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159B1 -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 Google Patents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159B1
KR100619159B1 KR1020040068097A KR20040068097A KR100619159B1 KR 100619159 B1 KR100619159 B1 KR 100619159B1 KR 1020040068097 A KR1020040068097 A KR 1020040068097A KR 20040068097 A KR20040068097 A KR 20040068097A KR 100619159 B1 KR100619159 B1 KR 100619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hot water
hot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9423A (ko
Inventor
최상필
Original Assignee
최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필 filed Critical 최상필
Priority to KR1020040068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1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19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01D35/1475Pressure relief valves or pressure control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조 내부의 수온 및 증기압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에 온수조 내부의 온수가 역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온수조에 내장된 물을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온수조 내부의 증기압이 미리 설정된 증기압을 초과할 경우에 내부증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온수조 내의 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수의 유입 및 혼합에 따른 온도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는,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입수관 및 출수관이 구비되는 본체;
본체에 내장되어 저수공간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 및
본체의 입수관 상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의 물이 히터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됨에 따라 입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는, 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본체 내부의 증기압이 설정압력을 초과할 경우에 내부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안전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조, 본체, 히터, 입수관, 증기압, 역류방지밸브, 안전밸브

Description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WATER HEATING BATH F0R A COLD/HOT-WATER CLEANER }
도 1은 일반적인 냉온정수기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용 온수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용 온수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용 온수조의 역류방지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용 온수조의 역류방지밸브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10 : 본체
11 : 저수공간 12 : 입수관
13 : 출수관 20 : 히터
30 : 역류방지밸브 31 : 하부케이싱
32 : 폐쇄방지부재 33 : 상부캡
35 : 부유구 40 : 안전밸브
100 : 냉온정수기
본 발명은 냉온정수기용 온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조 내부의 수온 및 증기압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에 온수조 내부의 물이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온수조 내부의 증기압이 설정압력을 초과할 경우에 내부증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온수조 내의 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수의 유입 및 혼합에 따른 온도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냉온정수기(100) 내에는 필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급수조(110)와, 입수관(121)을 통해 급수조(110)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면을 둘러싸는 냉매관(123)을 통해 급랭시켜 배출시키는 냉수조(120)와, 입수관(131)을 통해 급수조(110)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내장히터(133)를 통해 가열하여 배출시키는 온수조(130)가 구비된다.
그러나, 전술한 온수조(130)가 과열되어 온수조(130) 내부의 수온 및 증기압이 과도하게 높아질 경우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이 끓어오르게 되며, 고온의 온수는 과도한 증기압에 의해 입수관(121)을 통해 급수조(110)로 역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역류현상은 급수조(110) 내의 물의 온도을 상승시켜 냉수조(120)에서의 냉각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관계로, 온수조(130) 내의 물의 온도를 비교적 고온으로 상승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수조(130) 내부의 증기압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에는 온수조(130)가 증기압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될 위험이 있는 관계로, 일반적으로 온수조(130) 내의 물의 온도는 소정의 온도 이상의 고온으로 상승시킬 수 없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전통차를 우려낼 경우와 같이 비교적 고온의 물의 필요한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온수조(130) 내부로 유입된 냉수가 온수조(130) 내부의 온수와 혼합될 때 발생되는 온도편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조 내의 수온 및 증기압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에 온수조 내부의 온수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여 온수조에 내장된 물을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한, 냉온정수기용 온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수조 내부의 증기압이 설정압력을 초과할 경우에 내부증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온수조에 내장된 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수의 유입 및 혼합에 따른 온도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냉온정수기용 온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입수관 및 출수관이 구비되는 본체;
본체에 내장되어 저수공간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 및
본체의 입수관 상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의 물이 히터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됨에 따라 입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는,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본체 내부의 증기압이 설정압력을 초과할 경우에 내부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안전밸브를 더 포함하는,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역류방지밸브는,
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중앙에 입수관이 끼워져 결합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단에 폐쇄방지부재가 구비되는 하부케이싱;
하부케이싱에 밀봉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입수관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연결부가 구비되는 상부캡; 및
상부캡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본체 내부의 증기압에 의해 부양되어 내부공간의 상단을 폐쇄시켜 본체 내부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유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1)는, 내부에 저수공간(11)이 형성되고 상부에 물의 출입을 위한 입수관(12) 및 출수관(13), 냉온정수기 내로의 고정을 위한 고정브래킷(14)이 구비되며 하부에 드레인관(15)이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하부면에 고정된 상태로 본체(10) 내로 내장되어 저수공간(11)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20)와, 본체(10)의 입수관(12) 상에 설치되어, 본체(10) 내부의 물이 히터(20)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됨에 따라 증기압이 과도할 경우에 본체(10) 내부의 물이 입수관(12)을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내부식성이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를 만곡시킨 후 양 가장자리를 맞붙여 용접한 원통부(10a)의 상하단에, 입수관(12), 출수관(13) 및 고정브래킷(14)을 구비하는 상부덮개(10a)와, 드레인관(15) 및 히터(20)를 구비하는 하부덮개(10c)를 각각 시이밍(seaming)을 통해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된다.
