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243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243B1
KR101594243B1 KR1020140061950A KR20140061950A KR101594243B1 KR 101594243 B1 KR101594243 B1 KR 101594243B1 KR 1020140061950 A KR1020140061950 A KR 1020140061950A KR 20140061950 A KR20140061950 A KR 20140061950A KR 101594243 B1 KR101594243 B1 KR 101594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steam
discharge
discharge pip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753A (ko
Inventor
윤희상
정문규
최고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1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24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증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를 가지는 온수조; 및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온수조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온수조의 온수를 배출시키는 온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온수 배출관의 외주면과 상기 배출부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온수조 내의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유로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명세서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음용에 적합하도록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정수기는, 정수를 저수조에 저장한 후에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의해서 저수조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하는 저장형 정수기와, 정수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시키는 직수형 정수기로 구분될 수 있다. 물론, 직수형 정수기도 물을 저장하는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공급된 물을 정화시킨 정수를 바로 배출시킬 수도 있고,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배출시키거나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배출시킬 수도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06230호(공개일 2013.01.16.)에는 정수기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개시된 정수기는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가열시키는 온수조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조는 내통과, 외통과, 뚜껑을 포함한다. 그리고, 내통과 외통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가 진공 포트 역할을 한다.
그리고, 온수조는 온수가 배출되는 출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출수관은 상기 내통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통을 관통하여 상기 온수조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관에 온수 배출관이 연결된다.
그런데, 선행문헌에 개시된 정수기에 의하면, 상기 내통 내부 상측 부분에 물이 히터에 의해서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위치되는 증기 포켓이 형성된다. 즉, 상기 내통 내부에 완전하게 물이 차지 않고, 출수관의 하측 단부 주변에 증기 포켓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증기 포켓에 위치되는 증기는 상기 출수관을 통하여 온수 배출 시 온수와 함께 배출된다. 그러면, 물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취출구를 통하여 온수가 배출될 뿐만 아니라 증기도 함께 배출된다.
상기 취출구를 통하여 증기가 배출되는 경우, 사용자가 증기에 접촉하게 되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며, 증기와 함께 온수가 취출구에서 배출되는 경우 증기에 의해서 온수가 컵으로 낙하될 때 튀는 문제가 있고, 온수 취출 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만약,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온수조에 출수관과 별도로 증기 배출관을 연결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증기 배출관이 상기 외통을 관통하여 상기 내통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상기 증기 배출관의 추가에 의한 상기 온수조의 진공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만약, 온수조의 진공 성능이 저하되면 동일한 히터의 출력에 의해서 가열되는 물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히터의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히터의 작동 시간을 증가시켜야 하므로, 전력소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탱크 내에서 생성된 증기가 취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증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를 가지는 온수조; 및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온수조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온수조의 온수를 배출시키는 온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온수 배출관의 외주면과 상기 배출부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온수조 내의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온수조는 하나 이상의 통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 입구를 가지고, 상기 온수 배출관은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 입구를 가지고, 상기 온수 입구는 상기 증기 입구 보다 낮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증기유로의 증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는 증기배출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수 배출관은 상기 증기배출튜브를 관통하여 상기 온수조 내부에 인입된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튜브는 상기 증기유로 상의 증기가 통과하는 제1가이드와, 상기 온수 배출관이 통과하는 제2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온수 배출관은, 상기 온수조 내에 위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서 절곡되며 상기 제2가이드 내에 위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튜브는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가 상기 연결부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출부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튜브는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배출부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과 상기 온수 배출관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증기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 또는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수기.
또한, 상기 연결부가 상기 배출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의 단부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배출관은 상기 차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온수조 내에 인입된다.
또한, 상기 차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유로 상의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 배출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온수 배출관의 입구 보다 상기 증기 배출관의 입구가 높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온수조는, 내통과, 상기 내통을 둘러싸는 외통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내통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통을 관통한 후에 상기 외통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온수 배출관은 상기 내통 내부로 인입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조; 및 상기 온수조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온수조 내에 저장된 온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온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조는, 내통과, 상기 내통을 둘러싸는 외통과, 상기 내통 내의 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배출관은 상기 배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통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온수 배출관의 외주면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배출부의 내주면과 이격된다.
