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488B1 -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으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으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488B1
KR102608488B1 KR1020187024493A KR20187024493A KR102608488B1 KR 102608488 B1 KR102608488 B1 KR 102608488B1 KR 1020187024493 A KR1020187024493 A KR 1020187024493A KR 20187024493 A KR20187024493 A KR 20187024493A KR 102608488 B1 KR102608488 B1 KR 102608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ayer
inkjet
pigment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159A (ko
Inventor
벤자맹 클레망
Original Assignee
플로어링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2627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60848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플로어링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플로어링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18010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41M5/506Intermediat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41M5/443Silicon-containing polymers, e.g. silicones, 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41M5/508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18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inorganic additives, e.g. pigments, c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54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8Intermediate layers; Layers between substrate and imag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42Multiple imag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5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rotat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around an axis which i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possibly combined with a sliding mov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Ink Jet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per (AREA)

Abstract

적층 또는 적층된 패널에서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 인쇄기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적어도 다음 단계들: - 종이 층 (1) 을 제공하는 단계; - 안료 (6) 및 바인더 (7) 를 포함하는 잉크젯 리시버 코팅 (3) 으로 상기 종이 층의 적어도 일 측면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 리시버 코팅은 적어도 2 개의 부분 단계들에서 적용되고, 각각 제 1 층은 제 1 조성물을 가지고, 그 후, 제 2 층은 제 2 조성물로 적용되고, 두 조성물들은 적어도 상기 바인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종이들뿐만 아니라 패널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종이는 인쇄된 패턴을 구비하고 패널들에서 데코로서 사용된다.

Description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으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장식 표면을 가지는 패널들, 또는 소위 장식 패널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패널들에서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으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획득가능한 종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발명은 적층 패널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되고, 여기에서 상기 패널들은 적어도 기판 재료 및 그 위에 제공된 인쇄된 데코를 갖는 상단 층을 포함한다. 상단 층은 열경화성 수지 및 하나 이상의 종이 층들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종이 층들은 인쇄된 패턴을 가지는 데코 종이를 포함한다. 발명의 패널들은 가구 패널들, 천장 패널들, 플로어링 패널들 또는 유사물에 관련될 수도 있고, 이런 패널들은 바람직하게 우드 기반 기판, 예로 MDF 또는 HDF 기판 (중 또는 고 밀도 파이버보드) 또는 우드 파티클보드로 구성되거나 본질적으로 제조된 기판 재료를 포함한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패널들의 데코 또는 패턴은 오프셋 또는 로토그라비어 (rotogravure) 인쇄에 의하여 종이에 인쇄된다. 획득된 종이는 소위 적층 패널에 장식 종이로서 테이크 업된다. DPL 프로세스 (직접 압력 적층) 에 따르면 이미 인쇄된 종이 또는 장식 종이는 멜라민 수지를 구비하여서 장식 층을 형성한다. 그 후에, 적어도 플레이트 형상의 기판, 상기 장식 층 및 가능하다면 상기 장식 층 상단의 보호 층을 포함하는 스택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 층 또는 오버레이가 또한 수지 및/또는 종이를 기반으로 한다. 상기 스택은 프레스되고 프레스 처리는 스택에 존재하는 수지의 경화뿐만 아니라 장식 종이, 기판 및 보호 층의 상호 연결 또는 부착을 유발한다. 프레스 작동의 결과로서, 높은 내마모성이 있을 수 있는 멜라민 표면을 가지는 장식 패널이 획득된다. 플레이트 형상의 기판의 바닥 측에 카운터 층 또는 밸런싱 층이 적용될 수 있고, 대안으로서 장식 층은 특히 가구의 적층 패널들의 경우에 바닥 측에도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운터 층 또는 밸런싱 층 또는 적층 패널의 바닥 측에서 그 밖의 다른 층은 장식 패널의 가능한 굽힘을 제한하거나 방지하고, 예를 들어 상기 장식 층에 대향한 스택의 측에 스택의 최하부 층으로서 수지 지지 종이 층을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프레스 처리로 적용된다. DPL 프로세스의 예들에 대해 EP 1 290 290 이 참조되고, 그로부터 동일한 프레스 처리 또는 프레스 작동 중, 즉 상기 멜라민 표면을 구조화된 프레스 요소, 예를 들어 구조화된 프레스 플레이트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멜라민 표면에 릴리프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아날로그 인쇄 프로세스에 의하여, 예로 로토그라비어 또는 오프셋 인쇄에 의해, 알맞은 가격으로 종이를 인쇄하면 대량 최소 주문 수량의 특정 장식 종이를 불가피하게 이끌고 달성가능한 가요성을 제한한다. 데코 또는 패턴의 변화는 약 24 시간의 인쇄 장비의 정지를 필요로 한다. 이 정지 시간은 인쇄 롤러들의 교환, 인쇄 장비의 세척 및 인쇄될 새로운 데코 또는 패턴의 색상들을 조절하기 위해 필요하다.
인쇄된 종이에 수지를 제공하면 종이의 팽창을 이끌 수 있고, 이것은 제어하기에 어렵다. 특히 EP 1 290 290 과 같이, 릴리프와 인쇄된 데코 사이 일치가 바람직한 경우에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장식 종이의 비용을 제한하고 팽창을 방지하려는 목표로, 예를 들어 DE 197 25 829 C1 로부터 방법이 공지되고, 여기에서 아날로그 인쇄 프로세스, 예를 들어 오프셋 프로세스는 멜라민 기반 층들과 같은 예비 층들의 매개로 하든지 아니든지 플레이트 형상의 기판에 직접 인쇄하는데 사용된다. 인쇄된 데코는 멜라민 기반 층들로 마무리되고 프레스 작동을 사용해 생성된 전체가 경화된다. 플레이트에 직접 인쇄하는 것은 열등한 인쇄 품질을 이끌 수도 있다. 플레이트에서 또는 그것의 표면에서 내부의 임의의 불균질성은 상부 표면으로 전송하는 높은 위험을 가져서, 완성된 장식 패널의 표면에서 시각적 결함을 형성한다. 더욱이, 인쇄 프로세스는 달성할 수 있는 가요성에 관하여 종이에 인쇄할 때와 동일한 문제점들을 나타낸다. 끝으로, 인쇄에 대한 임의의 품질 문제는 귀중한 보드 재료의 손실을 유발할 것이다.
아날로그 인쇄 기법들 대신에, 디지털 인쇄 기법들, 특히 잉크젯 인쇄 기법은, 가능하다면 예비 층들의 매개로 종이에서 또는 플레이트 형상의 기판에서 직접, 데코들 또는 패턴들의 생성을 위해 점점 더 인기를 얻게 된다. 이러한 디지털 기법들은 데코들의 인쇄시 가요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법들이 개시되는 EP 1 872 959, WO 2011/124503, EP 1 857 511, EP 2 431 190, EP 2 293 946 및 WO 2015/118451 이 참조된다.
EP 2 132 041 은 상기 종이 층에 열경화성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 제공된 종이 층에 상기 인쇄된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바람직하게, 다색 인쇄된 패턴들은 전술한 종이 층에서, 예컨대 우드 패턴을 나타내는, 데코의 실현을 위해 적용된다. 이러한 데코는 수지 제공된 종이 층의 대부분에 걸쳐, 심지어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이러한 기법은 이와 같이 예를 들어 EP 2 132 041 에 공지되어 있고, 여기에 디지털 인쇄기, 보다 특히 잉크젯 인쇄기가 적용된다. 하지만, DPL 프로세스와 같이, 적층 패널들을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인쇄된 종이를 신뢰성있게 추가로 프로세싱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는데, 왜냐하면 프레스 결함들이 수지 표면에서 비롯될 수도 있고 적층 표면을 통하여 또는 그것의 에지에서 밀링, 드릴링 또는 소잉 (sawing) 은 종종 상단 층에서 분할을 이끌기 때문이다. 더욱이 EP’041 의 잉크들 또는 염료들은 종이 층을 지나치게 적실 수 있고 인쇄된 종이의 추가 취급시 주름 효과들 또는 블리딩 (bleeding) 을 초래하여서, 불안정한 그리고/또는 느린 생성 프로세스를 이끌 수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EP’041 은 인쇄된 종이 층을 즉시 건조시키도록 제안한다.
EP 1 044 822, EP 1 749 676 및 EP 2 274 485 는 미가공 (raw) 데코 종이에서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는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사용을 개시한다. 이러한 잉크젯 리시버 코팅은 안료들 및 폴리비닐 알콜과 같은 폴리머를 포함한다.
WO 2015/118451 에서 인식한 대로 잉크젯 리시버 코팅으로 처리된 종이의 사용은 인쇄 장비의 오동작을 이끌 수도 있다. 분진이 잉크젯 리시버 코팅으로부터 방출되어 잉크젯 인쇄기의 중요한 부품들에 모든 종류의 악의적 효과들을 야기할 수도 있다. 분진은 예를 들어 노즐들 중 하나 이상을 막아 인쇄 결점들을 이끌 수도 있다. WO 2015/118451 은 분진의 방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인쇄 장비에서 종이의 너무 많은 굽힘을 피하도록 제안한다.
사적 연구 중, 발명자는 또한 심지어 종이 층들이 이미 인쇄된 경우에도 분진 방출 종이 층들의 후속 함침에 대한 문제점들에 직면하였다. 방출된 분진은 함침 채널에서 또는 그것의 바로 근방에 수지 욕, 롤러들, 카메라 및 다른 장비를 오염시킬 수도 있어서, 최종 제품 또는 사용된 장비의 결함들을 이끈다.
