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160B1 - 물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물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160B1
KR102430160B1 KR1020200159137A KR20200159137A KR102430160B1 KR 102430160 B1 KR102430160 B1 KR 102430160B1 KR 1020200159137 A KR1020200159137 A KR 1020200159137A KR 20200159137 A KR20200159137 A KR 20200159137A KR 102430160 B1 KR102430160 B1 KR 102430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oling
reservoir
ic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703A (ko
Inventor
박성철
박남규
Original Assignee
박성철
박남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철, 박남규 filed Critical 박성철
Priority to KR1020200159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160B1/ko
Priority to EP21898543.0A priority patent/EP4252591A1/en
Priority to JP2023530499A priority patent/JP2023550756A/ja
Priority to PCT/KR2021/017232 priority patent/WO2022114717A1/ko
Publication of KR20220071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160B1/ko
Priority to US18/198,973 priority patent/US2023032408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봉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관체에 냉각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얼음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저장통 내부에 저장된 물이 얼음에 의해 균일하게 냉각되도록 하여 냉각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얼음의 크기 및 형상을 제한하여 얼음에 의해 물이 흐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저장통 내부 공간이 배수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격벽들에 의해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저장통 내부에 저장된 물의 대류속도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외부에서 물이 공급되었을 때 배수부와 인접한 위치의 물이 외부에서 공급된 물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저장통의 측벽과 하면에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열전도도 및 열용량이 증가되어 냉각속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저장통의 측벽 및 하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열재에 의해 외부의 열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의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저장통 내부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물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 냉각장치{Water cooling device}
본 발명은 물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저장통 내부에 설치된 냉각봉을 감싸도록 관체가 설치되어 냉각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얼음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저장통 내부에 충진된 물이 고르게 냉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얼음의 형상 및 크기를 제한하여 냉각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얼음의 형상에 의해 물의 흐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냉온수기 또는 냉수 배출기능을 갖는 정수기의 경우, 열전소자가 부착된 냉각봉이 물과 직접 접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냉각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킨다.
이때 열전소자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에 의하여 한쪽 면에서는 흡열, 다른쪽 면에서는 발열하도록 구성된 소자이다.
이러한 열전소자는 냉각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양에 비해 냉각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킬 때 장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빈번하게 물을 배출시키면 내부에 저장된 물의 냉각이 충분히 진행되지 못하기 때문에 물의 온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1472959(발명의 명칭 : 열전소자를 가지는 정수기용 유체 냉각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다.
종래기술(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10)와, 열전소자 하우징(120)과, 방열핀(130)과, 냉각유도확산봉(140)들로 이루어진다.
수조(110)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이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열전소자 하우징(120)은 수조(110)의 외면에 고정수단(121)에 의해 밀착 설치되며, 내부에 열전소자(122)가 삽입 설치된다. 이때 열전소자(122)는 발열되는 면이 방열핀(130)과 접촉되며, 흡열되는 면이 냉각유도확산봉(140)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방열핀(130)은 열전소자 하우징(120)의 일면에 밀착 설치되며, 열전소자(122)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킨다.
냉각유도확산봉(140)들은 수조(110) 내부에 설치되어 일단부가 열전소자(122)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냉매가 충진된다.
