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197B1 -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197B1
KR102590197B1 KR1020197031682A KR20197031682A KR102590197B1 KR 102590197 B1 KR102590197 B1 KR 102590197B1 KR 1020197031682 A KR1020197031682 A KR 1020197031682A KR 20197031682 A KR20197031682 A KR 20197031682A KR 102590197 B1 KR102590197 B1 KR 102590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cassette
guide path
partition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807A (ko
Inventor
나오키 고이케
미츠히로 미타니
아키라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036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4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 B65D83/045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the whole forming a circular container with rota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8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the articles being fed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57Rotating movement in the plane of the rotat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08Adjustable and/or adaptable to the article size

Abstract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정제 안내로의 치수를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카세트 본체(5)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된 정제를 적어도 1개 수용하여 카세트 본체의 배출 구멍(9)으로 안내하는 정제 안내로(8a)를 갖는 로터(8)와, 정제 안내로에 진입하여 최하부의 정제와 그 상방의 정제 사이에 위치하는 칸막이 부재(20)와, 로터에 정제 안내로(8a)의 깊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치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M2, M3, M4)를 구비하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를 조정하는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에 있어서,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의 결합부(33c, 52b, 95d)에 결합하여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를 작동시켜,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정제 안내로의 치수를 조정한다.

Description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본 발명은 다수의 정제를 수용하여 처방에 따라 정제를 배출하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세히는, 정제 카세트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로터의 정제 안내로의 홈의 깊이, 높이, 폭 등의 치수나 정제 안내로에 진입하는 칸막이 부재의 진입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제 약국이나 병원에 설치되는 정제 수납 공급 장치는, 많은 환자에 대하여 신속, 확실, 안전하게 처방에 따른 정제를 자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정제에는, 원형, 타원형, 구형, 캡슐형, 당의형 등 많은 형상, 크기의 것이 있지만, 정제 수납 공급 장치는 될 수 있는 한 많은 종류의 정제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 수납 공급 장치는, 다른 종류의 정제를 수납하여 공급할 수 있는 다수의 정제 카세트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정제 카세트는, 정제를 수납하는 카세트 본체와, 그 카세트 본체의 바닥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배치된 로터를 포함하고 있다. 로터가 회전하면, 카세트 본체 내의 정제가 로터에 형성된 복수의 정제 안내로에 순서대로 안내되고, 각 정제 안내로가 카세트 본체의 정제 배출 구멍과 일치한 시점에, 정제 안내로의 최하부의 정제와 그 상방의 정제가 칸막이 부재에 의해 구획되고, 최하부의 정제만이 정제 배출 구멍으로부터 배출된다.
본원 출원인은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정제의 종류에 따라 로터의 정제 안내로의 깊이, 폭을 변경할 수 있는 정제 카세트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정제 카세트는, 정제 안내로의 깊이 방향의 면을 형성하는 가동편을 로터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동편 이동 기구와, 정제 안내로의 폭 방향의 면을 형성하는 측벽을 갖는 제1과 제2 가동 부재를 로터의 둘레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폭 조정 기구와, 정제 안내로를 따라 복수의 정제 누름 부재를 마련하고, 어느 하나의 정제 누름 부재를 압박 부재로 압박하여 최하위의 정제보다 위의 정제를 유지함으로써, 최하위의 정제만을 배출하는 정제 칸막이 기구를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의 정제 카세트는, 정제 안내로의 깊이, 폭, 칸막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형상이나 크기의 정제를 취급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번호 WO2012/096328
종래의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의 치수는 각각의 조정 기구에 따라 조정할 수 있지만, 다종다양한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치수를 결정하는 것은 번잡하며, 숙련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정제 안내로의 치수를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카세트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된 정제를 적어도 1개 수용하여 상기 카세트 본체의 배출 구멍으로 안내하는 정제 안내로를 갖는 로터와,
상기 배출 구멍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로터의 상기 정제 안내로에 진입하여 상기 정제 안내로에 위치하는 최하부의 정제와 그 상방의 정제 사이에 위치하는 칸막이 부재와,
상기 정제 안내로의 깊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치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 안내로의 깊이는 상기 정제 안내로의 홈의 바닥면과 상기 카세트 본체의 내면 사이의 치수로 규정되고, 상기 정제 안내로의 폭은 상기 정제 안내로의 양측의 측면 사이의 치수로 규정된, 정제 카세트에 있어서의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를 조정하는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의 결합부에 결합하고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상기 정제 안내로의 치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는, 또한 상기 정제 안내로의 높이의 치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제 안내로의 높이는, 상기 정제 안내로의 하단에 위치하는 정제 지지대와 상기 칸막이 부재 사이의 치수로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의 결합부에 결합하는 안내로 조정부와,
상기 안내로 조정부를 구동하는 안내로 구동부와,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의 제로점을 검출하는 제1 제로점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로 구동부에 의해 상기 안내로 조정부를 구동하고,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의 상기 제로점이 상기 제1 제로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양만큼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알맞은 상기 정제 안내로의 치수 또는 그 치수에 관련된 수치를 기억한 제1 정제 마스터 기억부를 가지고,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정제 마스터 기억부에 기억한 치수 또는 그 치수에 관련된 수치로 상기 정제 안내로의 치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세트 본체는,
상기 칸막이 부재의 진입 위치를 조정하는 칸막이 조정 기구를 가지고,
상기 칸막이 조정 기구의 결합부에 결합하고 상기 칸막이 조정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 또는 상기 정제 안내로의 깊이에 따라 상기 칸막이 부재의 진입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칸막이 조정 기구의 결합부에 결합하는 칸막이 조정부와,
상기 칸막이 조정부를 구동하는 칸막이 구동부와,
상기 칸막이 조정 기구의 제로점을 검출하는 제2 제로점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 구동부에 의해 상기 칸막이 조정부를 구동하고, 상기 칸막이 조정 기구의 상기 제로점이 상기 제2 제로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 또는 상기 정제 안내로의 깊이에 따라 상기 칸막이 부재를 미리 설정된 진입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 또는 상기 정제 안내로의 깊이에 알맞은 상기 칸막이 부재의 상기 정제 안내로에의 진입 위치 또는 그 진입 위치에 관련된 수치를 기억하는 제2 정제 마스터 기억부를 가지고,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 또는 상기 정제 안내로의 깊이에 따라, 상기 제2 정제 마스터 기억부에 기억한 진입 위치 또는 그 진입 위치에 관련된 수치로 상기 칸막이 부재의 진입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세트 본체를 장착하는 카세트 장착부와,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카세트 본체로부터 취출한 상기 로터를 배치하는 로터 배치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상기 카세트 본체가 장착된 후, 상기 칸막이 조정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고, 상기 칸막이 구동부에 의해 상기 칸막이 조정부를 구동하여, 상기 칸막이 부재를 상기 정제 안내로로부터 후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터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로터의 상기 결합부에 상기 안내로 조정부가 결합할 때까지, 상기 안내로 조정부를 강하시키는 레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정제 안내로의 깊이, 두께, 높이 등의 치수를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를 구비한 정제 수납 취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정제 카세트와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정제 카세트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정제 카세트의 바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카세트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정제 카세트의 로터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카세트 본체의 로터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카세트 본체의 칸막이 조정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b는 칸막이 부재의 진입 위치를 나타내는 카세트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로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0은 로터의 바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깊이 조정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높이 조정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폭 조정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깊이 조정 기구에 의한 깊이의 조정 상태를 설명하는 카세트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높이 조정 기구에 의한 높이의 조정 상태를 설명하는 카세트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폭 조정 기구에 의한 폭의 조정 상태를 설명하는 가동 부재와 폭 조정 부재의 평면도(a) 및 저면도(b)이다.
도 17은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의 내부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9는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의 내부 측면도이다.
도 20은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의 후방부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의 센서 부착대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조정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의 내부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의 제어 시스템도이다.
도 25는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26은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에 정제 카세트 및 로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에 의한 깊이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8은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에 의한 높이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9는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에 의한 폭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0은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에 의한 칸막이 부재의 진입 위치의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31은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의 로터 배치부와 센서 부착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a), 로터 배치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b)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처방에 따른 종류와 개수의 정제를 공급할 수 있는 정제 수납 공급 장치(1)를 나타낸다. 정제 수납 공급 장치(1)에는, 다수의 정제 카세트(2)가 각각의 베이스(3)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정제 수납 공급 장치(1)의 옆에 마련된 대(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먼저, 정제 카세트(2)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 후,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정제」에는, 협의의 정제 외에, 캡슐, 당의정 등 정제 카세트(2)로 공급 가능 약제를 포함한다.
도 2는 정제 수납 공급 장치(1)에 장착되는 정제 카세트(2)와 그 베이스(3)를 나타낸다. 정제 카세트(2)는, 카세트 본체(5)와, 그 카세트 본체(5)의 상방 개구를 개폐 또한 착탈 가능하게 덮는 덮개(6)와, 카세트 본체(5)의 하부에 마련된 스커트부(7)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세트 본체(5)에 수용된 로터(8)를 포함하고 있다.
