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798B1 - 가교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 - Google Patents

가교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798B1
KR102587798B1 KR1020210056746A KR20210056746A KR102587798B1 KR 102587798 B1 KR102587798 B1 KR 102587798B1 KR 1020210056746 A KR1020210056746 A KR 1020210056746A KR 20210056746 A KR20210056746 A KR 20210056746A KR 102587798 B1 KR102587798 B1 KR 102587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al formula
polymer electrolyte
cross
lithium ion
ion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9294A (ko
Inventor
김환기
장호현
이성권
김대호
류태욱
윤수진
김뢰
장위
임현민
장기석
Original Assignee
이피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피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피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6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798B1/ko
Priority to PCT/KR2022/006214 priority patent/WO2022231394A1/ko
Publication of KR20220149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52Amides or imides
    • C08F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8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oxygen, e.g. N-methylolacrylamide, N-(meth)acryloylmorpho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8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oxygen, e.g. N-methylolacrylamide, N-(meth)acryloylmorpholine
    • C08F220/585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oxygen, e.g. N-methylolacrylamide, N-(meth)acryloylmorpholine and containing other heteroatoms, e.g. 2-acrylamido-2-methylpropane sulfonic acid [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2Polyeth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기반의 가교 결합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에 포함되고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리튬이온전지의 가교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가교 고분자 전해질이 이온전도도가 높고, 유연하며, 난연성이 우수하여 이를 적용한 리튬이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조식 1]

Description

가교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CROSS-LINKED POLYER ELECTROLYTES MONOMER FOR ADDITION AND CROSS-LINKED POLYER ELECTROLYTES FIL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이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온전도도가 높고, 유연하며, 안전한 리튬이온전지에 적용할 수 있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과 이와 같은 가교 고분자와 함께 중합되어 가교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가교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에 관한 것이다.
가교 고분자 전해질(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s, CPE)은 유연하고 안전한 리튬이온전지(LIB)의 응용을 위한 혁신적인 고체 고분자 전해질이다. CPE는 완전 고체 상태 구조, 낮은 제조 비용, 안전성, 다양한 형태, 최적의 s 및 에너지 밀도를 제공한다. 더 중요한 것은 LIB 시스템의 우수한 성능은 전해질과 전극의 계면 현상에 크게 의존한다는 것이다. 다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SPE)에 비해 가교 고분자 전해질(CPE)은 전극과의 사이에 우수한 계면 전하 전달을 나타낸다.
그러나 대부분의 CPE는 기존 액체 전해질보다 낮은 리튬 이온 전달 수 (t+ Li), 좁은 전기 화학적 창, 및 낮은 s 과 같은 열악한 전기 화학적 성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실용적인 LIB 응용을 위하여 전기 화학적 성능이 우수한 CPE 형 전해질 개발을 기반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도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기반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높은 이온전도도(σ), 열 안정성, 다양한 염을 용해시키는 탁월한 능력 및 리튬 금속과의 호환성으로 인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기반 고체 전해질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발명되었다: 화학적 기능화, 무기 나노 필러 또는 나노 입자의 병합, 단일 이온 전도성 폴리머 전해질, 다른 염의 혼입, 블록 공중 합체, 및 가교 PEO 매트릭스와 같은 것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에서 얻은 결과는 실제 적용에서 충분하지 않으며 전기 화학적 창, 이온전도도(σ) 및 t+ Li 를 추가로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까지 폴리알코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니트릴 및 폴리아민을 기반으로 한 연구는 탁월한 전기 화학적 성능으로 인해 큰 관심을 얻었지만 이러한 전해질의 대부분은 기계적 안정성이 좋지 않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Ti2O,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 및 빛조사를 통한 가교 결합과 같은 여러 전략을 사용하였다.
최근 Agrawal et al. 는 기계적 안정성을 조정할 수 있는 전도성이 높고 불연성인 하이브리드 폴리머 전해질을 보고한 바 있다. 마찬가지로 Wong et al. 또한 높은 t+ Li 와 산화 및 기계적 안정성을 가진 안전하고 전도성이 높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기반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체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용매가 없기 때문에 실온에서 충분치 않은 문제가 있다. 모든 PEO 유도체 중에서 PEGDMA는 높은 유전 상수, 높은 용 매화 용량 및 Li-이온과의 배위 결합을 형성하는 능력으로 인해 호스트 폴리머 메트릭스로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유연한 PEGDMA 체인을 통해 Li-이온은 연속적인 Li-O 결합의 형성 및 끊김을 통해 빠르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높은 Li-이온 전도와 관련이 있다. 마찬가지로 전해질 염으로서 LiFSI는 우수한 산화 및 열 안정성, 낮은 점도 및 물 민감도, 우수한 고체 전해질 계면(SEI) 층 형성능과 같은 몇 가지 특별한 성능 때문에 고체 LIB 응용 분야에 대해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또한 LiFSI 전해질이 있는 전체 셀은 흑연 애노드에 무기물이 풍부하고 얇은 SEI 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훨씬 더 나은 사이클링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LiPF6 전해질을 포함하는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전지는 흑연 애노드에 무기물이 풍부하고 두꺼운 SEI 층이 형성되어 매우 낮은 사이클링 특성을 나타낸다.
