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795B1 - 그레이팅 구조체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795B1
KR102596795B1 KR1020220123296A KR20220123296A KR102596795B1 KR 102596795 B1 KR102596795 B1 KR 102596795B1 KR 1020220123296 A KR1020220123296 A KR 1020220123296A KR 20220123296 A KR20220123296 A KR 20220123296A KR 102596795 B1 KR102596795 B1 KR 102596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ating structure
peripheral surface
partition wall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문
Original Assignee
(주)동아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에스텍 filed Critical (주)동아에스텍
Priority to KR102022012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2Gratings; Grid-like panels
    • E04C2/421Gratings; Grid-like panels made of bar-like elements, e.g. bars discontinuous in one direction
    • E04C2/422Gratings; Grid-like panels made of bar-like elements, e.g. bars discontinuous in one direction with continuous bars connecting at crossing points of the grid patter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레이팅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격자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격벽을 가짐으로써 내측에 복수의 제1 공간부가 형성되되, 복수의 제1 공간부의 내측에 사각 형상의 보조격벽이 더 구비되어 복수의 제2 공간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보조격벽의 상면에 배치되는 다공성 재질의 끼움부재; 및 프레임의 하면에 위치되는 사각 형상의 판부;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성 재질의 끼움부재가 프레임에 삽입되므로, 배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작업도구의 추락 또는 바퀴의 끼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고무 재질의 도트부가 형성되므로, 표면 마찰력을 극대화하여 미끄러짐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레이팅 구조체{GR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그레이팅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작업도구의 추락 및 미끄러짐 위험을 최소화하되 배수 효율을 향상시킨 그레이팅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그레이팅은 하수구의 뚜껑에 사용되는 철제 판으로, 일반적으로 복수의 직사각형 격자 구조로 형성되며 주철(鑄鐵)을 주로 사용하여 제조됨으로써 많은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최근 산업 발전에 따라, 그레이팅은 공장, 발전소, 선박 등과 같은 다양한 산업 현장의 바닥 또는 계단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재질의 특성 상 표면 마찰력이 낮아 이용자가 미끄러질 수 있다는 위험이 있고, 배수를 위해 형성된 공간으로 운송수단의 바퀴 휠 등이 빠지거나 작업도구가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서브 구획부재 등을 활용한 그레이팅이 다수 개시되었으나, 이러한 그레이팅 역시 배수를 위한 최소한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작은 작업도구는 이탈하여 추락할 위험이 여전히 존재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배수가 용이하면서도 작업도구의 추락을 방지하며, 미끄러짐을 최소화한 그레이팅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1948호 (2011.08.29. 등록)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4330호 (2015.02.11.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수가 용이하되 작업도구의 추락을 방지하는 그레이팅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미끄러짐을 최소화한 그레이팅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 그레이팅 구조체를 용이하게 대체할 수 있는 그레이팅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격자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격벽을 가짐으로써 내측에 복수의 제1 공간부가 형성되되, 복수의 제1 공간부의 내측에 사각 형상의 보조격벽이 더 구비되어 복수의 제2 공간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보조격벽의 상면에 배치되는 다공성 재질의 끼움부재; 및 프레임의 하면에 위치되는 사각 형상의 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성 재질의 끼움부재가 프레임에 삽입되므로, 배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작업도구의 추락 또는 바퀴의 끼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 재질의 도트부가 형성되므로, 표면 마찰력을 극대화하여 미끄러짐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의 끼움부재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의 프레임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프레임과 끼움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의 판부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판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나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는 프레임(200); 끼움부재(100); 및 판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의 기본적인 골격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격자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격벽(210)을 가짐으로써 내측에 복수의 제1 공간부(E1)를 형성하여 그레이팅 구조체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프레임(200)은,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스틸 그레이팅은 배수가 주 목적이므로,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SS400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프레임(20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프레임(200)은 격벽(210)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1 공간부(E1)의 내측에 사각 형상의 보조격벽(220)이 더 구비되어 복수의 제2 공간부(E2)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실시예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끼움부재(100)는 프레임(200)에 형성된 보조격벽(2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제1 공간부(E1)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격벽(210) 내부에 형성된 제1 공간(E1)으로 작업 도구 등이 추락하거나 유모차의 바퀴가 빠지는 상황을 방지하면서 다공성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판부(300)는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어, 프레임(200)의 하면에 결합함으로써 그레이팅 구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그레이팅 구조체가 지면에 설치되는 경우 지면과 일차적으로 접촉하여 끼움부재(100)의 오염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판부(30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판부(300)는 배출공(310)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판부(30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배출공(310)을 포함하여 구비됨으로써, 끼움부재(100)를 통과한 유체를 판부(300)의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의 끼움부재(100)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끼움부재(100)는 본체부(110); 탄성부(120); 및 도트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10)는 다공성 재질로 구비되어 배수를 용이하게 하되 작업도구의 추락 및 바퀴의 