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403Y1 - 휴대용 난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403Y1
KR200216403Y1 KR2019980005174U KR19980005174U KR200216403Y1 KR 200216403 Y1 KR200216403 Y1 KR 200216403Y1 KR 2019980005174 U KR2019980005174 U KR 2019980005174U KR 19980005174 U KR19980005174 U KR 19980005174U KR 200216403 Y1 KR200216403 Y1 KR 200216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allet
heating chamber
water tank
capillar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810U (ko
Inventor
추연우
Original Assignee
추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연우 filed Critical 추연우
Priority to KR2019980005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40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8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8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403Y1/ko

Links

Landscapes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종래에 야외 활동시 사용되는 장판이나 깔판은 바닥에 깔아놓고 그 위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단순히 외부와 구별하는 역할이나 공간의 기능을 목적으로 했었다. 그러므로 기온이 낮은 겨울이나 새벽에 깔판을 사용할 때는 사용중인 깔판이 외부의 낮은 온도에서 보온효과를 발생하지 못하므로 외부의 낮은 기온에 몸이 움츠려져 활동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것을 감안하여 바닥에 깔수 있는 깔판에 보호캡이 형성된 온수관을 내설하여 모세관이 있는 온수통과 가열실에서 발생되는 온수를 온수관을 통해 깔판으로 유입시켜 난방을 하는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며 장시간 사용할 수 있어 외부의 낮은 기온에서 신체에 보온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차가운 겨울이나 새벽에 활동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난방기
종래의 사용되는 깔판이나 장판은 바닥에 깔아놓고 그 위에서 활동하는 단순히 외부와 구별하는 역할이나 공간의 기능을 목적으로 하였고 보온 기능을 가지는 깔판이나 장판은 전기로 보온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야외활동시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으로 일반적인 장판이나 깔판은 동절기나 외부의 기온이 차가운 새벽에 낚시나 작업을 하기위해 깔아놓을 경우 외부와 구별하는 역할이나 공간의 기능을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외부에서 활동을 할 경우에는 외부의 차가운 온도에 의해 신체가 움츠러져 활동성을 저하시켜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외부활동이 위축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것을 감안하여 바닥에 까는 깔판에 보호캡이 형성된 온수관을 내설하여 모세관이 있는 온수통의 물을 조절밸브를 통해 또 다른 모세관이 있는 가열실에 공급하여 가열실에서 발생되는 온수를 온수관을 통해 깔판으로 유입시켜 난방을 하는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며 장시간 사용할 수 있어 외부의 낮은 온도에서 신체에 보온효과을 얻을 수 있어 차가운 겨울이나 새벽에 활동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취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온수통 부분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온수 순환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수통 2,2′ : 통공
3 : 칸막이 4 : 모세관실
5,11 : 모세관 6,6′ : 연결구
7 : 조절밸브 8 : 가열판
9 : 배출구 10 : 가열실
12,16 : 실리콘 호스 13 : 온수관
14 : 깔판 15 : 보호캡
17 : 뚜껑 18 : 환수구
