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679B1 - 이불용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불용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679B1
KR102606679B1 KR1020230131599A KR20230131599A KR102606679B1 KR 102606679 B1 KR102606679 B1 KR 102606679B1 KR 1020230131599 A KR1020230131599 A KR 1020230131599A KR 20230131599 A KR20230131599 A KR 20230131599A KR 102606679 B1 KR102606679 B1 KR 102606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manufacturing
weight
fabric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갤러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갤러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갤러리
Priority to KR1020230131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2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natural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92Conjugate, i.e. bi- or multicomponent, fib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4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불용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멍게 섬유, 으름 섬유 및 파인애플 섬유와 같은 천연물 유래 섬유를 포함하는 외피로 원단의 피부자극을 줄였으며, 오리 솜털을 포함하는 내피를 통해 우수한 보온성을 갖는 이불용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불용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Eco-friendly fabric for blanket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이불용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멍게 섬유, 으름 섬유 및 파인애플 섬유와 같은 천연물 유래 섬유를 포함하는 외피로 원단의 피부자극을 줄였으며, 오리 솜털을 포함하는 내피를 통해 우수한 보온성을 갖는 이불용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불은 다양한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침구로의 일종으로 주로 인체의 표면을 커버하여 수면중 인체를 보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의 이불의 경우 일반적으로 외피, 내피 및 내피 내부에 충전되는 보온재로 구성되며, 일부 이불의 경우 내피가 없거나, 외피만으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이불은 인체가 수면을 취하는 동안 인체의 체온을 유지셔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보조적으로 일정한 무게로 인체를 압박하는 것으로 피로의 회복을 돕는 역할을 수행할수도 있다. 또한 인체에서 발산되는 수분을 흡수하여, 인체의 피부 표면이 적정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불은 주로 계절마다 보온성에 따라 수요가 바뀌기도 하고, 촉감, 기능성 등 다양한 니즈에 의해 필요한 이불의 형태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480757호는 항균성 물질과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포함하여 항균력을 가지면서, 고온 세척에도 항균성을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원단으로 제작된 항균 지속력이 강화된 항균 이불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535461호는 각 원단에 콜라겐이 다중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콜라겐으로 인한 효능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원단에 콜라겐이 다중 함유된 기능성 이불 및 그 기능성 이불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불, 의류를 포함한 섬유시장에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위와 같은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하는 동시에 환경에도 친화적일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요구가 커져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48075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53546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멍게 섬유, 으름 섬유 및 파인애플 섬유와 같은 천연물 유래 섬유를 포함하는 외피로 원단의 피부자극을 줄였으며, 오리 솜털을 포함하는 내피를 통해 우수한 보온성을 갖는 이불용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은 멍게 섬유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1:4 내지 1:10중량비로 혼합 후 방사하여 제1복합사를 제조하는 제1복합사 제조 단계; 으름 섬유 1~2중량부, 파인애플 섬유1~3중량부 및 면섬유 10중량부를 혼방하여 혼방사를 제조하는 혼방사 제조 단계; 나일론 섬유의 표면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한 다음 실리콘이 경화되기 전 실리콘 표면에 오리 솜털을 붙인 후 오리 솜털이 접착된 나일론 섬유 3~5가닥을 꼬아 제2복합사를 제조하는 제2복합사 제조 단계; 제1복합사를 경사로, 혼방사를 위사로 직물을 제조하는 외피 제조 단계; 제2 복합사를 경사로, 혼방사를 위사로 직물을 제조하는 내피 제조 단계; 및 내피의 상부 및 하부에 외피를 적층하고 누빔처리하는 원단 제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이불용 친환경 원단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피 제조 단계는 경사에 제1복합사 5가닥 당 제3복합사 1가닥을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제3복합사는 실버페이스트 2~3중량%, 벌집 건조 분말 2~3중량%, 솔잎 건조 분말 0.5~1.5중량%, 폴리우레탄 수지 5~9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83.5~90.5중량%를 혼합 후 방사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방사 제조 단계는 혼합 전 으름 섬유 및 