덮개(6)의 상면과 스커트부(7)의 정면에는, 정제 카세트(2)에 수용되는 정제를 식별할 수 있는 라벨 또는 카드가 수용되는 포켓(6a, 7a)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커트부(7)의 내측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베이스(3)의 장착 가이드(3a)에 미끄럼 접촉하는 슬라이드부(7b)와, 장착 가이드(3a)의 걸림부(3b)에 결합하는 탄성 결합편(7c)이 마련되어 있다.
<카세트 본체의 구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세트 본체(5)는, 상방으로 개구하는 직사각형의 상부(5a)와, 역원추형의 경사부(5b)와, 원통 통형부(5c)와, 바닥부(5d)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부(5d)로부터 경사부(5b)까지의 내부 공간에는, 로터(8)가 수용되며, 로터(8)보다 상방에 다수의 정제(T)가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경사부(5b)의 하부로부터 바닥부(5d)에 걸쳐 정제 배출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정제 배출 구멍(9)은, 도 2에 나타내는 베이스(3)에 형성된 정제 배출로(3c)에 연통하고 있다. 카세트 본체(5)의 외측에는, 칸막이 부재(20)와, 그 칸막이 부재(20)의 위치를 조정하는 후술하는 칸막이 조정 기구(M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 부재(20)의 선단은 경사부(5b)의 외측으로부터 정제 배출 구멍(9)의 상방에 형성된 도 6에 나타내는 슬릿(9a)을 통해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바닥부(5d)의 중앙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로터 구동부(10)가 수용되는 로터 축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로터 구동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구동부(10)는, 로터 축 구멍(11)에 관통하는 구동축(12)과, 상기 구동축(12)의 상단에 결합하여 상기 구동축(12)과 일체로 회전하는 결합축(13)과, 구동축(12)의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구동축(12)과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 기어(14)와, 결합축(13), 구동축(12) 및 구동 기어(14)를 관통하여 이들을 일체화하는 중심축(15)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축(13)은, 구동축(12)의 상단면에 접촉하는 원형의 베이스부(13a)와, 상기 베이스부(13a)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둘레 6등분 배치 위치에 있는 결합편(13b)과, 인접한 결합편(13b)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13c)를 포함하고 있다. 결합편(13b) 및 연결부(13c)의 내면은, 링(16)을 통해, 로터 축 구멍(11)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환형 돌기(11a)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결합 부재(13b)는, 로터(8)를 장착하였을 때에, 도 10에 나타내는 로터(8)의 결합 오목부(41a)의 결합편(44) 사이의 슬릿(44a)에 결합하여, 로터 구동부(10)의 회전력을 로터(8)에 전달한다. 또한, 로터(8)에는 여러 가지 크기의 것이 있지만, 로터(8)의 카세트 본체(5)의 로터 구동부(10)에의 장착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로터(8)의 크기마다, 결합편(13b) 및 슬릿(44a)의 수를 6개, 5개, 4개로 하여도 좋다. 중심축(15)의 상단에는, 플랜지(15a)와 구멍(15b)이 형성되어 있다. 중심축의 구멍(15b)에는, 환형의 자석(15c)이 3개의 겹쳐 쌓인 상태로 삽입되고, 나사(15d)로 고정되어 있다. 자석(15c)은, 1개의 원기둥형의 것이어도 좋다. 중심축(15)의 하단은, 도 4에 나타내는 카세트 본체(5)의 바닥부(5d)에 부착된 기어 커버(17)를 관통하여 C형 멈춤링(15c)에 의해 빠짐 방지되어 있다. 구동 기어(14)는, 도 4에 나타내는 중간 기어(18)를 통해, 도 2에 나타내는 베이스(3)의 모터 기어(3d)에 결합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구동 기어(14)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세트 본체(5)의 바닥면에 마련된 걸림 레버(19)의 일단의 걸림 갈고리(19a)가 걸려 있다. 걸림 레버(19)의 타단의 작동부(19b)는 정제 카세트(2)의 장착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정제 카세트(2)를 베이스(3)에 장착하면, 걸림 레버(19)의 작동부(19b)가 도 2에 나타내는 베이스(3)의 정해진 접촉부(3e)에 접촉하여 걸림 레버(19)를 스프링(19c)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회동시켜, 걸림 갈고리(19a)가 구동 기어(14)로부터 이탈하여, 구동 기어(14)가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정제 카세트(2)를 베이스(3)로부터 공급하면, 걸림 레버(19)의 작동부(19b)가 베이스(3)의 접촉부(3e)로부터 떨어져, 걸림 레버(19)가 스프링(19c)의 압박력으로 회동하고, 걸림 갈고리(19a)가 구동 기어(14)에 걸려, 구동 기어(14)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 결과, 공급한 정제 카세트(2)의 로터(8)의 불시의 회전에 의해 정제(T)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칸막이 조정 기구>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 부재(20)는, 위로 볼록하게 만곡한 빗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20)는, 칸막이 조정 기구(M1)에 의해 로터(8)에 대하여 진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칸막이 조정 기구(M1)는, 제1 고정 부재(21)와, 제2 고정 부재(22)와, 가동 부재(23)와, 조정 부재(24)를 포함하고 있다.
제1 고정 부재(21)의 중앙에는, 가동 부재(23)의 슬라이드부(23c)와 스토퍼(28)가 수용되는 상부 케이스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부재(21)의 상부 케이스부(21a)의 양측에는 부착 구멍(2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부재(21)의 하면에는, 가동 부재(23)를 압박하여 안정시키는 1쌍의 탄성편(21c)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21c)의 선단에는, 가동 부재(23)의 홈(23d)에 결합하는 돌출부(21d)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 부재(22)의 중앙에는, 가동 부재(23)의 슬라이드부(23c)와 스토퍼(28)가 수용되는 하부 케이스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 부재(22)의 하부 케이스부(22a)의 양측의 아래 가장자리에는, 역 U자형의 절결(22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부재(21)의 상부 케이스부(21a)와 제2 고정 부재(22)의 하부 케이스부(22a)는, 서로 조합되면, 가동 부재(23)의 슬라이드부(23c)를 수용하고 하방으로 개구한 가동 부재 수용부(25)와, 스토퍼(28)가 수용되는 스토퍼 수용부(26)를 형성한다. 가동 부재 수용부(25)의 상부 케이스부(21a)의 아래 가장자리와 하부 케이스부(22a)의 위 가장자리에는, 조정 부재(24)의 축 방향의 양단을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하는 반원의 절결(27)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부재(23)는, 하단에 칸막이 부재(20)를 유지하는 유지부(23a)와, 상단에 나사 구멍(23b)을 갖는 슬라이드부(23c)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부재(23)의 상면 양단부에는, 홈(23d)이 형성되어 있다.
조정 부재(24)는, 가동 부재(23)의 슬라이드부(23c)의 나사 구멍(23b)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24a)와 결합 기어(24b)를 가지고 있다. 결합 기어(24b)에는 스토퍼(28)가 걸려 소요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가동 부재(23)의 홈(23d)과, 제1 고정 부재(21)의 돌출부(21d)가 결합함으로써, 가동 부재(23)는 조정 부재(24)의 회전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 부재(24)가 회전하면, 가동 부재(23)가 조정 부재(24)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칸막이 조정 기구(M1)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동 부재(23)의 슬라이드부(23c)를, 제2 고정 부재(22)의 하부 케이스부(22a)에 하방으로부터 수용하고, 조정 부재(24)를 슬라이드부(23c)에 나사 결합하여 관통시킨 후, 조정 부재(24)의 양단을 하부 케이스부(22)의 절결(27)에 배치한다. 또한, 제2 고정 부재(22)의 하부 케이스부(22a)에 스토퍼(28)를 수용한다. 이 상태로, 조정 부재(24)가 제1 고정 부재(21)와 제2 고정 부재의 절결(27)가 형성하는 구멍을 관통하도록 제2 고정 부재(22)에 제1 고정 부재(21)를 중합하면, 상부 케이스부(21a)에 마련된 탄성 걸림편(22e)의 갈고리(22f)가 하부 케이스부(22a)의 아래 가장자리에 걸려 일체로 조립된다. 또한, 결합 기어(24b)보다 절결(27)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결합 기어(24b)는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상부 케이스부(22a)와 하부 케이스부(22b)에 고정된다. 계속해서, 제2 고정 부재(22)의 절결(22b)과 제1 고정 부재(21)의 부착 구멍(21b)에 고정 나사(29)를 통과시켜 카세트 본체(5)의 배면의 나사 구멍(5e)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카세트 본체(5)에 고정된다.
칸막이 조정 기구(M1)의 조정 부재(24)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드부(23c)가 제1 고정 부재(21)의 상케이스(21a)와 제2 고정 부재(22)의 하케이스(22b)의 가동 부재 수용부(25) 내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23)에 유지한 칸막이 부재(20)가 카세트 본체(5) 내의 로터(8)를 향하여 전진 또는 후퇴하여, 칸막이 부재(20)의 선단 위치(20a)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도 8b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T)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는, 뒤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바와 같이 로터(8)의 로터 본체(31)를 상승시켜 하부 경사 외면(35c)과 카세트 본체(5)의 경사부(5b) 사이의 정제 안내로(8b)의 홈의 깊이(D)를 크게 하는데, 이에 따라 칸막이 부재(20)의 선단도 로터(8)를 향하여 전진시킨다. 도 8b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T)의 두께가 얇은 경우는, 로터(8)의 로터 본체(35)를 하강시켜 하부 경사 외면(35c)과 카세트 본체(5)의 경사부(5b) 사이의 정제 안내로(8b)의 홈의 깊이(D)를 작게 하는데, 이에 따라 칸막이 부재(20)의 선단도 로터(8)로부터 후퇴시킨다.