실제로 LiFSI 염의 FSI 음이온은 FSI 음이온의 음전하가 전하 비편재화에 의해 안정화되기 때문에 높은 이온전도도(σ)의 원인이 되고, 이온 쌍의 연관 상수를 줄임으로써 이온전도도(σ)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실험실에서 합성 방법 및 유해 화학 물질 취급의 어려움으로 인해 새로운 LiFSI 유도체 개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Membranes 2019, 9, 139 (2019.10.30)
본 발명의 목적은 에틸렌옥사이드계 가교 고분자 전해질에 첨가되어 결합함으로써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넓은 채널을 형성하여 리튬 이온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교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에틸렌옥사이드계 고분자 네트워크에 플루오로설포닐 이미드 구조를 갖는 단량체가 결합함으로써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비가연성이며 친수성기인 플루오로설포닐기가 넓은 채널을 형성하여 리튬 이온의 이온 전도도가 높고, 유연하며, 난연성이 우수한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목적은 UV 노출로 폴리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고, 빠르고 친환경적인 UV 광경화을 이용하여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넓은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리튬 이온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고, 유연하면서 난연성이 높은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가교 고분자 전해질을 도입함으로써 전기화학적 특성이 향상된 리튬이온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리튬이온전지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기반 가교 고분자 전해질의 첨가용 단량체가 제공된다.
[구조식 1]
구조식 1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인 반복단위수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20 알킬기이고,
R3은 독립적으로 플루오르기, 클로로기, C1 내지 C20의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C1 내지 C20의 클로로알킬기이고,
R1은 C1 내지 20 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식 1에서,
n은 1 내지 10의 정수인 반복단위수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10 알킬기이고,
R3은 독립적으로 플루오르기, 또는 C1 내지 C10의 플루오로알킬기이고,
R1은 C1 내지 10 알킬기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식 1에서,
n은 1 내지 3의 정수인 반복단위수이고,
R2는 C1 내지 3 알킬기이고,
R3은 플루오르기이고,
R1은 C1 내지 10 알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가교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고분자 전해질 매트릭스;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매트릭스에 결합된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및
리튬염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는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이 제공된다.
[구조식 1]
구조식 1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인 반복단위수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20 알킬기이고,
R3은 독립적으로 플루오르기, 클로로기, C1 내지 C20의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C1 내지 C20의 클로로알킬기이고,
R1은 C1 내지 20 알킬기이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고분자는 하기 구조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구조식 2]
구조식 2에서,
m은 반복단위수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20 알킬기이고
수평균분자량(Mn)은 100 내지 10,00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식 2에서,
m은 반복단위수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10 알킬기이고
수평균분자량(Mn)은 300 내지 1,000 일 수 있다.
상기 리튬염 전해질은 (FSO2)2NLi, (CF3SO2)2NLi, LiC(CF3SO2)3, CH3SO3Li, LiSCN,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및 LiAlCl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리튬염 전해질은 (FSO2)2NLi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a)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및 리튬염 전해질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구조식 1]
구조식 1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인 반복단위수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20 알킬기이고,
R3은 독립적으로 플루오르기, 클로로기, C1 내지 C20의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C1 내지 C20의 클로로알킬기이고,
R1은 C1 내지 20 알킬기이다.
(b)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고분자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1 용액과 제2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용액에 광개시제를 첨가하여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구체 용액에서 상기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UV 광경화시켜 가교 고분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리튬염 전해질은 (FSO2)2NLi, (CF3SO2)2NLi, LiC(CF3SO2)3, CH3SO3Li, LiSCN,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및 LiAlCl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아세톤(Acetone),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메틸알콜(Methyl alcohol), 에틸알콜(Ethyl alcohol), 에틸렌글리콜(Ethylene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헥산(Hexane), 사이클로헥사논 (Cyclohexanone), 톨루엔(Tolu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벤젠 (Dichlorobenzene), 디메틸벤젠(Dimethylbenzene), 트리메틸벤젠(Trimethylbenzene), 피리딘 (Pyridine), 메틸나프탈렌(Methylnaphthalene), 니트로메탄(Nitromethane),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옥타데실아민 (Octadecylamine), 아닐린 (Aniline), 및 디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 sulfox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고분자는 하기 구조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구조식 2]
구조식 2에서,
m은 반복단위수이고,
R4 및 R5는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20 알킬기이고
수평균분자량(Mn)은 100 내지 10,000이다.
상기 혼합용액은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고분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25 내지 85중량부; 및 상기 리튬염 전해질 25 내지 8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혼합용액에 1 내지 2wt% 함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HMPP(2-hydroxy-2-methyl-1-phenyl-propane-1-one), DMPA(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및 디페닐 2,4,6-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 옥사이드(Diphenyl 2,4,6 - 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튬이온전지를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통신장치, 운송장치, 에너지 저장장치, 및 음향장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틸렌옥사이드계 가교 고분자 전해질에 첨가되어 결합함으로써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넓은 채널을 형성하여 리튬 이온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교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에틸렌옥사이드계 고분자 네트워크에 플루오로설포닐 이미드 구조를 갖는 단량체가 결합함으로써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비가연성이며 친수성기인 플루오로설포닐기가 넓은 채널을 형성하여 리튬 이온의 이온 전도도가 높고, 유연하며, 난연성이 우수한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목적은 UV 노출로 폴리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고, 빠르고 친환경적인 UV 광경화을 이용하여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넓은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리튬 이온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고, 유연하면서 난연성이 높은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가교 고분자 전해질을 도입함으로써 전기화학적 특성이 향상된 리튬이온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MACSF의 합성 과정을 나타낸 단계 1과 2에 따른 반응식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과정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에 따라 각각 제조된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MAA 및 MACSF의 1H-NMR 스펙트럼이다.
도 5는 MAA 및 MACSF 각각의 FTIR 스펙트럼이다.
도 6은 전구체 MAA 및 MACSF 단량체의 열 안정성 분석 결과이다.
도 7은 실험예 2의 FTIR 및 EDS 스펙트럼 분석 결과이다.
도 8은 가교 고분자막에 대한 XPS 분석 결과이다.
도 9는 가교 고분자막의 열중량분석(TGA) 결과이다.