또한, 상기 증기유로의 증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는 증기배출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기배출튜브는 상기 증기가 통과하는 제1가이드와, 상기 온수 배출관이 통과하는 제2가이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증기가 배출되기 위한 증기 배출부와,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 배출부를 가지는 온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배출부의 입구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입구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정수기.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증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를 가지는 온수조;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온수조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온수조의 온수를 배출시키는 온수 배출관; 및 상기 온수조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배출관의 외주면과 상기 배출부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온수조 내의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 입구를 가지고, 상기 온수 배출관은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 입구를 가지고, 상기 온수 입구는 상기 증기 입구 보다 낮게 위치되며, 상기 온수 입구는 상기 유입부가 연결되는 부분 보다 높게 위치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온수조 내에 저장된 온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온수 배출관; 및 상기 온수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조는, 내통과, 상기 내통을 둘러싸는 외통과, 상기 내통 내의 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배출관은 상기 배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통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온수 배출관의 외주면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배출부의 내주면과 이격되고, 상기 온수 배출관은 상기 유입부가 연결되는 부분 보다 높게 위치된다.
제안되는 실시 예 들에 의하면, 배출부를 온수 배출관이 관통하여 상기 온수조 내부로 인입되므로, 증기가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수 배출관으로 증기가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취출구로 온수가 취출될 때 증기가 배출되지 않으므로, 증기 배출에 따른 사용자의 화상 위험이 줄어들고, 증기와 온수가 함께 배출될 때 발생하는 소음이 제거되고, 온수가 컵 등에 담길 때 온수가 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온수 배출관이 상기 배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통으로 인입되므로 상기 배출부가 상기 내통과 외통 사이의 진공 챔버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온수조의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수배관도.
도 2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온수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온수조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온수조에서 증기 및 온수가 배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온수조의 부분 수직 단면도.
도 6은 제3실시 예에 따른 온수조의 부분 수직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수배관도이다.
도 1에는 일 예로 직수형 정수기의 수배관도가 개시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저장형 정수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에는 물의 취출 명령 또는 취출되는 물의 온도 등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이 유동하는 정수유로(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하나 이상의 필터(21, 22, 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일 예로 상기 필터부가 세 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도시되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의 갯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필터부는 제1필터(21), 제2필터(22) 및 제3필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21)에는 급수관(25)이 연결되고, 상기 급수관(25)에는 감압밸브(70)가 구비될 수 있다. 때로는 상기 감압밸브(25)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21)와 상기 제2필터(22)를 연결하는 연결유로(26)에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수조(50)와,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온수조(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수조(50) 내부에는 수용된 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코일(52)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구조에는 제한이 없으며, 상기 냉각코일(52)이 상기 냉수조(50)의 외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냉각코일(52)은 일 예로 증발기일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물을 취출할 수 있는 취출구(4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취출구(49)로 냉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냉수 배출관(41)과, 상기 취출구(49)로 정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정수 배출관(42)과, 상기 취출구(49)로 온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온수 배출관(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출관(41)은 상기 냉수조(50)에 연결되고, 상기 정수 배출관(42)은 상기 정수관(31)에 연결되며, 상기 온수 배출관(43)은 상기 온수조(6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출관(41)에는 냉수 밸브(44)가 구비되고, 상기 정수 배출관(42)에는 정수 밸브(45)가 구비되며, 상기 온수 배출관(43)에는 온수 밸브(4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출관((41), 정수 배출관(42) 및 온수 배출관(43)은 공통 배출관(48)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공통 배출관(48)에 상기 취출구(49)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통 배출관(48)과 상기 취출구(49)는 별도의 관으로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통 배출관(48)과 상기 취출구(49)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공통 배출관(48)의 단부가 취출구(49)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가 물 취출 