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954B1 -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954B1
KR102592954B1 KR1020230000098A KR20230000098A KR102592954B1 KR 102592954 B1 KR102592954 B1 KR 102592954B1 KR 1020230000098 A KR1020230000098 A KR 1020230000098A KR 20230000098 A KR20230000098 A KR 20230000098A KR 102592954 B1 KR102592954 B1 KR 102592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ixture
present disclosur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만기
Original Assignee
황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만기 filed Critical 황만기
Priority to KR102023000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954B1/ko
Priority to KR1020230139661A priority patent/KR102614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2Burseraceae (Frankincens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2Burseraceae (Frankincense family)
    • A61K36/328Commiphora, e.g. mecca myrrh or balm of Gil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4Codonop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혼합해서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 혼합물을 건조해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및 분말을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COMPOSITION PROMOTING BONE DENSITY IMPROVING}
본 개시는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해서 체내 여성호르몬의 부족을 보완하고, 흡수율을 높여서 골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에 따라 골다공증이나 골절 혹은 요통 등의 여러 가지 뼈에 관련된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칼슘의 섭취 부족이나 칼슘 흡수 능력의 저하, 폐경 후의 호르몬 불균형 등의 원인으로 골질환 발생율이 증가하고 있다.
골다공증이나 골절, 요통 등의 여러 가지 골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골아세포에 의한 골형성을 촉진하여 체내의 골량을 증가시키거나,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억제하는 방법 등이 있다. 특히, 뼈는 균형이 잡힌 흡수와 형성을 끊임없이 반복하고 있지만, 폐경 후의 호르몬 밸런스의 변화 등에 의해 골흡수가 골형성을 상회하게 되면 골다공증이나 골절, 요통 등의 여러 가지 골질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원인으로부터 뼈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탄산칼슘이나 인산칼슘, 젖산칼슘 등의 칼슘염 및 유청 칼슘이나 우골분(牛骨粉), 난각(卵殼) 등의 천연 칼슘제를, 각각 단독으로 의약품이나 음식품, 사료 등에 첨가해서 섭취하거나, 칼슘제를 카제인 포스포펩티드나 올리고당 등의 칼슘 흡수 촉진 효과를 갖는 물질과 함께 의약품이나 음식품, 사료 등에 첨가해서 섭취한다.
그러나, 이들 칼슘염이나 천연 칼슘제를 음식품에 첨가한 것을 섭취한 경우의 칼슘의 흡수율은 50% 이하로서, 대부분의 칼슘은 흡수되지 않고 체외로 배출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체내에 흡수된 칼슘이라도, 그 형태나 동시에 섭취되는 다른 영양 성분의 종류에 따라 뼈에 대한 친화성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골대사의 개선이나 골강화의 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밖에 여성 호르몬 제제나 활성형 비타민 D3 제제, 비타민 K2 제제,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칼시토닌 제제 등이 알려져 있고, 항RANKL 항체 등의 신약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의약품을 이용한 경우에 이명(耳鳴), 두통, 식욕부진 등의 부작용을 수반하고, 음식품에 첨가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진다.