끼임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본체부(110)는 해면, 스펀지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11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체부(110)는 외주면의 일부가 보조격벽(22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외주면의 일부가 제2 공간부(E2)에 삽입됨으로써 작업도구의 추락 및 바퀴의 끼임을 방지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10)가 제2 공간부(E2) 전체에 삽입되더라도, 다공성 재질로 구비되므로 배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탄성부(120)는 본체부(110)가 프레임(20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프레임(20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보조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탄성부(120)는 내주면이 본체부(110)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외주면이 격벽(21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 공간부(E1)에 삽입되도록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탄성부(120)의 하면이 보조격벽(21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끼움부재(100)가 프레임(200)과 결합하게 된다. 탄성부(120)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결합돌기(121)가 더 형성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트부(130)는 탄성부(120)의 상면에 배치되어 그레이팅 구조체의 미끄러짐을 최소화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도트부(130)는 고무 재질로 구비되어 그레이팅 구조체와 접촉하는 대상과의 마찰력을 극대화하여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트부(130)를 형성하여 그레이팅 구조체의 표면 마찰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체부(110)가 탄성부(120)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단차를 형성하고, 단차만큼의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도트부(130)가 탄성부(120)의 상면에 형성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의 프레임(200)에 대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200) 및 프레임(200)과 끼움부재(1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의 프레임(200)은 격자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격벽(210) 및 격벽(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보조격벽(220)으로 구비됨으로써, 제1 공간부(E1) 및 제2 공간부(E2)를 형성하게 된다. 제1 공간부(E1) 및 제2 공간부(E2)는 끼움부재(100)를 용이하게 결합하되 프레임(20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이로 인한 효과는 도 5의 <B>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끼움부재(100)의 본체부(110)가 보조격벽(220)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프레임(200)의 제2 공간부(E2)에 삽입되고, 이로써 본체부(1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탄성부(120)의 외주면이 격벽(210)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프레임(200)의 제1 공간부(E1)에 삽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체부(11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120)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단차를 형성하고, 단차만큼의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도트부(130)가 탄성부(1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프레임(200)보다 고무 재질의 도트부(130)가 그레이팅 구조체의 최상단에 위치함으로써 그레이팅 구조체의 표면마찰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끼움부재(100)가 프레임(20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격벽(210)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끼움홀(211)이 더 형성되고, 탄성부(12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121)가 끼움홀(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끼움홀(211)의 내부의 끼움돌기(121)가 삽입되어 끼움부재(100)가 프레임(200)과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120)는 고무, 실리콘 등의 높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고, 이러한 탄성부(120)가 일부 돌출되어 형성되는 끼움돌기(121) 역시 높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끼움부재(100)를 프레임(200)에 삽입할 때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끼움돌기(121)가 휘어지고, 끼움홀(211)에 삽입된 이후에는 끼움홀(211)에 고정되어 끼움부재(100)가 프레임(20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도 5의 <B>에는 본체부(110)가 제2 공간부(E2)의 전체를 채우도록 삽입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부(110)는 제2 공간부(E2)의 일부를 채우도록 삽입되고 제2 공간부(E2)의 하부는 빈 상태를 유지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공간부(E2)의 하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보조격벽(220)의 내측 하부에 수위센서(미도시)가 형성되어 유체가 배출공(310)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제2 공간부(E2)에 남아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위센서가 제2 공간부(E2)에 남아있는 유체를 감지하는 경우, 프레임(200)의 격벽(210) 상면에 형성되는 LED 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비되어 홍수 등의 재난 상황 또는 배출공(310) 막힘 등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대처하여 안전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의 판부(300)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의 판부(300)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배출공(310)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배출공(3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의 제2 공간부(E2)가 형성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200)과 판부(3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는 프레임(200)과 판부(30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결합홀(230) 및 결합부재(320)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00)의 하부에 "T"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결합홀(230)이 형성되고, 판부(300)의 상면에 프레임(200)의 결합홀(230)로 삽입되는 결합부재(320)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프레임(200)의 결합홀(230)로 삽입되는 결합부재(320)의 일단은 형상기억합금 재질로 구비되어 제조 시 용이하게 체결하고 체결된 이후에는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상세하게, 결합부재(320)의 일단은 각 단부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형상을 갖는 복수의 갈래로 형성되되, 온도의 변화에 따라 복수의 갈래의 각 단부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 형상이 되도록 변형되고, 상온에서 다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형상으로 복원됨으로써 결합홀(230)의 "T"자 형상의 상단에 고정되어 체결을 유지하는 형상기억합금 재질로 구비되는 온도변형부(321)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끼움부재 110 : 본체부
120 : 탄성부 121 : 끼움돌기
130 : 도트부 200 : 프레임
210 : 격벽 211 : 끼움홀
220 : 보조격벽 230: 결합홀
300 : 판부 310 : 배출공
320 : 결합부재 321 : 온도변형부