도 10은 제조된 가교 고분자막의 FE-SEM 분석 결과이다.
도 11은 제조된 가교 고분자막의 시차주사열량계(DS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가교 고분자막의 XRD 분석 결과이다.
도 13은 온도에 따른 이온전도도 분석 결과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에서 이온 전도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 전이수 측정 결과이다.
도 16은 반쪽 셀로 측정한 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 측정 결과이다.
도 17은 전체 셀로 측정한 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 측정 결과이다.
도 18은 가교 고분자막에 대한 난연성 실험 사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리튬이온전지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기반 가교 고분자 전해질의 첨가용 단량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전지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기반 가교 고분자 전해질의 첨가용 단량체는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된다.
[구조식 1]
구조식 1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인 반복단위수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20 알킬기이고,
R3은 독립적으로 플루오르기, 클로로기, C1 내지 C20의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C1 내지 C20의 클로로알킬기이고,
R1은 C1 내지 20 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식 1에서,
n은 1 내지 10의 정수인 반복단위수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10 알킬기이고,
R3은 독립적으로 플루오르기, 또는 C1 내지 C10의 플루오로알킬기이고,
R1은 C1 내지 10 알킬기 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식 1에서,
n은 1 내지 3의 정수인 반복단위수이고,
R2는 C1 내지 3 알킬기이고,
R3은 플루오르기이고,
R1은 C1 내지 10 알킬기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은 가교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고분자 전해질 매트릭스;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매트릭스에 결합된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및 리튬염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는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된다.
[구조식 1]
구조식 1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인 반복단위수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20 알킬기이고,
R3은 독립적으로 플루오르기, 클로로기, C1 내지 C20의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C1 내지 C20의 클로로알킬기이고,
R1은 C1 내지 20 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식 1에서,
n은 1 내지 10의 정수인 반복단위수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10 알킬기이고,
R3은 독립적으로 플루오르기, 또는 C1 내지 C10의 플루오로알킬기이고,
R1은 C1 내지 10 알킬기 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식 1에서,
n은 1 내지 3의 정수인 반복단위수이고,
R2는 C1 내지 3 알킬기이고,
R3은 플루오르기이고,
R1은 C1 내지 10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고분자는 하기 구조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
[구조식 2]
구조식 2에서,
m은 반복단위수이고,
R4 및 R5는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20 알킬기이고
수평균분자량(Mn)은 100 내지 10,00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식 2에서,
m은 반복단위수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10 알킬기이고
수평균분자량(Mn)은 300 내지 1,000 일 수 있다.
상기 리튬염 전해질은 (FSO2)2NLi, (CF3SO2)2NLi, LiC(CF3SO2)3, CH3SO3Li, LiSCN,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등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FSO2)2NLi, (CF3SO2)2NLi, 또는 LiC(CF3SO2)3 일 수 있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FSO2)2NLi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및 리튬염 전해질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제1 용액을 제조한다(단계 a).
[구조식 1]
구조식 1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인 반복단위수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20 알킬기이고,
R3은 독립적으로 플루오르기, 클로로기, C1 내지 C20의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C1 내지 C20의 클로로알킬기이고,
R1은 C1 내지 20 알킬기이다.
상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리튬염 전해질은 (FSO2)2NLi, (CF3SO2)2NLi, LiC(CF3SO2)3, CH3SO3Li, LiSCN,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등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FSO2)2NLi, (CF3SO2)2NLi, 또는 LiC(CF3SO2)3 일 수 있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FSO2)2NLi 일 수 있다.
한편,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고분자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제2 용액을 제조한다(단계 b).
상기 단계 (a)와 단계 (b)는 순차적으로 수행할 필요는 없으며, 동시에 또는 단계 (b)를 먼저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고분자는 하기 구조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구조식 2]
구조식 2에서,
m은 반복단위수이고,
R4 및 R5는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20 알킬기이고
수평균분자량(Mn)은 100 내지 10,000이다.
상기 구조식 2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고분자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단계 (a)와 (b)에서 사용된 유기용매는 아세톤(Acetone),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메틸알콜(Methyl alcohol), 에틸알콜(Ethyl alcohol), 에틸렌글리콜(Ethylene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헥산(Hexane), 사이클로헥사논 (Cyclohexanone), 톨루엔(Tolu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벤젠 (Dichlorobenzene), 디메틸벤젠(Dimethylbenzene), 트리메틸벤젠(Trimethylbenzene), 피리딘 (Pyridine), 메틸나프탈렌(Methylnaphthalene), 니트로메탄(Nitromethane),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옥타데실아민 (Octadecylamine), 아닐린 (Aniline), 디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 sulfoxide) 등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용액과 제2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용액에 광개시제를 첨가하여 전구체 용액을 제조한다(단계 c).
상기 혼합용액은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고분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25 내지 85중량부; 및 상기 리튬염 전해질 25 내지 8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30 내지 80중량부; 및 상기 리튬염 전해질 30 내지 80중량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함량비일 때 열적 안정성과 난연성이 우수하고, 막의 비정질 특성이 증가하여 높은 이온전도도(σ)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HMPP(2-hydroxy-2-methyl-1-phenyl-propane-1-one), DMPA(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디페닐 2,4,6-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 옥사이드(Diphenyl 2,4,6 - 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 등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HMPP(2-hydroxy-2-methyl-1-phenyl-propane-1-one) 일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혼합용액에 1 내지 2wt% 함량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개시제 함량이 8 중량% 미만이면 광 중합반응이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용매에 충분히 용해되지 못하여 석출되거나, 광 중합반응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젤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를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통신장치, 운송장치, 에너지 저장장치, 음향장치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제조예 1: MACSF(methacryloylcarbamoyl sulfamoyl fluoride) 합성
도 1은 MACSF의 합성 과정을 나타낸 단계 1과 2에 따른 반응식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과정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MACSF 합성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1. F-NCO 제조)
플루오로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F-NCO) 합성을 위해 1-neck 100mL 플라스크에 안티모니트리플로라이드(SbF3)(4.4g, 25mmol), 클로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Cl-NCO, 10g, 71mmol)를 넣고 3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딘스타크트랩(Dean-stark-trap)을 설치하고 온도를 80℃로 올려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여 F-NCO를 수득하였다(7.12g, 수율 80.6%).