한편, 골다공증이나 골절, 요통 등의 여러 가지 골질환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경구 섭취할 수 있고, 음식품, 사료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9043호 (2015.08.3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여성호르몬을 보완하고, 골밀도를 증가시켜서 골다골증을 예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혼합해서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 혼합물을 건조해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및 분말을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당귀 5-10 중량부, 천궁 5-10 중량부, 속단 5-7 중량부, 황기 30-45 중량부, 사인 5-10 중량부, 진피 5-10 중량부, 골쇄보 1-5 중량부, 당삼 1-5 중량부, 유향 1-5 중량부 및 몰약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백출 1-5 중량부, 산사 1-5 중량부, 맥아 1-5 중량부, 백작약 1-5 중량부, 두충 5-7 중량부, 현호색 1-5 중량부, 우슬 5-7 중량부, 오가피 5-7 중량부, 모과 1-5 중량부, 구기자 1-5 중량부, 감초 1-5 중량부, 산약 1-5 중량부, 산수유 1-5 중량부 및 건지황 1-5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는 혼합물에 귀리우유 5-10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1-5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을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는 분말에 에탄올 5-10 중량부를 용매로 첨가하고, 20~30 KHz 초음파를 가하여 6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총 6회 반복하여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골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에 따른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여성호르몬을 보완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에 따른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여성호르몬의 흡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에 따른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약재, 요리, 영양제 등의 분야에 주재료로 이용되거나, 부재료로 첨가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허용오차가 존재할 때 허용오차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들)"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혼합해서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 혼합물을 건조해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및 분말을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혼합해서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당귀 5-10 중량부, 천궁 5-10 중량부, 속단 5-7 중량부, 황기 30-45 중량부, 사인 5-10 중량부, 진피 5-10 중량부, 골쇄보 1-5 중량부, 당삼 1-5 중량부, 유향 1-5 중량부 및 몰약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당귀 10-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당귀는 산형과에 속하는 참당귀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으로, 데커신, 데쿠르트시놀, 노다케네린, 움벨리프레닌, 노다케닌, 크산도톡신, 이소핌피넬린, 오스톨 등의 쿠마린(Coumarin) 성분을 다량 함유되어 있어 우수한 항산화 작용을 하며 혈액순환 개선, 진통효과, 보혈작용, 항염증 등의 작용으로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된다.
또한, 당귀의 뼈세포 증식 능력은 이미 보고된 바 있다(생약학회지 40(3): 190-195 (2009), Activity of Medicinal Plants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당귀는 직접적으로 뼈세포증식(proliferation), 염기성인산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ALP) 활성, 단백질 분비(protein secretion)를 자극한다.
본 개시에 따른 당귀는 잎, 어린싹 또는 뿌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뿌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천궁 5-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천궁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알킬로이드(Tetramethylpyrazine, Perolyrine), 페놀성 성분(Chrysophanoll, Sedanonic acid), 락톤류, 비타민 E 등의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우수한 항산화 작용을 하며 진통효과, 강장효과, 항균작용, 항염증, 면역 강화 등의 작용으로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된다.
본 개시에 따른 천궁은 잎, 줄기 또는 뿌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뿌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속단 5-7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속단은 산토끼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산토끼꽃의 뿌리를 일컫는 것으로서, 성장호르몬 분비와 성장촉진에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속단은 근골을 튼튼히 하고 혈맥을 소통시키며 간과 신장 기능을 도와 관절염, 조루, 빈혈 등에 사용한다.
