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149B1 -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149B1
KR102603149B1 KR1020210095717A KR20210095717A KR102603149B1 KR 102603149 B1 KR102603149 B1 KR 102603149B1 KR 1020210095717 A KR1020210095717 A KR 1020210095717A KR 20210095717 A KR20210095717 A KR 20210095717A KR 102603149 B1 KR102603149 B1 KR 102603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ver
frame
seat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4413A (ko
Inventor
진수일
다이스케 사타케
아키라 사토
나오키 카스야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0095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149B1/ko
Priority to JP2023536616A priority patent/JPWO2023002708A1/ja
Priority to CN202280051002.6A priority patent/CN117677536A/zh
Priority to PCT/JP2022/013762 priority patent/WO2023002708A1/ja
Publication of KR2023001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Abstract

개시되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시트 쿠션을 배치하고 시트 쿠션에 시트 커버를 결합할 수 있는 쿠션작업부; 및 베이스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시트 커버를 배치하고 시트 커버를 시트 쿠션의 상부로 이송할 수 있는 커버작업부를 포함하고, 커버작업부는 시트 커버의 서스펜더에 결합되는 클립의 각도를 정렬할 수 있으므로, 시트 쿠션에 시트 커버를 결합하는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시트 쿠션에 시트 커버를 빠르고 쉽게 결합할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Vehicle seat assembly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시트 쿠션에 시트 커버를 결합하기 위한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는 차체와 연결되어 각종 부품을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탑승자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 및 상기 시트 쿠션에 결합되어 표면을 형성하는 시트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 쿠션은 폼패드, 스펀지 또는 부직포 형태이고, 시트 커버는 천연가죽, 인조가죽 또는 직물로 만들어진다.
시트 커버를 시트 쿠션에 고정하기 위해서, 시트의 심미적인 디자인을 유지하는 다양한 구조 및 방법이 채용된다.
호그링 방법은 작업자가 무거운 호그링 기계를 이용하여 연속작업을 함으로써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되고, 작업공수가 많아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시트 커버에 결합되는 클립을 시트 쿠션의 홈 내에 배치된 와이어에 체결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차량용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은 거의 대부분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고 작업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3839호 ‘자동차용 시트백의 커버 조립 장치’는 콤푸레샤와, 공압 실린더와, 이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에 달린 롤러와, 패드 상태의 시트백이 고정되는 지그다이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시트 커버가 자동으로 롤러의 미는 압력으로 밀리면서 패드 상태의 시트백에 자동으로 씌워지게 되는 자동차용 시트백의 커버 조립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차량용 시트 제조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시트 쿠션을 배치하고 시트 쿠션에 시트 커버를 결합할 수 있는 쿠션작업부; 및 베이스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시트 커버를 배치하고 시트 커버를 시트 쿠션의 상부로 이송할 수 있는 커버작업부를 포함하고, 커버작업부는 시트 커버의 서스펜더에 결합되는 클립의 각도를 정렬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베이스부는, 제1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지지대; 및 제1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커버작업부는, 제2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시트 커버를 배치할 수 있는 커버거치대;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제1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을 왕복할 수 있는 이송부; 이송부에 결합되는 제2승강부; 제2승강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에 결합되고 클립을 구속할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커버거치대는, 제2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3지지대; 및 제3지지대에 결합되고 시트 커버를 배치할 수 있는 제1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테이블은 서스펜더의 머리부가 접하면서 정렬되는 제1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테이블은 클립이 위치하며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홈이 제1경사면에 형성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홀더는, 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6지지대; 제6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 복수의 이동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6프레임; 제6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제7프레임; 및 이동홈에 위치하며 제7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퍼를 포함하고, 제7프레임을 이동시키면 클램퍼가 이동홈에 위치하는 클립을 구속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6프레임은 서스펜더의 머리부가 접하면서 정렬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7프레임은 제6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고정구는 클램퍼가 클립의 구속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6프레임은 길이 방향의 일단에 스토퍼가 형성되고, 스토퍼는 서스펜더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의하면,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시트 쿠션을 배치하고 시트 쿠션에 시트 커버를 결합할 수 있는 쿠션작업부; 및 베이스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시트 커버를 배치하고 시트 커버를 시트 쿠션의 상부로 이송할 수 있는 커버작업부를 포함하고, 커버작업부는 시트 커버의 서스펜더에 결합되는 클립의 각도를 정렬할 수 있으므로, 시트 쿠션에 시트 커버를 결합하는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의하면, 시트 쿠션에 시트 커버를 빠르고 쉽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과 작업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의하면, 시트 쿠션에 시트 커버를 