원통형상의 온수통(1) 중간부에 통공(2)이 형성된 칸막이(3)를 설치하여 온수통(1) 하부에 모세관실(4)을 형성하고, 모세관실(4)내에 나선형으로 모세관(5)을 내설하되 모세관(5)의 일측 끝이 칸막이(3)에 형성된 통공(2)을 통해 온수통(1)으로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온수통(1)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통공(2′)을 통해 외부로 돌출 되게 하고, 온수통(1) 바닥에 형성된 통공(2′)아래로 연결구(6)를 형성하고 연결구(6)에 조절밸브(7)를 연결하여 조절밸브(7)와 온수통(1) 외부로 돌출된 모세관(5)이 연통 되도록 하고, 조절밸브(7)아래 연결구(6′)를 통해, 가열판(8)과 배출구(9)가 형성된 가열실(10)에 연결하고, 가열실(10) 안에는 모세관(11)을 나선형으로 내설하여 일측은 연결구(6′)를 통해 조절밸브(7)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가열실(10) 바닥을 향하도록 하고 가열실(10)에 형성된 배출구(9)에 실리콘 호스(12)를 연결하여 연결된 실리콘 호수(12)의 끝을 깔판(14)에 내설되어 외부로 돌출된 온수관(13)에 연결하고, 깔판(14)내에 형성된 온수관(13)의 외부로는 보호캡(15)을 형성하고, 온수관(13)의 끝을 깔판(14) 밖으로 돌출시켜 실리콘 호스(16)에 연결하여 실리콘 호스(16)의 끝이 뚜껑(17)에 형성된 환수구(18)까지 연결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9”는 버너 “20”은 가스통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된 고안을 사용하려면 모세관실(4)과 모세관(5)이 형성된 온수통(1)에 정당 량의 물을 담고 환수구(18)와 실리콘 호스(12)가 형성된 뚜껑(17)으로 온수통(1)을 덮은 후 가열판(8)에 열을 가할때 온수통(1)에 있는 물이 칸막이(3)에 형성된 통공(2)을 통하여 모세관실(4)에 있는 나선형으로 내설된 모세관(5)으로 모세관(5)의 길이 만큼 일정시간을 경과하면서 온수통(1) 바닥에 형성된 통공(2′)에 연결된 연결구(6)를 통해 물이 조절밸브(7)를 지나 가열실(10)에 나선형으로 내설된 모세관(11)으로 물이 유입될 때에 가열판(8)에 가해지 열로 인하여 가열판(8)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가열실(10)과 가열실(10)에 내설된 모세관(11)의 온도도 상승하므로 온수통(1)에서 유입된 물이 모세관(5)과 조절밸브(7)를 지나 가열실(10) 내에 있는 모세관(11)에 유입될 때 가열된 가열판(8)을 통해 온도가 상승된 모세관(11)에 의해 유입된 물이 나선형 모세관(11)을 지나면서 온도가 상승하여 온수가 되어 가열실(10)에 저장된다. 일정량의 온수가 가열실(10)에 저장되면 가열실(10)에 형성된 배출구(9)로 온수가 배출되어 배출구(9)에 연결된 실리콘 호스(12)로 유입되어 깔판(14)에 내장된 온수관(13)을 따라서 깔판(14)에 열을 가하여 깔판(14)의 온도가 상승하게되면 사용자는 온도가 상승한 깔판(14)에 앉거나 하여 외부의 차가운 온도로부터 몸을 보온하면서 추위를 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깔판(14)에 가해지는 신체의 중량을 깔판(14)에 내설된 온수관(13) 외부에 있는 보호캡(15)이 온수관(13)을 지지함으로 신체의 중량으로 인해 온수관(13)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깔판(14)내에서 온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깔판(14)에 내설된 온수관(13)에 유입된 온수는 깔판(14)에 열을 가하면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후 차츰 온도가 내려가면서 깔판(14)밖으로 돌출된 다른 온수관(13) 끝으로 유입되면서 온수관(13) 끝에 연결된 실리콘 호스(16)를 통해 뚜껑(17)으로 유입되어 뚜껑(17)에 형성된 환수구(18)를 통해 다시 온수통(1)으로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온수통(1)과 가열실(10)을 연결하는 조절밸브(7)를 통해 가열실(10)에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가열실(10)에서 온수가 되어 깔판(14)으로 유입되는 물의 량을 조절함으로 깔판(14)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일정시간동안 열이 가해진 가열판(8)의 열에 의하여 가열실(10)내의 온도가 상승한 때에는 가열판(8)에 열을 가하지 않아도 일정시간동안은 고열을 가지고 있음으로 가열실(10)에서 모세관(11)을 통해 유입되는 물과 가열실(10)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난방을 할 수 있어 연료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이 끝나고 난방기를 수거할 때는 가열판(8)에 가하는 열을 제거하고 깔판(14)에 내입된 온수관(13)과 실리콘 호스(5)(11)를 분리한 후 온수통(1)과 가열실(10)에 유입된 물을 제거하고 온수관(13)을 통해 깔판(14)에 유입된 물을 제거한 후 깔판(14)을 휴대가 편리하도록 접거나 말아주며 이때 깔판(14)에 내입된 온수관(13)은 온수관(13) 외부로 형성된 보호캡(15)에 의해 온수관(13)이 접히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온수관(13)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고안은 온수통(1)과 가열실(10)을 통해 유입된 온수가 깔판(14)에 내설된 온수관(13)으로 유입되어 깔판(14)을 난방하므로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어 야외활동시 외부 차가운 온도에서 몸을 보온할 수 있어 외부에서의 활동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원통형상의 온수통(1) 중간부에 통공(2)이 형성된 칸막이(3)를 설치하여 온수통(1) 