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180B1 - 인지 기능 개선제, 인지 기능 유지제, 해마 기능 개선제 및 해마 기능 유지제 - Google Patents

인지 기능 개선제, 인지 기능 유지제, 해마 기능 개선제 및 해마 기능 유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180B1
KR102606180B1 KR1020227043966A KR20227043966A KR102606180B1 KR 102606180 B1 KR102606180 B1 KR 102606180B1 KR 1020227043966 A KR1020227043966 A KR 1020227043966A KR 20227043966 A KR20227043966 A KR 20227043966A KR 102606180 B1 KR102606180 B1 KR 102606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entia
ferm
bifidobacterium
cognitive function
bre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0736A (ko
Inventor
가네타다 시미즈
노리코 가쓰마타
가즈야 오노
Original Assignee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10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5Bifido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V2400/519Bre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투여하기 위한 인지 기능 개선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인지 기능 개선제, 인지 기능 유지제, 해마 기능 개선제 및 해마 기능 유지제
본 발명은, 인지 기능 개선제, 인지 기능 유지제, 해마 기능 개선제 및 해마 기능 유지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6월 18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20-105650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인간은 나이를 먹음에 따라 학습 능력이나 기억력이라는 뇌 기능이 서서히 저하되어 가고, 건망증이나 불안 장애, 의욕의 저하, 수면의 질의 저하 등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이 자연의 섭리에 더하여, 치매증에 걸렸을 때는, 인간의 존엄까지도 위협되는 심각한 사태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현재, 치매증의 예방과 치료의 연구가 정력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치매증이란, 각종 원인으로 뇌세포가 죽거나, 활동이 악화되거나 하는 것에 의해 일어나는 다양한 장애가 원인으로 되어, 사물의 판단이 불가능해지거나, 기억력의 급속한 저하가 생기거나 함으로써 계속적으로 생활에 지장이 생기고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치매증을 발증하는 요인은, 신경 변성 질환이 가장 많고, 이어서, 뇌혈관형 치매증이다. 신경 변성 질환은 오랜 시간을 걸쳐 뇌의 신경 세포에 이상(異常)이 축적되고, 최종적으로 세포사에 이르는 것이며, 알츠하이머병, 전두측두형 치매증, 루이소체형 치매증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뇌혈관형 치매증은 뇌경색, 뇌출혈, 뇌동맥 경화 등이 원인이 되어 뇌의 신경 세포가 죽거나, 신경의 네트워크가 깨지거나 해버리는 것에 의해 일어난다.
특허문헌 1에는, 치매증 환자를 위한 뇌 기능 개선제가 기재되어 있다.
국제공개 제2017/209156호
경도 인지 장애(MCI: Mild Cognitive Impairment)는, 정상인이지만, 인지 기능의 저하가 일어나 있는 상태이다. MCI는 가역적인 상태이며, 인지 기능이 정상인 상태로 회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MCI로 진단된 경우라도, 인지 기능의 개선 또는 유지가 가능하면 치매증으로의 이행을 늦추거나, 예방하거나 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은, 치매증 중 반수 가까이를 차지한다.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에서는, 발증의 20년 이상 이전부터 신경 세포의 변성이 인지되고, 신경 세포가 탈락하여 해마의 위축이 생겨, 해마 기능의 저하가 일어난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러므로, 해마 기능의 개선 또는 유지가 가능하면,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의 발증을 늦추거나, 예방하거나 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투여하기 위한 인지 기능 개선제 또는 인지 기능 유지제, 또는 해마 기능 개선제 또는 해마 기능 유지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1]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투여하기 위한 인지 기능 개선제.
[2]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지만, 가령(加齡)에 수반하는 뇌의 인지 기능의 저하가 우려되는 대상인, [1]에 기재된 인지 기능 개선제.
[3]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지만, 가령에 수반하는 복합적인 인지 기능의 저하가 우려되는 대상인, [1]에 기재된 인지 기능 개선제.
[4]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정상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및 정상인 및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에 기재된 인지 기능 개선제.
[5]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MMSE 스코어가 22 이상이고, 또한, RBANS 합계 스코어가 65 이하 또는 뇌의 건강 체크의 스코어가 75 이하인 대상인, [1]에 기재된 인지 기능 개선제.
[6]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를 1×106∼1×1012CFU/g 포함하는,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지 기능 개선제.
[7]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을 위한 인지 기능 개선용 음식품.
[8]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투여하기 위한 인지 기능 개선제의 제조를 위한,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사용.
[9]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투여하기 위한 인지 기능 유지제.
[10]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지만, 가령에 수반하는 뇌의 인지 기능의 저하가 우려되는 대상인, [9]에 기재된 인지 기능 유지제.
[11]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지만, 가령에 수반하는 복합적인 인지 기능의 저하가 우려되는 대상인, [9]에 기재된 인지 기능 유지제.
[12]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정상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및 정상인 및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9]에 기재된 인지 기능 유지제.
[13]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MMSE 스코어가 22 이상이고, 또한, RBANS 합계 스코어가 65 이하 또는 뇌의 건강 체크의 스코어가 75 이하인 대상인, [9]에 기재된 인지 기능 유지제.
