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452B1 - 자동꼬치끼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꼬치끼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452B1
KR102601452B1 KR1020220074185A KR20220074185A KR102601452B1 KR 102601452 B1 KR102601452 B1 KR 102601452B1 KR 1020220074185 A KR1020220074185 A KR 1020220074185A KR 20220074185 A KR20220074185 A KR 20220074185A KR 102601452 B1 KR102601452 B1 KR 102601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skewers
conveyor
roll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천
Original Assignee
(주)대성에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에프앤비 filed Critical (주)대성에프앤비
Priority to KR102022007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4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꼬치끼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꼬치용 식재료들이 다수 개의 열로 배열된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트레이컨베이어; 상기 트레이컨베이어의 옆에 구비되며, 채워진 꼬챙이들을 한 개씩 이송시키는 꼬챙이공급유닛; 상기 트레이컨베이어에 장착되어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트레이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트레이에 배열된 꼬치용 식재료 열을 가압하거나 해제시키는 식재료가압유닛; 상기 꼬챙이공급유닛으로 이송된 꼬챙이를 밀어 상기 식재료가압유닛에 의해 가압된 꼬치용 식재료열에 관통시키는 꼬챙이푸싱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꼬치용 식재료들을 꼬챙이로 자동으로 끼우고, 꼬치용 식재료들이 꽂힌 꼬챙이들이 한쪽 방향으로 정렬된다.

Description

자동꼬치끼움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SKEWERING FOOD METERIAL PIECES}
본 발명은 자동꼬치끼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꼬치는 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피망, 고구마, 감자등의 식재료 조각들을 꼬챙이에 끼운 후 불에 굽거나 물, 육수 등과 함께 끓여서 조리한다.
이와 같은 꼬치는 조리가 간단하고 취식이 용이하며 다양한 음식물을 하나의 꼬챙이에 끼워서 한 번에 다양한 식재료들을 즐길수 있다.
하지만, 꼬치를 준비할 때 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피망, 고구마, 감자 등의 식재료 조각들을 선택적으로 꼬챙이에 끼워야 되므로 꼬챙이에 꼬치 대상물을 끼우는 준비 과정에서 끼우는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며, 작업 중 뾰족한 꼬챙이의 선단에 작업자의 손이 찔리는 사고가 발생된다.
등록특허 제10-1964205호
본 발명의 목적은 꼬치용 식재료들을 꼬챙이로 자동으로 끼우는 자동꼬치끼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꼬치용 식재료들이 다수 개의 열로 배열된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트레이컨베이어; 상기 트레이컨베이어의 옆에 구비되며, 채워진 꼬챙이들을 한 개씩 이송시키는 꼬챙이공급유닛; 상기 트레이컨베이어에 장착되어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트레이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트레이에 배열된 꼬치용 식재료 열을 가압하거나 해제시키는 식재료가압유닛; 상기 꼬챙이공급유닛으로 이송된 꼬챙이를 밀어 상기 식재료가압유닛에 의해 가압된 꼬치용 식재료열에 관통시키는 꼬챙이푸싱유닛;을 포함하는 자동꼬치끼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트레이이송용 컨베이어는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측면판들과, 상기 두 개의 측면판들 사이에 결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두개의 측면판들의 길이 방향 한쪽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롤러유닛과, 상기 두 개의 측면판들의 길이 방향 다른 한쪽에 장착되는 종동롤러유닛과, 상기 구동롤러유닛과 종동롤러유닛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롤러유닛의 회전에 의해 움직이면서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복수 개의 와이어벨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꼬챙이공급유닛은 꼬챙이들이 채워지는 수용케이스와, 상기 수용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수용케이스에 채워진 꼬챙이들을 일렬로 이송시키는 꼬챙이컨베이어와, 상기 꼬챙이컨베이어의 상부에 위치하여 꼬챙이컨베이어와 연동되면서 꼬챙이컨베이어와 함께 꼬챙이들을 이송시키는 보조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꼬챙이컨베이어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케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롤러와, 상기 메인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유닛과, 상기 메인롤러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한쪽에 구비되는 종동롤러와, 상기 메인롤러와 가이드부재 그리고 종동롤러에 걸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롤러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수용케이스의 꼬챙이들을 일렬로 이송시키는 복수 개의 메인와이어벨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롤러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꼬챙이삽입홈들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롤러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 