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141B1 - 향상된 접착 특성을 갖는 아이오노머 중간층 - Google Patents

향상된 접착 특성을 갖는 아이오노머 중간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141B1
KR102589141B1 KR1020207002862A KR20207002862A KR102589141B1 KR 102589141 B1 KR102589141 B1 KR 102589141B1 KR 1020207002862 A KR1020207002862 A KR 1020207002862A KR 20207002862 A KR20207002862 A KR 20207002862A KR 102589141 B1 KR102589141 B1 KR 102589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xylic acid
unsaturated carboxylic
weight
sodium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780A (ko
Inventor
찰스 앤소니 스미스
Original Assignee
쿠라레이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라레이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쿠라레이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88Adjustment of the adherence to the glass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43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acrylate (co)polymers or sal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32B17/10825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 B32B17/10834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using a fluid
    • B32B17/10844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using a fluid using a membrane between the layered product and the fluid
    • B32B17/10853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using a fluid using a membrane between the layered product and the fluid the membrane being bag-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32B17/10871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in combination with particular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99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 B32B17/10935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as a preformed layer, e.g. formed by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3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oxygen in a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76Neutralised polymers, i.e. ion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5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6Roofs, roof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특정량의 특정 실란 첨가제를 함유하고 유리에 대한 향상된 접착 특성을 갖는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조성물, 이러한 아이오노머 조성물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마스터배치 조성물, 이러한 아이오노머 조성물로 제조된 중간층 및 이러한 중간층을 포함하는 유리 라미네이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향상된 접착 특성을 갖는 아이오노머 중간층
본 발명은 유리에 대한 향상된 접착 특성을 갖는 에틸렌 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조성물에 기초한 중간층 및 이러한 중간층을 포함하는 유리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적층된 유리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중간층 상에 2개의 유리 조각을 적층함으로써 제조된다. 적층된 유리 대 고체 유리 시트의 하나의 특정 이점은 유리가 중간층 시트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 및 파손 저항성이 있다는 점이다.
안전성 유리 라미네이트에서, 유리에 대한 중간층의 최적의 접착은 밸런스이다. 너무 많은 접착력은 충격 이벤트동안 라미네이트가 에너지를 흡수 및 소산시키는 능력을 떨어뜨리고, 너무 적은 접착력은 광학적 결함(적층시 및 그 이후에)을 초래할 수 있고, 또한 충격시 유리 조각을 보유할 수 있는 중간층의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플라스틱 중간층로 많은 상이한 물질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아세탈(폴리비닐 부티랄) 및 가소제를 함유하는 시트는 유리와의 접착성이 탁월하기 때문에 적층된 유리의 중간층로서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중간층을 포함하는 적층된 유리는 양호한 투명도, 기계적 강도, 가요성, 음향 감쇠 및 파손 저항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된 에틸렌 산 공중합체(아이오노머)는 또한 예를 들어 US3404134, US3344014, US7445683B2, US7763360B2, US7951865B1, US7960017B2, US8399097B2, US8399098B2, US2017/0320297A1 US2018/0117883A1, WO2016/076336A1, WO2016/076337A1, WO2016/076338A1 WO2016/076339A1 및 WO2016/076340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안전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중간층로서 사용되었다.
아이오노머 수지는 탁월한 휨 강도 및 광학 특성을 갖는 중간층을 생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지만, 유리에 대한 접착 특성은 최적이 아닐 수 있다. 특히, 아이오노머는 중화된 산 공중합체이기 때문에, 특히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적층 결함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아이오노머 수지를 플로트 유리의 중간층로 사용하는 경우, 유리의 "주석 측"에서는 접착력이 만족스럽지만 "공기 측"에서는 접착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주석 측"과 중간층와의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이러한 유리 시트의 적절하게 배향을 위해 적층 공정 중에는 특별한 예방조치가 필요하다.
접착 사안을 돕기 위해 유리 및 중간층의 프라이머 및 기타 표면 처리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지만(예를 들어, US2016/0159042A1 참조), 이는 적층 공정에 비용과 복잡성을 추가하며, 이러한 표면 처리는 종종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충격 이벤트 동안 라미네이트가 에너지를 흡수 및 소산하는 능력을 손상시킬 수 있는 너무 많은 접착을 초래한다.
아이오노머 수지 변형 및 첨가제와의 배합도 시도되었다. 예를 들어, 에틸렌 산 공중합체의 산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은 최종 아이오노머의 접착 특성을 개선시키지만; 그러나, 산가를 얼마나 증가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한계가 있다. 첨가제는 또한 제한된 성공으로 사용되어왔다.
특히, 실란은 수많은 상이한 수지 시스템에서 유리에 대한 탁월한 접착 촉진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US20110105681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아이오노머, 특히 나트륨-중화된 아이오노머와 함께 실란을 사용하면 겔이 생성되고,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시트 압출을 완료할 수 있는 용융물 스트림을 생성할 수 없다. 이러한 특정 공보는 특정 유형의 아연-중화된 아이오노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좁은 부류의 아미노기-함유 디알콕시실란을 확인하였다.
US20110105681A1의 교시와는 대조적으로, 특정 부류의 실란은 나트륨-중화된 아이오노머에 대한 유리 접착 촉진제와 같은 매우 특정한 양으로 제한된 조건에서 성공적으로 및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향상된 중간층-유리 접착 특성을 갖는 중간층 및 유리 라미네이트의 제조에 있어서 이러한 아이오노머의 최적의 사용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i) 아이오노머 수지 및 (ii) 접착 촉진제 첨가제의 친밀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기재된 문제점을 해결하며, 여기서:
(1) 아이오노머 수지는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이고;
(2) 접착 촉진제 첨가제는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이고; 그리고
(3)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5000 백만분율 중량부 범위의 양으로 수지 조성물에 존재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일 구현예에서,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주위 조건에서 액체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수지 조성물 내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수지 조성물은 아이오노머 수지가 미립자 아이오노머 수지이고,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이 아이오노머 수지 입자의 표면에 흡수된 상태로 수지 조성물에 우세하게(또는 실질적으로) 존재하는 미립자 수지 조성물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i) 아이오노머 수지의 입자 및 (ii) 접착 촉진제 첨가제를 포함하는 미립자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1) 아이오노머 수지 입자의 아이오노머 수지는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이고;
(2) 접착 촉진제 첨가제는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이고;
(3)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아이오노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10 중량부의 범위의 양으로 마스터배치 조성물에 존재하고; 그리고
(4)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이 아이오노머 수지 입자의 표면에 흡수된 상태로 마스터배치 조성물에 우세하게(또는 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상기 마스터배치 조성물의 일 구현예에서,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주위 조건에서 액체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미립자 마스터배치 조성물 내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A) (i) 아이오노머 수지 입자 및 (ii) 접착 촉진제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1) 아이오노머 수지 입자의 아이오노머 수지는 제1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이고,
(2) 접착 촉진제 첨가제는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이고,
(3)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아이오노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10 중량부의 범위의 양으로 마스터배치 조성물에 존재하며,
(4) 디알콕시실란은 아이오노머 수지 입자의 표면에 흡수된 상태로 우세하게(또는 실질적으로) 존재하며; 및
(B)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일정량의 제2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와 혼합하여 상기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의 농도가 아이오노머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5000 백만분율 중량부인 친밀한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제1 및 제2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일 구현예에서,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주위 조건에서 액체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수지 조성물 내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혼합 단계는 용융 블렌딩 단계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제2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는 미립자이고, 혼합 단계는 제1 및 제2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 모두에 대한 비-연화 조건하에 수행되며, 수지 조성물은 미립자 수지 조성물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미립자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며:
(A) (i) 표면을 갖는 아이오노머 수지의 입자 및 (ii) 접착 촉진제 첨가제를 제공하며, 여기서 (1) 아이오노머 수지 입자의 아이오노머 수지는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이며, (2) 접착 촉진제 첨가제는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이고, 그리고
(B) 아이오노머 수지에 대한 비-연화 조건 하에서 입자를 접착 촉진제 첨가제와 물리적으로 혼합하여, 아이오노머 수지 입자의 표면에 흡수된 상태로 우세하게(또는 실질적으로) 존재하는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을 갖는 입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5000 백만분율 중량부의 수지 조성물 농도를 초래하는 양으로 제공된다.
상기 방법의 일 구현예에서,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주위 조건에서 액체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미립자 수지 조성물 내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모든 상기 조성물 및 방법의 일 구현예에서,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2개의 알콕시실란 그룹 외에 카복실산-반응성 기를 함유한다. 일 구현예에서, 카복실산-반응성 기는 아미노기 또는 글리시딜기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미립자 수지 조성물 중 하나를 전단 하에서 용융 블렌딩하여 용융 블렌드를 제조한 다음, 용융 블렌드를 다이를 통해 시트 형태로 압출한 다음 시트 형태를 냉각시켜 수지를 고화시킴으로써 아이오노머 수지의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시트는 최상부면 및 바닥면을 가지며, 시트는 고형화 전에 최상부면 및 바닥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패턴으로 엠보싱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이러한 수지 조성물의 중간층 시트, 및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중간층 사이에 개재된 2개의 유리 시트를 포함하는 이러한 중간층 시트로 제조된 유리 라미네이트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중간층 시트는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중간층 시트는 (실시예에 제시된 바와 같이) 34℃ 및 50% 상대 습도에서 미리 컨디셔닝되고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의 층은 공기 측 및 주석 측을 갖는 플로트 유리 시트의 공기 측에 부착될 때, 플로트 유리 시트의 공기 측에 부착된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 층의 박리 접착력은 적어도 약 20 N/cm이다(실시예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23℃ 및 50% RH 에서 측정됨).
