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058B1 - 슬림형 텀블러 버튼 어셈블리 구조 - Google Patents

슬림형 텀블러 버튼 어셈블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058B1
KR102598058B1 KR1020230045354A KR20230045354A KR102598058B1 KR 102598058 B1 KR102598058 B1 KR 102598058B1 KR 1020230045354 A KR1020230045354 A KR 1020230045354A KR 20230045354 A KR20230045354 A KR 20230045354A KR 102598058 B1 KR102598058 B1 KR 102598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umbler
button body
main board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호
박은배
오태섭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제이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23004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형 텀블러 버튼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홀더부의 일단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버튼몸체가 결합되며, 홀더부의 타단에는 버튼몸체의 설치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방향으로 메인기판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텀블러버튼 어셈블리구조의 두께가 슬림해지도록 구성하므로서, 전체적인 텀블러버튼 어셈블리의 두께가 종래에 비해 현저히 슬림해지게 되어 소비자에게 슬림한 느낌의 텀블러버튼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게되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끼워지는 메인기판의 선단부 양면에 스위치를 설치하면서 이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부를 버튼몸체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기존에 사용되던 작동로드를 제거할 수 있게되어 텀블러버튼의 부품수를 현저히 줄여줄 수 있음은 물론 작동로드 설치공간을 줄여줄 수 있게되어 제품의 부피를 기존에 비해 축소시킬 수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버튼몸체 내측까지 진입하는 메인기판의 끝단에 조명용 LED를 설치하고, 이 LED의 빛을 캡의 심볼표시부로 반사시키는 렌즈를 버튼몸체의 내부 수용공간부에 설치하므로서, LED가 버튼몸체 내측에 설치됨에 따라 빛의 손실없이 캡을 밝고 선명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한 슬림형 텀블러버튼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림형 텀블러 버튼 어셈블리 구조{Assembly structure of slim type tumbler button}
본 발명은 슬림형 텀블러 버튼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홀더부의 일단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버튼몸체가 결합되며, 홀더부의 타단에는 버튼몸체의 설치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방향으로 메인기판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텀블러버튼 어셈블리구조의 두께가 슬림해지도록 구성하므로서, 전체적인 텀블러버튼 어셈블리의 두께가 종래에 비해 현저히 슬림해지게 되어 소비자에게 슬림한 느낌의 텀블러버튼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게되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끼워지는 메인기판의 선단부 양면에 스위치를 설치하면서 이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부를 버튼몸체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기존에 사용되던 작동로드를 제거할 수 있게되어 텀블러버튼의 부품수를 현저히 줄여줄 수 있음은 물론 작동로드 설치공간을 줄여줄 수 있게되어 제품의 부피를 기존에 비해 축소시킬 수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버튼몸체 내측까지 진입하는 메인기판의 끝단에 조명용 LED를 설치하고, 이 LED의 빛을 캡의 심볼표시부로 반사시키는 렌즈를 버튼몸체의 내부 수용공간부에 설치하므로서, LED가 버튼몸체 내측에 설치됨에 따라 빛의 손실없이 캡을 밝고 선명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한 슬림형 텀블러버튼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차량에 배치되는데, 차량의 실내 조명 내지 전조등의 조명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 스위치도 배치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가변 스위치의 경우 다이얼 식 내지 스크롤 식으로 구현되어 다이얼의 조절감, 즉 회전 정도에 따른 가변 상태가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조절이 용이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차량 주행 운전자의 경우 주행 주의력을 분산시켜 안전에 문제를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작동이 편리한 텀블러버튼이 설치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텀블러버튼 어셈블리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이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텀블러버튼 어셈블리 구조를 설명한다.
종래의 텀블러버튼 어셈블리 구조는
버튼하우징(1)의 일측 개구단으로 버튼몸체(4)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작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버튼몸체(4)의 상측과 하측으로는 누름부(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버튼몸체(4)의 외측으로는 심볼표시부(7)가 구비되어 있는 캡(6)이 결합된다.
그리고, 버튼하우징(1)의 내측에는 스위치(9)가 설치되어 있는 기판(8)이 도면상의 수직방향(버튼몸체의 설치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기판(8)에는 캡(6)의 심볼표시부(7)를 비춰주기 위한 LED(10)가 설치된다.
