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486A - 물저장탱크 - Google Patents

물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486A
KR20160015486A KR1020140097403A KR20140097403A KR20160015486A KR 20160015486 A KR20160015486 A KR 20160015486A KR 1020140097403 A KR1020140097403 A KR 1020140097403A KR 20140097403 A KR20140097403 A KR 20140097403A KR 20160015486 A KR20160015486 A KR 20160015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water storage
storage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3481B1 (ko
Inventor
박정철
이정훈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4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66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물저장탱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는 제1탱크; 상기 제1탱크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상기 제1탱크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탱크; 및 상기 제1탱크와 제2탱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탱크와 제2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저장탱크{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2탱크가 제1탱크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며 제1탱크와 제2탱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물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물저장탱크는 물을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물저장탱크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물저장탱크에 유입된 물이 저장된다.
한편, 물저장탱크의 저장공간에 세퍼레이터가 구비되도록 하여 저장공간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예컨대, 물저장탱크의 저장공간을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영역과, 유입되어 저장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드는 냉수영역으로 나눈다. 그리고, 정수영역이 냉수영역의 위에 있도록 세퍼레이터가 저장공간에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세퍼레이터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냉수영역에는 물을 냉각하도록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 등의 냉각유닛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물저장탱크에 유입된 물은 정수영역과 세퍼레이터의 구멍을 통해 먼저 냉수영역에 저장된다. 그리고, 냉수영역에 물이 모두 채워지면 정수영역에 물이 저장된다. 따라서, 하나의 물저장탱크에 정수와 냉수를 모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정수영역의 물저장탱크는 세척이 용이하나, 냉수영역의 물저장탱크는 세퍼레이터를 분리하지 않는 한 세척할 수 없으며, 냉수영역은 정수영역보다 비교적 좁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낮았다.
또한, 세퍼레이터의 구멍을 통해 정수와 냉수가 냉수영역과 정수영역으로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정수로부터 냉수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냉수영역에 저장된 냉수의 온도가 소정의 원하는 온도보다 상승될 수 있다.
그러므로, 냉수영역의 냉수를 소정의 원하는 온도로 냉각하여 유지하는 데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어 에너지 효율이 낮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물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물저장탱크의 세척이 용이하게 하여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제2탱크가 제1탱크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탱크와 제2탱크를 모두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제1탱크와 제2탱크 사이의 열전달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제1탱크와 제2탱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제1탱크나 제2탱크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유지하는 데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절감되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물저장탱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저장탱크는 제1탱크; 제1탱크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제1탱크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탱크; 및 제1탱크와 제2탱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제1탱크와 제2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공급부는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제1탱크에 먼저 물을 공급한 후 제2탱크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부레부재를 포함하여 물의 공급이 제1탱크에서 제2탱크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공급관; 공급관에 연결되는 연결관; 및 연결관과 제2탱크에 연결되도록 제1탱크에 구비되며 부레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입관;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관은 상기 연결관과 제2탱크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부레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제1탱크에 구비되며, 연결부에 연통되고 부레부재에 의해서 개폐되는 개폐구멍이 형성된 부레이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레부재에는 개폐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고정부재에 의해서 제2탱크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과 유입관은 수직하게 배치되고 연결관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에는 제2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수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탱크에는 물을 냉각하는 냉각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유닛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탱크의 외주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탱크가 제1탱크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탱크와 제2탱크를 모두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탱크와 제2탱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탱크와 제2탱크 사이의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탱크나 제2탱크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유지하는 데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절감되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제1탱크를 제2탱크로부터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물저장탱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단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제1탱크를 제2탱크로부터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100)는 제1탱크(200), 제2탱크(300) 및, 물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탱크
제1탱크(20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물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탱크(200)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탱크(2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1탱크(200)에는 냉각유닛(210)이 구비될 수 있다. 냉각유닛(210)에 의해서 제1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냉각될 수 있다. 즉, 제1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냉수로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냉각유닛(2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일 수 있다. 그러나, 냉각유닛(21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냉각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전기가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탱크(200)의 외주에는 단열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열재(220)와 후술할 바와 같이 제1탱크(200)와 제2탱크(3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AG)에 의해서 제1탱크(200)에 저장된 물과 외부와의 열교환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1탱크(200)의 외주에 구비되는 단열재(22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탱크(200)에 저장된 물과 외부와의 열교환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2탱크