메인와이어벨트들이 삽입되는 환형 벨트삽입홈들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메인와이어벨트들이 각각 삽입되는 직선형 벨트삽입홈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컨베이어는 상기 꼬챙이컨베이어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축과, 상기 제1 롤러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롤러들과, 상기 제1 롤러축과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제2 롤러축과, 상기 제2 롤러축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롤러들과, 상기 제1,2 회전축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들과, 상기 제1 롤러축의 롤러들과 제2 롤러축의 롤러들을 각각 연결하는 보조와이어벨트들과, 상기 제2 롤러축의 한쪽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꼬챙이컨베이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롤러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재료가압유닛은 상기 트레이컨베이어의 일측에 결합되는 디귿자형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로드에 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트레이에 배열된 꼬치용 식재료열을 가압하거나 해제시키는 포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포크부재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부와, 상기 막대부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각각 하단 가운데 부분에 개구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핀부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꼬챙이푸싱유닛은 상기 꼬챙이공급유닛과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로드에 연결되어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직선 왕복하면서 상기 꼬챙이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꼬챙이를 푸싱하는 푸싱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꼬치용 식재료들을 꼬챙이에 자동으로 끼우게 되어 꼬치용 식재료들을 꼬챙이로 빠르고 편리하게 꽂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꼬챙이공급유닛이 수용케이스, 꼬챙이컨베이어, 보조컨베이어를 포함하게 되므로 수용케이스에 채워진 꼬챙이들을 일렬로 안정적으로 푸싱위치로 이동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꼬챙이들을 한방향으로 정렬시켜 푸싱위치로 공급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꼬챙이푸싱유닛으로 꼬챙이를 트레이에 배열된 꼬치용 식재료열에 정확하게 꽂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꼬치끼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꼬치끼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꼬치끼움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꼬챙이컨베
이어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꼬치끼움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롤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꼬치끼움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포크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꼬치끼움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
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꼬치끼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꼬치끼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꼬치끼움장치의 일실시예로서 트레이컨베이어(100), 꼬챙이공급유닛(200), 식재료가압유닛(300), 꼬챙이푸싱유닛(400)을 포함한다.
트레이컨베이어(100)는 꼬치용 식재료들이 다수 개의 열로 배열된 트레이(10)를 이송시킨다.
트레이컨베이어(100)의 일예로, 트레이컨베이어(10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위치하는 두 개의 측면판(110)들과, 그 두 개의 측면판(110)들 사이에 결합되는 베이스판(120)과, 두 개의 측면판(110)들의 길이 방향 한쪽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롤러유닛(130)과, 두 개의 측면판(110)들의 길이 방향 다른 한쪽에 장착되는 종동롤러유닛(140)과, 구동롤러유닛(130)과 종동롤러유닛(140)을 연결하여 구동롤러유닛(130)의 회전에 의해 움직이면서 트레이(10)를 이송시키는 복수 개의 와이어벨트(150)들을 포함한다.
구동롤러유닛(130)의 일예로, 구동롤러유닛(130)은 두 개의 측면판(110)을 관통하는 롤러축(131)과, 한 개의 측면판(110)에 장착되어 롤러축(131)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132)과, 롤러축(131)에 결합되는 두 개의 롤러(133)들을 포함한다.
종동롤러유닛(140)은 두 개의 측면판(110)을 관통하는 롤러축(141)과, 그 롤러축(141)에 결합되는 두 개의 롤러(142)들을 포함한다.
와이어벨트(150)는 두 개이며, 구동롤러유닛(130)의 롤러(133)들과 종동롤러유닛(140)의 롤러(142)들에 각각 연결된다.
롤러들(133)(142)과 와이어벨트(150)들은 각각 세 개 이상될 수도 있다.
구동롤러유닛9130)의 구동유닛(132)이 작동하여 롤러축(131)을 회전시키며, 롤러축(131)이 회전함에 따라 그 롤러축(131)에 결합된 롤러(133)들이 회전하면서 와이어벨트(150)들이 무한궤도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와이어벨트(150)들에 놓여진 트레이(10)는 와이어벨트(150)들을 따라 구동롤러유닛(13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트레이(10)는 사각 형태이며 내부에 다수 개의 직선 배열홈(11)들이 구비된다.