(단계 2. MACSF 제조)
단계 1에서 제조된 F-NCO와 메틸메타아크릴아마이드(MMA)를 사용하여 메타크릴로일카바모일 설파모일플로라이드(MACSF)를 제조하였다. 2-neck 100mL 플라스크에 MMA(10g, 140mmol)을 벤젠에 녹인 후 0℃에서 F-NCO(21.12g, 169mmol)를 깔때기를 통해 MMA 용액에 천천히 적가하였다. 그 후 혼합용액을 45℃로 온도 상승시키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여 완전히 투명한 용액이 되도록 한다. 이 용액을 0℃에서 24시간 동안 냉각시켜 바늘형태의 MACSF를 수득하였고, 유리필터로 여과한 후 헥산으로 3~4회 세척하여 잔류 F-NCO를 제거하였다. 여과된 화합물을 40℃에서 감압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MACSF을 수득하였다(19.42g, 수율 70.4%).
실시예 1: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CLE-1) 제조
50mL 비커에서 MACSF 0.2g, LiFSI 0.2g을 아세톤 (2.55mL)에 용해시키고 30℃에서 교반하여 투명한 용액을 형성하였다. 한편 다른 비커에서 PEGDMA 0.6g을 아세톤 (1mL)에 용해시키고 30℃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즉, MACSF:LiFSI:PEGDMA 중량비가 20:20:60이 되도록 하였다. 그 후 두 용액을 혼합하여 HMPP 광개시제(1.5wt%)를 첨가하고, 30℃에서 20분간 교반하여 투명한 전구체 용액을 만들었다.
제조된 전구체 용액을 유리판 위의 실리콘 몰드(5 X 5 cm)에 붓고 40℃ 오븐에서 아세톤 용매를 제거한 후, Hg-UV 램프(600W)를 사용하여 200mW/cm2 강도로 20분간 경화 반응을 진행하여 가교 고분자막(CPE-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CLE-2) 제조
MACSF:LiFSI:PEGDMA 중량비를 20:20:60 대신에 25:25:5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CLE-3) 제조
MACSF:LiFSI:PEGDMA 중량비를 20:20:60 대신에 30:30:4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가교 고분자막(CP)
MACSF:LiFSI:PEGDMA 중량비를 20:20:60 로 사용하는 대신에 PEGDMA 를 단독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교 분자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고분자 전해질막(CLE-4)
MACSF 단량체를 사용하지 않고, LiFSI:PEGDMA를 30:70 중량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교 분자막을 제조하였다.
아래의 표 1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의 고분자 막의 성분과 비율을 정리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에 따라 각각 제조된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소자실시예 1: 셀의 제조
(1) 대칭 셀 제조
CPE 막의 이온전도도(σ)를 측정하기 위해 대칭 셀, 두께 약 185 ㎛ CPE 막을 아르곤 분위기에서 두 개의 스테인리스스틸 전극(SS) 사이에 끼웠다. 제조된 셀을 60℃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CPE 막과 SS 전극의 상호 연결을 강화하였다. 대칭 셀을 25℃로 냉각하고 약 25-80℃. 온도 범위에서 EIS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제조된 CPE 막의 전지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먼저 단량체를 25㎖ 유리 비커에서 무수 아세톤 2.55 ㎖에 용해시키고 교반하여 30℃에서 투명한 용액을 형성하였다.
(2) 반쪽 셀 제조
실시예 1에서 전구체 용액을 실리콘 몰드 (5cm × 5cm)에 부착된 LiFePO4 양극(cathode) 시트 (8cm × 8cm)에 붓고 LFP 양극 표면에서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UV 경화 중합 반응을 수행하여 LFP 양극 표면에 균일하고 투명하며 매끄러운 필름 층을 얻었다.
(3) 코인 셀 제조
코인 셀은 아르곤이 채워진 글러브 박스 환경에서 실시예 1의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을 이용하여 (LFP/CPEs/Li) 및 (LFP/CPEs/그래파이트) 디바이스 구조로 조립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단량체 특성 분석
(1) NMR 분석
도 4의 (a) 및 (b)는 각각 실시예 1의 전구체 MAA 및 생성물 MACSF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에 따르면, MAA는-NH2 공명의 사중 극자 확장으로 인해 다른 특징적인 양성자 피크와 함께 (6.2-6.7) 및 (5.8-6.1) ppm 에서 두 가지 특징적인 단일선 -N-H 양성자 피크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4의 (b)에서 MACSF의 1H-NMR 스펙트럼을 살펴보면, 상기 2개 피크만 스펙트럼에서 사라지고 (12.1-12.3) 및 (9.35-9.55) ppm 에서 2 개의 새로운 피크가 나타났다. 즉 2가지 타입의 N-H에 의하여 MACSF가 고순도로 성공적으로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FTIR 분석
도 5는 MAA 및 MACSF 각각의 FTIR 스펙트럼이다. 이에 따르면, MAA는 NH2 스트레치에 대해 3,390 및 3,187 cm-1에서 두 개의 밴드를 표시하는 반면 MACSF는 약 3,280 cm-1에서 NH 스트레치로 인해 하나의 밴드만 표시되고, 새로운 밴드와 1733 및 1,687, 1,449 및 1,230, 1,029 및 798 cm-1 (C = O, S = O, S-N 및 S-F 그룹) 함께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NMR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MAA: 1H-NMR (CDCl3; 298 K): δ = 7.25 (s, CDCl3), 6.2-6.7 (s, 1H, NH2), 5.8-6.1 (s, 1H, NH2), 5.4 (s, 1H, CH2=C), 5.8 (s, 1H, CH2=C), 1.95 (s, 3H, CH3) ppm; and FTIR (KBr disc): 3,390 (N-H stretch), 3,187 (N-H stretch), 2,978 (-C-H stretch), 1,660 (C=O stretch), 1,611 (C=C stretch), 1,102 (C-N stretch) cm-1.
