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469B1 -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469B1
KR102235469B1 KR1020190168465A KR20190168465A KR102235469B1 KR 102235469 B1 KR102235469 B1 KR 102235469B1 KR 1020190168465 A KR1020190168465 A KR 1020190168465A KR 20190168465 A KR20190168465 A KR 20190168465A KR 102235469 B1 KR102235469 B1 KR 102235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knitted fabric
dye
manufacturing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봉
Original Assignee
신승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봉 filed Critical 신승봉
Priority to KR1020190168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02G3/286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with alternatively "S" and "Z" direction of twist, e.g. Self-twist proces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2After-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 D06P5/2066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 D06P5/2077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after dy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인견사가 포함된 커버링사를 이용한 섬유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30~80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사(50)를 준비하는 단계와, 40~100데니어인 폴리우레탄사(60)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에스테르사(50)와 폴리우레탄사(60)를 우연(S꼬임)으로 연사하여 70~150데니어인 코어사(100)를 제조하는 단계와, 50~80데니어인 인견사(200)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코어사(100)와 인견사(200)를 안내롤러(10)에 의해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가압 펼침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코어사(100)를 가운데 두고 인견사(200)를 좌연(Z꼬임)으로 감겨지도록 하여 12~230데니어인 커버링사(300)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링사(300)는 편직기(400)를 이용하여 편직물(500)을 제조한 후 사포닌 성분이 포함된 염료로 염색하여 가공편직물(600)을 제조하여 가공편직물(600)을 이용한 양발, 의류, 침구류 등의 섬유제품을 제조함으로써 이로운 효과를 갖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FILAMENT RAYON YAR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WITH SAPONIN}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견사는 섬유소계(셀룰로오스계)와 화학섬유계(레이온)의 실중에서 길게 연속된 섬유를 몇 올 합쳐서 실로 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나무(펄프)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로 만든 천연섬유로 만들어진 인견사는 감촉이 유연하고 피부에 닿는 경우 시원한 느낌을 주는 것이다.
최근들어 이러한 인견사를 이용한 의류나 이불 등이 제조되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인견사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실을 혼합하여 제조한 실을 통해 제직, 제편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는 섬유원단을 제조함으로써 이를 통해 소비자의 욕구에 충족하는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25148호(2003년08월21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견사를 이용하여 섬유원단을 제조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인견사가 포함된 커버링사를 이용한 섬유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30~80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사(50)를 준비하는 단계와, 40~100데니어인 폴리우레탄사(60)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에스테르사(50)와 폴리우레탄사(60)를 우연(S꼬임)으로 연사하여 70~150데니어인 코어사(100)를 제조하는 단계와, 50~80데니어인 인견사(200)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코어사(100)와 인견사(200)를 안내롤러(10)에 의해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가압 펼침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코어사(100)를 가운데 두고 인견사(200)를 좌연(Z꼬임)으로 감겨지도록 하여 12~230데니어인 커버링사(300)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링사(300)는 편직기(400)를 이용하여 편직물(500)을 제조한 후 사포닌 성분이 포함된 염료로 염색하여 가공편직물(600)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견사가 포함된 커버링사를 제조하고 이를 통해 편직된 편직물에 이로운 효능을 갖는 염료를 염색시켜 가공편직물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가공편직물을 이용하여 양발, 의류, 섬유커버 등을 제조하여 이로운 효과를 갖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업 공정을 나타낸 작업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링사의 대표적인 일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상세도,
도 3은 상기 도 1의 본 말명에 따른 커버링사의 제조공정을 예시하는 공정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예 따른 커버링사가 편직되어 섬유원단으로 제조되는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된 섬유원단을 염로에 의해 염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서는 굵기가 30~80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사(50)를 준비하는 단계와, 굵기가 40~100데니어인 폴리우레탄사(60)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에스테르사(50)와 폴리우레탄사(60)를 우연(S꼬임)으로 연사하여 굵기가 70~150데니어인 코어사(100)를 제조하는 단계와, 굵기가 50~80데니어인 인견사(200)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코어사(100)와 인견사(200)를 안내롤러(10)에 의해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가압 펼침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코어사(100)를 가운데 두고 인견사(200)를 좌연(Z꼬임)으로 감겨지도록 커버링사(300)를 제조하는 단계와, 커버링사(300)는 편직기(400)를 이용하여 편직한 후 사포닌 성분이 함유되도록 염색하여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사(50)는 3~4회 연신하여 굵기가 30~80데니어가 되는 것을 사용하며, 폴리우레탄사(60)는 신축성이 뛰어난 것으로서 편직된 제조된 실이 신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제조된다.
