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885B1 -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885B1
KR102602885B1 KR1020210173780A KR20210173780A KR102602885B1 KR 102602885 B1 KR102602885 B1 KR 102602885B1 KR 1020210173780 A KR1020210173780 A KR 1020210173780A KR 20210173780 A KR20210173780 A KR 20210173780A KR 102602885 B1 KR102602885 B1 KR 102602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vehicle
wire
seating portion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5532A (ko
Inventor
정성현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3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885B1/ko
Publication of KR20230085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63B2025/245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of wheeled cargo, e.g. vehicle re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는, 흔들리는 선박 등에 차량을 고정하기 위해 차량의 타이어를 선체 바닥면에 결박하는 고정장치로서, 타이어 접지면의 반대쪽인 타이어의 상단부에 호형상으로 거치고정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복수 개가 연결된 상태로 타이어의 상단부에 대한 압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고리에 결박되어 타이어 접지면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어 접지면의 반대쪽인 상단부에 호형상으로 거치고정되는 안착부에 연결된 복수 개의 와이어가 타이어의 상단부를 압박하도록 선체 바닥면의 고정고리에 결박됨으로 인해, 타이어 상단부는 물론, 타이어의 접지면 쪽까지 내압이 증대되어 타이어의 접지면의 눌림은 감소되고, 타이어 접지면에 집중적으로 인가된 차량의 하중은 타이어 전체로 분산됨으로써 타이어의 플랫스팟이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FASTENING DEVICE FOR VEHICLE THAT REDUCE FLAT SPOTS ON TIRE}
본 발명은,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흔들리는 선박 등에 차량을 고정하기 위해 차체나 휠을 선체 바닥면에 장기간 결박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타이어 플랫스팟을 저감할 수 있는 차량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등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발생하게 되는 플랫스팟(Flat Spot)이란, 원형인 타이어 트레드의 일부분이 여러가지 원인으로 평평하게 변형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타이어 플랫스팟은, 고속 주행이나 기온이 높은 환경에서 주행한 후 타이어의 온도가 비교적 높은 상태에서 차량을 정차시키거나 혹은 차량을 장기간에 걸쳐 지면에 주차한 경우 또는 타이어 일부가 마찰에 의해 손상될 정도로 주행 중 차량을 급정차시킨 경우 등이 주요한 발생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은 발생 원인 중에서 타이어의 온도가 비교적 높은 상태에서 차량을 정차한 후 타이어가 냉각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플랫스팟은, 이후 차량의 주행에 따라 타이어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게 되면 타이어가 원형으로 복원되므로 타이어의 사용에 있어서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수출 등의 운송을 위해 차량을 정차된 상태로 선박에 적재하는 경우, 타이어의 접지면은 바닥면의 고정고리와 차량 휠 간을 강하게 결박한 와이어의 장력과 차량의 하중에 의해 평평한 바닥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된 상태로 오랫동안 방치되기 때문에 쉽게 복원되지 않고 플랫스팟이 영구적으로 고착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타이어의 영구적 변형은, 플랫스팟이 발생한 부분에서 타이어의 반경을 축소시켜 차량의 주행시 승차감을 악화시키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93764호(등록일: 2019년06월21일)의 플랫 스팟 방지장치,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2165호(등록일: 2006년11월23일)의 플랫 스팟 방지구 등과 같은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은, 타이어의 접지면에 대응하는 호형의 플랫 스팟 방지 홈(44)을 바닥판에 형성하거나, 휠에 호형의 받침대를 설치하여 타이어의 접지면이 각각 지지되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렇게 타이어의 접지면을 호형의 구조로 지지하는 기술은, 차량의 하중이 타이어의 일정 지점에 장기간 집중되는 것을 호형의 구조를 통해 분산시킴으로써 플랫 스폿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플랫 스팟 방지 홈(44)을 바닥판에 형성하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93764호는, 바닥판 자체에 별도의 홈을 형성하는 구조여서 차량의 이동이나 사용자의 통행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접지면 일지점에서 호의 크기에 대응한 범위로 확장하는 형태로 분산시키는 것일 뿐이고, 타이어 접지면의 주변에 집중된 하중이 타이어 전체로 고르게 분산되는 것은 아니므로, 홈의 양단부에서 타이어가 접히거나 꺾이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휠에 설치되는 받침대 구조의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2165호는, 휠을 고정하는 볼트를 풀고 고정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이고, 고정된 단일한 형태여서 별도의 높낮이 조정이 불가하며, 외부로 돌출된 구조여서 사용자의 동선을 방해하며, 차량을 이동해야 하는 경우 휠에서 모두 분리해야 하는 등의 사용이나 