파인애플 섬유를 동백씨 오일, 복분자씨 오일 및 유칼립투스 오일 로 구성된 혼합물에 침지한 다음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oly buthylene succinate, PBS)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불용 친환경 원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불용 친환경 원단은 멍게 섬유, 으름 섬유 및 파인애플 섬유와 같은 천연물 유래 섬유를 포함하는 외피로 원단의 피부자극을 줄였으며, 오리 솜털을 포함하는 내피를 통해 우수한 보온성을 가지기에 원단 자체를 이불로 사용하거나, 원단 두장을 겹쳐 사이에 부직포 또는 솜 등의 충전재를 삽입한 다음 누빔처리하여 더욱 보온성을 높인 이불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불용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멍게 섬유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1:4 내지 1:10중량비로 혼합 후 방사하여 제1복합사를 제조하는 제1복합사 제조 단계; 으름 섬유 1~2중량부, 파인애플 섬유1~3중량부 및 면섬유 10중량부를 혼방하여 혼방사를 제조하는 혼방사 제조 단계; 나일론 섬유의 표면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한 다음 실리콘이 경화되기 전 실리콘 표면에 오리 솜털을 붙인 후 오리 솜털이 접착된 나일론 섬유 3~5가닥을 꼬아 제2복합사를 제조하는 제2복합사 제조 단계; 제1복합사를 경사로, 혼방사를 위사로 직물을 제조하는 외피 제조 단계; 제2 복합사를 경사로, 혼방사를 위사로 직물을 제조하는 내피 제조 단계; 및 내피의 상부 및 하부에 외피를 적층하고 누빔처리하는 원단 제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이불용 친환경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불용 친환경 원단의 제조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멍게 섬유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1:4 내지 1:10중량비로 혼합 후 방사하여 제1복합사를 제조한다.
상기 멍게 섬유는 해초강 측성해초목 멍게과의 동물인 멍게(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의 껍질에서 추출한 섬유를 의미한다. 주로 식이섬유의 형태로 건강기능식품 또는 화장료 등에 사용되나, 나노 셀룰로오스로서 섬유에 활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의 멍게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혼합 및 방사되어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제1복합사의 질감을 개선하여 피부자극을 줄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polyester resin)는 넓은 의미로는 다가 알코올과 다염기산과의 중축합에 의해 생성하는 수지를 의미하며 알키드 수지, 말레산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 총칭이고, 좁은 의미로는 열경화성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의미한다. 주로 건축재, 절연부품, 도료 및 섬유재료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oly buthylene succinate, PBS) 수지일 수 있다. 생분해성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수지는 숙신산과 1,4-부탄디올(BDO)의 다중 축합반응에 의해 생성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이며, 열가소성 공중합체 수지이다.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는 유연성, 천연 섬유 호환성, 내열성, 생분해성이 우수하여 다른 플라스틱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자연환경에서 생분해가 완전히 일어나기 때문에 친환경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으름 섬유 1~2중량부, 파인애플 섬유1~3중량부 및 면섬유 10중량부를 혼방하여 혼방사를 제조한다.
상기 으름 섬유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으름덩굴과의 낙엽 덩굴식물인 으름덩굴(Akebia quinata)의 열매 으름의 과육에서 추출한 섬유를 의미한다.
상기 파인애플 섬유는 외떡잎식물강 파인애플과의 여러해살이 열대식물인 파인애플(Ananas comosus)의 줄기와 잎에서 추출한 섬유를 의미한다. 의류용 원단으로 사용할 경우 매우 가늘고 부드러워 실크와 유사한 촉감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의 으름 섬유 및 파인애플 섬유는 면섬유와 혼방되어 이를 통해 제조되는 혼방사의 질감을 개선하여 피부자극을 줄이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방사 제조 단계는 혼합 전 으름 섬유 및 파인애플 섬유를 동백씨 오일, 복분자씨 오일 및 유칼립투스 오일로 구성된 혼합물에 침지한 다음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동백씨 오일은 쌍떡잎식물 물레나무목 차나무과의 상록교목인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의 씨앗에서 추출한 오일을 의미한다. 동백씨 오일은 보습효과가 우수하여 피부나 머리에 사용시 피부를 매끈하게 하고 머릿결을 부드럽게 만들어주어 화장료로 주로 사용된다.
상기 복분자씨 오일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관목인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의 열매 복분자에서 과육을 제거하고 남은 씨앗에서 추출한 오일을 의미한다. 복분자씨 오일은 섬유에 사용시 피부 자극을 줄여주며 항바이러스 효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유칼립투스 오일은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도금양과의 상록교목인 유칼립투스 나무의 잎과 잔가지에서 추출한 오일을 의미하며, 항균효과가 있어 살균제, 구강청결제, 치약 및 연고 등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혼합물은 동백씨 오일 25중량%, 복분자씨 오일 30중량% 및 유칼립투스 오일 45중량% 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오일 혼합물 침지 및 건조 과정은 으름 섬유 및 파인애플 섬유에 오일 혼합물이 스며들게 하여 상기 오일의 효과를 으름 섬유 및 파인애플 섬유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원단에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나일론 섬유의 표면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한 다음 실리콘이 경화되기 전 실리콘 표면에 오리 솜털을 붙인 후 오리 솜털이 접착된 나일론 섬유 3~5가닥을 꼬아 제2복합사를 제조한다.