WO 2015/118451 은 또한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불균일한 적용이 단지 인쇄 후에만 볼 수 있게 되는 받아들일 수 없는 결함들을 이끌 수도 있다는 점을 인식한다. 실로 잉크젯 리시버 코팅이 불균등하게 적용될 때, 추후에 적용된 잉크들의 블리딩 양은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분배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코팅의 적용 방향으로 연장되는 더 낮은 인쇄 품질의 구역들이 관찰될 것이다. WO 2015/118451 은 또한 인쇄된 우드 패턴이 그것의 우드 맥들 (nerves) 과 적용 방향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완화하도록 제안하여서, 의도하지 않은 제조 변형이 나뭇결의 자연적 양상으로 오인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첫째로 장식 표면을 가지는 패널들 또는 이러한 패널들에서 사용하기 위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대안적 방법을 목표로 하고, 여러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한 가지 이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도록 시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것의 제 1 독립 양태에 따라, 적층 패널에서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 인쇄기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적어도 다음 단계들:
- 종이 층을 제공하는 단계;
- 안료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잉크젯 리시버 코팅으로 상기 종이 층의 적어도 일 측면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 리시버 코팅은 적어도 2 개의 부분 단계들에서 적용되고, 각각 제 1 층은 제 1 조성물로 적용되고, 그 후, 제 2 층은 제 2 조성물로 적용되고, 두 조성물들은 적어도 상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발명자는, 두 부분 단계들에서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적용이 안료의 더 양호한 통합 또는 결합을 이끈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분진이 종이로부터 방출되는 위험은, 동량의 안료가 단 하나의 코팅 단계에만 적용되는 상황과 비교해 감소된다. 발명자에 따르면 이런 놀라운 효과는 종이 층의 침투에 맞서 제 2 층의 바인더를 위한 일종의 배리어를 형성하는 제 1 층에 기인한 것이다. 제 2 층의 바인더는, 그렇지 않으면 종이의 표면에서 느슨하거나 불량하게 결합될 안료들을 결합하는데 더 효과적이다. 느슨하거나 불량하게 부착될 안료들의 감소는 추가 취급, 예컨대 인쇄, 수지로 함침시 종이로부터 분진 방출의 상당한 감소를 이끈다.
두 단계로 잉크젯 리시버 코팅을 적용하면 또한 잉크젯 리시버 코팅 전부의 보다 균등한 적용을 이끌 수도 있다. 제 1 조성물이 불균일한 방식으로 종이 층에 부분적으로 흡수될 수 있고, 그것 때문에 불균등한 제 1 층을 이끌 수 있는 경우에, 제 2 조성물은 적어도 어느 정도 가능한 요철을 고르게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그것이 종이 층들로부터 시작될 때 특히 흥미롭고 그것의 평균 공기 저항은 낮고, 예컨대 30 초 이하, 예컨대 25 초 이하의 걸리 (Gurley) 값을 갖는다. 이런 경우에 제 1 층에 포함된 바인더는 종이 매스에 대부분 흡수되는 경향이 있어서, 안료 함량을 대부분 표면에 미결합된 상태로 둔다. 바람직하게, 종이 층은 표준 인쇄 베이스 종이 또는 30 초 이하의 걸리 값으로 표현된 바와 같은 평균 공기 저항을 가지는 다른 미처리된 종이 층이다. 물론, 본 발명의 방법에서, 대안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것은 상기 잉크젯 수용 코팅의 적용 전 열경화성 수지로 처리된 종이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배제해서는 안 된다. 바람직하게, 후자의 경우에, 수지 제공된 종이 층은 100 초 이하의 걸리 값을 갖는 평균 공기 저항을 갖는다. 또한 이런 경우에 두 부분 단계들에서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적용은, 예컨대 분진 방출, 분출된 잉크들의 블리딩의 최소화,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균일한 적용에 관하여 상당한 장점들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잉크젯 리시버 코팅이 적용되는 종이 층은 50 ~ 100 g/㎡, 예컨대 60 ~ 80 g/㎡ 의 베이스 중량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잉크젯 리시버 코팅이 적용될 종이 층의 측면은 바람직하게 종이 제조 중 평활화되었다. 종이의 평활화는 종이의 코어로 침투하는 제 1 조성물의 바인더의 양을 줄여서, 제 1 조성물에 함유된 안료들은 입수가능한 바인더 물질에 의해 더 잘 결합될 수 있고 흡수 변화가 더 적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즉 잉크젯 리시버 코팅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해 획득된 종이는 60 ~ 120 초, 바람직하게 80 ~ 100 초의 걸리 값을 갖는다. 이러한 종이 층은 우수한 인쇄 품질을 유발하는데, 왜냐하면 피착된 잉크들이 종이로 덜 블리딩되는 경향이 있고, 다른 잉크젯 헤드들로 적용된 인쇄된 패턴들간 위치 일치 또는 소위 정합이 보다 쉽게 달성되고 유지되기 때문이다. 실로, 상대적으로 높은 걸리 값은 보다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종이를 유발하는데, 그것은 물 흡수 경향이 더 낮기 때문이다. 이러한 높은 걸리 값 종이의 열경화성 수지로 함침을 처리할 때 함침 채널의 속도 감소, 가압 함침 기법들의 사용 및 함침 수지의 점도 저하를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더 높은 안료 함량으로, 따라서, 적용된 잉크들의 비히클 (vehicle), 예컨대 수성 안료가 있는 잉크들인 경우에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더 높은 능력, 또는 더 높은 속도로 잉크젯 리시버 코팅을 적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처리된 인쇄가능한 표면으로부터 분진 방출을 유지하거나 심지어 감소시킨다. 비히클을 흡수하는 더 높은 능력 또는 속도는 더 높은 인쇄 선명도 (definition) 를 이끌 수 있다. 비히클은, 즉 실질적인 측방 블리딩 없이, 잉크젯 수용 코팅으로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안료들은 잉크가 적용된 스폿에 유지되고, 즉 안료들은 잉크의 비히클과 함께 측방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전히 이용가능한 임의의 블리딩은 제 1 층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고르게 하는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제 2 층의 적용으로 인해 보다 균등하게 나타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은 그것들이 다음 특성들:
1. - 상기 제 1 층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층은, 비록 상이한 안료 대 바인더 비일지라도, 안료 및 바인더를 포함한다는 특성;
2. -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에 대해 적용된 재료의 건조 중량이 상이하다는 특성;
3. - 상기 제 1 층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층은 안료 및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에 포함된 안료들의 평균 입도가 상기 제 2 층에 포함된 평균 입도와 상이하고, 바람직하게는 크다는 특성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첫 번째 언급된 특성에 관하여,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조성물은 상기 제 2 조성물의 안료 대 바인더 비보다 큰 안료 대 바인더 비를 갖는다. 이런 식으로 제 2 층의 바인더는 주로 제 1 층의 안료들을 결합하고 제 1 층에서 요철을 고르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조성물에서 안료 대 바인더 비는 2:1 보다 낮고, 바람직하게 0.2:1 내지 2:1 사이에 있다. 제 2 조성물에서 비가 1.5:1 미만일 때 극히 낮은 분진 방출이 목격되었다.
언급된 바람직한 제 2 조성물과 조합되든지 아니든지, 상기 제 1 조성물에서 안료 대 바인더 비는 1:1 내지 10:1 또는 2:1 내지 10:1 사이에서 선택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 3.5:1 이거나 3.5:1 보다 크고, 더 양호하게는 5.5:1 이거나 5.5:1 보다 크고,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7:1 보다 작다.
제 2 조성물에서 안료 대 바인더 비는 0.2:1 내지 2:1 사이에 있고 제 1 조성물에서 안료 대 바인더 비는 3.5:1 과 7:1 을 포함하여 그 사이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조성물의 양호한 조합에 도달된다.
두 번째 언급된 특성에 관하여, 물론 두 층들에 대해 동일한 건조 중량이 적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 상이한 안료 대 바인더 비가 제 1 및 제 2 조성물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 두 층들에 대해 재료의 5 내지 20 g/㎡ 사이, 더 양호하게는 8 내지 18 g/㎡ 사이의 건조 중량이 종이 층에 적용된다.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에 적용된 재료의 건조 중량이 상이한 경우에, 바람직하게 제 1 층은 재료의 최고 건조 중량, 예컨대 제 2 층보다 적어도 20% 많이 포함한다.
세 번째 언급된 특성에 관하여, 더 큰 안료 입자들이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조성물에 함유된다. 제 1 층에서 큰 입자들의 사용은 잉크들 비히클의 우수한 흡수를 제공하고, 제 2 층에서 작은 입자들의 사용은 고르게 하는 효과 및 종이 층의 표면에서 분진 방출의 양호한 감소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 1 조성물에서 안료 입자들은 1 내지 2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평균 입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조성물에서 안료 입자들은 100 나노미터 내지 1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평균 입도를 갖는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안료에 대해 적어도 또는 주로 실리카 입자들이 사용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바인더에 대해 적어도 또는 주로 폴리비닐 알콜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실리카 입자들은 실란 처리된다. 안료들의 실란 처리는 획득된 잉크젯 리시버 코팅 및 이렇게 처리된 종이의 분진 방출 특성들을 더욱 향상시킨다. 실란 처리는 아미노-유기-실란, 하이드록시실란, 다이포달 (dipodal) 실란 및/또는 다른 실란과 같은 커플링제를 이용한 처리에 관련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획득된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에이징 (aging) 시 황변 위험이 낮도록 커플링제가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커플링제는 제 1 및/또는 제 2 조성물의 총 습윤 중량의 0.1 ~ 10% 를 형성한다.