운용상에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93764호(등록일: 2019년06월21일)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하중에 의해 눌려지는 타이어의 접지면 부근에 타이어의 내압이 집중되도록 타이어를 선체바닥면에 결박하여 차량의 하중을 타이어 전체로 분산시킴으로써 타이어의 플랫스팟을 저감하는 차량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흔들리는 선박 등에 차량을 고정하기 위해 차량의 타이어를 선체 바닥면에 결박하는 고정장치로서, 타이어 접지면의 반대쪽인 타이어의 상단부에 호형상으로 거치고정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복수 개가 연결된 상태로 타이어의 상단부에 대한 압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고리에 결박되어 타이어 접지면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안착부는, 중앙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부채꼴 형태로 접히고 펴지며 타이어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복수의 걸림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한 상기 걸림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안착부가 부채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서로 인접한 상기 걸림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억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타이어의 상단부에 호형상으로 끼워지며 고정되는 덮개천; 및 상기 덮개천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상기 덮개천에 분산되도록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하단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하단프레임을 부채꼴 형태로 접철시키는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타이어의 중심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분할하는 십자선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타이어의 우측 상단을 압박하도록 상기 고정고리에 결박되는 제1 와이어; 및 상기 십자선을 기준으로, 우측 상단의 상기 안착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타이어의 좌측 상단을 압박하도록 상기 고정고리에 결박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어 접지면의 반대쪽인 상단부에 호형상으로 거치고정되는 안착부에 연결된 복수 개의 와이어가 타이어의 상단부를 압박하도록 선체 바닥면의 고정고리에 결박됨으로 인해, 타이어 상단부는 물론, 타이어의 접지면 쪽까지 내압이 증대되어 타이어의 접지면의 눌림은 감소되고, 타이어 접지면에 집중적으로 인가된 차량의 하중은 타이어 전체로 분산됨으로써 타이어의 플랫스팟이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타이어를 결박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타이어를 결박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에 의해 차량의 하중이 분산되는 작용을 종래와 대비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타이어를 결박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타이어를 결박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에 의해 차량의 하중이 분산되는 작용을 종래와 대비한 작동상태도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3개의 축은 서로 대응되게 회전하여 바뀔 수 있으며, 특별히 다르게 한정하는 경우 외에는 이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100)는, 종래 선체 바닥면(10)의 고정고리(12)와 차량 휠(W) 간을 와이어(120)로 강하게 결박하여 차량을 선박에 장기간 적재할 때 와이어(120)의 장력과 차량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타이어(T)의 플랫스팟을 방지 내지 저감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타이어(T)의 플랫스팟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100)는, 타이어(T) 상단부에 대한 압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와이어(120)에 의해 차량이 선체 바닥면(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결박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정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의 안착부(110a) 및 와이어(120) 등을 포함하는 제1 실시예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형의 안착부(110b) 및 와이어(120) 등을 포함하는 제2 실시예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천(114) 구조의 안착부(110c) 및 와이어(120) 등을 포함하는 제3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실시예들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실시예의 일체형 안착부(110a)는, 타이어(T) 접지면의 반대쪽인 타이어(T)의 상단부에 대한 압박을 통해 타이어(T)의 내압이 증대되도록 타이어(T)의 상단부에 호형상으로 끼워져 거치고정되는 구성요소로서,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걸림프레임(1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실시예의 안착부(110a)는,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T)의 정면을 기준으로 7개의 'ㄷ' 자형 또는 사슬구조의 걸림프레임(112)을 부챗살 형태로 배치한 후 양단부를 각각 하나로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안착부(110a)를 형성하는 'ㄷ' 자형 또는 사슬구조의 걸림프레임(112)은, 도시된 바와 달리 필요에 따라 3개 내지 5개로 구성될 수 있다.
