식 측정 : Control 대비 120% 이상 viability
상기 96 well plate의 각 well마다 MTT 용액 (Sigma, 70㎍/well) 넣고 5% CO2, 37℃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포르마잔(formazan)을 DMSO로 녹여 평판배양측정기(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에서 대조군(control)의 값을 100으로 하여 상대적인 세포 증식율을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의 결과에서, 제조예 1의 균주는 우수한 모낭 모유두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제조예 2의 균주들은 바실러스 사케이와 동속 이종 균주임에도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외모근초세포 증식 효과
상기 제조예 1 및 2 에서 제조된 용출물을 이용하여 외모근초세포(Outer Root Sheath keratinocyte; ORS keratinocyte)의 증식 효과를 확인하였다.
1. 외모근초세포(ORS keratinocytes)의 분리 및 배양
후두부 두피조직으로부터 현미경을 이용하여 외모근초세포를 분리하여 1형 콜라겐(collagen type Ⅰ)이 코팅된 배양접시에서 14일 동안 배양하였다. 항생제(1%), 펀지존(fungizone, 0.1%), 20% FBS를 첨가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HyClone GE Healthcare)을 포함하는 배양 배지, 5% CO2, 37℃ 조건에서 3일 간 배양하고, 외모근초세포 배양 전용배지(EPILIFE MEPI500CA, invitrogen)로 교체하며, confluent를 확인한 후 트립신/EDTA(T/E) 처리하여 계대배양하였다
2. 외모근초세포의 세포 증식 효과 확인을 위한 배양
96 well plate에 외모근초세포를 20000개/well 씩 seeding 후 5% CO2, 37℃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여기에 상기 제조예 1 및 2에서 제조된 용출물 10부피%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5% CO2, 37℃에서 배양하였다. 대조군(control)으로는 무처리군을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외모근초세포 배양 전용배지(EPILIFE MEPI500CA, invitrogen)에 성장인자(EpiLife S-012-5, invitrogen)를 첨가한 것을 용출물과 동량 사용하였다.
3. 세포 증식 측정 : Control 대비 120% 이상 viability
상기 96 well plate의 각 well마다 MTT 용액 (Sigma, 70㎍/well) 넣고 5% CO2, 37℃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포르마잔(formazan)을 DMSO로 녹여 평판배양측정기(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에서 대조군(control)의 값을 100으로 하여 상대적인 세포 증식율을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4의 결과에서, 제조예 1의 균주는 우수한 외모근초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제조예 2의 균주들은 바실러스 사케이와 동속 이종 균주임에도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외모근초세포의 사멸 억제 효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용출물을 이용하여 탈모 유발 인자로 알려진 DKK-1에 의해 유도되는 외모근초세포(Outer Root Sheath keratinocyte; ORS keratinocyte)의 사멸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1. 세포 배양
상기 시험예 2에서와 같이 분리 및 배양한 외모근초세포를 96 well plate와 8 chamber slide에 20000개/well 씩 접종하여 5% CO2, 37℃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starvation 후 세포에 각각 DKK 50ng/ml, DKK 50ng/ml +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용출물 10부피%을 처리하였고, 대조군(control)으로는 무처리군을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외모근초세포 배양 전용배지(EPILIFE MEPI500CA, invitrogen)에 성장인자(EpiLife S-012-5, invitrogen)를 첨가한 것을
2. MTT assay
상기 실험물질을 처리한 96 well plate의 각 well마다 MTT 용액 (Sigma, 70㎍/well) 넣고 5% CO2, 37℃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포르마잔(formazan)을 DMSO로 녹여 평판배양측정기(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에서 음성 대조군의 값을 100으로 한 상대적 세포 증식율(***), DKK-1만을 처리한 군의 값을 100으로 한 상대적 세포증식율(I)로 하여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3. TUNEL assay (8 chamber slide)
상기 실험물질을 처리한 8 chamber slide를 24시간 배양 후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세척한 후 triton-X100 0.05% (in PBS)를 처리하였다. TUNEL 반응 혼합물(TUNEL reaction mixture, Roche kit)을 사용하여 반응시킨 후 세척하고 DAPI (4',6-diamidino-2-phenylindole)로 염색하고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세포의 형광 현미경 사진을 도 6에 나타낸다.
도 5 및 6의 결과에서, 제조예 1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는 우수한 외모근초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정제
본 발명 제조예 1의 용출물 100mg, 락토오스 400mg, 옥수수 전분 40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캡슐제
본 발명 제조예 1의 용출물 100mg, 락토오스 400mg, 옥수수 전분 40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과립제
본 발명 제조예 1의 용출물 50mg, 무수결정 포도당 250mg 및 전분 55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형예 4] 드링크제
본 발명 제조예 1의 용출물 50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ml를 가하여 각 병에 200ml씩 충진한다. 병에 충진한 후 130℃ 에서 4~5 초간 살균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5] 주사제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제조예 1의 용출물 10-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제형예 6]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제조예 1의 용출물 0.2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제조예 1의 용출물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8] 마사지 크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제조예 1의 용출물 2.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파라핀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9] 헤어 로션의 제조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헤어 로션을 제조한다.
성분 함량(중량%)
제조예 1의 용출물 2.0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3.0
부틸렌그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에델바이스 추출물 2.0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렌 5.0
세테아릴 그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1.2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
[제형예 10] 샴푸 조성물의 제조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함량(중량%)
폴리쿼터늄-10 0.5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20
제조예 1의 용출물 0.3
1.0
메틸파라벤 0.1
세틸알콜 0.5
염화나트륨 0.8
정제수 To 100
[제형예 11] 헤어 트리트먼트의 제조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헤어 트리트먼트를 제조하였다.
구분(중량%) 함량(중량%)
제조예 1의 용출물 0.5
스테아라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2
글리세린 0.5
향료 0.5
방부제 0.03
세토스테아릴알코올 5
락트산 1
증류수 to 10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675BP 20140911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180P 20110328