상기 나일론 섬유는 고분자의 주쇄에 아미드결합을 가지는 물질(폴리아미드)을 화학성분에 따라 분류한 합성섬유이다. 합성섬유 가운데 가장 강도가 강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질기고 오염에 강하며 내구성이 뛰어나 등산의류와 여러 등산장비의 소재로 널리 쓰인다.
상기 실리콘 수지는 실리콘 중에서 가교(架橋)에 의한 그물코 구조를 갖는 열경화성 수지를 실리콘 수지 또는 규소수지라고 한다. 내열성, 내습성, 내후성, 내약품성이 뛰어나고 장기간의 고온에서도 전기특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용도가 넓어 일상생활용품에서 산업용, 전자재료까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오리 솜털은 다 자란 오리의 가슴부위에서 채취한 솜털을 의미한다. 함기성이 우수하여 보온성이 뛰어나 이불, 침낭, 자켓의 충전재로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나일론 섬유를 꼬아주는 과정은 이를 통해 제조되는 제2복합사의 탄성을 개선시키는 동시에 나일론 섬유에 접착된 오리 솜털이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붙잡아주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1복합사를 경사로, 혼방사를 위사로 직물을 제조하여 외피를 제조한 다음, 제2 복합사를 경사로, 혼방사를 위사로 직물을 제조하여 내피를 제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종래 공지된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직기 또는 편기를 이용하여 제직 또는 편직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조직은 평직, 능직, 수자직, 이중직, 파일직, 익직, 크레이프직,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조직일 수 있고, 상기 여러가지 조직을 배합하거나 색상을 달리한 원사를 용하여 직물에 무늬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직, 능직 및 수자직을 삼원 조직이라 할 때 상기 삼원조직 각각의 구체적인 제직 방법은 통상적인 삼원 조직 각각의 제직 방법에 의하며, 삼원 조직을 기본으로 하여 그 조직을 변형시키거나 몇 가지 조직을 배합하여 변화 있는 직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변화평직으로 두둑직, 바스켓직 등이 있고, 변화능직으로 신능직, 파능직, 비능직, 산형능직 등이 있으며, 변화수자직으로 변칙수자직, 중수자직, 확수자직, 화강수자직 등이 있다.
상기 이중직은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이 2중으로 되어있거나 양쪽이 모두 2 중으로 된 직물의 제직방법으로,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이중직의 제직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여러 가지 조직을 배합하거나 색상을 달리한 원사를 사용하여 직물에 무늬를 구현하여 문직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비 직물, 자카드 직물, 색사와 조직의 배합에 의한 문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도비 직물은 비교적 간단한 무늬를 가지는 원단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며, 약 20 내지 약 40올의 위사에 의해서 완성되는 극히 작은 무늬와 바둑 무늬의 표현에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피케(pique)직, 버즈아이(birds-eye)직, 와플 클로스(waffle cloth)직, 허케백(huekaback)직, 크레이프직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자카드 직물은 상기 도비 직물과는 다르게 큰 무늬 또는 곡선의 표현이 구현 가능한 직물로, 예를 들어, 브로케이드(brocade), 대머스크(damask), 티피스트리(tapestry)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색상과 조직의 배합에 의한 문 직물은 색사와 평직, 바스켓직, 능직 등의 조직의 배합에 의해 작은 기하학적 무늬를 가진 직물을 만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조가 되는 두 가지 색사를 경위사 모두 한올씩 교대로 배정하고 평직으로 제직하면 경방향 또는 위방향의 가는 줄무늬를 만들 수 있으며, 경사와 위사에 대조되는 두 가지 색사를 사용하고 평직 또는 바스켓 조직으로 제직하면 크로우즈풋(crowfoot) 무늬를 만들 수 있다. 또한, 경위사에 대조가 되는 두가지 색사를 4올씩 교대로 배열하고, 2/2 능직으로 제직하여 연결되지 않은 4각 별모양의 무늬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가는 줄무늬를 경방향 및 위방향 교대로 배치하면 체크무늬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통상적인 직물 제조 후 염색 공정 이전에 수행되는 발호, 정련 및 표백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각각의 공정은 통상적인 탈호, 정련, 표백 공정의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피 제조 단계는 경사에 제1복합사 5가닥 당 제3복합사 1가닥을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제3복합사는 실버페이스트 2~3중량%, 벌집 건조 분말 2~3중량%, 솔잎 건조 분말 0.5~1.5중량%, 폴리우레탄 수지 5~9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83.5~90.5중량%를 혼합 후 방사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버페이스트는 열경화성 수지에 은 분말을 분산시킨 페이스트를 의미한다. 