또 다른 구현예에서, 중간층 시트는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중간층 시트는 (실시예에 제시된 바와 같이) 34℃ 및 50% 상대 습도에서 미리 컨디셔닝되고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의 층은 공기 측 및 주석 측을 갖는 플로트 유리 시트의 공기 측에 부착될 때, 플로트 유리 시트의 공기 측에 부착된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 층의 박리 접착력은 습식-상태 조건하에서 적어도 약 0.5 또는 적어도 약 1 N/cm이다(실시예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측정됨).
또 다른 구현예에서, 중간층 시트는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중간층 시트는 (실시예에 제시된 바와 같이) 34℃ 및 50% 상대 습도에서 미리 컨디셔닝되고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의 층은 공기 측 및 주석 측을 갖는 플로트 유리 시트에 부착될 때, 플로트 유리 시트의 공기 측에 부착되는 경우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 층의 박리 접착력은 (i) 약 5 N/cm보다 크거나(실시예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23 ℃ 및 50% RH 에서 측정됨), 약 10 N/cm보다 크며(실시예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23 ℃ 및 50% RH 에서 측정됨), (ii) 플로트 유리 시트의 주석 측에 부착될 때보다 더 크다(실시예에 제시된 바와 같이 23 ℃ 및 50% RH 에서 측정됨).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구현예, 특징 및 이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을 판독함으로써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마스터배치 조성물, 이러한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수지 조성물, 이러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중간층 및 이러한 중간층을 함유하는 유리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세부사항은 아래에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맥락에서, 본원에 언급된 모든 공보, 특허 출원, 특허 및 다른 참고문헌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 완전하게 제시된 것처럼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명백하게 편입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하는 경우에, 정의를 포함한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명시적으로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표명은 대문자로 표시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백분율, 부분, 비율, 은 중량 기준이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psi 단위로 표시되는 압력은 게이지이며, kPa 단위로 표시되는 압력은 절대적이다. 그러나, 압력 차이는 절대값으로 표시된다(예를 들어, 압력 1이 압력 2보다 25 psi 더 높음).
양, 농도 또는 다른 값 또는 파라미터가 범위 또는 상한 및 하한값의 목록으로 주어지는 경우, 이는 범위가 별도로 공개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임의의 상한 및 하한 범위의 한 쌍으로부터 형성된 모든 범위를 구체적으로 공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 범위가 인용되는 경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범위는 그의 종점, 및 범위 내의 모든 정수 및 분획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가 범위를 정의할 때 인용된 특정 값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용어 "약"이 사용될 때, 이는 특정 내성 내에서 얻을 수 있는 특정 효과 또는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며, 숙련가는 내성을 얻는 방법을 알고 있다.용어 "약"이 범위의 값 또는 종점을 기술하는데 사용될 때, 본 개시내용은 언급된 특정 값 또는 종점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포함하다", "포함하는", "포함한다", "포함한", "갖는다" 또는 "갖는"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요소 목록을 포함하는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이들 요소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러한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명시적으로 열거되거나 고유하지 않은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행 어구 "~으로 구성된"은 청구범위에 명시되지 않은 임의의 요소, 단계 또는 성분을 배제하고, 이와 통상적으로 관련된 불순물을 제외하고 인용된 것 이외의 물질의 포함으로 청구항을 마감한다. 어구 "~으로 구성된"이 서문 바로 다음이 아니라 청구항 본문의 구절에 나타날 때, 그 구절에 제시된 요소만 제한하며; 다른 요소들은 전체적으로 청구범위에서 배제되지 않는다.
이행 어구 "본질적으로 ~으로 구성된"은 청구항의 범위를 명시된 물질 또는 단계 및 청구된 발명의 기본 및 신규 특성(들)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로 제한한다. "본질적으로 구성된" 청구항은 "구성되는" 형식으로 작성된 폐쇄된 청구항과 "포함하는" 형식으로 작성된 완전하게 개방된 청구항 사이의 중간 지점을 차지한다. 이러한 첨가제에 적합한 수준으로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선택적 첨가제, 및 약간의 불순물은용어 "본질적으로 구성되는"에 의해 조성물에서 배제되지 않는다.
또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및 "및/또는"은 배타적이 아닌 포괄적인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조건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는 하기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충족된다: A는 참(또는 존재함)이고 B는 거짓(또는 존재하지 않음)이며, A는 거짓(또는 존재하지 않음)이고 B는 참(또는 존재함)이며, A와 B는 모두 참(또는 존재함)이다.
본원의 다양한 요소 및 구성성분을 설명하기 위해 "하나" 또는 "하나의"를 사용하는 것은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내용의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설명은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읽혀져야 하며, 단수의 의미는 명백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본원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용어 "우세한 부분" 또는 "우세하게"는 참고 물질의 50% 초과를 의미한다. 명시되지 않은 경우, 퍼센트는 분자(예컨대 수소 및 에틸렌)에 대해 언급될 때 몰 기준이고, 그렇지 않으면 중량 기준(예컨대 첨가제 함량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용어 "상당한 부분" 또는 "실질적으로"는 사용된 문맥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전부 또는 거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산업적 규모 또는 상업적-척도의 상황에서 발생하는 100%의 일부 합리적인 변동을 고려한다.
용어 "감손된" 또는 "감소된"은 본래 존재하는 것에서 감소된 것과 동의어이다. 예를 들어, 스트림으로부터 물질의 상당 부분을 제거하면 물질이 실질적으로 감손된 물질-감손된 스트림이 생성될 것이다. 반대로, 용어 "풍부한" 또는 "증가된"은 본래 존재하는 것보다 큰 것과 동의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공중합체"는 둘 이상의 공단량체의 공중합으로부터 생성된 공중합된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이와 관련하여, 공중합체는 그의 구성성분 공단량체 또는 그의 구성성분 공단량체의 양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및 15중량%의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유사한 설명을 참조한다. 이러한 설명은 공단량체를 공중합된 단위로 지칭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공중합체에 대한 종래의 명명법, 예를 들어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IUPAC) 명명법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방법에-의한-생성물(product-by-process)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또는 다른 이유로 비공식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이의 구성성분 공단량체 또는 이의 구성성분 공단량체의 양과 관련하여 공중합체에 대한 설명은 공중합체가 명시된 공단량체의 공중합된 단위(명시된 경우 특정량으로)를 함유함을 의미한다. 제한된 상황으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공중합체가 주어진 양의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의 생성물이 아니라는 것이 일반적이다.
용어 "이원중합체"는 본질적으로 2개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지칭하고, 용어 "삼원중합체"는 적어도 3개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산 공중합체"는 α-올레핀, α,β-에틸렌성 불포화된 카복실산의 공중합된 단위, 및 선택적으로 다른 적합한 공단량체(들), 예컨대 예를 들어 α,β-에틸렌성 불포화된 카복실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된 형태의용어 "(메트)아크릴", 예컨대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산, 예를 들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또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아이오노머"는 일반적으로 카복실레이트 염, 예를 들어 암모늄 카복실레이트, 알칼리 금속 카복실레이트, 알칼리토금속 카복실레이트, 전이 금속 카복실레이트 및/또는 이러한 카복실레이트의 조합물인 이온성 기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이러한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염기와의 반응에 의해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산 공중합체인, 전구체 또는 모체 중합체의 카복실산기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알칼리 금속 아이오노머는 나트륨 아이오노머, 예를 들어 에틸렌 및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이며, 여기서 공중합된 메타크릴산 단위의 카복실산 기의 전부 또는 일부는 중화되고, 실질적으로 모든 중화된 카복실산 기는 나트륨 카복실레이트 형태이다.
편의상, 본 발명의 많은 요소들이 개별적으로 논의되고, 옵션 목록이 제공될 수 있고, 수치는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목적 상, 그러한 개별 성분, 목록 또는 범위의 임의의 조합에 대한 청구항에 대한 본 개시내용의 범위 또는 본 개시내용의 지원에 대한 제한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과 가능한 각각의 모든 조합은 모든 목적을 위해 명백하게 개시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물질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물질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원의 물질, 방법 및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구체적으로 언급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상세한 설명
아이오노머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오노머 수지는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이며, 여기에는 에틸렌에서 유래된 구성성분 단위,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에서 유래된 구성성분 단위 및 선택적으로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에서 유래된 구성성분 단위의 적어도 일부가 나트륨 이온으로 중화되는,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구성성분 단위를 갖는 수지가 포함된다.
기재 중합체로서 작용하는 에틸렌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에 있어서,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에서 유래된 구성성분 단위의 함유 비율은 전형적으로 2질량% 이상, 또는 5질량% 이상, 또는 그 초과(총 공중합체 질량 기준)이다. 또한,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에서 유래된 구성성분 단위의 함유 비율은 전형적으로 30 질량% 또는 그 미만(총 공중합체 질량 기준)이다.
아이오노머를 구성하는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α,β-에틸렌성 불포화된 카복실산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α,β-에틸렌성 불포화된 카복실산은 메타크릴산이다.
에틸렌 산 공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추가 공단량체(들)의 공중합된 단위, 예컨대 α,β-에틸렌성 불포화된 카복실산 에스테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3 내지 10개, 또는 3 내지 8개의 탄소를 갖는 알킬 에스테르가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불포화된 카복실산의 적합한 에스테르의 특정 예는 비제한적으로,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크릴레이트, 운데실 아크릴레이트, 운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 말레에이트, 디에틸 말레에이트, 디부틸 말레에이트, 디메틸 푸마레이트, 디에틸 푸마레이트, 디부틸 푸마레이트, 디메틸 푸마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추가의 공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추가의 공단량체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추가의 공단량체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이다.