본 개시에 따른 속단은 어린 잎과 뿌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뿌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황기 30-4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황기는 주요 성분으로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s), 아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s),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s) 등이 있고, 아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s) 성분은 포름오노네틴(formononetin)과 칼리코신(calycosin)이 대표적이고, 아이소플라보노이드 성분은 식물성유사호르몬(phytoestrogen)으로서 여성호르몬의 천연 대체물질로서 알려져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황기는 잎, 어린싹 또는 뿌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뿌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사인 5-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사인은 생강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양춘사의 과실을 의미하고, 유효 약효성분은 방향성정유성분이 1.7∼3%가량 함유되어 있고, 주성분은 디캄폴(d-camphor), 디보네올(d-boneol), 보닐아세테이트(Bornyl acetate), 리나롤(Linalol), 네롤달(Neroldal) 등이 함유하고 있으며, 위장운동촉진, 위궤양, 평활근이완, 진통, 구토, 설사, 이질, 임신구토, 식욕부진, 소화불량, 기체, 식체 등에 효과가 좋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진피 5-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진피는 귤 껍질을 1년 내지 3년동안 묵힌 것을 말하며, 정유, 구연산, 비타민 A, 비타민 B1, D-칼락토사민, 비타민 C, 헤스페리딘, 베타크립토잔틴, 살페스테롤, 테레빈유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간 기능 개선, 만성피로 개선, 체력증진, 기력회복, 항암, 노화방지, 항염작용, 소염작용, 기관지 질환 개선, 심혈관 질환 예방, 면역력 증대, 피부미용 등에 효과가 있다. 특히, 진피의 베타크립토잔틴은 뼈를 튼튼하게 해줘서 골다골증에 도움을 준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골쇄보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골쇄보는 넉줄고사리의 땅속줄기를 말하며, 주요성분으로 알칼리 포토피아제, 프롤리 하이드록실라제라 등의 효소 성분을 포함하고, 뼈나 피부의 두께를 증가시키며 허리나 무릎 등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골다골증, 골대사질환, 골절유합, 성장촉진 등의 뼈 관련 질환에 도움을 준다. 또한, 골쇄보는 헤스페리딘 성분을 포함하고, 이는 항산화 효과를 가져 유해활성산소를 배출하고 모세혈관을 보호하며 고혈압과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의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당삼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당삼은 도라지과에 속하는 식물인 만삼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사포닌, 미량의 알칼로이드, 서당, 포도당, 이눌린, 전분, 점액, 수지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뿌리에는 정유, 스쿠테라레인 글루코사이드, 알칼로이드, 다당류, 이눌린, 사포닌 등이 함유되어 있고, 식욕부진, 구갈, 탈홍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유향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유향은 올리브과의 유향나무의 수액을 건조시켜서 만든 향이 나는 약재를 말하며, 유향에 들어 있는 보스웰릭산이라는 물질이 연골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연골 보호효과가 뛰어나 염증을 억제하고, 혈액순환을 도와 관절 통증개선에 도움을 준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몰약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몰약은 감람과에 속하는 몰약나무의 껍질에 상처를 내어 흐르는 유액을 건조시켜 만든 약재로, 약효성분은 수지가 25~35%, 휘발성 정유 2.5~9%, 수교가 57~65%이고, 소염·진통효과가 현저하며, 피부진균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고, 결핵균의 발육을 억제시킨다. 또한,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면서 통증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우수하여, 관절의 부종과 타박상으로 인한 울혈, 동통에 많이 활용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성분으로 예를 들면, 백출, 산사, 맥아, 백작약, 두충, 현호색, 우슬, 오가피, 모과, 구기자, 감초, 산약, 산수유 및 건지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백출 1-5 중량부, 산사 1-5 중량부, 맥아 1-5 중량부, 백작약 1-5 중량부, 두충 5-7 중량부, 현호색 1-5 중량부, 우슬 5-7 중량부, 오가피 5-7 중량부, 모과 1-5 중량부, 구기자 1-5 중량부, 감초 1-5 중량부, 산약 1-5 중량부, 산수유 1-5 중량부 및 건지황 1-5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백출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출은 삽주 뿌리를 손질해서 말린 것으로, 아트락틸롤(atractylol), 아트락틸론(atractylonen) 등이 함유되어 있어 소화 작용이 있어서 만성소화불량, 장염, 설사 등과 식욕증진에 탁월하고, 이뇨작용이 있어서 신장염으로 부종에 많이 쓰인다. 또한, 혈당을 강하시키는 효과가 있고, 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산사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사는 장미과에 속하는 아가위나무 열매로, 소화를 돕고 지방 분해를 촉진하는 리파아제(lipase)와 프로테아제(protease)를 함유하고 있어 지방분해를 돕고, 소화를 촉진하는 효능을 가진다. 또한, 혈중 콜레스테롤과 혈당, 지방 수치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어,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비롯한 심장병과 뇌졸증, 당뇨와 같은 성인병을 예방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맥아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아는 보리에 물을 붓고 싹을 틔운 뒤, 잘 말린 후 살짝 볶아서 만든 것을 말하며, 녹말과 같은 당류, 비타민류가 들어 있고, 위장 기능을 강화시켜 비위허약, 소화불량, 소화장애, 유즙분비 부족 등의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고, 소화를 촉진시키고, 혈당 강하 작용이 뛰어나 각종 심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적이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백작약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작약은 작약의 뿌리를 말하며, 피오니플로린이라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염증을 완화하는 효능을 가지고, 위염, 위궤양, 장염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진통작용이 탁월하고 혈액을 보강해주기 때문에 여성의 자궁 출혈이나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두충 5-7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충은 두충나무의 껍질을 말린 것으로, 우유에 비해 7배나 많은 칼슘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골밀도를 강화하여 뼈 건강 증진에 많은 도움을 준다. 