결합하는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차량용 시트의 조립품질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의하면, 시트 쿠션에 시트 커버를 결합하는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품질의 차량용 시트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와이어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시트 쿠션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에 시트 커버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커버작업부가 시트 커버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커버작업부가 시트 쿠션 상부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커버작업부가 시트 커버를 시트 쿠션 위에 배치하고 원위치로 돌아온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쿠션작업부가 시트 쿠션에 시트 커버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9는 도 3의 시트 쿠션 및 와이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쿠션작업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시트 쿠션 및 와이어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4의 커버작업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커버작업부에 시트 커버에 결합되는 서스펜더가 정렬되는 것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커버작업부의 스토퍼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커버작업부의 클램퍼가 클립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서스펜더, 클립 및 클램퍼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쿠션작업부의 그러퍼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18은 커버작업부의 클램퍼와 쿠션작업부의 그러퍼가 클립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19는 도 18에서 커버작업부의 클램퍼가 클립의 구속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20은 커버작업부의 클램퍼가 클립을 구속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커버작업부의 클램퍼가 클립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쿠션작업부의 그러퍼가 클립을 하강시켜 와이어에 고정하는 것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커버작업부가 시트 커버를 시트 쿠션 위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에서 커버작업부의 클램퍼가 클립을 구속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에서 쿠션작업부의 그러퍼가 클립을 구속하기 위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26은 쿠션작업부의 그러퍼가 상승하고 일부 블록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7은 쿠션작업부의 그러퍼가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난 X, Y, Z 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전(화살표 쪽), 후(화살표 반대쪽) 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좌, 우방향을 지시하며, Z축은 상, 하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 앞쪽), 후(배, 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10)는, 베이스부(100);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복수의 제1관통공(21)이 형성되는 시트 쿠션(20)을 배치할 수 있는 쿠션작업부(200); 및 베이스부(100)의 타측에 결합되며 시트 커버(30)를 배치하고 시트 커버(30)를 시트 쿠션(20)의 상부로 이송할 수 있는 커버작업부(300)를 포함하고, 쿠션작업부(200)는 시트 커버(30)의 서스펜더(40)에 결합되는 클립(50)을 시트 쿠션(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와이어(6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트 쿠션(20)은 복수의 제1관통공(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시트 쿠션(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와이어(60)는 제1관통공(21)을 통해서 노출될 수 있다.
시트 쿠션(20) 상부에 배치되는 시트 커버(30)의 클립(50)은 제1관통공(21)을 통해서 노출되는 와이어(6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관통공(21)은 쿠션작업부(200)의 블록(24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트 커버(30)는 클립(50)을 결합하기 위한 서스펜더(4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서스펜더(40)는 시트 커버(30)와 클립(50)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서스펜더(40)는 클립(50)이 결합되는 머리부(41)와 시트 커버(30)에 결합되는 이음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더(40)의 머리부(41)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스펜더(40)의 머리부(41)는 클립(50)의 로크탭(52)이 삽입되는 복수의 로크홈(4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클립(50)은 서스펜더(40)에 결합되는 로크부(51), 와이어(60)가 결합되는 후크부(53), 와이어(6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54)를 포함할 수 있다.
로크부(51)는 서스펜더(40)의 머리부(41)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로크부(51)는 서스펜더(40)의 머리부(41)에 형성되는 로크홈(42)에 삽입되는 로크탭(52)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53)는 와이어(60)가 삽입되는 캐비티(55)를 제공할 수 있다.
후크부(53)와 가이드(54) 사이는 와이어(60)가 캐비티(55)로 들어갈 수 있는 삽입구(56)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56)는 캐비티(55)에 수용되는 와이어(60)가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소정의 각도로 사선 방향의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클립(50)은 사선 방향의 아래로 이동하여 와이어(60)에 고정될 수 있는 부품으로서 형태가 제한되지 않는다.
클립(50)은 와이어(60)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50)은 사선 방향의 아래로 이동하여 와이어(60)를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와이어(60)에 고정된 클립(50)은 블록(240)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242)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와이어(60)는 시트 쿠션(20)과 분리되어 시트 쿠션(20)의 하부에 배치되거나, 시트 쿠션(20)에 내장되어 시트 쿠션(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60)는 금속,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60)는 단면이 원형, 별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 쿠션(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와이어(60)는 시트 쿠션(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시트 커버(30)의 서스펜더(40)에 결합되는 클립(50)에 의해 위로 당겨질 수 있다.