[14]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를 1×106∼1×1012CFU/g 포함하는, [9]∼[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지 기능 유지제.
[15]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을 위한 인지 기능 유지용 음식품.
[16]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투여하기 위한 인지 기능 유지제의 제조를 위한,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사용.
[17]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해마 기능 개선제.
[18]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투여하기 위한, [17]에 기재된 해마 기능 개선제.
[19]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정상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및 정상인 및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8]에 기재된 해마 기능 개선제.
[20]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MMSE 스코어가 22 이상이고, 또한, RBANS 합계 스코어가 65 이하 또는 뇌의 건강 체크의 스코어가 75 이하인 대상인, [18]에 기재된 해마 기능 개선제.
[21]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를 1×106∼1×1012CFU/g 포함하는, [17]∼[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해마 기능 개선제.
[22]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해마 기능 개선용 음식품.
[23] 해마 기능 개선제의 제조를 위한,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사용.
[24]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해마 기능 유지제.
[25]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투여하기 위한 [24]에 기재된 해마 기능 유지제.
[26]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정상인 및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5]에 기재된 해마 기능 유지제.
[27]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MMSE 스코어가 22 이상이고, 또한, RBANS 합계 스코어가 65 이하 또는 뇌의 건강 체크의 스코어가 75 이하인 대상인, [25]에 기재된 해마 기능 유지제.
[28]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를 1×106∼1×1012CFU/g 포함하는, [24]∼[2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해마 기능 유지제.
[29]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해마 기능 유지용 음식품.
[30] 해마 기능 유지제의 제조를 위한,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사용.
본 발명에 의하면,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투여하기 위한 인지 기능 개선제 또는 인지 기능 유지제, 또는 해마 기능 개선제 또는 해마 기능 유지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시험 전후에서의 RBANS 스코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도 2는, 시험 전후에서의 RBANS 스코어의 변동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도 3은, 시험 전후에서의 뇌의 건강 체크(JMCIS)의 스코어 및 변동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에 의해 표시되는 수치 범위는, 「∼」의 양측의 수치를 포함한다.
MMSE 스코어는, MMSE(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미니 멘탈 스테이트 검사)에 의해 산출되는 스코어다. MMSE는, 임상 및 연구에 있어서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지 기능 장해의 스크리닝법이다. 소재식(所在識), 언어성 기억, 전반성 주의·계산, 언어, 도형 모사에 관한 검사에서, 30점 만점이다. MMSE 스코어가 낮을수록 인지 기능 저하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RBANS 스코어는, RBANS(Repeatable Battery for the Assessment of Neuropsychological Status; 인지 능력 측정 검사)에 의해 산출되는 스코어다. RBANS는 1998년에 Randolph에 의해 개발되고, 전미에서 표준화된 신경심리학검사로, 즉시 기억, 지연 기억, 시공간·구성, 언어, 주의의 5가지 인지 영역을 평가한다. 12개의 시험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시험의 원점수(raw score)로부터 연령 등을 가미한 환산표에 의해 각 인지 영역의 평가점을 산출한다(레지리오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제공). RBANS 스코어가 낮을수록 인지 기능 저하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뇌의 건강 체크(JMCIS)(등록상표)는, 정상인∼경계 영역∼MCI 영역의 미세한 인지 기능의 변화를 10분 정도의 대화식 체크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높은 정밀도로 정량(定量) 표현할 수 있는 검사이다. 대상자의 성별, 연령, 학습 연수, 인종 등의 정보를 기초로, 독자적인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한다(가부시키가이샤 밀레니아로부터 제공). 뇌의 건강 체크에 의해 평가, 산출되는 개인의 인지 기능을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지수인 MPI(Memory Performance Index: 인지 기능 지수) 스코어(이하 「MPI 스코어」또는 「뇌의 건강 체크의 스코어」라고 함)가 낮을수록 인지 기능 저하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FERM은, NITE 특허 생물 기탁 센터(NITE-IPOD;NITE Internatinal Patent Organism Depositary)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그리고, NITE는,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Evaluation(독립 행정법인 제품 평가 기술 기반 기구)의 약칭이다.
[인지 기능 개선제]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는,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인지 기능 개선제다.
<투여 대상>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의 투여의 대상은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다.
상기 대상은 통상 인간이지만, 인간 이외의 포유동물, 예를 들면 개,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 소, 양, 돼지 등의 가축에게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대상이 인간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은, 이하의 (1)∼(4) 중 어느 하나의 대상이 바람직하다.
(1)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지만, 가령에 수반하는 뇌의 인지 기능의 저하가 우려되는 대상.
(2)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지만, 가령에 수반하는 복합적인 인지 기능의 저하가 우려되는 대상.
(3) 정상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및 정상인 및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상.
(4) MMSE 스코어가 22 이상이고, 또한, RBANS 합계 스코어가 65 이하 또는 뇌의 건강 체크의 스코어가 75 이하인 대상. 상기 RBANS 합계 스코어는 41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뇌의 건강 체크의 스코어는 50.2 이하가 바람직하다.
