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774B1 -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 - Google Patents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774B1
KR102610774B1 KR1020210175229A KR20210175229A KR102610774B1 KR 102610774 B1 KR102610774 B1 KR 102610774B1 KR 1020210175229 A KR1020210175229 A KR 1020210175229A KR 20210175229 A KR20210175229 A KR 20210175229A KR 102610774 B1 KR102610774 B1 KR 102610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cutting
fit
fit pin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6517A (ko
Inventor
조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175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7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86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64Press fitt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은, 상,하측 인쇄회로기판에 제1,제2끼움부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프레스핏 핀과, 프레스핏 핀 각각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에 마련되고, 프레스핏 핀을 인쇄회로기판의 사용처에 맞춰 연결부재를 개수별로 분리하게 하는 커팅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CUT-OFF TYPE DUAL PRESS FIT PIN}
본 발명은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스핏 핀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프레스핏 핀의 단위별로 커팅분리부를 구비하여 커팅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고 인쇄회로기판의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여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어기 등에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어기의 요구사양에 맞춰 차량 내 조립환경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을 2개 이상 적용하고, 경우에 따라 각 인쇄회로기판 간에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듀얼 프레스핏 핀(dual press pin)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간을 연결하거나, 점프 핀(jumper pin)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간을 연결한다.
이때, 듀얼 프레스핏 핀은 2개의 인쇄회로기판의 홀에 양단이 각각 끼워져 압입 고정되는 다수개의 프레스핏 핀과, 프레스핏 각각을 일체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점프 핀은 2개의 인쇄회로기판의 홀에 각각 끼워진 후, 솔더링을 통해 고정하여 연결하도록 한다.
그런데, 점프핀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에는 솔더링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기존의 듀얼 프레스핏 핀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예를들어 프레스핏 핀이 4개 연결된 사양과, 프레스핏 핀이 16개 연결된 사양만 존재함에 따라 개별 프레스핏 핀이 1개, 3개, 7개등 다양한 다른 사양의 경우, 기존의 4개, 16개 짜리 사양을 사용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설계 자유도 부족과, 사용되지 않는 프레스핏 핀으로 인해 적용에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77046호(2012.08.20, 발명의 명칭: 프레스 핏 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프레스핏 핀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프레스핏 핀의 단위별로 커팅분리부를 구비하여 커팅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고 인쇄회로기판의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여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은, 상,하측 인쇄회로기판에 제1,제2끼움부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프레스핏 핀; 상기 프레스핏 핀 각각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스핏 핀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사용처에 맞춰 상기 연결부재를 개수별로 분리하게 하는 커팅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합성수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사출성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팅분리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스핏 핀과 이웃하는 상기 프레스핏 핀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제1함몰홈부;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스핏 핀과 이웃하는 상기 프레스핏 핀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제2함몰홈부; 및 상기 제1함몰홈부와 상기 제2함몰홈부 사이에 구비되는 절단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함몰홈부와 상기 제2함몰홈부는 동일한 깊이와 너비로 대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절단연결부를 상측과 하측으로 분리 형성하면서, 상기 연결부재에 일체로 몰딩된 상기 프레스핏 핀의 중심부위가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개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연결부는 커팅을 용이하게 하는 커팅촉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은, 프레스핏 핀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프레스핏 핀의 단위별로 커팅분리부를 구비하여 커팅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고 인쇄회로기판의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여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원가절감과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팅촉진부를 이용하여 절단연결부의 커팅을 정확한 위치에 특정하여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이 상하측 인쇄회기판에서 분리된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이 1개, 3개, 7개로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이 상하측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상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에서, 커팅촉진부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의 커팅촉진부를 이용하여 절단연결부를 간편하게 커팅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이 상하측 인쇄회기판에서 분리된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이 1개, 3개, 7개로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이 상하측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상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에서, 커팅촉진부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의 커팅촉진부를 이용하여 절단연결부를 간편하게 커팅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은, 프레스핏 핀(100), 연결부재(200), 커팅분리부(300)를 포함한다.
프레스핏 핀(100)은 다수개 구비되어 상,하측 인쇄회로기판(10)(20)의 홀(12)(22)에 제1,제2끼움부(110)(120)가 각각 삽입된다.
프레스핏 핀(100)은 양측 단부에 제1끼움부(110)와 제2끼움부(120)가 각각 형성되어 상측 인쇄회로기판(10)의 홀(12)과 하측 인쇄회로기판(20)의 홀(22)에 각각 탄성 결합되어 상측 인쇄회로기판(10)과 하측 인쇄회로기판(20) 간에 전원 및 전기신호를 주고 받도록 구성된다.
