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781B1 -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 - Google Patents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781B1
KR102595781B1 KR1020210114012A KR20210114012A KR102595781B1 KR 102595781 B1 KR102595781 B1 KR 102595781B1 KR 1020210114012 A KR1020210114012 A KR 1020210114012A KR 20210114012 A KR20210114012 A KR 20210114012A KR 102595781 B1 KR102595781 B1 KR 102595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tank
recovery
val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1597A (ko
Inventor
채귀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프로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프로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프로업
Priority to KR102021011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781B1/ko
Publication of KR20230031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1Charging refrigerant to a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2Collecting refrigerant from a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6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characterised by charging or discharg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에 관한 것으로, 냉매가 저장되는 냉매탱크와; 냉매탱크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냉매를 회수할 때 온도, 압력의 상승을 방지하고, 냉매탱크에 저장된 냉매를 차량의 냉매유로에 공급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냉매를 회수할 때,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냉매탱크에 저장된 냉매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져 온도의 상승을 방지하므로 냉매탱크의 온도와 압력을 적정한 상태에서 유지하며, 또한, 차량의 냉매유로로부터 공급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에 의해 냉매탱크의 압력이 적정 압력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냉매탱크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 상승으로 인한 냉매탱크의 파열 또는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냉매의 회수 또는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Refrigerant recovery and charging tank structure}
본 발명은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회수한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저장된 냉매의 공급이 용이하도록 한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등을 위한 각종 시스템에는 냉매가 순환하는 사이클이 적용되며, 이러한 사이클 시스템에 냉매를 충전 또는 보충하기 위하여 냉매를 운반할 때 냉매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탱크를 이용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냉매탱크는 냉매(R)가 수용되는 압력용기(10)가 형성되고, 압력용기(10)에서 냉매(R)가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용기(10)의 외부에서 압력용기(10) 내부의 하부까지 연결된 파이프 형태의 냉매배출부(20)가 형성되며, 냉매(R)가 배출되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압력용기(10) 내부의 상부로 기체(A)를 주입할 수 있게 형성된 기체주입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기체(A)가 주입되는 압력을 통해 냉매(R)가 배출되면서 압력용기(10) 내부의 냉매(R) 수위가 낮아지고, 냉매(R)의 수위가 냉매배출부(20)의 하부 끝단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지면 냉매배출부(20)를 통해 기체(A)가 혼합되어 배출된다.
기체(A)가 혼합되어 배출되면서 사이클 시스템에 유입되는 경우에는 사이클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시스템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사이클 시스템 내부의 냉매(R)를 모두 제거하고 다시 주입하기 때문에, 냉매(R)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냉매탱크에 냉매(R)를 주입할 때, 냉매(R)의 수위가 냉매배출부(20)의 하부 끝단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여유분을 남기게 된다.
이때, 압력용기(10) 내부의 하부에는 상당량의 냉매(R)가 잔존하게 되며, 또한 압력용기(10) 내부의 냉매(R) 수위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냉매(R)주입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넉넉한 양의 냉매(R)를 잔존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651071호(2016.08.25. 공고)의 '냉매탱크'는 액상의 냉매를 수용하고, 상기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기체가 주입되는 기체주입구가 형성된 압력용기; 상기 냉매가 배출되도록, 상기 압력용기의 외부로부터 상기 압력용기 내부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에 연결되는 길이가변부 및 상기 길이가변부에 구비되는 상기 냉매보다 작은 비중의 부력체를 포함하는 냉매배출부; 및 상기 길이가변부의 길이가 길어지며 상기 냉매배출부의 하부 끝단이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 저면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압력용기 및 상기 냉매배출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문헌은 차량의 냉매유로로부터 회수되는 냉매가 압력용기 내측으로 인입될 때 기체주입구를 통해 압력용기의 상부 쪽으로 공급됨에 따라 유입되는 냉매에 의해 압력용기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은 물론 기체로 유입되는 냉매에 의해 압력이 상승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기체로 유입되는 냉매에 의해 온도와 압력이 상승되면, 온도 또는 압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문제가 있다.