변형예들에 따르면, 잉크젯 수용 층은, 바인더로서,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부틸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소듐 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수용성 에틸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술페이트; 비닐알콜 공중합체들;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스티렌 공중합체들;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폴리머들;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메틸 에테르/말레산 공중합체; 폴리(2-아크릴아미도-2-메틸 프로판 술폰산); 폴리(디에틸렌 트리아민-코-아디프산); 폴리비닐 피리딘; 폴리비닐 이미다졸; 개질된 폴리에틸렌 이민 에피클로로히드린; 에톡실화 폴리에틸렌 이민; 에테르 본드 포함 폴리머들, 예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PEO),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PPO),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및 폴리비닐 에테르 (PVE); 폴리우레탄; 멜라민 수지들; 젤라틴; 카라지난; 덱스트란; 아라비아 고무; 카세인; 펙틴; 알부민; 키틴; 키토산; 녹말; 콜라겐 유도체들; 콜로디온과 한천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폴리머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젯 수용 층에 대한 바람직한 바인더들은 폴리비닐 알콜 (PVA) 을 포함하지만, 변형예들에 따르면 비닐알콜 공중합체 또는 개질된 폴리비닐 알콜이 적용될 수도 있다. 개질된 폴리비닐 알콜은 양이온 유형의 폴리비닐 알콜, 예로 Kuraray 의 양이온성 폴리비닐 알콜 등급들, 예로 Nippon Goshei 의 POVAL C506, POVAL C118 일 수도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조성물에 포함된 바인더는 또한 이러한 바인더에 대해 위에 열거된 가능예들의 혼합물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VA) 및/또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PVAc) 와 폴리비닐 알콜의 혼합물이 바인더로서 사용되고, 바람직하게 바인더의 메인 구성성분은 폴리비닐 알콜이고, 예컨대 적어도 5 중량% 의 EVA 및/또는 PVAc 가 사용된다. 발명자는, 바인더가 본질적으로 폴리비닐 알콜인 종이들과 비교해 이와 같이 처리된 종이들의 증가된 가요성을 보여주었다. 예컨대 적어도 5 중량% 의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VAE) 및/또는 비닐에스테르 에틸렌을 첨가함에 따라 유사한 효과들을 달성할 수도 있다. 감소된 분진 방출에 대한 증가된 가요성은 예컨대 인쇄 장비에서 이와 같이 처리된 종이의 추가 취급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제 1 및 제 2 조성물에서 바인더는 동일하거나, 적어도 바인더의 메인 구성성분은 동일하다. 이전에 언급한 대로, 메인 구성성분은 바람직하게 폴리비닐 알콜이다.
제 1 및/또는 제 2 조성물에서 안료로서, 임의의 무기 안료 및 가장 바람직하게 다공성 무기 안료가 사실상 사용될 수도 있다. 둘 이상의 안료들의 혼합물들을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된 안료는 바람직하게 무기 안료이고, 이것은 중성,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안료 유형들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유용한 안료들은 예컨대 실리카, 활석, 점토, 하이드로탈사이트, 카올린, 규조토,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염기성 탄산 마그네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알루미늄 트리하이드록시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알루미나), 티타늄 옥사이드, 아연 옥사이드, 바륨 술페이트, 칼슘 술페이트, 아연 술피드, 새틴 화이트, 알루미나 하이드레이트, 예로 베마이트, 지르코늄 옥사이드 또는 혼합된 옥사이드를 포함한다. 무기 안료는 바람직하게 알루미나 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 옥사이드, 알루미늄 하이드록시드,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실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무기 안료들은 실리카 입자들, 콜로이드성 실리카, 알루미나 입자들 및 의사 베마이트인데, 그것들이 더 양호한 다공성 구조들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입자들은 있는 그대로 직접 사용된 일차 입자들일 수도 있고, 또는 그것들은 이차 입자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알루미나 하이드레이트의 바람직한 유형은 결정질 베마이트 또는 γ-AlO(OH) 이다. 베마이트의 유용한 유형들은 Sasol 의 DISPERAL HP14, DISPERAL 40, DISPAL 23N4-20, DISPAL 14N-25 및 DISPERAL AL25; 및 Martinswerk GmbH 의 MARTOXIN VPP2000-2 및 GL-3 을 포함한다. 유용한 양이온성 알루미늄 옥사이드 (알루미나) 유형들은 Saint-Gobain Ceramics & Plastics, Inc 로부터 입수가능한 NORTON E700 과 같은 α-Al2O3 유형들, 및 Degussa 의 ALUMINUM OXID C 와 같은 γ-Al2O3 유형들을 포함한다. 다른 유용한 무기 안료들은 Sasol 로부터 입수가능한 바이어라이트와 같은 알루미늄 트리하이드록시드, 또는 PLURAL BT 와 같은 α-Al(OH)3, 및 Martinswerk GmbH 의 MARTINAL 등급들 및 MARTIFIN 등급들, JM Huber 사의 MICRAL 등급들과 같은 깁사이트, 또는 γ-Al(OH)3; Showa Denka K.K 의 HIGILITE 등급들을 포함한다. 이전에 언급한 대로, 무기 안료의 바람직한 유형은 음이온 형태로 또는 양이온 개질 후 이와 같이 사용될 수 있는 실리카이다. 실리카는 다른 유형들, 예로 결정질 실리카, 비정질 실리카, 침전된 실리카, 흄드 (fumed) 실리카, 실리카 겔, 구형 및 비구형 실리카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실리카는 Al, Zr, Ti 군으로부터 소량의 금속 옥사이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그것들의 제조 방법에 따라, 실리카 입자들은 2 가지 유형들, 습식 프로세스 입자들 및 건식 프로세스 (증기 상-프로세스 또는 흄드) 입자들로 분류된다. 습식 프로세스에서, 활성 실리카는 실리케이트의 산 분해를 통하여 형성되고, 이것은 적절한 정도로 중합되고 함수 (hydrous) 실리카를 획득하도록 응집된다. 증기 상 프로세스는 2 가지 유형들을 포함하고; 하나는 무수 실리카를 획득하도록 실리콘 할라이드의 고온 증기 상 가수분해를 포함하고 (불꽃 가수분해), 다른 하나는 또한 무수 실리카를 획득하도록 전기 노에서 실리카 샌드와 코크스를 열 환원 증발시키고 이어서 그것을 공기 중에서 산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아크 프로세스). "흄드 실리카" 는 증기 상 프로세스에서 획득된 무수 실리카 입자들을 나타내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잉크젯 수용 층에 바람직하게 사용된 실리카 입자들에 대해, 흄드 실리카 입자들이 특히 바람직하다. 흄드 실리카는 표면 실라놀 기의 밀도 및 내부에 기공들의 존재 또는 부재의 관점에서 함수 실리카와 상이하고, 2 가지 다른 유형들의 실리카는 다른 특성들을 갖는다. 흄드 실리카는 높은 다공성의 3 차원 구조를 형성하는데 적합하다. 흄드 실리카는 특히 큰 비표면적을 가지므로, 그것의 잉크 흡수 및 보유가 높다.
대안적으로, 유기 안료들은, 바람직하게 폴리스티렌,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축합 폴리머,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축합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목록에서 선택된 선택적 잉크젯 수용 층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무기 및 유기 안료들의 혼합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안료는 가장 바람직하게 무기 안료이다.
바람직하게 잉크젯 수용 층에 포함된 안료들은 100 ㎚ ~ 20 ㎛ 의 평균 입도를 가지고, 여기에서 1 ~ 12 ㎛, 더 양호하게는 2 ~ 7 ㎛ 가 이상적이다. 작은 입도 안료들은 종이에 쉽게 결합될 수 있고, 큰 입도 안료들은 높은 물 흡수성을 보여서, 양호한 인쇄 품질을 이끈다. 최적의 평균 입도는 1 내지 12㎛ 사이, 바람직하게 2 ~ 7 ㎛ 의 범위에 있다
바람직하게 잉크 비히클의 양호한 흡수성을 얻기 위해서, 잉크젯 수용 층에 포함된 안료들은 20 ~ 420 ㎡/g, 바람직하게 300 내지 420 ㎡/g 사이의 평균 표면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잉크젯 수용 층에 포함된 안료들은 0.5 ~ 2 ㎖/g, 바람직하게 1 내지 2 ㎖/g 사이의 평균 기공 부피를 갖는다.
2 내지 7 ㎛ 사이의 평균 입도, 300 ~ 420 ㎡/g 의 평균 표면적 및 1 내지 2 ㎖/g 사이의 평균 기공 부피를 갖는 안료들은 흡수 능력, 인쇄 품질 및 결합, 즉 처리된 종이로부터 분진 방출 결여의 이상적인 조합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조성물 또는 상기 제 2 조성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조성물 양자에서 잉크젯 리시버 코팅은 알데히드,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드 및 보레이트로 구성된 목록에서 바람직하게 선택된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가교제는 잉크젯 리시버 코팅에 안료들을 추가로 결합하고 이렇게 인쇄된 종이로부터 분진 방출을 추가로 제한한다. 조성물들 중 어느 하나에서 가교제의 가용성은 관련 조성물의 포트 수명을 크게 추가로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 제 1 및/또는 제 2 조성물은 제 1 및/또는 제 2 조성물의 총 습윤 중량의 0.1 ~ 10% 를 구성하는 양으로 가교제들을 포함한다.