또한, 스위치(9)를 직접적으로 눌러주기 위한 작동로드(2)가 버튼하우징(1)에 구비된 로드삽입부(3)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작동로드(2)의 헤드부분이 버튼몸체(4)의 누름부(5)에 접촉되고 작동로드(2)의 작동단이 스위치(9)에 접촉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텀블러버튼 어셈블리 구조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버튼몸체(4)가 상측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하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누름부(5)가 작동로드(2)를 눌러줌에 따라 작동로드(2)의 작동단이 스위치(9)를 눌러서 전기적신호가 발생되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또한, 도 1c와 같이 기판(8)에 설치되어 있는 LED(10)의 빛이 캡(6)으로 조사되어 심볼표시부(7)로 발산되면서 심볼표시부(7)에 인쇄된 심볼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텀블러버튼 어셈블리구조는 기판(8)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버튼몸체(4)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9)가 기판(8)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텀블러버튼 어셈블리의 두께(T1)가 두꺼워질 수 밖에 없으며, 이로인해 대쉬보드상에 보여지는 텀블러버튼 어셈블리의 두께가 두꺼워져 슬림한 느낌을 소비자에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텀블러버튼 어셈블리구조는 텀블러 작동으로 스위치를 눌러주기 위해 버튼몸체(4)의 상하 회전 작동시 누름부의 작동력을 스위치로 전달하는 작동로드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하여 제품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텀블러버튼 어셈블리구조는 캡의 심볼표시부를 조명하고자 할 때 버튼몸체로 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버튼하우징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기판(8) 상에 LED가 설치되기 때문에 LED와 캡의 거리가 멀어지게되어 선명하고 정확한 조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홀더부의 일단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버튼몸체가 결합되며, 홀더부의 타단에는 버튼몸체의 설치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방향으로 메인기판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텀블러버튼 어셈블리구조의 두께가 슬림해지도록 구성하므로서, 전체적인 텀블러버튼 어셈블리의 두께가 종래에 비해 현저히 슬림해지게 되어 소비자에게 슬림한 느낌의 텀블러버튼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게되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끼워지는 메인기판의 선단부 양면에 스위치를 설치하면서 이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부를 버튼몸체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기존에 사용되던 작동로드를 제거할 수 있게되어 텀블러버튼의 부품수를 현저히 줄여줄 수 있음은 물론 작동로드 설치공간을 줄여줄 수 있게되어 제품의 부피를 기존에 비해 축소시킬 수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버튼몸체 내측까지 진입하는 메인기판의 끝단에 조명용 LED를 설치하고, 이 LED의 빛을 캡의 심볼표시부로 반사시키는 렌즈를 버튼몸체의 내부 수용공간부에 설치하므로서, LED가 버튼몸체 내측에 설치됨에 따라 빛의 손실없이 캡을 밝고 선명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한 슬림형 텀블러버튼 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버튼하우징(20)의 내측으로 홀더부(30)가 끼워져 결합되고, 홀더부(30)의 일단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버튼몸체(40)가 결합되며, 홀더부(30)의 타단에는 버튼몸체(40)의 설치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방향으로 메인기판(6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텀블러버튼 어셈블리구조의 두께가 슬림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적인 텀블러버튼 어셈블리의 두께가 종래에 비해 현저히 슬림해지게 되어 소비자에게 슬림한 느낌의 텀블러버튼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끼워지는 메인기판의 선단부 양면에 스위치를 설치하면서 이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부를 버튼몸체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기존에 사용되던 작동로드를 제거할 수 있게되어 텀블러버튼의 부품수를 현저히 줄여줄 수 있음은 물론 작동로드 설치공간을 줄여줄 수 있게되어 제품의 부피를 기존에 비해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버튼몸체 내측까지 진입하는 메인기판의 끝단에 조명용 LED를 설치하고, 이 LED의 빛을 캡의 심볼표시부로 반사시키는 렌즈를 버튼몸체의 내부 수용공간부에 설치하므로서, LED가 버튼몸체 내측에 설치됨에 따라 빛의 손실없이 캡을 밝고 선명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텀블러버튼 어셈블리구조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슬림형 텀블러버튼 어셈블리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텀블러버튼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서 텀블러버튼 어셈블리구조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서 보조기판의 설치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텀블러 어셈블리구조의 전후조작버튼이 설치된 부분을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서 캡 부분 조명상태를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서 캡 조명을 위해 설치되는 렌즈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슬림형 텀블러버튼 어셈블리 구조는