<투여 경로>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의 투여 경로는, 예를 들면 경구 투여, 복강내 투여, 근육내 투여, 경점막 투여, 비강내 투여, 직장내 투여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인지 기능의 개선>
본 발명에 있어서, 인지 기능의 개선은,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의 투여의 전후에서, MMSE 스코어, RBANS 합계 스코어 및 뇌의 건강 체크 중 1개 이상으로 스코어 증가가 인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인지 기능의 개선으로서는, 특히, RBANS에 있어서, 즉시 기억, 시공간·구성 및 지연 기억의 각 영역 및 종합 평가점 중 1개 이상에 있어서 스코어 증가가 인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시공간·구성 및 지연 기억 중 적어도 한쪽의 영역에 있어서 스코어 증가가 인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뇌의 건강 체크에 있어서 MPI 스코어의 증가가 인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의 유효 성분은,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다.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다.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란, 비피도박테리움속에게 속하는 세균의 1종이다.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는 주로 유유아의 대장 내에 많이 정주하고 있고, 비피도박테리움속에게 속하는 균종 중에서도 비피도박테리움·롱검·서브스피시즈·인판티스(Bifidobacterium longum subsp. infantis) 등과 함께, 유유아형의 비피도박테리움속 세균으로서 알려져 있다.
본 기술의 인지 기능 개선제는, 그 유효 성분이 주로 유유아의 대장 내에 많이 정주하고 있는,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를 포함하는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인 것으부터, 안전성이 우수하고, 장기간, 연속적으로 투여해도 부작용을 걱정할 필요성도 낮아, 대단히 유용하다. 또한, 다른 약제와의 병용에 있어서도 안전성이 높다.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대신에, 동등한 균주를 사용해도 된다. 동등한 균주란, 동일한 분리주에 유래하는 균주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와 동등한 균주로서,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MCC1274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MCC는 Morinaga Culture Collection(Morinaga Milk Industry Co., Ltd.)를 의미한다.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는,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분양주를 배양함으로써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배양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세균의 성질에 따른 적당한 조건 하에서 배양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배양 온도는 통상 25∼50℃이고, 35∼42℃가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은 혐기 조건 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탄산가스 등의 혐기 가스를 통기하면서 배양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정치(靜置) 배양 등의 미호기 조건 하에서 배양해도 된다.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를 배양하는 배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비피도박테리움속에 속하는 세균의 배양에, 통상 사용되는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탄소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락토오스, 아라비노오스, 만노오스, 수크로오스, 전분, 전분 가수분해물, 폐당밀 등의 당류를 자화성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질소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질산암모늄 등의 암모늄염류나 질산염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기염류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인산칼륨, 황산마그네슘, 염화칼슘, 질산칼슘, 염화망간, 황산제1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펩톤, 대두분, 탈지 대두박, 육류 엑기스, 효모 엑기스 등의 유기 성분을 사용해도 된다.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는 배양 후 얻어진 배양물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희석 또는 농축하여 사용해도 되고, 배양물로부터 회수한 균체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에서는,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뿐만 아니라,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를 포함하는 배양물이나 배양 상청도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양물로서는,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를 배양하여 증식한 후, 세균체 이외를 극력 제거한 것이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세균체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세균체만으로 이루어진다」란, 습질량으로, 배양물의 전질량의 95 질량% 이상이 세균체인 것을 의미한다.
배양 상청이란,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를 배양했을 때 얻어지는 배양액 부분, 또는 그 윗물 용액이며, 배양 상청은 필터링에 의해 세균 제거 처리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는, 상기 유효 성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상기 유효 성분과 상기 유효 성분 이외의 임의 성분을 배합한 조성물이어도 된다.
상기 임의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의약품에 배합되어 있는 첨가제(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제 담체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에서의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효과적인 인지 기능 개선 효과를 위한 1일당의 투여량을 무리없이 섭취할 수 있는 정도의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6∼1×1012CFU/g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를 1×106∼1×1012CFU/g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를, 1일당 1∼3g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CFU는 콜로니 형성 단위(Colony Forming Unit)를 표시한다.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를 1×106∼1×1012CFU/g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는 1일당 1회의 투여라도 되지만, 1일당 2회 이상으로 나누어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를 1×106∼1×1012CFU/g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는, 매일 계속해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12주일 이상 매일 투여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제화>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는, 경구 투여나 비경구 투여 등의 투여 방법에 의해 적절히 원하는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그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구 투여의 경우, 예를 들면 산제, 과립제, 정제(錠劑), 트로키제, 캡슐제 등의 고형 제제; 용액제, 시럽제, 현탁제, 유제 등의 액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의 경우, 예를 들면 좌제, 분무제, 흡입제, 연고제, 첩부제, 주사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기술에서는, 경구 투여의 제형으로 제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제화는 제형에 따라, 적절히 공지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제제화에 있어서는 적절히 제제 담체를 배합하는 등으로 제제화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 외에, 통상 제제화에 사용되고 있는 부형제(賦形劑), pH 조정제, 착색제, 교미제(矯味劑) 등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지의 또는 장래에 발견되는 질환이나 증상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의 효과를 가지는 성분을, 적절히 목적에 따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제 담체로서는, 제형에 따라 각종 유기 또는 무기의 담체를 사용할 수 있다.