트레이(10)의 한쪽 측면(12)에 배열홈(11)들과 각각 대응되는 관통구멍들이 구비된다.
트레이(10)의 배열홈(11)들에 각각 꼬치용 식재료들이 일렬로 배열된다.
꼬치용 식재료들은 고기조각들, 떡조각들, 소시지 조각들 등이 될 수 있다. 트레이(10)는 꼬치용 식재료열이 와이어벨트(150)들의 이동방항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와이어벨트(150)들에 올려 놓는다.
꼬챙이공급유닛(200)은 트레이컨베이어(100)의 옆에 구비되며 담겨진 꼬챙이들을 한 개씩 이송시킨다.
꼬챙이들의 이송방향은 트레이컨베이어(100)의 트레이(10) 이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이때 꼬챙이의 길이 방향은 이송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다.
꼬챙이공급유닛(200)의 일예로, 꼬챙이공급유닛(200)은 꼬챙이들이 채워지는 수용케이스(210)와, 그 수용케이스(2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수용케이스(210)에 채워진 꼬챙이들을 일렬로 이송시키는 꼬챙이컨베이어(220)와, 그 꼬챙이컨베이어(220)의 상부에 위치하여 꼬챙이컨베이어(220)와 연동되면서 꼬챙이컨베이어(220)와 함께 꼬챙이들을 이송시키는 보조컨베이어(230)를 포함한다.
수용케이스(210)는 트레이컨베이어(100)의 한쪽 측판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수용케이스(210)의 바닥은 수평바닥면(211)과, 그 수평바닥면(211)의 한쪽 끝에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경사바닥면(212)이 구비되어 내부에 담겨진 꼬챙이들이 경사바닥면(212)으로 자중에 의해 밀리게 된다.
수평바닥면(211)과 경사바닥면(212)은 측면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한다.
꼬챙이(20)의 일예로, 꼬챙이(20)는 한쪽 단부가 뽀족한 봉부와, 그 봉부의 다른 한쪽 단부 측면에 설정 면적으로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꼬챙이(20)의 봉부에 꼬치용 식재료들이 끼워진다.
꼬챙이컨베이어(220)의 일예로,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꼬챙이컨베이어(22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수용케이스(2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롤러(221)와, 그 메인롤러(221)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유닛(222)과, 메인롤러(221)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가이드부재(223)와, 그 가이드부재(223)의 한쪽에 구비되는 종동롤러(224)와, 메인롤러(221)와 가이드부재(223) 그리고 종동롤러(224)에 걸쳐 각각 연결되어 메인롤러(221)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면서 수용케이스(210)의 꼬챙이(20)들을 일렬로 이송시키는 복수 개의 메인와이어벨트(225)들을 포함한다.
메인롤러(221)의 일예로,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롤러(221)는 설정된 길이와 외경을 갖는 원통체(31)와, 그 원통체(31)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직선형 꼬챙이삽입홈(32)들과, 원통체(31)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원주 방향으로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 메인와이어벨트(225)들이 삽입되는 환형 벨트삽입홈(33)들과, 원통체(31)의 회전 중심에 관통 결합되는 롤러축(34)을 포함한다.
메인롤러(221)의 롤러축(34)의 양단부는 수용케이스(210)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롤러(221)는 수용케이스(210)의 경사바닥면(212)의 한쪽 단부에 위치한다.
롤러구동유닛(222)은 메인롤러(221)의 롤러축(34) 한쪽 단부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41)과, 그 구동유닛(4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42)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재(42)의 일예로, 동력전달부재(42)는 평기어를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재(223)의 일예로, 가이드부재(223)는 메인롤러(221)의 원통체(31)
길이에 상응하는 폭과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면이 평면인 몸체부(51)와, 그 몸체부(51)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 하면에 구비되는 경사면부(52)와, 그 몸체부(51)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각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메인와이어벨트(225)들이 각각 삽입되는 직선형 벨트삽입홈(53)들을 포함한다.