또한, 알칼로이드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근육이나 골격을 강화시켜주고, 무릎관절이나 허리 통증, 신경통 등에 좋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현호색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호색은 양귀비목 현호색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주로 뿌리를 이용하며 진통효과가 뛰어나 산후월경통, 생리불순, 복통, 위통, 타박상, 신경통, 관절통 등을 완화시켜주는 효과를 가진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우슬 5-7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슬은 쇠무릎의 뿌리를 말하며, 우슬의 잎과 줄기는 관절염 치료에 효과가 좋다. 우슬에 풍부한 사포닌과 칼슘 성분은 체내 염증을 배출하고, 통증 완화, 류머티즘 관절염, 무릎 관절염 증상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오가피 5-7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가피는 두릎나무과에 속하며, 주로 뿌리나 줄기를 사용하고, 아칸토사이드 D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뼈를 튼튼하게 해주고, 힘줄을 강화시켜 관절염의 증상 개선에 효능이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모과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과는 장미과의 모과나무 열매로서, 칼슘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뼈를 튼튼하게 해주고, 골밀도를 강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구기자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기자는 통화식물목 가짓과의 낙엽 관목의 열매로서, 베타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간에 쌓인 독성물질을 분해하여 체외로 배출하고, 루틴을 함유하고 있어 체내 콜레스테롤 생성을 억제하여 혈액순환 및 혈관벽을 튼튼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감초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초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며, 글리시리진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혈관 내 유해한 콜레스테롤을 배출시키고,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암작용으로 암세포의 발생 및 전이를 억제하는데 도움을 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산약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약은 마 또는 참마의 덩이뿌리를 일컫는 말로, 끈적한 점액질인 뮤신을 함유하고 있어 위의 점막을 보호해주고, 소화기능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디아스타제, 사포닌, 비타민 C, E, 아르기닌 등을 포함하고 있어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해서 당뇨증상을 완화하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항산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산수유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수유는 산형화목 층층나무과의 산수유나무에서 피는 꽃으로,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비슷한 작용을 하는 코르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여성 호르몬 저하로 유발되기 쉬운 골다골증과 같은 갱년기 증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건지황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지황은 현삼과 식물인 지황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으로, 카탈풀(catalpol), 스타키오스(stachyose)를 주요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어 이뇨작용, 혈당조절, 자궁 출혈, 월경 장애, 변비, 허약증 등에 사용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혼합해서 혼합물로 제조하고,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는 혼합물에 귀리우유 5-10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1-5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아마씨 오일은 리그난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리그난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리그난은 에스트로겐의 역할뿐만 아니라, 남성호르몬의 감소와 에스트로겐의 합성 증가를 가져와 골다골증, 골 생성 저하 등의 폐경기 여성들의 갱년기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준다.
골밀도 저하의 원인으로 체내 호르몬 변화(에스트로겐 결핍, 부갑상선 호르몬 항진증 등)가 발생하게 되면, RANKL과 생체 내 길항제인 Osteoprotegerin(OPG)의 균형이 깨져 파골세포의 활성이 증가되고, 활성화된 파골세포는 골 단백 용해제 중 하나인 카텝신 K(cathepsin K), 칼시토닌 수용체(calcitonin receptor, Cal-R), TRAP(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e)를 생성한다. 골질환을 예방하려면 이들 골 단백 용해제를 억제해서 골 흡수를 감소시켜야 한다.
골 흡수 억제제로는 칼슘, 비타민 D, 칼시토닌, 여성호르몬, 티볼론,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및 비스포스포네이트 등이 있고, 이 중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리그난을 통하여 골밀도 감소를 예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아마씨에 포함된 리그난은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diphenolic 구조를 가진 식물성 화합물이고, 자연계에 secoisolariciresinol, mataireinol, pinoresinol, medioresinol, lariciresinol, syringaresinol, sesamin 등의 형태로 존재하며, 체내에서 장내 미생물균에 의해 동물성 리그난인 enterodiol과 enterolactone으로 전환되어 흡수된다.