버튼하우징(20)의 내측으로 홀더부(30)가 끼워져 결합되고, 홀더부(30)의 일단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버튼몸체(40)가 결합되며, 홀더부(30)의 타단에는 버튼몸체(40)의 설치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방향으로 메인기판(6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텀블러버튼 어셈블리구조의 두께가 슬림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메인기판(60)의 양면에 각각 스위치(61)가 설치되고, 버튼몸체(40)의 상하측 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누름부(42)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누름부(42)가 직접 스위치(61)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메인기판(60)의 선단에는 커넥터(71)에 의해 메인기판(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기판(70)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이 보조기판(70)의 전면에 전방을 향하도록 스위치(73)를 설치하여 버튼하우징(20)에 전후조작버튼(72)을 더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심볼표시부(51)가 구비된 캡(50)을 버튼몸체(40)의 일단에 결합하고, 버튼몸체(40)의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기판(60)의 끝단에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LED(6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버튼몸체(40)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용공간부(43)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부(43)의 내부에 LED(62)의 빛을 심볼표시부(51)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렌즈(4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44)의 바닥부에는 빛을 상측으로 반사시키는 다수의 톱니형 요철부로 이루어진 반사요철부(45)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용공간부(43)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렌즈(44)를 연결대(46)로 연결하여 복수개의 렌즈(44)를 한번에 수용공간부(43)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는 슬림형 텀블러버튼 어셈블리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부호 20 은 버튼하우징을 나타내고, 이 버튼하우징(20)의 전방에는 중앙홀(21)이 형성되어 있고,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버튼하우징(20)은 전방하우징과 후방하우징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전방하우징과 후방하우징이 결합되어 전체적인 버튼하우징을 이루게 된다.
버튼하우징(20)의 내측으로는 홀더부(30)가 끼워져 결합되는데, 홀더부(30)의 전방에는 소정 간격으로 한쌍의 지지부(31)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31)의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지지축(32)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지지부(31)는 설치되는 버튼몸체(40)의 갯수에 대응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몸체(40)가 구비된다.
버튼몸체(40)의 양측에는 지지축(32)이 끼워지기 위한 끼움부(41)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끼움부(41)를 통해 지지축(32)에 끼워서 버튼몸체(40)를 홀더부(30)에 일정각도 회전 작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된다.
심볼표시부(51)가 구비된 캡(50)을 버튼몸체(40)의 일단에 결합한다.
버튼몸체(40)의 상하단 각각에는 직접적으로 스위치(61)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부(42)가 후설하는 메인기판(60)의 설치방향과 평행하게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버튼몸체(40)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용공간부(43)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부(43)의 내부에 LED(62)의 빛을 심볼표시부(51)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렌즈(44)를 설치하는데, 이때, 렌즈(44)의 바닥부에는 빛을 상측으로 반사시키는 다수의 톱니형 요철부로 이루어진 반사요철부(45)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수용공간부(43)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렌즈(44)를 연결대(46)로 연결하여 복수개의 렌즈(44)를 한번에 수용공간부(43)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홀더부(30)의 후단에는 버튼몸체(40)의 설치방향과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메인기판(60)을 끼워 결합하는데, 메인기판(60)의 선단부 양면에 각각 스위치(61)를 설치하여 버튼몸체(40)의 상하 회전 동작시 누름부(42)가 직접 스위치(61)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같은 버튼몸체(40)와 누름부(42)의 동작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끼워진 메인기판(60)의 양면에 설치되는 스위치(61)를 누름부(42)가 직접 조작할 수 있게됨에 따라 메인기판(60)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전체적인 텀블러버튼 어셈블리의 두께를 기존에 비해 줄여줄 수 있게되어 슬림화가 가능해진 것이다.