MACSF: 1H-NMR (CDCl3; 298 K): δ = 12.1-12.3 (s, 1H, N-H), 9.35-9.55 (s, 1H, N-H), 7.25 (s, CDCl3), 6.1 (s, 1H, CH2=C), 5.85 (s, 1H, CH2=C), 2.0 (s, 3H, CH3) ppm; and FTIR (KBr disc): 3,280 (N-H stretch), 2,970 (-C-H stretch), 1733 and 1,687 (C=O stretch), 1,624 (C=C stretch), 1,449 (SO2 asym. stretch), 1,230 (SO2 sym. stretch), 1,170 (C-N stretch), 1,029 (S-N stretch), and 798 (S-F stretch) cm-1.
(3) 열 안정성 분석
도 6은 N2 대기 조건에서 전구체 MAA 및 MACSF 단량체의 열 안정성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MAA는 약 78℃ 이후 급격한 열화가 발생하여 약 138℃에는 완전히 중량이 소실되었다. 이에 반해, MACSF는 MAA에 비해 더 높은 열 안정성을 나타내며 114℃에서부터 열화가 발생하고 157℃에서 70 %의 중량 손실이 일어났다. MACSF가 MAA에 비해 열안정성이 높은 것은 열적으로 안정한 플루오로설파모일 아미드(flurosulfamoyl amide)기가 추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험예 2: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특성 분석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CPE)의 UV-경화 광중합 반응과 구조적 확인은 각각 FTIR, EDX, 원소 분석, XPS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1) FTIR 및 EDS 분석
도 7의 (a) 및 (b)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의 가교 고분자막에 대한 PEGDMA 및 CPE의 FTIR 스펙트럼 분석 결과이다. UV 경화 반응 전에 PEGDMA는 각각 1716 및 1636 cm-1에서 C = O 및 C = C 스트레칭에 대한 2개의 특징 밴드가 나타났다. UV 경화 광중합 반응 후 C = O 스트레칭 밴드는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도 7의 (a), (b)에 따르면 C = C 스트레칭 밴드는 FTIR 스펙트럼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PEGDMA 및 MACSF 모노머의 광중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또한, 도 7의 (c) 내지 (g)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의 가교 고분자막에 대한 EDS 스펙트럼과 원소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비교예 1의 고분자막(CP)의 EDS 스펙트럼에 따르면 주로 C 및 O 원소로 구성된다. 반면에,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2의 CPE의 EDS 스펙트럼에 따르면 CPE 고분자 전해질 매트릭스는 C, O, S, N 및 F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S, N 및 F 원소가 MACSF 및 LiFSI에서 유래했으며 CPE 전해질의 고분자 매트릭스에서 MACSF 및 LiFSI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2) XPS 분석
도 8은 가교 고분자막에 대한 XPS 분석 결과이고, (a) 내지 (c)는 비교예 1의 CP, (d) 내지 (j)는 실시예 1의 CPE-3 고분자 전해질막의 XPS 분석 결과이다. 이에 따르면, 비교예 1(CP) 의 XPS 스펙트럼은 1,228, 979, 534 및 (284-288) eV 에서 각각 C k, O k, O 1s 및 C 1s 결합 에너지 피크를 나타내었고, C 1s 스펙트럼은 288, 286 및 284에서 결합 에너지 피크를 보였으며 O 1s 스펙트럼은 532 eV에서 또 다른 강렬한 결합 에너지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는 CP 막의 C = O, C-O 및 C-C 에 의한 것이다. MACSF 및 LiFSI 단량체가 있는 가교 고분자막의 XPS 스펙트럼에 따르면; CPE-1, CPE-2, CPE-3 및 CPE-4는 각각 1,228, 979, 686, 532, 400, (284-288), 169 및 56 eV 에서 C k, O k, F 1s, O 1S, N 1s, C 1s, S 2p 및 Li 1s 결합 에너지 피크를 나타냈다. CPE는 CP 폴리머와 비교하여 CPE는 각각 686, 400, 169 및 56 eV에서 F 1s, N 1s, S 2p 및 Li 1에 대한 추가적인 새로운 결합 에너지 피크를 나타낸다.