제10-1651071호(2016.08.25.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냉매를 회수할 때,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냉매탱크에 저장된 냉매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져 온도의 상승을 방지하면서 적정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냉매유로로부터 공급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에 의해 냉매탱크의 압력이 적정 압력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냉매가 저장되는 냉매탱크와; 냉매탱크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냉매를 회수할 때 온도, 압력의 상승을 방지하고, 냉매탱크에 저장된 냉매를 차량의 냉매유로에 공급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밸브수단은, 냉매탱크에 결합되어 냉매의 유입, 공급 또는 배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며 유입되는 냉매가 냉매관에 의해 저장된 냉매로 공급되어 냉각이 이루어져 온도 및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기부재와; 차량의 냉매유로에 회수측호스로 연결되어 회수되는 냉매를 분기부재를 거쳐 냉매탱크로 유입될 수 있도록 냉매 회수유로를 개폐하는 회수측밸브부재와; 차량의 냉매유로에 공급측호스로 연결되어 냉매탱크에 저장된 냉매를 분기부재를 거쳐 차량의 냉매유로로 공급할 수 있도록 냉매 공급유로를 개폐하는 공급측밸브부재와; 냉매탱크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 상승하면 냉매탱크의 파열 또는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분기부재에 설치되는 안전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회수측개폐밸브는, 차량의 냉매유로에 회수측호스로 연결되어 회수되는 냉매를 분기부재를 거쳐 냉매탱크로 유입될 수 있도록 냉매 회수유로를 개폐하는 회수측개폐밸브와; 회수측개폐밸브와 회수측호스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회수되는 냉매가 일방향으로만 이동되게 하는 회수측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급측밸브부재는, 차량의 냉매유로에 공급측호스로 연결되어 냉매탱크에 저장된 냉매를 분기부재를 거쳐 차량의 냉매유로로 공급할 수 있도록 냉매 공급유로를 개폐하는 공급측개폐밸브와; 공급측개폐밸브와 공급측호스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매유로에 공급되는 냉매가 일방향으로만 이동되게 하는 공급측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전변은, 제1안전변과 제2안전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안전변은 분기부재에 설치되어 냉매탱크의 압력을 1차로 낮추며, 상기 제2안전변은 제1안전변의 설정 압력이상 냉매탱크의 압력이 상승되면, 수동으로 압력을 낮추거나 또는 설정된 압력값에 의해 자동으로 냉매탱크의 압력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냉매를 회수할 때,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냉매탱크에 저장된 냉매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져 온도의 상승을 방지하므로 냉매탱크의 온도와 압력을 적정한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냉매유로로부터 공급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에 의해 냉매탱크의 압력이 적정 압력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냉매탱크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 상승으로 인한 냉매탱크의 파열 또는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냉매의 회수 또는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매탱크에서 밸브수단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밸브수단의 제1안전변이 정면에 위치되게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밸브수단의 제2안전변이 정면에 위치되게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밸브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밸브수단을 통해 냉매가스가 냉매탱크로 유입되어 냉각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종래의 냉매탱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는 냉매가 저장되는 냉매탱크(100)와; 냉매탱크(100)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냉매를 회수할 때 온도, 압력의 상승을 방지하고, 냉매탱크에 저장된 냉매를 차량의 냉매유로에 공급하는 밸브수단(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는 냉매탱크(100), 밸브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냉매탱크(100)는 내측에 냉매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탱크바디(110)가 구성되고, 상기 탱크바디(110)의 상부에는 밸브수단(2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관(11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관(111)은 밸브수단(200)의 냉매관(211-3)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공(112)의 내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밸브수단(200)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냉매탱크(100)는 고정대(120)가 부설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대(120)는 냉매탱크(100)의 상부에 고정되거나 또는 하부 쪽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설치 위치는 냉매탱크(100)가 설치되는 에어컨냉매회수/충전장치의 내부 형상에 따라 그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대(120)는 에어컨냉매회수/충전장치의 내부 구성에 따라 그 형태의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의 변형은 도면에 도시된 고정대(120)의 일례를 기준으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본 발명의 카테고리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밸브수단(200)은 분기부재(210), 회수측밸브부재(220), 공급측밸브부재(230) 및 안전변(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기부재(210)는 냉매탱크(100)에 형성된 결합관(111)에 결합되어 냉매의 유입, 공급 또는 배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회수되는 냉매가 냉매관(211-3)을 통해 냉매탱크(100)에 저장된 냉매로 공급되어 냉각이 이루어져 온도 및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분기부재(210)는 제1바디(211)와 제2바디(2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디(211)는 제2바디(212)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수측밸브부재(220)와 공급측밸브부재(23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체결돌기(211-1)와 제2체결돌기(211-2)가 형성되며, 상기 제2바디(212)는 제1바디 하부에 결합되어 안전변(240)의 제1안전변(241)과 제2안전변(242)이 각각 결합되도록 제1결합홀(미부호)과 제2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바디(211)의 하부에는 냉매관(211-3)이 설치되어 제2바디(212) 내측으로 관통하여 일측 끝단이 냉매탱크(100)의 하부 쪽에 위치되게 설치되며, 상기 냉매관(211-3)은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회수되는 냉매가 회수측호스(223)를 통해 유입되어 분기부재(210)의 제1바디(211)를 거쳐 냉매탱크(100)의 하부 쪽으로 배출시켜 냉매탱크(100)에 저장된 낮은 온도의 냉매에 의해 액화되면서 온도가 낮추어지면서 동시에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회수측밸브부재(220)는 차량의 냉매유로에 회수측호스(223)가 연결되어 회수되는 냉매를 분기부재(210)를 거쳐 냉매탱크(1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냉매 회수유로를 개폐한다.