시트 쿠션(20)에 내장되는 와이어(60)는 블록(240)에 형성되는 V형홈(241)에 배치되어 시트 쿠션(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와이어(60)는 시트 쿠션(20)에 내장되어 시트 쿠션(20)의 위치를 결정하는 부품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쿠션작업부(200)와 커버작업부(300)가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바닥에 설치되는 기초 뼈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전방에 쿠션작업부(200)가 결합될 수 있고 후방에 커버작업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제1플레이트(110); 제1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지지대(120); 및 제1지지대(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110)는 바닥에서 이격하여 평행하게 설치되는 판재로서 복수의 받침대(14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는 하부에 커버작업부(300)의 이송부(3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는 이송부(320)의 제2프레임(321)이 전방 하부와 후방 하부에 이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는 상부에 제2플레이트(130)가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는 상부에 제2플레이트(130)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1지지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대(120)는 상부가 제2플레이트(130)에 결합되고 하부가 제1플레이트(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는 상부에 쿠션작업부(200)의 체결부(25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는 상부에 체결부(250)의 제1승강부(28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대(120)는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3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공간에는 제1승강부(280)의 제1실린더(281)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제2플레이트(130)는 제1플레이트(110)에서 이격하여 평행하게 설치되는 판재로서 쿠션작업부(200)의 쿠션거치대(210)와 커버작업부(300)의 커버거치대(31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130)는 전방 상부에 쿠션거치대(210)가 결합될 수 있고 후방 상부에 커버거치대(31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130)는 전방 상부에 쿠션거치대(210)의 복수의 제2지지대(2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130)는 전방에 체결부(250)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제3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130)는 상부의 제3관통공 주위에 연결부(270)의 안내부(29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130)는 상부의 제3관통공 주위에 안내부(290)의 제1안내프레임(294)과 제2안내프레임(298)이 결합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130)는 후방 상부에 커버거치대(310)의 복수의 제3지지대(311)가 결합될 수 있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쿠션작업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전방에 시트 쿠션(20)을 배치하고 작업할 수 있는 구성이다.
쿠션작업부(200)는 시트 쿠션(20)에 커버작업부(300)에 의해 이송되는 시트 커버(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쿠션작업부(200)는 와이어(60)를 먼저 배치하고 시트 쿠션(20)을 배치할 수 있다.
쿠션작업부(200)는 시트 쿠션(20) 위에 배치되는 시트 커버(30)의 클립(50)을 시트 쿠션(20) 아래에 배치되는 와이어(60)에 고정할 수 있다.
쿠션작업부(200)는, 제2플레이트(130)에 결합되고 시트 쿠션(20)을 배치할 수 있는 쿠션거치대(210); 및 제1플레이트(110)에 결합되고 클립(50)을 제1관통공(21)으로 하강시켜 와이어(60)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 쿠션(20)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21)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쿠션거치대(210)는 제2플레이트(130)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2지지대(220); 제2지지대(220)에 결합되고 시트 쿠션(20)을 배치할 수 있는 복수의 제1프레임(230); 및 제1프레임(230)에 결합되고 와이어(60)를 배치할 수 있는 복수의 블록(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230)은 상부에 시트 쿠션(20)을 배치할 수 있도록 시트 쿠션(20)의 전방과 후방에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프레임(230)은 내부에 체결부(250)가 승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프레임(230)은 상부에 블록(240)이 결합되고 하부에 제2지지대(2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지지대(220)는 상부가 제1프레임(230)에 결합되고 하부가 제2플레이트(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지지대(220)는 제2플레이트(130)와 제1프레임(23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공간에는 체결부(250)의 연결부(270)가 위치할 수 있다.
블록(240)은 하부가 외부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플랜지는 제1프레임(2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블록(240)은 제1프레임(2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와이어(60)를 배치할 수 있다.
블록(240)에 와이어(60)가 배치된 상태에서 시트 쿠션(20)은 제1프레임(230)에 배치될 수 있다.
블록(240)은 시트 쿠션(2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시트 쿠션(20)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21)에 삽입될 수 있다.
블록(240)은 와이어(60)가 배치된 상태에서 시트 쿠션(20)의 제1관통공(21)에 삽입될 수 있다.
블록(240)이 시트 쿠션(20)의 제1관통공(21)에 삽입되면 시트 쿠션(2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블록(240)은 와이어(6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V형홈(241)이 형성될 수 있다.
블록(240)에 V형홈(241)이 형성되면 와이어(60)는 중력에 의해 V형홈(24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블록(240)은 체결부(250)가 승강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제2관통공(242)이 형성될 수 있다.
블록(240)에 제2관통공(242)이 형성되면 시트 커버(30)의 클립(50)을 구속할 수 있는 체결부(250)의 그립부(260)가 블록(240)의 내부로 승강할 수 있다.
블록(240)에 형성되는 V형홈(241)은 좌우가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록(240)에 V형홈(241)을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하면 제2관통공(242)은 V형홈(241)의 경사가 낮은 쪽이 크게 형성되고 그립부(260)는 V형홈(241)의 경사가 낮은 쪽에 위치한 제2관통공(242)으로 승강할 수 있다.