Claims (10)

  1.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의 용출물(lysat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 증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2.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의 용출물(lysat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용 및 사멸 억제용 조성물.
  3.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의 용출물(lysat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모근초세포의 증식 촉진용 및 사멸 억제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는 금은화에서 분리 동정한 것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세포를 가열하여 용출시켜 얻는 것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80℃내지 120℃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을 배양하고,
    (b) 상기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를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고, 그리고
    (c) 상기 (b)에서 얻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를 80℃내지 120℃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여 용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160124176A 2016-09-27 2016-09-27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KR102610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176A KR102610934B1 (ko) 2016-09-27 2016-09-27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176A KR102610934B1 (ko) 2016-09-27 2016-09-27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086A KR20180034086A (ko) 2018-04-04
KR102610934B1 true KR102610934B1 (ko) 2023-12-08

Family

ID=61975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176A KR102610934B1 (ko) 2016-09-27 2016-09-27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055B1 (ko) * 2020-02-14 2022-02-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다당류, 효모추출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균주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5038425B (zh) * 2020-02-14 2023-10-31 株式会社Lg生活健康 包括多糖类、酵母提取物及具备益生菌特性的菌株发酵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改善用化妆料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647694T3 (en) * 2010-11-04 2018-03-12 Cell Biotech Co Ltd BIOMASS OF DEATH LACTOBACILLUS FOR ANTIMICROBIAL USE AND PROCEDURE FOR PREPARING THEREOF
KR101998210B1 (ko) 2012-10-31 2019-07-10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조성물
KR102287584B1 (ko) * 2015-02-09 2021-08-10 (주)아모레퍼시픽 금은화 유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또는 그 배양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086A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093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KR102356423B1 (ko) 항균, 피부 보습, 항아토피, 피부 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 활성을 갖는 복합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7584B1 (ko) 금은화 유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또는 그 배양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65185B1 (ko) 항균, 항염,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70036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1β에 의한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610934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KR101996732B1 (ko)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04199A (ko) 올벚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292944B1 (ko)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JP2011195537A (ja) 抗酸化剤、美白剤、抗老化剤、育毛剤、保湿剤、皮膚外用剤及び機能性経口組成物
KR20190006285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994618B1 (ko)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20150144129A (ko) 꽃송이버섯 발효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9678B1 (ko) 검정무 발효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90047629A (ko) 홍화의 상황버섯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 조성물
KR102579105B1 (ko)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수세미오이 추출물의 효소적 전환을 통한 피부미백 개선, 자외선 차단 및 피부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29032B1 (ko) 붉은 동백꽃 유래의 신규한 락토코커스 락티스 R-camellia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429031B1 (ko) 흰 동백꽃 유래의 신규한 락토코커스 락티스 W-camellia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90021668A (ko) 백년초 열매의 유산균 고상 발효물을 이용한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KR20130073040A (ko) 지칭개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헤미스텝신(Hemistepsin) A 또는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194314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1490B1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0290B1 (ko) 진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