제 1 및/또는 제 2 조성물은 각각 제 1 및 제 2 조성물의 총 습윤 중량의 0.1 ~ 2% 를 구성하는 총량으로 가교제들 이외의 첨가제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은 소포제, 균염제, 알킬 페놀 에톡실레이트와 같은 습윤제, 하이드록실 에틸 셀룰로오스 또는 잔탄 고무와 같은 디크너 (thickeners), NaOH, KOH, NH3, HNO3 또는 H2SO 와 같은 pH 조정제들, 폴리데드막 (polydadmac) 과 같은 양이온성 첨가제들, 방부제들 및/또는 아크릴레이트,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나트륨 알루미네이트와 같은 분산제들 중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균염제에 대해 APEO (알킬 페놀 에톡실레이트) 가 사용될 수 있다.
방부제에 대해 BIT 또는 MIT (벤즈이소티아졸리논 또는 메틸이소티아졸리논) 가 사용될 수 있다.
소포제에 대해 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방법으로 획득된 종이는, 바람직하게 잉크젯 인쇄에 의하여 인쇄된 패턴을 제공한 후, 멜라민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구비한다. 이런 이유로, 바람직하게 종이 층은 그것의 일 측면에, 즉 인쇄되도록 제공된 측면에 잉크젯 리시버 코팅만 구비한다. 다른 대향한 측면은 바람직하게 미처리되어서, 이런 대향한 측면은 그것이 시작되는 종이 층의 원 다공성을 보여준다. 그 후, 수지는 실질적으로 바닥 측으로부터 종이 코어로 제공될 수도 있다. 잉크젯 수용 코팅을 가지는 종이의 충분한 함침을 허용하도록, 함침 채널의 속도를 늦출 수 있고, 수지는 점성이 더 낮게 될 수도 있고, 함침이 가압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수지가 예컨대 45 내지 85 ℃ 사이로 가열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비록 본 발명의 방법으로 획득된 종이는 잉크젯 인쇄기로 인쇄가능할지라도, 종이가 결국 로토그라비어 또는 오프셋 인쇄와 같은 다른 기법들을 사용해 인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감소된 분진 방출 및 잠재적으로 더 양호한 인쇄 품질이 관심사이다. 이것은 특히 수성 잉크들이 사용되는 경우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조성물은 상기 종이 층에 피착되는 액체 물질이고, 예컨대 고온 공기 오븐에서 또는 적외선 또는 근 적외선에 의하여 또는 마이크로파 건조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강제로 건조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이러한 건조 작동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상기 부분 단계들 사이에서 발생한다. 바람직하게 액체 물질은 적어도 상기 바인더, 가능하다면 상기 안료들의 물 기반 현탁액이다. 바람직하게 제 1 조성물은 액체 물질의 8 ~ 25 중량% 의 건조물 함량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제 2 조성물은 액체 물질의 4 ~ 20 중량% 의 건조물 함량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중량 퍼센트로 표현된 바와 같은 건조물 함량은 제 2 조성물에서보다 제 1 조성물에서 더 높다.
제 1 및/또는 제 2 조성물의 상기 액체 물질의 피착은 임의의 방식으로, 가능하다면 인쇄, 예컨대 잉크젯 인쇄에 의하여, 그러나 바람직하게 코팅 기법들, 예로 롤러 코팅, 분무, 미터링 롤들, 비드 코팅, 산란, 슬롯 다이 코팅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다. 후자의 기법들로 바람직하게 종이 층의 표면의 적어도 80% 를 덮는 코팅이 획득된다. 바람직하게 액체 물질의 초과량이 먼저 종이 층에 적용되고, 그 후 원하는 중량을 얻을 때까지 초과량 재료를 다시 빼고, 예컨대 압착된다. 인라인 측정 시스템들은 조종하여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중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법은, 인쇄된 패턴에 국부적 결함들을 유발할 수 있는 종이의 비코팅 영역들을 얻는 위험을 낮춘다. 액체 물질의 적용을 위한 바람직한 장비는 리버스 미터링 롤러들을 포함하는 코팅 기기이다. 이러한 롤러들은 평활한 코팅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조성물에 대한 액체 물질의 피착은 함침 채널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인쇄 작동 직전 인쇄 장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마지막 경우는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제한된 보관 수명에 대한 임의의 가능한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바람직하게 종이가 여전히 "엔드리스" 형상으로 되어 있고, 즉 절단 없이 롤로부터 가져오는 동안 액체 물질의 피착이 수행된다. 이러한 기법들은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보다 균일한 적용을 허용한다. 코팅이 인쇄 장비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인쇄 장비는 바람직하게 인쇄 헤드들 상류의 코팅 기기, 예를 들어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각각의 서브층에 대해 액체 물질을 인쇄하기에 적합한 롤러 코터 및/또는 부가적 인쇄 헤드들을 포함하는 롤-투-롤 또는 롤-투-시트 인쇄기이다. 이러한 부가적 인쇄 헤드들, 예를 들어 부가적 열의 인쇄 헤드들은 패턴의 실제 인쇄에 사용된 것들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노즐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런 노즐들에 대해 1 ~ 100, 또는 심지어 1 ~ 25 도트/인치의 해상도가 충분할 수도 있다. 더 큰 직경은 더 점성이 강한 물질들의 분출을 허용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층은 롤러들을 사용해 종이에 적용되고, 제 2 층은 이러한 부가적 인쇄 헤드들을 사용해 적용된다. 상기 제 2 조성물에서 안료 대 바인더 비가 낮고, 즉 2:1 미만일 때 이러한 실시형태가 특히 관심을 받는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 2 층을 위한 액체 물질은 상기 부가적 인쇄 헤드들로 적용하기에 더 용이할 것이다.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조성물을 위한 상기 액체 물질은 바람직하게 20 ℃ 에서 10 ~ 75 초 Din 컵 4 의 점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은 종이 층의 표면에 액체 물질의 간단한 적용을 허용한다. 실험들에서, 약 12% 의 고체 함량 및 약 24 초의 점도는, 예컨대 롤러 코터에 의하여 적용될 때 이전에 미처리된 종이 층에 충분히 균일한 코팅을 발생시켰다.
변형예, 및 독립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종이 층 대신에, 열가소성 포일, 예로 폴리염화비닐 (PVC) 포일, 폴리프로필렌 (PP) 포일, 폴리에틸렌 (PE) 포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포일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 포일은 2 개의 부분 코팅 단계들을 사용해 잉크젯 리시버 코팅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것의 제 2 독립 양태에 따르면, 적층 패널에서 데코 포일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 인쇄기로 인쇄가능한 열가소성 포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적어도 다음 단계들:
- 열가소성 포일을 제공하는 단계;
- 안료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잉크젯 리시버 코팅으로 상기 열가소성 포일의 적어도 일 측면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 리시버 코팅은 적어도 2 개의 부분 단계들에서 적용되고, 각각 제 1 층은 제 1 조성물을 가지고, 그 후, 제 2 층은 제 2 조성물로 적용되고, 두 조성물들은 적어도 상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종이 층들의 처리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한 제 1 및 제 2 조성물들은 본 발명의 상기 제 2 양태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포일들에서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바인더는 폴리우레탄 기반, 아크릴레이트 기반 또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기반형이다. 또한 층의 코어로 더 적은 흡수가 기대되기 때문에 제 1 조성물에서 바인더 함량은 종이 층들의 처리와 비교해 다소 감소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제 1 조성물에서 안료 대 바인더 비는 이러한 경우에 1:1 내지 6:1 사이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각각 제 1, 제 2 양태의 방법들을 사용해 획득되는 종이 층들 및 열가소성 포일들에 관한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상기 제 1 양태에서와 동일한 목표로, 제 3 독립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잉크젯 인쇄를 위한 종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종이는 적어도 일 측면에 적어도 안료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잉크젯 리시버 코팅을 구비하고, 유리 (free) 또는 비결합 안료의 부분은 상기 잉크젯 리시버 코팅 중 안료의 총량의 10 중량 퍼센트 미만이고 그리고/또는 상기 잉크젯 리시버 코팅은 그것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안료가 없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종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방법을 사용해 획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종이 층은 제 1 양태의 방법을 사용해 획득된 종이 층들에 고유한 특징들과 동일한 특징들을 또한 보여줄 수도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상기 제 1 양태에서와 동일한 목표로, 제 4 독립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잉크젯 인쇄를 위한 종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종이는 적어도 일 측면에 적어도 안료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잉크젯 리시버 코팅을 구비하고, 상기 잉크젯 리시버 코팅은 그것의 표면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바인더에 의해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종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방법을 사용해 획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종이 층은 제 1 양태의 방법을 사용해 획득된 종이 층들에 고유한 특징들과 동일한 특징들을 또한 보여줄 수도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또한 발명의 제 3 및/또는 제 4 양태의 특징들을 보여주는 열가소성 포일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것의 제 5 독립 양태에 따르면, 적층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패널은 적어도 기판 재료 및 그 위에 제공된 인쇄된 데코를 갖는 상단 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층은 실질적으로 열경화성 수지 및 하나 이상의 종이 층들로 형성되고, 상기 종이 층들은 제 3 및/또는 제 4 독립 양태에 따르고 그리고/또는 제 1 독립 양태 및/또는 이 양태들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획득된 잉크젯 인쇄를 위한 종이를 기반으로 한 데코 종이를 포함한다. 그것의 제 6 독립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적층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패널은 적어도 기판 재료 및 그 위에 제공된 인쇄된 데코를 갖는 상단 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층은 실질적으로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포일들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열가소성 포일들은 제 2 독립 양태 및/또는 상기 제 2 양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획득된 잉크젯 인쇄를 위한 열가소성 포일을 기반으로 한 데코 포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5 양태에서, 상기 잉크젯 인쇄를 위한 종이는 잉크젯 인쇄기에 의해 인쇄되고, 상당한 양의 (an amount of)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 함침되고 열간 프레스 처리에 의해 상기 기판 재료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6 양태에서, 잉크젯 인쇄를 위한 열가소성 포일은 잉크젯 인쇄기에 의해 인쇄되고 열간 프레스 처리에 의하여 상기 기판 재료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잉크젯 인쇄기는 물 기반 잉크들을 기반으로 작동하고, 보다 특히, 단일 패스 유형의 잉크젯 인쇄기 및/또는 단일 패스 모드로 작동된 잉크젯 인쇄기가 바람직하다. 단일 패스 인쇄 작동들은 본 발명의 처리된 종이 또는 처리된 열가소성 포일들로 귀중한 시너지 효과들을 보인다. 처리된 층들로부터 감소된 분진 방출은 잉크젯 인쇄기에서 노즐이 막히는 위험을 최소화한다. 단일 패스 인쇄 작동에서 막힌 노즐들은 특히 번거로운데 왜냐하면 그것들은 인쇄된 패턴에서 결함들, 즉 소위 미싱 (missing) 노즐들을 유발하기 때문인데, 이 결함들은 멀티 패스 작동 또는 플로팅 인쇄기들에서 흔히 있는 것처럼 후속 인쇄 작동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가려지거나 마스킹될 수 없다. 단일 패스 작동 장비에서 미싱 노즐들은, 인쇄기에 리던던시를 생성함으로써, 예컨대 2 개 이상의 단일 패스 작동 인쇄기들을 직렬로 놓음으로써 여전히 마스킹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극히 많은 비용이 든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 패스 인쇄를 사용한 작동에서 극히 가치가 있고, 능숙하고 인쇄 디폴트 경향이 적은 제조 방법을 이끈다.