제2탱크(300)는 제1탱크(2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제1탱크(20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탱크(200), 즉 제1탱크(200)의 상부에는 제2탱크(300)가 올려질 수 있는 걸림턱(23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탱크(200)의 걸림턱(230)에 제2탱크(300)가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제2탱크(300)가 제1탱크(20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2탱크(300)가 제1탱크(20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부재에 의해서 제1탱크(20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탱크(300)가 제1탱크(200)에서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제2탱크(300) 뿐만 아니라, 제2탱크(300) 아래에 위치하는 제1탱크(200)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즉, 제2탱크(300)는 제1탱크(200)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세척하고, 제1탱크(200)는 제2탱크(3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탱크(200)와 제2탱크(300)를 모두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물저장탱크(100)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탱크(300)에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1탱크(200)와 제2탱크(300) 사이에 공기층(AG)이 형성되도록 물공급부(400)로부터 제1탱크(200)에 물이 공급된 후에 제2탱크(30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탱크(300)에도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탱크(3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물공급부
물공급부(400)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탱크(200)와 제2탱크(300) 사이에 공기층(AG)이 형성되도록 제1탱크(200)와 제2탱크(3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탱크(200)와 제2탱크(300) 사이에 열전달계수가 작은 공기층(AG)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탱크(200)와 제2탱크(300) 사이의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탱크(200)에 냉수가 저장되는 경우에, 제1탱크(200)에 저장된 냉수의 온도의 상승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탱크(200)에 저장된 냉수의 온도를 소정의 원하는 온도로 유지하는 데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절감되어 물저장탱크(100)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부(400)는 공기층(AG)이 제1탱크(200)와 제2탱크(300) 사이에 형성되도록 제1탱크(200)에 먼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탱크(3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물공급부(400)는 부레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물의 공급이 제1탱크(200)에서 제2탱크(300)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물공급부(400)에 포함되는 부레부재(410)의 형상이나 모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부력에 의해서 물에 뜰 수 있는 형상이나 모양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나 모양이라도 가능하다.
물공급부(400)는 전술한 부레부재(410) 이외에, 공급관(420), 연결관(430) 및, 유입관(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관(420), 즉 공급관(420)의 일측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급관(420)이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수도(도시되지 않음)나,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물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급관(42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공급관(420), 즉 공급관(420)의 타측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콕크 등의 물배출유닛(5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관(420)에 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물배출유닛(500)이 열리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탱크(300)에 저장된 물이 물배출유닛(5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관(42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지게 또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공급관(420)에는 제2탱크(300)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수위센서(421)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탱크(300)의 저수위와 중수위 및 만수위에 각각 해당되는 높이의 공급관(420)의 위치에 수위센서(4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탱크(30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421)가 공급관(420)에 구비되기 때문에, 제2탱크(300)를 제1탱크(20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연결관(430)은 공급관(4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430)은 공급관(420)의 대략 중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430)은 공급관(420)으로부터 분기된 분기부(422)에 구비되는 연결부재(423)에 의해서 분기부(422)에 밀봉되게 끼워져서 공급관(4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관(430)이 공급관(42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연결관(430)이 직접 공급관(420)에 끼워져서 연결되는 구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물배출유닛(50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관(420)에 물이 공급되면, 공급관(420)에 공급된 물은 연결관(430)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관(43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지게 또는 수직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유입관(440)은 연결관(430)과 제2탱크(300)에 연결되도록 제1탱크(20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부레부재(4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유입관(440)은 연결부(441)와 부레이동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관(440)의 연결부(441)는 연결관(430)과 제2탱크(300)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관(440)의 연결부(441)는 연결관(430)과 일체로 되어 연결관(4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관(440)의 연결부(441)가 연결관(43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연결관(430)에 끼워져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유입관(440)의 연결부(441)는 제2탱크(300)에 형성된 연결구멍(310)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부재(441a)에 의해서 제2탱크(330)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관(440)의 연결부(441)가 제2탱크(30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관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부레이동부(442)는 부레부재(410)가 이동가능하게 제1탱크(2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411)에 연통되고 부레부재(410)에 의해서 개폐되는 개폐구멍(44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부레부재(410)에는 개폐구멍(442a)을 개폐하는 개폐부(41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440)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수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입관(440)의 구성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탱크(200)와 제2탱크(300)에 모두 물이 채워지지 않는 경우에, 부레부재(410)는 하중에 의해서 부레이동부(442)에서 하강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부레이동부(442)의 개폐구멍(442a)은 열린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430)을 유동하여 유입관(440)에 유입된 물은 개폐구멍(442a)과 부레이동부(442)을 통해 제1탱크(200)에 유입되어 저장된다.
이후, 제1탱크(200)에 물이 차오르면, 부레부재(410)는 부레이동부(442)에서 상승한다. 그리고, 부레부재(410)의 개폐부(411)에 의해서 부레이동부(442)의 개폐구멍(442a)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히게 된다. 따라서, 유입관(440)에 유입된 물은 제1탱크(200)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탱크(200)에 모두 물이 채워지지 않고 제1탱크(200)와 제2탱크(300) 사이에 공기층(AG)이 형성될 수 있다.
부레부재(410)의 개폐부(411)에 의해서 부레이동부(442)의 개폐구멍(442a)이 닫힌 이후에, 유입관(440)에 유입된 물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41)를 통해 제2탱크(300)에 유입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공급관(420)에 구비된 수위센서(421)에 의해서 제2탱크(300)의 수위가 측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 제2탱크(30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를 사용하면, 제2탱크가 제1탱크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탱크와 제2탱크를 모두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탱크와 제2탱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탱크와 제2탱크 사이의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고, 제1탱크나 제2탱크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유지하는 데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절감되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물저장탱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물저장탱크 200 : 제1탱크
210 : 냉각유닛 220 : 단열재
230 : 걸림턱 300 : 제2탱크
310 : 연결구멍 400 : 물공급부
410 : 부레부재 411 : 개폐부
420 : 공급관 421 : 수위센서
422 : 분기부 423 : 연결부재
430 : 연결관 440 : 유입관
441 : 연결부 441a : 고정부재
442 : 부레이동부 442a : 개폐구멍
500 : 물배출유닛 AG : 공기층