이때 냉각유도확산봉(140)들은 수조(110)의 내부에 격자 형상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열됨으로써 수조(110) 내에 저장된 물이 전체적으로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100)은 복수개의 냉각유도확산봉(140)들을 동시에 냉각시켜야 되기 때문에 열전소자(122)의 크기 또는 수량이 증가됨으로써 장비의 가격 및 유지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냉각유도확산봉(140)의 외주면에 별도의 결빙 방지 수단이 없을 뿐만 아니라. 형성된 얼음의 형상 또는 크기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 이용 시, 외주면에 형성되는 얼음에 의해 물의 흐름이 제한되어 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각봉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관체에 냉각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얼음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저장통 내부에 저장된 물이 얼음에 의해 균일하게 냉각되도록 하여 냉각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얼음의 크기 및 형상을 제한하여 얼음에 의해 물이 흐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저장통 내부 공간이 배수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격벽들에 의해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저장통 내부에 저장된 물의 대류속도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외부에서 물이 공급되었을 때 배수부와 인접한 위치의 물이 외부에서 공급된 물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저장통의 측벽과 하면에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열전도도 및 열용량이 증가되어 냉각속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저장통의 측벽 및 하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열재에 의해 외부의 열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의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저장통 내부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물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켜주는 냉각부로 이루어지는 물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단부가 상기 저장통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통 내로 돌출 설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저장통의 바닥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냉각봉; 상기 냉각봉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봉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 상부가 폐쇄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봉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관체를 포함하고, 상기 관체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판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내부공간이 상기 분할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분할되며, 냉각 시 상기 냉각수단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하부공간부터 순차적으로 얼음이 충진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관체의 외주면에는 내주면까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관체는 내벽과, 상기 내벽을 감싸는 외벽의 이중벽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봉의 내부에는 소금이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통의 내부에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들이 형성되는 격벽들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격벽들에 의해 상기 저장통의 내부 공간이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통은 측벽들과 하면의 내부에 충진되는 냉각보조물질; 상기 측벽들과 상기 하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보조물질은 아세트산 6 내지 12 중량%와, 소금 40 내지 50 중량%와, 물 40 내지 50 중량%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물 냉각장치는 상기 저장통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일단부가 상기 저장통과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을 통해 물 및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봉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관체에 냉각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얼음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저장통 내부에 저장된 물이 얼음에 의해 균일하게 냉각되도록 하여 냉각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얼음의 크기 및 형상을 제한하여 얼음에 의해 물이 흐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통 내부 공간이 배수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격벽들에 의해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저장통 내부에 저장된 물의 대류속도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외부에서 물이 공급되었을 때 배수부와 인접한 위치의 물이 외부에서 공급된 물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통의 측벽과 하면에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열전도도 및 열용량이 증가되어 냉각속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저장통의 측벽 및 하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열재에 의해 외부의 열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의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저장통 내부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까지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물 냉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장통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냉각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은 도 2의 냉각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물 냉각장치의 단면도이다.
물 냉각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와, 저장통(3), 냉각부(4), 배수부(5)로 이루어진다.
케이스(2)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저장통(3)과 냉각부(4), 배수부(5)가 설치된다.
이때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케이스(2)의 형상이 사각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케이스(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기둥,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의 일면에는 후술되는 배수관(51)이 관통되는 배수관 삽입공(21)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2의 저장통의 단면사시도이다.
저장통(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저장통(3)의 측벽 및 하면의 내부에는 냉각보조물질(31)이 충진된다.
냉각보조물질(31)은 아세트산 6 ~ 12 중량%와, 소금 40 ~ 50 중량%와, 물 40 ~ 50 중량%로 이루어진다.
이때 소금은 온도가 20℃인 물에 대한 용해도가 36g/100ml이다. 즉, 소금은 물의 용해도보다 많은 양이 투입되기 때문에 냉각보조물질(31) 내부에 소금이 석출된다.
이러한 냉각보조물질(31)은 아세트산이 물에 수용될 때, 아세트산과 물이 수소결합을 하기 때문에 열용량 및 비열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냉각보조물질(31)은 물에 용해된 소금 및 석출된 소금에 의해 열전도도가 증가하게 된다.
즉, 냉각보조물질(31)은 아세트산에 의해 열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필요한 에너지량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외부의 열이 유입되어도, 저장통(3)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냉각보조물질(31)은 내부에 포함된 소금에 의해 열전도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냉각부(4)로부터 발생된 냉기를 저장통(3) 내부에 빠르게 확산시킨다.
또한 저장통(3)의 측벽 및 하면의 외측에는 단열재(32)가 설치된다.
단열재(32)는 외부의 열이 저장통(3)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각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통(3)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격벽(33)들이 설치된다.
