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087B1 -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087B1
KR102587087B1 KR1020180130227A KR20180130227A KR102587087B1 KR 102587087 B1 KR102587087 B1 KR 102587087B1 KR 1020180130227 A KR1020180130227 A KR 1020180130227A KR 20180130227 A KR20180130227 A KR 20180130227A KR 102587087 B1 KR102587087 B1 KR 102587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de
bvm
display
sv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285A (ko
Inventor
이용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0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0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s with adjustable captur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SVM 모드 및 BVM 모드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SVM 영상은 물론 최적의 BVM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SVM(Surround View Monitoring) 모드 또는 BVM(Blind-spot View Monitoring) 모드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SVM 모드 또는 BVM 모드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조절하는 사이드미러 구동부; SVM 영상 또는 BVM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SVM 모드 또는 BVM 모드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사이드미러 구동부를 제어하고, SVM 영상 또는 BVM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BVM IMAGE USING SVM CAMERA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운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지능형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이 차량에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ADAS은 차선이탈경고시스템(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전방추돌경보시스템(FCWS, 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운전자졸음방지(Driver Drowsiness Detection) 시스템, 보행자 감지(PD, Pedestrian Detection) 시스템, 교통표지인식(TSR, Traffic Sign Recognition) 시스템, 사각지대감시(BVM, Blind-spot View Monitoring) 시스템, 주변영상감시(SVM, Surround View Monitoring) 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BVM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할 때 사이드미러를 통해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에 대해서도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해주는 보조 시스템으로서, 특수 제작된 BVM 전용 카메라를 통해서 사각지대를 감지하거나, 또는 물체 인식 센서 등을 통해서 감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SVM(Surround View Monitoring)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에는 이미 SVM용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BVM 시스템을 위해 추가로 BVM용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은 비용적 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SVM 카메라를 이용하여 BVM 영상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사이드미러 하부에 장착된 카메라의 지향각이 약 5도의 후방을 지향하도록 조절하여 SVM 영상과 BVM 영상을 모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기술은 사이드미러 하부에 장착된 카메라의 지향각이 0도(지면과 수직)를 갖도록 설치하여 최적의 측방 지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BVM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사이드미러 하부에 장착된 카메라의 지향각이 5도(차량의 후방을 지향)를 갖도록 설치함으로써, 실제 최적의 BVM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최소 15도 이상 후방을 지향하도록 설치되어야 함을 고려할 때, 최적의 SVM 영상은 물론 최적의 BVM 영상을 획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29486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SVM 모드 및 BVM 모드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SVM 영상은 물론 최적의 BVM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SVM(Surround View Monitoring) 모드 또는 BVM(Blind-spot View Monitoring) 모드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SVM 모드 또는 BVM 모드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조절하는 사이드미러 구동부; SVM 영상 또는 BVM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SVM 모드 또는 BVM 모드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사이드미러 구동부를 제어하고, SVM 영상 또는 BVM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SVM 모드에 상응하는 사이드미러의 제1 폴딩각도와, BVM 모드 중 후측방 영상 모드에 상응하는 사이드미러의 제2 폴딩각도와 전측방 영상 모드에 상응하는 사이드미러의 제3 폴딩각도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미러 구동부는 SVM 모드에서는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제1 폴딩각도로 조절하고,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는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제2 폴딩각도로 조절하며,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는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제3 폴딩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미러 구동부는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제2 폴딩각도에 기초하여 미러각도를 조절하고,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제3 폴딩각도에 기초하여 미러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획득한 후측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획득한 전측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좌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우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우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좌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우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우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우측 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측 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우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영상모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영상모드가 SVM(Surround View Monitoring) 모드이면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제1 폴딩각도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영상모드가 BVM(Blind-spot View Monitoring) 모드 중 후측방 영상 모드이면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제2 폴딩각도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영상모드가 BVM 모드 중 전측방 영상 모드이면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제3 폴딩각도로 조절하는 단계; 및 해당 영상모드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제2 폴딩각도 또는 제3 폴딩각도에 기초하여 미러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획득한 후측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획득한 