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499B1 -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499B1
KR101177499B1 KR1020110126094A KR20110126094A KR101177499B1 KR 101177499 B1 KR101177499 B1 KR 101177499B1 KR 1020110126094 A KR1020110126094 A KR 1020110126094A KR 20110126094 A KR20110126094 A KR 20110126094A KR 101177499 B1 KR101177499 B1 KR 101177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hot water
col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10126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93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는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제 1 탱크; 상기 제 1 탱크의 하단에 연결된 급수관; 상기 급수관이 하단에 연결되어 액체를 공급받고 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하는 제 2 탱크; 및 상기 제 2 탱크의 상단과 상기 제 1 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제 2 탱크의 증기를 제 1 탱크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온수기{cool and warm water apparatus}
본 발명은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냉온수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냉온수기에서 온수의 역류 현상에 의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냉온수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온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냉온수기(10)는 도수관(11), 냉수 탱크(12), 유입구(13), 냉각 장치(14), 저수탱크 지지부(15), 급수관 지지부(16), 급수관(17), 온수 탱크(18), 보온재(19), 온수 출수관(20), 및 배출 파이브(21)를 포함한다.
냉수 탱크(12)는 저수탱크 지지부(15)에 의해 냉온수기(10)의 본체(미 도시됨)에 고정된다. 냉수 탱크(12) 내부에는 유입구(13)이 배치되며, 저수탱크 지지부(15) 중앙에 배치된 급수관 지지부(16)에 의해 유입구(13) 및 급수관(17)의 일 측면이 연결된다. 급수관 지지부(16)는 급수관(17)을 고정시키고, 급수관(17)의 타 측면은 온수 탱크(18)의 상단에 연결된다. 냉각 장치(14)는 내부에 저온의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으로 구성되며, 냉매관은 냉수 탱크(12)의 외측면 하부에 감싸지도록 배치되며 도 1은 냉매관의 단면만을 도시하였다.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보온재(19)는 온수 탱크(18) 외부를 감싸지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른 종래의 냉온수기(10)의 동작을 설명하면, 저수탱크(12)는 도수관(11)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은 저수탱크(12)의 외측면 하부에 배치된 냉각장치(14)에 흐르는 냉매에 의해 냉각되며, 냉각된 물은 냉온수기(10)의 본체 외부에 공급된다. 또한, 냉수 탱크(12)에 공급된 물은 유입구(13) 및 급수관(15)을 통해 온수 탱크(18)에 공급된다. 온수 탱크(18)에 공급된 물은 밴드 히터 방식 또는 씨즈 히터 방식에 의해 가열되며, 가열된 물은 온수 출수관(20)을 통해 본체 외부에 공급된다.
밴드 히터 방식은 온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열체(미 도시됨)를 온수통 외벽에 감싸주어 장착하는 방식이다. 발열체는 고온을 발생시키고, 발생 된 고온의 열은 온수통 외벽을 통해 내부에 전달되며, 이때 온수통 내부의 물이 가열된다.
씨즈 히터 방식은 꽈배기 모양의 발열체(미도시됨)를 온수통 내부에 장착하는 방식이다. 온수통 내부에 구비된 발열체는 열을 발생시키며, 발열체와 접촉된 물에 열이 전달되어 물이 가열된다.