본체(10)의 외부면에는 본체(10) 내부의 수온을 소정의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온도조절부재(16)가 소정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다.
전술한 본체(10)의 입수관(12) 상에는, 본체(10) 내부의 증기압이 과도할 경우에 본체(10) 내부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30)가 구비되는데, 이 역류방지밸브(3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중앙에 입수관(12)이 끼워져 결합되는 관통구멍(31a)이 형성되며 상단에 폐쇄방지부재(32)가 구비되는 하부케이싱(31)과, 하부케이싱(31)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31b) 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34)에 의해 하부케이싱(31)에 밀봉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입수관(12)과 연통되는 내부공간(33a)이 형성되며 상부에 냉온정수기의 급수조와 연결되는 연결부(33b)가 구비되는 상부캡(33)과, 상부캡(33)의 내부공간(33a)에 수용되고 본체(10) 내부의 증기압이 과도할 경우에 본체(10) 내부의 증기압에 의해 부양됨에 따라 상부캡(33)의 내부공간(33a)의 상단을 폐쇄시켜 본체(10) 내부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유구(3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부케이싱(31)의 상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31b)가 형성되고, 상부캡(33)의 하부 내주면에는 수나사부(31b)에 상응하는 암나사부(33c)가 형성되어, 하부케이싱(31)과 상부캡(33)은 서로 나사결합된다.
폐쇄방지부재(32)는 하부몸체(31)의 상단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바아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본체(10) 내부의 증기압이 낮을 경우라도 부유구(35)가 자체 중량에 의해 하부케이싱(31)의 상단과 밀착되어 입수관(12)을 폐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입수관(12)을 통해 물이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역류방지밸브(30)에 의해 역류방지가 일어나도록 하는, 본체(10) 내부의 증기압의 설정은 부유구(35)의 자체 중량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역류방지밸브(30)는, 본체(10) 내부의 증기압이 부유구(35)의 자체중량보다 낮을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부유구(35)가 내부공간(34) 내에서 최저위치인 폐쇄방지부재(32) 상에 위치되어 본체(10) 내로의 물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지만, 본체(10) 내부의 증기압이 온수역류가 발생될 정도로 과도하게 높을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부유구(35)가 본체(10) 내부의 증기압에 의해 상부로 플로우팅되어 상부캡(33)의 내부공간(33a)의 상단을 폐쇄시킴으로써, 입수관(12)을 통해 본체(10) 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입수관(12)을 통해 본체(10) 내의 물이 냉온정수기의 급수조(도시되지 않음)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본체(10)의 상부면에는, 본체(10) 내부의 증기압이 설정압력을 초과할 경우에 내부증기를 외부로 즉시 배출시킴으로써 본체(10) 내부의 수온을 안정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안전밸브(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안전밸브(40)의 구조는 통상의 압력밥솥 등에 많이 적용되는 공지된 것으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본체(10)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안전밸브(40)의 설정압력은 그 내부에 포함되는 탄성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 내부의 증기압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설정압력)보다 작을 경우에는, 안전밸브(40)가 폐쇄됨에 따라 본체(10) 내부의 증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없지만, 본체(10) 내부의 증기압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초과할 경우에는, 안전밸브(40)가 개방됨에 따라 본체(10) 내부의 증기는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고, 그 결과 본체(10) 내부의 증기압은 감압된다.