Claims (7)

  1. 격자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격벽(210)을 가짐으로써 내측에 복수의 제1 공간부(E1)가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1 공간부(E1)의 내측에 사각 형상의 보조격벽(220)이 더 구비되어 복수의 제2 공간부(E2)를 형성하는 프레임(200);
    상기 보조격벽(220)의 상면에 배치되는 다공성 재질의 끼움부재(100); 및
    상기 프레임(200)의 하면에 위치되는 사각 형상의 판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재(100)는,
    다공성 재질로 구비되되,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보조격벽(22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제2 공간부(E2)에 삽입되는 본체부(110); 및
    내주면이 상기 본체부(110)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외주면이 상기 격벽(21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공간부(E1)에 삽입되는 탄성부(120);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120)의 하면이 상기 보조격벽(22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조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탄성부(120)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만큼의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도트부(130)가 상기 탄성부(120)의 상면에 더 형성되되,
    상기 도트부(130)는 고무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300)는,
    상기 판부(30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배출공(3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210)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끼움홀(211)이 더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12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121)가 상기 끼움홀(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끼움홀(211)의 내부에 상기 끼움돌기(121)가 삽입되어 상기 끼움부재(100)가 상기 프레임(200)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0)은,
    "T"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결합홀(230)이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판부(300)는,
    상기 프레임(200)의 결합홀(230)로 삽입되는 결합부재(320)가 상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0)의 결합홀(230)로 삽입되는 상기 결합부재(320)의 일단은,
    각 단부가 "ㄱ" 형상을 갖는 복수의 갈래로 형성되고,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갈래의 각 단부가 일직선 형상이 되도록 변형되고, 상온에서 "ㄱ" 형상으로 복원되는 형상기억합금 재질로 구비되는 온도변형부(3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조체.

KR1020220123296A 2022-09-28 2022-09-28 그레이팅 구조체 KR102596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296A KR102596795B1 (ko) 2022-09-28 2022-09-28 그레이팅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296A KR102596795B1 (ko) 2022-09-28 2022-09-28 그레이팅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795B1 true KR102596795B1 (ko) 2023-11-01

Family

ID=8874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296A KR102596795B1 (ko) 2022-09-28 2022-09-28 그레이팅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7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553U (ko) * 1994-04-12 1995-11-20 김경수 맨홀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US20080050175A1 (en) * 2006-08-25 2008-02-28 Gmi Composites Inc. Reinforced composite manhole cover assembly
KR101061948B1 (ko) 2008-12-24 2011-09-05 김상돈 안전 그레이팅
KR101494330B1 (ko) 2013-03-11 2015-02-23 김상돈 그레이팅
KR102010185B1 (ko) * 2018-07-10 2019-08-13 구본승 그레이팅 커버
KR20210089446A (ko) * 2020-01-08 2021-07-16 이용운 맨홀 그레이팅용 걸림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553U (ko) * 1994-04-12 1995-11-20 김경수 맨홀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US20080050175A1 (en) * 2006-08-25 2008-02-28 Gmi Composites Inc. Reinforced composite manhole cover assembly
KR101061948B1 (ko) 2008-12-24 2011-09-05 김상돈 안전 그레이팅
KR101494330B1 (ko) 2013-03-11 2015-02-23 김상돈 그레이팅
KR102010185B1 (ko) * 2018-07-10 2019-08-13 구본승 그레이팅 커버
KR20210089446A (ko) * 2020-01-08 2021-07-16 이용운 맨홀 그레이팅용 걸림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32701A1 (en) Drainage grate
KR102596795B1 (ko) 그레이팅 구조체
KR101820907B1 (ko) 에코 그레이팅 제조공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에코 그레이팅
KR101574533B1 (ko) 스틸 그레이팅 고정장치
JP6429760B2 (ja) 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916353B1 (ko) 맨홀용 그레이팅
JP3511176B2 (ja) U字溝
KR101156379B1 (ko) 다방향배수기능과 시공이 용이한 그레이팅 구조
EP1193348A3 (en) Modular elements to be cast and fixed in seabeds or the like for the re-formation of aquatic life
JP7092353B2 (ja) 側溝用ブロック用スペーサ
KR200281572Y1 (ko) 스테인레스 스틸 그레이팅
JP4913759B2 (ja) 係止溝付きスペーサー
JP3151326U (ja) 溝蓋
JP2020165098A (ja) 駅ホームの補強構造
JP6430314B2 (ja) U字溝
KR100523415B1 (ko) 스틸 그레이팅
KR200219686Y1 (ko) 슬립방지용 보강메트
JP3234003U (ja) 溝蓋用グレーチング材
JPH0676403U (ja) グレーチングにおける溝部の充填枠材
KR100511766B1 (ko) 건설용 조립 보강메시
JP4312097B2 (ja) グレーチング用受枠
JP4042063B2 (ja) 浄化槽及び浄化槽を利用した非常用トイレ装置
JP2007332741A (ja) グレーチング
JP2007077569A (ja) 直立式横型ドレンキャップ
JP2000144873A (ja) 溝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