전측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좌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우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우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좌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우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우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우측 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측 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우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은, SVM 모드 및 BVM 모드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SVM 영상은 물론 최적의 BVM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SVM 시스템의 카메라의 차량 내 위치에 대한 일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우측 전방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우측 후방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100)는, 메모리(10), 카메라(20), 입력부(30), 사이드미러 구동부(40), 표시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를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각 구성요소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아울러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일부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메모리(10)는 차량의 사이드미러의 하부에 장착된 카메라(20)가 최적의 SVM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와, 최적의 BVM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저장한다. 즉, 메모리(10)는 차량의 사이드미러의 하부에 장착된 카메라(20)가 지면을 향하도록 하는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와, 상기 카메라(20)가 차량의 후측방을 향하도록 하는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저장한다. 이때,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는 좌측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와 우측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는 차종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는 차량의 사이드미러의 하부에 장착된 카메라(20)가 차량의 전측방을 향하도록 하는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는 좌측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와 우측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는 SVM 모드 및 BVM 모드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각종 로직과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을 더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20)는 SVM 용도로 사용되는 카메라로서 차량의 사이드미러 하부에 장착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이용되는 SVM 시스템의 카메라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VM 시스템의 카메라는 전방 카메라(21), 후방 카메라(22), 좌측 카메라(23), 우측 카메라(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21 내지 24)는 SVM 시스템에 구비되는 필수 구성요소로서 최적의 SVM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튜닝 되어 있다. 특히, 좌측 카메라(23)와 우측 카메라(24)는 본 발명에서 BVM 영상을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전방 카메라(21)는 차량의 전면에 위치하여, 차량의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전방 카메라(21)는 차량의 양쪽 헤드램프 사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방 카메라(22)는 차량의 후면에 위치하여, 차량의 후방 영상를 획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히, 후방 카메라(22)는 차량의 양쪽 후방 램프 사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좌측 카메라(23)는 차량의 좌측 사이드미러 하부에 위치하여 SVM 모드에서는 차량의 좌측방 영상를 획득하고, BVM 모드에서는 차량의 좌측 후방 영상 또는 좌측 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우측 카메라(24)는 차량의 우측 사이드미러 하부에 위치하여 SVM 모드에서는 차량의 우측방 영상를 획득하고, BVM 모드에서는 차량의 우측 후방 영상 또는 우측 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로서 사용자로부터 SVM 모드 및 BVM 모드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입력부(30)는 SVM 모드 선택 버튼 및 BVM 모드 선택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30)는 BVM 모드 내에서 사용자로부터 좌측 후방 영상 모드 또는 우측 후방 영상 모드를 선택받을 수도 있다. 물론,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Multi-Function Switch)와 연동하여 좌회전 시그널 발생시 좌측 후방 영상 모드가 선택되고, 우회전 시그널 발생시 우측 후방 영상 모드가 선택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30)는 BVM 모드 내에서 사용자로부터 좌측 전방 영상 모드 또는 우측 전방 영상 모드를 선택받을 수도 있다. 이때, 입력부(30)는 좌측 전방 영상 모드 선택 버튼 및 우측 전방 영상 모드 선택 버튼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결국, 입력부(30)는 SVM 모드 또는 BVM 모드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BVM 모드 내에서 좌측 사이드미러에 의해 좌우되는 좌측 후방 영상 또는 좌측 전방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고, 우측 사이드미러에 의해 좌우되는 우측 후방 영상 또는 우측 전방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좌측 전방 영상과 우측 전방 영상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이유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도로 주행시 또는 정체시 선행차량(310)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져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상의 선행차량(320)을 보지 못해 자칫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의 전방에 선행차량(320)이 있는지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사이드미러 구동부(40)는 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SVM 모드 또는 BVM 모드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조절한다. 이때, 사이드미러 구동부(40)는 회전 폴딩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사이드미러를 평행하게 폴딩하거나 언폴딩하지 않고 사이드미러를 회전시키면서 폴딩하거나 언폴딩한다. 이로 인해 사이드미러의 하부에 위치한 카메라의 지향각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폴딩 구조는 주지관용의 기술이다.
또한, 사이드미러 구동부(40)는 SVM 모드에서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0도(일반적으로 주행중 사이드미러의 위치)로 조절하고, BVM 모드 중 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일례로 -5도(카메라가 후측방을 지향)로 조절하며, BVM 모드 중 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일례로 +5도(카메라가 전측방을 지향)로 조절한다.
또한, 사이드미러 구동부(40)는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에 따라 미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가 변경되어도 운전자가 사이드미러를 통해 후측방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가 0도인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미러각도를 기준각도로 설정하고,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가 0도에서 -5도로 변경된 경우 미러를 시계 방향으로 -5도 회전시켜 미러각도를 기준각도에서 -5도로 변경하며,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가 0도에서 +5도로 변경된 경우 미러를 반시계 방향으로 +5도 회전시켜 미러각도를 기준각도에서 +5도로 변경한다.