전술한 안전밸브(40)의 작용에 의해 본체(10)가 내부증기압에 파손될 우려가 없으므로, 사용자는 안전하게 본체(10) 내의 수온을 고온으로 상승시킬 수 있으며, 안전밸브(40)의 개폐로 인한 본체(10) 내부의 증기압의 변화는 전술한 역류방지밸브(30)의 부유구(35)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는, 본체 내부의 수온 및 증기압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에 발생되는 온수역류가 역류방지밸브에 의해 방지될 수 있어 냉수조에서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본체 내부의 물을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증기압이 미리 설정된 증기압을 초과할 경우에 안전밸브를 통해 내부증기를 즉시 배출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온수조에 내장된 물의 온도를 고온으로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수의 유입 및 혼합에 따른 온도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통차를 우려낼 경우와 같이 고온의 물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입수관 및 출수관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저수공간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본체의 입수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물이 상기 히터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됨에 따라 상기 입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밸브는,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중앙에 상기 입수관이 끼워져 결합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단에 폐쇄방지부재가 구비되는 하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에 밀봉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입수관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연결부가 구비되는 상부캡; 및
    상기 상부캡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증기압에 의해 부양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상단을 폐쇄시켜 상기 본체 내부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유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증기압이 설정압력을 초과할 경우에 내부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안전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3. 삭제
KR1020040068097A 2004-08-27 2004-08-27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KR100619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097A KR100619159B1 (ko) 2004-08-27 2004-08-27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097A KR100619159B1 (ko) 2004-08-27 2004-08-27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423A KR20060019423A (ko) 2006-03-03
KR100619159B1 true KR100619159B1 (ko) 2006-09-04

Family

ID=3712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097A KR100619159B1 (ko) 2004-08-27 2004-08-27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1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477B1 (ko) 2007-05-22 2008-11-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중관 구조를 갖는 겸용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340380B1 (ko) * 2011-05-12 2013-12-11 (주)현대큐시스 냉온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200B1 (ko) * 2009-06-08 2011-05-02 정세경 냉수와 온수의 순환교류방식에 따른 급수시스템
EP2295887A2 (en) * 2009-08-28 2011-03-16 Sang Pil Choi Water tank with sealing element
KR101326703B1 (ko) * 2010-11-24 2013-11-08 주식회사 교원 정수기용 온수탱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980A (ko) * 2002-02-19 2003-08-25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 정수기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980A (ko) * 2002-02-19 2003-08-25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 정수기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477B1 (ko) 2007-05-22 2008-11-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중관 구조를 갖는 겸용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340380B1 (ko) * 2011-05-12 2013-12-11 (주)현대큐시스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423A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167B1 (ko) 온수 순환 시스템
KR100619159B1 (ko)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KR100735911B1 (ko) 물공급 장치
AU2009200847A1 (en) Hot water generator
KR100603647B1 (ko) 휴대용 온수순환장치
KR20120020190A (ko) 소형화된 진공 전기 온수 보일러
KR20120061199A (ko) 보조탱크가 구비된 열교환장치
JP3872912B2 (ja) 燃焼機器およびその過圧防止機能付き逆止装置
KR101955820B1 (ko) 휴대용 온수보일러와 이것을 이용한 온수매트장치
KR100644378B1 (ko) 압력제어기능을 갖는 형상기억합금과 이중포핏을 이용한자동온도 유량조절장치
KR101332259B1 (ko)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KR20090005981U (ko) 휴대용 온수 보일러의 급수밸브 구조
KR200442500Y1 (ko) 전기 스팀보일러
JP4207756B2 (ja) 貯湯式給湯機
KR200216403Y1 (ko) 휴대용 난방기
JP4350292B2 (ja) 電気温水器
KR200231695Y1 (ko) 온열매트 가열기
CN213588058U (zh) 饮水机的蒸汽回收装置
CN104848538B (zh) 一种废热水余热回收热泵热水器
KR102595553B1 (ko) 스팀저감기를 구비한 온수보일러
KR200375327Y1 (ko) 야외용 난방장치
JPH0311659Y2 (ko)
KR200263465Y1 (ko) 온열 매트 가열기
KR900010500Y1 (ko) 온수기 겸용 구멍탄 보일러
JP2006194583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