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유량조절밸브(27)와, 상기 냉수 밸브(44), 정수 밸브(45) 및 온수 밸브(46) 닫힌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를 통하여 냉수 취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유량조절밸브(27) 및 상기 냉수밸브(44)가 온되어 상기 취출구(49)를 통하여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를 통하여 정수 취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유량조절밸브(27) 및 상기 정수밸브(45)가 온되어 상기 취출구(49)를 통하여 정수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를 통하여 온수 취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유량조절밸브(27) 및 상기 온수밸브(46)가 온되어 상기 취출구(49)를 통하여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취출구(49)를 통하여 정수, 냉수 또는 온수가 취출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둘 이상의 취출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어느 하나의 취출구에서 어느 한 온도의 물이 취출되고, 다른 하나의 취출구에서 온도가 다른 두 종류의 물이 취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냉수, 정수 및 온수가 각각 개별적으로 취출되기 위한 세 개의 취출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의 실시 예에서는 냉수, 정수, 온수가 선택적으로 취출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온수와 함께 냉수 또는 정수가 취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수조(50)에는 수용된 물을 드레인시키기 위한 드레인 관(71)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드레인 관(71) 상에는 드레인 밸브(7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조(60)는 물의 가열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 또는 내부로 인입된 공기(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증기"라고만 기재함)를 배출시키는 증기 배출관(62)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증기 배출관(62)에는 체크 밸브 또는 압력 밸브(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기 배출관(62)은 상기 드레인 관(71)과 연통되거나, 상기 냉수조(50)와 연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증기 배출관(62)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증기 배출관(62)을 통하여 배출된 증기는 상기 하우징(10) 내부 공간으로 배출된 후에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온수조(6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온수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온수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온수조(60)는, 탱크 바디(601)와, 상기 탱크 바디(601)에 연결되어 상기 탱크 바디(601) 내부의 증기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증기배출튜브(6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배출관(43)은 상기 탱크 바디(601)와 연통되어 상기 탱크 바디(601) 내부의 온수를 배출시킨다.
상기 탱크 바디(601)는, 하나 이상의 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통은 내통(610)과 상기 내통(610)을 둘러싸는 외통(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통(610)과 상기 외통(620)은 일 예로 하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통(610)의 일부와 상기 외통(620)의 일부는 이격되어 상기 내통(610)과 상기 외통(620) 사이에 진공 챔버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통(610)의 단부와 상기 외통(620)의 단부는 일 예로 용접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내통(610)의 개구는 커버부재(63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고, 상기 커버부재(630)에는 유입부(632)가 구비된다. 상기 유입부(632)에는 상기 정수 공급관(32)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통(610)에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내통(610)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690)가 구비되고, 상기 히터(690)의 일부는 상기 커버부재(63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탱크 바디(601)는 증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부(6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612)는 상기 내통(610)의 일면(611)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통(620)을 관통한 후에 상기 외통(6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외통(620)에서 상기 배출부(612)가 관통한 부위는 실링 처리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출부(612)와 상기 외통(620)의 홀 사이에 실러가 구비되거나 상기 배출부(612)와 상기 외통(620)이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612)는 상기 내통(610)의 일면에 용접 결합될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612)는 전부가 상기 내통(610)의 외측에 위치되거나 일정 부분이 상기 내통(6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내통(610)의 일면(611)은 일 예로 상기 내통(610)의 상면일 수 있고, 상기 배출부(612)는 상기 외통(620)의 상면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튜브(650)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거나 탄성 변형가능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튜브(650)는, 상기 배출부(612)가 삽입되는 연결부(651)와, 상기 연결부(651)와 연통되는 제1가이드(655), 상기 연결부(651)와 연통되는 제2가이드(6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55)와 상기 제2가이드(656)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1가이드(655)는 상기 연결부(65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가이드(655)는 상기 연결부(65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가이드(655)와 상기 제2가이드(65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서로 반대 방향이나 수평면을 기준으로 일적 각도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55)와 제2가이드(656)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연결부(65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가이드(656)가 상기 연결부(65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개시된다.