격벽(33)들은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저장통(3)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저장통(3)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되, 배수공(331)들이 형성됨으로써 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저장통(3)은 격벽(33)들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물이 분할되며, 배수공(331)들을 통해 대류되도록 구성되어 대류속도가 감소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외부에서 상온의 물이 공급되었을 때, 배수부(5)와 인접한 위치의 물이 외부에서 공급된 물과 섞이게 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저장통(3)은 외부에서 물이 공급되어도, 격벽(33)들에 의해 대류속도가 감소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이 외부에서 공급된 물과 섞여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냉각부(4)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배수부(5)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통(3)의 하면에는 후술되는 냉각봉(41)이 관통되는 냉각봉 관통공(34) 및 배수부 연결공(3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저장통(3)은 측벽 및 하면의 내부에 냉각보조물질(31)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증가됨으로써 저장통(3) 내부에 저장된 물을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열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물을 빠르게 냉각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도 기 설정한 저장통(3)의 내부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통(3)은 격벽(33)들에 의해 물의 대류속도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외부에서 상온의 물이 공급되었을 때에도 배수부(5)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냉각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은 도 2의 냉각부의 단면도이다.
냉각부(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봉(41)과, 방열판 구조체(42), 냉각팬(43), 관체(44)로 이루어진다.
냉각봉(41)은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펠티어소자(411)가 부착된다.
펠티어소자(411)는 전류가 흐를 때, 일면이 냉각되되, 타면이 가열되는 원리로 작동되는 소자이다.
이러한 펠티어소자(411)는 일면이 냉각봉(41)의 하면에 부착되어 냉각봉(41)을 냉각시키며, 타면이 방열판 구조체(42)의 상면에 부착됨으로써 방열판 구조체(42)를 가열시킨다.
또한 냉각봉(41)의 내부에는 소금(S)이 충진된다.
소금(S)은 낮은 열전도도를 가지기 때문에 펠티어소자(411)로부터 발생한 냉기에 의해 빠르게 냉각될 뿐만 아니라 펠티어소자(411)로부터 발생한 냉기를 머금게 된다.
이러한 냉각봉(41)은 내부에 소금(S)이 충진됨으로써 냉각효율이 증가하여 외부(즉, 케이스의 외부)의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도 저장통(3) 내부의 온도를 기 설정해놓은 온도까지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방열판 구조체(42)는 상면에 펠티어소자(411)가 부착되는 평판 형상의 방열프레임(421)과, 방열프레임(421)의 하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평판 형상의 방열판(422)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열판 구조체(42)는 방열프레임(421)을 통해 펠티어소자(411)로부터 발생한 열기를 전달받으며, 방열판(422)들을 통해 대기 중으로 열기를 방출한다.
냉각팬(43)은 방열판 구조체(42)의 하부에 설치되며, 방열판 구조체(42)를 냉각시켜줌으로써 펠티어소자(411)의 열기를 더욱 빠르게 외부로 배출되어 냉각봉(41)의 냉각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관체(44)는 상부가 폐쇄된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벽(441)과 외벽(442)으로 이루어진 이중벽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관체(44)의 내부에는 제1 분할판(443)과 제2 분할판(444)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관체(44)는 내벽(441)과 외벽(442), 분할판(443), (444)들에 복수개의 관통공(445)들이 형성됨으로써 물이 내외부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관체(44)는 내벽(441)이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냉각봉(41)으로부터 방출된 냉기에 의해 빠르게 냉각되어 온도가 낮아지게 되며, 외벽(442)이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구성되어 내벽(44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갖게 된다.
이러한 관체(44)는 내부공간이 제1 분할판(443)과 제2 분할판(444)에 의해 분리되도록 구성되되, 관통공(445)들에 의해 물이 각 공간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저장통(3)과 제1 분할판(44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A영역, 제1 분할판(443)과 제2 분할판(44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B영역, 제2 분할판(444)과 관체(44)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C영역이라고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A영역은 펠티어소자(411)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저장통(3) 내부에서 가장 빠르게 온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A영역은 A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냉각봉(41), 내벽(441) 및 제1 분할판(443)을 기준으로 얼음이 형성되며,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A영역 전체가 얼음으로 충진된다.