아마씨 등의 식물에 포함된 식물성 리그난은 포유동물이 섭취 후에 장내 미생물에 의해 대사되어 동물성 리그난으로 유제품과 같은 포유동물의 산물에 포함될수 있다.
식물성 리그난과 포유동물의 산물인 유제품과 같이 섭취하게 되면 동물성 리그난 형태로 직접 섭취할 수 있고, 식물성 리그난의 활성 비율을 높여서 사용자가 섭취하는 리그난의 흡수율이 높아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귀리우유는 조성물의 쓴맛을 줄이고 풍미를 높이고, 동물성 리그난을 제공하고, 아마씨에 포함된 식물성 리그난의 활성 비율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혼합물을 건조해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혼합물은 90℃ 온도에서 건조하고, 0.1-0.5㎝의 입경 크기로 분말로 분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분말을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을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는 분말에 에탄올 5-10 중량부를 용매로 첨가하고, 20~30 KHz 초음파를 가하여 6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6회 반복하여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초음파 추출은 초음파 진동에 의한 공동현상(cavitation)에 의해 매우 큰 에너지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국부온도로 인하여 주위에 위치하는 반응물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위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게 되고 초음파 에너지의 충격효과로 높은 압력을 유도하여 혼합 및 추출 효과를 높여준다(Chung et al., 2000).
초음파 추출공정을 이용하면 추출 시간 단축, 추출 수율 향상 및 유용성분의 안전 용출이 가능한다. 초음파 에너지에 의해 발생되는 공동 현상으로 인한 높은 압력에 의해 세포조직이 파괴됨으로써 지방질의 이동거리가 짧아질 뿐만 아니라 공동의 생성 및 소멸로 인한 교반 효과에 의해 확산이 용이하게 일어나 기존의 추출방법에 비해 빠른 시간에 높은 추출량을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은 초음파균질기(KUS-650, KBT, Seongnam, Korea)를 이용하여 분말에 에탄올 5-10 중량부를 용매로 첨가하고, 20~30 KHz 초음파를 발생시켜 60℃ 온도에서, 총 2시간 동안 10분 추출 및 10분 휴지 과정을 반복해서 총 6회 반복으로 추출한다.
본 개시에 따른 초음파 추출은 인체 안정성과 선택적 추출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조성물의 유효성분을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고유 성분들은 영양학적으로 안정하여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개시에 따른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당귀 7 중량부, 천궁 7 중량부, 속단 5 중량부, 황기 30 중량부, 사인 5 중량부, 진피 7 중량부, 골쇄보 3 중량부, 당삼 2 중량부, 유향 3 중량부 및 몰약 3 중량부를 혼합시키고, 추가로 백출 3 중량부, 산사 3 중량부, 맥아 3 중량부, 백작약 3 중량부, 두충 6 중량부, 현호색 3 중량부, 우슬 6 중량부, 오가피 6 중량부, 모과 3 중량부, 구기자 3 중량부, 감초 3 중량부, 산약 3 중량부, 산수유 3 중량부 및 건지황 3 중량부를 더 혼합하고, 혼합물을 귀리우유 7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3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혼합물을 0.3㎝의 입경 크기의 분말로 분쇄하고, 분말에 초음파균질기(KUS-650, KBT, Seongnam, Korea)를 이용하여 분말에 에탄올 7 중량부를 용매로 첨가하고, 25 KHz 초음파를 발생시켜 6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10분 추출 및 10분 휴지 과정으로 총 6회 반복으로 추출시켜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을 완성하여 제품화하였다.