<로터의 전체 구조>
로터(8)는, 도 9,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략, 상면이 원추형, 측면이 역원추형, 바닥면이 평탄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로터(8)의 측면 상부에는, 둘레 방향에 정제 포켓(8a)이 마련되고, 그 정제 포켓(8a)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정제 안내로(8b)가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정제 포켓(8a)은, 후술하는 로터 본체(35)의 외주면과, 후술하는 제1 가동 부재(60)의 제1 수평 돌출편(73)과 제2 가동 부재(61)의 제2 수평 돌출편(82)으로 형성되고, 카세트 본체(5)의 경사부(5b)로 둘러싸이며, 카세트 본체(5) 내에 수용된 정제(T)를 받아 둘레 방향으로 정렬시킨다.
정제 안내로(8b)는, 후술하는 로터 본체(35)의 하부 경사 외면(35c)과, 후술하는 제1 가동 부재(60)의 제1 수직 돌출편(72), 후술하는 제2 가동 부재(61)의 제2 수직 돌출편(81)과, 후술하는 환형 승강 부재(51)의 정제 지지대(55)로 홈형으로 형성되며, 카세트 본체(5)의 경사부(5b)로 덮이고, 정제 포켓(8a)에 정렬하고 있는 정제(T)를 받아 하방으로 안내한다.
정제 안내로(8b)는, 정제 카세트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홈의 깊이, 높이, 폭을 조정하고, 정제가 원활하게 정제 안내로(8b)를 통과하여, 도 5에 나타내는 정제 배출 구멍(9)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해야 한다. 여기서, 정제 안내로(8b)의 홈의 「깊이」는, 정제 안내로(8b)를 통과하는 정제의 두께 방향의 치수로서, 카세트 본체(5)의 경사부(5b)와 로터 본체(31)의 하향 돌출부(35)의 하부 경사 외면(35c) 사이의 치수(D)이다. 홈의 「높이」는, 정제 안내로(8b)를 통과하는 정제의 높이 방향의 치수로서, 칸막이 부재(20)와 로터(8)의 환형 승강 부재(51)의 정제 지지대(55) 사이의 치수(H)이다. 홈의 「폭」은, 정제 안내로(8b)를 통과하는 정제의 폭 방향의 치수로서, 제1 가동 부재(60)의 제1 수직 돌출편(72)과 제2 가동 부재(61)의 제2 수직 돌출편(81) 사이의 치수(W)이다.
로터(8)는, 정제 안내로(8b)의 홈 형상을 조정하기 위해, 깊이 조정 기구(M2), 높이 조정 기구(M3), 폭 조정 기구(M4)를 가지고 있다. 이하, 이들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깊이 조정 기구>
도 11은 깊이 조정 기구(M2)를 구성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깊이 조정 기구(M2)는, 로터 커버(30)와, 로터 본체(31)와, 로터 베이스(32)와, 깊이 조정 부재(33)로 구성되어 있다.
로터 커버(30)는, 전체적으로 우산 형상을 가지고 있다. 로터 커버(30)의 상면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터 본체(31)는, 원형의 베이스부(34)와, 하향 돌출부(35)와, 환형부(36)와, 가이드부(37)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부(34)에는 그 중앙에 축부(38)가 마련되고, 그 축부(38)에 도시하지 않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34)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높이 조정 부재(52)와 폭 조정 부재(64)가 노출되는 2개의 구멍(34a, 34b)이 형성되어 있다.
하향 돌출부(35)는, 베이스부(34)의 외주 가장자리의 6등분 배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향 돌출부(35)는, 수직인 내면(35a)과, 베이스부(34)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하향으로 경사진 상부 경사 외면(35b)과, 그 상부 경사 외면(35b)의 하단으로부터 내방으로 하향으로 경사진 하부 경사 외면(35c)과, 양측면(35d)을 포함하고, 측면에서 보아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경사 외면(35c)은 정제 안내로(8b)의 홈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있다. 하향 돌출부(35)의 하단에는, 슬릿(35e)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부(36)는, 베이스부(34)의 외측에 동심으로 형성되며, 하향 돌출부(35)를 통해 베이스부(34)와 접속되어 있다.
가이드부(37)는, 하향 돌출부(35) 사이에서, 베이스부(34)의 외주 가장자리의 6등분 배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부(37)의 내면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로터 베이스(32)의 가이드편(4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 가장자리(37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편(40)과 가이드 가장자리(37a)가 결합함으로써, 로터 본체(31)와 로터 베이스(32)는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6개의 가이드부(37)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부(37)의 하단에는, 제로점을 검출하는 검출부가 되는 돌기(37b)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 베이스(32)는, 환형의 베이스부(39)와, 가이드편(40)과, 결합부(41)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부(39)는, 상면에 환형벽(42)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벽(42)에는, 둘레 6등분 배치 위치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슬릿(42a)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편(40)은, 베이스부(39)의 외주 가장자리의 둘레 6등분 배치 위치이고, 또한, 인접한 수직 슬릿(42a) 사이에,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가이드편(40)은 로터 본체(31)의 가이드부(37)의 가이드 가장자리(37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편(40)과 환형벽(42) 사이에는 보강 리브(43)가 마련되어 있다.
결합부(41)는, 베이스부(39)의 내주 가장자리의 둘레 6등분 배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솟는 결합편(44)과, 그 결합편(44)의 상단에 마련된 원형 돌출부(45)를 가지고 있다. 결합부(41)는, 이면에서 보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구동부(10)가 결합하는 결합 오목부(41a)를 형성하고 있다. 인접한 결합편(44) 사이의 슬릿(44a)에는, 로터 구동부(10)의 결합편(13b)이 결합하고 있다. 원형 돌출부(45)의 내부에는, 로터 구동부(10)의 중심축(15)에 마련된 자석(15c)에 흡착하는 자성판(46)이 매설되어 있다. 원형 돌출부(45)의 상면의 중심에는 깊이 조정 부재(33)가 지지되어 있다. 원형 돌출부(45)에는, 깊이 조정 부재(33)의 자유로운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48)를 수용하는 구멍(45a)과, 후술하는 제2 지지 부재(63)의 2개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93)에 삽입 관통된 도시하지 않는 나사가 나사 결합하는 2개의 나사 구멍(45b)이 형성되어 있다.
원형 돌출부(45)와 환형벽(42) 사이에는, 후술하는 높이 조정 기구(M3)를 수용하는 환형 오목부(47)가 형성되어 있다.
깊이 조정 부재(33)는, 수나사부(33a)와 하단의 기어부(33b)를 가지고 있다. 수나사부(33a)는 로터 본체(31)의 축부(38)의 도시하지 않는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하고, 하단의 기어부(33b)는 로터 베이스(32)의 원형 돌출부(45)에 지지되어 있다. 수나사부(33a)의 상단은, 결합부(33c)가 형성되고, 로터 본체(31)의 축부(38)로부터 돌출하여 노출되고, 외부로부터 회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어부(33b)의 톱니 사이에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스토퍼(48)의 선단이 걸려 있다.
깊이 조정 부재(33)는, 기어부(33b)가 제1 지지 부재(62)와 로터 베이스(32)에 의해 축 방향의 이동이 구속되고, 또한 로터 본체(31)의 가이드 가장자리(37a)가 로터 베이스(32)의 가이드편(40)과 결합함으로써 로터 본체(31)가 로터 베이스(32)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구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터 베이스(32)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깊이 조정 부재(33)를 회전시키면, 깊이 조정 부재(33)의 수나사부(33a)와 나사 결합하는 도시하지 않는 나사 구멍을 갖는 로터 본체(31)가 로터(4)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한다. 이에 따라, 정제 안내로(8b)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로터 본체(31)의 하향 돌출부(35)의 하부 경사 외면(35c)도 상승 또는 하강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하향 돌출부(35)의 하부 경사 외면(35c)은, 위에서 아래를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으로 외방으로부터 내방을 향하여 경사지고, 카세트 본체(5)의 역원추형의 경사부(5b)와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터 본체(31)의 하향 돌출부(35)의 하부 경사 외면(35c)이 하강하면, 하향 돌출부(35)의 하부 경사 외면(35c)과 카세트 본체(5)의 원추형의 경사부(5b) 사이의 거리가 축소되어, 정제 안내로(8b)의 깊이를 얕게(D1) 할 수 있다. 반대로, 로터 본체(31)의 하향 돌출부(35)의 하부 경사 외면(35c)이 상승하면, 하향 돌출부(35)의 하부 경사 외면(35c)과 카세트 본체(5)의 역원추형의 경사부(5b) 사이의 거리가 확대되어, 정제 안내로(8b)의 깊이를 깊게(D2)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깊이 조정 부재(33)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정제 안내로(8b)를 통과하는 정제(T)의 두께에 따라, 정제 안내로(8b)의 깊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깊이 조정 부재(33)의 기어부(33b)가 회전할 때마다, 스토퍼(48)의 선단이 기어부(33b)의 톱니를 타고 넘어 톱니 사이에 결합하기 때문에, 깊이 조정 부재(33)를 적당한 위치에서 멈추어, 로터 본체(35)를 원하는 높이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높이 조정 기구>
도 12는 높이 조정 기구(M3)를 구성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높이 조정 기구(M3)는, 통형 회전 부재(50)와, 환형 승강 부재(51)와, 높이 조정 부재(52)로 구성되어 있다.
