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259B1 -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259B1
KR101332259B1 KR1020110080682A KR20110080682A KR101332259B1 KR 101332259 B1 KR101332259 B1 KR 101332259B1 KR 1020110080682 A KR1020110080682 A KR 1020110080682A KR 20110080682 A KR20110080682 A KR 20110080682A KR 101332259 B1 KR101332259 B1 KR 10133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ot water
water
return valve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937A (ko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월드
Priority to KR1020110080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2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67D1/1279Flow control valves regulating the flow
    • B67D1/1281Flow control valves regulating the flow responsive to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6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는 정수기 내부에 설치된 저수조에 설치되어 온수통에 충진된 음용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에 있어서, 역류방지밸브는 중공의 통로를 내부에 갖는 몸체부가 마련되되,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단턱을 형성시키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켜 상기 몸체부 하부로 개구된 통로의 구멍이 몸체부 내부의 구멍 대비 작게 형성시키도록 하여 온수통에서 발생하는 증기압을 미량으로 저수조측으로 배출하고, 온수통의 증기압력이 낮아지면 수압에 의해 저수조의 음용수가 온수통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WATER PURIFIER VALVE FOR PREVENTING BACKWARD FLOW OF DISH WASH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온수에 의한 증기압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온정수기 내에는 필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급수조와, 입수관을 통해 급수조로 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면을 둘러싸는 냉매관을 통해 급랭시켜 배출시키는 냉수조와, 입수관을 통해 급수조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내장히터를 통해 가열하여 배출시키는 온수조가 구비된다.
그러나, 전술한 온수조가 과열되어 온수조 내부의 수온 및 증기압이 과도하게 높아질 경우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이 끓어오르게 되며, 고온의 온수는 과도한 증기압에 의해 입수관을 통해 급수조로 역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역류현상은 급수조 내의 물의 온도을 상승시켜 냉수조에서의 냉각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관계로, 온수조 내의 물의 온도를 비교적 고온으로 상승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수조 내부의 증기압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에는 온수조가 증기압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될 위험이 있는 관계로, 일반적으로 온수조 내의 물의 온도는 소정의 온도 이상의 고온으로 상승시킬 수 없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전통차를 우려낼 경우와 같이 비교적 고온의 물의 필요한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온수조 내부로 유입된 냉수가 온수조 내부의 온수와 혼합될 때 발생되는 온도편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19423호의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에 적용되는 역류방지밸브는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중앙에 상기 입수관이 끼워져 결합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단에 폐쇄방지부재가 구비되는 하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에 밀봉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입수관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연결부가 구비되는 상부캡; 및 상기 상부캡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증기압에 의해 부양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상단을 폐쇄시켜 상기 본체 내부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유구;를 포함한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역류방지밸브 30는 본체 10 내부의 증기압이 부유구 35의 자체중량보다 낮을 경우에는, 부유구 35가 내부공간 34 내에서 최저위치인 폐쇄방지부재 32 상에 위치되어 본체 10 내로의 물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지만, 본체 10 내부의 증기압이 온수역류가 발생 될 정도로 과도하게 높을 경우에는, 부유구 35가 본체 10 내부의 증기압에 의해 상부로 플로우팅되어 상부캡 33의 내부공간 33a의 상단을 폐쇄시킴으로써, 입수관 12을 통해 본체 10 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입수관 12을 통해 본체 10 내의 물이 냉온정수기의 급수조(도시되지 않음)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역류방지밸브는 온수조의 내부온도가 음용수의 가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증기압이 항상 발생하게 된다.