적합한 에틸렌 산 공중합체는 190℃ 및 2.16 kg에서 ASTM 방법 D1238-89에 따라 결정되는 바와 같이 약 1, 또는 약 2, 내지 약 4000 g/10분, 또는 내지 1000 g/10분, 또는 내지 약 400 g/10분의 용융 유량(MFR)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적합한 에틸렌 산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US3404134, US5028674, US6500888B2, US6518365B1, US8334033B2 및 US8399096B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US8399096B2에 기재된 방법이 사용되며, 반응 혼합물에 제2 α,β-에틸렌성 불포화된 카복실산의 유도체의 충분히 높은 수준 및 상보적인 양이 존재한다.
아이오노머를 수득하기 위해, 에틸렌 산 공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염기와의 반응에 의해 부분적으로 중화된다. 에틸렌 산 공중합체를 중화시키기 위한 적합한 절차의 예는 US3404134 및 US 6518365B1에 기재되어 있다. 중화 후, 에틸렌 산 공중합체에 존재하는 카복실산 기의 수소 원자의 약 1%, 또는 약 10%, 또는 약 15%, 또는 약 20%, 내지 약 90%, 또는 내지 약 60%, 또는 내지 약 55%, 또는 내지 약 30%가 다른 양이온으로 대체된다. 언급된 대안적으로, 에틸렌 산 공중합체에 존재하는 카복실산 기의 총 함량의 약 1%, 또는 약 10%, 또는 약 15%, 또는 약 20%, 내지 약 90%, 또는 내지 약 60%, 또는 내지 약 55%, 또는 내지 약 30%가 중화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표현에서, 산성 기는 중화되지 않은 에틸렌 산 공중합체에 대해 계산되거나 측정된 바와 같이, 에틸렌 산 공중합체에 존재하는 카복실산 기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약 1%, 또는 약 10%, 또는 약 15%, 또는 약 20%, 내지 약 90%, 또는 내지 약 60%, 또는 내지 약 55%, 또는 내지 약 30%의 수준으로 중화된다. 중화 수준은 특정 최종 용도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아이오노머에서 카복실레이트 음이온에 대한 반대이온은 나트륨 양이온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이오노머는 나트륨-중화된 아이오노머이지만, 나트륨 양이온 이외의 반대이온은 아이오노머내 카복실레이트기의 총 당량을 기준으로 5 당량% 미만, 또는 3 당량% 미만, 또는 2 당량% 미만, 또는 1 당량% 미만의 소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반대이온은 실질적으로 나트륨 이온이다.
나트륨 이외의 적합한 양이온은 아이오노머 조성물이 합성, 가공 및 사용되는 조건 하에서 안정한, 임의의 양으로 하전된 종을 포함한다. 적합한 양이온은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다른 양이온은 1가, 2가, 3가 또는 다가일 수 있는 금속 양이온이다. 1가 금속 양이온은 비제한적으로, 칼륨, 리튬, 은, 수은, 구리 등의 양이온을 포함한다. 2가 금속 양이온은 비제한적으로,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구리, 카드뮴, 수은, 주석, 납, 철, 코발트, 니켈, 아연 등의 양이온을 포함한다. 3가 금속 양이온은 비제한적으로, 알루미늄, 스칸듐, 철, 이트륨 등의 양이온을 포함한다. 다가 금속 양이온은 비제한적으로, 티타늄, 지르코늄, 하프늄, 바나듐, 탄탈럼, 텅스텐, 크로뮴, 세륨, 철 등의 양이온을 포함한다. 금속 양이온이 다가인 경우, US340413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착화제, 예컨대 스테아레이트, 올레에이트, 살리실레이트 및 페놀레이트 라디칼이 포함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사용된 금속 양이온은 1가 또는 2가 금속 양이온, 예컨대 리튬, 마그네슘, 아연, 칼륨 및 이들 금속 양이온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이다.
일 구현예에서, 나트륨 이외의 반대이온은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숙련가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산업 상황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바와 같이 최대 "오염물질" 양으로 존재한다.
생성된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산 공중합체는 ASTM 방법 D1238-89에 따라 190℃ 및 2.16 kg에서 상응하는 에틸렌 산 공중합체의 것보다 낮은 용융 지수를 갖는다. 아이오노머의 용융 지수는 에틸렌 산 공중합체의 용융 지수, 공중합된 산의 양, 중화 수준, 양이온의 동일성 및 그의 원자가를 포함하는 수많은 인자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아이오노머의 용융 지수의 원하는 값은 의도된 최종 용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전형적으로, 아이오노머는 190℃ 및 2.16 kg에서 ASTM 방법 D1238-89에 따라 측정시, 약 1000 g/10분 이하, 또는 약 750 g/10분 이하, 또는 약 500 g/10분 이하, 또는 약 250 g/10분 이하, 또는 약 100 g/10분 이하, 또는 약 50 g/10분 이하, 또는 약 25 g/10분 이하, 또는 약 20 g/10분 이하, 또는 약 10 g/10분 이하, 또는 약 7.5 g/10분 이하의 용융 지수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서, 아이오노머는 하기의 공중합된 단위를 포함하는(본질적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산 이원중합체이다:
(i) 에틸렌 및
(ii) 약 10중량%, 또는 약 15중량%, 또는 약 18중량%, 또는 약 20중량%, 내지 약 30중량%, 또는 내지 약 25중량%, 또는 내지 약 23중량% 또는 내지 약 22중량%의,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된 단위의 중량 백분율은 에틸렌 산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공중합된 단위의 중량 백분율의 합은 100중량%이고, 여기서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의 카복실산 기의 적어도 일부가 중화되어 나트륨 반대이온을 갖는 카복실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아이오노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배치 조성물.
일 구현예에서, 아이오노머는 하기의 공중합된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트륨-중화된 에틸렌 산 삼원중합체이다:
(i) 에틸렌,
(ii) 약 10중량%, 또는 약 15중량%, 또는 약 18중량%, 또는 약 20중량%, 내지 약 30중량%, 또는 내지 약 25중량%, 또는 내지 약 23중량% 또는 내지 약 22중량%의,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iii) 약 2중량%, 또는 약 3중량%, 또는 약 4중량%, 또는 약 5중량%, 내지 약 15중량%, 또는 내지 약 12 중량%, 또는 내지 약 11중량%, 또는 내지 약 10중량%의,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에스테르, 및
(iv) 선택적으로, (iii) +(iv)가 약 15중량% 이하, 또는 약 12 중량% 이하, 또는 약 11중량% 이하가 되도록 하는 양의 (iii) 이외의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의 유도체,
공중합된 단위의 중량 백분율은 에틸렌 산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공중합된 단위의 중량 백분율의 합은 100중량%이고, 여기서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의 카복실산 기의 적어도 일부가 중화되어 나트륨 반대이온을 갖는 카복실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아이오노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배치 조성물.
이러한 삼원중합체 아이오노머는 일반적으로 WO2015/199750A1, WO2014/100313A1 및 US2017/0320297A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이원중합체 또는 삼원중합체의 일 구현예에서,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은 메타크릴산이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삼원중합체의 일 구현예에서,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에스테르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상기 기재된 삼원중합체의 일 구현예에서, 공중합체는 본질적으로 (i), (ii) 및 (iii)의 공중합된 단위로 구성된다.
실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실란은 디알콕시실란이다. 이론을 고수하지 않으면서, 실란의 가수분해된 실란올 부분은 유리 표면(실란올)과 접착 결합을 형성하여 중합체와 유리 표면 사이의 계면에서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실란 분자의 나머지 부분은 주위의 아이오노머 수지 '매트릭스'와 함께 어떤 방식 으로든 어느 정도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달성하는 한 가지 방법은 실란이 화학적으로 또는 이온성 또는 수소 결합 또는 충분한 반데르발스력을 통해 결합하거나 입체적으로, 중간층와 유리 표면 사이를 "브릿지"할 수 있어, 유리한 실란 첨가제없이 동일한 중간층에 대한 접착성을 증가시키는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유리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작용기를 선택하는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각각의 알콕시기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개별적으로 함유한다. 적합한 예는 디에톡시디메틸실란, 디에톡실(메틸)비닐실란, 1,3-디에톡시-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디메톡시디메틸실란, 디메톡실메틸비닐실란, 메틸디에톡시실란, 디이소프로필디메톡시실란, 디사이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N-사이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페닐-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페닐-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및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실란은 알콕시기 외에, 아이오노머 수지 매트릭스, 예를 들어 아미노기 또는 글리시딜기와 같은 카복실산-반응성 기에 결합하기 위한 "활성" 화학기를 함유한다. 적합한 예는 γ-아미노프로필-N-사이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페닐-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페닐-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및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란은 주위 조건(예를 들어, 20℃) 하에서 액체이다. 구체적인 예는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CAS #3069-29-2) 및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CAS #2897-60-1)을 포함한다.
추가 접착 개질제
실란의 사용에 더하여, 요망하는 경우 중간층의 유리 등에 대한 접착력을 추가로 제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작용기가 카복실기 및 카복실기의 유도체 기(이하, 카복실기로도 칭함)(이하, 카복실기-함유 올레핀성 중합체로도 칭함)로부터 선택되는 반응성 작용기-함유 올레핀성 중합체도 접착 개질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카복실기-함유 올레핀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US7989083B2에 개시되어있다.