직선형 벨트삽입홈(53)들은 메인롤러(221)의 환형 벨트삽입홈(33)들의 수와 같은 수로 형성된다.
가이드부재(223)는 경사면부(52)가 메인롤러(221)의 원통체(31)와 중첩되면서 위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아울러 직선형 벨트삽입홈(53)들이 환형 벨트삽입홈(33)들과 일대일 대응되도록 위치한다.
종동롤러(221)는 가이드부재(223)의 길이 방향 다른 한쪽 단부, 즉, 경사면부(52)의 반대쪽 단부에 구비된다. 종동롤러(221)는 롤러축(61)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롤러(62)들을 포함하며, 그 롤러(62)들은 가이드부재(223)의 직선형 벨트삽입홈(53)들의 수와 상응하는 수이며, 각각 직선 벨트삽입홈(53)들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메인와이어벨트(225)들은 메인롤러(221)의 환형 벨트삽입홈(33)들의 수와 상응하는 수로 구성된다.
메인와이어벨트(225)들은 각각 메인롤러(221)의 환형 벨트삽입홈(33), 가이드부재(223)의 직선형 벨트삽입홈(53), 종동롤러(224)의 롤러(62)들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보조컨베이어(230)의 일예로, 보조컨베이어(230)는 꼬챙이컨베이어(220)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축(231)과, 그 제1 롤러축(23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롤러(232)들과, 제1 롤러축(231)과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제2 롤러축(233)과, 그 제2 롤러축(233)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롤러(234)들과, 제1,2 회전축(231)(233)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235)들과, 제1 롤러축(231)의 롤러(232)들과 제2 롤러축(233)의 롤러(234)들을 각각 연결하는 보조와이어벨트(236)들과, 제2 롤러축(233)의 한쪽 단부에 구비되어 꼬챙이컨베이어(2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롤러축(233)을 회전시키는 동력수용부재(237)를 포함한다.
제1 롤러축(231)의 롤러(232)들과 제2 롤러축(233)의 롤러(234)들은 서로 일대일 대응되도록 위치하며, 보조와이어벨트(236)들의 수는 제1,2 롤러축(231)(233)의 롤러들(232)(234)과 상응하는 수로 구성되며, 각 보조와이어벨트(236)는 제1,2 롤러축(231)(233)의 롤러들(232)(234)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연결부재(235)는 한쌍의 제1,2 롤러축(231)(233)의 롤러 사이에 위치하여 보조와이어벨트(236)의 가이드 역할도 한다. 제2 롤러축(233)의 양단부는 가이드부재(223) 또는 수용케이스(2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개구지지홈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동력수용부재(237)는 롤러구동유닛(222)의 동력전달부재(42)와 연결되어 롤러구동유닛(222)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동력수용부재(237)는 평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컨베이어(230)는 제1 롤러축(231)을 힌지축으로 하여 각회전 가능하게 되며, 보조컨베이어(230)가 가이드부재(223)의 상면과 평행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보조컨베이어(230)의 동력수용부재(237)와 롤러구동유닛(222)의 동력전달부재(42)가 연결되며, 또한 보조컨베이어(230)의 보조와이어벨트(236)들 중 적어도 두 개는 가이드부재(223)의 메인와이어벨트(225)들에 대응되게 위치한다.
메인롤러(221)와 수용케이스(210)의 경사바닥판(212) 사이에 수용케이스(210)에 채워진 꼬챙이(20)들이 메인롤러(221)쪽으로 이송되도록 보조하는 보조롤러(2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보조롤러(240)의 일예로, 보조롤러(240)는 수용케이스(210)의 양측벽에 결합되는 롤러축(241)과, 그 롤러축(241)들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롤러(242)들을 포함하며, 그 롤러(242)들 중 적어도 두개는 메인롤러(221)에 결합된 메인와이어벨트(225)들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위치한다.