상기 회수측밸브부재(220)는 회수측개폐밸브(221)와 회수측체크밸브(222)로 구성된다.
상기 회수측개폐밸브(221)는 차량의 냉매유로에 회수측호스(223)가 연결되어 회수되는 냉매를 분기부재(210)를 거쳐 냉매탱크(1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냉매 회수유로를 개폐한다.
상기 회수측체크밸브(222)는 회수측개폐밸브(221)와 회수측호스(223)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회수되는 냉매가 일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측밸브부재(230)는 차량의 냉매유로에 공급측호스(233)로 연결되어 냉매탱크(100)에 저장된 냉매를 분기부재(210)를 거쳐 차량의 냉매유로로 공급할 수 있도록 냉매 공급유로를 개폐한다.
상기 공급측밸브부재(230)는 공급측개폐밸브(231)와 공급측체크밸브(232)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측개폐밸브(231)는 차량의 냉매유로에 공급측호스(233)로 연결되어 냉매탱크(100)에 저장된 냉매를 분기부재(210)를 거쳐 차량의 냉매유로로 공급할 수 있도록 냉매 공급유로를 개폐한다.
상기 공급측체크밸브(232)는 공급측개폐밸브(231)와 공급측호스(233)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매유로에 공급되는 냉매가 일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안전변(240)은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공급되는 기화 상태의 냉매에 의해 냉매탱크(100)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 상승하면 냉매탱크(100)의 파열 또는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분기부재(210)에 설치된다.
상기 안전변(240)은 제1안전변(241)과 제2안전변(2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안전변(241)은 분기부재(210)의 제2바디(212)에 설치되어 냉매탱크(100)의 압력을 1차로 낮춘다.
상기 제2안전변(242)은 제1안전변(241)의 설정 압력이상 냉매탱크(100)의 압력이 상승되면, 수동으로 압력을 낮추거나 또는 설정된 압력값에 의해 자동으로 냉매탱크(100)의 압력을 낮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는 차량의 냉매유로에 회수측호스(223)가 연결된 상태에서 회수측밸브부재(220)의 회수측개폐밸브(221)를 개방하고, 공급측개폐밸브(231)는 잠근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차량 엔진에 의해 에어컨컴프레샤가 구동되어 냉매가 회수측호스(223)를 통해 냉매가 유입된다.
이때, 회수측개폐밸브(221)를 개방하면, 회수측체크밸브(222)를 거쳐 분기부재(210)의 제1바디(211)로 유입되어 냉매관(211-3)을 통해 냉매탱크(100)의 하부 쪽으로 기화 상태의 냉매가 공급된다.
상기 회수측개폐밸브(221)를 통해 유입되는 기화 상태의 냉매는 회수측체크밸브(222)에 의해 냉매탱크(100) 쪽으로 일방향으로만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화 상태의 냉매가 역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냉매탱크(100) 하부 쪽으로 유입되는 기화 상태의 냉매는 냉매탱크(100)에 저장된 저온의 액화 상태의 냉매에 의해 액화가 이루어지면서 온도가 낮아지는 것은 물론 압력이 낮아져 냉매탱크(100)의 폭발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진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냉매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설정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상승하면, 분기부재(210)의 제2바디(212)에 설치된 제1안전변(241)이 작동하여 기화 상태의 냉매를 배출시켜 냉매탱크(100)의 압력을 1차로 하강시킨다. 상기 제1안전변(241)에 의해 냉매탱크(100)의 압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면 다음 작업을 계속하여 진행한다.