폴리에스테르사(50)와 폴리우레탄사(60)는 연사하여 코어사(100)를 제조하며, 제조된 코어사(100)의 굵기가 70~150데니어가 되도록 폴리에스테르사(50)와 폴리우레탄사(60)를 합사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사(50)와 폴리우레탄사(60)는 연사하여 제조한 코어사(100)를 가운데두고 인견사(200)를 감아 커버링사(300)를 제조한다.
인견사(200)는 나무(펄프)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즈로 만든 순수 천연섬유를 말하며, 인조견 또는 인조견사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인견은 무게가 가볍고 땀흡수력이 좋으며 몸에 잘 달라붙지 않아 통풍이 잘될 뿐만 아니라 정전기 발생이 적으며, 표면이 매끄러워 촉감이 좋아 여름철 의류나 침구류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체 적합정 섬유라는 평가와 같이 알레르기성 또는 아토피성 피부에 자극이 적어 피부질환자 및 유아와 노인들에게도 그 활용가치가 높은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다른 천연섬유인 모시나 삼베와 비교하여 그 성능에서 차이가 없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견사(200)의 굵기는 50~80데니어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커버링사(300)를 제조하는 방법을 보면, 폴리에스테르사(50)와 폴리우레탄사(60)가 연사된 코아사를 가운데 두고 인견사(200)가 감겨지면서 커버링사(300)가 제조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3에서는 코어사(100)를 중심으로 인견사(200)가 감겨 지면서 굵기가 120~230데니어인 커버링사(300)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
코어사(100)와 인견사(200)는 안내롤러(10)와 가이드바(20)를 통해 장력이 유지되도록 한 상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며, 코어사(100)는 중공부재(30) 내부로 유입되어 공급되고 인견사(200)는 중공부재(30)의 외부에 감겨지게 된다.
이때, 코어사(100)는 장력 10~16g이 유지되도록 공급될 수 있다.
코어사(100)의 장력이 하한치에 미치지 못하면 감겨지는 인견사(200)가 느슨하게 감겨질 수 있으며, 코어사(100)의 장력이 상한지를 넘어서면 코어사(100)가 끈어질 우려가 있는 것이다.
중공부재(30)의 끝부분에는 중공부재(30)를 빠져나오는 코어사(100)를 따라 인견사(200)가 동시에 감겨지면서 스네일와이어(40)를 통과하여 커버링사(300)가 제조되는 것이다.
이때, 코어사(100)에 감기는 인견사(200)가 촘촘하게 감겨지도록 하기 위해 탄성이 있는 코어사(100)가 늘어는 상태로 인견사(200)가 감겨지게 한 후 늘어난 코어사(100)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와 인견사(200)가 감겨진 간격이 밀착되도록 커버링사(300)를 제조함으로써 감겨진 인견사(200) 간의 빈틈없이 피부 전체에 인견사(200)가 닿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링사(300)의 꼬임수는 500~800T/M이 될 수 있다.