고형 제제의 경우의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안정제, 교미교취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당, 백당, 포도당, 마니트, 소르비트 등의 당 유도체;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α-전분, 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 전분 등의 전분 유도체; 결정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아라비아 고무; 덱스트란; 풀루란; 경질 무수규산, 합성 규산 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등의 규산염 유도체; 인산칼슘 등의 인산염 유도체;탄산칼슘 등의 탄산염 유도체; 황산칼슘 등의 황산염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부형제 외에,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마크로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붕괴제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부형제 외에,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화학수식된 전분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택제로서는, 예를 들면 탈크;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의 스테아르산 금속염; 콜로이드 실리카; 비검(Veegum), 경랍 등의 왁스류; 붕산; 글리콜; 푸말산, 아디프산 등의 카르본산류; 벤조산나트륨 등의 카르본산나트륨염; 황산나트륨 등의 황산염류; 류신;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마그네슘 등의 라우릴황산염; 무수규산, 규산 수화물 등의 규산류; 전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의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류;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코올, 페닐에틸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염화벤잘코늄; 무수아세트산; 소르브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교미교취제로서는, 예를 들면 감미료, 산미료,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경구 투여용의 액제의 경우에 사용하는 담체로서는, 물 등의 용제, 교미교취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는, 공지의 또는 장래에 발견되는 인지 기능 개선 작용을 가지는 약, 항치매증 작용을 가지는 약, 항우울증 작용을 가지는 약, 항정신분열증 작용을 가지는 약, 항섬망 작용을 가지는 약 등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지 기능 개선용 음식품]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용 음식품은,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을 위한 인지 기능 개선용 음식품이며,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한다.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 유효 성분인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에 대해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와 마찬가지다.
음식품로서는, 액상, 페이스트상, 고체, 분말 등의 형태를 불문하고, 정과(錠菓), 유동식, 사료(애완동물용을 포함함) 등 외에, 예를 들면 밀가루 제품, 즉석식품, 농산 가공품, 수산 가공품, 축산 가공품, 유즙·유제품, 유지류, 기초 조미료, 복합 조미료·식품류, 냉동식품, 과자류, 음료, 이들 이외의 시판 식품 등을 들 수 있다.
유제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발효유, 유음료, 유산균 음료, 가당연유, 탈지 분유, 가당분유, 조정분유, 크림, 치즈, 버터, 아이스크림류 등을 들 수 있다.
밀가루 제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빵, 마카로니, 스파게티, 면류, 케이크믹스, 튀김분, 빵가루 등을 들 수 있다.
즉석식품류로서는, 예를 들면 즉석면, 컵라면, 레토르트·조리 식품, 조리 통조림, 전자렌지 식품, 즉석 스프·스튜, 즉석 된장국·맑은 장국, 스프 통조림, 냉동·건조 식품, 기타의 즉석식품 등을 들 수 있다.
농산 가공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농산물 통조림, 과실 통조림, 잼·마멀레이드류, 야채 절임, 콩자반류, 농산 건조물류, 시리얼(곡물 가공품) 등을 들 수 있다.
수산 가공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물 통조림, 어육햄·소세지, 수산물을 으깨어 만든 제품, 수산 진미류, 츠쿠타니(조림)류 등을 들 수 있다.
축산 가공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축산물 통조림·페이스트류, 축육햄·소세지 등을 들 수 있다.
유지류로서는, 예를 들면 버터, 마가린류, 식물유 등을 들 수 있다.
기초 조미료로서는, 예를 들면 간장, 된장, 소스류, 토마토 가공 조미료, 미림류, 식초류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복합 조미료·식품류로서는, 조리 믹스, 카레의 재료류, 양념류, 드레싱류, 액상 다시다류, 향신료류, 기타의 복합 조미료 등을 들 수 있다.
냉동 식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소재 냉동 식품, 반조리 냉동 식품, 조리완료 냉동 식품 등을 들 수 있다.
과자류로서는, 예를 들면 캬라멜, 캔디, 츄잉 검, 초콜릿, 쿠키, 비스킷, 케이크, 파이, 스넥, 크래커, 일본식 과자, 쌀과자, 콩과자, 디저트 과자, 기타의 과자 등을 들 수 있다.
음료류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 음료, 천연과즙, 과즙 음료, 과즙 함유 청량 음료, 과육 음료, 과립 함유 과실 음료, 야채계 음료, 두유, 두유 음료, 커피 음료, 차 음료, 분말 음료, 농축 음료, 스포츠 음료, 영양 음료, 알코올 음료, 기타의 기호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외의 시판 식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베이비 푸드, 후리카케, 오차쯔케 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용 음식품로서는, 이들 중에서도 특히 유제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효유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로써, 인지 기능 개선 효과에 더하여, 유제품이 가지는 높은 영양가도 누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용 음식품은, 인지 기능 개선 효과를 표시하는 기능성 표시 식품에 응용할 수 있다.
[인지 기능 유지제]
본 발명의 인지 기능 유지제는,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인지 기능 유지제다.