B영역은 A영역보다 펠티어소자(411)로부터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A영역보다 얼음의 형성이 더 늦게 시작되되, A영역과 인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A영역 및 냉각봉(41)으로부터 전달받은 냉기로 인하여 내부에 얼음이 형성되며,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B영역 전체가 얼음으로 충진된다.
C영역은 A영역 및 B영역보다 펠티어소자(411)로부터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A영역과 B영역보다 얼음의 형성이 더 늦게 시작되되, C영역 및 냉각봉(41)으로부터 전달받은 냉기로 인하여 내부에 얼음이 형성되며,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C영역 전체가 얼음으로 충진된다.
즉, 관체(44)는 냉각 시, A영역, B영역, C영역에 순차적으로 얼음이 형성 및 충진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벽(442)에 얼음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부 공간에 얼음이 충진되도록 유도된다.
이때 저장통(3) 내부에 저장된 물은 관체(44)의 내부에 형성된 얼음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기 때문에 냉각속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 균일하게 냉각이 이루진다.
또한 저장통(3) 내부에 저장된 물은 관체(44)에 형성된 관통공(445)들에 의해 얼음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얼음의 냉기를 직접적으로 전달받아 냉각속도가 증가된다.
이러한 관체(44)는 내부 공간(A영역, B영역, C영역)에 얼음이 충진되어 얼음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펠티어소자(411)와 인접한 저장통(3)의 하부뿐만 아니라 상부에 위치하는 물도 함께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저장통(3) 내부에 저장된 물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저장통(3) 내부에 저장된 물을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관체(44)는 냉각봉(4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얼음의 형태 및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얼음에 의해 배수부(5)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수부(5)는 배수관(51)과, 코크(52)로 이루어진다.
배수관(51)은 일단부가 저장통(3)과 연결되며, 타단부가 케이스(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배수관(51)의 타단부에는 코크(52)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코크(52) 조작을 통해 저장통(3)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배수관(51)의 내부에는 역류방지밸브(511)가 설치된다.
역류방지밸브(511)는 저장통(3)과 배수관(51)의 연결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코크(52)가 조작되었을 때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외부로 배출된 물 또는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역류방지밸브(511)는 배수관(51)을 통해 역류되는 공기 또는 물에 의해 저장통(3)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물 냉각장치(1)는 냉각봉(41)을 감싸도록 설치된 관체(44)에 의해 얼음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관체(44)에 의해 얼음의 형상이 제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얼음에 의해 저장통(3) 내부의 물이 균일하게 냉각됨과 동시에 냉각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물 냉각장치(1)는 저장통(3)의 내부에 복수개의 격벽(33)들이 설치되어 물의 대류속도가 감소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외부에서 물이 공급되었을 때, 공급되는 물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통(3)의 측벽과 하면 내부에 충진된 냉각보조물질(31) 및 단열재(32)에 의해 냉각부(4)로부터 방출된 냉기가 저장통(3) 내부에 머물도록 구성됨으로써 냉각효율이 증가된다..
이러한 물 냉각장치(1)는 외부의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복수개의 펠티어소자(411)를 설치하지 않은 채 저장통(3) 내부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까지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작비용 및 유지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1 : 물 냉각장치 2 : 케이스
21 : 배수관 삽입공 3 : 저장통
31 : 냉각보조물질 32 : 단열재
33 : 격벽 4 : 냉각부
41 : 냉각봉 42 : 방열판 구조체
43 : 냉각팬 44 : 관체
5 : 배수부 51 : 배수관
52 : 코크

Claims (9)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켜주는 냉각부로 이루어지는 물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단부가 상기 저장통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통 내로 돌출 설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저장통의 바닥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냉각봉;
    상기 냉각봉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봉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
    상부가 폐쇄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봉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관체를 포함하고,
    상기 관체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판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내부공간이 상기 분할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분할되며, 냉각 시 상기 냉각수단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하부공간부터 순차적으로 얼음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의 외주면에는
    내주면까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내벽과, 상기 내벽을 감싸는 외벽의 이중벽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봉의 내부에는 소금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의 내부에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들이 형성되는 격벽들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격벽들에 의해 상기 저장통의 내부 공간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은
    측벽들과 하면의 내부에 충진되는 냉각보조물질;
    상기 측벽들과 상기 하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보조물질은
    아세트산 6 내지 12 중량%와, 소금 40 내지 50 중량%와, 물 40 내지 50 중량%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 냉각장치는
    상기 저장통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일단부가 상기 저장통과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을 통해 물 및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냉각장치.
