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217B1 -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 - Google Patents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1217B1 KR102591217B1 KR1020210078154A KR20210078154A KR102591217B1 KR 102591217 B1 KR102591217 B1 KR 102591217B1 KR 1020210078154 A KR1020210078154 A KR 1020210078154A KR 20210078154 A KR20210078154 A KR 20210078154A KR 102591217 B1 KR102591217 B1 KR 1025912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table
- lifting
- guide
- guide frame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3178 Musculoskele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 B62B2203/13—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comprising a self levell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는 이송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테이블; 상기 베이스와 승강테이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테이블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및 상기 승강테이블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수평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물을 적재하기 위한 승강테이블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승강테이블의 수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장의 조립라인들에서 반조립물품들의 운반 또는 포장라인의 말단부에서 완성되어 출하되는 완제품의 운반, 그리고 물류창고나 하치장등 장내에서 화물을 운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대차는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대차는 대략 운반될 물이 탑재되는 가능한 지면에 인접되는 위치로 설치되는 평판체의 적재대를 가지며, 이 적재대의 저면에 적어도 3조이상으로 설치되는 활차를 구비하여 자유자재로 방향전환을 이루면서 이동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적재대의 일측에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손잡이대를 갖추어서 작업자가 손잡이대를 잡고 밀거나 끌며 장내에서 중량의 물품들을 안전하게 운반시키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대차의 적재대를 낮은 위치에 갖추어 물품의 운반에는 안전을 기하였으나, 적재대에 물품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은 용이하지 않다. 즉, 중량의 물품을 들어 낮은 위치로 설치되는 적재대에 싣거나 내리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자세를 똑바로 세웠다 허리부분을 구부려야만 한다. 예컨대, 산업장의 조립 및 포장라인은 롤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롤컨베이어는 작업의 편의를 위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설치된다. 이렇게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설치되는 롤컨베이어를 타고 운반되는 물품을 들어 지면에 인접한 위치로 놓여진 적재대 상에 올려놓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자세를 반복적으로 바꾸어야 하는데, 이러한 반복 작업은 골근격계 질환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노동강도가 높아져 작업 능률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작업자가 중량의 물품을 높이가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떨어뜨릴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재물을 적재하기 위한 승강테이블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승강테이블의 수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승강테이블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부의 래크와 피니언 사이에 작업자의 피복이나 신체 일부가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송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테이블; 상기 베이스와 승강테이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테이블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및 상기 승강테이블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수평유지부;를 포함하는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유지부는,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승강테이블의 승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 마련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래크, 상기 한 쌍의 래크와 각각 맞물리는 한 쌍의 피니언 및 상기 승강테이블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피니언을 고정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유지부는 상기 승강테이블의 적어도 세 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승강테이블의 각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래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유지부는 상기 피니언의 주변을 감싸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외측면에서 상기 승강테이블의 승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승강테이블에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롤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기 래크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가이드프레임의 외측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가이드레일 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물을 적재하기 위한 승강테이블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승강테이블의 수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가 제공된다.
또한, 승강테이블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부의 래크와 피니언 사이에 작업자의 피복이나 신체 일부가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측면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승강 작용을 나타내는 작용도,
도 8은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승강가이드의 작용도,
도 9는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수평유지부의 작용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보호커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측면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승강 작용을 나타내는 작용도,
도 8은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승강가이드의 작용도,
도 9는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수평유지부의 작용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보호커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측면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는 베이스(110), 승강테이블(120), 승강가이드(130), 승강구동부(140) 및 수평유지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이송대차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사각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하부에 이동바퀴(111)가 장착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모서리에는 기둥 형상의 가이드프레임(112)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승강테이블(120)은 상면에 적재물이 적재될 수 있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110)의 가이드프레임(11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승강가이드(130)는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 직선 왕복 이동을 안내하고,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승강가이드(13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2)의 외측면에서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승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31) 및 상기 승강테이블(120)에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롤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31) 및 가이드롤러(132)는 상기 베이스(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이 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31)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12)의 외측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132)는 상기 가이드레일(131) 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즉, 한 쌍의 가이드레일(131) 사이에서 한 쌍의 가이드롤러(132)가 각각 가이드레일(131)에 밀착한 상태로 슬라이딩하므로 상기 승강테이블(120)이 수평면 상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롤러(132)가 함몰된 가이드레일(131) 내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하므로 상기 승강테이블(120)이 수평면 상에서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가이드(130)는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140)는 상기 베이스(110)와 승강테이블(1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테이블(12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구동부(140)가 유압실린더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중앙에 배치되어 실린더로드의 신축에 의해 상기 승강테이블(120)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평유지부(150)는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승강 과정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12)의 측면에서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승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 마련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래크(151), 상기 한 쌍의 래크(151)와 각각 맞물리는 한 쌍의 피니언(152) 및 상기 승강테이블(120)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피니언(152)을 고정하는 샤프트(153)를 포함한다.