충분한 라미네이트 완전성(예를 들어, 적층분리 결함 방지) 및 파쇄 후 상태에서 유리의 충분한 보유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최소 접착 수준이 필요하지만, 최종 라미네이트의 충격 성능의 최적화 또는 조정은 의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 개질제의 최적 첨가량(누적)은 사용되는 첨가제 및 접착 개질될 수지에 따라 다르지만, 생성된 라미네이트의 유리에 대한 접착력이 일반적으로 펄멜(pummel) 테스트에서 약 3 이상 약 10 이하로 조정되는 방식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O03/033583A1 등에 기재됨). 특히, 높은 내 투과성이 요구되는 경우, 접착력이 약 3 이상 6 이하가 되도록 접착 개질제의 첨가량을 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높은 유리 비산 방지 특성이 요구되는 경우, 접착 개질제의 첨가량은 접착력이 약 7 이상 약 10 이하가 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른 첨가제
상기 언급된 실란 및 다른 접착 개질제 이외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및 마스터배치는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블로킹방지제, 안료, 염료, 열 차폐 물질(적외선 흡수제)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산화방지제의 예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황계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페놀계 산화방지제가 바람직하고, 알킬-치환된 페놀계 산화방지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예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예컨대 2-t-부틸-6-(3-t-부틸-2-하이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닐 아크릴레이트 및 2,4-디-t-아밀-6-(1-(3,5-디-t-아밀-2-하이드록시페닐)에틸)페닐 아크릴레이트; 알킬-치환된 페놀계 화합물, 예컨대 2,6-디-t-부틸-4-메틸페놀, 2,6-디-t-부틸-4-에틸페놀, 옥타데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4-메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6-t-부틸-m-크레졸),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비스(3-사이클로헥실-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메탄, 3,9-비스(2-(3-(3-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1,1,3-트릭스(2-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 비스(3-(3-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아진 그룹-함유 페놀계 화합물, 예컨대 1,3,5-트리스(2,6-디메틸-3-하이드록시-4-t-부틸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6-(4-하이드록시-3,5-디-t-부틸아닐리노)-2,4-비스-옥틸티오-1,3,5-트리아진, 6-(4-하이드록시-3,5-디메틸아닐리노)-2,4-비스-옥틸티오-1,3,5-트리아진, 6-(4-하이드록시-3-메틸-5-t-부틸아닐리노)-2,4-비스-옥틸티오-1,3,5-트리아진 및 2-옥틸티오-4,6-비스-(3,5-디-t-부틸-4-옥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등을 포함한다.
인계 산화방지제의 예는, 모노포스파이트계 화합물, 예컨대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이소데실 포스파이트, 페닐디이소데실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디노닐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2-t-부틸-4-메틸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 포스파이트, 트리스(사이클로헥실페닐) 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옥틸 포스파이트, 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10-(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및 10-데실옥시-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 디포스파이트계 화합물, 예컨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닐-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 4,4’-이소프로필리덴-비스(페닐-디-알킬(C12-C15) 포스파이트), 4,4’-이소프로필리덴-비스(디페닐모노알킬(C12-C15)포스파이트), 1,1,3-트리스(2-메틸-4-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5-t-부틸페닐)부탄 및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바이페닐렌 포스파이트 등을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모노포스파이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황계 산화방지제의 예는 디라우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라우릴 스테아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β-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3,9-비스(2-도데실티오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을 포함한다.
이들 산화방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최종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는 아이오노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전형적으로 약 0.001 중량부 이상, 또는 약 0.01 중량부 이상이다. 또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의 양은 전형적으로 아이오노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5 중량부 이하, 또는 약 1 중량부 이하이다. 마스터배치 조성물에서, [번호 추가].
자외선 흡수제의 예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예컨대 2-(5-메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t-부틸-5-메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5-메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및 2-(3,5-디-t-아밀-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트리아졸.; 힌더드 아민계 자외선 흡수제, 예컨대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벤조에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2-(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2-n-부틸말로네이트 및 4-(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1-(2-(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예컨대 2,4-디-t-부틸페닐-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및 헥사데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을 포함한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최종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의 양은 전형적으로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중량 ppm 이상, 또는 약 100 중량 ppm 이상이다. 또한,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의 양은 전형적으로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000 ppm 이하 또는 약 10,000 ppm 이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2종 이상의 유형의 UV 흡수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UV 흡수제가 첨가되지 않거나, 라미네이트에는 실질적으로 UV 흡수제가 첨가되지 않는다.
광안정화제의 예는 힌더드 아민계 물질, 예컨대 Adeka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ADEKA STAB LA-57"(상표명) 및 Ciba Specialty Chemicals Inc에 의해 제조된 "TINUVIN 622"(상표명)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간층에 차열재로서 차열성 미립자 또는 차열성 화합물을 혼입하여 적층된 유리가 제조되는 경우, 라미네이트에 차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1,500 nm의 파장에서의 투과율이 약 50% 이하로 조절될 수 있거나, TDS 값(ISO 13837:2008에서 계산됨)은 약 43% 미만으로 조절될 수 있다.
차열성 미립자의 예는, 금속-도핑된 인듐 옥사이드, 예컨대 주석-도핑된 인듐 옥사이드(ITO), 금속-도핑된 산화주석, 예컨대 안티몬-도핑된 산화주석(ATO), 금속-도핑된 산화아연, 예컨대 알루미늄-도핑된 산화아연 (AZO), 하기 식으로 제시된 금속 원소 복합체 텅스텐 옥사이드:MmWOn (M은 금속 원소를 나타내고; m은 약 0.01 이상 1.0 이하이고; n은 약 2.2 이상 3.0 이하임), 아연 안티모네이트(ZnSb2O5), 란탄 헥사보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ITO, ATO, 금속 원소 복합테 텅스텐 옥사이드가 바람직하고, 금속 원소 복합체 텅스텐 옥사이드가 더 바람직하다. 금속 원소 복합체 텅스텐 옥사이드에서 M으로 제시되는 금속 원소의 예는 Cs, Tl, Rb, Na, K 등을 포함하고, 특히 Cs가 바람직하다. 차열성의 관점에서, m은 바람직하게는 약 0.2 이상, 또는 약 0.3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0.5 이하 또는 약 0.4 이하이다.
최종 라미네이트의 투명도의 관점에서, 차열성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약 100 nm 이하, 또는 약 50 nm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차열성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레이저 회절기기에 의해 측정된 것을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최종 수지 조성물에서, 차열성 미립자의 함량은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0.01중량% 이상, 또는 약 0.05중량% 이상, 또는 약 0.1중량% 이상, 또는 약 0.2중량% 이상이다. 또한, 차열성 미립자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이하, 또는 약 3중량% 이하이다.
차열성 화합물의 예는,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등을 포함한다. 차열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차열성 화합물은 금속을 함유한다. 금속의 예는 Na, K, Li, Cu, Zn, Fe, Co, Ni, Ru, Rh, Pd, Pt, Mn, Sn, V, Ca, Al 등을 포함하며, Ni가 특히 바람직하다.
차열성 화합물의 함량은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0.001중량% 이상, 또는 약 0.005중량% 이상, 또는 약 0.01중량% 이상이다. 또한, 차열성 화합물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이하, 또는 약 0.5중량% 이하이다.
수지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다양한 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고 아이오노머 수지에 대한 용융 조건 하에서 성분을 친밀하게 혼합하여, 예를 들어, 용융 압출 또는 성형에 의해 최종적으로 최종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혼합물을 생성함으로써 용융 블렌드로서 제조될 수 있다.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용융 블렌딩에서, 실란을 단량체 수지 내로 충분한 정도의 균일성으로 블렌딩하기에 충분히 강렬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압출 배합을 통한 이러한 높은 수준의 혼합은 압출기에서 충분한 전단 및 체류 시간을 생성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 배합 동안 고농도의 실란의 국소화, 고온으로 인한 실란 및 중합체 수지의 분해를 피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올바른 공정 장비와 최적화된 공정 조건을 선택하면 변색된 수지, 겔 또는 분해된 생성물(예를 들어, 검은 얼룩)의 형성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란의 가수분해 정도는 수분에 대한 과도한 노출 및 연장된 시간에 고조될 것이며, 아마도 외부 수분 접촉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이 잘 이해된다. 예를 들어, 실란의 가수분해의 바람직한 최소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건조-공기 또는 질소로의 블랭킷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수지 조성물은 제1 아이오노머 수지의 마스터배치에 고농도의 실란을 제공한 후, 동일한 아이오노머 수지 및/또는 제2 아이오노머 수지에 첨가하여 원하는 실란 최종 농도의 조성물을 생성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배치 조성물의 일 구현예에서, 이는 아이오노머 수지의 입자 표면에 침지된 실란 첨가제를 포함하는 미립자 마스터배치 조성물이고, 여기서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마스터배치 조성물에 아이오노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1, 또는 약 2.5, 또는 약 5, 내지 약 10, 또는 내지 약 8 중량부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란은 액체이고, 이 마스터배치 조성물은 아이오노머 수지의 비-연화 조건, 즉 아이오노머 수지가 원래의 미립자 형태를 상당히 응집시키거나 잃는 정도로 용융 또는 연화되지 않는 조건에서 아이오노머 수지 입자와 액체 실란을 물리적으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란은 최소 반응 또는 분해로 입자 표면에 흡수된다.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아이오노머 수지 입자는 실질적으로 약 0.1 mm, 또는 약 0.2 mm, 내지 약 5 mm, 또는 내지 약 4 mm, 또는 내지 약 2 mm, 또는 내지 약 1 mm의 크기 범위이다. 이러한 입자는 스테이지 마이크로미터를 갖는 광학 현미경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0.01 mm의 눈금으로 1 mm의 스테이지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최대 1 mm의 입자가 측정될 수 있다. 1 mm보다 큰 입자는 0.05 mm의 분할로 25 mm의 스테이지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직경, 또는 장방형 또는 불규칙-형상 입자의 경우, 수지로부터 무작위로 선택된 20개의 입자의 최대 치수가 측정될 수 있고, 평균 입자 크기를 특성화하기 위해 20개의 입자의 평균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마스터배치를 제조하기 위한 입자는 공칭 펠릿 크기로부터, 예를 들어 극저온 분쇄에 의해 감소된다. 예를 들어, 극저온 분쇄는 약 4 mm 직경의 공칭 평균 입자 크기에서 약 0.1 mm 내지 약 0.5 mm 입자 크기 범위의 대략 평균 입자 크기까지 아이오노머 수지 펠릿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은 입자 중량에 비해 입자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들 입자는 밀링 공정 동안 파쇄되고 불규칙한 형상이며, 이는 공칭 구형 아이오노머 수지 펠릿 형상과 비교하여 입자 중량에 비해 표면적을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극저온 분쇄 공정은 일반적으로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전형적으로 분쇄/밀링 공정 전에 펠릿을 냉각시키기 위해 액체 질소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단 냉각되면, 펠릿은 기계식 밀을 통해 진행된다. 펠릿을 냉각시키기 위해 액체 질소를 사용하면 가열을 취소하고 중합체를 열화하지 않고도 보다 효과적인 크기 감소가 가능하다.