프레스핏 핀(100)의 제1,제2끼움부(110)(120)는 뾰족한 단부를 가지며, 단부에서 하측으로 내려올수록 중간부위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갖는 상태로 양측으로 벌려지면서 구성된다. 제1,제2끼움부(110)(120)의 중공부는 상,하측 인쇄회로기판(10)(20)의 홀(12)(22)에 끼워질 때 탄성적으로 오므려져서 벌려질려는 탄성복원력을 발휘함으로써, 상,하측 인쇄회로기판(10)(20)의 홀(12)(22)에 견고하게 결속딜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프레스핏 핀(100) 각각을 일체로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각각의 프레스핏 핀(100)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물 역할을 수행한다.
연결부재(200)는 합성수지재를 포함하고, 사출성형으로 프레스핏 핀(100)의 중심부위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하측으로 제1,제2끼움부(110)(120)를 노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커팅분리부(300)는 연결부재(200)에 마련되고, 프레스핏 핀(100)을 상,하측 인쇄회로기판(10)(20)의 사용처에 맞춰 연결부재(200)를 개수별로 분리하게 하는 구성이다.
커팅분리부(300)는, 연결부재(20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프레스핏 핀(100)과 이웃하는 프레스핏 핀(100)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제1함몰홈부(310)와, 연결부재(200)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프레스핏 핀100)과 이웃하는 상기 프레스핏 핀(100)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제2함몰홈부(320)와, 제1함몰홈부(310)와 제2함몰홈부(320) 사이에 구비되는 절단연결부(330)를 포함한다.
제1함몰홈부(110)와 제2함몰홈부(120)는 동일한 깊이와 너비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함몰홈부(310)는 제2함몰홈부(32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제1함몰홈부(310)와, 제2함몰홈부(320)는 상호 다른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커팅분리부(300)는 커팅부재(30)가 제1끼움부(110) 또는 제2끼움부(120) 중 어느 한 곳으로 진입하여 절단연결부(330)를 짤라 냄으로써, 분리된 연결부재(200)와 다른 분리된 연결부재(200)로 나눌 수 있게 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스핏 핀(100)은 갖는 분리된 연결부재(200)는 상측 인쇄회로기판(10)의 홀(12)에 프레스핏 핀(100)의 제1끼움부(110)가 끼워져 고정되고, 하측 인쇄회로기판(20)의 홀(22)에 프레스핏 핀(100)의 제2끼움부(120)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측 인쇄회로기판(10)와 하측 인쇄호로기판(20) 간에 전원 공급 및 전기신호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에는 절단연결부(330)를 상측과 하측으로 분리 형성하면서, 연결부재(200)에 일체로 몰딩된 프레스핏 핀(100)의 중심부위가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개방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홀(2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구멍이 연결부재(200)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연결부재(200)를 프레스핏 핀(100)의 개수별로 절단연결부(330)의 커팅으로 분리하여 사용될 때, 각각의 프레스핏 핀(100)의 양측부위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프레스핏 핀(100)에서 발생하거나 상하측 인쇄로기판(10)(20)에서 발생하여 전달된 열기를 개방홀(21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므로 방열공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개방홀(210)은 연결부재(200)의 중량을 낮추어 주어 합성수지재 등의 소재를 절약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절단연결부(330)를 프레스핏 핀(100) 1개, 3개 및 7개 단위로 커팅하여 상측 인쇄회로기판(10)의 홀(12)과 하측 인쇄회로기판(20)의 홀(22)에 각 삽입하여 결합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 것은 기존의 듀얼 프레스핏 핀이 16개 단위만 이루어지므로 예를들어, 상측 인쇄회로기판(10)의 홀(12)과 하측 인쇄회로기판(20)의 홀(22)이 12개만 사용되는 경우, 나머지 4개의 프레스핏 핀(100)은 사용되지 않는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활용도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불필요한 부품이 사용되어 원가가 늘어나고 중량이 증가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 상측 인쇄회로기판(10)의 홀(12)과 하측 인쇄회로기판(20)의 홀(22)이 사용되는 개수에 맞춰 커팅분리부(300)를 이용하여 연결부재(200)를 단윈별로 커팅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계자유도를 충족시키고, 원가비용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절단연결부(330)는 커팅을 용이하게 하는 커팅촉진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커팅촉진부(400)는, 절단연결부(330)의 일측면에서 중심측으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는 제1협소부(410)와, 제1협소부(410)에 대응 형성되고, 절단연결부(330)의 타측면에서 중심측으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는 제2협소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협소부(410)와 제2협소부(420)는 가장자리에서 중심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차 좁아지면서 커팅부재(30)에 의해 절단이 용이하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협소부(410)와 제2협소부(420)는 V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거나, U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팅부재(30)를 커팅분리부(300)의 제1함몰홈부(310) 또는 제2함몰홈부(320) 중 어느 한 곳으로 진입시켜 커팅촉진부(400)의 제1협소부(410) 또는 제2협소부(420)로 진입하여 정확하게 절단연결부(330)의 중심을 커팅함으로써, 분리된 양측의 연결부재(200)가 정확하게 대응되게 해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은, 프레스핏 핀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프레스핏 핀의 단위별로 커팅분리부를 구비하여 커팅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고 인쇄회로기판의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여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원가절감과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팅촉진부를 이용하여 절단연결부의 커팅을 정확한 위치에 특정하여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상측 인쇄회로기판 20: 하측 인쇄회로기판