보조롤러(240)의 롤러축(241) 한쪽 단부에 롤러축(241)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243)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꼬챙이공급유닛(200)의 작동은, 먼저, 보조컨베이어(230)가 수평으로 위치하
고 수용케이스(210)에 꼬챙이(20)들이 채워진 상태에서 꼬챙이컨베이어(220)의 롤러구동유닛(222)이 작동하게 되면 메인롤러(221)가 회전하면서 메인롤러(221), 가이드부재(223), 종동롤러(224)에 감겨진 다수 개의 메인와이어벨트(225)가 각각 동시에 무한궤도 움직임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롤러구동유닛(222)의 회전력이 보조컨베이어(230)의 동력수용부재(237)를 통해 제2 롤러축(233)에 전달되어 제2롤러축(233)이 회전하면서 제2 롤러축(233)의 롤러(234)들을 회전시키게 되며, 제2회전축(233)의 롤러(234)들이 회전함에 따라 보조컨베이어(230)의 보조와이어벨트(236)들이 동시에 무한궤도 움직임을 하게 된다.
꼬챙이컨베이어(220)의 작동에 의해 수용케이스(210)에 채워진 꼬챙이(20)들이 메인롤러(221)와 메인와이어벨트(225)들에 의해 한 개씩 이송되면서 보조컨베이어(230)의 보조와이어벨트(236)가 메인와이어벨트(225)와 함께 꼬챙이(20)를 가압하여 꼬챙이(20)를 푸싱하는 푸싱위치(종동롤러쪽)으로 이송시킨다.
수용케이스(210)에 채워진 꼬챙이(20)가 메인와이어벨트(225)들에 올려져 메인롤러(221)에서 가이드부재(223)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꼬챙이(20)가 하면에 지지되는 것이 없어 꼬챙이(20)의 손잡이부 하중에 의해 꼬챙이(20)의 손잡이부가 아래로 위치하게 되며 이어 가이드부재(223)로 이동하면서 손잡이부가 한쪽 방향으로 밀려 꼬챙이(20)가 한방향으로 정렬되면서 푸싱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식재료가압유닛(300)은 트레이컨베이어(100)에 장착되어 상하로 움직이면서 트레이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된 트레이(10)에 배열된 꼬치용 식재료열을 가압하거나 해제시킨다.
식재료가압유닛(300)의 일예로, 식재료가압유닛(300)은 트레이컨베이어(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디귿자형 고정프레임(310)과, 그 고정프레임(31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엑츄에이터(320)와, 그 엑츄에이터(320)의 로드에 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이면서 트레이(10)에 배열된 꼬치용 식재료열을 가압하거나 해제시키는 포크부재(330)를 포함한다.
디귿자형 고정프레임(310)의 양단은 트레이컨베이어(100)의 두 개의 측판에 각각 결합되어 중간 부분이 트레이컨베이어(100)의 와이어벨트(150)들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위치한다.
엑츄에이터(320)는 고정프레임(310)의 중간부분에 상면에 장착되고 포크부재(330)는 그 중간부분의 아래에 위치하고 엑츄에이터(320)의 로드가 중간부분을 관통하여 포크부재(330)의 상면 가운데에 연결된다.
포크부재(330)의 일예로, 포크부재(330)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부(331)와, 그 막대부(331)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핀부(332)들을 포함한다. 핀부(332)들의 각 하단 가운데 부분에 꼬챙이(20)가 통과하는 개구홈이 형성된다.
식재료가압유닛(300)은 포크부재(330)의 직선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축(340)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축(340)은 두 개이며, 그 두 개의 가이드축(340)들은 엑츄에이터(320)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여 고정프레임(310)의 중간부분을 관통하여 포크부재(330)의 상면에 연결된다.
트레이컨베이어(100)를 따라 트레이(10)가 이송하여 트레이(10)에 배열된 꼬치용 식재료열이 포크부재(330)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면 트레이컨베이어(100)를 잠시 멈춘 상태에서 엑츄에이터(320)가 작동하여 포크부재(330)를 아래로 밀어 포크부재(330)의 핀부(332)들이 꼬치용 식재료열을 눌러 가압하고 꼬치용 식재료열에 꼬챙이(20)가 끼워지게 되면 엑츄에이터(320)가 포크부재(330)를 위로 이동시킨다.
꼬챙이푸싱유닛(400)은 꼬챙이공급유닛(200)으로 이송된 꼬챙이(20)를 밀어 식재료가압유닛(300)에 의해 가압된 꼬치용 식재료열에 관통시킨다.