또한, 사이드미러 구동부(40)는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조절하는 제1 모터와 미러각도를 조절하는 제2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부(50)는 BVM 모드 중 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0)를 통해 획득한 후측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BVM 모드 중 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0)를 통해 획득한 전측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는 클러스터일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는 헤드유닛일 수 있다.
즉, 표시부(50)는 BVM 모드 중 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되고, 멀티 펑션 스위치에 의한 턴 시그널이 좌회전신호인 경우, 좌측 카메라(23)를 통해 획득한 좌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BVM 모드 중 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되고, 멀티 펑션 스위치에 의한 턴 시그널이 우회전신호인 경우, 우측 카메라(24)를 통해 획득한 우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50)는 BVM 모드 중 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되고, 멀티 펑션 스위치에 의한 턴 시그널이 좌회전신호인 경우, 좌측 카메라(23)를 통해 획득한 좌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BVM 모드 중 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되고, 멀티 펑션 스위치에 의한 턴 시그널이 우회전신호인 경우, 우측 카메라(24)를 통해 획득한 우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50)는 멀티 평션 스위치에 의한 턴 시그널 없이 BVM 모드 중 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된 경우, 좌측 카메라(23)를 통해 획득한 좌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우측 카메라(24)를 통해 획득한 우측 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50)는 멀티 평션 스위치에 의한 턴 시그널 없이 BVM 모드 중 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된 경우, 좌측 카메라(23)를 통해 획득한 좌측 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우측 카메라(24)를 통해 획득한 우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표시부(50)는 SVM 모드가 선택되면 SVM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 또는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60)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60)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6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60)는 SVM 모드 및 BVM 모드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60)는 사용자로부터 SVM 모드 및 BVM 모드를 입력받거나, BVM 모드 내에서 좌측 사이드미러에 의해 좌우되는 좌측 후방 영상 또는 좌측 전방 영상을 입력받거나 우측 사이드미러에 의해 좌우되는 우측 후방 영상 또는 우측 전방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입력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SVM 모드 또는 BVM 모드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조절하도록 사이드미러 구동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BVM 모드 중 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카메라(20)를 통해 획득한 후측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BVM 모드 중 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카메라(20)를 통해 획득한 전측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BVM 모드 중 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되고, 멀티 펑션 스위치에 의한 턴 시그널이 좌회전신호인 경우, 좌측 카메라(23)를 통해 획득한 좌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BVM 모드 중 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되고, 멀티 펑션 스위치에 의한 턴 시그널이 우회전신호인 경우, 우측 카메라(24)를 통해 획득한 우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BVM 모드 중 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되고, 멀티 펑션 스위치에 의한 턴 시그널이 좌회전신호인 경우, 좌측 카메라(23)를 통해 획득한 좌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BVM 모드 중 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되고, 멀티 펑션 스위치에 의한 턴 시그널이 우회전신호인 경우, 우측 카메라(24)를 통해 획득한 우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멀티 평션 스위치에 의한 턴 시그널 없이 BVM 모드 중 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된 경우, 좌측 카메라(23)를 통해 획득한 좌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우측 카메라(24)를 통해 획득한 우측 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멀티 평션 스위치에 의한 턴 시그널 없이 BVM 모드 중 전측방 영상 모드가 선택된 경우, 좌측 카메라(23)를 통해 획득한 좌측 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우측 카메라(24)를 통해 획득한 우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입력부(30)가 사용자로부터 영상모드를 입력받는다(601).
이후, 사이드미러 구동부(40)가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받은 영상모드를 확인한다(602).
상기 확인결과(602), SVM(Surround View Monitoring) 모드이면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제1 폴딩각도로 조절한다(603).
상기 확인결과(602), BVM(Blind-spot View Monitoring) 모드 중 후측방 영상 모드이면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제2 폴딩각도로 조절한다(604).
상기 확인결과, BVM 모드 중 전측방 영상 모드이면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제3 폴딩각도로 조절한다(605).