7개의 'ㄷ' 자형 또는 사슬구조의 걸림프레임(112)이 하나로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부(112a)는, 타이어(T)의 중심보다 위쪽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차량의 휠하우징과 타이어(T) 사이로 안착부(110a)가 손쉽게 인입되어 타이어(T)의 상단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안착부(110a)가 타이어(T)의 상단부에 더욱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ㄷ' 자형 또는 사슬구조의 걸림프레임(112)의 연결부(112a) 중 타이어(T)의 배면에 위치하는 연결부(112a)는, 정면에 위치하는 연결부(112a)보다 위쪽에 배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ㄷ' 자형 또는 사슬구조의 걸림프레임(112)은, 강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철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사슬구조의 걸림프레임(112)으로 안착부(110a)를 제작하게 되면, 자유롭게 접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가 도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10b)는, 타이어(T)의 상단부에 대한 압박을 통해 타이어(T)의 내압이 증대되도록 타이어(T)의 상단부에 호형상으로 끼워져 거치고정되는 구성요소로서,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상술한 걸림프레임(112)이 접히거나 펴지는 접철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의 안착부(110b)는, 상술한 접철작동의 구현을 위해,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걸림프레임(112), 힌지축(111) 및 회전억제부재(11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림프레임(112)은, 'ㄷ' 자형 프레임을 부채꼴 형태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T)의 정면을 기준으로 7개로 구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달리 필요에 따라서는 3개 내지 5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프레임(112)은, 강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철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힌지축(111)은 상술한 걸림프레임(112)이 접히거나 펴지도록 걸림프레임(112)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걸림프레임(112)의 양단부를 각각 관통하며 축결합되는 볼트와 너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힌지축(111)은, 타이어(T)의 중심보다 위쪽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차량의 휠하우징과 타이어(T) 사이로 안착부(110b)가 손쉽게 인입되어 타이어(T)의 상단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제2 실시예의 안착부(110b)가 타이어(T)의 상단부에 더욱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타이어(T)의 배면에 위치하게 되는 힌지축(111)은, 정면에 위치하는 힌지축(111)보다 위쪽에 배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회전억제부재(113)는, 상술한 힌지축(111)을 기준으로 한 걸림프레임(112)의 회전을 제한하여 안착부(110b)가 부채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회전억제부재(113)는, 상술한 와이어(120)와 유사하게 자유롭게 휘어지는 천, 섬유 또는 금속재질의 선재로 이루어져 서로 인접한 걸림프레임(112) 사이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10c)는, 타이어(T)의 상단부에 대한 압박을 통해 타이어(T)의 내압이 증대되도록 타이어(T)의 상단부에 호형상으로 끼워져 거치고정되는 구성요소로서, 자유롭게 접히거나 펴지며 부채꼴 형상을 이루는 덮개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3 실시예의 안착부(110c)는,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천(114) 및 하단프레임(11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천(114)은, 타이어(T)의 상단부에 호형상으로 끼워지며 고정되는 천재질의 구성요소로서, 신축성이 작고 튼튼한 섬유를 직조한 원단이나 부직포 등을 부채꼴 형태로 타이어(T)의 상단에 끼워지도록 재단 및 재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단프레임(115)은, 후술할 와이어(120)의 장력이 덮개천(114)에 온전히 전달되어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와이어(120)와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덮개천(114)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하단프레임(115)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ㄷ' 자형의 프레임을 부채꼴 형태로 배치한 후 양단부를 각각 관통하며 축결합되는 볼트와 너트 등으로 구성된 회전축(116)에 의해 접철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단프레임(115)도, 강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철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술한 