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955Y1 - 냉수기의 전도체 - Google Patents

냉수기의 전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955Y1
KR0130955Y1 KR2019940035622U KR19940035622U KR0130955Y1 KR 0130955 Y1 KR0130955 Y1 KR 0130955Y1 KR 2019940035622 U KR2019940035622 U KR 2019940035622U KR 19940035622 U KR19940035622 U KR 19940035622U KR 0130955 Y1 KR0130955 Y1 KR 0130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heat
water
thermoelectric element
heat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5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977U (ko
Inventor
강원선
Original Assignee
강원선
가산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선, 가산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원선
Priority to KR2019940035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955Y1/ko
Publication of KR9600199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9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9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전소자(TEC module)를 이용한 냉수기의 전도체에 관한 것으로, 냉수통(10)의 물로 부터 열을 흡수하여 열전소자(18)에 전달해주게된 냉수기의 전도체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10)의 내부에 돌출 설치되어 물로 부터 열을 흡수하게 된 흡열수단(20)과, 상기 흡열수단(20)을 냉수통(10)의 저면에 고정시켜주고 열전소자(18)로 열을 전달해주게 된 고정지지수단(30) 및, 상기 흡열수단(20)과 고정지지수단(30)을 서로 체결시켜 줄 뿐아니라 물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차단해주게 된 체결수단(40)으로 구성되어, 열전소자와 접속된 고정지지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냉수기안의 물로 부터 열을 흡수하게 된 흡열부가 냉수기의 내부에 돌출성형되어 물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므로써 흡열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냉수기안의 물이 원활하게 대류할 수 있게 되어 냉각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며 냉각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수기의 전도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체를 사용한 냉수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전도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냉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수통 12 : 단열재
14 : 물통 16 : 냉수취출구
18 : 열전소자 20 : 흡열수단
21 : 몸체 22 : 나사홈
23 : 보울트 24 : 날개
25 : 구멍 26 : 나사탭
30 : 고정지지수단 31 : 사각형 몸체
32 : 보울트 33 : 나사홈
40 : 체결수단 41 : 0-링
50 : 배플 52 : 지지봉
100 : 냉수통 102 : 축봉
104 : 배플(baffle) 106 : 전도체
108 : 방열판 110 : 열전소자
본 고안은 냉수기의 전도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수기의 냉각능력을 향상시키기위해 그 구조를 개선하고, 또한 내부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리가능한 구조로 된 냉수기의 전도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온도범위에서 온도를 자유로이 설정하고, 이 설정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냉수기는, 프레온가스 또는 암모니아와 같은 냉매를 컴프레서에 의해 강제 순환시켜 냉각시키는 압축냉각방식과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자냉각방식으로 구분되는 데, 압축냉각방식은 사용되는 냉매제가 환경오염을 야기할 뿐아니라 동작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으로 인해 전자냉각방식이 점차 많이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전자냉각방식에 따른 종래의 냉수기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로 둘러쌓여 냉수를 저장하게 된 냉수통(100)과, 이 냉수통 중심부에 소정의 높이로 축봉(102)에 의해 지지되는 배플(104), 상기 냉수통(100)의 하단부에 흡열면이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냉수통으로 부터 열을 흡수하도록 된 전도체(106) 및, 상기 전도체(106)로 부터 열을 흡수하여 하부에 구비된 방열판(108)으로 외부에 열을 방출하게 된 열전소자(110)로 구성된 것으로, 열전소자(108)를 구동시키게 되면 전도체(106)를 통해 냉수통(100)안에 저장된 냉수로 부터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시켜 주므로써 냉수를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켜 