통형 회전 부재(50)는, 외주 하부에 수나사부(50a)가 형성되고, 내주 상부에 종동 기어(50b)가 형성되어 있다. 종동 기어(50b)에는 통형 회전 부재(50)의 자유로운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53)가 결합하고 있다.
환형 승강 부재(51)는, 외주의 6등분 배치 위치에 방사형으로 아암(54)이 돌출 설치되고, 각 아암(54)의 선단에 정제 지지대(55)가 형성되어 있다. 정제 지지대(55)는, 정제 안내로(8b) 내의 최하위의 정제(T)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정제 안내로(8b)에 직교하도록 경사져 있다. 환형 승강 부재(51)의 내면에는 통형 회전 부재(50)의 수나사부(50a)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높이 조정 부재(52)는, 하단에 통형 회전 부재(50)의 종동 기어(50b)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52a)를 가지고 있다. 높이 조정 부재(52)의 상단은, 결합부(52b)가 형성되고, 로터 본체(31)의 베이스부(34)의 상면의 구멍(34a)으로부터 돌출하여 노출되고, 외부로부터 회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높이 조정 부재(52)는, 후술하는 제2 지지 부재(63)의 구멍(90)의 가장자리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통형 회전 부재(50)와 환형 승강 부재(51)는 서로 나사 결합한 상태로, 로터 베이스(32)의 환형 오목부(47)에 수용되고, 환형 승강 부재(51)의 아암(54)이 로터 베이스(32)의 환형벽(42)의 슬릿(42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정제 지지대(55)가 로터 베이스(32)의 환형벽(42)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정제 안내로(8b) 내의 최하위의 정제(T)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T)의 높이에 상당하는 정제 안내로(8b)의 높이(H)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높이 조정 기구(M3)의 높이 조정 부재(5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칸막이 부재(20)는 카세트 본체(5)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제 안내로(8b)의 높이(H)를 조정하는데, 칸막이 부재(20) 자체를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칸막이 부재(20)의 하방에 있는 정제 지지대(55)를 승강시켜, 칸막이 부재(20)와 정제 지지대(55)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정제 안내로(8b)의 정제 지지대(55)로부터 칸막이 부재(20)의 높이(H)를 조정하는 것이다.
높이 조정 부재(52)를 회전시키면, 통형 회전 부재(50)가 회전한다. 통형 회전 부재(50)는, 제2 지지 부재(63)와 로터 베이스(32)에 의해 상하의 이동이 구속되어 있다. 통형 회전 부재(50)의 수나사부(50a)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51a)를 갖는 환형 승강 부재(51)는 아암(54)이 로터 베이스(32)의 환형벽(42)의 슬릿(42a)을 관통하고 있어 회전이 구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형 회전 부재(50)의 회전에 의해, 환형 승강 부재(51)가 승강하고, 환형 승강 부재(51)의 정제 지지대(55)가 승강한다.
즉,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 회전 부재(50)가 한쪽으로 회전하면, 환형 승강 부재(51)의 정제 지지대(55)가 상승하여, 정제 지지대(55)에 대한 칸막이 부재(20)의 위치, 즉, 높이가 낮아(H1)진다. 반대로, 통형 회전 부재(50)가 다른 쪽으로 회전하면, 환형 승강 부재(51)의 정제 지지대(55)가 하강하여, 정제 지지대(55)에 대한 칸막이 부재(20)의 위치, 즉 높이가 높아(H2)진다. 또한, 높이 조정 부재(52)의 회전에 의해 통형 회전 부재(50)가 회전할 때마다, 스토퍼(53)의 선단이 통형 회전 부재(50)의 종동 기어(50b)의 톱니를 타고 넘어 톱니 사이에 결합하기 때문에, 높이 조정 부재(52)를 적당한 위치에서 멈추어, 정제 지지대(55)를 원하는 높이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폭 조정 기구>
도 13은 폭 조정 기구(M4)를 구성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폭 조정 기구(M4)는, 제1 가동 부재(60)와, 제2 가동 부재(61)와, 제1 지지 부재(62)와, 제2 지지 부재(63)와, 폭 조정 부재(64)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동 부재(60)는, 상부 부재(60a)와 하부 부재(60b)를 포함하는데, 상부 부재(60a)의 결합 돌출부(65)와 하부 부재(60b)의 결합 돌출부(66)가 결합하여 양자는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제1 가동 부재(60)의 상부 부재(60a)에는, 환형의 베이스부(67)의 내주에 대략 반원형의 절결(68)과 긴 구멍(69)이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가동 부재(60)를 위에서 보아 절결(68)의 중심에 대하여 대향하는 절결(68)의 가장자리에는, 제1 가동 부재(60)의 원주 방향에 대향하는 A 돌기(68a)와 B 돌기(68b)가 형성되어 있다. A 돌기(68a)와 B 돌기(68b)는, 후술하는 제1 조정축(94)의 A 캠(94a)과 B 캠(94b)에 미끄럼 접촉하는 캠 플로워가 된다.
제1 가동 부재(60)의 하부 부재(60b)는, 원환형의 베이스부(70)와, 6개의 벽부(71)와, 제1 수직 돌출편(72)과, 제1 수평 돌출편(73)을 가지고 있다. 6개의 벽부(71)는, 베이스부(70)의 외주 가장자리의 둘레 6등분 배치 위치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1 수직 돌출편(72)은, 벽부(71)의 정면에서 보아 좌측단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고, 전술한 정제 안내로(8b)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1 수직 돌출편(72)에는 칸막이 부재(20)가 끼워 넣어지는 절결(72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수평 돌출편(73)은, 제1 수직 돌출편(72)의 상단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수평으로 정면에서 보아 우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전술한 정제 포켓(8a)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2 가동 부재(61)는, 제1 가동 부재(60)와 마찬가지로, 상부 부재(61a)와 하부 부재(61b)를 포함하는데, 상부 부재(61a)의 결합 돌출부(74)와 하부 부재(61b)의 결합 오목부(75)가 결합하고, 양자는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제2 가동 부재(61)의 상부 부재(61a)에는, 환형의 베이스부(76)의 내주에 대략 반원형의 절결(77)과 긴 구멍(78)이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가동 부재(61)를 위에서 보아 대향하는 절결(77)의 가장자리에는, 제2 가동 부재(61)의 원주 방향에 대향하는 A 돌기(77a)와 B 돌기(77b)가 형성되어 있다. A 돌기(77a)와 B 돌기(77b)는, 후술하는 제2 조정축의 A 캠(95a)과 B 캠(95b)에 미끄럼 접촉하는 캠 플로워가 된다.
제2 가동 부재(61)의 하부 부재(61b)는, 원환형의 베이스부(79)와, 6개의 벽부(80)와, 제2 수직 돌출편(81)과, 제2 수평 돌출편(82)을 가지고 있다. 6개의 벽부(80)는, 베이스부(79)의 외주 가장자리의 둘레 6등분 배치 위치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2 수직 돌출편(81)은, 벽부(80)의 정면에서 보아 우측단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며, 전술한 정제 안내로(8b)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2 수직 돌출편(81)에는 칸막이 부재(20)가 끼워 넣어지는 절결(81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수평 돌출편(82)은, 제2 수직 돌출편(81)의 상단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수평으로 정면에서 보아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제1 가동 부재(60)의 제1 수평 돌출편(73)과 함께, 전술한 정제 포켓(8a)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2 가동 부재(61)의 제2 수평 돌출편(82)의 선단부는, 제1 가동 부재(60)의 제1 수평 돌출편(73)의 선단부의 아래에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62)는, 제1 가동 부재(60)의 상부 부재(60a)의 내직경보다 큰 외직경을 갖는 원형 형상을 가지고, 하면에 원형의 돌출부(83)를 가지고 있다. 제1 지지 부재(62)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폭 조정 부재(64)가 관통하는 구멍(84, 84a)과, 깊이 조정 기구(M2)의 깊이 조정 부재(33)가 관통하는 구멍(85)과, 높이 조정 기구(M3)의 높이 조정 부재(52)가 관통하는 구멍(86)과, 2개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8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63)는, 제1 가동 부재(60)의 상부 부재(60a)의 내직경보다 큰 외직경을 갖는 원형 형상을 가지고, 상면에 제1 지지 부재(62)의 원형의 돌출부(83)가 감합하는 환형 돌출부(88)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63)의 중앙에는, 깊이 조정 기구(M2)의 깊이 조정 부재(33)가 관통하는 구멍(89)과, 높이 조정 기구(M3)의 높이 조정 부재(52)가 관통하는 구멍(90) 및 절결(90a)과, 후술하는 폭 조정 부재(64)의 제1 조정축(94)이 관통하는 구멍(91a)과, 제2 조정축(95)이 감합하는 구멍(91b)과, 제1 지지 부재(62)의 2개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87)에 삽입 관통되는 도시하지 않는 나사가 나사 결합하는 2개의 나사 구멍(92)과, 2개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9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62)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87)으로부터 제2 지지 부재(63)의 나사 구멍(92)에 도시하지 않는 나사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제1 지지 부재(62)와 제2 지지 부재(63)는 제1 가동 부재(60), 제2 가동 부재(61)를 협지한 상태로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지지 부재(63)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93)으로부터 로터 베이스(32)의 나사 구멍(45b)에 도시하지 않는 나사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제2 지지 부재(63)가 로터 베이스(32)에 고정되며, 제2 지지 부재(63)와 로터 베이스(32) 사이에 높이 조정 기구(M3)의 통형 회전 부재(50)가 유지되어, 축 방향의 이동이 구속된다.