본 발명의 이전의 양태들에서와 동일한 목표로, 본 발명은, 그것의 제 7 양태에 따르면, 임의의 이전의 양태들에 따른 종이 및/또는 열가소성 포일들을 제조하기 위한 또는 임의의 이전의 양태들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비는 분리된 부분 단계들로 상기 잉크젯 리시버 코팅을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2 개의 분리된 코터들을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비는 잉크젯 인쇄기, 바람직하게 단일 패스 유형의 잉크젯 인쇄기, 또는 단일 패스 모드로 작동을 허용하는 잉크젯 인쇄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독립 양태에서 분명하게 되는 것처럼, 본 발명의 잉크젯 수용 층을 갖는 종이 층은 장식 표면을 갖는 패널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서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패널들은 적어도 기판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상단 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층은 인쇄된 패턴을 갖는 종이 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된 패턴의 상기 부분을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잉크젯 인쇄기에 의하여 상기 종이 층에 피착된 안료 함유 잉크들이 사용되고, 상기 종이 층에 피착된 상기 안료 함유 잉크들의 총 부피의 건조 중량은 9 g/㎡ 이하이고, 바람직하게 3 ~ 4 g/㎡ 이하이고, 상기 안료 함유 잉크에 대해 물 기반 또는 소위 수성 잉크가 사용되는 특징을 갖는다. 적용된 잉크의 건조 중량의 제한은 프레스 결함들 및 상단 층에서 분할 위험을 낮추는 잉크 층을 유발한다. 실로, 프레스 작동 중 잉크 층과 열경화성 수지 사이 가능한 간섭이 제한된다. 잉크 하중은 9 g/㎡ 의 최대치로 제한되기 때문에, 잉크로 인한 종이의 주름 또는 팽창은 받아들일 수 있는 레벨로 될 수 있는데, 이것은 안정적인 추가 프로세싱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료 함유 잉크에 대해 유기 안료들이 사용된다. 유기 안료들은 햇빛이나 다른 UV 방사원들에 노출될 때 더 안정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료 함유 잉크의 상기 안료들은 250 나노미터 미만의 평균 입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피착된 안료가 있는 잉크의 상기 건조 중량은 5 g/㎡ 이하이고, 예를 들어 4 또는 3 g/㎡ 이하이다. 바람직하게 인쇄된 패턴은 전부 또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이러한 안료가 있는 잉크로 구성되고, 인쇄된 패턴은 상기 종이 층의 표면의 대부분, 바람직하게 80 퍼센트 이상을 덮는다. 바람직하게 피착된 안료 함유 잉크의 상기 총 부피는 15 밀리리터 미만, 또는 더 양호하게는 10 밀리리터 이하, 예컨대 5 밀리리터 이하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종이 층은 불투명하고 그리고/또는 미백제로서 티타늄 옥사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종이 층에 적용된 인쇄된 패턴은 상기 종이 층의 표면의 대부분, 바람직하게 80 퍼센트 이상을 덮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종이 층은, 인쇄 전 또는 후, 그리고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적용 전 또는 후, 종이의 중량과 비교해 40 ~ 250% 건조 중량의 수지와 동일한 상당한 양의 열경화성 수지를 구비한다. 실험들은, 이런 범위의 적용된 수지가 종이의 충분한 함침을 제공하고, 분할을 크게 피하고, 종이의 치수를 고도로 안정화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
바람직하게, 종이 층은, 인쇄 전 또는 후, 그리고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적용 전 또는 후, 적어도 종이 코어가 수지에 만족하는 양의 열경화성 수지를 구비한다. 종이 중량에 적어도 1.5 또는 적어도 2 배에 대응하는 양의 수지가 제공될 때 이러한 만족에 도달할 수 있다. 종이 층에 제공된 수지는 종이의 코어에서 단지 반드시 이용가능하지 않지만, 종이의 두 평평한 측면들에서 표면 층들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은 분명해야 한다. 그러면, 잉크젯 리시버 코팅은 열경화성 수지의 이러한 표면 층을 매개로 종이의 표면에 존재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종이 층이 먼저 함침되거나 만족되고, 그 후에, 적어도 인쇄될 측면에서, 수지가 부분적으로 제거되고 가능하다면 상기 잉크젯 리시버 코팅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종이에 제공된 수지는 인쇄 중 15% 미만, 더 양호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상대 습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종이 층에 열경화성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종이 층에 물과 수지의 혼합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물의 적용은 상기 혼합물의 욕에서 종이 층의 침지 및/또는 분무, 분출 또는 그렇지 않으면 상기 종이에 상기 혼합물을 코팅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종이 층에 부가된 수지의 양을 설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압착 롤러들 및/또는 독터 블레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수지는 도우징 방식으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멜라민 기반 수지, 보다 특히 1.4:2 의 포름알데히드 대 멜라민 비를 갖는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이다. 이러한 멜라민 기반 수지는 프레스 작동에서 열에 노출되는 동안 중축합되는 수지이다. 중축합 반응은 부산물로서 물을 생성한다. 특히, 본 발명이 관심을 갖는 것은 이런 종류들의 열경화성 수지들, 즉 부산물로서 물을 생성하는 것들을 이용하는 것이다. 프레스 전 열경화성 수지에서 임의의 물 잔류물 뿐만 아니라 생성된 물은 트랩되기 전 경화 수지 층을 크게 이탈하여서 경화 층에서 투명도 손실을 이끈다. 이용가능한 잉크 층은 표면으로 증기 기포들의 확산을 방해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방해를 제한하기 위한 조치를 제공한다. 이런 점에서 잉크젯 리시버 코팅은 이러한 새어나가는 증기를 포착하기 위한 부가적 버퍼를 제공할 수도 있으므로 유리하다. 예컨대 실리카 및/또는 폴리비닐 알콜을 사용할 때의 경우인, 다공성 및/또는 친수성인 잉크젯 리시버 코팅을 사용할 때, 프레스에서 종이 층의 열경화성 수지를 큐어링할 때 비롯되는 수증기 중 일부는 이 코팅에 의해 받아들여질 수 있어서, 프로세스는 수증기 기포들에 로킹되는 것과 같은 프레스 결함이 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유사한 중축합 반응을 이끄는 이러한 열경화성 수지들의 다른 예들은 우레움-포름알데히드 기반 수지들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기반 수지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종이 층은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적용 후와 인쇄 후 단지 수지로 함침된다. 이런 식으로, 잉크젯 리시버 코팅은 함침 목적으로 적용된 물-수지 혼합물에 함유된 물에 의해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에서 분명하게 되는 것처럼, 본 발명의 제 5 양태의 방법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획득된 수지 제공된 데코 종이의 수지를 큐어링하기 위해서, 인쇄되고 수지 제공된 종이 층을 열간 프레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방법은 전술한 대로 DPL 프로세스의 일부를 형성하고, 본 발명의 인쇄된 수지 제공된 종이 층은 장식 층으로서 프레스되도록 스택으로 테이크 업된다. 물론, 본 발명의 방법은, 장식 층이 적어도 복수의 수지 함침된 코어 종이 층들, 예컨대 소위 크라프트 (Kraft) 종이로 열간 프레스되어서, 장식 층 아래에 기판을 형성하는 CPL (콤팩트 적층) 또는 HPL (고압 적층) 프로세스의 일부를 형성하고, 획득된 프레스되고 큐어링된 적층 층, 또는 적층 보드가 HPL 인 경우에 파티클 보드 또는 MDF 또는 HDF 보드와 같은 추가 기판에 접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추가 수지 층은, 바람직하게 데코 층이 느슨하게 또는 이미 연결되거나 부착되어 기판에 놓여있는 동안 예컨대 오버레이, 즉 수지 제공된 캐리어 층, 또는 액체 코팅을 통하여 인쇄 후 인쇄된 패턴 위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종이 층은 착색된, 안료가 있는 그리고/또는 염색된 베이스 종이일 수도 있다. 착색된 그리고/또는 염색된 베이스 종이의 사용은 특정 패턴 또는 색상을 달성하기 위해 피착된 잉크의 건조 중량을 추가로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종이 시트가 형성되기 전 염료 또는 안료가 펄프에 부가된다. 대안예에 따르면, 인쇄될 상기 종이 층 상의 잉크 수용 층은 유색 안료들로 착색 또는 채색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개시에 따르면, 잉크젯 리시버 코팅에 함유된 안료들은 바람직하게 무색이거나 백색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종이 층을 인쇄하기 위해, 50 피코리터 미만의 부피를 갖는 잉크 액적들을 분출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디지털 잉크젯 인쇄기가 적용된다. 