본 발명의 인지 기능 유지제의 투여 대상, 투여 경로, 유효 성분 및 제제화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와 마찬가지다.
<인지 기능의 유지>
본 발명에 있어서, 인지 기능의 유지는, 본 발명의 인지 기능 유지제의 투여의 전후에서, MMSE 스코어, RBANS 합계 스코어 및 뇌의 건강 체크 중 1개 이상에 유의한 스코어 감소가 인정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인지 기능의 유지로서는, 특히 RBANS에 있어서, 즉시 기억, 시공간·구성 및 지연 기억의 각 영역 및 종합 평가점 중 1개 이상에 있어서 유의한 스코어 감소가 인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시공간·구성 및 지연 기억 중 적어도 한쪽의 영역에 있어서 유의한 스코어 감소가 인정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뇌의 건강 체크에 있어서 MPI 스코어의 유의한 감소가 인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지 기능 유지용 음식품]
전술한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용 음식품과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인지 기능 유지용 음식품은, 인지 기능 유지 효과를 표시하는 기능성 표시 식품에 응용할 수 있다.
[기능성 표시 음식품]
또한, 본 기술에서 정의되는 음식품 등은 특정한 용도(특히 보건의 용도)나 기능이 표시된 음식품으로서 제공·판매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 행위에는, 수요자에 대하여 상기 용도를 알게 하기 위한 모든 행위가 포함되고, 상기 용도를 상기(想起)·유추시킬 수 있는 것 같은 표현이면, 표시의 목적, 표시의 내용, 표시하는 대상물·매체 등의 여하에 관계되지 않고, 모두 본 기술의 「표시」 행위에 해당한다.
또한, 「표시」는, 수요자가 상기 용도를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 같은 표현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음식품에 관한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에 상기 용도를 기재한 것을 양도하고, 인도하고, 양도 또는 인도를 위해 전시하고, 수입하는 행위, 상품에 관한 광고, 가격표 또는 거래 서류에 상기 용도를 기재하여 전시하고, 혹은 반포하고, 또는 이들을 내용으로 하는 정보에 상기 용도를 기재하여 전자기적(인터넷 등) 방법에 의해 제공하는 행위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표시 내용으로서는, 행정 등에 의해 인가된 표시{예를 들면, 행정이 결정하는 각종 제도에 기초하여 인가를 받고, 그와 같은 인가에 기초한 태양(態樣)으로 행하는 표시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와 같은 표시 내용을 포장, 용기, 카탈로그, 팜플렛, POP 등의 판매 현장에서의 선전재, 기타의 서류 등에 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에는,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 병자용 식품, 경장 영양 식품, 특별 용도 식품, 보건 기능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기능성 표시 식품, 영양 기능 식품, 의약용 부외품 등으로서의 표시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소비자청에 의해 인가되는 표시, 예를 들면 특정 보건용 식품 제도, 기능성 표시 식품 제도, 이들에 유사한 제도에 의해 인가되는 표시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의 표시, 조건부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의 표시, 기능성 표시 식품으로서의 표시, 신체의 구조나 기능에 영향을 주는 취지의 표시, 질병 리스크 저감 표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전형적인 예로서는, 건강 증진법 시행 규칙(2003년 4월 30일 일본 후생노동성령 제86호)에 정해진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의 표시(특히 보건의 용도의 표시), 식품 표시법(2013년 법률 제70호)에 정해진 기능성 표시 식품으로서의 표시 및 이들과 유사한 표시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표시를 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언은, 인지 기능향상·개선·예방 등의 문언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이외의 문언이라도, 인지나 학습과 관련된 각종 질환이나 증상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의 효과를 나타내는 문언이라면, 본 기술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와 같은 문언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억력의 저하가 우려되는 분에게」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싶은 분에게」 「인지 기능이 우려되는 분에게」 「장래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이 되는 것을 예방하고 싶은 분에게」 「인지의 정밀도를 높이고 싶은 분에게」 「수·언어·도형·상황 등의 정보를 서포트하고 싶은 분에게」 「인지 기능의 일부인 기억의 정밀도나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싶은 분에게」 「기억력을 유지하고 싶은 분에게」 「건강한 중년 및 노년의 분으로 인지 기능의 유지를 서포트하고 싶은 분에게」 「건망이나 경도 인지 장애(MCI)가 우려되는 분에게」 「건망이 우려되는 중년 및 노년의 분에게」, 「경도 인지 장애(MCI)가 우려되는 중년 및 노년의 분에게」 등, 수요자에 대하여 인지·학습 기능의 유지·촉진·정밀도 개선의 효과를 인식시키는 것 같은 각종 용도에 기초한 표시도 가능하다.
[해마 기능 개선제]
본 발명의 해마 기능 개선제는,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해마 기능 개선제다.
해마는 대뇌변연계의 일부인 해마체의 일부이며, 뇌의 기억이나 공간 학습 능력에 관련된다. 해마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에서의 주된 병변 부위로서 알려져 있다.
해마 기능의 개선은 특히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의 발증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키거나 하는 데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발명의 해마 기능 개선제의 투여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의 투여 대상과 마찬가지다.