주게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냉수기에서 사용된 전도체(106)가 절두원추형상으로 상부면이 냉수통(100)의 저면에 접촉되어 내부의 열을 흡수하게 된 것으로, 냉수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냉수통을 통해 접촉될 뿐아니라 그 접촉면적이 좁아 충분히 열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냉각속도 및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밀도가 높은 물은 저면으로 하강하고 밀도가 높은 물은 상승하게 되는 물의 대류는 물의 온도에 따른 밀도차에 의해 일어나게 되는 데, 물은 4oC에서 가장 밀도가 높고 온도가 증가하면 밀도는 떨어지게 되므로 종래의 냉수기와 같이 저면에 냉각수단이 위치하게 되면 냉각되어 밀도가 높아진 물이 계속 저면에 정체하고 대류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냉수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수통내의 냉수로 부터 보다 효율적으로 열을 흡수할 수 있어 냉각속도 및 냉각효율을 향상시켜줄 뿐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 냉수기의 전도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냉수기의 전도체는, 냉수기의 내부에 돌출설치되어 냉수로 부터 열을 흡수하게 된 흡열수단과, 상기 흡열수단을 냉수기의 저면에 고정시켜주고 열전소자로 열을 전달해주게 된 고정지지수단 및, 상기 흡열수단과 고정지지수단을 서로 체결시켜 줄 뿐아니라 냉수를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차단해주게 된 체결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을 열전소자와 접속된 고정지지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냉수기안의 물로 부터 열을 흡수하게 된 흡열부가 냉수기의 내부에 돌출성형되어 물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므로써 흡열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냉수기안의 물이 원활하게 대류할 수 있게 되어 냉각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며 냉각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도체를 사용한 냉수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물을 저장하는 냉수통(10)이 단열재(12)로 둘러쌓여 외부와 열차단되어 있고, 냉수통(10)의 상부에는 물을 공급하여주는 물통(14)이 위치하며, 냉수통(10)의 일측면에는 냉수취출구(16)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냉수통(10)의 하부에는 냉수기 내부의 물을 냉각시켜 주기위한 열전소자(18)가 위치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수통(10)의 물로 부터 열을 흡수하여 상기 열전소자(18)에 전달해 주게 되는 전도체는, 냉수통(10)의 내부에 돌출 설치되어 물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된 흡열수단(20)과, 상기 흡열수단(20)을 냉수기의 저면에 고정시켜주고 열전소자로 열을 전달해주게 된 고정지지수단(30) 및, 상기 흡열수단(20)과 고정지지수단(30)을 서로 체결시켜 줄 뿐아니라 물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차단해주게 된 체결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흡열수단(20)은 원기둥형상의 몸체(21)로 이루어져있고, 상단부에는 배플(50)의 지지봉(52)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홈(22)이 형성되며, 그 하단부는 보울트(23)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지지수단(30)에 나사결합 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흡열수단(20)의 몸체(21)에 다수개의 날개(24a,24b)가 형성되고, 이 들 날개(24)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구멍(25)이 구비되어 있어, 물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넓히므로써 냉각속도를 가능한 한 빠르게 하고, 냉각되어 밀도가 커진 물은 상기 구멍(25)을 통해 하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고정지지수단(30)은 냉수통(10)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삽입하여 흡열수단(20)의 하단부에 구비된 보울트(23)와 결합되므로써 흡열수단(20)을 고정지지하여 줄 뿐아니라 흡열수단(20)으로 부터 열전소자(18)에 열을 전달하여 주게 된 것으로, 하부에 사각형몸체(31)를 이루고, 그 상단부에 보울트(32)가 형성되며, 이 보울트(32)의 상단 중앙에 나사홈(33)이 구비되어져 상기 흡열수단(20)의 보울트(23)가 나사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지지수단(30)이 냉수통(10)의 저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흡열수단(20)의 하단부에 형성된 보울트(23)가 고정지지수단(30)의 나사홈(33)에 나사결합되어지면, 체결수단(40)이 상기 흡열수단(20)의 몸체 하부에 형성된 나사탭(26)과 상기 고정지지수단(30)의 보울트(32)에 동시에 나사결합되어 체결해주므로써 상기 흡열수단(20)과 고정지지수단(30)이 서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체결해주게 되며, 상기 체결수단(40)의 하단부에 소정의 0링(41)이 원형의 채널(42)에 삽입되어져 물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다.