이들 아이오노머 수지 입자는 또한 다른 통상적인 수단, 예를 들어 수중 용융 절단(예를 들어, 평균 직경이 약 0.5 내지 약 1.5 mm인 "마이크로펠릿") 또는 관련 기술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른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립자 아이오노머 수지와 실란 첨가제를 상기와 같이 혼합함으로써(수지 입자 표면에 실란 첨가제를 포함함), 성분의 최종 농도를 초래하는 양으로 미립자 수지 조성물이 직접 제조될 수 있다.
실란 첨가제는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최종 수지 조성물이 약 50, 또는 약 100, 또는 약 250, 또는 약 500, 또는 약 750, 내지 약 5000, 또는 내지 약 4000, 또는 내지 약 2000, 또는 약 1500 내지 약 1250 백만분율의 양으로 존재한다.
존재하는 경우 추가의 첨가제는 마스터배치의 일부로서 혼합될 수 있거나,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되는 종래의 수단을 통해 최종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첨가될 수 있다.
시트/중간층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시트는 유리 라미네이트용 중간층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통상적인 용융 압출 또는 용융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이전에 포함된 공보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시트는 단일층 또는 다층 시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외부 층과 다른 선택적인 내부 층 사이에 개재된 기능성 코어 층을 갖는 다층 시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다층 중간층의 외부 층 중 적어도 하나(또는 둘 다)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시트이다.
기능성 코어 층의 일례로는 음향 감쇠 층, 예컨대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중간 막(JP2007-91491A 참고), 폴리비닐 아세탈 층(US2013/0183507A1, US8741439B2, JP2012-214305A 및 US8883317B2 참고), 점탄성 아크릴 층(US7121380B2 참고), 스티렌 및 고무계 수지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층(JP2009-256128A 참고),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층(US2012/0204940A1 참고),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머를 함유하는 층(WO2015/013242A1 참고), 에틸렌 산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층(WO2015/085165A1 참고)이 언급될 수 있다.
특정 일 구현예에서, 중간층은 WO2016/076336A1, WO2016/076337A1, WO2016/076338A1 WO2016/076339A1, WO2016/076340A1 및 US2017/0320297A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수지이다. 보다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수지는 하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된 생성물이며:
(i) 방향족 비닐 중합체 블록을 기준으로 약 60 mol% 이상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방향족 비닐 중합체 블록 (a),
(ii) 지방족 불포화된 중합체 블록을 기준으로 약 60 mol% 이상의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지방족 불포화된 중합체 블록 (b),
지방족 불포화된 중합체 블록 (b)는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로서 이소프렌 단위 및 부타디엔 단위를 총 약 50 mol% 이상 함유하고, 그리고
여기서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로부터 유래된 지방족 불포화된 중합체 블록의 잔존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양은 약 2 내지 약 40 mol%이다.
또한, 중간층은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대칭일 수 있거나, 또는 중간층의 일부가 또 다른 부분보다 큰 두께를 갖는 비대칭일 수 있다(예를 들어, US2017/0320297A1 및 US2018/0117883A1에 논의된 바와 같이 부분 또는 전체 "쐐기"). 또한, 라미네이트는 실질적으로 투명하거나 전체 또는 일부에서 착색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US2017/0320297A1 및 US2018/0117883A1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셰이드밴드").
대칭 구조에서, 중간층은 약 320 μm 이상, 또는 약 420 μm 이상의 총 필름 두께를 가져야 한다. 또한, 총 필름 두께는 약 1250 μm 이하, 또는 약 1,000 μm 이하이어야 한다.
쐐기와 같은 비대칭 구조에서, 중간층의 얇은 부분은 대칭 구조의 두께를 가져야 하며, 두꺼운 부분의 두께는 쐐기 각도와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에 의존할 것이다. 쐐기-형상화된 중간층의 일 구현예에서, 더 두꺼운 가장자리는 약 1850 μm 이하, 또는 약 1600 μm 이하, 또는 약 1520 μm 이하, 또는 약 1330 μm 이하, 또는 약 1140 μ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더 얇은 가장자리는 약 600μm 이상, 또는 약 700μm 이상, 또는 약 760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엠보싱과 같은 오목하고 볼록한 구조는 라미네이트 제조에서 손상을 돕도록 종래에 알려진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중간층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알려진 것이 채택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적층된 유리용 중간층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및 바람직하게는 양쪽 표면)이 형상화된다. 적층된 유리용 중간층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형상화함으로써, 적층된 유리가 제조되는 경우, 적층된 유리용 중간층와 유리의 계면에 기포가 존재하여, 적층된 유리의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 따라서 적층된 유리의 외관이 양호하게 될 수 있다. 엠보싱 롤 방법에 의해 적층된 유리용 중간층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된 유리용 중간층의 표면을 성형함으로써, 적층된 유리용 중간층의 표면에 오목한 부분 및/또는 볼록한 부분이 형성된다.
엠보싱 롤 방법에 사용되는 엠보싱 롤은, 예를 들어 원하는 요철 패턴을 갖는 조각 밀(mother mill)을 사용하고 요철 패턴을 금속 롤의 표면에 전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에칭을 이용하여 엠보싱 롤 또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금속 롤의 표면에 미세 요철 패턴을 형성한 후, 미세 요철 패턴이 있는 표면에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또는 유리 비드와 같은 연마재를 사용하여 블라스트 처리함으로써, 더욱 미세한 요철 패턴이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엠보싱 롤 방법에 사용되는 엠보싱 롤은 이형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엠보싱 롤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엠보싱 롤로부터 적층된 유리용 중간층을 박리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형 처리 방법의 예는 실리콘 처리, 테플론(등록 상표명) 처리 및 플라즈마 처리와 같은 공지된 방법을 포함한다.
엠보싱 롤 방법 등에 의해 성형된 적층된 유리용 중간층의 표면의 오목한 부분의 깊이 및/또는 볼록한 부분의 높이(이하, 때때로 "엠보싱 부분의 높이"로 지칭됨)는 전형적으로 약 5 μm 이상, 또는 약 10 μm 이상, 또는 약 20 μm 이상이다. 엠보싱 부분의 높이는 전형적으로 약 150 μm 이하, 또는 약 100 μm 이하, 또는 약 80 μm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엠보싱 부분의 높이는 JIS B 0601(2001)에 정의된 최대 높이 조도(Rz)를 지칭한다. 엠보싱 부분의 높이는, 예를 들어, 레이저 현미경 등의 공초점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결국, 엠보싱 부분의 높이, 즉 오목한 부분의 깊이 또는 볼록한 부분의 높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엠보싱 롤 방법 등에 의해 부여되는 형상의 형태의 예는 격자, 비스듬한 격자, 비스듬한 타원, 타원, 비스듬한 그루브 및 그루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경사각은 필름 유동 방향(MD 방향)에 대하여 전형적으로 약 10° 내지 약 80°이다. 또한, 형사화 패턴은 규칙적인 패턴 또는 불규칙한 패턴, 예컨대 랜덤 매트 패턴 또는 US7351468B2에 개시된 패턴일 수 있다.
엠보싱 롤 방법 등에 의한 형상화는, 적층된 유리용 중간층의 한쪽 면에서 수행될 수 있고, 양 표면에서 수행될 수 있지만, 보다 일반적으로는 양 표면에서수행된다.
라미네이트
종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그 예는 진공 라미네이터, 진공 백, 진공 링, 닙 롤 등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일시적 접촉 결합 후, 최종 결합을 위해 생성된 라미네이트를 고압증기멸균기에 넣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진공 라미네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태양 전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공지된 기기가 사용될 수 있고, 어셈블리는 약 1 × 10-6 MPa 이하 및 약 3 × 10-2 MPa 이하의 감압에서 약 100 ℃ 이상, 또는 약 130 ℃ 이상, 및 약 200 ℃ 이하, 또는 약 170 ℃ 이하의 온도에서 적층된다. 진공 백 또는 진공 링을 사용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EP1235683A1(CA2388107A1)에 기재되어 있고, 예를 들어 어셈블리는 약 2 × 10-2 MPa의 압력하에 약 130 ℃ 이상 및 약 145 ℃ 이하에서 적층된다.