도 17 내지 19를 참조하면, 체결부(250)는 커버작업부(300)에 의해 시트 쿠션(20) 위에 배치되는 시트 커버(30)의 클립(50)을 하강시켜 시트 쿠션(20) 아래에 배치되는 와이어(60)에 체결할 수 있다.
체결부(250)는 제1플레이트(110)에 결합되고 시트 쿠션(20)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21), 블록(240)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242) 및 제2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제3관통공을 통해서 승강할 수 있다.
체결부(250)는, 클립(50)을 구속할 수 있는 그립부(260); 그립부(260)에 결합되고 그립부(26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연결부(270); 및 연결부(270)에 결합되는 제1승강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 내지 27을 참조하면, 그립부(260)는 커버작업부(300)에 의해 시트 쿠션(20) 위에 배치되는 시트 커버(30)의 클립(50)을 구속할 수 있다.
그립부(260)는 제1그립홈(262)이 형성되는 제1그립바(261) 및 제1그립홈(262)과 마주보게 제2그립홈(264)이 형성되는 제2그립바(2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그립바(261)의 제1그립홈(262)과 제2그립바(263)의 제2그립홈(264)은 클립(50)을 구속할 수 있다.
제1그립바(261)와 제2그립바(263)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그립바(261)와 제2그립바(263)의 간격이 좁아지면 제1그립홈(262)과 제2그립홈(264)이 클립(50)을 구속할 수 있다.
제1그립바(261)와 제2그립바(263)는 클립(50)을 구속하기 위해서 시트 쿠션(20)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21) 및 블록(240)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242)을 통해서 승강할 수 있다.
블록(240)에 형성되는 V형홈(241)이 좌우 비대칭인 경우, 그립부(260)는 V형홈(241)에 배치되는 와이어(60)를 기준으로 V형홈(241)의 경사가 낮은 쪽에 위치하는 제2관통공(242)으로 승강할 수 있다.
제1그립바(261)와 제2그립바(263)는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부(27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7 내지 19를 참조하면, 연결부(270)는 그립부(260)를 작동시켜 클립(50)을 구속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270)는 제1그립바(261)와 제2그립바(263)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동부(27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71)는, 제1그립바(261)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뭉치(272); 제2그립바(263)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뭉치(273); 및 제1뭉치(272)와 제2뭉치(273)가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는 구동몸체(2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뭉치(272)와 제2뭉치(273)는 이격하여 평행하게 구동몸체(274)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뭉치(272)와 제2뭉치(273)는 구동몸체(274)에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제1뭉치(272)와 제2뭉치(273)가 구동몸체(274)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그립바(261)와 제2그립바(263)의 간격이 좁아져서 클립(50)을 구속할 수 있다.
제1뭉치(272)와 제2뭉치(273)가 구동몸체(274)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그립바(261)와 제2그립바(263)의 간격이 넓어져서 클립(50)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구동몸체(274)는 제1뭉치(272)와 제2뭉치(273)를 평행하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몸체(274)는 제1뭉치(272)와 제2뭉치(273)를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는 공압, 유압 또는 전기 등으로 작동되는 기어, 캠, 링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는 제1승강부(280)의 제1실린더(281)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17 내지 19를 참조하면, 연결부(270)는 그립부(260)를 승강시켜 와이어(60)에 클립(50)이 고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연결부(270)는 그립부(260)의 승강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부(290)는, 구동몸체(274)와 제1승강부(280) 사이에 결합되는 제1안내몸체(291); 제1안내몸체(291)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안내바(292); 및 제2플레이트(130)에 결합되며 제1안내바(292)가 삽입되는 제1안내레일(293)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안내프레임(29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안내몸체(291)는 구동몸체(274)와 실린더 사이에 결합되어 승강할 수 있다.
제1안내몸체(291)는 제1승강부(280)와 제2힌지(283)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승강부(280)는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부(27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제1실린더(2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승강부(280)는 연결부(270)의 상부에 결합되는 그립부(260)를 함께 승강시킬 수 있다.
제1안내몸체(291)는 양측에 제1안내레일(293)을 따라 이동하는 제1안내바(292)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안내바(292)는 제1안내레일(293)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안내바(292)의 승강 경로에 따라서 제1안내몸체(291)가 승강하므로, 그립부(260)도 함께 승강할 수 있다.