(3) 열 안정성 분석
도 9는 가교 고분자막의 열중량분석(TGA)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비교예 1의 CP는 약 190℃까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대조적으로, 모든 CPE 막 중에서 비교예 2의 CPE-4는 약 170℃까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비교예 2의 CPE-4는 2 단계 감소량을 나타내며, 첫 번째 중량 감소는 온도 범위 170 ~ 206℃에서 FSI기 분해로 인해 5 % 중량 감소가 일어났고, 두 번째 중량 감소는 225 ~ 500℃의 온도 범위에서 PEGDMA의 분해로 인해 67 % 중량 감소가 일어났다. 실시예 1 내지 3의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인 CPE-1, CPE-2 및 CPE-3은 매우 유사한 분해 곡선을 나타냈고, 3 단계 무게 감소를 보였다. 첫 번째는 무게 감소는 130 내지 162℃에서 MACSF의 분해로 인해 약 7%의 중량 감소가 일어났다. 두 번째 중량 감소는 162 ~ 237℃에서 FSI 분해로 인해 각각 19 %, 17 % 및 18 %), 세 번째 중량 감소는 238 ~ 500℃의 온도 범위에서 PEGDMA 분해로 인해 각각 87 %, 70 % 및 67 %의 중량 감소가 일어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CPE 막이 LIB의 표준 작동 온도(-40 ~ +85℃)를 고려할 때 안전하고 열적으로 안정적인 LIB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4) FE-SEM 분석
도 10은 제조된 가교 고분자막의 표면 형태를 알아 보기 위한 FE-SEM 분석 결과이다. FE-SEM 이미지에 따르면 모든 CPE가 부드럽고 유연하며 무정형 특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의 순수한 가교 폴리머 CP는 많은 분자가 가교로 함께 조립되어 형성된 큰 로프 모양의 네트워크를 나타내었고, 폴리머 막의 무정형 특성을 나타내었다. CPE 1 내지 4를 보면 MACSF 및 LiFSI를 네트워크에 통합한 후 더 미세한 상호 연결된 구조를 형성하는 대신 로프와 같은 구조의 두께와 길이를 모두 줄이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술포네이트 이오노머 사이의 이온 결합의 결과로 PEGDMA 사슬의 중합 유도 응집(polymerization induced aggregation) 및 재배열에 의한 것이다.
(5) DSC 분석
도 11은 가교 고분자막의 시차주사열량계(DS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제조된 가교 고분자막의 형태는 하나의 유리전이온도(Tg)만을 나타내어 완전한 무정형인 것을 알 수 있다. CP는 -56℃에서 Tg의 흡열 피크를 나타냈다. 이는 고무/유연 단계로의 전이에 해당한다. CPE-1, CPE-2, CPE-3 및 CPE-4의 Tg 값은 각각 -72, -72.5, -79 및 -73℃로 CP에 비해 훨씬 낮았다. 실시예 1 내지 4의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CPE)이 비교예 1의 고분자막(CP)보다 유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PEGDMA 폴리머 매트릭스에서 LiFSI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EGDMA 및 MACSF 체인과의 통합을 위한 Li- 이온 가용성으로 인해 Tg 값이 점차 감소하였다. 그 결과 막의 비정질 특성이 꾸준히 증가하여 높은 이온전도도(σ)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6) XRD 분석
도 12는 가교 고분자막의 XRD 분석 결과이다. 제조된 모든 가교 고분자는 넓은 피크를 보였고, 뚜렷한 날카로운 피크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합성된 가교 고분자가 무정형 중합체의 특성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특히 CP는 2θ = 20 °에서 넓은 피크를 나타내고, CPE는 CPE의 무정형 특성의 증가를 반영하여 동일한 영역에서 낮은 강도의 확장 대역을 보였다. 이는 PEGDMA 체인에 MACSF와 LiFSI를 통합하여 발생하는 것이고, 이는 PEGDMA의 결정성을 상당히 억제할 수 있다. CPE의 비정질 특성은 폴리머 매트릭스에서 MACSF와 LiFSI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당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XRD 결과는 DSC 및 FE-SEM 이미지의 결과와 일치하여 CPE가 리튬 이온 이동에 유리한 폴리머 구조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CP 및 CPE의 이온 전도도 및 전이수(transference number)
(1) 이온전도도(σ) 분석
30-80 ℃의 온도 범위에서 CPE의 이온전도도(σ)를 측정하기 위해 소자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대칭 셀 SS/CPE/SS를 준비하였다. 도 13은 온도에 따른 (a) 이온 전도도, (b) 전도도 플롯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UV 경화 고분자 전해질인 CPE의 이온전도도(σ)는 30℃에서 CPE-1, CPE-2, CPE-3 및 CPE-4의 경우 각각 3.4 × 10-5, 1.5 × 10-4, 3.5 × 10-4 및 5.5 × 10-5 S.cm-1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보고된 UV 경화 가교 고분자 전해질과 비슷하거나 더 크다.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CPE-1, CPE-2, CPE-3 및 CPE-4와 같은 모든 CPE는 80℃에서 각각 2.60 Х 10-3, 4.40 Х 10-3, 8.50 Х 10-3, 1.83 Х 10-3 S.cm-1로 더 높은 이온전도도(s)를 보였고, 이는 온도 상승에 따른 CPE 폴리머의 상 변화 때문일 것이다. 도 13의 (b)는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아레니우스 플롯(Arrhenius plots)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이 플롯은 일반적인 아레니우스 플롯과 잘 일치하는 온도 함수와 함께 lnσ의 선형 거동을 잘 나타내고 있다. CPE의 활성화 에너지(Ea)는 lnσ vs 온도 그래프의 기울기에서 계산되었으며, 이 값은 CPE-1, CPE-2, CPE-3 및 CPE-4 에 대해 각각 68.14, 59.83, 56.50 및 70.63 kJmol-1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CPE의 낮은 활성화 에너지(Ea) 값은 높은 전도도와 우수한 전기 화학적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고분자 사슬의 높은 분절 운동(segmental motion)으로 인해 온도 상승에 따라 가교 고분자의 비정질 특성이 증가한다. 모든 CPE 중 실시예 3의 CPE-3은 30 ℃와 80 ℃에서 각각 가장 높은 이온전도도(σ) 3.5 Х 10-4, 8.50 Х 10-3 S.cm-1를 나타내었고, 고분자 매트릭스에서 MACSF 사슬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온전도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MACSF 체인이 이온 결합을 형성하여 리튬 이온을 전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전체 전도 메커니즘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다.
