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967Y1 - 역류방지용 컵뚜껑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용 컵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967Y1
KR200263967Y1 KR2020010035677U KR20010035677U KR200263967Y1 KR 200263967 Y1 KR200263967 Y1 KR 200263967Y1 KR 2020010035677 U KR2020010035677 U KR 2020010035677U KR 20010035677 U KR20010035677 U KR 20010035677U KR 200263967 Y1 KR200263967 Y1 KR 200263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d
present
dispos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광섭
Original Assignee
홍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광섭 filed Critical 홍광섭
Priority to KR2020010035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9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967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내부의 내용물이 역류되지 않도록한 역류방지용 컵뚜껑에 관한 것으로, 뚜껑이 컵상부내측벽에 접치되도록 하여 종이 컵이 이완되어도 뚜껑이 벗어나지 않도록하며 컵 내에 수납된 음료수가 뚜껑 사이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뚜껑(10)의 외주면에서 중심부로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중심부에는 절개부(14)를 형성함으로써, 담배꽁초등을 쉽게 버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역류방지용 컵뚜껑{disposable cap of a cup}
본 고안은 역류방지용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특히 승용차내에서 마시다 만 컵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담배 꽁초나 껌등을 용이하게 버릴수 있도록 한 역류방지용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컵뚜껑이 있으나 뚜껑이 평면상으로 유지되고 컵의 상주연 외부에 결합고정되게 구성한 것이므로 습기에 젖은 컵이 쉽게 변형되거나, 컵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넘어지면 뚜껑이 벗겨져 내용물이 쏟아지며 담배꽁초등을 쉽게 버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특히종이컵에 사용되는 뚜껑이 컵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으며,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먹다 남은 내용물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뚜껑의 단면이 ∨자형으로 구성하여 손이 부자연 스러운 상태의 운전중에도 담배꽁초,껌,등을 용이하게 투여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단면을 ∨형으로 구성하되 중앙하부에는 절개부를 구성하여 개폐되도록하고 외주연이 컵 상부 내측벽에 밀접되도록 구성한 역류방지용 컵뚜껑을 제공한다.
∨형 뚜껑은 평면지재를 재단하여 단면이 ∨형 뚜껑을 얻을 수 있고 얇은 박판의 플라스틱재를 성형하여 얻을 수 있다.
뚜껑의 주연은 컵상부내측벽에 밀착되도록 일부 절곡부를 형성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주연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컵 상부 내측벽에 밀착되도록 구성 할 수 도 있다.
상기 역류방지용 컵 뚜껑은 먹다 남은 커피나 기타 음료가 있을 경우나 빈컵등의 상부내측벽에 삽지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단면이 ∨형으로 이루고 있으므로 담배꽁초나,껌 또는 침등을 용이하게 버릴 수 있으며, 중앙의 절개부는 평상시 재질의 특성상 자동 폐구되어 있다가 담배꽁초등을 강제투입하면 개구되어 투입되므로 한번 투입된 음료나 담배꽁초등은 물론 남은 음료가 심한 요동에도 비산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의한 일회용 뚜껑을 펼친 상태의 평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의한 일회용 뚜껑을 펼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뚜껑을 종이컵 등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뚜껑을 종이컵 등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일회용 종이컵 10: 뚜껑
11: 접촉면 11a: 절곡선
12: 접착제 13: 보호띠
14: 절개부 15: 경사면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뚜껑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 뚜껑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뚜껑을 종이컵 등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뚜껑을 종이컵 등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뚜껑(10)은, 공지의 규격화된 일회용 종이컵의 상단부 지름과 동일한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형의 뚜껑으로서, 그 외주면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15)을 갖는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10)의 배면과 컵(1)의 상단부가 연접하는 접촉면(11)에는 접착제(12)가 도포되어 보호띠(13)가 씌워지며, 뚜껑의 중앙부에는 방사상으로 절개된 절개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일회용 컵 뚜껑은 종이컵과 함께 공급할 수 있으며, 조립된 상태에서는 그 부피가 커져 배포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므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배포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이를 깔대기 형상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일회용 뚜껑은 컵과 함께 버릴 수 있는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주목적이 있으므로 제조단가의 절감 및 폐기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코팅 처리된 종이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16은 펼친 상태를 깔대기 형상으로 완성할때 대응면에 접착할 수 있는 접착면을 표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컵(1)과 접촉하는 뚜껑(10)의 접촉면(11)을 보다 넓게 확보하도록 한 것으로서, 뚜껑(10)의 외주연 부분에 절곡선(11a)을 부여하여 이부분이 절곡되게 하므로서 컵 상단부 내면에 접촉되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컵과 뚜껑과의 접촉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보관 및 배포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도 2b에서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직접 접어서 사용하게 할 수 있다.절곡선(11a)은 점선의 구멍이나 압지요구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일회용 뚜껑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뚜껑을 말아서 대응되는 면끼리 접착하여 깔대기 모양으로 만든 후, 그 배면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보호띠(13)를 벗겨내고 종이컵 상부에 재치시켜 컵에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컵이 기울어지거나 심하게 요동치게 되는 경우에도 내부의 액체가 뚜껑(10) 밖으로 튀어나오거나 뚜껑(10)과 컵(1) 사이로 새어나올 수가 없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회용 뚜껑은 접착부 보호띠(13)를 벗겨내고 일회용 컵(1)의 상단부 내주면에 간단히 눌러주기만 함으로써 컵 내부의 음료수가 튀겨져 나오는 문제를 방지한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본 고안은 특히, 뚜껑의 중심이 외주면보다 낮도록 경사면(15)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뚜껑을 벗겨내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용물을 쉽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물이나 음료 등을 쉽게 채워 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 중에도 담배 재 또는 꽁초를 쉽게 털 수 있는 재떨이로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음료수가 담겨있는 종이컵에서도 뚜껑이 벗겨지지 않으며 담배꽁초나 껌등을 용이하게 버릴수 있고 컵이 심하게 흔들리드라도 내용물이 비산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회용 컵 뚜껑 상면에는 각종 광고나 홍보표시를 할 수 있으므로 일회성 판촉물로 활용할 수도 있는 광범위 한 실용성을 가진 고안이다.