상기 온수조의 내부압력은 증기압에 의해 압력이 높아지는데, 종래기술의 역류방지밸브는 역류방지용도의 목적을 갖고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조의 증기압을 외부로 배출시키지 못하여 온수조의 폭발 위험성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에 설치된 온수조를 통해 발생되는 음용수의 증기압의 온도가 저수조의 온도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온수조의 내부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조의 증기압을 미량으로 지속되게 저수조측으로 배출시켜 저수조측에 충진된 음용수의 온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의 오류에 의해 저수조에 음용수가 충진되어 있지 않고 온수통에서 발생하는 증기압에 의해 역류방지밸브의 경사면을 가압하여 증기압력을 받는 경사면이 협착되면서 역류방지밸브의 통로 하부 입구가 밀폐되도록 하여 저수조측에 음용수의 신속한 충진 상태를 준비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는 정수기 내부에 설치된 저수조에 설치되어 온수통에 충진된 음용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에 있어서, 역류방지밸브는 중공의 통로를 갖는 몸체부가 마련되되,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단턱을 형성시키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켜 상기 몸체부 하부로 개구된 통로의 구멍이 몸체부 내부의 구멍 대비 작게 형성시키도록 하여 온수통에서 발생하는 증기압을 미량으로 저수조측으로 배출하고, 온수통의 증기압력이 낮아지면 수압에 의해 저수조의 음용수가 온수통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하부는 양측을 대칭되게 경사지게 경사면을 형성시키고, 상기 경사면에서 상기 통로의 입구단부까지 절개선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역류방지밸브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는 정수기의 저수조에 설치되어 저수조에서 온수통으로 음용수를 공급하여 히터를 통해 음용수를 가열시키면 증기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저수조 바닥에 설치된 역류방지밸브는 미량으로 증기압을 지속되게 배출시켜 온수통의 내부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토록 하면서 저수조측에 유입되는 증기압이 음용수의 온도변화를 급격하게 변화시키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저수조에서 공급받는 냉수통에 공급되는 음용수에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는 정수기의 오작동 또는 단수에 의해 저수조에 음용수가 충진되어 있지 않고 온수통에서 발생하는 증기압에 의해 역류방지밸브의 경사면을 가압하여 증기압력을 받는 경사면이 협착되면서 역류방지밸브의 통로 하부 입구가 밀폐되도록 하여 저수조측에 음용수의 신속한 충진 상태를 준비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정기수용 역류방지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가 장착된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의 확개 개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의 밀폐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가 장착된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의 확개 개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의 밀폐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삭제
먼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기 10는 케이스와, 외부에서 제공되는 음용수를 저장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저수조 11와, 상기 저수조 11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용수를 출수시키는 관로 14와, 상기 저수조 11 하부에 설치되어 관로 14와 연결되어 음용수를 공급받는 온수통 12과, 상기 온수통 12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 및 상기 관로 14를 통해 음용수를 공급받아 냉각하여 보관하는 냉수통 1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정수기 10용 역류방지 밸브는 상기 관로에 설치된다.
도 2 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역류방지 밸브는 온수통 12 내부의 증기압력을 미세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저수조 11측으로 배출시켜 상기 저수조 11측의 음용수 냉각기능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온수통 12의 증기압 배출을 한다.
이때, 온수통 12의 증기압이 손실되면 저수조 11 음용수의 수압에 의해 역류방지밸브 100의 개방되는 정도가 탄력적으로 넓어지면서 온수통 12으로 음용수를 제공한다.
또한, 오류에 의해 온수통 12의 증기압이 과도하게 발생할 경우 역류방지 밸브의 개방이 밀폐상태로 전환되어 증기압이 저수조 11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결국, 기존의 경우 온수조의 증기압을 외부로 배출시키지 못하여 온수조의 폭발 위험성을 갖는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다.
이를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 100는 저수조 11 또는 관로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저수조 11에 적용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저수조 11의 바닥면과 온수통 12 상면에 결합구멍을 형성시킨 다음 중공의 관로 양측을 결합구멍에 각각 결합하여 저수조 11와 온수통 12이 관로를 통해 연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저수조 11의 결합구멍 내부에 역류방지밸브 100를 설치한다.
상기 역류방지밸브 10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그 형태는 중공의 통로 112를 내부에 갖는 몸체부 110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 110는 상부에 단턱 111을 형성시켜 저수조 11측 바닥면에 형성시킨 결합구멍에 설치하여 단턱 111을 통해 저수조 11 바닥면에 걸림 상태로 결합하여 몸체부 110의 하부가 관로의 내주연에 위치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 110는 하부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켜 상기 몸체부 110 하부로 개구된 통로 112의 구멍이 몸체부 110 내부의 구멍 대비 작게 형성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몸체부 110의 통로 112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로 112의 하부는 경사면 114에 의해 압착되어 폭이 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역류방지밸브 100는 온수통 12에서 발생하는 증기압을 미량으로 저수조 11측으로 배출하여 상기 온수통 12 내부의 증기압력이 높은 압력으로 유지되지 않고 항상 안정적인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역류방지밸브 100를 통해 저수조 11측으로 증기압이 미량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저수조 11에 충진된 음용수의 온도변화에는 급격한 변화를 주지 않는다.