이후, 해당 영상모드에 따른 영상을 표시한다(606).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메모리
20: 카메라
30: 입력부
40: 사이드미러 구동부
50: 표시부
60: 제어부

Claims (17)

  1. SVM 모드에 상응하는 사이드미러의 제1 폴딩각도와, BVM 모드 중 후측방 영상 모드에 상응하는 사이드미러의 제2 폴딩각도와 전측방 영상 모드에 상응하는 사이드미러의 제3 폴딩각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SVM(Surround View Monitoring) 모드 또는 BVM(Blind-spot View Monitoring) 모드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SVM 모드 또는 BVM 모드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조절하는 사이드미러 구동부;
    SVM 영상 또는 BVM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SVM 모드 또는 BVM 모드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사이드미러 구동부를 제어하고, SVM 영상 또는 BVM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이드미러 구동부는,
    SVM 모드에서는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제1 폴딩각도로 조절하고,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는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제2 폴딩각도로 조절하며,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는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제3 폴딩각도로 조절하고,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제2 폴딩각도에 기초하여 미러각도를 조절하고,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제3 폴딩각도에 기초하여 미러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획득한 후측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획득한 전측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좌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우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우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좌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우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우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우측 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측 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우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10. 사용자로부터 영상모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영상모드가 SVM(Surround View Monitoring) 모드이면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제1 폴딩각도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영상모드가 BVM(Blind-spot View Monitoring) 모드 중 후측방 영상 모드이면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제2 폴딩각도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영상모드가 BVM 모드 중 전측방 영상 모드이면 사이드미러의 폴딩각도를 제3 폴딩각도로 조절하는 단계; 및
    해당 영상모드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폴딩각도로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폴딩각도에 기초하여 미러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폴딩각도로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3 폴딩각도에 기초하여 미러각도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획득한 후측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획득한 전측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좌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우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우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좌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우회전 신호가 입력되면 우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측 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후측방 영상 모드에서 우측 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좌측 전방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전측방 영상 모드에서 우측 전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방법.
KR1020180130227A 2018-10-29 2018-10-29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587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227A KR102587087B1 (ko) 2018-10-29 2018-10-29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227A KR102587087B1 (ko) 2018-10-29 2018-10-29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285A KR20200048285A (ko) 2020-05-08
KR102587087B1 true KR102587087B1 (ko) 2023-10-11

Family

ID=7067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227A KR102587087B1 (ko) 2018-10-29 2018-10-29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575B1 (ko) * 2020-05-21 2022-06-08 송해성 자동차의 주변 영상 및 네비게이션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8901A (ja) * 2002-10-29 2004-05-2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駐車支援装置
JP2016088506A (ja) * 2014-10-30 2016-05-23 ソンウ イーエヌジ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乗合自動車の子供の保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369B1 (ko) * 2012-12-20 2014-09-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의 사각지대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435659B1 (ko) * 2013-02-01 2014-08-2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사각지대 모니터링 장치
KR101729486B1 (ko) 2015-11-16 2017-04-25 (주)캠시스 Avm 시스템에서의 사각 지대 감시 방법 및 그 avm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8901A (ja) * 2002-10-29 2004-05-2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駐車支援装置
JP2016088506A (ja) * 2014-10-30 2016-05-23 ソンウ イーエヌジ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乗合自動車の子供の保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285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0822B2 (en) Vehicular rearview vision system with A-pillar display
US10384610B2 (en) Rearview vision system for vehicle
US7078692B2 (en) On-vehicle night vision camera system,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220210344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5858650B2 (ja) 画像生成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生成方法
EP3330117B1 (en) Vehicle display device
EP3466763B1 (en) Vehicle monitor system
JP6814040B2 (ja) ミラー代替手段、並びに、車両
WO2011001794A1 (ja) 画像生成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CN111699680B (zh) 行车记录仪、显示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CN109606262B (zh) 图像显示装置
JP5051263B2 (ja) 車両用後方視認システム
EP3566904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10857057A (zh) 车辆用周边显示装置
KR102587087B1 (ko) Svm 카메라를 이용한 bvm 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6130118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468658B2 (ja) 車両用周辺視認装置
KR101760050B1 (ko) 카메라모듈을 이용한 차량 사이드 미러 오토 폴딩 시스템 및 방법
KR102321522B1 (ko) 접이식 사이드 미러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097439A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having rear-view camera and cross-traffic sensor system with simultaneous view
JP2005182305A (ja) 車両走行支援装置
KR102010407B1 (ko) 스마트 리어뷰 시스템
KR20190117831A (ko) 차량용 접이식 사이드 미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전방 및 측방 화면 표시 시스템
KR102429490B1 (ko) Bvm 영상 제공 기능을 가지는 svm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32136A (ko)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