꼬챙이푸싱유닛(400)의 일예로, 꼬챙이푸싱유닛(400)은 꼬챙이공급유닛(200)과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엑츄에이터(410)와, 그 엑츄에이터(410)의 로드에 연결되어 엑츄에이터(410)의 작동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직선 왕복하면서 꼬챙이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꼬챙이(20)를 푸싱하는 푸싱바(42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기겸용 자동꼬치끼움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꼬챙이공급유닛의 수용케이스에 꼬챙이(20)들을 채우되, 꼬챙이(20)들
이 한방향을 향하도록 채운다. 그리고 배열홈들에 꼬치용 식재료(들)을 배열한 트레이(10)를 트레이컨베이어(100)에 올려 놓는다.
트레이컨베이어(100)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벨트(150)들이 무한궤도 움직임을 하면서 트레이(10)를 식재료가압유닛(300)쪽으로 이송시킨다. 이와 함께 꼬챙이공급유닛(200)에서 꼬챙이(20)들을 일렬로 이송시켜 꼬챙이를 푸싱하는 푸싱위치로 공급하게 된다.
트레이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되는 트레이(10)의 첫번째 배열홈이 식재료가압유닛(300)의 가압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트레이컨베이어(100)가 트레이(10)의 움직임을 정지시키고 이어 꼬챙이(20)가 꼬챙이푸싱유닛(400)의 푸싱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꼬챙이공급유닛(200)이 꼬챙이(20)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꼬챙이푸싱유닛(400)이 꼬챙이(20)를 푸싱하여 꼬챙이(20)를 트레이(10)의 첫번째 배열홈에 배열된 꼬치용 식재료들을 관통시킨다.
이어, 트레이컨베이어(100)가 트레이(10)를 이동시켜 트레이(10)의 두번째 배열홈을 가압위치에 위치시키고 꼬챙이공급유닛(200)이 다음 꼬챙이(20)를 푸싱위치로 이동시킨다.
꼬챙이푸싱유닛(400)이 두번째 꼬챙이(20)를 푸싱하여 트레이(10)의 두번째 배열홈에 배열된 꼬치용 식재료들을 관통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트레이(10)의 배열홈들에 각각 배열된 꼬치용 식재료열들에 각각 꼬챙이(20)를 꽂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꼬치용 식재료들을 꼬챙이(20)에 자동으로 끼우게 되므로 꼬치용 식재료들을 꼬챙이(20)로 빠르고 편리하게 꽂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꼬챙이공급유닛(200)이 수용케이스(210), 꼬챙이컨베이어(220), 보조컨베이어(230)를 포함하게 되므로 수용케이스(210)에 채워진 꼬챙이(20)들을 일렬로 안정적으로 푸싱위치로 이동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꼬챙이(20)들을 한방향으로 정렬시켜 푸싱위치로 공급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꼬챙이푸싱유닛(400)으로 꼬챙이(20)를 트레이(10)에 배열된 꼬치용 식재료열에 정확하게 꽂을 수 있게 된다.