Claims (2)

  1. 공지의 규격화된 일회용 종이컵의 상단부 지름과 동일한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형의 뚜껑으로서, 그 외주면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15)을 갖는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의 배면과 컵(1)의 상단부가 연접하는 접촉면(11)에는 접착제(12)가 도포되어 보호띠(13)가 씌워진 구성되며, 뚜껑의 중앙부에는 방사상으로 일정 길이로 절개된 절개부(1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컵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12)은 상기 경사면(15)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꺾여져 형성되도록 절곡선(11a)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접촉면(12)이 공지규격의 종이컵 상부 내벽면에 면(面)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컵뚜껑.
KR2020010035677U 2001-11-20 2001-11-20 역류방지용 컵뚜껑 KR200263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677U KR200263967Y1 (ko) 2001-11-20 2001-11-20 역류방지용 컵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677U KR200263967Y1 (ko) 2001-11-20 2001-11-20 역류방지용 컵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967Y1 true KR200263967Y1 (ko) 2002-02-19

Family

ID=7307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677U KR200263967Y1 (ko) 2001-11-20 2001-11-20 역류방지용 컵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96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362B1 (ko) * 2010-01-25 2012-01-03 손강현 덮개를 구비한 일회용 컵
KR101332259B1 (ko) 2011-08-12 2013-11-25 주식회사 한일월드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KR102015654B1 (ko) * 2018-06-07 2019-08-28 정지우 병 용기와 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때 사용되는 필름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362B1 (ko) * 2010-01-25 2012-01-03 손강현 덮개를 구비한 일회용 컵
KR101332259B1 (ko) 2011-08-12 2013-11-25 주식회사 한일월드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KR102015654B1 (ko) * 2018-06-07 2019-08-28 정지우 병 용기와 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때 사용되는 필름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6774A (en) Removable and resealable lid for a container
US7175042B2 (en) Disposable cup lid with reclosable and resealable condiment tab
US8276783B2 (en)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JP2014500832A (ja) 取り外し可能な底部を有するボトル
WO2006089169A2 (en) Beverage container or container lid with drinking straw
KR200263967Y1 (ko) 역류방지용 컵뚜껑
AU604770B2 (en) Container
KR200185040Y1 (ko) 빨대가 부착된 컵
KR102146805B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 컵
WO2021206777A1 (en) Beverage container and shaker combination
EP1228981A1 (fr) Recipient muni d&#39;un dispositif d&#39;extraction automatique d&#39;une paille
JPH08113261A (ja) 容器用蓋部材
KR200317779Y1 (ko) 공기 유입 요철부를 갖는 빨대
US11840384B2 (en) Container closure system
KR100637594B1 (ko) 포장용 캔
JP2004182277A (ja) 容器の注出装置及び注出装置用キャップ
TWI389823B (zh) 可撓式蓋子及具有其之容器
KR200179959Y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200406456Y1 (ko) 액체용기 부착형 일회용 컵
JP2000109107A (ja) 缶用キャップ
KR200383997Y1 (ko) 용기의 진공압축 밀폐뚜껑
KR200289155Y1 (ko)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KR930001621Y1 (ko) 휴대용 컵
JPS62168873A (ja) ストロ−内蔵液体飲料容器
FR2625177A1 (fr) Boite a boisson avec tet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