닙 롤을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스킨 수지의 유동 개시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제1 일시적 접촉 결합을 수행한 후, 일시적 접촉 결합이 유동 개시 온도에 더 가까운 조건 하에서 추가로 수행되는 방법이 예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적외선 히터 등에 의해 어셈블리를 약 30 ℃ 이상 및 약 100 ℃ 이하로 가열한 후 롤로 탈기하고, 추가로 약 50 ℃ 이상 및 약 150 ℃ 이하에서 추가로 가열한 후, 롤에 의해 접촉 결합을 수행하여 결합 또는 일시적 결합을 수행한다.
일시적 접촉 결합 후에 보충적으로 수행되는 고압증기멸균기 공정은 모듈의 두께 또는 구성에 따라 가변적이지만, 예를 들어 약 1 MPa 이상 및 약 15 MPa 이하의 압력 하에서 약 120 ℃ 이상 및 약 160 ℃ 이하의 온도에서 약 0.5 시간 이상 및 약 2 시간 이하 동안 수행된다.
라미네이트를 처리하기 위해 잘-알려진 "비-고압증기멸균기" 공정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적층된 유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무기 유리, 예컨대 플로트 시트 유리, 연마 시트 유리, 도형 유리, 유선 시트 유리, 열선 흡수 유리, 및 종래 알려진 유기 유리, 예컨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유리는 무색, 유색, 투명 또는 불투명 유리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들 유리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된 유리는, 자동차용 바람막이, 자동차용 사이드 유리, 자동차용 선루프, 자동차용 리어 유리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유리; 창, 벽, 루프, 선루프, 방음벽, 디스플레이 창, 발코니, 난간 벽 등을 위한 건축 부재; 회의실의 파티션 유리 부재; 태양광 패널; 등을 위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도에 대한 추가 정보는 이전에 편입된 공보를 참조하여 찾아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층된 유리의 특성의 하기 특정 예로부터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에서 사용한 물질은 하기와 같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유리는 표준 어닐링된 소다-석회 유리(미국 Galax VA, Guardian Industries, Inc.로부터 입수함)였다.
아이오노머 1(I1) - E.I. du Pont de Nemours & Co.로부터 입수된 부분적으로 중화된 에틸렌 산 이원중합체 아이오노머(Wilmington, DE, USA)(21.7% 메타크릴산, Na 26% 중화된, MI = 1.8 @190℃).
실란 1(S1) - 감마-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Waterford, NY, USA 소재의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Silquest® A-187)
실란 2(S2) -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Waterford, NY, USA 소재의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CoatOSil® 2287).
실란 3(S3) - N-(베타-아미노에틸)-감마-아미노프로피메틸디메톡시실란(Waterford, NY, USA 소재의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Silquest® A-2120)
아이오노머 시트 제조
실란을 함유하는 예에는 하기와 같은 접근법이 이용되었다:
1200 g의 아이오노머 수지를 큰 입의 금속 나사 뚜껑이 있는 깨끗한 폴리프로필렌 플라스틱 컨테이너(2 갤런 용량) 내에서 0.1 g에 가장 근접하게 칭량하였다. 지시된 농도를 산출하기 위한 특정 량의 액체 실란을 적절한 환기 및 적절한 실험실 안전성 관행에 따라 컨테이너에 피펫팅하였다. 이어서 컨테이너를 뚜껑으로 밀봉하고, 2분 동안 수작업으로 철저히 진탕하여 액체를 아이오노머 수지 펠릿 덩어리에 분배하였다. 블렌드의 초기 제조로부터 1분 동안 혼합물을 1분 동안 다시 진탕시키고, 1분 동안 다시 진탕시킨 후, 흡수된 수지를 공급기의 호퍼에 공급하였다. 상기 조작은 주위 온도 및 습도 조건(명목상으로 23C 및 50% RH이지만 제어된 습도 환경에서는 수행되지 않음)에서 수행되었다. 제조 약 4시간 내에, 실란/수지 블렌드를 하기 아이오노머 시트 제조 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보정된 오거 유형 공급기를 통해 압출기로 공급하였다.
실란 1(S1)을 사용하여 실시예 CE-8 내지 CE-11의 수지 펠릿을 흡수시켰다. 실란 2(S2)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13의 수지 펠릿을 흡수시켰다. 실란 3(S3)을 사용하여 실시예 14 내지 17의 수지 펠릿을 흡수시켰다.
18-mm 직경의 Liestritz 2축 컴파운딩 압출기(스크류 속도 200 rpm으로 설정됨) 내에서 약 5 내지 7 lbs/시간으로 보정 피그테일 유형 오거가 장착된 K-Tron 공급기(Coperion GmbH)를 사용하여 표 I에 제공된 하기 온도 프로파일 하에 아이오노머 수지 및 실란 첨가제(존재하는 경우)를 공급하고, 중합체 가닥(2개의 6-mm 홀 다이)으로 압출하였다.
주어진 처리량 또는 체류 시간 및 결과적인 전단 조건을 제공하도록 스크류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중합체 처리량을 제어하였다. 두 압출기 모두에서, 주위 온도 탈이온수를 함유하는 물 배치를 통해 용융 가닥을 인출하고, 과량의 물은 압축 공기로 취입 제거하고, 가닥을 회전 커터(Conair)에 공급하여 세절된 가닥 펠릿을 생성하였다. 이어서, 이들 펠릿을 약간의 건조 질소 퍼지와 함께 50℃의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이어서, 펠릿을 150 mm x 200 mm의 공칭 0.76 mm 두께 플라크로 압축 성형하였다. 이어서, 이들 플라크를 건조 분위기에서 유지하거나, 또는 표시된 경우, 하기에 제공된 바와 같이 적층 전에 상이한 습도 조건에 노출시켰다.
라미네이트 제조 방법
각각의 아이오노머 시트로부터 유리 라미네이트를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어닐링된 유리 시트(100x100x3 mm)를 50℃에서 5분 동안 탈이온수 중의 인산 삼나트륨(5 g/l) 용액으로 세정한 후, 탈이온수로 철저하게 헹구고 건조시켰다. 표 1에 열거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이오노머 시트(각각 약 0.76 mm 두께)의 3개의 층을 함께 적층하고, 2 리트(lite)의 유리 시트 사이에 배치하였다(2.28 mm의 중간층 두께를 수득함).
아이오노머 시트의 수분 수준은 실내 환경(약 35% RH)에 대한 접촉 시간을 최소화하여 0.08중량% 이하로 유지되거나 하기 예에서 지시된 온도 및 습도 수준에서 10일 동안 노출되었다(Espec 습도 챔버에 배치된 샘플 - 모델 LHU-113).
아이오노머 시트의 수분 수준은 샘플 바이알에 대해 150℃의 가열 챔버 온도를 갖는 전기량 칼 피셔 방법(Metrohm 모델 8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이오노머 시팅(sheeting)을 샘플 바이알 칭량에 적합한 작은 조각으로 절단하여 총 0.40 g을 칭량하였다.
그 후, 전-적층 어셈블리는 유리 리트를 갖는 각각의 층의 상대적 위치결정을 유지하기 위해 커플 위치에서 폴리에스테르 테이프 조각과 함께 테이핑하였다. 나일론 직물 스트립을 층 안쪽으로부터 공기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어셈블리 주변에 배치하였다. 어셈블리를 나일론 진공 백 내에 넣고 밀봉한 다음, 진공 펌프에 연결하였다. 내부에서 공기를 실질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진공을 적용하였다(백 내부의 공기 압력을 절대 50 밀리바 미만으로 감소시킴). 포장된 어셈블리를 대류 공기 오븐에서 120℃로 가열하고 30분 동안 유지했다. 그런 다음 냉각 팬을 사용하여 어셈블리를 거의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어셈블리를 진공 원천에서 분리하고 백을 제거하여, 유리와 중간층을 완전히 사전-가압한 어셈블리로 만든다.
그런 다음 어셈블리를 공기 고압증기멸균기에 배치하고, 온도와 압력을 15분에 걸쳐 13.8 bar에서 주변 온도에서 135℃로 높였다. 이 온도와 압력을 30분 동안 유지한 다음, 약 2.5ºC/분의 냉각에서 온도를 40℃로 낮추어 압력을 다시 주변으로 떨어뜨려(15분 이상) 최종 라미네이트를 고압증기멸균기에서 제거하였다.
헤이즈 측정
라미네이트는 WINDEX 유리 클리너(S.C. Johnson & Son, Inc.)와 보풀이 없는 천을 사용하여 철저하게 세척하였으며, 유효한 광학 측정을 방해할 수 있는 기포 및 다른 결함이 없는지 점검했다. 이어서, 라미네이트를 헤이즈-가드 플러스 헤이즈미터(Byk-Gardner)에 의해 평가하여 퍼센트 헤이즈의 측정치를 얻었다. 헤이즈 측정은 미국 국가 표준(ANSI Z26.1-1966) “육상 고속도로에서 운전하는 글레이징 자동차용 안전성 글레이징 물질에 대한 안전성 코드”에 설명된 관행을 따랐다. 상기 표준에서 도 5 및 6과 함께 테스트 섹션 5.17 및 5.18은 글레이징 물질의 헤이즈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 및 도구 설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헤이즈-가드 플러스(Haze-gard Plus) 헤이즈미터는 이 표준에 대한 적절한 기준을 충족하며, 향후 모든 측정에 사용되었다. 표준의 National Bureau(현재 NIST)에서 추적가능한 헤이즈 표준을 사용하여 기기의 올바른 교정 및 작동을 보장했다.