더불어, 역류방지밸브 100를 통해 온수통 12의 증기압력이 낮아지면 수압에 의해 저수조 11의 음용수가 온수통 12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역류방지밸브 100는 상기 몸체부 110의 하부에 양측을 대칭되게 경사지게 경사면 114을 형성시키고, 상기 경사면 114에서 상기 통로 112의 입구단부까지 절개선 113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역류방지밸브 10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온수통 12 내부의 증기압이 낮을 경우 음용수의 수압에 의해 절개선 113이 확개되면서 경사면 114 하부에 위치한 좁은 통로 112가 개방 면적이 넓어지면서 음용수의 배수량을 높여 온수통 12으로 신속하게 공급한다.
특히, 절개선 113은 경사면 114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도록 하여 통로 112의 개방면적을 보다 크게 넓힐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정수기 11 : 저수조
12 : 온수통 13 : 냉수통
14 : 관로 100 : 역류방지밸브
110 : 몸체부 111 : 단턱
112 : 통로 113 : 절개선
114 : 경사면

Claims (3)

  1. 정수기 내부에는 저수조가 설치되고, 상기 저수조의 하부에 설치된 온수통은 관로를 통해 저수조와 연결되며, 상기 관로 내부에 설치되어 음용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에 있어서,
    역류방지밸브는 중공의 통로를 내부에 형성한 몸체부를 마련한 다음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단턱을 형성시키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는 양측에 대칭되게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시키며,
    상기 경사면의 하부면으로 상기 통로가 개통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경사면 내부의 통로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 보다 내부공간을 작게 형성시키도록 한 다음 상기 경사면은 하단부까지 절개선을 형성시키도록 구성하여,
    온수통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관로로 유입될 때 역류방지밸브의 경사면 하단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관로로 유입된 증기보다 적은 량의 증기를 저수조로 배출시키고,
    저수조에 담수 된 음용수의 수압 보다 온수통의 증기 압력이 낮아지면 경사면이 절개선에 의해 확개되면서 온수통으로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밸브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KR1020110080682A 2011-08-12 2011-08-12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KR101332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682A KR101332259B1 (ko) 2011-08-12 2011-08-12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682A KR101332259B1 (ko) 2011-08-12 2011-08-12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937A KR20130017937A (ko) 2013-02-20
KR101332259B1 true KR101332259B1 (ko) 2013-11-25

Family

ID=4789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682A KR101332259B1 (ko) 2011-08-12 2011-08-12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6795B (zh) * 2015-04-17 2017-10-27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单向减震阀和具有其的净水机
KR102430160B1 (ko) * 2020-11-24 2022-08-08 박성철 물 냉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967Y1 (ko) 2001-11-20 2002-02-19 홍광섭 역류방지용 컵뚜껑
JP2010530040A (ja) 2007-06-15 2010-09-02 チュン ナム ソン, 排気ガス圧力除去及び逆流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967Y1 (ko) 2001-11-20 2002-02-19 홍광섭 역류방지용 컵뚜껑
JP2010530040A (ja) 2007-06-15 2010-09-02 チュン ナム ソン, 排気ガス圧力除去及び逆流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937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22610B (zh) 冷水箱
KR20090014078A (ko) 음료수용 서버
US9797625B2 (en) Feed water heater with recovery device for swelling water
BR112016028913B1 (pt) Sistema dispensador de bebida, recipiente, dispositivo de pressurização e regulador de pressão
KR20170064222A (ko) 벨로우즈형 스팀 트랩
KR101332259B1 (ko)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KR100735911B1 (ko) 물공급 장치
KR100716469B1 (ko)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US20110259560A1 (en) Hot water storage type hot water supply device
KR101006860B1 (ko) 냉온 정수기
KR101177499B1 (ko) 냉온수기
JP4630913B2 (ja) 飲料水用サーバー及びその飲料水用サーバーに用いる貯水タンク用の排気手段
KR101744554B1 (ko) 물탱크
CN102069942B (zh) 包括流体出口装置的、用于容纳液体的容器
KR100619159B1 (ko)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US8336507B2 (en) Protection for heat transfer oil boiler
KR101594243B1 (ko) 정수기
KR20090129828A (ko) 이탈방지용 개폐밸브를 갖춘 팽창탱크를 포함하는 온수기및 이에 사용되는 온수기용 팽창탱크
KR102309691B1 (ko) 물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기기
KR200387053Y1 (ko) 보조 물통과 보충수통으로 구성된 온수 보일러의 물탱크
JP6529337B2 (ja) 弁装置及び貯湯式給湯装置
TWI632334B (zh) 用於一加熱設備之緩衝盒
KR200381098Y1 (ko) 냉온수기용 기능성 물병마개
KR101153149B1 (ko) 냉온정수기
KR200328361Y1 (ko) 온수역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