즉, 한 쌍의 래크(151)와 각각 맞물려 있는 한 쌍의 피니언(152)이 승강테이블(120)에 축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 샤프트(15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승강시 샤프트(153)로 연결된 한 쌍의 피니언(152)이 동일한 회전량을 갖게 되므로, 피니언(152)이 설치된 승강테이블(120)의 양측 단부의 상하 이동거리가 동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평유지부(150)는 수평면 상에서 직교하는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각각 배치됨에 따라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수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평면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평유지부(150)를 일측 단변에만 배치하는 경우 타측 단변의 수평 유지가 충분히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승강테이블(120)에 중량 적재물을 적재하는 경우에는, 사이 간격이 넓은 양측 단변에서의 수평 확보가 곤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평유지부(150)는 양측 단변에 각각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유지부(150)를 승강테이블(120)의 일측 장변과 양측 단변에 각각 배치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승강테이블(120)의 형상이나 적재물의 특성에 따라 수평유지부(150)를 네 변에 각각 배치하거나 서로 직교하는 두 변에만 배치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니언(152)은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각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테이블(120)의 승강 과정에서 피니언(152)과 래크(151)의 사이에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낄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니언(152)의 노출측 측면을 감싸는 보호커버를 구비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피니언(152)과 래크(151) 사이의 결합부위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2)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승강영역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래크(151)의 주변을 감싸는 제1보호커버(C1) 및 상기 승강테이블(120)에 고정되고 상기 제1보호커버(C1)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피니언(152)의 주변을 감싸는 제2보호커버(C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2)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승강영역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래크(151)의 주변을 감싸는 제1보호커버(C1) 및 상기 승강테이블(120)에 고정되고 상기 제1보호커버(C1)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피니언(152)의 주변을 감싸는 제2보호커버(C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10)의 서로 마주하는 양변에는 각각 복수의 지지대(113)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승강테이블(120)에는 상기 지지대(11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12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테이블(120)은 상기 지지대(113)에 의해 상하 이동이 안내되는 동시에,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113)는 승강테이블(120)의 상측에 적재되는 적재물이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2)이 통과할 수 있는 홈부(12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승강 범위는 가이드프레임(112)에 의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2)이 통과할 수 있는 홈부(12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승강 범위는 가이드프레임(112)에 의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삭제
지금부터는 상술한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승강 작용을 나타내는 작용도, 도 8은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승강가이드의 작용도, 도 9는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수평유지부의 작용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의 보호커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테이블(120)은 베이스(110)의 상측에서 승강구동부(14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승강테이블(120)의 상측에 적재되는 적재물(L)의 적재량에 따라 승강테이블(1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테이블(120)은 승강가이드(13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되고, 수평유지부(150)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아 수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먼저, 승강가이드(130)의 작용을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테이블(120)의 각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가이드롤러(132)는 승강테이블(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상하 이동이 안내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31)과 가이드롤러(132)는 승강테이블(1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대칭이 되는 형태로 배치되므로, 상기 승강테이블(12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31)이 홈의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132)가 홈 형태의 가이드레일(131)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하므로 상기 승강테이블(12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가이드(130)는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승강테이블(120)은 지지대(113)에 의해서도 수평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승강테이블(120)에 중량의 적재물을 싣거나 내릴 때 가해지는 수평방향 외력이 상기 지지대(113)와 삽입홈(1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롤러(132)가 수평방향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2)이 통과할 수 있는 홈부(122)가 형성되므로,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승강 범위는 가이드프레임(112)에 의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2)이 통과할 수 있는 홈부(122)가 형성되므로,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승강 범위는 가이드프레임(112)에 의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테이블(120)은 수평유지부(150)에 의해 수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테이블(120)의 일측 변에 설치된 수평유지부(150)는 해당 변의 양측 모서리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래크(151)와, 상기 한 쌍의 래크(151)에 맞물린 한 쌍의 피니언(152),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피니언(152)을 연결하고 상기 승강테이블(120)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느 샤프트(153)로 구성된다. 