온수 탱크(1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탱크(12)에서 물이 아래로 흘러 내려 공급되기 때문에 물은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이 가열될 경우 물은 팽창하게 되고 압력이 높아지게 되며, 높아진 압력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급수관(17)을 통해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 된다. 이러한 역류현상은 냉수 탱크(12)에 저장되어 있는 냉수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냉수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다시 냉각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냉온수기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서는, 가열로 인해 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압력 상승과 더불어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압력 상승의 정도가 물이 역류할 정도는 아닌 경우에도 온수 탱크(18)의 일부를 수증기가 차지하게 되고 결국 온수 탱크(18) 전부를 온수통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의 역류 현상을 방지하여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 통에 배출구를 두어 온수탱크(18)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는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제 1 탱크; 상기 제 1 탱크의 하단에 연결된 급수관; 상기 급수관이 하단에 연결되어 액체를 공급받고 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하는 제 2 탱크; 및 상기 제 2 탱크의 상단과 상기 제 1 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탱크 내의 액체가 가열되어 팽창되었을 때 발생하는 증기를 제 1 탱크로 배출하여 제 2 탱크 내의 압력을 낮추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온수기는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제 2 탱크 내의 온수가 제 1 탱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관 내의 증기를 냉각하는 기능을 하는 기액 분리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액 분리통은 상기 배출관보다 너비가 넓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액 분리통은 상기 냉수 탱크의 수위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관에는 제 2 탱크로부터 제 1 탱크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밸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는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제 1 탱크; 상기 제 1 탱크의 하단에 연결된 급수관;상기 급수관이 하단에 연결되어 액체를 공급받고 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하는 제 2 탱크; 및 상기 급수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탱크로부터 상기 제 1 탱크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온수기는 상기 제 2 탱크의 상단과 상기 제 1 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제 2 탱크의 증기를 제 1 탱크로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제 2 탱크 내의 온수가 제 1 탱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관 내의 증기를 냉각하는 기능을 하는 기액 분리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는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제 1 탱크; 급수관이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탱크로부터 냉수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하는 제 2 탱크; 및 상기 제 2 탱크 내의 액체가 가열되어 팽창되었을 때 제 1 탱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역류 방지 수단은 상기 제 2 탱크의 액체가 가열되어 팽창되었을 때 발생하는 증기를 제 1 탱크로 배출하여 제 2 탱크 내의 압력을 낮추는 제 1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증기를 냉각하는 기능을 하는 기액 분리통; 및 상기 기액 분리통과 제 1 탱크를 연결하고 기액 분리통의 증기를 제 1 탱크로 배출하는 제 2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기액 분리통에는 제 2 탱크의 압력 상승으로 수위가 기액 분리통의 상부까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 2 배출관의 입구를 막아 제 1 탱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위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액 분리통에서 냉각된 물을 상기 제 2 탱크로 공급하여 냉각된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관이 상기 제 2 탱크의 하부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배출관의 배출구는 기액 분리통 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배출관의 측면에는 냉각된 물이 입수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상기 제 1 탱크의 냉수를 상기 제 2 탱크로 공급하는 급수관이 제 2탱크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관에는 역류방지 밸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 감지부는 물 보다 가벼운 재질의 부레와 상기 부레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 방지부의 상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의 상기 부레의 지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는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제 1 탱크; 급수관이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탱크로부터 냉수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하는 제 2 탱크; 및 상기 제 2 탱크에 연결되어 온수 밸브가 열릴 때 온수를 출수하는 온수 출수관을 구비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출수관의 일측과 상기 제 1 탱크에 연결되어, 제 2 탱크 내의 액체가 가열되어 압력이 상승할 때 증기를 상기 제 1 탱크로 배출하여 제 2 탱크 내의 압력을 낮추어 역류를 방지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탱크의 냉수를 상기 제 2 탱크로 공급하는 급수관이 제 2 탱크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관에는 역류방지 밸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는 온수의 역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을 개선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구를 통해 온수통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 탱크의 압력 상승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역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수 탱크의 용량을 전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레를 사용하여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수위가 급격히 높아지는 경우에도 역류가 발생하는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온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100)는 저수 탱크(110), 도수관(111), 냉수 탱크(120), 유입구(121), 급수관(122), 냉수 탱크 지지부(130), 냉각 장치(131), 급수관 지지부(132), 온수 탱크(140), 배출관(141), 기액 분리통(142), 온수 배출관(143), 온수 꼭지(144), 발열체(145), 배출파이프(146), 보온재(150), 그리고 본체(160)를 포함한다.