또한, 본 발명의 해마 기능 개선제의 투여 경로, 유효 성분 및 제제화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제와 마찬가지다.
<해마 기능의 개선>
본 발명에 있어서, 해마 기능의 개선은, 본 발명의 해마 기능 개선제의 투여의 전후에서, RBANS에 있어서, 해마가 담당하는 즉시 기억, 시공간·구성 및 지연 기억의 각 영역 및 종합 평가점 중 1개 이상에 있어서 스코어 증가가 인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시공간·구성 및 지연 기억 중 적어도 한쪽의 영역에 있어서 스코어 증가가 인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마 기능 개선용 음식품]
전술한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용 음식품과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해마 기능 개선용 음식품은, 해마 기능 개선 효과를 표시하는 기능성 표시 식품에 응용할 수 있다.
[해마 기능 유지제]
본 발명의 해마 기능 유지제는,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해마 기능 개선제다.
본 발명의 해마 기능 유지제의 투여 대상, 투여 경로, 유효 성분 및 제제화는, 전술한 본 발명의 해마 기능 개선제와 마찬가지다.
<해마 기능의 유지>
본 발명에 있어서, 해마 기능의 유지는 본 발명의 해마 기능 유지제의 투여의 전후에서, RBANS에 있어서, 해마가 담당하는 즉시 기억, 시공간·구성 및 지연 기억의 각 영역 및 종합 평가점 중 1개 이상에 있어서 유의한 스코어 감소가 인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시공간·구성 및 지연 기억 중 적어도 한쪽의 영역에 있어서 유의한 스코어 감소가 인정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해마 기능 유지용 음식품]
전술한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용 음식품과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해마 기능 유지용 음식품은, 해마 기능 유지 효과를 표시하는 기능성 표시 식품에 응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그리고,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일례를 제시한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좁게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경도 인지 장애의 의심이 있는 분을 대상으로 한 프로바이오틱스 섭취에 의한 고차(高次) 뇌기능 개선 효과의 시험예-플라시보 대조 랜덤화 이중 맹검 병행 군간 비교 시험
50세 이상 80세 미만의 일본 국적의 남성 및 여성을 볼런티어 뱅크(volunteer bank)로부터 모집하여, 선택 기준을 만족시키고, 제외 기준에 저촉되지 않는 분 중에서, MMSE와 RBANS의 스코어에 기초하여 80명을 선발했다.
피험자의 선택 기준은 하기의 3개다.
(1) 50세 이상 80세 미만의 일본 국적의 남성 또는 여성
(2) MMSE의 스코어가 22점 이상인 분
(3) 사전 동의(informed consent)를 취득할 수 있었던 분
피험자의 제외 기준은 하기의 17개다.
(1) 치매증으로 진단되고 있는 분
(2) 현재, 의사의 관리 하에 있어서, 운동 또는 식사 요법을 행하고 있는 분
(3) 시험 식품에 의해 알레르기 발증의 우려가 있는 분
(4) 약물 의존, 알코올 의존의 현병력 또는 기왕력이 있는 분
(5) 정신장애(우울증 등)나 수면장애 등으로 통원 중, 또는 과거에 정신 질환의 기왕력이 있는 분
(6) 야간 근무 또는 교대제 근무를 하는 분
(7) 식사, 수면 등의 생활 습관이 극도로 불규칙한 분
(8) 극단적인 편식을 하고 있는 분
(9) 당뇨병, 간질환(간염), 신장질환, 심질환 등의 위독한 질환, 갑상선질환, 부신질환, 기타 대사성의 위독한 질환의 현병력, 기왕력 또는 합병증을 가지는분
(10) 인지 기능에 영향을 끼치는 건강 식품, 보충제(supplement), 및 의약품을 사용하고 있는 분
(11) 소화관의 수술을 받은 적이 있는 분(맹장염을 제외함)
(12) 동의 취득일부터 거슬러 올라가 3개월 이내에 다른 임상 시험(연구)에 참가하였던 분, 혹은 시험 기간 중에 다른 임상 시험(연구)에 참가할 계획이 있는 분
(13) 동의 취득일부터 거슬러 올라서 1개월 이내에 200mL 혹은 3개월 이내에 400mL를 넘는 채혈, 성분 헌혈을 행한 분
(14) 현재, 임신 또는 수유를 하고 있거나, 또는, 시험 기간 중에 그 가능성이 있는 분
(15) 각종 조사표로의 기록 준수가 곤란한 분
(16) 스크리닝 시의 임상 검사값 및 계측값으로부터, 피험자로서 부적당하다고 판단된 분
(17) 그 외에, 시험 책임 의사가 피험자로서 부적당하다고 판단한 분
MMSE의 스코어를 22점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치매증의 의심이 있는 분을 제외했다. MMSE의 스코어는, 일반적으로 23점 이하를 치매증의 의심으로 하는 컷오프(cutoff)값이 사용되고 있지만, 컷오프값을 22점 이하로 함으로써 특이도를 올렸다.
그리고 나서, RBANS의 스코어가 낮은 쪽을 중심으로 선발하고, 경도 인지 장애(MCI)의 의심이 있는 분 80명을 선발했다.