폭 조정 부재(64)는, 제1 조정축(94)과 제2 조정축(95)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조정축(94)은, 절결(68)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조정축(95)은, 긴 구멍(69)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조정축(95)에는, 폭 조정 부재(64)의 자유로운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96)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조정축(94)은, 상단으로부터 순서대로 A 캠(94a), B 캠(94b), 기어(94c)가 형성되어 있다. A 캠(94a)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조정 부재(64)를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360°의 범위에서 캠면의 반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제1 가동판(60)의 A 돌기(68a)와 미끄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B 캠(94b)은, 폭 조정 부재(64)를 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360°의 범위에서 캠면의 반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제1 가동판(60)의 B 돌기(68b)와 미끄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A 캠(94a)의 최대 반경부와 B 캠(94b)의 최대 반경부는 180°떨어져 위치한다. 제1 조정축(94)의 상단은 제1 지지 부재(62)의 구멍(84a)에 지지되고, 하단은 제2 지지 부재(63)의 구멍(91a)에 지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조정축(95)은, 하단으로부터 순서대로 A 캠(95a), B 캠(95b), 기어(95c), 결합부(95d)가 형성되어 있다. A 캠(95a)은, 폭 조정 부재(64)를 아래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360°의 범위에서 캠면의 반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제2 가동 부재(61)의 A 돌기(77a)와 미끄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B 캠(95b)은, 폭 조정 부재(64)를 아래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360°의 범위에서 캠면의 반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제2 가동판(61)의 B 돌기(77b)와 미끄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A 캠(95a)의 최대 반경부와 B 캠(95b)의 최대 반경부는 180°떨어져 위치한다. 제2 조정축(95)의 기어(95c)는, 기어(94c)와 맞물려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조정축(95)의 상단은 제1 지지 부재(62)의 구멍(69)을 관통하여 로터 본체(31)로부터 돌출하여 구멍(34a)으로부터 노출되고, 외부로부터 회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조정축(95)의 하단은 제2 지지 부재(63)의 구멍(91b)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조정축(94)의 상단이 제1 지지 부재(62)를 관통하여 로터 본체(35)로부터 돌출하여 노출되고, 외부로부터 회전 조정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제2 조정축(95)을 도 16의 (a)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조정축(95)의 기어(95c)로부터 제1 조정축(94)의 기어(94c)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제1 조정축(94)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조정축(94)의 회전에 의해, 제1 조정축(94)의 A 캠(94a)이 제1 가동 부재(60)의 A 돌기(68a)에 미끄럼 접촉하여 압박하기 때문에, 제1 가동 부재(60)는 도 16의 (a)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제2 조정축(95)의 회전에 의해,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조정축(95)의 A 캠(95a)이 제2 가동 부재(61)의 A 돌기(77a)에 미끄럼 접촉하여 압박하기 때문에, 제2 가동판(61)은 도 16의 (b)에 있어서 시계 방향, 도 16의 (a)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계속해서, 제2 조정축(95)을 도 16의 (a)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조정축(95)의 기어(95c)로부터 제1 조정축(94)의 기어(94c)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제1 조정축(94)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조정축(94)의 회전에 의해, 제1 조정축(94)의 B 캠(94b)이 제1 가동 부재(60)의 B 돌기(68b)에 미끄럼 접촉하여 압박하기 때문에, 제1 가동 부재(60)는 도 16의 (a)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제2 조정축(95)의 회전에 의해,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조정축(95)의 B 캠(95b)이 제2 가동 부재(61)의 B 돌기(77b)에 미끄럼 접촉하여 압박하기 때문에, 제2 가동 부재(61)는 도 16의 (b)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 도 16의 (a)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제1 가동 부재(60)와 제2 가동 부재(61)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가동 부재(60)의 제1 수직 돌출편(72)과 제2 가동 부재(61)의 제2 수직 돌출편(81)의 간격, 즉 정제 안내로(8b)의 폭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을 포함하지는 정제 카세트(2)에 있어서의 로터(8)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나타내는 카세트 본체(5)와 로터(8) 사이에는, 로터(8)의 측면 상부에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제 포켓(8a)과, 로터(8)의 측면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정제 안내로(8b)를 가지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카세트 본체(5)에 수용된 정제(T)는, 로터(8)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면서 정제 포켓(8a)에 진입하고, 정제 포켓(8a)으로부터 정제 안내로(8b)에 진입하고, 정제 안내로(8b)가 정제 배출 구멍(9)에 근접하면, 정제 안내로(8b)의 최하위의 정제(T)와 그것보다 위의 정제(T) 사이에 카세트 본체(5)에 고정된 칸막이 부재(20)가 진입한다. 칸막이 부재(20)보다 상방의 정제(T)는 칸막이 부재(20)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이 저지된다. 칸막이 부재(20)보다 하방의 최하위의 정제(T)는, 정제 지지대(55)에 있지만, 정제 지지대(55)는 경사져 있기 때문에, 그 정제 지지대(55) 상에서 정제 배출 구멍(9)을 향하여 쓰러져, 정제 배출 구멍(9)으로부터 배출된다. 정제 배출 구멍(7)으로부터 배출된 정제(T)는, 도 2에 나타내는 베이스(2)의 정제 배출로(3c)를 통하여 공급된다. 이에 의해, 정제 안내로(8b)가 정제 배출 구멍(9)에 돌아올 때마다, 정제(T)가 1개씩 배출된다. 로터(8)의 회전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처방에 따른 수의 정제(T)를 공급할 수 있다.
정제 안내로(8b)는, 전술한 칸막이 조정 기구(M1), 깊이 조정 기구(M2), 높이 조정 기구(M3), 폭 조정 기구(M4)를 이용하여, 정제(T)의 두께에 대한 칸막이 부재(20)의 진입 위치, 정제(T)의 두께에 상당하는 깊이(D), 정제의 높이에 상당하는 높이(H), 정제(T)의 폭에 상당하는 폭(W)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카세트 본체(5)에 수용하는 정제(T)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정제 안내로(8b)로 할 수 있다. 정제(T)가 다를 때마다, 정제 카세트(2) 전체 또는 로터(8)를 교환하는 일 없이, 동일한 정제 카세트(2) 또는 로터(8)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의 정제(T)에 맞춘 정제 안내로(8b)로 조정함으로써,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이하에 설명하는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100)를 나타낸다.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100)는, 이미 설명한 정제 카세트(2)의 정제 안내로(8b)의 홈의 깊이, 높이, 폭을 조정하는 각각의 조정 기구(M2, M3, M4)의 각 조정 부재(33, 52, 64)의 결합부(33c, 52b, 95d)에 결합하여 상기 조정 기구를 작동시켜, 카세트 본체(5) 내에 수용되는 정제(T)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정제 안내로(8b)의 치수를 조정하며, 칸막이 부재(20)의 진입 위치를 조정하는 칸막이 조정 기구(M1)의 칸막이 조정 부재(24)의 결합 기어(24b)에 결합하여, 상기 칸막이 조정 기구(M1)을 작동시키고, 카세트 본체(5) 내에 수용되는 정제(T)의 형상 또는 크기, 정제 안내로(8b)의 홈의 깊이에 따라 칸막이 부재(20)의 진입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100)는, 장치 본체(101)와, 카세트 장착부(102)와, 로터 배치부(103)와, 도 18에 나타내는 승강 테이블(104)과, 승강 조작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101)는, 도 18에 나타내는 하부 프레임(106)과, 그 하부 프레임(106)의 양단으로부터 솟는 사이드 프레임(107)과, 그 사이드 프레임(107)의 상단에 마련된 상부 프레임(108)과, 그 상부 프레임(108)의 후방에 마련된 후방부 프레임(109)을 가지고 있다.