종래 텀블러 버튼장치의 두께 T1 에 비해 본 발명의 텀블러 버튼장치의 두께 T2가 현저가 얇아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메인기판(60)의 선단에는 커넥터(71)에 의해 메인기판(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기판(70)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이 보조기판(70)의 전면에 전방을 향하도록 스위치(73)를 설치하여 버튼하우징(20)에 전후조작버튼(72)을 더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메인기판(60)의 전방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기 위한 보조기판(70)을 더 설치하는데, 이 보조기판(70)과 메인기판(60)은 커넥터(7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보조기판(70)의 전면에는 전방을 향하도록 스위치(73)를 설치하여 도 5 와 같이 버튼하우징(20)에 전후 방향으로 작동하는 전후조작버튼(72)을 설치하였을때 전후조작버튼(72)이 스위치(73)와 접촉되면서 스위치(73)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텀블러버튼의 작동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버튼몸체(40)가 홀더부(30)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홀더부(30)의 내부에는 메인기판(60)이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메인기판(60)의 선단부 양면에 각각 스위치(6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b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몸체(40)를 상측으로 작동시키면, 버튼몸체(40)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누름부(42)가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메인기판(60)의 도면상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61)를 눌러 작동시키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위치(61)(73)는 택트스위치일 수 있다.
아래의 참고도1 은 본 발명의 텀블러버튼의 작동력을 설명하기 위해 텀블러버튼의 작동구조를 도식화한 것이다.
참고도1 과 같이 텀블러몸체(40)가 지지축(32)을 중심점으로 하여 회동작동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부분(캡의 끝단부)으로 부터 중심점 까지의 거리를 (A) 라 하고, 중심점으로 부터 누름부(42) 까지의 거리를 (B) 라 할때, 사용자의 조작력은 아래의 식1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1 -- 사용자의 조작력 = (B)/(A) ×@ (@:택트스위치 자체의 조작력)
위 식1을 참조하면 거리 (A) 보다 거리 (B)를 길게 설정하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서 택트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게되는 것이며, 이로인해 사용자가 부드러운 조작감으로 텀블러 버튼을 조작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참고도1>
한편,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명수단을 보인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렌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버튼몸체(40)의 내부까지 진입하게되는 메인기판(60)의 끝단부에 조명용 LED(62)를 설치하며, 버튼몸체(40)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용공간부(43)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부(43)의 내부에 LED(62)의 빛을 심볼표시부(51)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렌즈(44)를 설치하는데, 이때, 렌즈(44)의 바닥부에는 빛을 상측으로 반사시키는 다수의 톱니형 요철부로 이루어진 반사요철부(45)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수용공간부(43)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렌즈(44)를 연결대(46)로 연결하여 복수개의 렌즈(44)를 한번에 수용공간부(43)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따라, 버튼몸체(40)의 내부까지 진입한 메인기판(60)의 끝단에 LED(62)를 설치함에 따라 LED(62)의 위치와 캡(50)의 심볼표시부(51)의 거리가 짧아지게되어 심볼표시부(51)로 조사되는 빛이 밝아지게되어 심볼표시부(51)의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LED(62)의 빛이 렌즈(44)의 바닥부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톱니형의 반사요철부(45)에 의해 상측으로 반사되어 심볼표시부(51)로 비춰주게 되므로 심볼표시부(51)를 기존에 비해 현저히 밝은 빛으로 조명할 수 있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공간부(43)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반사요철부(45)를 모두 연결대(46)로 연결함에 따라 복수개의 반사요철부(45)를 한번에 수용공간부(43)에 설치할 수 있게되어 조립공정을 줄여줄 수 있게되는 것이다.