내부에 물이 저장된 저수 탱크(110)는 본체(160)에 착탈 가능하며, 도수관(111)을 통해 냉수 탱크(120)에 물을 공급한다. 냉수 탱크(120)의 하부는 냉수 탱크 지지부(130)에 의해 냉온수기(100)의 본체(160)에 고정된다. 냉수 탱크(120)의 내부에는 유입구(121)가 배치되며, 냉수 탱크 지지부(130)의 중앙에 배치된 급수관 지지부(132)에 의해 유입구(121) 및 급수관(122)의 일 측면이 연결된다. 상기 유입구(121)는 냉수 탱크의 물이 급수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입구는 넓게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로 통해 유입된 액체는 급수관(122)을 통해 온수 탱크(130)로 유입된다. 이때 급수관(1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탱크(14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 탱크(140) 하부에 유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증기가 역류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는 있다. 역류를 완벽히 방지하기 위해서 급수관에 역류방지 밸브(123)를 설치할 수 있다.
냉수 탱크(120)의 상부에는 증기 유입구(H1)을 형성되어 있어, 온수 탱크(13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유입될 수 있다.
냉각 장치(131)는 내부에 저온의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으로 구성되며, 냉매관은 냉수 탱크(120)의 외측면 하부에 감싸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냉각장치(131)는 유입구(121)보다 아래쪽에 형성되어 온수 탱크로 유입되는 물이 냉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 탱크(140)는 하단에 급수구(H2)가 형성되어 있으며 급수관(122)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가열을 위해 발열체(145)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발열체(145)는 씨즈히터 방식에 사용되는 꽈배기 모양의 발열체(145)이다. 온수의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보온재(150)는 온수 탱크(140) 외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보온재(150)는 EPS(Eapanded poly styrene:발포 폴리 스티렌)라는 단열재를 사용한다. 온수 출수관(143)의 일측면은 온수 탱크(14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 측면은 저수탱크 지지부(130)를 통과하여(미도시됨) 본체(160) 외부에 배치된 온수 꼭지(144)에 연결된다.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온수 꼭지(144)와 동일한 높이에는 냉수 꼭지가 배치될 수 있다.
배출관(141)의 일 측면은 온수 탱크(14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H3)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측면은 냉수 탱크(120)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배출관에는 기액 분리통(142)을 배치할 수 있다. 배출관(141)은 냉수 탱크 지지부(130)에 의해 고정되며 기액 분리통(142)는 냉수 탱크의 수위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냉온수기(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저수 탱크(110) 내부에 저장된 물은 도수관(111)을 통해 냉수 탱크(120)에 공급된다. 냉수 탱크(120)에 공급된 물은 냉수 탱크(120)의 외측면 하부에 배치된 냉각 장치(131)에 흐르는 냉매에 의해 냉각되며, 냉각된 물은 냉온수기(100)의 본체 외부에 연결된 냉수 꼭지(미도시됨)을 통해 외부에 공급된다. 또한, 냉수 탱크(120)에 공급된 물은 유입구(121) 및 급수관(122)을 통해 온수 탱크(140)로 공급된다.
온수 탱크(140)는 항상 만수 상태를 유지하며, 배출구(H3)를 통해 상승하는 물은 냉수 탱크(130)와 동일한 수위까지 상승하게 된다. 온수 탱크(140) 내부에 구비된 발열체(145)는 열을 발생시키며, 발열체와 접촉된 물에 열이 전달되어 물이 가열되어 압력이 상승하고 수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물을 가열하는 방법이 씨즈 히터 방식으로 설명되었으나 밴드 히터 방식으로 가열될 수도 있다. 가열된 물은 온수 출수관(143)을 통해 본체 외부에 연결된 온수 꼭지(144)에 공급되며, 온수 꼭지(144)는 온수를 외부에 공급한다. 온수 꼭지(144)를 열게 되면 수증기부터 배출되고 압력이 하강하게 되는데, 온수 탱크를 오랫동안 열지 않으면 온수 탱크의 압력은 상승하게 된다.
즉, 가열된 온수에 의해 압력이 높아지고, 높아진 압력에 의해 역류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증기 유입구(H1)을 통해 증기가 냉수 탱크(120)로 증기가 배출되고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기액 분리통(142)은 배출관(141)에 비해 면적이 넓기 때문에 온도가 상승하여 물이 팽창하고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이를 완충하는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게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관(141)과 기액 분리통(142) 설치를 통해 역류를 거의 방지할 수 있지만, 급수관(122)을 통한 역류 가능성은 여전히 상존하기 때문에 역류 방지 밸브(123)을 설치하여 급수관(122)을 통한 역류는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냉수 탱크(220), 온수 탱크(240), 제 1 배출관(252), 기액 분리통(253), 순환관(254), 수위감지부, 및 제 2 배출관(258)의 구성을 포함한다.