카세트 장착부(102)는, 상부 프레임(108)에 마련된 카세트 장착 베이스(110)를 가지고 있다. 카세트 장착 베이스(110)에는, 정제 수납 취출 장치(1)의 베이스(3)와 마찬가지로, 정제 카세트(2)를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 가이드(110a)와, 걸림부(110b)를 가지고 있다. 카세트 장착 베이스(110)의 후방의 후방부 프레임(109)에는, 도 19,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 조정축(111)이 마련되어 있다. 칸막이 조정축(111)은, 정제 카세트(2)를 장착하였을 때에 정제 카세트(2)의 칸막이 조정 부재(24)의 결합 기어(24b)와 결합하는 구동 기어(112)를 갖는다. 칸막이 조정축(111)은, 칸막이 조정 모터(113)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후방부 프레임(109)의 전방의 경사 프레임(114)에는, 정제 카세트(2)의 칸막이 조정 기구(M1)의 가동 부재(23)가 접촉하는 칸막이 제로점 검출 센서(115)의 검출 레버(116)가 돌출하고 있다. 검출 레버(116)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자형으로, 지지축(117)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칸막이 제로점 검출 센서(115)에 의해 검지되는 검지부(116a)를 가지고 있다.
로터 배치부(103)는, 도 18에 나타내는 하부 프레임(106)에 마련된 센서 부착대(118)를 가지고 있다. 센서 부착대(118)의 상면에는, 로터 장착 돌출부(119)가 마련되어 있다. 로터 장착 돌출부(119)는, 카세트 본체(5)의 로터 구동부(10)의 결합축(13)과 동일한 형상의 결합축(120)을 가지며, 정제 카세트(2)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센서 부착대(118)의 측면에는, 깊이 제로점 검출 센서(121), 높이 제로점 검출 센서(122), 폭 제로점 검출 센서(123) 각각이 마련되어 있다. 각 센서(121, 122, 123)의 도 21에 나타내는 각 검출부(121a, 122a, 123a)는, 로터 배치부(10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로터 배치부(103)에 배치되는 로터(8)의 가이드부(37)의 돌기(37b), 정제 지지대(55)의 하면, 제1 수직 돌출편(72)에 각각 대향하여,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승강 테이블(104)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의 수직부(124)에 마련된 슬라이더(125)가 장치 본체(101)의 사이드 프레임(107)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126)에 결합하여,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강 테이블(104)의 전방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깊이 조정축(127), 높이 조정축(128) 및 폭 조정축(129)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깊이 조정축(127)은,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의 대직경부(130)와, 하방의 소직경부(131)와, 대직경부(130)와 소직경부(131) 사이의 단차부(132)를 포함하고, 대직경부(130)의 상단에 풀리(133)가 부착되고, 소직경부(131)의 하단에 결합축(134)이 부착되어 있다. 결합축(134)은, 하단에 깊이 조정 부재(33)의 결합부(33c)에 결합하는 결합부(134a)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소직경부(131)의 하단이 삽입되는 구멍(134b)과, 깊이 조정축(127)의 하부에 마련한 핀(135)이 끼워 넣어지는 슬릿(134c)이 형성되어 있다. 깊이 조정축(127)의 단차부(132)와 결합축(134)의 상단 사이에는 스프링(136)이 장착되어 있다. 높이 조정축(128), 폭 조정축(129)도, 깊이 조정축(127)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테이블(104)의 후방부에는, 깊이 구동축(137), 높이 구동축(138) 및 폭 구동축(139)이 마련되어 있다. 각 구동축(137, 138, 139)에는 풀리(140)가 마련되고, 깊이 조정축(127), 높이 조정축(128), 폭 조정축(129)의 풀리(133)와 벨트(141)로 연결되어 있다. 각 구동축(137, 138, 139)은, 깊이 조정 모터(142), 높이 조정 모터(143), 폭 조정 모터(144)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9로 되돌아가면, 승강 조작부(105)는, 레버(145)와, 핸들(146)과, 위치 검출 센서(147)를 포함하고 있다.
레버(145)는, 양측의 사이드 프레임(107)의 외측에 한쌍 마련되고, 일단이 사이드 프레임(107) 사이에 마련된 지지축(148)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은 연결 바(149)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레버(145)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승강 테이블(104)의 수직부(124)에 마련된 롤러(150)가 끼워 넣어지는 긴 구멍(1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면에서 보아 우측의 레버(145)에는 지지축(148)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부(152)가 형성되고, 원호부(152)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절결(152a, 152b)이 형성되어 있다.
핸들(146)은, 정면에서 보아 우측의 레버(145)의 선단에 레버(14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핸들(146)은, 스프링(153)에 의해 레버(145)의 지지축(148)을 향하여 탄성 지지되어 있다. 핸들(146)의 선단에는 결합 갈고리(154)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갈고리(154)는, 핸들(146)이 하방으로 눌렸을 때에, 사이드 프레임(107)에 부착된 스토퍼 부재(155)의 결합부(155a)에 결합하여, 정해진 하측 위치에 유지된다.
위치 검출 센서(147)는, 사이드 프레임(107)에 부착되고, 레버(145)의 회동에 따라, 레버(145)의 원호부(152)의 절결(152a, 152b)을 검지하여, 레버(145)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24는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100)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 표시 장치(201), 정제 마스터(202)를 구비하고 있다. 깊이, 높이, 폭의 각 제로점 검출 센서(121, 122, 123) 및 칸막이 제로점 검출 센서(115)의 검출 신호는 제어 장치(200)에 입력된다. 또한, 레버 위치 검출 센서(147)의 검출 신호는, 제어 장치(200)에 입력된다. 또한, 카세트 장착부(102)에 마련된 제1 스타트 버튼(203)과 로터 배치부(103)에 마련된 제2 스타트 버튼(204)의 각 스타트 신호는, 제어 장치(200)에 입력된다. 정제 마스터(202)는, 본원 발명의 제1 정제 마스터 기억부와 제2 정제 마스터 기억부이고, 정제의 종류의 식별 ID와, 그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알맞은 정제 안내로(8b)의 깊이, 높이, 폭의 각 치수 및 그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 또는 정제 안내로(8b)의 깊이에 알맞은 칸막이 부재(20)의 정제 안내로(8b)에의 진입 위치를 기억한다. 정제 안내로(8b)의 치수 대신에, 그 치수에 관련된 수치, 예컨대 표준 치수에 대한 보정 계수 등을 기억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칸막이 부재(20)의 정제 안내로(8b)에의 진입 위치 대신에, 그 진입 위치에 관련된 수치, 예컨대 표준 진입 위치에 대한 보정 계수 등을 기억하여도 좋다. 제어 장치(200)는, 정제 마스터(202)와 각 센서(121, 122, 123, 115, 147) 및 버튼(203, 204)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깊이, 높이, 폭의 구동 모터(142, 143, 144) 및 칸막이 구동 모터(113)를 구동하고, 카세트 본체(5) 내에 수용되는 정제(T)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정제 안내로(8b)의 치수 및 칸막이 부재(20)의 진입 위치를 조정한다.
이상의 구성을 포함하지는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100)를 이용하여 정제 카세트(2)의 로터(8)의 정제 안내로(8b)의 치수 및 칸막이 부재(20)의 진입 위치를 조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2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정제 수납 취출 장치(1)로부터 정제(T)를 교체하고자 하는 정제 카세트(2)를 취출한다. 정제 카세트(2)에 정제(T)가 남아 있는 경우는 취출해 둔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롭게 수용하는 정제(T)의 상자(156)의 라벨(157)을 분리하여, 정제 카세트(2)의 포켓(6a)에 삽입하면 좋다.
단계 1에서, 정제 수납 취출 장치(1)로부터 취출한 정제 카세트(2)를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100)의 카세트 장착부(102)에 장착한다.
단계 2에서, 표시 장치(201)에 표시되는 정제 일람으로부터, 정제 카세트(2)에 새롭게 수용하고자 하는 정제를 선택하고, 표시 장치(201)의 OK 버튼을 누른다. 도시하지 않는 바코드 리더를 사용하여, 정제 카세트(2)의 포켓(6a)에 삽입한 라벨(157)의 바코드로부터 정제를 판독하여도 좋다.
표시 장치(201)의 OK 버튼이 눌리면, 단계 3에서, 칸막이 조정 모터(113)가 구동하여, 칸막이 부재(20)가 후퇴하고, 칸막이 부재(20)의 선단이 적어도 카세트 본체(5)의 제1 가동 부재(60)의 절결(72a)과 제2 가동 부재(61)의 절결(81a)로부터 후퇴한다. 이에 의해, 로터(8)를 카세트 본체(5)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계 4에서, 정제 카세트(2)의 카세트 본체(5)로부터 로터(8)를 취출하고, 로터(8)의 로터 커버(30)를 제거하여, 깊이 조정 부재(33), 높이 조정 부재(52), 폭 조정 부재(64)의 각 결합부를 노출시킨다.
단계 5에서, 카세트 본체(5)로부터 취출한 로터(8)를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100)의 로터 배치부(103)에 배치한다.