실버페이스트를 혼합하여 방사한 섬유는 항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벌집 건조 분말은 벌 군집이 지은 밀랍 등을 포함하는 육각형의 방 구조를 가진 벌집을 건조 후 분쇄한 분말을 의미하며, 주로 밀랍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벌의 타액이 포함되어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솔잎 건조 분말은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인 소나무(Pinus densiflora)의 잎을 건조한 후 분말화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polyurethane resin)는 우레탄결합으로 결합된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되는 수지를 의미하며 내충격성, 내마모성, 강성 등이 우수하고 단열성이 뛰어난 특징을 가져 침구 의자에 들어가는 쿠션재부터 냉장고 하우징 또는 건축에 들어가는 단열재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의 제3복합사는 외피의 경사에 첨가되어 외피에 항균성을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내피의 상부 및 하부에 외피를 적층하고 누빔처리하여 이불용 친환경 원단을 제조한다.
본원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불용 친환경 원단을 제공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멍게 섬유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1:5 중량비로 혼합 후 방사하여 제1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으름 섬유 2중량부, 파인애플 섬유2중량부 및 면섬유 10중량부를 혼방하여 혼방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나일론 섬유의 표면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한 다음 실리콘이 경화되기 전 실리콘 표면에 오리 솜털을 붙인 후 오리 솜털이 접착된 나일론 섬유 4가닥을 꼬아 제2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1복합사를 경사로, 혼방사를 위사로 직물을 제조하여 외피를 제조한 다음, 제2 복합사를 경사로, 혼방사를 위사로 직물을 제조하여 내피를 제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내피의 상부 및 하부에 외피를 적층한 다음 누빔처리하여 이불용 친환경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상기 외피 제조 과정에서 경사에 제1복합사 5가닥 당 제3복합사 1가닥을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제3복합사는 실버페이스트 2중량%, 벌집 건조 분말 3중량%, 솔잎 건조 분말 1중량%, 폴리우레탄 수지 8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86중량%를 혼합 후 방사하여 제조한 것인 이불용 친환경 원단을 실시예 2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상기 혼방사 제조 단계는 혼합 전 으름 섬유 및 파인애플 섬유를 동백씨 오일 25중량%, 복분자씨 오일 30중량% 및 유칼립투스 오일 45중량% 로 구성된 오일 혼합물에 침지한 다음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한 이불용 친환경 원단을 실시예 3으로 명명하였다.

Claims (3)

  1. 멍게 섬유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1:4 내지 1:10중량비로 혼합 후 방사하여 제1복합사를 제조하는 제1복합사 제조 단계;
    으름 섬유 1~2중량부, 파인애플 섬유1~3중량부 및 면섬유 10중량부를 혼방하여 혼방사를 제조하는 혼방사 제조 단계;
    나일론 섬유의 표면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한 다음 실리콘이 경화되기 전 실리콘 표면에 오리 솜털을 붙인 후 오리 솜털이 접착된 나일론 섬유 3~5가닥을 꼬아 제2복합사를 제조하는 제2복합사 제조 단계;
    제1복합사를 경사로, 혼방사를 위사로 직물을 제조하는 외피 제조 단계;
    제2 복합사를 경사로, 혼방사를 위사로 직물을 제조하는 내피 제조 단계; 및
    내피의 상부 및 하부에 외피를 적층하고 누빔처리하는 원단 제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이불용 친환경 원단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제조 단계는 경사에 제1복합사 5가닥 당 제3복합사 1가닥을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제3복합사는 실버페이스트 2~3중량%, 벌집 건조 분말 2~3중량%, 솔잎 건조 분말 0.5~1.5중량%, 폴리우레탄 수지 5~9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83.5~90.5중량%를 혼합 후 방사하여 제조한 것인, 이불용 친환경 원단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방사 제조 단계는 혼합 전 으름 섬유 및 파인애플 섬유를 동백씨 오일, 복분자씨 오일 및 유칼립투스 오일 로 구성된 혼합물에 침지한 다음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이불용 친환경 원단의 제조 방법.