헤이즈 결과는 하기 표 II에 제시되어 있다: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첨가된 실란의 첨가는 생성된 라미네이트의 헤이즈에 실질적으로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박리 접착력 측정
박리 접착력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를 제외하고 일부 샘플을 상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어닐링된 유리를 스크라이빙하고, 100 mm x 200 mm 직사각형으로 자른 다음, 앞에서 기재한 절차에 따라 세정하였다. 실리콘 접착제가 있는 얇은 폴리에스테르 테이프(25 um 두께 x 25 mm 폭)를 2개의 평행 스트립으로 '관심면'(공기 또는 주석면)의 유리 표면에 적용하여, 사이에 25 mm 너비의 균일한 접착 면적을 제공하였다. 이 절차는 표준 박리 접착 방법론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바와 같이 박리 스트립을 생성하기 위해 중합체 층을 절단할 필요없이 매우 잘 정의된 접착 영역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중간층 시편의 최상부에, 제2 유리 조각을 최상부에 놓기 전에 얇은 4-mil 시트의 FEP 필름을 플라스틱 시트 위에 배치하여 적층 단계를 위한 비교적 평평한 표면을 제공하고, 유리의 최상부 조각 제거를 위한한 방출 층으로서 작용하였다. 이어서 모든 적층 단계를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그 후, 기계적 시험 장치(INSTRON Model 1122, Instron Industrial Products, Norwood, MA USA)를 통해 상기 공정에 의해 제조된 다양한 샘플에 대해 90도 각도 박리 접착력 측정을 수행하였다. 표준 실험실 조건(공칭 23℃ 및 50% RH) 하에 1-cm/분의 크로스헤드 속도로 박리를 수행하였다. 약 100-mm의 샘플을 박리한 후, 탈이온수를 유리 및 박리 계면에 도포하여 계면이 액상수에 완전히 액침되었다. 이어서 박리 속도를 0.25-mm/분으로 감소시키고, 대략 또 다른 100-mm의 샘플이 시험될 때까지 몇 시간 동안 테스트를 계속하도록 하였다. 이 최종 테스트 기간 동안 샘플이 '습식' 상태로 유지되도록 충분한 물이 존재했다. 데이터는 컴퓨터 소프트웨어(INSTRON Bluehill III 소프트웨어, Instron Industrial Products, MA, Norwood, MA USA)를 통해 수집되었고, 평균 힘 수준은 "50% RH"및 "습윤 상태" 박리 시험 섹션에 대해 계산되었다.
결과는 하기 표 III에 제시되어 있다.

Claims (16)

  1. (i) 아이오노머 수지 및 (ii) 접착 촉진제 첨가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a) 아이오노머 수지가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이고;
    (b) 접착 촉진제 첨가제가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이고; 및
    (c)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이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5000 백만분율 중량부 범위의 양으로 수지 조성물에 존재하고,
    여기서 알콕시기 이외에 상기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이 또한 아이오노머 수지에 결합하기 위한 활성 화학기를 함유하고, 상기 활성 화학기가 글리시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이 20 ℃에서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이 수지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의 각각의 알콕시기가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개별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이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6. 청구항 1, 2 및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가 에틸렌으로부터 유래된 구성성분 단위 및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래된 구성성분 단위를 포함하고,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래된 구성성분 단위의 적어도 일부가 반대이온으로 중화되고, 상기 반대이온이 나트륨 양이온으로 구성되는, 수지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A)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는 하기의 공중합된 단위로 구성된 이원중합체이고:
    (i) 에틸렌 및
    (ii)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10중량% 내지 30중량%,
    여기서 공중합된 단위의 중량 백분율은 에틸렌 산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공중합된 단위의 중량 백분율의 합은 100중량%이고, 여기서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의 카복실산 기의 적어도 일부는 중화되어 나트륨 반대이온을 갖는 카복실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아이오노머를 형성하거나;
    또는
    (B)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는 하기 공중합된 단위로 구성된 삼원중합체이며:
    (i) 에틸렌,
    (ii)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10중량% 내지 30중량%,
    (iii)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에스테르 2중량% 내지 15중량%, 및
    (iv) (iii) + (iv)가 2중량% 내지 15중량%인 양으로 (iii) 이외의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의 유도체,
    여기서 공중합된 단위의 중량 백분율은 에틸렌 산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공중합된 단위의 중량 백분율의 합은 100중량%이고, 여기서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의 카복실산 기의 적어도 일부는 중화되어 나트륨 반대이온을 갖는 카복실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아이오노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8. (i) 아이오노머 수지의 입자 및 (ii) 접착 촉진제 첨가제를 포함하는 미립자 마스터배치 조성물로서:
    (a)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 입자의 아이오노머 수지는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이고;
    (b) 상기 접착 촉진제 첨가제는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이고;
    (c)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아이오노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의 양으로 마스터배치 조성물에 존재하고; 및
    (d)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아이오노머 수지 입자의 표면에 흡수되고,
    여기서 알콕시기 외에,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은 또한 아이오노머 수지에 결합하기 위한 활성 화학기를 함유하고, 상기 활성 화학기가 글리시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마스터배치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의 각각의 알콕시기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개별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마스터배치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이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마스터배치 조성물.
  11. 청구항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가 에틸렌으로부터 유래된 구성성분 단위 및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래된 구성성분 단위를 포함하고,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래된 구성성분 단위의 적어도 일부가 반대이온으로 중화되고, 상기 반대이온은 나트륨 양이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마스터배치 조성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A)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는 하기의 공중합된 단위로 구성된 이원중합체이며:
    (i) 에틸렌 및
    (ii)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10중량% 내지 30중량%,
    여기서 공중합된 단위의 중량 백분율은 에틸렌 산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공중합된 단위의 중량 백분율의 합은 100중량%이고, 여기서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의 카복실산 기의 적어도 일부가 중화되어, 나트륨 반대이온을 갖는 카복실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아이오노머를 형성하거나;
    또는
    (B)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는 하기의 공중합된 단위로 구성된 삼원중합체이며:
    (i) 에틸렌,
    (ii)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10중량% 내지 30중량%,
    (iii)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에스테르 2중량% 내지 15중량%, 및
    (iv) (iii)+(iv)가 2중량% 내지 15중량%인 양으로 (iii) 이외의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의 유도체,
    여기서 공중합된 단위의 중량 백분율은 에틸렌 산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공중합된 단위의 중량 백분율의 합은 100중량%이고, 여기서 α,β-불포화된 카복실산의 카복실산 기의 적어도 일부가 중화되어 나트륨 반대이온을 갖는 카복실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아이오노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마스터배치 조성물.
  13.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청구항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제시된 바와 같은 미립자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일정량의 제2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와 혼합하여 상기 디알콕시실란 화합물의 농도가 아이오노머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5000 백만분율 중량부인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14. 청구항 1, 2, 5, 및 7 중 어느 한 항에 제시된 바와 같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을 포함하는 중간층(interlayer) 시트로서,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층 시트:
    (A) 중간층 시트가 34℃ 및 50% 상대 습도에서 미리 컨디셔닝되고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의 층은 공기 측 및 주석 측을 갖는 플로트 유리 시트의 공기 측에 부착될 때, 플로트 유리 시트의 공기 측에 부착된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 층의 박리 접착력은 적어도 약 20 N/cm(23℃ 및 50% RH에서 측정됨)인 것;
    (B) 중간층 시트가 34℃ 및 50% 상대 습도에서 미리 컨디셔닝되고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의 층은 공기 측 및 주석 측을 갖는 플로트 유리 시트의 공기 측에 부착될 때, 플로트 유리 시트의 공기 측에 부착된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 층의 박리 접착력은 (습식-상태 조건하에서) 적어도 약 0.5인 것; 및
    (C) 중간층 시트가 34℃ 및 50% 상대 습도에서 미리 컨디셔닝되고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의 층은 공기 측 및 주석 측을 갖는 플로트 유리 시트에 부착될 때, 플로트 유리 시트의 공기 측에 부착되는 경우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 층의 박리 접착력은 (i) 약 5 N/cm보다 크며(23℃ 및 50% RH에서 측정됨), (ii) 나트륨-중화된 에틸렌-α,β-불포화된 카복실산 공중합체 층이 플로트 유리 시트의 주석 측에 부착될 때의 박리 접착력보다 더 큰(23℃ 및 50% RH에서 측정됨) 것.