상기 제1안전변(241)에 의해 냉매탱크(100)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 자동방식 또는 수동방식에 의해 압력을 다운시킬 수 있다.
상기 자동방식에 의한 냉매탱크(100)의 압력 다운은 제2안전변(242)에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냉매탱크(100)의 압력이 상승하면, 제2안전변(242)이 작동하여 기화 상태의 냉매를 배출시켜 냉매탱크(100)의 압력이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수동방식에 의한 냉매탱크(100)의 압력 다운은 제1안전변(241)에 의해 냉매탱크(100)의 압력이 적정한 압력을 유지하지 못하면, 작업자가 직접 제2안전변(242)을 작동시켜 냉매탱크(100)의 압력이 적정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냉매탱크(100)의 압력 상승 시에 2단계에 걸쳐 적정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수동방식에 의해 적정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매탱크(100)의 파열 또는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탱크(100)에 저장된 냉매를 차량의 냉매유로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공급측호스(233)를 차량의 냉매라인 저압 측에 연결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을 걸고 에어컨을 온도를 최대한 낮추면서 풍량을 최대한 올려 놓은 상태에서 공급측개폐밸브(231)를 개방한다.
상기 공급측개폐밸브(231)의 개방에 의해 냉매탱크(100)에 저장된 냉매는 냉매관(211-3)을 통해 유입되어 제1바디(211)에 결합된 공급측개폐밸브(231)와 공급측체크밸브(232)를 거쳐 공급측호스(233)를 통해 차량의 냉매라인으로 공급되게 하여 충전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기체 형태의 냉매를 회수할 때 기존에는 냉매탱크의 상부 쪽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회수되는 냉매에 의해 냉매탱크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압력이 상승되어 냉매탱크의 파열 또는 폭발의 위험성이 증가되었으나, 본 발명은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회수하는 기체 형태의 냉매를 냉매탱크(100)에 저장된 저온의 냉매가 위치된 쪽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회수되는 냉매가 액화 현상이 일어나면서 온도가 다운되고 동시에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에 의해 냉매탱크(100)의 파열 또는 폭발의 위험성이 없어 냉매의 회수가 안전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냉매를 회수할 때,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냉매탱크에 저장된 냉매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져 온도의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냉매탱크(100)의 온도와 압력이 적정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변(240)의 제1안전변(241)과 제2안전변(242)에 의해 2단계에 걸쳐 냉매탱크(100)의 압력이 저하되도록 설계됨으로써 냉매탱크(100)의 파열 및 폭발의 위험성을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냉매탱크 110: 탱크바디
111: 결합관 112: 인입공
120: 고정대 200: 밸브수단
210: 분기부재 211: 제1바디
211-1: 제1체결돌기 211-2: 제2체결돌기
211-3: 냉매관 212: 제2바디
220: 회수측밸브부재 221: 회수측개폐밸브
222: 회수측체크밸브 223: 회수측호스
230: 공급측밸브부재 231: 공급측개폐밸브
232: 공급측체크밸브 233: 공급측호스
240; 안전변 241: 제1안전변
242: 제2안전변

Claims (5)

  1. 냉매탱크(100)와 밸브수단(200)을 포함하는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에 있어서,
    상기 냉매탱크(100)는 내측에 냉매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탱크바디(110)가 구성되고, 상기 탱크바디(110)의 상부에는 밸브수단(2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관(11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관(111)은 밸브수단(200)의 냉매관(211-3)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수단(200)은 분기부재(210), 회수측밸브부재(220), 공급측밸브부재(230) 및 안전변(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기부재(210)는 제1바디(211)와 제2바디(212)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바디(211)는 제2바디(212)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수측밸브부재(220)와 공급측밸브부재(230)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2바디(212)는 제1바디 하부에 결합되어 안전변(240)의 제1안전변(241)과 제2안전변(242)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바디(211)의 하부에는 냉매관(211-3)이 설치되어 제2바디(212) 내측으로 관통하여 일측 끝단이 냉매탱크(100)의 하부 쪽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측밸브부재(220)는,
    차량의 냉매유로에 회수측호스(223)로 연결되어 회수되는 냉매를 분기부재(210)를 거쳐 냉매탱크(1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냉매 회수유로를 개폐하는 회수측개폐밸브(221)와;