커버링사(300)의 꼬임수가 500T/M 미만인 경우에는 코어사(100)를 감겨진 인견사(200)가 촘촘하지 못해 피부에 닿는 면적이 적어 효과가 떨어지고 꼬임불량, 사절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800T/M을 초과하면 편직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과도한 꼬임현상으로 2중 꼬임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커버링사(300)는 인견사(200)에 비해 강도가 우수한 코어사(100)를 심사로 사용하고, 심사를 중심으로 습기 흡수력이 좋으며 통풍이 잘될 뿐아니라 촉감이 좋은 인견사(200)을 감아 커버링사(300)를 제조함으로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인체에 직접 닿는 인견사(200)(노출 부위)는 땀 흡수력이 좋고 통풍이 잘될 뿐아니라 촉감이 좋은 것은 물론 알레르기 또는 아토피성 피부에 자극이 적어 무좀 방지용 직물에 사용되는 최적의 커버링사(300)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굵기를 갖는 커버링사(300)는 도 4에서와 같이 편직기(400)에 공급되어 편직물(500)로 제조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편직기(400)의 속도는 200~300rp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편직기에 의해 제조된 편직물(500)을 사포닌, 허브향, 생광석 등이 함유된 기능성 염료를 통해 염색하여 다양한 효과를 갖는 가공편직물(600)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염색하고자 하는 천연 염색염료를 추출하여 준비하게 되며, 인삼이나 홍삼에 함유된 사포닌 성분이 함유된 염료를 추출하게 된다.
인삼으로부터 염료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인삼의 잎과 줄기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인삼 잎은 뿌리보다 사포닌 함량이 2~3배 많다고 알려져 있으며, 9~10월에 인삼 잎과 줄기를 수확하여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한 후 건조시킨 인삼 잎, 줄기를 잘게 썰어 준비한다.
홍삼으로부터 염료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홍삼액을 추출하고 남은 것을 활용하기 위해 잘게 썰어 준비한다.
사포닌 성분이 함유된 염료 추출과정을 설명하면, 인삼의 잎과 줄기 또는 홍삼을 잘게 썬 후 물에 넣어 15~30분동안 끓여 충분히 우러나오도록 한 후 끓인 염액을 고운 천으로 걸러낸다.
걸러내고 남은 염료식물(인삼의 줄기, 잎, 홍삼)를 다시 물을 넣고 25~30분동안 끓여 걸러내어 염색염료를 제조한다.
제조된 염료에 인견사(200)가 혼합된 커버링사(300)로 제조된 편직물(500)을 넣어 염색하게 되며, 이때 70~80℃의 온도에서 3~40분 동안 염료의 pH가 7~8 유지되도록 하여 염색하게 된다.
염료에 의한 염색 후 염색된 편직물(500)은 수세과정을 거쳐 씻은 후 건조하게 되며, 건조된 편직물(500)은 다시 매염과정을 거쳐 염료가 원단에 고착화될 수 있도록 한다.
매염은 섬유에 대한 친화력이 부족하여 직접 섬유에 염색되지 못하는 섬유를 염색하기 위해 매염제를 넣어 염료가 섬유에 고착화되도록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후매염을 통한 매염방법으로 매염제로서 알루미늄염, 크로뮴염, 철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매염에 의해 섬유에 염료가 고착화되어 염색이 됨에 따라 세탁시에도 염료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섬유의 염색견뢰도가 높아지게 된다.
매염단계를 거친 편직물(500)은 다시 건조를 시켜 제조를 완료하게 되며, 염색과정을 거친 가공편직물(600)은 양발, 의류, 침구류 등을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벌레퇴치 기능을 갖도록 허브향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벌레퇴치 기능이 있는 허브인 라벤더, 로즈마리, 민트를 추출하여 염료를 제조하며, 허브의 잎을 세척하여 말린 후 잘게 썰어 준비한다.
잘게 썬 허브는 물에 넣어 끓이게 되고 20~30분동안 끓여 충분히 우러나오도록 한 후 고운 천에 걸러낸다. 이러한 끓이는 과정은 2~3회 반복하여 염료를 추출하게 된다.