단계 6에서,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100)의 핸들(146)을 파지하여 레버(145)를 내린다. 이에 의해, 깊이 조정축(127), 높이 조정축(128), 폭 조정축(129)의 각 결합부(134a)가 로터(8)의 깊이 조정 부재(33), 높이 조정 부재(52), 폭 조정 부재(64)의 각 결합부에 결합한다. 깊이 조정축(127), 높이 조정축(128), 폭 조정축(129)의 각 결합부는, 스프링(136)의 압박력에 의해, 로터(8)의 깊이 조정 부재(33), 높이 조정 부재(52), 폭 조정 부재(64)의 각 결합부와 결합 상태로 유지된다. 레버(145)는, 핸들(146)이 스프링(153)의 압박력에 의해 결합 갈고리(154)가 스토퍼 부재(155)의 결합부(155a)에 걸려, 눌림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레버(145)의 눌림 위치는, 레버 위치 검출 센서(147)에 의해 검출되기 때문에, 제어 장치(200)는 정제 안내로 조정의 준비 완료로 판단한다.
단계 7에서, 제1 스타트 버튼(203)을 누르면, 단계 8에서, 깊이, 높이, 폭의 각 조정 모터(142, 143, 144)가 구동하여, 선택한 정제에 따라, 로터(8)의 정제 안내로(8b)의 깊이, 높이, 폭이 정제 마스터 기억부(202)에 기억된 마스터값으로 조정된다. 또한, 이 정제 안내로의 조정 동작 사이, 카세트 장착부(102)에 장착한 정제 카세트(2)의 카세트 본체(5)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정제 안내로의 조정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각 제로점 검출 센서(121, 122, 123)가 제로점을 검출할 때까지 각 조정 모터(142, 143, 144)를 일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즉,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깊이 조정축(127)의 회전에 의해 깊이 조정 기구(M2)가 작동하여, 로터 본체(31)의 가이드부(37)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가이드부(35)의 하단의 돌기(37b)가 깊이 제로점 검출 센서(121)의 검출부(121a)를 압박하기 때문에, 깊이 제로점이 검출된다.
또한,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조정축(128)의 회전에 의해 높이 조정 기구(M3)가 작동하여, 정제 지지대(55)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정제 지지대(55)의 하면이 높이 제로점 검출 센서(122)의 검출부(122a)를 압박하기 때문에, 높이 제로점이 검출된다.
또한,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조정축(129)의 회전에 의해 폭 조정 기구(M4)가 작동하여, 제1 가동 부재(60)의 제1 수직 돌출편(72)과, 제2 가동 부재(61)의 제2 수직 돌출편(81)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가동 부재의 제1 수직 돌출편(72)이 폭 제로점 검출 센서(123)의 검출부(123a)를 쓰러뜨리기 때문에, 폭 제로점이 검출된다.
다음에, 선택한 정제에 따른 정제 안내로(8b)의 깊이, 높이, 폭이 정제 마스터 기억부(202)에 기억된 각 마스터값이 될 때까지 각 모터(142, 143, 144)를 타방향으로 작동시킨다.
단계 9에서, 깊이, 높이, 폭의 조정을 끝낸 로터(8)에 로터 커버(30)를 부착하여, 카세트 장착부(102)의 정제 카세트(2)로 되돌린다.
단계 10에서, 제2 스타트 버튼(204)을 누르면, 단계 11에서, 구획 조정 모터(113)가 구동하여, 선택한 정제에 따라, 로터(8)의 정제 안내로(8b)에의 칸막이 부재(20)의 위치가 마스터값으로 조정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 조정 모터(113)의 구동에 의해 구획 조정축(111)이 회전하고, 칸막이 조정 기구(M1)가 작동하여, 가동 부재(23)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가동 부재(23)가 칸막이 제로점 검출 센서(115)의 검출부 검출 레버(116)를 압박하기 때문에, 검지부(116a)가 이동하여 칸막이 제로점 검출 센서(115)에 의해 칸막이 제로점이 검출된다. 다음에, 선택한 정제에 따른 칸막이 부재(20)의 정제 안내로(8b)에의 침입 위치가 각 마스터값이 될 때까지 칸막이 모터(113)를 타방향으로 작동시킨다.
단계 12에서, 정제 카세트(2)를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100)로부터 제거하면, 단계 13에서 정제 수납 취출 장치(1)의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상기 정제 카세트(2)에 수용되는 정제의 데이터를 재기록한다.
단계 12에서, 정제 안내로의 조정을 끝낸 정제 카세트(2)에 새로운 정제를 수용하여, 정제 수납 취출 장치(1)의 정해진 위치에 장착한다.
도 31은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100)의 센서 부착대(118)와 로터 배치부(103)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센서 부착대(118)에는, 중앙에 코일 스프링(118a)과, 그 코일 스프링(118a)의 내측에 슬라이드축(118b)이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축(118b)의 상단에는 자석(118c)이 부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18a)의 주위에는, 깊이 제로점 검출 센서(121), 높이 제로점 검출 센서(122), 폭 제로점 검출 센서(12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18a)의 주위에는, 둘레 3등분 배치 위치에, 후술하는 3개의 링크(103e)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118d)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 배치부(103)는, 센서 부착대(118)에 코일 스프링(118a)을 통해 지지되고, 센서 부착대(118)의 슬라이드축(118b)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터 배치부(103)는, 도 10에 나타내는 로터(8)의 결합 오목부(41a)가 감합하는 로터 장착 돌출부(119)를 갖는다. 로터 장착 돌출부(119)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로터(8)의 결합 오목부(41a)에 형성된 대소의 결합 구멍(41S, 41L)(도 10에는 41L만 나타냄)에 결합하는 결합편(119S, 119L)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터(8)는, 회전 방향으로 일위치에서만 부착할 수 있다. 로터(9)에는, 결합 구멍(41S, 41L)이 결합편(119S, 119L)에 확실하게 결합하도록, 부착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터 배치부(103)에는, 로터 장착 돌출부(119)의 주위에, 깊이 제로점 검출 센서(121), 높이 제로점 검출 센서(122), 폭 제로점 검출 센서(123)를 각각 바라보는 개구 구멍(103a, 103b, 103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터 배치부(103)에는, 후술하는 3개의 링크(103e)의 로터 수취부(103g)가 돌출하는 구멍(103d)이 형성되어 있다. 로터 배치부(103)의 이면에는, 3개의 링크(103e)가 배치되어 있다. 링크(103e)는, 지지축(103f)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에 로터 수취부(103g), 타단에 캠부(103h)를 가지고 있다.
링크(103e)는, 통상은, 캠부(103h)의 자기 중량에 의해, 로터 수취부(103g)가 로터 배치부(103)의 구멍(103d)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캠부(103h)의 단부가 센서 부착대(118)의 개구부(118d)의 가장자리에 접촉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로터 배치부(103)에 로터(8) 이외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하방으로는 강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각 센서(121, 122, 123)의 검출부(121a, 122a, 123a)가 각각 개구 구멍(103a, 103b, 103c)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각 센서(121, 122, 123)를 보호할 수 있다.