(2) 이온 전이수 분석
DSC, FE-SEM, 및 XRD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3의 CPE-3은 CPE-1, CPE-2 및 CPE-4에 비해 낮은 유리전이온도(Tg), 우수한 상분리 및 높은 비정질 특성을 보이며 즉, Li-ion 이동을 위한 부드럽고 유연하며, 선호되는 폴리머 매트릭스이다. CPE의 이온 전이수(tLi+)는 대칭형 Swagelock 셀인 Li-금속/CPEs/Li-금속을 사용하여 30℃에서 계산되었다.
도 15는 CPE-1, CPE-2, CPE-3 및 CPE-4의 이온 전이수(Transference number) 측정 결과이다. 이에 따르면, CPE의 tLi+는 CPE-1, CPE-2, CPE-3 및 CPE-4에 대해 각각 0.35, 0.40, 0.47, 0.15로 다른 종래의 UV-경화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과 유사하거나 더 높은 수준이다. 이는 CPE의 이온 전하가 주로 상대 음이온이 아닌 Li+에 의해 운반됨을 나타낸다.
시험예 4: 리튬이온전지 성능
CPE의 전지 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CPE 필름을 LFP 양극 표면에 100 ㎛ 두께로 캐스팅하였다. LFP는 고용량, 우수한 사이클링 성능 및 과충전 능력으로 인해 셀 테스트 용 양극 소재로 선택되었다. 셀 테스트는 먼저 고체 코인형 반쪽 셀 LFP/ CPEs /Li로 30 ℃에서 2-4V의 전압 범위에서 수행되었다. C rate는 활성 LFP 무게 (약 12.80 mg/cm2)를 기준으로 계산되었다. 도 16은 반쪽 셀로 측정한 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 측정 결과이다. 도 16의 (a)는 0.1 C에서 LFP / CPEs / Li 반쪽 전지의 충방전 플롯을 보여주고, 도 16의 (b)는 0.1C에서 충방전 사이클 수와 관련하여. 방전 비용량 (Csp)의 변화를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CPE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LIB)의 방전 비용량(Csp)은 CPE-1, CPE-2, CPE-3 및 CPE-4 전해질에 대해 각각 140, 144, 147 및 129 mAh/g이고, 이는 500 충방전 사이클 후 0.1C에서 용량 유지가 각각 초기 방전 비용량(Csp)의 94.42, 95.21, 96.17 및 93.98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비교예 2의 CPE-4가 포함된 반쪽 전지는 다른 전해질에 비해 높은 과전위(over potential)를 나타내었으며, 폴리머 매트릭스에서 MACSF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CPE-3이 포함된 반쪽 전지는 가장 낮은 과전위를 나타내었다. 이는 MACSF가 폴리머 매트릭스의 리튬 이온 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3의 CPE-3이 우수한 사이클링 및 전기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고전압 LIB 개발에 유망한 소재임을 알 수 있다.
도 17은 전체 셀의 전기화학적 성능 분석 결과이다. 도 17의 (a)는 0.1C에서 2-4 V의 전압 범위에 걸쳐 30℃에서 전체 셀 시스템 (LFP /CPEs/graphite)의 충방전 플롯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7의 (b)는 500 사이클 동안의 방전 비용량 측정 결과이다. 이러한 가교 고분자 전해질의 Csp는 500 사이클 후 0.1C에서 CPE-1, CPE-2, CPE-3 및 CPE-4에 대해 각각 134, 139, 146, 148 및 149 mAhg-1이었고, 이는 각각 초기 방전 비용량(Csp)의 94.03, 94.16, 94.37, 95.48, 95.52 %를 유지하는 것이다. 500 사이클 후, Csp의 약간의 감소는 흑연 양극 표면에 Li 덴드라이트의 부분적인 형성 때문일 수 있다.
실험예 5: 난연성 측정
도 18은 종래 분리막 필름인 Celgard, 비교예 1의 PEGDMA 필름 및 실시예 3의 CPE-3 전해질 필름의 연소 테스트 사진이다. Celgard는 폴리올레핀 매트릭스의 존재로 인해 3초 이내에 완전히 연소된 반면, 가교 PEGDMA는 7 초 후에 완전히 연소되어 Celgard에 비해 난연성이 높았다. 더 중요한 것은, MACSF 및 LiFSI 염이 포함된 다기능 가교 전해막인 실시예 3의 CPE-3은 13초에 완전 연소되어 가장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내었고, 이는 플루오로설포닐 이미드기와 같은 불연성기의 존재로 인한 것이다. 이와 같은 CPE 막의 높은 난연성은 CPE 막이 차세대 고전압 안전 LIB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8)

  1.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리튬이온전지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기반 가교 고분자 전해질의 첨가용 단량체;
    [구조식 1]

    구조식 1에서,
    n은 1 또는 2인 반복단위수이고,
    R1은 메틸기이고,
    R2는 수소원자이고,
    R3은 플루오르기, 클로로기, 또는 C1 내지 C10의 플루오로알킬기이다.
  2. 삭제
  3. 삭제
  4. 가교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고분자 전해질 매트릭스;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매트릭스에 결합된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및
    리튬염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는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
    [구조식 1]

    구조식 1에서,
    n은 1 또는 2인 반복단위수이고,
    R1은 메틸기이고,
    R2는 수소원자이고,
    R3은 플루오르기, 클로로기, 또는 C1 내지 C10의 플루오로알킬기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고분자는 하기 구조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
    [구조식 2]

    구조식 2에서,
    m은 반복단위수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20 알킬기이고
    수평균분자량(Mn)은 100 내지 10,000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 2에서,
    m은 반복단위수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10 알킬기이고
    수평균분자량(Mn)은 300 내지 1,000이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 전해질은 (FSO2)2NLi, (CF3SO2)2NLi, LiC(CF3SO2)3, CH3SO3Li, LiSCN,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및 LiAlCl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 전해질은 (FSO2)2NL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
  9. (a)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및 리튬염 전해질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구조식 1]

    구조식 1에서,
    n은 1 또는 2인 반복단위수이고,
    R1은 메틸기이고,
    R2는 수소원자이고,
    R3은 플루오르기, 클로로기, 또는 C1 내지 C10의 플루오로알킬기이다.