또한, 열전소자(18)는 열을 흡수하는 흡열면과 열을 방출하는 방열면으로 구성되어, 이 흡열면이 상기 고정지지수단(30)의 사각형 몸체(31)의 하단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흡열수단(20), 고정지지수단(30) 및 체결수단(40)은 열전도성이 좋은 물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부식이 잘되지 않고, 열전도도가 우수하며, 무게도 가벼운 알루미늄재질이 바람직하고, 0-링은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재질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냉수기의 상부에 물통(14)을 얹어 놓으면 생수가 바로 냉수통(10)으로 이동되어 냉수통(10)에 소정의 높이까지 생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온도설정 스위치를 조작하여 소정의 온도(통상으로 0에서 10사이의 온도)로 설정하고 전원스위치를 켜면 열전소자(18)의 흡열면은 냉수통(10)으로 부터 열을 흡수하여 방열판에서 외부로 열을 방출함으로써 설정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흡열수단(20)이 냉수통(10)의 내부로 돌출성형되고, 이 돌출성형된 몸체(21)에 다수개의 날개부(24)가 형성되어져 물로 부터 열을 흡수하는 면적이 넓게 되어 냉각속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날개부(24)에 다수개의 구멍(25)이 형성되어져, 냉각되어 밀도가 증가된 물이 하강하므로써 물의 대류를 원활하게 해주고, 또한 냉수통(10) 내부의 물때를 청소하기 위해 흡열수단(20)을 고정지지수단(3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구멍(25)에 막대기나 젓가락 등을 삽입하여 회전하므로써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지지수단(30)의 하부는 열전소자(18)와 같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냉수통에 형성된 사각홈속에 삽입되어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흡열수단( 고정, 분리를 위해 회전시 고정지지수단(30)이 같이 회전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흡열수단이 냉수기의 내부에 돌출성형되어 물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므로써 흡열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냉수기안의 물이 원활하게 대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냉각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며 냉각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냉수통(10)의 물로 부터 열을 흡수하여 열전소자(18)에 전달해주게 된 냉수기의 전도체에 있어서,상단부에 배플(50)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나사홈(22)이 구비되고, 몸체에 다수개의 구멍(25)이 구비된 다수개의 날개(24)가 수평하게 형성되는 한편, 하단부에 보울트(23)가 형성되어 냉수통(10)의 내부에 돌출고정되므로써 물로 부터 열을 흡수하게 된 흡열수단(20)과;사각형 몸체(31)의 상부에 보울트(32)가 형성되고 이 보울트(32)의 상단부에 나사홈(33)이 구비되어 상기 흡열수단(20)을 냉수통(10)의 저면에 고정시켜줄 뿐아니라 상기 흡열수단(20)으로 부터 열전소자(18)로 열을 전달해주게 된 고정지지수단(30) 및,상기 흡열수단(20)과 고정지지수단(30)을 서로 체결시켜 주고 0 -링(41)이 하단부에 구비되어 물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차단해주게 된 체결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기의 전도체.
KR2019940035622U 1994-12-24 1994-12-24 냉수기의 전도체 KR0130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622U KR0130955Y1 (ko) 1994-12-24 1994-12-24 냉수기의 전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622U KR0130955Y1 (ko) 1994-12-24 1994-12-24 냉수기의 전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977U KR960019977U (ko) 1996-07-18
KR0130955Y1 true KR0130955Y1 (ko) 1999-01-15

Family

ID=1940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5622U KR0130955Y1 (ko) 1994-12-24 1994-12-24 냉수기의 전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9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492B1 (ko) * 2007-01-15 2008-04-14 이진영 음용수 냉각기
KR101458106B1 (ko) * 2012-09-27 2014-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냉수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492B1 (ko) * 2007-01-15 2008-04-14 이진영 음용수 냉각기
KR101458106B1 (ko) * 2012-09-27 2014-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냉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977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3319A (en) Thermoelectric refrigerator with evaporating/condensing heat exchanger
US5367879A (en) Modular thermoelectric assembly
US5619856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cooled and heated liquids
RU2092753C1 (ru) Холодильный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блок
KR20040052214A (ko) 열교환기 어셈블리와 열교환기 매니폴드
JPH09184695A (ja) ヒートパイプを使用しての包囲体の受動的冷却
JPH05118725A (ja) ワイン等の冷却器
US20020189791A1 (en) Liquid circulation cooler
KR0130955Y1 (ko) 냉수기의 전도체
EP2167888A1 (en) Condenser heatsink
JPH0791796A (ja) 電子冷凍式冷蔵庫
JPH0821679A (ja) 電子冷凍式飲料水冷却装置
JP6054661B2 (ja) 冷却装置、冷却システム、及び冷却加熱システム
KR102430160B1 (ko) 물 냉각장치
US4296613A (en) Absorption refrigerator
JPH0712421A (ja) 冷却装置
US4884627A (en) Omni-directional heat pipe
KR200308277Y1 (ko) 수중대류 촉진형 냉각장치
US5343717A (en) Refrigerator with intermittently working sorption refrigerating apparatus
JPH08205999A (ja) 冷温水器
RU2180421C2 (ru) Осушитель воздуха герметичных отсеков космических аппаратов
SU84495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огоОХлАждЕНи
RU2140047C1 (ru) Охладитель питьевой воды
KR0138831B1 (ko) 정수기의 정수 냉각 공급장치
JPH05168556A (ja) 電子冷却式ポ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