  15. 삭제
  16. 삭제
KR1020207002862A 2017-07-31 2018-07-30 향상된 접착 특성을 갖는 아이오노머 중간층 KR102589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39077P 2017-07-31 2017-07-31
US62/539,077 2017-07-31
PCT/US2018/044299 WO2019027865A1 (en) 2017-07-31 2018-07-30 IONOMER INTERMEDIATE LAYER HAVING ENHANCED ADHESION PROPER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780A KR20200037780A (ko) 2020-04-09
KR102589141B1 true KR102589141B1 (ko) 2023-10-13

Family

ID=6513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862A KR102589141B1 (ko) 2017-07-31 2018-07-30 향상된 접착 특성을 갖는 아이오노머 중간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673381B2 (ko)
EP (1) EP3461266A4 (ko)
JP (2) JP2020529500A (ko)
KR (1) KR102589141B1 (ko)
CN (2) CN111093976A (ko)
WO (1) WO20190278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141B1 (ko) * 2017-07-31 2023-10-13 쿠라레이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향상된 접착 특성을 갖는 아이오노머 중간층
KR20210123347A (ko) 2019-02-04 2021-10-13 쿠라라이 유럽 게엠베하 허리케인 저항성 음향 글레이징
WO2020189335A1 (ja) * 2019-03-20 2020-09-24 三井・ダウ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中間膜用樹脂組成物、合わせガラス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KR20230016204A (ko) 2020-05-22 2023-02-01 쿠라라이 유럽 게엠베하 향상된 성능을 위해 제어된 탈결합 구역 처리된 중간층 및 라미네이트
EP3974182A1 (en) 2020-09-28 2022-03-30 Kuraray Europe GmbH Multilayer sound dampening interlayer films comprising ethylene vinyl acetals
JP7186329B2 (ja) 2020-09-29 2022-12-08 株式会社クラレ アイオノマー樹脂、樹脂シートおよび合わせガラス
WO2022132417A1 (en) 2020-12-16 2022-06-23 Kuraray Europe Gmbh Laminated structures with adhesive polymeric interlayer comprising cohesive debonding zones for enhanced performance
WO2023096879A1 (en) 2021-11-23 2023-06-01 Kuraray Europe Gbmh Interlayer and laminate with controlled debonding zone treatments
EP4230402A1 (en) 2022-02-18 2023-08-23 Kuraray Europe GmbH Laminated glazing comprising a bird protection pattern
WO2023249852A1 (en) 2022-06-22 2023-12-28 TREANOR, Richard Ionomer resin compos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6848A1 (ja) * 2010-11-18 2012-05-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7099864A (ja) * 2015-11-17 2017-06-08 アクシュネット カンパニーAcushnet Company 異なる隣接層の間に良好な層間接着を有するゴルフボ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82755A (ko) 1961-08-31 1900-01-01
US3344014A (en) 1963-02-28 1967-09-26 Du Pont Safety glass
US3909487A (en) * 1973-11-28 1975-09-30 Du Pont Dry blends of polymers and fumed silicon dioxide treated with an aliphatic silane
US5028674A (en) 1990-06-06 1991-07-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anol copolymerization of ethylene
DE69715567T3 (de) 1996-11-26 2016-08-04 Saint-Gobain Glass France S.A. Verwendung einer Verbundglasscheibe zur Dämmung von durch Festkörper geleiteten Schwingungen in einem Fahrzeug
WO2000006619A1 (en) * 1998-07-27 2000-02-1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ixed-metal-neutralized-copolymer-resins for metal coating powder applications
EP1200485B1 (en) 1999-07-28 2004-01-2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igh melt swell polymer
DE19951444A1 (de) 1999-10-25 2001-04-26 Huels Troisdorf Verfahren und Folie zur Herstellung von Verbundsicherheitsscheiben
US7351468B2 (en) 2000-10-26 2008-04-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terlayers for laminated safety glass with superior de-airing and laminating properti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6500888B2 (en) 2000-12-27 2002-12-3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urface treatment of ethylene based polymer pellets to improve blocking resistance
DE10150091A1 (de) 2001-10-11 2003-04-17 Huels Troisdorf PVB-Folie für Verbundsicherheitsglas und Verbundsicherheitsglas
ATE506394T1 (de) 2004-10-29 2011-05-15 Du Pont Transparente glaslaminate
EP1876191B1 (en) 2005-04-28 2011-12-2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cid-modified polypropylene resin,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resin composition using same
JP2007091491A (ja) 2005-09-27 2007-04-12 Central Glass Co Ltd 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CN101291809B (zh) 2005-10-21 2013-04-03 纳幕尔杜邦公司 混合离子离聚物片材和由其生产的高强度层压材料
US7445683B2 (en) 2005-11-30 2008-11-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suitable for use in laminated safety glass
CN101466870B (zh) * 2006-06-15 2011-01-26 日本油漆株式会社 被覆钢板
US8691372B2 (en) * 2007-02-15 2014-04-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rticles comprising high melt flow ionomeric compositions
US20080302461A1 (en) * 2007-06-08 2008-12-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ransparent Colored High Modulus Interlayers and Laminates Therefrom
JP5687818B2 (ja) * 2008-01-28 2015-03-25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4993504B2 (ja) * 2008-04-02 2012-08-08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太陽電池用積層体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4992806B2 (ja) 2008-04-15 2012-08-08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合わせガラス
DE112009001580B4 (de) 2008-06-20 2016-02-04 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Ethylen-Copolymer-Zusammensetzung, Folie zum Versiegeln eines Solarzellenelements und ihre Verwendung
WO2009157545A1 (ja) * 2008-06-26 2009-12-30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太陽電池用積層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2342239B1 (en) 2008-10-31 2020-04-15 Performance Materials NA, Inc. High-clarity ionomer compositions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MX2011004485A (es) 2008-10-31 2011-05-23 Du Pont Articulos laminados de alta transparencia que comprenden una capa ionomerica intermedia.
WO2010077427A1 (en) 2008-12-31 2010-07-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aminates comprising ionomer interlayers with low haze and high moisture resistance
AU2009333797B2 (en) 2008-12-31 2015-05-14 Performance Materials Na, Inc. Ionomer compositions with low haze and high moisture resistance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CN102574379B (zh) 2009-08-07 2015-11-25 可乐丽股份有限公司 聚乙烯醇缩醛层合体及其用途
JP4828665B2 (ja) * 2009-10-09 2011-11-30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成形体用アイオノマー組成物並びに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903378B2 (ja) 2010-09-30 2016-04-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3299349A1 (en) 2010-09-30 2018-03-28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US8883317B2 (en) 2010-09-30 2014-11-11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2012214305A (ja) 2011-03-31 2012-11-08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20130225746A1 (en) * 2012-02-24 2013-08-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ranslucent white polymer composition and its use in glass laminates and other articles
JP6027829B2 (ja) * 2012-09-14 2016-11-16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JP6537973B2 (ja) 2012-12-19 2019-07-03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架橋性酸コ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ガラスラミネートでのその使用
CN105555528A (zh) 2013-07-22 2016-05-04 纳幕尔杜邦公司 多层聚合物片材和由其制备的轻量层合体
US20150158986A1 (en) 2013-12-06 2015-06-1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meric interlayer sheets and light weight laminates produced therefrom
US20150376310A1 (en) 2014-06-26 2015-12-3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thylene acid copolymers, their ionomers, and their use in packaging films and injection molded articles
JP6140907B2 (ja) 2014-11-10 2017-06-07 株式会社クラレ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US9688018B2 (en) 2014-12-08 2017-06-27 Solutia Inc. Resin sheets exhibiting enhanced adhesion to inorganic surfaces
CN109311280B (zh) 2016-05-09 2021-10-01 可乐丽欧洲有限责任公司 多层夹层和玻璃层合体
EP3532290B1 (en) 2016-10-28 2022-01-05 Kuraray Europe GmbH Wedge-shaped multilayer interlayer and glass laminate
KR102589141B1 (ko) * 2017-07-31 2023-10-13 쿠라레이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향상된 접착 특성을 갖는 아이오노머 중간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6848A1 (ja) * 2010-11-18 2012-05-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7099864A (ja) * 2015-11-17 2017-06-08 アクシュネット カンパニーAcushnet Company 異なる隣接層の間に良好な層間接着を有するゴルフボ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9500A (ja) 2020-10-08
WO2019027865A1 (en) 2019-02-07
US11673381B2 (en) 2023-06-13
US20190030863A1 (en) 2019-01-31
EP3461266A1 (en) 2019-04-03
JP2023113645A (ja) 2023-08-16
KR20200037780A (ko) 2020-04-09
CN116675925A (zh) 2023-09-01
EP3461266A4 (en) 2020-05-06
US20230271409A1 (en) 2023-08-31
CN111093976A (zh) 202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9141B1 (ko) 향상된 접착 특성을 갖는 아이오노머 중간층
EP3455070B1 (en) Multilayer interlayer and glass laminate
JP6974314B2 (ja) 熱可塑性樹脂膜及びガラス板含有積層体
KR20210123347A (ko) 허리케인 저항성 음향 글레이징
US20210362468A1 (en) Interlayer And Laminate With Controlled Debonding Zone Treatments With Enhanced Performance
JP2022000409A (ja) 合わせガラス
EP3943463A1 (en) Resin composition for laminated glass interlayer, laminated glass interlayer, and laminated glass
JP6949757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KR102545481B1 (ko) 열가소성 수지막 및 유리판 함유 적층체
WO2022132417A1 (en) Laminated structures with adhesive polymeric interlayer comprising cohesive debonding zones for enhanced performance
JP7119112B2 (ja) 多層要素
WO2023249852A1 (en) Ionomer resin composition
US20240051272A1 (en) Laminated structures with composite adhesive polymeric interlayer comprising cohesive debonding zones for enhanced performance
US20230382087A1 (en) Glass laminates with reduced creep at elevated temperature
WO2023096879A1 (en) Interlayer and laminate with controlled debonding zone treatments
TW201842040A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WO2020067083A1 (ja) 積層フィルム
WO2022255393A1 (ja) 樹脂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及びスクリーン
JP6913779B2 (ja) 積層体及び合わせガラス
US11440295B2 (en) Laminated glass
JP2023548404A (ja) 改善された音響特性を有する複層中間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