한 쌍의 회전축(116)도, 타이어(T)의 중심보다 위쪽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차량의 휠하우징과 타이어(T) 사이로 안착부(110c)가 손쉽게 인입되어 타이어(T)의 상단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제3 실시예의 안착부(110c)가 타이어(T)의 상단부에 더욱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타이어(T)의 배면에 위치하게 되는 회전축(116)은, 정면에 위치하는 회전축(116)보다 위쪽에 배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와이어(120)는, 상술한 다양한 형태의 안착부(110a,110b,110c)와 바닥면(10)의 고정고리(12) 사이에 장력이 작용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어 타이어(T)의 상단부를 압박하는 한편, 차량을 바닥면(10)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자유롭게 휘어지는 천, 섬유 또는 금속재질의 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2,3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120)는,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122) 및 제2 와이어(12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와이어(1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T)의 중심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분할하는 십자선(CL)을 기준으로, 타이어(T)의 우측 상단을 압박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1 와이어(122)는, 십자선(CL)을 기준으로 압박의 지점인 타이어(T)의 우측 상단에 대향되는 좌측 상단에 위치한 안착부(110a,110b,110c)의 하단부(최하단 걸림프레임(112), 하단프레임(115))에 일단부가 연결된 후, 바닥면(10)의 좌측에 배치된 고정고리(12)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좌측의 고정고리(12)에 제1 와이어(122)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안착부(110a,110b,110c)를 고정고리(12) 쪽으로 당기며 압박하는 장력이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와이어(12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선(CL)을 기준으로 타이어(T)의 좌측 상단을 압박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2 와이어(124)는, 십자선(CL)을 기준으로 압박의 지점인 타이어(T)의 좌측 상단에 대향되는 우측 상단에 위치한 안착부(110a,110b,110c)의 하단부(최하단 걸림프레임(112), 하단프레임(115))에 일단부가 연결된 후, 바닥면(10)의 우측에 배치된 고정고리(12)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우측의 고정고리(12)에 제2 와이어(124)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안착부(110a,110b,110c)를 고정고리(12) 쪽으로 당기며 압박하는 장력이 인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2 와이어(122,124)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선(CL)을 기준으로 X자 형태로 장력(①,②)이 작용하도록 설치됨으로 인해, 타이어(T)의 상단부 중 좌측(②')과 우측(①')에 대한 안착부(110a,110b,110c)의 직접적인 압박이 강하고 폭넓게 이루어짐에 따라 타이어(T)의 접지면을 포함하는 타이어(T) 전체의 내압은 별도의 공지주입 없이도 충분히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십자선(CL)의 연직방향 즉, 타이어(T)의 접지면을 향한 안착부(110a,110b,110c)의 압박(①"②")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화됨에 따라 안착부(110a,110b,110c)를 통해 전체적으로 증대된 타이어(T)의 내압은 타이어(T) 전체로 분산되면서 타이어(T) 접지면의 눌림이 감소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타이어(T) 접지면에 집중된 하중 즉, 차체 하중은 타이어(T) 전체로 분산되어 장기간의 결박에도 타이어(T)의 플랫스팟이 효과적으로 저감 내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선체 바닥면
12: 고정고리
T: 타이어
W: 휠
CL: 십자선
100: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
110a,110b,110c: 안착부
111: 힌지축
112: 걸림프레임
112a: 연결부
113: 회전억제부재
114: 덮개천
115: 하단프레임
116: 회전축
120: 와이어
122: 제1 와이어
124: 제2 와이어

Claims (6)

  1. 흔들리는 선박 등에 차량을 고정하기 위해 차량의 타이어를 선체 바닥면의 고정고리에 결박하는 고정장치로서, 타이어 접지면의 반대쪽인 타이어의 상단부에 호형상으로 거치고정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복수 개가 연결된 상태로 타이어의 상단부에 대한 압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고리에 결박되어 타이어 접지면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타이어의 상단부에 호형상으로 끼워지며 고정되는 덮개천; 및