Claims (12)

  1. 제1탱크;
    상기 제1탱크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상기 제1탱크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탱크; 및
    상기 제1탱크와 제2탱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탱크와 제2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탱크에 먼저 물을 공급한 후 상기 제2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물저장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부레부재를 포함하여 물의 공급이 상기 제1탱크에서 상기 제2탱크로 전환되도록 하는 물저장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과 제2탱크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탱크에 구비되며 상기 부레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입관;
    을 더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연결관과 제2탱크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부레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1탱크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에 연통되고 상기 부레부재에 의해서 개폐되는 개폐구멍이 형성된 부레이동부;
    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레부재에는 상기 개폐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되는 물저장탱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고정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2탱크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물저장탱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과 유입관은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관은 수평하게 배치되는 물저장탱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에는 상기 제2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수위센서가 구비되는 물저장탱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탱크에는 물을 냉각하는 냉각유닛이 구비되는 물저장탱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인 물저장탱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탱크의 외주에는 단열재가 구비되는 물저장탱크.
KR1020140097403A 2014-07-30 2014-07-30 물저장탱크 KR102303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403A KR102303481B1 (ko) 2014-07-30 2014-07-30 물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403A KR102303481B1 (ko) 2014-07-30 2014-07-30 물저장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486A true KR20160015486A (ko) 2016-02-15
KR102303481B1 KR102303481B1 (ko) 2021-09-24

Family

ID=5535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403A KR102303481B1 (ko) 2014-07-30 2014-07-30 물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4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47Y1 (ko) * 2002-07-22 2002-10-25 지종수 수도전 직결형 자연여과식 정수기
KR20100015220A (ko) * 2008-08-04 2010-02-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전극 수위센서가 장착된 온수탱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20076943A (ko) * 2010-12-30 2012-07-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상하 분리형 탱크구조
KR101177499B1 (ko) * 2011-11-29 2012-08-27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냉온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47Y1 (ko) * 2002-07-22 2002-10-25 지종수 수도전 직결형 자연여과식 정수기
KR20100015220A (ko) * 2008-08-04 2010-02-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전극 수위센서가 장착된 온수탱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20076943A (ko) * 2010-12-30 2012-07-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상하 분리형 탱크구조
KR101177499B1 (ko) * 2011-11-29 2012-08-27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481B1 (ko)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7374B2 (en) Cold water tank
BRPI1100342A2 (pt) dispensador de Água quente e fria
CN209517733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通信装置
CN109769371A (zh) 一种自动化机房温度自调节装置
JP2015147608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204693833U (zh) 换热水箱及热泵空调器
CN101846420A (zh) 制冷设备
KR20160015486A (ko) 물저장탱크
GB2613212A (en) Liquid-cooled battery box
CN205355557U (zh) 一种适用于船舶的智能除湿低压开关柜
CN201697408U (zh) 一种制冷设备
CN109549474A (zh) 净饮机
CN203564031U (zh) 液体快速降温装置
CN208079637U (zh) 带有水冷功能的电动汽车控制器箱
TW201309984A (zh) 飲水機
CN208564737U (zh) 一种汽车用水温感应器
CN109665480B (zh) 水处理装置
WO2016035662A1 (ja) 大容量の蓄熱槽における高温水限定供給装置
JP3112484U (ja) 熱交換器の構造
CN107883582B (zh) 一种镁棒外置的电热水器
KR200435182Y1 (ko) 온수 역류 저감 냉온수기
KR20160027722A (ko) 정수기용 온수 가열 장치
CN212429223U (zh) 循环泵测试装置
JP5761268B2 (ja) 貯湯ユニットおよび給湯装置
CN205625612U (zh) 一种全自动无千沸水的三温饮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