하부에 모세관실(4)을 형성하고, 모세관실(4)내에 나선형으로 모세관(5)을 내설하되 모세관(5)의 일측 끝이 칸막이(3)에 형성된 통공(2)을 통해 온수통(1)으로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온수통(1)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통공(2′)을 통해 외부로 돌출 되게 하고, 온수통(1) 바닥에 형성된 통공(2′)차래로 연결구(6)를 형성하고 연결구(6)에 조절밸브(7)를 연결하여 조절밸브(7)와 온수통(1) 외부로 돌출된 모세관(5)이 연통 되도록 하고, 조절밸브(7)아래 연결구(6′)를 통해, 가열판(8)과 배출구(9)가 형성된 가열실(10)에 연결하고, 가열실(10) 안에는 모세관(11)을 나선형으로 연설하여 일측은 연결구(6′)를 통해 조절밸브(7)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가열실(10) 바닥을 향하도록 하고 가열실(10)에 형성된 배출구(9)에 실리콘 호스(12)를 연결하여 연결된 실리콘 호스(12)의 끝을 깔판(14)에 내설되어 외부로 돌출된 온수관(13)에 연결하고, 깔판(14)내에 형성된 온수관(13)의 외부로는 보호갭(15)을 형성하고, 온수관(13)의 끝을 깔판(14) 밖으로 돌출시켜 실리콘 호스(16)에 연결하여 실리콘 호스(16)의 끝이 뚜껑(17)에 형성된 환수구(18)까지 연결된 휴대용 난방기.
KR2019980005174U 1998-03-30 1998-03-30 휴대용 난방기 KR200216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174U KR200216403Y1 (ko) 1998-03-30 1998-03-30 휴대용 난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174U KR200216403Y1 (ko) 1998-03-30 1998-03-30 휴대용 난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810U KR19990038810U (ko) 1999-10-25
KR200216403Y1 true KR200216403Y1 (ko) 2001-03-15

Family

ID=6951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174U KR200216403Y1 (ko) 1998-03-30 1998-03-30 휴대용 난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4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298B1 (ko) 2021-06-15 2022-02-23 주식회사 미성 휴대용 충전식 발열난로
KR102448878B1 (ko) 2021-09-24 2022-09-30 주식회사 미성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충전식 발열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132B1 (ko) * 2010-11-22 2011-10-24 신윤오 온수 보일러 및 커피 포트 겸용 휴대용 난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298B1 (ko) 2021-06-15 2022-02-23 주식회사 미성 휴대용 충전식 발열난로
KR102448878B1 (ko) 2021-09-24 2022-09-30 주식회사 미성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충전식 발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810U (ko) 199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65187A (zh) 燃气热水器及其工作方法
CN217585424U (zh) 一种利用驻车加热器废热的热交换器以及热水系统
KR200216403Y1 (ko) 휴대용 난방기
KR100393917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KR200233392Y1 (ko) 난방용보일러의가열장치
EP2111506A1 (en) Engine pre-heater
KR20090070462A (ko) 열 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
KR20020040230A (ko) 심야전기를 이용한 온수기의 열교환기
KR200238364Y1 (ko) 난방라인에서 온수사용이 가능한 축열식 보일러의 배관구조
CN212566277U (zh) 一种速热蓄热一体式电热水器
KR100619159B1 (ko)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KR200364727Y1 (ko) 스팀가열식 전기보일러
JPH0114500B2 (ko)
KR200219771Y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JP4350292B2 (ja) 電気温水器
JP2003004301A (ja) 貯湯式電気温水器
JP3801274B2 (ja) 給湯装置
CN215892793U (zh) 燃气热水器
JPH083876Y2 (ja) 1缶2回路式給湯兼用風呂装置
KR100392200B1 (ko) 열교환식 전기온수기
KR200220770Y1 (ko) 심야전기를 이용한 온수기의 열교환기
JP3920161B2 (ja) 貯湯式給湯暖房装置
JP2011056222A (ja) 洋式トイレ便座
JPS6146357Y2 (ko)
KR200339300Y1 (ko) 간접열에 의해 용수가 보온되는 구조의 유대가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