제1안내프레임(294)은 제1안내몸체(291)의 양쪽에 이격하여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안내프레임(294)은 제1안내바(292)의 승강 경로를 결정하는 제1안내레일(29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안내레일(293)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사선 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안내레일(293)의 하부가 사선 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면 제1안내레일(293)의 하부에서 제1안내바(292)는 사선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안내바(292)가 제1안내레일(293)의 하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하강하면 클립(50)의 하부에 형성되는 캐비티(55)의 삽입구(56)가 블록(240)의 V형홈(241)에 배치되는 와이어(6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60)는 캐비티(55)의 삽입구(56)를 통해서 클립(50)의 캐비티(55)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7 내지 19를 참조하면, 안내부(290)는, 구동몸체(274)에 결합되는 제2안내몸체(295); 제1안내바(292)와 같은 방향으로 제2안내몸체(295)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2안내바(296); 및 제2플레이트(130)에 결합되며 제2안내바(296)가 삽입되는 제2안내레일(297)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안내프레임(29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안내몸체(295)는 구동몸체(274)에 결합되어 승강할 수 있다.
제2안내몸체(295)는 제1안내몸체(291)와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동몸체(274)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안내몸체(295)는 양측에 제2안내레일(297)을 따라 이동하는 제2안내바(296)가 결합될 수 있다.
제2안내바(296)는 제2안내레일(297)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가 결합될 수 있다.
제2안내바(296)의 승강 경로에 따라서 제2안내몸체(295)가 승강하므로, 그립부(260)도 함께 승강할 수 있다.
제2안내프레임(298)은 제2안내몸체(295)의 양쪽에 이격하여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안내프레임(298)은 제2안내바(296)의 승강 경로를 결정하는 제2안내레일(297)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안내레일(297)은 제1안내레일(293)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안내레일(297)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사선 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안내레일(297)의 하부가 사선 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면 제2안내레일(297)의 하부에서 제2안내바(296)는 사선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2안내바(296)가 제2안내레일(297)의 하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하강하면 클립(50)의 하부에 형성되는 캐비티(55)의 삽입구(56)가 블록(240)의 V형홈(241)에 배치되는 와이어(6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60)는 캐비티(55)의 삽입구(56)를 통해서 클립(50)의 캐비티(55)에 수용될 수 있다.
안내부(290)는 제1안내레일(293)과 제2안내레일(297)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구동부(271)의 승강 경로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승강부(280)는 제1플레이트(110)와 제1힌지(282)로 결합되고 제1안내몸체(291)에 제2힌지(283)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1안내바(292)와 제2안내바(296)가 사선 방향으로 하강할 때 제1승강부(280)가 기울어질 수 있고,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커버작업부(300)는 베이스부(100)의 후방에 시트 커버(30)를 배치하고 이송할 수 있는 구성이다.
커버작업부(300)는 시트 커버(30)를 배치하고 시트 커버(30)를 시트 쿠션(20)의 상부로 이송할 수 있다.
커버작업부(300)는 시트 커버(30)의 서스펜더(40)에 결합되는 클립(50)의 각도를 정렬할 수 있다.
커버작업부(300)는, 제2플레이트(130)에 결합되고 시트 커버(30)를 배치할 수 있는 커버거치대(310); 제1플레이트(110)에 결합되고 제1플레이트(110)의 일측과 타측을 왕복할 수 있는 이송부(320); 이송부(320)에 결합되는 제2승강부(330); 제2승강부(330)에 결합되는 지지부(340); 및 지지부(340)에 결합되고 클립(50)을 구속할 수 있는 홀더(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커버거치대(310)는 시트 커버(30)를 이송하기 전에 우선 배치할 수 있다.
커버거치대(310)는 제2플레이트(130)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3지지대(311) 및 제3지지대(311)에 결합되고 시트 커버(30)를 배치할 수 있는 제1테이블(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지지대(311)는 상부가 제1테이블(312)에 결합되고 하부가 제2플레이트(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테이블(312)은 시트 커버(30)를 배치하기 위한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테이블(312)은 서스펜더(40)의 머리부(41)에 접하는 제1경사면(3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테이블(312)에 형성되는 제1경사면(313)은 서스펜더(40)의 머리부(41)가 접하면서 정렬되게 할 수 있다.
서스펜더(40)는 제1테이블(312)에 형성되는 제1경사면(313)과 제6프레임(352)에 형성되는 제2경사면에 머리부(41)가 접하면서 정렬될 수 있다.
서스펜더(40)의 머리부(41)를 기준으로 아래에는 제1테이블(312)의 제1경사면(313)이 접하고 위에는 제6프레임(352)에 형성되는 제2경사면이 접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테이블(312)은 클립(50)이 위치하며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홈(314)이 제1경사면(313)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테이블(312)의 제1경사면(313)에 형성되는 수용홈(314)은 클립(50)이 수용되고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커버작업부(300)는 시트 커버(30)를 시트 쿠션(20)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320)는 베이스부(100)의 전방과 후방을 왕복할 수 있다.