KR1020230131599A 2023-10-04 2023-10-04 이불용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06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1599A KR102606679B1 (ko) 2023-10-04 2023-10-04 이불용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1599A KR102606679B1 (ko) 2023-10-04 2023-10-04 이불용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679B1 true KR102606679B1 (ko) 2023-11-30

Family

ID=88968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599A KR102606679B1 (ko) 2023-10-04 2023-10-04 이불용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67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8971A (ja) * 1987-12-23 1989-07-04 Nisshin Kagaku Kogyo Kk 繊維用弾性加工剤及び風合改良剤
JPH02133691A (ja) * 1988-01-15 1990-05-22 Hermann Wangner Gmbh & Co Kg 製紙機械のシート形成部のための二重層張布
JP3053105U (ja) * 1998-04-10 1998-10-23 株式会社飾一 水引アート品
JPH11172578A (ja) * 1997-12-04 1999-06-29 Ichimaru Pharcos Co Ltd 抗菌加工繊維類の製造法
KR20010050515A (ko) * 1999-09-21 2001-06-15 가부시키가이샤 에루부 복합필라멘트, 그 제조방법 및 열융착품
KR102480757B1 (ko) 2021-10-22 2022-12-26 이국환 항균 지속력이 강화된 항균 이불의 제조방법
KR102535461B1 (ko) 2023-03-08 2023-05-26 주식회사 다올 원단에 콜라겐이 다중 함유된 기능성 이불 및 그 기능성 이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8971A (ja) * 1987-12-23 1989-07-04 Nisshin Kagaku Kogyo Kk 繊維用弾性加工剤及び風合改良剤
JPH02133691A (ja) * 1988-01-15 1990-05-22 Hermann Wangner Gmbh & Co Kg 製紙機械のシート形成部のための二重層張布
JPH11172578A (ja) * 1997-12-04 1999-06-29 Ichimaru Pharcos Co Ltd 抗菌加工繊維類の製造法
JP3053105U (ja) * 1998-04-10 1998-10-23 株式会社飾一 水引アート品
KR20010050515A (ko) * 1999-09-21 2001-06-15 가부시키가이샤 에루부 복합필라멘트, 그 제조방법 및 열융착품
KR102480757B1 (ko) 2021-10-22 2022-12-26 이국환 항균 지속력이 강화된 항균 이불의 제조방법
KR102535461B1 (ko) 2023-03-08 2023-05-26 주식회사 다올 원단에 콜라겐이 다중 함유된 기능성 이불 및 그 기능성 이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59216A (zh) 起绒织物及其制造方法
CN102002808A (zh) 一种胶原蛋白面料及其织造方法
Wilson Fibres, yarns and fabrics: fundamental principles for the textile designer
KR102606679B1 (ko) 이불용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2242482U (zh) 一种纤维混纺织造服装面料
CN204874995U (zh) 一种吸湿抗菌面料
CN101624745A (zh) 仿水立方立体花呢
CN109049878A (zh) 一种新型抗菌防螨面料及其制作工艺
CN106192188B (zh) 一种四维网布及其加工方法
CN111645378A (zh) 一种透气易清洗羽绒服面布及其生产工艺
CN102691153A (zh) 麦饭石纤维多组分生态家纺面料
CN201942832U (zh) 绿色环保面料
CN210759651U (zh) 一种麂皮复合贝斯压花人造革
CN110271250B (zh) 一种柔性吸湿排汗的弹性织带及其制备方法
KR20140082317A (ko) 와이핑클로스성이 우수한 자카드 타월 직물
Ashford Fibres to fabrics
CN112048811A (zh) 具有不收缩纱、易收缩纱及发热纱织造成的三层结构布及其加工方法
CN201809541U (zh) 一种经甲壳素整理的涤纶纤维与木浆纤维交织的家纺面料
KR102350246B1 (ko) 유기농 목화사를 이용한 이중겹 친환경 타올
CN111020793A (zh) 一种聚乳酸复合纤维织物
CN214354707U (zh) 一种涤锦交织镂空双色针织布
CN218749749U (zh) 一种一体式仿皮沙发面料
KR102235469B1 (ko)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
CN109750408A (zh) 多机能皮芯式纤维的凉感丹宁布料制造方法
CN216610379U (zh) 一种耐晒耐洗多层复合涤粘染色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