제조된 염료에 인견사(200)가 혼합된 커버링사(300)로 제조된 편직물(500)을 넣어 염색하게 되며, 이때 70~80℃의 온도에서 3~40분 동안 염료의 pH가 7~8 유지되도록 하여 염색하게 된다.
염료에 의한 염색 후 염색된 편직물(500)은 수세과정을 거쳐 씻은 후 건조하게 되며, 건조된 편직물(500)은 다시 매염과정을 거쳐 염료가 원단에 고착화될 수 있도록 한다.
매염은 섬유에 대한 친화력이 부족하여 직접 섬유에 염색되지 못하는 섬유를 염색하기 위해 매염제를 넣어 염료가 섬유에 고착화되도록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후매염을 통한 매염방법으로 매염제로서 알루미늄염, 크로뮴염, 철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매염에 의해 섬유에 염료가 고착화되어 염색이 됨에 따라 세탁시에도 벌레퇴지기능을 갖는 성분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매염단계를 거친 편직물(500)은 다시 건조를 시켜 제조를 완료하게 되며, 염색과정을 거친 가공편직물(600)은 양발, 의류, 침구류 등을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생광석 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생광석은 자연 상태에서 사람의 세포분자운동과 같은 파장대의 에너지를 방사해 생체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공기 중 산소에 음이온을 띠게 하는 생광석은 세포의 분자활동을 활성화하여 세포를 건강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생체 세포 활성화 에너지를 방사하여 물 분자의 공명현상과 세포 분자의 진동현상으로 체온을 상승시키고,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만들며 우리의 몸이 적합한 체온을 유지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생광석이 방사하는 8~12㎛의 파장의 생체세포활성화에너지는 우리의 생체세포에 직접적인 반응으로 생체가 가지고 있는 물분자의 공명현상과 세포분자의 진동현상으로 체온을 상승시키고 이러한 반응에 의해서 인체에서 발한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네이버 검색]
본 발명에서는 생광석이 이로운 효과를 편직물(500)을 통해 제공하기 위해 생광석의 성분이 편직물(500)에 함유된 가공편직물(600)을 제조한다.
먼저 생광석을 분쇄하여 준비하고, 분쇄한 생광석을 물에 혼합한 후 30~40분동안 끓이게 된다.
끓인 물은 고운 채에 걸려내고 이를 2~3회 반복하여 생광석의 이로운 성분이 충분히 우러나오도록 하여 염료를 제조한다.
제조된 염료에 인견사(200)가 혼합된 커버링사(300)로 제조된 편직물(500)을 넣어 염색하게 되며, 이때 70~80℃의 온도에서 3~40분 동안 염료의 pH가 7~8 유지되도록 하여 염색하게 된다.
염료에 의한 염색 후 염색된 편직물(500)은 수세과정을 거쳐 씻은 후 건조하게 되며, 건조된 편직물(500)은 다시 매염과정을 거쳐 염료가 원단에 고착화될 수 있도록 한다.
매염은 섬유에 대한 친화력이 부족하여 직접 섬유에 염색되지 못하는 섬유를 염색하기 위해 매염제를 넣어 염료가 섬유에 고착화되도록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후매염을 통한 매염방법으로 매염제로서 알루미늄염, 크로뮴염, 철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매염에 의해 섬유에 염료가 고착화되어 염색이 됨에 따라 세탁시에도 생광석의 이로운 성분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매염단계를 거친 편직물(500)은 다시 건조를 시켜 제조를 완료하게 되며, 염색과정을 거친 가공편직물(600)은 양발, 의류, 침구류 등을 제조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 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한다.