이송부(320)는, 제1플레이트(1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프레임(321); 제2프레임(321) 사이에 평행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샤프트(322); 및 샤프트(322)에 결합되고 제2프레임(321) 사이를 왕복할 수 있는 제2테이블(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레임(321)은 샤프트(322)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2프레임(321)은 제1플레이트(110)의 전방 하부와 후방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322)는 제2테이블(323)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샤프트(322)는 제2프레임(321)에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테이블(323)은 샤프트(322)를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이다.
제2테이블(323)은 상부에 제2승강부(33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테이블(323)이 이동하면 제2승강부(330)에 결합되는 지지부(340) 및 지지부(340)에 결합되는 홀더(350)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커버작업부(300)는 시트 커버(3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제2승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승강부(330)는 상부에 지지부(340)가 결합되고 하부에 제2테이블(323)이 결합될 수 있다.
제2승강부(330)는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부(340) 및 지지부(340)에 결합되는 홀더(35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제2승강부(330)는, 제1플레이트(110)를 기준으로 이격하여 제2테이블(323)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4지지대(331); 및 제4지지대(331)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2실린더(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지지대(331) 및 제2실린더(332)는 제1플레이트(110)의 좌우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커버작업부(300)는 홀더(350)와 제2승강부(330)를 이어주는 지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40)는, 제2실린더(332)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3프레임(341); 제3프레임(341)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5지지대(342); 제5지지대(342)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4프레임(343); 및 제4프레임(343)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5프레임(3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프레임(341)은 지지부(340)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제2실린더(332)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5지지대(342)는 제3프레임(341)과 이격하여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4프레임(343)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제4프레임(343)은 홀더(350)가 결합되는 제5프레임(344)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제4프레임(343)은 제5프레임(344)과 함께 액자 형태의 사각 테두리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커버작업부(300)는 시트 커버(30)의 클립(50)을 구속할 수 있는 홀더(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홀더(350)는 시트 커버(30)의 서스펜더(40)에 결합되는 클립(50)의 각도를 정렬할 수 있다.
홀더(350)는, 지지부(340)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6지지대(351); 제6지지대(351)의 하부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 복수의 이동홈(355)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6프레임(352); 제6프레임(352)의 상부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제7프레임(353); 및 이동홈(355)에 위치하며 제7프레임(353)에 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퍼(354)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350)는 제7프레임(353)을 이동시키면 클램퍼(354)가 이동홈(355)에 위치하는 클립(50)을 구속할 수 있다.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면, 제6지지대(351)는 지지대의 제5프레임(344) 하부에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6프레임(352)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제6지지대(351)는 상부가 지지부(340)의 제5프레임(344)에 결합되고 하부가 제6프레임(35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면, 제6프레임(352)은 서스펜더(4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막대 형태일 수 있다.
제6프레임(352)은 제1테이블(312)과 함께 서스펜더(40)의 머리부(41)를 정렬시킬 수 있다.
제6프레임(352)은 서스펜더(40)의 머리부(41)가 접하면서 정렬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6프레임(352)은 클램퍼(354)가 수용되어 움직일 수 있는 이동홈(355)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6프레임(352)은 제7프레임(353)과 클램퍼(354)를 연결하는 볼트 등이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4관통공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6프레임(352)은 길이 방향의 일단에 스토퍼(356)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56)는 클립(50)을 정렬하거나 구속하기 위해 클램퍼(354)가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6프레임(352)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56)는 클램퍼(354)가 클립(50)을 이동시킬 때 함께 이동하는 서스펜더(4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356)는 클립(50)을 정렬하거나 구속하기 위해 클램퍼(354)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서스펜더(40)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 내지 22를 참조하면, 제7프레임(353)은 제6프레임(352)의 상부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7프레임(353)은 제6프레임(352)의 이동홈(355)에 위치하는 클램퍼(354)와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7프레임(353)은 상부에 손잡이(380)가 결합될 수 있다.
제6프레임(352)을 기준으로 제7프레임(353)을 이동시키면 클램퍼(354)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제7프레임(353)은 클립(50)을 정렬하기 위해 클램퍼(35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7프레임(353)은 클립(50)을 구속하기 위해 클램퍼(35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7프레임(353)은 제6프레임(352)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구(37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구(370)는 제6프레임(352)을 기준으로 제7프레임(353)을 이동시킨 위치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고정구(370)는 제7프레임(353)과 함께 이동하는 클램퍼(354)가 클립(50)의 구속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7프레임(353)은 클립(50)을 정렬하거나 구속하기 위해 클램퍼(354)를 이동시킨 후에 고정구(370)를 이용해서 위치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고정구(370)는 볼플런저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0 내지 21을 참조하면, 클램퍼(354)는 클립(50)을 정렬하거나 구속할 수 있다.