    (b)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고분자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1 용액과 제2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용액에 광개시제를 첨가하여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구체 용액에서 상기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UV 광경화시켜 가교 고분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 전해질은 (FSO2)2NLi, (CF3SO2)2NLi, LiC(CF3SO2)3, CH3SO3Li, LiSCN,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및 LiAlCl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아세톤(Acetone),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메틸알콜(Methyl alcohol), 에틸알콜(Ethyl alcohol), 에틸렌글리콜(Ethylene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헥산(Hexane), 사이클로헥사논 (Cyclohexanone), 톨루엔(Tolu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벤젠 (Dichlorobenzene), 디메틸벤젠(Dimethylbenzene), 트리메틸벤젠(Trimethylbenzene), 피리딘 (Pyridine), 메틸나프탈렌(Methylnaphthalene), 니트로메탄(Nitromethane),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옥타데실아민 (Octadecylamine), 아닐린 (Aniline), 및 디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 sulfox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고분자는 하기 구조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구조식 2]

    구조식 2에서,
    m은 반복단위수이고,
    R4 및 R5는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20 알킬기이고
    수평균분자량(Mn)은 100 내지 10,000이다.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은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고분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25 내지 85중량부; 및 상기 리튬염 전해질 25 내지 8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혼합용액에 1 내지 2wt% 함량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HMPP(2-hydroxy-2-methyl-1-phenyl-propane-1-one), DMPA(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및 디페닐 2,4,6-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 옥사이드(Diphenyl 2,4,6 - 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6. 제4항 내지 제8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
  17. 제16항의 리튬이온전지를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통신장치, 운송장치, 에너지 저장장치, 및 음향장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디바이스.
KR1020210056746A 2021-04-30 2021-04-30 가교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 KR102587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46A KR102587798B1 (ko) 2021-04-30 2021-04-30 가교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
PCT/KR2022/006214 WO2022231394A1 (ko) 2021-04-30 2022-04-29 가교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46A KR102587798B1 (ko) 2021-04-30 2021-04-30 가교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294A KR20220149294A (ko) 2022-11-08
KR102587798B1 true KR102587798B1 (ko) 2023-10-12

Family

ID=8384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746A KR102587798B1 (ko) 2021-04-30 2021-04-30 가교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7798B1 (ko)
WO (1) WO202223139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5542A (en) * 1957-05-20 1961-08-08 Minnesota Mining & Mfg Fluorocarbon acrylic-type amides and polyme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628A (ko) * 1996-12-30 1998-09-25 김광호 고분자 고체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리튬 2차전지
CN107534158B (zh) * 2015-05-12 2020-08-18 西奥公司 作为用于锂电池的电解质的peo和氟化聚合物的共聚物
KR102024889B1 (ko) * 2015-10-30 2019-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 상호침투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FR3049114B1 (fr) * 2016-03-18 2018-03-09 Blue Solutions Batterie lithium metal polymere a haute densite d'energi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5542A (en) * 1957-05-20 1961-08-08 Minnesota Mining & Mfg Fluorocarbon acrylic-type amides and polymer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S APPL. MATER. INTERFACES 2019, 11, 34930-34938*
MEMBRANES 2019, 9, 13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294A (ko) 2022-11-08
WO2022231394A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865B1 (ko)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EP3093906B1 (en) Lithium metal battery
KR102411660B1 (ko) 리튬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KR102303831B1 (ko)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 및 리튬이차전지
CN107546412B (zh) 聚合物电解质、制备所述聚合物电解质的方法和包括其的锂金属电池
US7468226B2 (en) Porous film type solvent-free polymer electrolyte filled with oligomer/prepolymer electrolyte and secondary battery employing the same
KR102592691B1 (ko)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110136745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33310A (ko) 전해질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과 리튬 이차 전지
US6933078B2 (en)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s and method of making such crosslinked polymers
EP2956978B1 (en)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
KR101807693B1 (ko) 겔 고분자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및 겔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WO2022170317A1 (en) Phosphazene compound-based electrolyte compositions, quasi-solid and solid-state electrolytes, and lithium batteries
KR101190145B1 (ko) 아민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가교제로 함유하는 겔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고분자 이차 전지
KR102188558B1 (ko) PEALiFSI 고분자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고체 전해질 용도
KR102587798B1 (ko) 가교 고분자 전해질 첨가용 단량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용 가교 고분자 전해질막
CN113265055B (zh) 梳状聚合物
KR10152921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분리막과,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12481829A (zh) 一种单离子导体聚合物电解质复合隔膜、其制备方法及应用
KR20210046336A (ko) LiFSI를 활용한 자립형 겔화 고분자 화합물 및 이의 유연한 리튬 이온 배터리용 겔 고분자 전해질 용도
KR20190133659A (ko) 유기전해액 및 상기 전해액을 채용한 리튬 전지
KR102426532B1 (ko) 고체전해질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고체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CN108929437B (zh) 锂电池用聚合物的制造方法、锂电池电解液和锂电池
KR20240055485A (ko)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기반 리튬이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Irfan et al. Polymer-Based Solid-State Electroly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