비교예 1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약재를 이용한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영양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을 귀리우유 7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3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켜서 제조하는 대신, 혼합물을 숙성시키지 않고, 바로 건조해서 분말로 분쇄해서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을 귀리우유 7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3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켜서 제조하는 대신, 혼합물을 귀리우유 1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3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켜서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을 귀리우유 7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3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켜서 제조하는 대신, 혼합물을 귀리우유 20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3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켜서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을 귀리우유 7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3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켜서 제조하는 대신, 혼합물을 귀리우유 7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0.1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켜서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을 귀리우유 7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3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켜서 제조하는 대신, 혼합물을 귀리우유 7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20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켜서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골밀도 변화 검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 대해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에 대한 골밀도 변화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 대해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에 대한 골밀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는 체중이 동일한 마우스 수컷 7마리, 암컷 7마리를 준비해서 마우스 체중 10g 당, 0.5㎎의 조성물을 각각 경구 투여하여 4주일 동안 사육하면서 마우스의 우측 경골의 골밀도를 마이크로 CT[㈜리가쿠 제조]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골밀도 측정 결과
골밀도(㎎/㎠)
수컷 암컷
실시예 1 ±3.0 ±3.5
비교예 1 ±1.0 ±1.2
비교예 2 ±1.5 ±1.8
비교예 3 ±1.9 ±2.2
비교예 4 ±2.2 ±2.5
비교예 5 ±2.1 ±2.4
비교예 6 ±2.4 ±2.6
상기 [표 1]의 결과로 보아, 실시예 1의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제품보다 높은 골밀도 증가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경우, 혼합물을 귀리우유 7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3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켜서 제조함으로써 비교예 1 및 비교예 6보다 골밀도 증진이 촉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혼합물에 귀리우유 7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3 중량부를 넣고 숙성시켜 제조하였을 때, 조성물에 포함된 리그난 성분이 여성호르몬을 보완해서 호르몬으로 인한 골밀도 감소를 예방하고, 리그난의 흡수율을 높이기 때문에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골 재생 유도 검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 대해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에 대한 골 재생 유도를 두개골이 결손된 생쥐에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골 형성 정도를 마이크로 CT[㈜리가쿠 제조]에 의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골 재생 유도 측정 결과
골 형성 정도
실시예 1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상기 [표 2]의 결과로 보아, 실시예 1의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제품보다 높은 골 재생 유도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경우, 혼합물을 귀리우유 7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3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켜서 제조함으로써 비교예 1 및 비교예 6보다 골 재생 유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혼합물에 귀리우유 7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3 중량부를 넣고 숙성시켜 제조하였을 때,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활성화되어 골 재생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관능 검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 대해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에 대한 맛,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와 같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관능검사 경험을 지닌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의 관능검사 요원으로 하여금 9점 척도법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관능 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8.3 8.1 8.4
비교예 1 5.0 5.0 5.0
비교예 2 6.1 6.3 6.5
비교예 3 6.3 6.2 6.4
비교예 4 6.9 7.1 7.0
비교예 5 6.8 7.4 7.1
비교예 6 6.7 7.2 7.0
상기 [표 3]의 결과로 보아, 실시예 1의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제품보다 관능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경우, 혼합물에 귀리우유 7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3 중량부를 넣고 숙성시켜서 제조함으로써 비교예 1 및 비교예 6보다 높은 맛과 향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혼합물에 귀리우유 7 중량부를 넣고 숙성시키면 쓴맛이 감소하고 단맛을 높여주기 때문에 조성물의 활용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종래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과 비교할 때 골밀도 증진을 효과적으로 촉진하면서, 쓴맛을 줄이고 단맛을 높이고, 여성호르몬을 보완하여 활성화시켜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앞선 설명은 당업자들이 본 개시를 행하거나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예들이 당업자들에게 쉽게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취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예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원에 설명된 예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가 부여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Claims (5)