클램퍼(354)는 제7프레임(353)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클램퍼(354)는 제6프레임(352)의 이동홈(355)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클램퍼(354)는 서스펜더(40)의 머리부(41)에 접하는 제1삽입홈(357)이 형성될 수 있다.
클램퍼(354)의 제1삽입홈(357)은 제6프레임(352)의 제2경사면과 함께 서스펜더(40)의 머리부(41)의 상부에 접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클램퍼(354)는 클립(50)을 구속할 수 있도록 클립(5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35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8을 참조하면, 시트 쿠션(20)에 시트 커버(30)가 결합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① 제1단계;
도 2와 같이 쿠션작업부(200)의 블록(240)에 와이어(60)를 배치한다.
이때, 블록(240)의 V형홈(241)은 와이어(6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② 제2단계;
도 3과 같이 와이어(60) 위에 시트 쿠션(20)을 배치한다.
즉, 블록(240)에 와이어(60)가 배치된 상태에서 쿠션작업부(200)의 쿠션거치대(210)에 시트 쿠션(20)을 배치한다.
이때, 블록(240)은 시트 쿠션(20)의 제1관통공(21)에 삽입되어 시트 쿠션(2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③ 제3단계;
도 4와 같이 커버작업부(300)의 커버거치대(310)에 시트 커버(30)를 배치하고, 도 12와 같이 클립(50)을 정렬하고 구속시킨 후 고정구(370)로 클램퍼(354)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즉, 도 13과 같이 서스펜더(40)의 머리부(41)를 제1테이블(312)의 제1경사면(313)과 제6프레임(352)의 제2경사면에 접하도록 밀어서 클립(50)의 각도를 정렬하고, 도 20 내지 21과 같이 클램퍼(354)를 밀어서 클립(50)을 구속한다.
④ 제5단계;
도 5 내지 7과 같이 홀더(350)를 이동시켜 시트 커버(30)를 시트 쿠션(20) 위에 배치하고 홀더(350)를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도 23과 같이 홀더(350)를 쿠션작업부(200) 위로 이동시키고, 도 24와 같이 클램퍼(354)가 정렬된 클립(50)을 구속한 상태의 시트 커버(30)를 시트 쿠션(20) 위에 배치하고, 도 25와 같이 그립부(260)가 상승하고, 도 18과 같이 그립부(260)가 클립(50)을 구속하고, 도 19와 같이 클램퍼(354)가 클립(50)의 구속을 해제하고, 홀더(350)를 윈위치로 이동시킨다.
⑤ 제6단계;
도 8과 같이 클립(50)을 와이어(60)에 고정시킨다.
즉, 도 22와 같이 그립부(260)를 이용해서 클립(50)을 하강시키면 와이어(60)를 클립(50)의 캐비티(55)에 수용할 수 있다.
와이어(60)에 클립(50)이 고정되면 그립부(260)가 클립(50)의 구속을 해제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20: 시트 쿠션
21: 제1관통공 30: 시트 커버
40: 서스펜더 41: 머리부
42: 로크홈 43: 이음부
50: 클립 51: 로크부
52: 로크탭 53: 후크부
54: 가이드 55: 캐비티
56: 삽입구 60: 와이어
100: 베이스부 110: 제1플레이트
120: 제1지지대 130: 제2플레이트
140: 받침대 200: 쿠션작업부
210: 쿠션거치대 220: 제2지지대
230: 제1프레임 240: 블록
241: V형홈 242: 제2관통공
250: 체결부 260: 그립부
261: 제1그립바 262: 제1그립홈
263: 제2그립바 264: 제2그립홈
270: 연결부 271: 구동부
272: 제1뭉치 273: 제2뭉치
274: 구동몸체 280: 제1승강부
281: 제1실린더 282: 제1힌지
283: 제2힌지 290: 안내부
291: 제1안내몸체 292: 제1안내바
293: 제1안내레일 294: 제1안내프레임
295: 제2안내몸체 296: 제2안내바
297: 제2안내레일 298: 제2안내프레임
300: 커버작업부 310: 커버거치대
311: 제3지지대 312: 제1테이블
313: 제1경사면 314: 수용홈
320: 이송부 321: 제2프레임
322: 샤프트 323: 제2테이블
330: 제2승강부 331: 제4지지대
332: 제2실린더 340: 지지부
341: 제3프레임 342: 제5지지대
343: 제4프레임 344: 제5프레임
350: 홀더 351: 제6지지대
352: 제6프레임 353: 제7프레임
354: 클램퍼 355: 이동홈
356: 스토퍼 357: 제1삽입홈
358: 제2삽입홈 370: 고정구
380: 손잡이

Claims (10)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시트 쿠션을 배치하고 상기 시트 쿠션에 시트 커버를 결합할 수 있는 쿠션작업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 커버를 배치하고 상기 시트 커버를 상기 시트 쿠션의 상부로 이송할 수 있는 커버작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작업부는 상기 시트 커버의 서스펜더에 결합되는 클립의 각도를 정렬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작업부는,
    상기 제2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시트 커버를 배치할 수 있는 커버거치대;
    상기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을 왕복할 수 있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는 제2승강부;
    상기 제2승강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클립을 구속할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거치대는,
    상기 제2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3지지대; 및
    상기 제3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시트 커버를 배치할 수 있는 제1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테이블은 상기 서스펜더의 머리부가 접하면서 정렬되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테이블은 상기 클립이 위치하며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홈이 상기 제1경사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6지지대;
    상기 제6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 복수의 이동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6프레임;