발명자들은, 15 피코리터 이하, 예를 들어 10 피코리터의 부피를 가지는 액적들을 이용한 작업이 피착된 잉크들의 건조 중량의 제한에 관해 상당한 장점들을 가져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동일한 인쇄에 여러 부피들의 잉크 액적들로, 또는 소위 하프톤 또는 그레이 스케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디지털 잉크젯 인쇄기가 적용된다. 하프톤 또는 그레이 스케일 인쇄 가능성은 우수한 인쇄 선명도를 유지하면서 피착된 잉크의 건조 중량을 추가로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200 dpi, 또는 더욱 더 적어도 300 dpi (인치당 도트) 의 선명도를 달성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디지털 잉크젯 인쇄기가 적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 잉크젯 인쇄기는 단일 패스 유형을 가지고, 종이 층은 인쇄기 또는 인쇄 헤드들에 대한 종이 층의 단일 연속 상대 운동으로 상기 인쇄된 패턴을 구비한다. 소위 멀티 패스 또는 플로터 유형의 인쇄기들과 같은 다른 디지털 잉크젯 인쇄기들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단일 패스 유형의 인쇄기들 뿐만 아니라 멀티 패스 유형의 인쇄기들에 대해, 인쇄 헤드들은 바람직하게 인쇄될 종이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이것은 플로터 배열체의 경우는 아니고, 인쇄 헤드들은 종이 층의 폭 방향으로 스캐닝 운동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쇄기들이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멀티 패스 유형의 인쇄기들은 후속 패스의 인쇄에 의해 임의의 고장난 (failing) 노즐이 가려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 유형의 인쇄기들에서 노즐들은 패스들 사이에서 약간 시프트될 수 있어서, 종이의 특정 로케이션에서 도트들은 여러 노즐들에 의해 인쇄된다. 멀티 패스 장비로, 또는 심지어 플로터로 필요시 후속 패스들 사이에 자동 유지보수 또는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고장난 노즐들에 대한 문제점은 특히 물 기반 또는 소위 수성 안료 함유 잉크들이 사용될 때 관련된다. 실로, 물은 건조되었으므로 노즐들은 잉크 안료에 의해 막힐 수 있다. 고장난 노즐들의 위험은 예컨대 UV 큐어링가능한 잉크들로 낮아진다. 또한, 잉크젯 리시버 코팅이 사용될 때, 보통, 고장난 노즐들의 위험이 상승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이중 층 적용은 감소된 분진 방출로 인해 자율 제조 시간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종이 층은, 인쇄하는 동안, 여전히 가요성이 있고 종이 층은 단지 인쇄 후 플레이트 형상의 기판에 부착되거나 놓이는 것이 분명하다. 변형예에 따르면, 종이 층은 인쇄하는 동안 플레이트 형상의 기판에 이미 부착되어 있거나 느슨하게 놓여있다. 기판과 가능한 부착은 우레아 기반, 페놀 기반, 멜라민 기반, 폴리우레탄 기반 글루들 (glues) 및 유사한 접착제들에 의하여 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은 가열 프레스 처리 여부에 관계 없이 프레스 처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 5 양태의 방법은 인쇄된 종이 층에 대향한 기판의 표면에서 카운터 층 또는 밸런싱 층을 적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카운터 층 또는 밸런싱 층은 바람직하게 종이 층 및 열경화성 수지, 바람직하게 상단 층과 동일한 수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플레이트 형상의 기판, 가능한 카운터 층 및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층의 상호 부착은 하나의 동일한 프레스 처리로 획득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의 제 5 양태의 단계들은 DPL 프로세스에 받아들여진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실시예에 따르면, 60 내지 90 g/㎡ 사이 중량을 가지는 로토그라비어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표준 인쇄 종이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잉크젯 리시버 코팅을 구비하고, 수성 안료가 있는 잉크들과 디지털 잉크젯 인쇄기를 사용해 우드 패턴으로 인쇄된다. 추후에, 인쇄된 종이 층은 표준 함침 채널에 의하여, 즉 롤러, 침지, 분출 및/또는 분무 장비에 의하여 멜라민 수지를 구비한다. 그 후, 10% 미만, 바람직하게 약 7% 의 잔류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수지 제공된 종이 층이 건조된다. 스택은 수지 제공된 카운터 층, 플레이트 형상의 기판, 인쇄된 수지 제공된 종이 층 및 소위 오버레이를 형성하는 수지 제공된 종이 층으로 형성된다. 스택은 그 후 약 180 ~ 210 ℃ 의 온도 및 20 bar 초과, 예를 들어 38 bar 의 압력에서 30 초 미만 동안 프레스된다. 프레스하는 동안 스택의 표면은 구조화된 프레스 요소, 예로 구조화된 프레스 플레이트와 접촉하고, 릴리프는 획득된 적층 패널의 상단 층에 형성된다. 가능하다면 획득된 릴리프는 수지 제공된 종이 층의 인쇄된 패턴과 정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서 획득된 종이는 플로어 패널들, 가구 패널들, 천장 패널들 및/또는 벽 패널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서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점은 분명하다.
전술한 인쇄된 패턴, 플레이트 형상의 기판들 및 종이 층들은 각각의 최종 치수들을 획득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들 중 나누어져야 할 수도 있음은 분명하다. DPL 프레스 처리 또는 유사 처리에 의해 획득된 패널들은 바람직하게 소잉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획득된 패널들의 다른 처리들도 물론 배제되지 않는다.
발명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보여주려는 의도로, 하기에서는, 제한적 특징이 없는 예로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형태가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방법에 따른 잉크젯 수용 코팅을 구비한 종이 층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2 및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영역 (F3) 의 도면을 더 큰 스케일로 제공하고, 도 2 의 경우에, 단지 상기 제 1 층만 종이 층에 적용되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방법에서의 일부 단계들을 보여준다.
도 5 는 도 4 의 방법에 의하여 획득된 패널을 사시도로 보여준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선 Ⅵ-Ⅵ 에 따른 도면을 보여준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서 다른 것들 중에서 사용하기 위한 일 피스의 장비를 보여준다.
도 8 은 단일 패스 모드로 작동된 인쇄기의 상면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1 은 잉크젯 인쇄기로 인쇄가능한 처리된 종이 층 (1) 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인쇄가능한 종이 층 (1) 은, 제 1 조성물을 갖는 제 1 층 (4) 및 제 2 조성물을 갖는 제 2 층 (5) 을 포함하는, 잉크젯 리시버 코팅 (3) 을 구비한 종이 시트 (2) 를 포함한다. 종이 시트 (2) 는, 이 경우에, 약 70 g/㎡ 의 중량을 가지고 30 초 미만의 걸리 값으로 표현된 바와 같은 평균 공기 저항을 갖는 베이스 인쇄 종이이다.
일반적으로, 나타낸 종이 시트 (2) 와 층들 (4-5) 의 치수들은, 도면들에서, 발명을 더 잘 보여주기 위해서 일정한 스케일에서 벗어나 도시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도 2 및 도 3 은 잉크젯 리시버 코팅 (3) 이 안료들 (6) 및 바인더 (7) 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 1 층 (4) 의 조성물뿐만 아니라 제 2 층 (5) 의 조성물은 모두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 바인더를 포함한다.
도 2 는 단지 제 1 층 (4) 만 종이 시트 (2) 에 적용된 반제품 (8) 을 도시한다. 바인더 (7) 는 부분적으로 종이 시트 (2) 로 불균일한 방식으로 흡수된다. 표면 (9) 에 느슨하게 그리고/또는 불량하게 결합된 안료들 (6) 이 존재한다. 이러한 안료들 (6) 은 이러한 반제품 (8) 의 추가 프로세싱시 분진 방출을 유발한다. 제 1 층 (4) 의 획득된 표면 (9) 은 또한 요철의 문제점을 갖는다.
도 3 은 또한 제 2 층 (5) 이 제 1 층 (4) 의 상단에 적용된 종이 층 (1) 을 나타낸다. 도 3 은 제 2 층 (5) 이 표면 (9) 을 고르게 하여서, 제 2 층 및 종이 층 (1) 의 보다 균일한 표면 (10) 을 유발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 2 층 (5) 의 조성물은 이 경우에 제 1 층 (4) 의 조성물보다 낮은 안료 대 바인더 비를 갖는다.
도 3 은, 처리된 종이 층의 표면에서 총 안료 (6) 중 10 중량 퍼센트 미만이 비결합되거나 유리되어 있고 제 2 층의 표면 (10) 은 본질적으로, 이 경우에 완전히, 바인더 (7) 에 의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 양태의 실시예라는 점에 주목한다.