(10)-- 안내롤러 (20)-- 가이드바
(30)-- 중공부재 (40)-- 스네일 와이어
(100)-- 코어사 (200)-- 인견사
(300)-- 커버링사 (400)-- 편직기
(500)-- 편직물 (600)-- 가공편직물

Claims (3)

  1. 인견사가 포함된 커버링사를 이용한 섬유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30~80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사(50)를 준비하는 단계와,
    40~100데니어인 폴리우레탄사(60)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에스테르사(50)와 폴리우레탄사(60)를 우연(S꼬임)으로 연사하여 70~150데니어인 코어사(100)를 제조하는 단계와,
    50~80데니어인 인견사(200)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코어사(100)와 인견사(200)를 안내롤러(10)에 의해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가압 펼침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코어사(100)를 가운데 두고 인견사(200)를 좌연(Z꼬임)으로 감겨지도록 하여 12~230데니어인 커버링사(300)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링사(300)는 편직기(400)를 이용하여 편직물(500)을 제조한 후 사포닌 성분이 포함된 염료로 염색하여 가공편직물(600)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사(300)의 꼬임수는 500~800T/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편직물(500)을 염색하여 가공편직물(600)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편직기(400)를 이용하여 편직물(500)을 제조한 후 사포닌 성분이 포함된 염료로 염색하여 가공편직물(600)을 제조하기 위해 인삼의 잎과 줄기, 홍삼을 잘게 썬 후 물에 넣어 15~30분동안 끓여 사포닌 성분이 우러나오도록 한 후 끓인 염액을 걸러내어 염료를 제조하는 단계와,
    사포닌 성분이 포함되게 제조된 염료에 인견사(200)가 혼합된 커버링사(300)로 제조된 편직물(500)을 70~80℃의 온도에서 3~40분 동안 염료의 pH가 7~8 유지되도록 하여 염색하는 단계와,
    염료에 의한 염색 후 염색된 편직물(500)은 수세과정을 거쳐 씻은 후 건조하고 건조된 편직물(500)은 매염과정을 거쳐 염료가 원단에 고착화되도록 하는 단계와,
    매염단계를 거친 편직물(500)을 건조시켜 가공편직물(600)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
KR1020190168465A 2019-12-17 2019-12-17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 KR102235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465A KR102235469B1 (ko) 2019-12-17 2019-12-17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465A KR102235469B1 (ko) 2019-12-17 2019-12-17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469B1 true KR102235469B1 (ko) 2021-04-01

Family

ID=7544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465A KR102235469B1 (ko) 2019-12-17 2019-12-17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469B1 (ko)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670A (ja) * 1991-12-18 1993-06-29 Nippon Medical Kk 足指リング
KR200189224Y1 (ko) * 2000-02-03 2000-07-15 허만수 발가락 무좀 예방용 링
KR20000018436U (ko) * 1999-03-19 2000-10-16 이명범 무좀방지용 발가락지
KR20010073447A (ko) * 2000-01-14 2001-08-01 정선영 발가락분리방법
KR200239735Y1 (ko) * 2001-04-20 2001-10-11 김기덕 무좀 방지용 발가락 밴드
KR20020010270A (ko) * 2000-07-28 2002-02-04 정선영 발가락 분리방법
KR200325148Y1 (ko) 2003-05-09 2003-09-02 김동겸 무좀방지용 양말 보조착용물
KR200384544Y1 (ko) * 2005-02-21 2005-05-16 이승화 은나노 발가락 위생 보호대
KR20070106113A (ko) * 2006-04-28 2007-11-01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가락 삽입구