상기 연결부(651)의 내경은 상기 배출부(612)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651)에는 상기 배출부(61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 6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54)에 상기 배출부(6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배출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654)의 외측에 클램프(67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670)가 상기 연결부(654)의 둘레 결합되면, 상기 연결부(654)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부(612)의 외주면 간의 밀착력이 증가되어, 물 및/또는 온수가 상기 연결부(654)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부(612)의 외주면 사이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온수 배출관(43)은 상기 제1가이드(655)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배출부(612)를 관통하여 상기 내통(6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55)는 상기 온수 배출관(43)이 삽입되기 위한 제1공간(655a)을 가진다. 이 때, 상기 제1가이드(655)의 내경은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655)는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고, 삽입된 온수 배출관(4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온수 입구(431)는, 증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온수 만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통(610)의 일면(611)과 이격되며, 상기 내통(610)의 일면 보다 낮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온수 입구(431)는 상기 배출부(612)의 증기입구(612a) 보다 낮게 위치된다. 즉,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온수 입구(431)는 상기 배출부(612)의 증기입구(612a)의 하방에 위치된다.
이 때, 상기 온수 배출관(43)이 상기 내통(610)의 내부로 요구되는 깊이 이상의 깊이로 인입되기 위하여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외면에는 삽입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표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외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온수 배출관(43)이 상기 내통(610)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가이드(655)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온수 입구(431)는 상기 내통(610)에 수용된 물에 잠긴다. 그리고,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온수 입구(431)는 상기 히터(69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외경은 상기 배출부(612)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외주면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배출부(612)의 외주면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외주면과 상기 배출부(612)의 내주면 사이에는 증기가 유동하기 위한 증기유로(653)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656)는 상기 증기유로(653)를 따라 유동하는 증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제2공간(656a)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656)에 상기 증기 배출관(62)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가이드(656)의 내경은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조(60)는 상기 외통(620)의 상측에 결합되는 홀더(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640)는 상기 온수조(60)를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부(612)는 상기 홀더(650)를 관통할 수 있다.
도 4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온수조에서 증기 및 온수가 배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조(60)에 수용된 물은 상기 히터(690)에 의해서 목표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고, 상기 온수조(60)에서 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증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에 의해서 온수 취출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는 상기 온수 배출관(43)을 통하여 온수가 유동되지 못한다. 물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온수 배출관(43)에 물이 존재할 수 있으나, 상기 유량조절밸브(27)와 상기 온수밸브(46)가 온되지 않는 한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물은 유동하지 못한다.
상기 온수조(60) 내에서 물의 가열에 의해서 발생된 증기는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온수 입구(431)가 물에 잠겨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부(612) 내의 증기유로(653)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증기유로(653)로 유동한 증기는 상기 제2가이드(656a)를 지나 상기 증기 배출관(62)으로 유동한다. 이 때, 상기 증기 배출관(62)에는 체크 밸브 또는 압력 밸브(63)가 구비되므로, 상기 증기 배출관(62)의 압력이 일정 압력이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체크 밸브 또는 압력 밸브(63)가 개방되어 상기 증기 배출관(62)의 증기가 상기 드레인 관(71)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에 의해서 온수 취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유량조절밸브(27) 및 상기 온수밸브(46)가 온된다. 그러면, 상기 유입관(632)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고,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서 상기 온수조(60)의 온수가 상기 온수 배출관(43)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 들에 의하면, 배출부를 온수 배출관이 관통하여 상기 온수조 내부로 인입되므로, 증기가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수 배출관으로 증기가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취출구로 온수가 취출될 때 증기가 배출되지 않으므로, 증기 배출에 따른 사용자의 화상 위험이 줄어들고, 증기와 온수가 함께 배출될 때 발생하는 소음이 제거되고, 온수가 컵 등에 담길 때 온수가 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온수 배출관이 상기 배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통으로 인입되므로 상기 배출부가 상기 내통과 외통 사이의 진공 챔버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온수조의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온수조가 외통과 내통을 포함하는 단열 탱크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하나의 통을 가지는 온수조인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온수조의 외면을 단열재가 둘러쌀 수 있다.