    상기 덮개천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상기 덮개천에 분산되도록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하단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하단프레임을 부채꼴 형태로 접철시키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타이어의 중심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분할하는 십자선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타이어의 우측 상단을 압박하도록 상기 고정고리에 결박되는 제1 와이어; 및
    상기 십자선을 기준으로, 우측 상단의 상기 안착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타이어의 좌측 상단을 압박하도록 상기 고정고리에 결박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
KR1020210173780A 2021-12-07 2021-12-07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 KR102602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780A KR102602885B1 (ko) 2021-12-07 2021-12-07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780A KR102602885B1 (ko) 2021-12-07 2021-12-07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532A KR20230085532A (ko) 2023-06-14
KR102602885B1 true KR102602885B1 (ko) 2023-11-16

Family

ID=8674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780A KR102602885B1 (ko) 2021-12-07 2021-12-07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8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7819A1 (en) 1999-09-10 2001-03-15 Rushmore Vehicle Restraints, L.L.C. Wheel restraint device
WO2009023921A1 (en) 2007-08-20 2009-02-26 Quinton Renshaw Hutchinson Motorcycle transportation restraint system
US20100322735A1 (en) * 2004-06-07 2010-12-23 Kya Racing Pty. Ltd. Device for securing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4957A (en) * 1920-06-17 1922-08-08 Harry W Van Tilburg Automobile securing device
US6328511B1 (en) * 2000-02-07 2001-12-11 Kinedyne Corporation Vehicle transport restraint anchor
KR101993764B1 (ko) 2017-12-05 2019-06-27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타이어의 플랫 스팟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7819A1 (en) 1999-09-10 2001-03-15 Rushmore Vehicle Restraints, L.L.C. Wheel restraint device
US20100322735A1 (en) * 2004-06-07 2010-12-23 Kya Racing Pty. Ltd. Device for securing a vehicle
WO2009023921A1 (en) 2007-08-20 2009-02-26 Quinton Renshaw Hutchinson Motorcycle transportation restrai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532A (ko)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820B1 (ko) 자동차의 시트 스위블 장치
US8388286B2 (en) Tie-down eye
US8353526B2 (en) Air bag assembly with air bag guide secured by multiple fasteners
JPH07186741A (ja) 自動車の燃料ボンベ取付構造
US8998183B2 (en) Suspension apparatus
US4726599A (en) Mudflap bracket
KR102602885B1 (ko) 타이어 플랫스팟 저감형 차량 고정장치
US6050198A (en) Travelling mechanism of a rail-movable lifting device
US6334649B1 (en) Holding device for releasable fastening of a child seat to a vehicle seat
KR101220648B1 (ko) 리클라이너 어셈블리
US6193298B1 (en) Wind baffle attachable to seats using straps
JP3129045B2 (ja) 自動車用シート
CA2357318C (en) Mounting/bearing device for a fifth wheel having a stirrup-shaped bearing pedestal and a bridge
KR200147500Y1 (ko) 꼬임방지용 텅플레이트
JP2533273Y2 (ja) 自動車の下部構造
JP2727913B2 (ja) シートベルト付きシート
KR20090070733A (ko) 2륜 차량용 사이드 스탠드
CN206416886U (zh) 后排座椅安装支架及汽车
JP3129060B2 (ja) 自動車用シート
CN208393184U (zh) 用于车辆的后排座椅组件
JP4107405B2 (ja) アウトリガのローラ支持装置
CA1198462A (en) Vehicle fender attachment and support structure
JPH04129888A (ja) ゴムクローラの芯金
JP6556020B2 (ja) 車両
KR10019616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체결부 연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