  1.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당귀 5-10 중량부, 천궁 5-10 중량부, 속단 5-7 중량부, 황기 30-45 중량부, 사인 5-10 중량부, 진피 5-10 중량부, 골쇄보 1-5 중량부, 당삼 1-5 중량부, 유향 1-5 중량부, 몰약 1-5 중량부, 백출 1-5 중량부, 산사 1-5 중량부, 맥아 1-5 중량부, 백작약 1-5 중량부, 두충 5-7 중량부, 현호색 1-5 중량부, 우슬 5-7 중량부, 오가피 5-7 중량부, 모과 1-5 중량부, 구기자 1-5 중량부, 감초 1-5 중량부, 산약 1-5 중량부, 산수유 1-5 중량부 및 건지황 1-5 중량부을 혼합해서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건조해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말을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에 귀리우유 5-10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1-5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분말을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분말에 에탄올 5-10 중량부를 용매로 첨가하고, 20~30 KHz 초음파를 가하여 6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총 6회 반복하여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에 귀리우유 7 중량부 및 아마씨 오일 3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을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분말에 에탄올 7 중량부를 용매로 첨가하고, 25 KHz 초음파를 가하여 6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총 6회 반복하여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30000098A 2023-01-02 2023-01-02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92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098A KR102592954B1 (ko) 2023-01-02 2023-01-02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30139661A KR102614272B1 (ko) 2023-01-02 2023-10-18 골재생 유도 효과를 갖는 골밀도 증진 촉진용 조성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098A KR102592954B1 (ko) 2023-01-02 2023-01-02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9661A Division KR102614272B1 (ko) 2023-01-02 2023-10-18 골재생 유도 효과를 갖는 골밀도 증진 촉진용 조성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954B1 true KR102592954B1 (ko) 2023-10-24

Family

ID=885150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098A KR102592954B1 (ko) 2023-01-02 2023-01-02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30139661A KR102614272B1 (ko) 2023-01-02 2023-10-18 골재생 유도 효과를 갖는 골밀도 증진 촉진용 조성물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9661A KR102614272B1 (ko) 2023-01-02 2023-10-18 골재생 유도 효과를 갖는 골밀도 증진 촉진용 조성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29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043A (ko) 2014-02-21 2015-08-31 유한회사한풍제약 대추, 복분자, 애엽, 황금 및 Rg2 강화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골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355277B1 (ko) * 2021-07-22 2022-01-24 최영진 골절 회복 및 뼈 재생 속도 향상용 산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제 또는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생약제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043A (ko) 2014-02-21 2015-08-31 유한회사한풍제약 대추, 복분자, 애엽, 황금 및 Rg2 강화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골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355277B1 (ko) * 2021-07-22 2022-01-24 최영진 골절 회복 및 뼈 재생 속도 향상용 산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제 또는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생약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272B1 (ko) 202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43155B (zh) 一种双参组合物及其应用
CN108850366A (zh) 一种具有降尿酸作用的代用茶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252639B1 (ko) 쌍화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1829212B (zh) 一种含片及其制备方法
CN110447902B (zh) 一种具有减肥功效的组合物
CN106606708A (zh) 一种促消化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85582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및 혈액순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R20130104692A (ko) 산사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60101704A (ko) 생약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243873B1 (ko) 조기치매 완화 및 예방용 발효안심침향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3921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20160006427A (ko) 포제법으로 처리된 한방성분들을 포함하는 어린이용 건강식품
KR102592954B1 (ko)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CN101128210B (zh) 熟地黄和五加皮的草药混合物提取物以及用于预防和治疗骨质疏松症的包含其的组合物
RU2533040C2 (ru) Соста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фитоджема (варианты)
KR101864719B1 (ko)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09151A (ko) 삼백초와 황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655189B2 (ja) ブドウ種子抽出物、バレリアン抽出物及びベニバナ種子抽出物を含有する女性更年期症状予防及び改善用食品組成物
CN104474099A (zh) 一种甜茶止咳露及其制备方法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N107647074A (zh) 一种养胃、健胃、食积不消山楂山药猴头菌压片糖果的制备方法
KR102282839B1 (ko) 숙취해소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02363086A (ja) 骨代謝改善剤及び骨粗鬆症の予防又は治療用飲食物
KR102598936B1 (ko) 관능 효과가 개선된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140166A (ko) 옻이 함유된 잡화꿀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