냉수 탱크(220), 온수 탱크(240) 및 급수관(223)으로 이루어진 기본적인 급수구조는 도 2와 동일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기액 분리통(253) 내에 수위 감지부를(255) 추가하고 순환관(254)를 추가하여 역류 방지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가열되어 평창된 물은 제 1 배출관(252)를 통해 기액 분리통(253)까지 상승한다. 온수 탱크(240)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는 온수 탱크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액 분리통(253)까지 상승한 온수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온도가 낮아져 밀도가 높아져 기액 분리통(253)의 아래 부분으로 모이게 되고 순환관(254)를 통해서 다시 온수통으로 공급된다. 즉, 제 1 배출관(252)를 통해 기액 분리통(253)으로 공급된 물은 순환관(254)를 통해서 다시 온수 탱크로 공급되는 순환 운동을 하게 된다. 효과적인 순환 운동을 위해서는 제 1 배출관(252)의 출구는 기액 분리통(255)의 중간 정도까지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구가 너무 낮게 형성되어 있으면 온수와 온도가 낮아진 물이 섞일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수위 감지부는 PP재질의 부레(255)와 상기 부레를 감싸고 부레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탈 방지부(256)을 포함한다. 상기 부레(255)는 물보다 가벼운 재질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수위 감지부는 급격한 압력 상승으로 기액 분리통의 수위가 갑자기 상승하는 경우 부레가 기액 분리통(253)의 출구를 막아 물이 냉수 탱크(220)으로 입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온수 꼭지(244)를 열면 온수가 방출되면 압력이 내려가지만 온수 꼭지(244)가 닫히는 순간 압력이 급격히 올라가고 기액 분리통(253)의 온수가 제 제 2 배출관(258)을 통해서 냉수 탱크(220)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수위 감지부(255)를 통해 압력이 갑자기 상승하는 경우에도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냉수 탱크(220), 온수 탱크(240), 제 1 배출관(252), 기액 분리통(253), 수위감지부, 및 제 2 배출관(258)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은 도 3과 동일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순환관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제 1 배출관(252) 홀(H4)를 형성하여 차가워진 물이 상기 홀(H4)을 통해 온수 탱크(240)로 입력될 수 있다.
나머지 동작은 도 3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액 분리통을 사용하지 않고 배출관(352)을 온수 배출관(343)에 연결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역시 온수 탱크(340)의 압력이 상승할 때 증기를 배출관(352)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온수 탱크(340)의 압력을 낮출 수 있고, 따라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 탱크(140)에 배출구(H3)를 형성하여 온수 탱크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1차적으로 역류를 방지하고, 배출관에 기액 분리통을 설치하여 2차적으로 역류를 방지하고, 역류방지 밸브(123)을 설치하여 3차적으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액 분리통에 수위 감지부를 형성하여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수위가 갑자기 상승하는 경우에는 기액 분리통의 출구를 차단하여 역류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역류를 방지하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기를 배출함으로서 온수 탱크의 압력을 낮출 수 있고 그 결과 온수 탱크를 완전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00: 냉온수기 110: 저수 탱크
11,111: 도수관 12,120: 냉수 탱크
13,121: 유입구 17,122: 급수관
15, 130: 냉수 탱크 지지부 14,131: 냉각 장치
16,132: 급수관 지지부 18,140: 온수 탱크
141: 배출관 142: 기액 분리통
20,143: 온수 배출관 144: 온수 꼭지
145: 발열체 21,146: 배출 파이프
19,150: 보온재 160: 본체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제 1 탱크;
    급수관이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탱크로부터 냉수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하는 제 2 탱크; 및
    상기 제 2 탱크 내의 액체가 가열되어 팽창되었을 때 제 1 탱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역류 방지 수단은
    상기 제 2 탱크의 액체가 가열되어 팽창되었을 때 발생하는 증기를 제 1 탱크로 배출하여 제 2 탱크 내의 압력을 낮추는 제 1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증기를 냉각하는 기능을 하는 기액 분리통; 및