선발된 80명은 뇌의 건강 체크를 실시한 후, 성별·연령·RBANS의 스코어를 배정 인자로 한 층별 랜덤화에 의해, 프로바이오틱스군(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섭취군)과 플라시보군의 2군으로 균등하게 나뉘었다. 시험 식품으로서, 표 1에 나타낸 2종류의 캡슐 식품을 제작했다. 프로바이오틱스군은 프로바이오틱스 캡슐(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를 캡슐 1개당 100억개 이상 포함함)을 16주간, 2개/일 섭취하고, 플라시보군은 플라시보 캡슐(전분을 캡슐에 포함함)을 16주간, 2개/일 섭취했다. 16주 후, 다시 RBANS 및 뇌의 건강 체크를 실시하고, 섭취 전후의 점수를 비교했다.
[표 1]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섭취군과 플라시보군의 RBANS의 평가점 합계 및 하위 5개의 인지 영역의 실측값의 전후 비교로부터, 평가점 합계, 즉시 기억, 시공간·구성, 지연 기억의 영역에 있어서,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섭취군의 개선이 인정되었다(도 1).
RBANS의 변동값에 관해서도, 평가점 합계, 즉시 기억, 시공간·구성, 지연 기억의 영역에 있어서,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섭취군이 개선되었다(도 2).
또한, 뇌의 건강 체크도 마찬가지로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섭취군의 개선이 전후 비교 및 변동값에 있어서 인정되었다(도 3).
RBANS 및 뇌의 건강 체크의 결과로부터,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는 가령에 수반하여 저하되는 인지 기능을 유지·개선하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그리고, RBANS에서 개선이 인정된 즉시 기억, 시공간·구성, 지연 기억의 영역은 모두 해마가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는 해마의 기능을 개선한 것이 시사된다.
뇌의 건강 체크(JMCIS)는, 정상인∼경계 영역∼MCI 영역의 미세한 인지 기능의 변화를 10분 정도의 대화식 체크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높은 정밀도로 정량 표현할 수 있는 검사이다. 대상자의 성별, 연령, 학습 연수(年數), 인종 등의 정보를 기초로, 독자적인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한다(가부시키가이샤 밀레니아로부터 제공).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총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타 (FERM) FERMBP-11175 20090825

Claims (30)

  1.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투여하기 위한 인지 기능 개선제로서,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MMSE(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미니 멘탈 스테이트 검사) 스코어가 22 이상이고, 또한, RBANS(Repeatable Battery for the Assessment of Neuropsychological Status; 인지 능력 측정 검사) 합계 스코어가 65 이하 또는 뇌의 건강 체크(JMCIS)의 스코어가 75 이하인 대상인, 인지 기능 개선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또한,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지만, 가령(加齡)에 수반하는 뇌의 인지 기능의 저하가 우려되는 대상인, 인지 기능 개선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또한,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지만, 가령에 수반하는 복합적인 인지 기능의 저하가 우려되는 대상인, 인지 기능 개선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또한, 정상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및 정상인 및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인지 기능 개선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를 1×106∼1×1012CFU/g 포함하는, 인지 기능 개선제.
  6. 제5항에 있어서,
    1일당 1~3g 투여되는, 인지 기능 개선제.
  7.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을 위한 인지 기능 개선용 음식품으로서,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MMSE 스코어가 22 이상이고, 또한, RBANS 합계 스코어가 65 이하 또는 뇌의 건강 체크의 스코어가 75 이하인 대상인, 인지 기능 개선용 음식품.
  8.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투여하기 위한 인지 기능 유지제로서,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MMSE 스코어가 22 이상이고, 또한, RBANS 합계 스코어가 65 이하 또는 뇌의 건강 체크의 스코어가 75 이하인 대상인, 인지 기능 유지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또한,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지만, 가령에 수반하는 뇌의 인지 기능의 저하가 우려되는 대상인, 인지 기능 유지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또한,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지만, 가령에 수반하는 복합적인 인지 기능의 저하가 우려되는 대상인, 인지 기능 유지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또한, 정상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및 정상인 및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인지 기능 유지제.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를 1×106∼1×1012CFU/g 포함하는, 인지 기능 유지제.
  13. 제12항에 있어서,
    1일당 1~3g 투여되는, 인지 기능 유지제.
  14.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을 위한 인지 기능 유지용 음식품으로서,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MMSE 스코어가 22 이상이고, 또한, RBANS 합계 스코어가 65 이하 또는 뇌의 건강 체크의 스코어가 75 이하인 대상인, 인지 기능 유지용 음식품.
  15.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투여하기 위한 해마 기능 개선제로서,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MMSE 스코어가 22 이상이고, 또한, RBANS 합계 스코어가 65 이하 또는 뇌의 건강 체크의 스코어가 75 이하인 대상인, 해마 기능 개선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정상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및 정상인 및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해마 기능 개선제.
  17.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투여하기 위한 해마 기능 개선용 음식품으로서,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해마 기능 개선용 음식품.