도 5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온수조의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증기배출튜브 내에서의 온수 배출관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1실시 예의 설명 및 도면부호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배출관(43)은 절곡된 부분을 가진다. 즉, 상기 온수 배출관(43)은, 제1부분(432)과, 상기 제1부분(432)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부분(4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 배출관(43)은 상기 증기배출튜브(650)의 제2가이드(656)로 삽입된 후에 상기 연결부(612)를 지나 상기 내통(610)의 내부에 인입된다.
일 예로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제1부분(432)이 상기 내통(610)에 인입되고, 상기 제2부분(432)의 일부는 상기 제2가이드(656)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부분(432)과 상기 제2부분(433)의 경계부위(절곡부위)는 상기 증기배출튜브 내에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면부호 655 및 666은 구성을 구분하기 위하여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로 이름하였으나, 기능적으로 증기유로 상의 증기가 통과하는 부분이 "제1가이드"이고, 온수 배출관이 통과하는 부분이 "제2가이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증기배출튜브(650)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제2부분을 상기 연결부(651)로 삽입한 후에 상기 제2가이드(656)를 관통시켜 상기 증기배출튜브(650)에 상기 온수 배출관(43)을 결합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증기배출튜브(650)가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증기배출튜브(650)가 두 개의 부재로 구분되어 두 개의 부재가 상기 증기 배출관을 수요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튜브(650)에서 상기 제2가이드(656)가 상기 연결부(651)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제2가이드(656)가 상기 연결부(651)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내통(610) 내부의 증기는 상기 배출부(612)와 상기 온수 배출관(43) 사이의 증기유로(653)로 배출된 후에 상기 제1가이드(655)를 통하여 증기 배출관(632)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해서도 상기 온수 배출관(43)으로 증기가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부분에서 절곡된 제2부분이 제2가이드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2부분이 일정 깊이로 상기 내통에 인입되므로 상기 온수 배출관의 삽입 깊이가 일정하도록 하기 위한 표시나 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위의 제1실시 예와 제2실시 예에서는 상기 배출부가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연결부가 상기 배출부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의 내경이 상기 온수 배출관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과 상기 온수 배출관의 내주면 사이에 증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제3실시 예에 따른 온수조의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온수 배출관이 배출부에 직접 삽입되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1실시 예의 설명 및 도면부호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온수조(60)의 배출부(612)의 단부는 막혀있다. 즉, 상기 배출부(612)의 단부는 차단부(613)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613)에는 상기 온수 배출관(43)이 통과하기 위한 제1홀(615)과 상기 증기 배출관(62)이 통과하기 위한 제2홀(616)이 형성된다.
상기 온수 배출관(43)은 상기 제1홀(614)을 관통한 후에 상기 배출부(612)를 지나 상기 내통(610)에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증기 배출관(62)은 상기 차단부(613)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증기 배출관(62)은 상기 제2홀(616)을 관통한 후에 상기 배출부(61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온수 배출관(43)의 온수 입구(431) 보다 상기 증기 배출관(62)의 입구(62a)가 높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조 내의 증기는 상기 배출부(612)로 유동한 후에 상기 증기 배출관(62)을 통하여 온수조에서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해서도 상기 온수 배출관(43)으로 증기가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다른 실시 예를 제안한다.
상기 온수조는 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 배출부와,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온수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배출부의 입구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입구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증기 배출부와 상기 온수 배출부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물품으로 제조되어 서로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조가 내통과 외통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통에는 상기 온수 배출부가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증기 배출부는 상기 홀을 관통하거나 상기 내통의 외측에서 상기 홀과 연통될 수 있다.