즉, 샤프트(153)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피니언(152)은 서로 연동하면서 양측의 래크(151)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상기 수평유지부(150)가 설치된 변은 수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유지부(150)는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적어도 세 변에 각각 배치됨에 따라,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각 모서리에서의 수평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0의 (a) 및 (b)는 운반대차의 평면을 도시한 도 3의 "a" 및 "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0의 (c)는 운반대차의 정면을 도시한 도 4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상기 수평유지부(150)의 래크(151)와 피니언(152)은 승강테이블(120)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승강테이블(120)의 승강과정에서 주변 작업자의 피복이나 신체 일부가 래크(151)와 피니언(152)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의 (a),(b)와 같이 가이드프레임(112)에는 래크(151)의 측면을 감싸는 제1보호커버(C1)를 배치하고, 승강테이블(120)에는 피니언(152)의 측면을 감싸는 제2보호커버(C2)를 배치한다. 또한, 도 10의 (c)와 같이 제2보호커버(C2)는 승강테이블 상에서 래크(151)와 피니언(152)의 결합부위의 상면을 감싸는 형태로도 배치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피복이나 신체 일부가 피니언(152)과 래크(151) 사이의 결합부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호커버(C1)는 승강테이블(120)의 승강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보호커버(C2)는 승강테이블(12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제1보호커버(C1)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승강테이블(120)의 승강과정에서 제1보호커버(C1)와 제2보호커버(C2)가 승강테이블(120)의 승강범위를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호커버(C1)는 승강테이블(120)의 승강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보호커버(C2)는 승강테이블(12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제1보호커버(C1)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승강테이블(120)의 승강과정에서 제1보호커버(C1)와 제2보호커버(C2)가 승강테이블(120)의 승강범위를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베이스, 111:이동바퀴, 112:가이드프레임,
113:지지대, 120:승강테이블, 121:삽입홈,
130:승강가이드, 131:가이드레일, 132:가이드롤러,
140:승강구동부, 150:수평유지부, 151:래크,
152:피니언, 153:샤프트, C1:제1보호커버, C2:제2보호커버
113:지지대, 120:승강테이블, 121:삽입홈,
130:승강가이드, 131:가이드레일, 132:가이드롤러,
140:승강구동부, 150:수평유지부, 151:래크,
152:피니언, 153:샤프트, C1:제1보호커버, C2:제2보호커버
Claims (8)
- 하부에 이송바퀴가 장착되고 상면 각 모서리에 수직 방향으로 기둥 형태의 가이드프레임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프레임이 통과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된 승강테이블;
상기 베이스와 승강테이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테이블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상기 승강테이블의 승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래크, 상기 한 쌍의 래크와 각각 맞물리는 한 쌍의 피니언 및 상기 승강테이블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피니언을 고정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테이블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승강테이블의 적어도 세 변에 각각 배치되는 수평유지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테이블의 승강영역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래크의 주변을 감싸는 제1보호커버; 및
상기 승강테이블에 고정되고 상기 제1보호커버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피니언의 주변을 감싸는 제2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외측면에서 상기 승강테이블의 승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승강테이블에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롤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기 래크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가이드프레임의 외측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가이드레일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8154A KR102591217B1 (ko) | 2021-06-16 | 2021-06-16 |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8154A KR102591217B1 (ko) | 2021-06-16 | 2021-06-16 |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8432A KR20220168432A (ko) | 2022-12-23 |
KR102591217B1 true KR102591217B1 (ko) | 2023-10-19 |
Family
ID=8453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8154A KR102591217B1 (ko) | 2021-06-16 | 2021-06-16 |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121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395593B (zh) * | 2023-04-14 | 2023-09-05 | 广州市恒力达智能装备有限公司 | 一种智能物流台车及其使用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8334U (ja) * | 1991-06-04 | 1993-12-03 | 輝陽工業株式会社 | 昇降テーブル |
KR20130092166A (ko) * | 2012-02-10 | 2013-08-20 | 안영섭 | 테이블 리프트 |
KR101434147B1 (ko) * | 2012-09-05 | 2014-08-2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작업용 이동대차 |
KR101426072B1 (ko) | 2012-11-26 | 2014-08-01 | 고병기 | 이송대차 |
-
2021
- 2021-06-16 KR KR1020210078154A patent/KR102591217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8432A (ko) | 2022-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71232B2 (en) | Line feed system with indexing cart | |
CN101468654B (zh) | 物流车 | |
KR101147569B1 (ko) | 물품 운반 장치 | |
JP6137226B2 (ja) | 昇降搬送装置 | |
TW201637967A (zh) | 自動倉庫 | |
TWI631060B (zh) | 貨櫃昇降搬運裝置 | |
JP6179729B2 (ja) |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 |
KR102591217B1 (ko) |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 | |
US20050095093A1 (en) | Storage retrieval system comprising a load receiving element | |
JP2004525838A (ja) | オートメ化された倉庫設備 | |
JP5783366B2 (ja) | 仕分けシステム | |
KR101398929B1 (ko) | 반송차 시스템 | |
CN209905642U (zh) | Agv小车及仓储系统 | |
JP7135243B2 (ja) | 立体自動倉庫 | |
JP6870370B2 (ja) | スタッカクレーン、および、自動倉庫 | |
JP6587876B2 (ja) | 荷役装置 | |
JP4293010B2 (ja) | 昇降機能付き台車 | |
JP6874698B2 (ja) | 物品収納設備 | |
JP5821823B2 (ja) | 物品収納設備 | |
JP4618513B2 (ja) | ピッキング式の物品収納設備 | |
CN210122325U (zh) | 带升降式架体的拣选车及拣选系统 | |
US2023019242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ading and loading a transport unit | |
JP3616733B2 (ja) | 搬送装置 | |
JP2023105680A (ja) | 昇降装置 | |
JP2682316B2 (ja) | 昇降搬送装置用支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