  18.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투여하기 위한 해마 기능 유지제로서,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MMSE 스코어가 22 이상이고, 또한, RBANS 합계 스코어가 65 이하 또는 뇌의 건강 체크의 스코어가 75 이하인 대상인, 해마 기능 유지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정상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 및 정상인 및 경도 인지 장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해마 기능 유지제.
  20.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 및 비피도박테리움·브레브 FERM BP-11175의 배양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투여하기 위한 해마 기능 유지용 음식품으로서,
    상기 치매증을 발증하고 있지 않은 대상이, MMSE 스코어가 22 이상이고, 또한, RBANS 합계 스코어가 65 이하 또는 뇌의 건강 체크의 스코어가 75 이하인 대상인, 해마 기능 유지용 음식품.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227043966A 2020-06-18 2021-04-21 인지 기능 개선제, 인지 기능 유지제, 해마 기능 개선제 및 해마 기능 유지제 KR102606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05650 2020-06-18
JP2020105650 2020-06-18
PCT/JP2021/016150 WO2021256077A1 (ja) 2020-06-18 2021-04-21 認知機能改善剤、認知機能維持剤、海馬機能改善剤及び海馬機能維持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736A KR20230010736A (ko) 2023-01-19
KR102606180B1 true KR102606180B1 (ko) 2023-11-23

Family

ID=7926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966A KR102606180B1 (ko) 2020-06-18 2021-04-21 인지 기능 개선제, 인지 기능 유지제, 해마 기능 개선제 및 해마 기능 유지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218686A1 (ko)
EP (1) EP4169521A1 (ko)
JP (2) JP7189393B2 (ko)
KR (1) KR102606180B1 (ko)
CN (2) CN115944656A (ko)
AU (1) AU2021293331A1 (ko)
BR (1) BR112022025078A2 (ko)
WO (1) WO20212560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63132A (ja) * 2021-10-22 2023-05-09 森永乳業株式会社 脳萎縮抑制剤、脳萎縮の抑制方法、培養物、培養物の使用、飲食品、脳萎縮抑制用食品、脳萎縮抑制用サプリメント、及び脳萎縮抑制用医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0997B (zh) * 2009-09-17 2014-12-10 森永乳业株式会社 抗肥胖剂、抗肥胖用饮食品、糖耐量改善剂和糖耐量改善用饮食品
EP2659892B1 (en) * 2010-12-29 2018-05-23 Nishizaki Bio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Concomitant drug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ES2960082T3 (es) * 2016-05-31 2024-02-29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Agente de mejora de función cerebral
JPWO2018221244A1 (ja) * 2017-05-30 2019-11-21 森永乳業株式会社 脳機能改善用組成物
JP6401414B1 (ja) * 2018-03-30 2018-10-10 義輝 霜出 アルツハイマー型認知症または軽度認知障害の認知機能を改善するとともに、それらに合併する過活動膀胱、および便秘症からなる群の少なくとも1つの疾患を一剤で治療する漢方薬
JP6557401B1 (ja) 2018-12-27 2019-08-07 加藤 好司 ボトム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18686A1 (en) 2023-07-13
KR20230010736A (ko) 2023-01-19
JP7189393B2 (ja) 2022-12-13
CN115944656A (zh) 2023-04-11
EP4169521A1 (en) 2023-04-26
CN115803039A (zh) 2023-03-14
JP2023014246A (ja) 2023-01-26
JPWO2021256077A1 (ko) 2021-12-23
BR112022025078A2 (pt) 2022-12-27
AU2021293331A1 (en) 2023-02-02
WO2021256077A1 (ja)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89174B (zh) 脑功能改善剂
JP6815410B2 (ja) 気分プロフィール改善剤
JP7280069B2 (ja) 機能性消化管障害予防又は改善用組成物、並びに、該機能性消化管障害予防又は改善用組成物を用いた医薬品組成物及び飲食品組成物
JP7323510B2 (ja) 睡眠促進用組成物並びに該睡眠促進用組成物を用いた医薬品組成物及び飲食品組成物
KR102606180B1 (ko) 인지 기능 개선제, 인지 기능 유지제, 해마 기능 개선제 및 해마 기능 유지제
WO2022196488A1 (ja) Qolを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
JP7431964B2 (ja) ミトコンドリア機能改善用組成物
WO2022064839A1 (ja) コラーゲン、エラスチン若しくはヒアルロン酸の産生又は分解に関与する遺伝子の発現調節用組成物
JP7333732B2 (ja) 筋肉量及び/又は筋力の維持、或いは筋肉量及び/又は筋力の低下抑制用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を用いた医薬品組成物及び飲食品組成物
KR20240033260A (ko) 뇌위축 억제제, 뇌위축의 억제 방법, 배양물, 배양물의 사용, 음식품, 뇌위축 억제용 식품, 뇌위축 억제용 서플리먼트, 및 뇌위축 억제용 의약
JP2021134156A (ja) 基礎代謝向上用組成物
JP2021195332A (ja) 多動性抑制用組成物
JP2022141436A (ja) 概日リズム改善のための組成物
JP2020180095A (ja) 血中尿酸値低減用組成物、及び高尿酸血症予防又は改善用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を用いた医薬品組成物及び飲食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