    상기 제6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제7프레임; 및
    상기 이동홈에 위치하며 상기 제7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7프레임을 이동시키면 상기 클램퍼가 상기 이동홈에 위치하는 상기 클립을 구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6프레임은 상기 서스펜더의 머리부가 접하면서 정렬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7프레임은 상기 제6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클램퍼가 상기 클립의 구속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6프레임은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에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서스펜더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KR1020210095717A 2021-07-21 2021-07-21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KR102603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717A KR102603149B1 (ko) 2021-07-21 2021-07-21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JP2023536616A JPWO2023002708A1 (ko) 2021-07-21 2022-03-23
CN202280051002.6A CN117677536A (zh) 2021-07-21 2022-03-23 车辆用座椅组装装置
PCT/JP2022/013762 WO2023002708A1 (ja) 2021-07-21 2022-03-23 車両用シート組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717A KR102603149B1 (ko) 2021-07-21 2021-07-21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413A KR20230014413A (ko) 2023-01-30
KR102603149B1 true KR102603149B1 (ko) 2023-11-15

Family

ID=8497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717A KR102603149B1 (ko) 2021-07-21 2021-07-21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3002708A1 (ko)
KR (1) KR102603149B1 (ko)
CN (1) CN117677536A (ko)
WO (1) WO202300270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139B1 (ko) 2017-09-14 2018-03-09 김재영 시트 커버링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640Y2 (ko) * 1987-11-20 1992-02-24
JPH0312192A (ja) * 1989-06-12 1991-01-21 Takayoshi Iwao シートカバーおよびその吊り込み装置
US5774965A (en) * 1993-03-02 1998-07-07 Machine Design Systems, Inc. Apparatus for inserting an insert into a cover
JP3582102B2 (ja) * 1994-07-04 2004-10-27 アラコ株式会社 シートカバー装着装置
US5733001A (en) * 1996-11-19 1998-03-31 Roberts; Clifford D. Seat cover retain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6434806B1 (en) * 1999-07-19 2002-08-20 Lms Walt, Inc. Machine for installing flexible covers on seat cushions having sliding stanchion carriage for closely following the contour of the seat cushion
CN106660780B (zh) * 2014-06-25 2020-02-28 Ykk株式会社 蒙皮材料安装装置和蒙皮材料向座椅主体的安装方法
KR20180130317A (ko) * 2017-05-29 2018-12-07 김재영 시트 커버링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트 커버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139B1 (ko) 2017-09-14 2018-03-09 김재영 시트 커버링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413A (ko) 2023-01-30
WO2023002708A1 (ja) 2023-01-26
CN117677536A (zh) 2024-03-08
JPWO2023002708A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591828U (zh) 移动焊与固定焊一体式超声波焊接机
KR102603149B1 (ko)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KR102603231B1 (ko)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KR102603155B1 (ko)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KR102603230B1 (ko)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KR101473459B1 (ko) 헤드라이너 공급 셔틀라인
CN111945308B (zh) 一种多层自动取送料系统及多层模板缝制系统
CN219885483U (zh) 一种预埋槽道型钢抓取转运装置
CN210735294U (zh) 电池转运装置
CN112298932A (zh) 电池转运装置
CN210908508U (zh) 一种超声波线束焊接机
CN212449516U (zh) 一种翻转装置
CN105195954B (zh) 汽车踏板的上件焊接装置
CN218329849U (zh) 三坐标测量用支架
CN208963206U (zh) 前端模块的装配用工装
KR102221024B1 (ko) 철망 적재장치
KR102221026B1 (ko) 철망 적재장치
CN212372179U (zh) 一种具有倍速结构的纸模机械手
CN211764284U (zh) 一种无动力的针式打标机
CN104227931A (zh) 一种全自动的咖啡网布成型装置
CN215158784U (zh) 一种清洗机料台结构
CN220740036U (zh) 安全带自动钉扣机构
CN212857566U (zh) 一种立定机构和弹簧全自动立定机
CN219488757U (zh) 一种轮子自动上料装置
CN219236202U (zh) 电机铆钉安装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