20; 버튼하우징, 21: 중앙홀,
30: 홀더부, 31: 지지부,
32: 지지축, 40: 버튼몸체,
41: 끼움부, 42: 누름부,
43: 수용공간부, 44: 렌즈,
45: 반소요철부, 46: 연결대,
50: 캡, 51: 심볼표시부,
60: 메인기판, 61: 스위치,
62: LED, 70: 보조기판,
71: 커넥터, 72: 전후조작버튼,
73: 스위치,

Claims (7)

  1. 버튼하우징(20)의 내측으로 홀더부(30)가 끼워져 결합되고,
    홀더부(30)의 일단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버튼몸체(40)가 결합되며,
    홀더부(30)의 타단에는 버튼몸체(40)의 설치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방향으로 메인기판(6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텀블러버튼 어셈블리구조의 두께가 슬림해지도록 구성하고,
    메인기판(60)의 양면에 각각 스위치(61)가 설치되며, 버튼몸체(40)의 상하측 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누름부(42)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누름부(42)가 직접 스위치(61)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심볼표시부(51)가 구비된 캡(50)을 버튼몸체(40)의 일단에 결합하며, 버튼몸체(40)의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기판(60)의 끝단에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LED(62)를 설치하며,
    버튼몸체(40)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용공간부(43)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부(43)의 내부에 LED(62)의 빛을 심볼표시부(51)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렌즈(44)를 설치하고,
    상기 렌즈(44)의 바닥부에는 빛을 상측으로 반사시키는 다수의 톱니형 요철부로 이루어진 반사요철부(45)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며,
    수용공간부(43)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렌즈(44)를 연결대(46)로 연결하여 복수개의 렌즈(44)를 한번에 수용공간부(43)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메인기판(60)의 선단에는 커넥터(71)에 의해 메인기판(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기판(70)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이 보조기판(70)의 전면에 전방을 향하도록 스위치(73)를 설치하여 버튼하우징(20)에 전후조작버튼(72)을 더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텀블러 버튼 어셈블리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30045354A 2023-04-06 2023-04-06 슬림형 텀블러 버튼 어셈블리 구조 KR102598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354A KR102598058B1 (ko) 2023-04-06 2023-04-06 슬림형 텀블러 버튼 어셈블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354A KR102598058B1 (ko) 2023-04-06 2023-04-06 슬림형 텀블러 버튼 어셈블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058B1 true KR102598058B1 (ko) 2023-11-06

Family

ID=8874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5354A KR102598058B1 (ko) 2023-04-06 2023-04-06 슬림형 텀블러 버튼 어셈블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0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967U (ja) * 1992-04-16 1993-1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イッチ構造
JPH07192572A (ja) * 1993-12-27 1995-07-28 Casio Comput Co Ltd 小型電子機器のプッシュ釦構造
JPH07246878A (ja) * 1994-03-09 1995-09-26 Toyoda Gosei Co Ltd スイッチ付照明装置
KR19980024443U (ko) * 1996-10-31 1998-07-25 배순훈 발광다이오드가 일체화된 푸쉬버튼 조립체
KR20120097013A (ko) * 2011-02-24 2012-09-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시동 및 정지스위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967U (ja) * 1992-04-16 1993-1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イッチ構造
JPH07192572A (ja) * 1993-12-27 1995-07-28 Casio Comput Co Ltd 小型電子機器のプッシュ釦構造
JPH07246878A (ja) * 1994-03-09 1995-09-26 Toyoda Gosei Co Ltd スイッチ付照明装置
KR19980024443U (ko) * 1996-10-31 1998-07-25 배순훈 발광다이오드가 일체화된 푸쉬버튼 조립체
KR20120097013A (ko) * 2011-02-24 2012-09-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시동 및 정지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1313A (en) Halo lighting for keypad switch assemblies
US6667446B1 (en) Rotary knob device with a key function
US3543018A (en) Rearview mirror with map light
EP1758138B1 (en) Push button switch with backlight function
US20100238677A1 (en) Led illumination module with touch sensitive controls and overhead console using the module
KR100457452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장치
US9140442B2 (en) Low-profile illuminated switch assembly
US5336859A (en) Illuminated switch
US20160035508A1 (en) Lighting switch for display unit
JP2000260249A (ja) 照光式スイッチ装置
KR102598058B1 (ko) 슬림형 텀블러 버튼 어셈블리 구조
KR102598067B1 (ko) 슬림형 텀블러 버튼의 조명장치
KR102598062B1 (ko) 슬림형 텀블러 버튼 장치
JP4492505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5338499A (ja) 表示部材及びパネル表示ユニット
JP4375404B2 (ja) 照光スイッ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映像音響機器
CN210156301U (zh) 开关旋钮和具有该开关旋钮的操作模块
JP2001354064A (ja) 車両用コラムスイッチの照明構造
JPH11185558A (ja) スイッチ装置
KR200456700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CN218826783U (zh) 一种带导光按键结构的方向盘开关
JP4141735B2 (ja) 車載用表示装置
CN210743831U (zh) 开闭体的操作装置
KR20190032066A (ko)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JP4470731B2 (ja) 操作パネル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