12,22: 홀 30: 커팅부재
100: 프레스핏 핀 110: 제1끼움부
120: 제2끼움부 200: 연결부재
210: 개방홀 300: 커팅분리부
310: 제1함몰홈부 320: 제2함몰홈부
330: 절단연결부 400: 커팅촉진부
410: 제1협소부 420: 제2협소부

Claims (7)

  1. 상,하측 인쇄회로기판에 제1,제2끼움부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프레스핏 핀;
    상기 프레스핏 핀 각각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스핏 핀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사용처에 맞춰 상기 연결부재를 개수별로 분리하게 하는 커팅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분리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스핏 핀과 이웃하는 상기 프레스핏 핀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제1함몰홈부;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스핏 핀과 이웃하는 상기 프레스핏 핀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제2함몰홈부; 및
    상기 제1함몰홈부와 상기 제2함몰홈부 사이에 구비되는 절단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절단연결부를 상측과 하측으로 분리 형성하면서, 상기 연결부재에 일체로 몰딩된 상기 프레스핏 핀의 중심부위가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개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합성수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사출성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몰홈부와 상기 제2함몰홈부는 동일한 깊이와 너비로 대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연결부는 커팅을 용이하게 하는 커팅촉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
KR1020210175229A 2021-12-08 2021-12-08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 KR102610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229A KR102610774B1 (ko) 2021-12-08 2021-12-08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229A KR102610774B1 (ko) 2021-12-08 2021-12-08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517A KR20230086517A (ko) 2023-06-15
KR102610774B1 true KR102610774B1 (ko) 2023-12-06

Family

ID=8676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229A KR102610774B1 (ko) 2021-12-08 2021-12-08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7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0387A (en) 1979-04-18 1980-10-28 General Staple Company, Inc. Continuous connector
JP2012014919A (ja) 2010-06-30 2012-01-19 Fujikura Ltd ピンヘッダ及び基板モジュール
KR101407664B1 (ko) 2014-02-13 2014-06-13 태성전장주식회사 프레스핏 핀을 이용한 전류센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2468B2 (ja) * 1987-12-11 1998-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絶縁体付き導体線集合体
KR101969993B1 (ko) * 2017-02-07 2019-04-19 주식회사 경신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0387A (en) 1979-04-18 1980-10-28 General Staple Company, Inc. Continuous connector
JP2012014919A (ja) 2010-06-30 2012-01-19 Fujikura Ltd ピンヘッダ及び基板モジュール
KR101407664B1 (ko) 2014-02-13 2014-06-13 태성전장주식회사 프레스핏 핀을 이용한 전류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517A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7414U (ja) Led設置の基板
KR101639857B1 (ko) 커넥터
US7147480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o printed circuit board
US9763349B2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US8089140B2 (en) Lead frame assembly, lead frame and insulating housing combination, and led module having the same
US7874861B2 (en) PCB connector
JP2007184222A (ja) コネクタ
US4258487A (en) Marker plate strip for marking multiple terminals
KR102610774B1 (ko) 절단형 듀얼 프레스핏 핀
JP2020181803A (ja) コネクタ
US10388329B2 (en) SSD storage module, SSD component, and SSD
US7364369B2 (en) Lead frame, optical coupling part using lead fr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coupling part
CN103137362B (zh) 按压开关
US4158877A (en) Connecting and supporting clamp for two adjacently situated printed circuit cards
CN212115785U (zh) 一种pcb拼板
KR200195160Y1 (ko) 분할기판 조립지그
CN203675441U (zh) 拼装式线路板
CN202226227U (zh) 一种缓冲材料组合装置
US8773863B2 (en) Terminal mounting construction and electronic device
JPS608440Y2 (ja) 配線板
JP2012069313A (ja) ジャンパ線連結体およびこれを用いて形成されたジャンパ線を備えたプリント基板
US10714148B2 (en) SSD storage module, SSD component, and SSD
EP1689217A1 (en) Removable data storage device and related assembling method
CN101605429B (zh) 一种需冲型的刚挠结合板的加工方法及专用模具
US8072742B2 (en) Chas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