도 4 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낸 유형의 적층 패널들 (11) 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방법은 본 특허 출원의 도입부에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 독립 양태의 예를 형성한다. 획득된 장식 패널들 (11) 은 적어도 기판 (12) 및 상단 층 (13) 을 포함한다. 여기의 경우에서처럼, 상단 층 (13) 은 제 1 양태에 따라 제조되고 인쇄된 패턴 또는 우드 패턴을 나타내는 디지털 인쇄된 잉크 층 (14) 을 구비한 종이 층 (1) 을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형태의 방법은 잉크젯 수용 층 및 인쇄된 패턴을 가지는 상기 종이 층 (1) 에 열경화성 수지 (15) 를 제공하는 단계 (S1) 를 적어도 포함한다. 여기에 종이 층 (1) 은 롤 (16) 로부터 가져와 제 1 함침 스테이션 (17) 으로 수송되고 이 스테이션에서 상기 종이 층은 상기 수지 (15), 보다 특히 물과 수지 (15) 의 혼합물의 욕 (18) 에 침지된다. 그 후, 종이 층 (1) 은 이 경우에 위로 수송되면서 정지할 수 있도록 허용된다. 정지하면 수지 (15) 가 종이 코어로 침투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 후, 종이 층 (1) 은 제 2 함침 스테이션 (19) 으로 들어가고 이 스테이션에서 종이 층 (1) 은, 이 경우에, 수지 (15), 보다 특히 물과 수지 (15) 의 혼합물의 욕 (18) 에 다시 침지된다. 일 세트의 압착 롤러들 (20) 은 종이 층 (1) 에 적용된 수지 (15) 의 양을 도우징하도록 허용한다.
실시예에서 수지 제공된 종이 층 (1) 의 표면에서 수지를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여러 개의 독터 블레이드들 (21) 이 이용가능하다.
제 2 단계 (S2) 에서 수지 제공된 종이 층 (1) 이 건조되고 그것의 잔류 습기 레벨은 10% 미만으로 된다. 실시예에서 고온 공기 오븐들 (22) 이 사용되지만, 대안적으로 마이크로파 건조 장비와 같은 다른 가열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 는 또한 연속 종이 층 (2) 이 시트들 (23) 로 절단되어 스태킹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4 는 또한 후속 단계 (S3) 에서 획득된 시트들 (23) 또는 종이 층 (1) 이 상부 및 하부 프레스 플레이트들 (25-26) 사이 쇼트 데이라이트 프레스 (24; short daylight press) 에서 프레스되도록 스택으로 테이크 업되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 스택은 바닥에서 상단으로 카운터 층 (27), 플레이트 형상의 기판 (12), 전술한 종이 층 (1) 및 보호 층 (28) 을 포함하고, 카운터 층 (27) 및 보호 층 (28) 은 모두 종이 시트 (2) 및 수지 (15) 를 포함한다. 스택은 그 후 프레스되고 프레스 처리는 이용가능한 수지 (15) 의 경화 또는 큐어링에서뿐만 아니라 스택의 기판 (12) 을 포함하는 구성 층들 (1-12-27-28) 사이 상호 연결을 유발한다. 보다 특히 여기에서 부산물로서 물을 가지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15) 의 중축합 반응이 일어난다.
상부 프레스 플레이트 (26) 는, 상부 프레스 플레이트 (26) 의 구조화된 표면 (29) 을 보호 층 (28) 의 멜라민과 접촉시킴으로써, 단계 (S3) 의 동일한 프레스 처리 중 패널 (1) 의 멜라민 표면에 릴리프를 제공하는 구조화된 프레스 플레이트들이다.
도 5 및 도 6 은, 획득된 장식 패널 또는 적층 패널 (11) 이 한 쌍의 긴 측면들 (30) 및 한 쌍의 짧은 측면들 (31) 을 가지고 HDF 또는 MDF 기판 (12) 을 가지는 직사각형 및 장방형 적층 플로어 패널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패널 (11) 은 긴, 적어도 긴 측면들 (30) 에, 커플링 수단 (32) 을 가지고 그것은 커플링된 측면들에 직각인 방향 (R2) 및 커플링된 패널들의 평면에서처럼, 커플링된 패널들의 평면에 직각인 방향 (R1) 으로 유사한 패널의 측면들과 함께 각각의 측면들 (30) 을 로킹하도록 허용한다. 도 6 에 도시된 대로 이러한 커플링 수단 또는 커플링 부분들은 기본적으로 방향 (R2) 으로 상기 로킹을 허용하는 부가적 협동작용 로킹 수단 (35) 을 구비한, 텅 (33) 및 그루브 (34) 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 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잉크젯 리시버 코팅 (3) 의 제 1 층 (4) 및 제 2 층 (5)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2 개의 부분 단계들 중 하나에서 액체 물질 (36) 을 종이 시트 (2) 에 코팅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제 1 층을 적용한 것을 도시한다. 리버스 미터링 롤러들 (38) 을 포함하는 기기 (37) 가 적용된다. 이러한 기기 (37) 는 처음에 과량의 액체 물질 (36) 을 적용할 수도 있고, 이것은 롤러들 (38) 에 의하여 원하는 중량으로 압착되고, 이것은 또한 평활한 코팅 표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그 후, 획득된 반제품 (8) 은, 예컨대 고온 공기 오븐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10% 미만, 또는 약 7% 의 잔류 습기 레벨에 도달하도록 건조된다. 획득된 처리된 종이는 그 후 잉크젯 리시버 코팅 (3) 의 제 2 층 (5) 을 적용함으로써 추가로 처리된다. 이러한 것은 여기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것은 상당히 유사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잉크젯 리시버 코팅을 가지는 종이 층 (1) 이 잉크젯 인쇄기 (39) 에 의하여 인쇄될 수도 있고, 이 인쇄기는 이 실시예에서 인쇄될 종이 층 (1) 의 영역에 걸쳐 연장되는 여러 열들 (40) 의 인쇄 헤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인쇄기 (39) 는, 이 실시예에서, 단일 패스 유형의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 인쇄된 패턴의 제공은 인쇄 방향 (D) 으로 인쇄 중 상기 잉크젯 인쇄기 (39), 보다 특히 열들 (40), 및 상기 종이 층 (1) 의 상대 운동을 수반한다. 이 경우에, 종이 층 (1) 으로, 보다 정확하게 종이 시트에 적용된 잉크젯 리시버 코팅 (3) 으로 잉크들의 토출 중 종이 층 (1) 이 이동하는 동안, 열들 (40) 및 인쇄 헤드들은 정지해 있다. 인쇄기 (39) 또는 인쇄 헤드들의 열들 (40) 에 대한 종이 층 (1) 의 단일 연속 운동 중 종이 층 (1) 이 인쇄된다. 획득된 인쇄된 패턴 (14) 은,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인쇄 방향 (D) 으로 연장되는 우드 맥들 (41) 을 가지는 우드 무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건조 스테이션 (42) 은 인쇄기 (39) 의 하류에 제공된다. 잉크들을 건조한 후, 인쇄된 종이 층은 바람직하게 위로 롤링되고 롤 (16) 로서 도 4 에 도시된 방법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결코 전술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지 않고, 이러한 방법들, 장비, 종이 층들 및 열가소성 포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러 변형예들에 따라 실현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적층 패널에서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 인쇄기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다음 단계들:
    - 종이 층을 제공하는 단계;
    - 안료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잉크젯 리시버 코팅으로 상기 종이 층의 적어도 일 측면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 리시버 코팅은 적어도 2 개의 부분 단계들에서 적용되고,
    각각 제 1 층은 제 1 조성물로 적용되고, 그 후, 제 2 층은 제 2 조성물로 적용되고, 두 조성물들은 적어도 상기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 인쇄기로 인쇄가능한 종이는 60 ~ 120 초의 걸리 (Gurley) 값을 갖는 평균 공기 저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패널에서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 인쇄기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은 그것들이 다음 특성들:
    - 상기 제 1 층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층은, 비록 상이한 안료 대 바인더 비일지라도, 안료 및 바인더를 포함한다는 특성;
    -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에 대해 적용된 재료의 건조 중량이 상이하다는 특성;
    - 상기 제 1 층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층은 안료 및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에 포함된 안료들의 평균 입도가 상기 제 2 층에 포함된 평균 입도보다 크다는 특성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상이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패널에서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 인쇄기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성물은 상기 제 2 조성물의 안료 대 바인더 비보다 큰 안료 대 바인더 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패널에서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 인쇄기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성물에서 안료 대 바인더 비는 2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패널에서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 인쇄기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성물에서 안료 대 바인더 비는 3.5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패널에서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 인쇄기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리시버 코팅의 안료를 위해 실리카 입자들이 사용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바인더를 위해 폴리비닐 알콜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패널에서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 인쇄기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개시되는 상기 종이 층은 30 초 미만의 걸리 (Gurley) 값을 갖는 평균 공기 저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패널에서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 인쇄기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획득된 잉크젯 인쇄를 위한 종이로서,
    상기 종이는 적어도 일 측면에 적어도 안료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잉크젯 리시버 코팅을 구비하고, 유리 (free) 또는 비결합 안료의 부분은 상기 잉크젯 리시버 코팅 중 안료의 총량의 10 중량 퍼센트 미만이고 그리고/또는 상기 잉크젯 리시버 코팅은 그것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안료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인쇄를 위한 종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는 적어도 일 측면에 적어도 안료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잉크젯 리시버 코팅을 구비하고, 상기 잉크젯 리시버 코팅은 그것의 표면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바인더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인쇄를 위한 종이.