KR20080004326U (ko) * 2007-03-29 2008-10-02 김태일 무좀 예방 토우링
KR20100031363A (ko) * 2008-09-12 2010-03-22 주식회사 비엠시스 무좀치료 및 예방용 발가락 보호대
KR20110000454U (ko) * 2009-07-09 2011-01-17 오석민 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발가락목 밴드
KR20110080959A (ko) * 2010-01-07 2011-07-13 박헌철 발가락 삽입구
KR20110009798U (ko) * 2010-04-09 2011-10-17 오철욱 발가락 골무
KR20140050797A (ko) * 2012-10-22 2014-04-30 남창우 무좀 방지용 발가락 끼우개
JP2018123435A (ja) * 2017-01-30 2018-08-09 ナカイニット株式会社 靴下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670A (ja) * 1991-12-18 1993-06-29 Nippon Medical Kk 足指リング
KR20000018436U (ko) * 1999-03-19 2000-10-16 이명범 무좀방지용 발가락지
KR20010073447A (ko) * 2000-01-14 2001-08-01 정선영 발가락분리방법
KR200189224Y1 (ko) * 2000-02-03 2000-07-15 허만수 발가락 무좀 예방용 링
KR20020010270A (ko) * 2000-07-28 2002-02-04 정선영 발가락 분리방법
KR200239735Y1 (ko) * 2001-04-20 2001-10-11 김기덕 무좀 방지용 발가락 밴드
KR200325148Y1 (ko) 2003-05-09 2003-09-02 김동겸 무좀방지용 양말 보조착용물
KR200384544Y1 (ko) * 2005-02-21 2005-05-16 이승화 은나노 발가락 위생 보호대
KR20070106113A (ko) * 2006-04-28 2007-11-01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가락 삽입구
KR20080004326U (ko) * 2007-03-29 2008-10-02 김태일 무좀 예방 토우링
KR20100031363A (ko) * 2008-09-12 2010-03-22 주식회사 비엠시스 무좀치료 및 예방용 발가락 보호대
KR20110000454U (ko) * 2009-07-09 2011-01-17 오석민 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발가락목 밴드
KR20110080959A (ko) * 2010-01-07 2011-07-13 박헌철 발가락 삽입구
KR20110009798U (ko) * 2010-04-09 2011-10-17 오철욱 발가락 골무
KR20140050797A (ko) * 2012-10-22 2014-04-30 남창우 무좀 방지용 발가락 끼우개
JP2018123435A (ja) * 2017-01-30 2018-08-09 ナカイニット株式会社 靴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82245B (zh) 一种抗菌保暖内衣面料及其制备方法
CN102312342A (zh) 多功能保暖内衣面料及其加工方法
CN103361866B (zh) 一种麻赛尔咖啡碳纤维针织面料及其制作方法
Prakash Bamboo fibre
CN109385729A (zh) 一种抗菌型混纺织物及其制备工艺
CN106012148A (zh) 一种棉麻保温变色纤维混纺纱线的制备方法
CN104313776B (zh) 一种具有保健功能的无缝针织内衣的生产方法
CN106223004A (zh) 一种轻柔浴巾面料的制备方法
CN105133135A (zh) 一种竹纤维与麻纤维混纺布料
CN106350994A (zh) 一种轻柔保暖型浴巾面料的制备方法
CN104060379A (zh) 天然保健抗菌针织面料的生产工艺
CN106467985A (zh) 一种冰爽再生纤维素纤维及其制备方法和纺织品
CN100999848A (zh) 羊毛与改性涤纶混纺呢绒面料及其工艺
KR102235469B1 (ko) 사포닌성분이 포함된 인견사 원단 제조방법
Afrin et al. Bamboo fibres and their unique properties
CN202954214U (zh) 一种用于瑜伽服的网眼布面料
CN106120139A (zh) 一种天丝纤维毛毯的生产工艺
CN202820582U (zh) 一种大豆蛋白复合纤维绒毯
CN112593327A (zh) 具有抗寒保暖功能的复合羊毛面料及其制作工艺
CN108588996A (zh) 一种外观及手感全方位仿麻的针织面料的制作方法
KR101229118B1 (ko) 신서란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한 직물
CN109706620A (zh) 一种植功能植物纤维面料及其制备方法
CN109576883A (zh) 一种亚麻竹多纤混纺针织面料
KR20090085244A (ko) 물세탁 가능한 실크 제조 방법
CN107503011A (zh) 具有保健防晒的托玛琳纤维、香蕉茎秆纤维针织内衣的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