로터 배치부(103)에 로터(8)를 장착하여 하방으로 누르면, 로터(8)의 하면이 3개의 링크(103e)의 로터 수취부(103g)를 동시에 압박한다. 이에 의해, 링(103e)이 지지축(103f)의 둘레로 회동하여, 캠부(103h)의 단부가 구멍(118d)의 가장자리로부터 빠진다. 이 결과, 로터 배치부(103)는, 코일 스프링(118a)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강하한다. 그리고, 슬라이드축(118b)의 자석(118c)이 로터(8)의 자성판(46)에 흡착하여, 고정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제 안내로의 홈의 깊이, 높이, 폭의 전부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홈의 깊이, 높이, 폭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조정축을 레버에 의해 수동으로 승강시키도록 하였지만, 자동적으로 승강시켜도 좋다. 또한, 로터(8)를 정제 카세트(2)로부터 취출하지 않고, 정제 카세트(2)의 덮개(6)를 개방하여 로터 커버(30)를 벗긴 상태로, 정제 카세트(2)를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에 두고 정제 카세트(2) 내에 있는 로터(8)의 정제 안내로(8b)의 깊이, 높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칸막이 부재(20)의 진입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2 : 정제 카세트 5 : 카세트 본체
9 : 정제 배출 구멍 8b : 정제 안내로
20 : 칸막이 부재 24 : 칸막이 조정 부재
33 : 깊이 조정 부재 52 : 높이 조정 부재
64 : 폭 조정 부재 100 :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101 : 장치 본체 102 : 카세트 장착부
103 : 로터 배치부 104 : 승강 테이블
105 : 승강 테이블 105 : 승강 조작부
111 : 칸막이 조정축(칸막이 조정부) 113 : 칸막이 조정 모터
115 : 칸막이 제로점 검출 센서(제2 제로점 검출부)
121 : 깊이 제로점 검출 센서(제1 제로점 검출부)
122 : 높이 제로점 검출 센서(제1 제로점 검출부)
123 : 폭 제로점 검출 센서(제1 제로점 검출부)
127 : 깊이 조정축(안내로 조정부) 128 : 높이 조정축(안내로 조정부)
129 : 폭 조정축(안내로 조정부) 137 : 깊이 구동축(안내로 구동부)
138 : 높이 구동축(안내로 구동부) 139 : 폭 구동축(안내로 구동부)
142 : 깊이 조정 모터(안내로 구동부) 143 : 높이 조정 모터(안내로 구동부)
144 : 폭 조정 모터(안내로 구동부) 145 : 레버
200 : 제어 장치 201 : 표시 장치
202 : 정제 마스터(제1, 제2 정제 마스터 기억부)
203 : 제1 스타트 버튼 204 : 제2 스타트 버튼
M1 : 칸막이 조정 기구
M2 : 깊이 조정 기구(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
M3 : 높이 조정 기구(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
M4 : 폭 조정 기구(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

Claims (10)

  1. 카세트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된 정제를 적어도 1개 수용하여 상기 카세트 본체의 배출 구멍으로 안내하는 정제 안내로를 갖는 로터와,
    상기 배출 구멍의 상방에 마련되며, 상기 로터의 상기 정제 안내로에 진입하여 상기 정제 안내로에 위치하는 최하부의 정제와 그 상방의 정제 사이에 위치하는 칸막이 부재와,
    상기 정제 안내로의 깊이,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치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 안내로의 깊이는 상기 정제 안내로의 홈의 바닥면과 상기 카세트 본체의 내면 사이의 치수로 규정되고, 상기 정제 안내로의 폭은 상기 정제 안내로의 양측의 측면 사이의 치수로 규정된, 정제 카세트에 있어서의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를 조정하는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의 결합부에 결합하고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상기 정제 안내로의 치수를 조정하고,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는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의 결합부에 결합하는 안내로 조정부와,
    상기 안내로 조정부를 구동하는 안내로 구동부와,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의 제로점을 검출하는 제1 제로점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안내로 구동부에 의해 상기 안내로 조정부를 구동하고,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의 상기 제로점이 상기 제1 제로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양만큼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안내로 조정 기구는, 또한 상기 정제 안내로의 높이의 치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제 안내로의 높이는, 상기 정제 안내로의 하단에 위치하는 정제 지지대와 상기 칸막이 부재 사이의 치수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알맞은 상기 정제 안내로의 치수 또는 그 치수에 관련된 수치를 기억한 제1 정제 마스터 기억부를 가지고,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정제 마스터 기억부에 기억한 치수 또는 그 치수에 관련된 수치로 상기 정제 안내로의 치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본체는,
    상기 칸막이 부재의 진입 위치를 조정하는 칸막이 조정 기구를 가지고,
    상기 칸막이 조정 기구의 결합부에 결합하고 상기 칸막이 조정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 또는 상기 정제 안내로의 깊이에 따라 상기 칸막이 부재의 진입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조정 기구의 결합부에 결합하는 칸막이 조정부와,
    상기 칸막이 조정부를 구동하는 칸막이 구동부와,
    상기 칸막이 조정 기구의 제로점을 검출하는 제2 제로점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 구동부에 의해 상기 칸막이 조정부를 구동하고, 상기 칸막이 조정 기구의 상기 제로점이 상기 제2 제로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 또는 상기 정제 안내로의 깊이에 따라 상기 칸막이 부재를 미리 설정된 진입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 또는 상기 정제 안내로의 깊이에 알맞은 상기 칸막이 부재의 상기 정제 안내로에의 진입 위치 또는 그 진입 위치에 관련된 수치를 기억하는 제2 정제 마스터 기억부를 가지고, 상기 카세트 본체 내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또는 크기, 또는 상기 정제 안내로의 깊이에 따라, 상기 제2 정제 마스터 기억부에 기억한 진입 위치 또는 그 진입 위치에 관련된 수치로 상기 칸막이 부재의 진입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본체를 장착하는 카세트 장착부와,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카세트 본체로부터 취출한 상기 로터를 배치하는 로터 배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본체를 장착하는 카세트 장착부와,
    상기 칸막이 조정 기구의 결합부에 결합하는 칸막이 조정부와,
    상기 칸막이 조정부를 구동하는 칸막이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상기 카세트 본체가 장착된 후, 상기 칸막이 조정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고, 상기 칸막이 구동부에 의해 상기 칸막이 조정부를 구동하여, 상기 칸막이 부재를 상기 정제 안내로로부터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로터의 상기 결합부에 상기 안내로 조정부가 결합할 때까지, 상기 안내로 조정부를 강하시키는 레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10. 삭제
KR1020197031682A 2017-08-15 2018-08-06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KR102590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56797 2017-08-15
JP2017156797 2017-08-15
JPJP-P-2018-130293 2018-07-09
JP2018130293 2018-07-09
PCT/JP2018/029363 WO2019035379A1 (ja) 2017-08-15 2018-08-06 錠剤カセットの錠剤案内路調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807A KR20200036807A (ko) 2020-04-07
KR102590197B1 true KR102590197B1 (ko) 2023-10-16

Family

ID=6536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682A KR102590197B1 (ko) 2017-08-15 2018-08-06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97804B2 (ko)
EP (1) EP3669852A4 (ko)
JP (3) JP6975412B2 (ko)
KR (1) KR102590197B1 (ko)
CN (1) CN110799167B (ko)
AU (1) AU2018318480B2 (ko)
CA (1) CA3072585A1 (ko)
WO (1) WO20190353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72585A1 (en) * 2017-08-15 2019-02-21 Yuyama Mfg. Co., Ltd. Tablet guiding path adjusting apparatus for tablet cassette
US11661277B2 (en) * 2019-06-25 2023-05-30 Parata Systems, Llc Automated pharmacy dispensing machine with autocalibration station
WO2022138816A1 (ja) * 2020-12-25 2022-06-3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排出装置及び錠剤分包装置
WO2023130186A1 (en) * 2022-01-07 2023-07-13 Chronomed Inc. Automated medication units dispens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3917A1 (en) 2004-09-13 2006-09-28 Michael Handfield Smart tray for dispensing medicaments
JP2016026059A (ja) 2010-12-09 2016-02-1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計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5022A (en) * 1981-01-08 1982-07-17 Fuji Xerox Co Ltd Detecting circuit for zero cross point
US5259532A (en) * 1992-11-30 1993-11-09 Machine-O-Matic Limited Coin operated vending machine with adjustable dispensing wheel
CN102905979B (zh) * 2010-05-17 2015-05-20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片盒
EP2756834B1 (en) * 2011-01-14 2020-08-12 Yuyama Mfg. Co., Ltd. Tablet cassette
US9155681B2 (en) * 2011-01-20 2015-10-13 Yuyama Mfg. Co., Ltd. Medicine feeding device and a medicine counting device using the medicine feeding device
JP5421310B2 (ja) * 2011-03-04 2014-02-19 中洲電機株式会社 薬剤仕分け装置
KR101449717B1 (ko) * 2013-01-02 2014-10-15 주식회사 인포피아 약제 포장장치용 정제 카트리지
KR101476970B1 (ko) * 2013-05-14 2014-12-29 주식회사 인포피아 약제 포장장치용 정제 카트리지
US9550619B2 (en) * 2013-10-01 2017-01-24 PharmRight Corporation Slot adjustment and jam clearance for pharmaceutical dispenser
KR102360460B1 (ko) * 2014-07-23 2022-02-10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카세트
TWI724134B (zh) * 2016-03-25 2021-04-11 日商湯山製作所有限公司 片劑盒用轉子以及片劑盒
CA3072585A1 (en) 2017-08-15 2019-02-21 Yuyama Mfg. Co., Ltd. Tablet guiding path adjusting apparatus for tablet casset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3917A1 (en) 2004-09-13 2006-09-28 Michael Handfield Smart tray for dispensing medicaments
JP2016026059A (ja) 2010-12-09 2016-02-1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計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73376A (ja) 2023-05-25
AU2018318480A1 (en) 2020-02-20
EP3669852A1 (en) 2020-06-24
JP7430352B2 (ja) 2024-02-13
AU2018318480B2 (en) 2023-11-23
JP2022010092A (ja) 2022-01-14
JPWO2019035379A1 (ja) 2020-07-27
JP6975412B2 (ja) 2021-12-01
KR20200036807A (ko) 2020-04-07
CN110799167B (zh) 2021-09-17
EP3669852A4 (en) 2021-06-16
CN110799167A (zh) 2020-02-14
US11197804B2 (en) 2021-12-14
CA3072585A1 (en) 2019-02-21
US20210022961A1 (en) 2021-01-28
WO2019035379A1 (ja)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0197B1 (ko) 정제 카세트의 정제 안내로 조정 장치
JP6222414B1 (ja) 錠剤カセット用ロータ及び錠剤カセット
US7395945B2 (en) Controlled dispensing system with modular carousel
US5522525A (en) Medication dispenser station
US20060097001A1 (en) Device for dispensing medicine
CA2701396A1 (en) Medication dispensing and control unit
WO2020122074A1 (ja) 錠剤カセット用ロータ及び錠剤カセット
CN113677308B (zh) 药品排出系统、药品排出程序
RU2571408C2 (ru)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EP3690834A1 (en) Dispensing device
WO2022181417A1 (ja) 錠剤カセットの錠剤案内路調整装置
JP2020130337A (ja) 錠剤払出システム、錠剤払出制御プログラム
JP7141004B2 (ja) 錠剤払出システム、錠剤払出制御プログラム
JP2022121252A (ja) 錠剤払出システム、錠剤払出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