    상기 기액 분리통과 제 1 탱크를 연결하고 기액 분리통의 증기를 제 1 탱크로 배출하는 제 2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기액 분리통에는 제 2 탱크의 압력 상승으로 수위가 기액 분리통의 상부까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 2 배출관의 입구를 막아 제 1 탱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위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액 분리통에서 냉각된 물을 상기 제 2 탱크로 공급하여 냉각된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관이 상기 제 2 탱크의 하부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관의 배출구는 기액 분리통 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관의 측면에는 냉각된 물이 입수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탱크의 냉수를 상기 제 2 탱크로 공급하는 급수관이 제 2탱크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관에는 역류방지 밸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13. 제 8항, 제10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부는 물 보다 가벼운 재질의 부레와 상기 부레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의 상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의 상기 부레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15. 삭제
  16. 삭제
KR1020110126094A 2011-11-29 2011-11-29 냉온수기 KR101177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094A KR101177499B1 (ko) 2011-11-29 2011-11-29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094A KR101177499B1 (ko) 2011-11-29 2011-11-29 냉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499B1 true KR101177499B1 (ko) 2012-08-27

Family

ID=4688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094A KR101177499B1 (ko) 2011-11-29 2011-11-29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4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949A (ko) 2013-10-04 2015-04-1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물공급장치
KR20150100326A (ko) * 2014-02-25 2015-09-02 (주)원봉 냉온수기
KR20150100329A (ko) * 2014-02-25 2015-09-02 (주)원봉 냉온수기
KR20160015486A (ko) * 2014-07-30 2016-02-15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469B1 (ko) * 2005-12-14 2007-05-10 이성근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469B1 (ko) * 2005-12-14 2007-05-10 이성근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949A (ko) 2013-10-04 2015-04-1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물공급장치
KR20150100326A (ko) * 2014-02-25 2015-09-02 (주)원봉 냉온수기
KR20150100329A (ko) * 2014-02-25 2015-09-02 (주)원봉 냉온수기
KR101598922B1 (ko) * 2014-02-25 2016-03-02 (주)원봉 냉온수기
KR101598924B1 (ko) * 2014-02-25 2016-03-14 (주)원봉 냉온수기
KR20160015486A (ko) * 2014-07-30 2016-02-15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KR102303481B1 (ko) * 2014-07-30 2021-09-24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499B1 (ko) 냉온수기
JP2013524146A (ja) 冷水タンク
KR100838668B1 (ko) 온수기
KR20120140105A (ko)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 장치
KR100943443B1 (ko) 가열조 내장 보일러
MX2013004478A (es) Calentador de agua de bomba de calor montado en base endotermica.
KR101832665B1 (ko) 순환펌프가 필요없는 자연순환 가열버너
KR20120089171A (ko) 질소탱크와 열교환기를 일체로 구비한 보일러
RU2349852C1 (ru) Гравитационная тепловая труба
US20140003801A1 (en) Water heating system
JP2009097846A (ja) 飲料用ディスペンサ
RU2529969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бойлер для содержания и нагревания жидкости и систему для содержания жидкости при более низкой температуре
KR102430160B1 (ko) 물 냉각장치
KR20110138318A (ko) 보일러 온수통
KR100976246B1 (ko) 보일러의 내부열을 이용한 온수공급장치가 구비된 저탕식 전기 보일러
JP4115079B2 (ja) 給湯器
EP3998432A1 (en) Storage tank unit
KR101332259B1 (ko)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KR200466598Y1 (ko) 전기 온수 보일러
KR200466696Y1 (ko) 냉각 및 가온 패드에 사용되는 열교환 장치
KR20120013816A (ko) 보일러
KR100833692B1 (ko) 순간식 전기보일러용 열교환기
KR102271803B1 (ko) 냉기보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풍장치
CN105934639B (zh) 流体循环式供暖装置
KR100874843B1 (ko) 증기배출이 용이한 절전형 소형 온수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