100: 트레이컨베이어
200: 꼬챙이공급유닛
300: 식재료가압유닛
400: 꼬챙이푸싱유닛

Claims (5)

  1. 꼬치용 식재료들이 다수 개의 열로 배열된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트레이컨베이어;
    상기 트레이컨베이어의 옆에 구비되며, 채워진 꼬챙이들을 한 개씩 이송시키는 꼬챙이공급유닛;
    상기 트레이컨베이어에 장착되어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트레이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트레이에 배열된 꼬치용 식재료 열을 가압하거나 해제시키는 식재료가압유닛; 및
    상기 꼬챙이공급유닛으로 이송된 꼬챙이를 밀어 상기 식재료가압유닛에 의해 가압된 꼬치용 식재료열에 관통시키는 꼬챙이푸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꼬챙이공급유닛은 꼬챙이들이 채워지는 수용케이스와, 상기 수용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수용케이스에 채워진 꼬챙이들을 일렬로 이송시키는 꼬챙이컨베이어와, 상기 꼬챙이컨베이어의 상부에 위치하여 꼬챙이컨베이어와 연동되면서 꼬챙이컨베이어와 함께 꼬챙이들을 이송시키는 보조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자동꼬치끼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꼬챙이컨베이어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케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롤러와, 상기 메인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유닛과, 상기 메인롤러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한쪽에 구비되는 종동롤러와, 상기 메인롤러와 가이드부재 그리고 종동롤러에 걸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롤러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수용케이스의 꼬챙이들을 일렬로 이송시키는 복수 개의 메인와이어벨트들을 포함하는 자동꼬치끼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컨베이어는 상기 꼬챙이컨베이어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축과, 상기 제1 롤러축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롤러들과, 상기 제1 롤러축과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제2 롤러축과, 상기 제2 롤러축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롤러들과, 상기 제1,2회전축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들과, 상기 제1 롤러축의 롤러들과 제2 롤러축의 롤러들을 각각 연결하는 보조와이어벨트들과, 상기 제2 롤러축의 한쪽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꼬챙이컨베이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롤러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수용부재를 포함하는 자동꼬치끼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료가압유닛은 상기 트레이컨베이어의 일측에 결합되는 디귿자형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로드에 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트레이에 배열된 꼬치용 식재료열을 가압하거나 해제시키는 포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포크부재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부와, 상기 막대부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각각 하단 가운데 부분에 개구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핀부들을 포함하는 자동꼬치끼움장치.
KR1020220074185A 2022-06-17 2022-06-17 자동꼬치끼움장치 KR102601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185A KR102601452B1 (ko) 2022-06-17 2022-06-17 자동꼬치끼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185A KR102601452B1 (ko) 2022-06-17 2022-06-17 자동꼬치끼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452B1 true KR102601452B1 (ko) 2023-11-14

Family

ID=8874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185A KR102601452B1 (ko) 2022-06-17 2022-06-17 자동꼬치끼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4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2553A (ja) * 1985-10-18 1987-04-28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デイジタル伝送路の監視制御方式
KR20110043296A (ko) * 2009-10-21 2011-04-27 (주)이에스푸드 형틀 투입형 꼬치 제조장치
KR101964205B1 (ko) 2018-08-09 2019-04-02 오필제 꼬치용 자동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2553A (ja) * 1985-10-18 1987-04-28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デイジタル伝送路の監視制御方式
KR20110043296A (ko) * 2009-10-21 2011-04-27 (주)이에스푸드 형틀 투입형 꼬치 제조장치
KR101964205B1 (ko) 2018-08-09 2019-04-02 오필제 꼬치용 자동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9761A (en) Barbecue rotisserie apparatus
US5740722A (en) Machine for the automatic production of meat and/or vegetable kebabs
CN108471905B (zh) 用于烹饪或再加热食物的传送式烧烤器具
JP4497479B2 (ja) 食品の盛り付け方法及び装置
US4281594A (en) Bun section toaster
KR102601452B1 (ko) 자동꼬치끼움장치
US7076934B2 (en) Pattern former for wrapped bakery products
KR100763576B1 (ko) 고기구이봉의 공급 및 이송장치
US20060042194A1 (en) Pattern former for wrapped bakery products and bakery tray loading system
US7415813B2 (en) Pattern former for wrapped bakery products
KR101435026B1 (ko) 취급의 편리성을 갖는 꼬치 꽂이용 유닛
JPH06292553A (ja) 串刺機
KR102281316B1 (ko) 콘도그 자동제조 장치
KR102151312B1 (ko) 복수의 재료를 사용한 꼬치 식품의 제조장치
US3033099A (en) Toaster for buttered buns
JP5366049B2 (ja) 型焼き菓子の自動製造装置
US4784869A (en) Method of broiling food patties on both sides using conveyors
CN105800300A (zh) 豆筋送料盘接料输送装置
TW201429402A (zh) 自動燒烤機結構
CN211353737U (zh) 一种自动串烤串机
CN211380914U (zh) 一种食品加工用烘烤装置
KR102257543B1 (ko) 꼬치 제조 장치
CN117401357B (zh) 一种豆制品预制菜自动传送流水线
CN213785091U (zh) 一种糕点生产线上的滚圆装置
KR102028188B1 (ko) 식자재 자동 구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