1: 정수기 43: 온수 배출관
60: 온수조 610: 내통
612: 배출부 620: 외통
650: 증기배출튜브

Claims (17)

  1.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증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를 가지는 온수조;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온수조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온수조의 온수를 배출시키는 온수 배출관;
    증기유로의 증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는 증기배출튜브; 및
    상기 온수조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유로는 상기 온수 배출관의 외주면과 상기 배출부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온수조 내의 증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증기가 유입되는 증기 입구를 가지고,
    상기 온수 배출관은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 입구를 가지고,
    상기 온수 입구는 상기 증기 입구 보다 낮게 위치되며,
    상기 온수 입구는 상기 유입부가 연결되는 부분 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온수 배출관은 상기 증기배출튜브를 관통하여 상기 온수조 내부에 인입되는 정수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튜브는 상기 증기유로 상의 증기가 통과하는 제1가이드와,
    상기 온수 배출관이 통과하는 제2가이드를 포함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배출관은, 상기 온수조 내에 위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서 절곡되며 상기 제2가이드 내에 위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정수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튜브는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가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출부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정수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튜브는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배출부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과 상기 온수 배출관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증기유로가 형성되는 정수기.
  9.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또는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수기.
  10.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배출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는, 내통과, 상기 내통을 둘러싸는 외통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내통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통을 관통한 후에 상기 외통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온수 배출관은 상기 내통 내부로 인입되는 정수기.
  15.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온수조 내에 저장된 온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온수 배출관; 및
    상기 온수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조는, 내통과,
    상기 내통을 둘러싸는 외통과,
    상기 내통 내의 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는 증기배출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배출관은 상기 배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통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온수 배출관의 외주면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배출부의 내주면과 이격되고,
    상기 온수 배출관은 상기 유입부가 연결되는 부분 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증기배출튜브는 상기 증기가 통과하는 제1가이드와,
    상기 온수 배출관이 통과하는 제2가이드를 포함하는 정수기.
  16. 삭제
  17. 삭제
KR1020140061950A 2014-05-23 2014-05-23 정수기 KR101594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950A KR101594243B1 (ko) 2014-05-23 2014-05-23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950A KR101594243B1 (ko) 2014-05-23 2014-05-23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53A KR20150134753A (ko) 2015-12-02
KR101594243B1 true KR101594243B1 (ko) 2016-02-26

Family

ID=5488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950A KR101594243B1 (ko) 2014-05-23 2014-05-23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2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684B1 (ko) * 2016-05-04 2024-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230068124A (ko) 2021-11-10 2023-05-17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 탱크, 온수 탱크를 이용한 온수 생성 방법 및 온수 탱크를 이용한 온수 배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703B1 (ko) * 2010-11-24 2013-11-08 주식회사 교원 정수기용 온수탱크
KR101510701B1 (ko) * 2010-12-27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20137824A (ko) * 2011-06-13 2012-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조 및 그를 갖는 직수형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53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0148734A (ru) Герметичная капсул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помещения в нее ингредиентов напитка и оснащенная мембраной со стороны впускной грани
KR102053784B1 (ko) 정수기용 냉수 탱크
KR102447439B1 (ko) 수처리 장치용 온수생성모듈
KR101594243B1 (ko) 정수기
KR200472014Y1 (ko) 정수기용 순간온수장치
KR100716469B1 (ko)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KR101749394B1 (ko) 냉수탱크
JP2010002061A (ja) 貯湯式温水器
KR101296434B1 (ko) 정수기 및 그의 배수구조
US9216894B2 (en) Drinking water server
KR20160022709A (ko) 정수기용 필터 연결장치
KR101564263B1 (ko)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332259B1 (ko)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KR20210153992A (ko) 온수기
KR101976769B1 (ko) 급수탱크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기
CN112005058A (zh) 休闲车中的供水设备的防冻装置
KR200476273Y1 (ko) 정수기용 히터모듈
KR101735824B1 (ko) 순간온수용 온수조 모듈
KR101510701B1 (ko) 정수기
KR102356818B1 (ko) 온수기
KR101291876B1 (ko) 정수기
KR100889456B1 (ko) 이중 가열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 공급장치
KR101270453B1 (ko) 정수기
KR101916888B1 (ko) 정수기
JP6347412B2 (ja) 電気温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