    회수측개폐밸브(221)와 회수측호스(223)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매유로에서 회수되는 냉매가 일방향으로만 이동되게 하는 회수측체크밸브(2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측밸브부재(230)는,
    차량의 냉매유로에 공급측호스(233)로 연결되어 냉매탱크(100)에 저장된 냉매를 분기부재(210)를 거쳐 차량의 냉매유로로 공급할 수 있도록 냉매 공급유로를 개폐하는 공급측개폐밸브(231)와;
    공급측개폐밸브(231)와 공급측호스(233)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매유로에 공급되는 냉매가 일방향으로만 이동되게 하는 공급측체크밸브(2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변(240)은,
    제1안전변(241)과 제2안전변(24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안전변(241)은 분기부재(210)의 제2바디(212)에 설치되어 냉매탱크(100)의 압력을 1차로 낮추며,
    상기 제2안전변(242)은 분기부재(210)의 제2바디(212)에 설치되어 제1안전변(241)의 설정 압력이상 냉매탱크(100)의 압력이 상승되면 수동으로 압력을 낮추거나 또는 설정된 압력값에 의해 자동으로 압력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
KR1020210114012A 2021-08-27 2021-08-27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 KR102595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012A KR102595781B1 (ko) 2021-08-27 2021-08-27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012A KR102595781B1 (ko) 2021-08-27 2021-08-27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597A KR20230031597A (ko) 2023-03-07
KR102595781B1 true KR102595781B1 (ko) 2023-10-31

Family

ID=8551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012A KR102595781B1 (ko) 2021-08-27 2021-08-27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7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099A (ja) 2000-07-06 2002-01-23 Tasuko Japan Kk 冷媒回収容器用バルブ
JP2013199982A (ja) * 2012-03-24 2013-10-03 Aim Tech:Kk ガスの充填・回収システム
KR102146497B1 (ko) * 2019-12-27 2020-09-07 주식회사 유니테크21 차량에어컨 냉매의 회수, 재생 및 충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071B1 (ko) 2014-12-09 2016-08-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냉매탱크
KR101713723B1 (ko) * 2015-05-06 2017-03-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료압력센서의 열화 감지 시스템과 그 감지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099A (ja) 2000-07-06 2002-01-23 Tasuko Japan Kk 冷媒回収容器用バルブ
JP2013199982A (ja) * 2012-03-24 2013-10-03 Aim Tech:Kk ガスの充填・回収システム
KR102146497B1 (ko) * 2019-12-27 2020-09-07 주식회사 유니테크21 차량에어컨 냉매의 회수, 재생 및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597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2262A (en) Gas ventilation apparatus for a fuel tank
CN105765319A (zh) 具有扩展范围和容量控制特征的两级离心式压缩机
US20190041003A1 (en) Gas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stopping operation of gas supply device
US7188588B2 (en) Cooling system and coolant reservoir for a cooling system
KR102595781B1 (ko) 냉매 회수 및 충전용 탱크구조
CN208779122U (zh) 一种lng装卸站
CN208204532U (zh) 一种液氨回收系统
US4340404A (en) Refrigerating apparatus
US3630639A (en) Suction line vent valve for reciprocating pumps
CN108571651A (zh) 一种液氨回收系统及其回收方法
KR100951059B1 (ko) 야전용 주유장치
CN113719754A (zh) 一种火箭液氧加注系统及控制方法
KR101332259B1 (ko)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KR102622038B1 (ko) 2중 저장형 기액 분리기
JP3994273B2 (ja) 燃料タンクの液面検知バルブ
KR101802203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CN107735552B (zh) 储存罐
KR100652862B1 (ko)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KR102614712B1 (ko) 초저온 액체 연료탱크용 승압장치
CN210952002U (zh) 油分离器及多联机系统
CN114688456B (zh) 液体分配装置、温度控制系统及操作方法
KR200168599Y1 (ko) 액상연료의 역류 방지가 가능한 전자밸브
KR200423271Y1 (ko) 냉매보충장치를 갖는 수분지시계
KR100471480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컷밸브장치
KR20160080638A (ko) 과충전 방지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