KR1020200159137A 2020-11-24 2020-11-24 물 냉각장치 KR102430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137A KR102430160B1 (ko) 2020-11-24 2020-11-24 물 냉각장치
EP21898543.0A EP4252591A1 (en) 2020-11-24 2021-11-23 Cooling apparatus having increased cooling efficiency
JP2023530499A JP2023550756A (ja) 2020-11-24 2021-11-23 冷却効率が増加された冷却装置
PCT/KR2021/017232 WO2022114717A1 (ko) 2020-11-24 2021-11-23 냉각효율이 증가된 냉각장치
US18/198,973 US20230324089A1 (en) 2020-11-24 2023-05-18 Cooling apparatus having increased cooling effici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137A KR102430160B1 (ko) 2020-11-24 2020-11-24 물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703A KR20220071703A (ko) 2022-05-31
KR102430160B1 true KR102430160B1 (ko) 2022-08-08

Family

ID=8177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137A KR102430160B1 (ko) 2020-11-24 2020-11-24 물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42571B (zh) * 2022-06-30 2023-08-04 河北工程大学 一种温度可调的冰温贮藏保温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983Y1 (ko) 2002-02-09 2002-05-09 김학수 냉온 유지를 위한 중 용량 용기
KR200308277Y1 (ko) 2002-12-24 2003-03-26 김대운 수중대류 촉진형 냉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259B1 (ko) * 2011-08-12 2013-11-25 주식회사 한일월드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KR20140008740A (ko) * 2012-07-11 2014-01-22 박성철 곡물냉장고
KR101458106B1 (ko) * 2012-09-27 2014-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냉수조
KR101439831B1 (ko) * 2012-10-30 2014-09-15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KR200492764Y1 (ko) * 2018-11-16 2020-12-07 김기용 음료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983Y1 (ko) 2002-02-09 2002-05-09 김학수 냉온 유지를 위한 중 용량 용기
KR200308277Y1 (ko) 2002-12-24 2003-03-26 김대운 수중대류 촉진형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703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136335A (ja) 冷却装置、冷却システム及び冷却方法
KR102430160B1 (ko) 물 냉각장치
CN210892353U (zh) 一种液体速冷装置
US5316872A (en) Passive cooling system
CN116931698B (zh) 一体式液冷散热器
KR20170097057A (ko) 냉각기
CN210892251U (zh) 一种液体速冷装置
KR101177499B1 (ko) 냉온수기
KR20180003173A (ko) 수조 온도조절용 냉각기
JPH04327779A (ja) セパレート形冷蔵庫
EP4252591A1 (en) Cooling apparatus having increased cooling efficiency
KR102051673B1 (ko) 수처리 장치의 냉수 저장 장치
RU2275764C1 (ru) Тепловая трубка с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циркуляцией жидкости и тепловая трубка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ноутбуков
KR100605484B1 (ko) 응축부가 수용된 티디-피씨엠 축냉 모듈을 구비한 루프형히트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냉각장치
KR101192904B1 (ko) 공기를 이용한 항온 유지 장치
CN212300055U (zh) 散热器及热泵采暖系统
JP2004076422A (ja) 温水ダム
CN214589819U (zh) —种配电开关控制设备
EA027519B1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для системы обогрева рельсов
CN100356555C (zh) 散热器
CN220823620U (zh) 一种恒温隔热的用电箱
CN219037295U (zh) 冰箱
KR101577025B1 (ko) 관상어 또는 활어수조의 사육수온조절 장치
KR0130955Y1 (ko) 냉수기의 전도체
RU2140047C1 (ru) Охладитель питьевой во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