  10. 적층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패널은 적어도 기판 재료 및 그 위에 제공된 인쇄된 데코를 갖는 상단 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층은 실질적으로 열경화성 수지 및 하나 이상의 종이 층들로 형성되고, 상기 종이 층들은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따른 또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획득된 잉크젯 인쇄를 위한 종이를 기반으로 한 데코 종이를 포함하는, 적층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인쇄를 위한 종이는 잉크젯 인쇄기에 의해 인쇄되고, 상당한 양의 (an amount of)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 함침되고 열간 프레스 처리에 의해 상기 기판 재료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인쇄기는 물 기반 잉크들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인쇄기는 단일 패스 유형을 가지고 그리고/또는 단일 패스 모드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4.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따른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또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비로서,
    상기 장비는 분리된 부분 단계들로 상기 잉크젯 리시버 코팅을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2 개의 분리된 코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는 잉크젯 인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KR1020187024493A 2016-01-26 2017-01-25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으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608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52800.5A EP3199360B1 (en) 2016-01-26 2016-01-26 Method for manufacturing paper printable with inkjet for use as a decor paper
EP16152800.5 2016-01-26
PCT/IB2017/050392 WO2017130117A1 (en) 2016-01-26 2017-01-25 Method for manufacturing paper printable with inkjet for use as a decor pa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159A KR20180103159A (ko) 2018-09-18
KR102608488B1 true KR102608488B1 (ko) 2023-11-30

Family

ID=5526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493A KR102608488B1 (ko) 2016-01-26 2017-01-25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으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0532597B2 (ko)
EP (2) EP3871894A1 (ko)
KR (1) KR102608488B1 (ko)
CN (2) CN111791605B (ko)
CA (1) CA3010701A1 (ko)
ES (1) ES2926133T3 (ko)
RU (1) RU2735760C2 (ko)
WO (1) WO20171301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5337A1 (en) 2017-06-14 2018-12-19 Unilin, BVBA Method for manufacturing inkjet printable paper or foil for use as a decor paper or foil
PL3848422T3 (pl) 2017-08-22 2023-04-24 Agfa Nv Wytwarzanie paneli dekoracyjnych
JP2019072914A (ja) * 2017-10-16 2019-05-16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立体模様印刷物の製造方法
GB2568948B (en) * 2017-12-01 2020-09-23 Innova Art Ltd Method of printing coloured paper
KR20210060496A (ko) 2018-08-30 2021-05-26 인터페이스 인크. 바닥재 및 장식용 구조체들을 위한 디지털 인쇄
ES2894300T3 (es) * 2018-11-20 2022-02-14 Flooring Ind Ltd Sarl Papel o película de decoración
EP3693180B1 (en) * 2019-02-05 2023-09-13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corative foil and a panel comprising such foil
EP3705304A1 (en) * 2019-03-06 2020-09-09 Unilin, BVBA Decorative paper layers, printable paper layers, methods for manufacturing printable substrates, and ink used in such method
EP3738782A1 (en) 2019-05-16 2020-11-18 Sihl GmbH Inkjet printed film for decorative applications
US11701910B1 (en) 2019-10-29 2023-07-18 Masonite Corporation Inkjet printed door and door components, and methods therefor
EP4019262A1 (en) * 2020-12-24 2022-06-29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écor paper or foil and a décor paper or foil
EP4086081A1 (de) * 2021-05-07 2022-11-09 Swiss Krono TEC AG Digitaldruckverfahren
EP4091829A1 (en) * 2021-05-18 2022-11-23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Method for manufacturing inkjet printable paper for use as a decor paper
EP4215367A1 (en) * 2022-01-25 2023-07-26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corative panel
EP4303360A1 (en) 2022-07-05 2024-01-10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A printable or printed paper for decorative elements, decorative elements comprising a printed pap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decorative ele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0695A (en) * 2001-10-10 2003-04-16 Ilford Imaging Uk Ltd Recording material
WO2015104652A1 (en) * 2014-01-10 2015-07-16 Unilin, Bvba Method for manufacturing panels having a decorative surface
JP2015221497A (ja) * 2014-05-22 2015-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4283B1 (en) * 1993-06-15 1997-11-05 Canon Kabushiki Kaisha Cast coated paper for ink jet recording, process for producing the paper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using the paper
DE19725829C1 (de) 1997-06-18 1998-08-06 Ls Industrielacke Gmbh Buero L Oberflächenbeschichtungsmaterial und dessen Verwendung
US6372329B1 (en) * 1998-11-30 2002-04-16 Arkwright, Incorporated Ink-jet recording media having ink-receptive layers comprising modified poly(vinyl alcohols)
DE19916546C2 (de) 1999-04-13 2001-05-03 Technocell Dekor Gmbh & Co Kg Tintenstrahl-Aufnahmeschicht
BE1013553A3 (nl) 2000-06-13 2002-03-05 Unilin Beheer Bv Vloerbekleding.
US20030219553A1 (en) * 2002-05-24 2003-11-27 Marc Graindourze Recording element for ink jet printing
US7160608B2 (en) 2003-06-30 2007-01-09 Oji Paper Co., Ltd. Coated paper
US8313824B2 (en) * 2003-12-18 2012-11-20 Dai Nippon Printing Co., Ltd. Decorative multilayer material impregnated with resin
JP2006045694A (ja) 2004-07-30 2006-02-1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材料用支持体及び画像記録材料
CN100513196C (zh) * 2004-09-09 2009-07-15 王子制纸株式会社 喷墨记录片的制造方法及喷墨记录片
JP2006103210A (ja) * 2004-10-06 2006-04-20 Oji Paper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体の製造方法
EP1743775A1 (en) * 2005-07-13 2007-01-17 SAPPI Netherlands Services B.V. Coated paper for sheet fed offset printing
EP2080633B1 (en) * 2005-01-28 2010-12-01 Oji Paper Co., Ltd. Ink-jet recording material.
DE102005036541B9 (de) 2005-08-03 2010-02-11 Bauer, Jörg R.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insbesondere mittels eines Tintenstrahldruckverfahrens bedruckbaren Papieroberfläche, Papierbahn sowie damit beschichteter Gegenstand
GB0604020D0 (en) * 2006-02-28 2006-04-12 Eastman Kodak Co Ink-jet receiver
ATE523570T1 (de) 2006-05-19 2011-09-15 Agfa Graphics Nv Stabile nicht wässrige tintenstrahldruckfarbe
ITMI20061227A1 (it) 2006-06-26 2007-12-27 Dante Frati Procedimento per stampare superfici di elementi piani a base di legno
DE102007013132B4 (de) 2007-03-15 2022-02-03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lächigen, bedruckten Bauteils
US20090123655A1 (en) * 2007-11-08 2009-05-14 Shaw-Klein Lori J Process for making inkjet recording element
KR101510148B1 (ko) * 2007-11-19 2015-04-10 뵈린게 이노베이션 에이비이 내마모성 표면을 갖는 섬유 기재 패널
DE102008008292A1 (de) 2008-02-07 2009-08-13 hülsta-werke Hüls GmbH & Co KG Papierschicht zum Herstellen eines flächigen, bedruckten oder bedruckbaren Bauteils
JP5142760B2 (ja) * 2008-02-28 2013-02-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8031203C5 (de) 2008-07-03 2017-09-28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Verfahren und digitale Druckvorrichtung zum Bedrucken von Druckpapier mit einem Dekor
US8133556B2 (en) * 2009-08-12 2012-03-13 Brady Worldwide, Inc. Durable multilayer inkjet recording media topcoat
DE102010003437B4 (de) 2010-03-30 2012-02-09 Pfleiderer Holzwerkstoffe Gmbh Verbundmateria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10037632A1 (de) 2010-09-17 2012-03-22 Theodor Hymmen Verwaltung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igitalbedruckten Werkstückes
CN102808350B (zh) * 2012-07-02 2014-12-24 金东纸业(江苏)股份有限公司 涂布纸
FR2997421B1 (fr) * 2012-10-30 2015-04-17 Munksjo Arches Papier decoratif pour stratifies.
EP2925529B1 (en) * 2012-11-28 2020-08-19 Välinge Innovation AB Method of producing a building panel using digital printing
JP5357348B1 (ja) * 2013-02-28 2013-12-04 日新製鋼株式会社 塗装材、印刷材およびコート材
EP2865527B1 (en) * 2013-10-22 2018-02-21 Agfa Nv Manufacturing of decorative surfaces by inkjet
EP2905145B1 (en) 2014-02-06 2019-10-23 Unilin, BVBA Method for manufacturing floor panels having a decorative surface
EP2905376B1 (en) * 2014-02-06 2018-09-19 Agfa Nv Manufacturing of Decorative Laminates by Inkj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0695A (en) * 2001-10-10 2003-04-16 Ilford Imaging Uk Ltd Recording material
WO2015104652A1 (en) * 2014-01-10 2015-07-16 Unilin, Bvba Method for manufacturing panels having a decorative surface
JP2015221497A (ja) * 2014-05-22 2015-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17410B2 (en) 2021-09-14
WO2017130117A1 (en) 2017-08-03
US10532597B2 (en) 2020-01-14
CN108495753A (zh) 2018-09-04
CN108495753B (zh) 2020-07-31
CN111791605B (zh) 2022-07-15
RU2018130693A3 (ko) 2020-04-20
CA3010701A1 (en) 2017-08-03
RU2735760C2 (ru) 2020-11-06
US20190023047A1 (en) 2019-01-24
RU2020135528A3 (ko) 2021-12-21
US20200108651A1 (en) 2020-04-09
RU2018130693A (ru) 2020-02-27
US20210362528A1 (en) 2021-11-25
RU2020135528A (ru) 2020-11-27
ES2926133T3 (es) 2022-10-24
KR20180103159A (ko) 2018-09-18
CN111791605A (zh) 2020-10-20
EP3199360A1 (en) 2017-08-02
EP3871894A1 (en) 2021-09-01
EP3199360B1 (en)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8488B1 (ko) 데코 종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젯으로 인쇄가능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1187854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nels having a decorative surface
US1197555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nkjet printable paper or foil for use as a decor paper or foil
RU2776741C2 (ru) Бумага для краскоструйной печати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й панели, содержащей такую бумаг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