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603B1 - 소음기 및 소음기를 이용한 이젝터 - Google Patents

소음기 및 소음기를 이용한 이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603B1
KR102586603B1 KR1020180065945A KR20180065945A KR102586603B1 KR 102586603 B1 KR102586603 B1 KR 102586603B1 KR 1020180065945 A KR1020180065945 A KR 1020180065945A KR 20180065945 A KR20180065945 A KR 20180065945A KR 102586603 B1 KR102586603 B1 KR 102586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encer
exhaust
exhaust passage
cylind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770A (ko
Inventor
도루 나카야마
고지 스가노
마사유키 에노모토
마사요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4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1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in combination with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direct action on the fluid flow using absorptive materi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in systems with fluid flow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5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using a central core throttling gas pass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83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using blow off silen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04C29/063Sound 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2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30Facilitating or easing
    • B65H2601/32Facilitating or eas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324Removability or inter-changeability of machine parts, e.g. for mainten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14Architectures, e.g. special construction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fe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4Passiv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소음기(10)는, 압력유체를 배출하는 유체압기기(이젝터(12))의 배기 포트(48)와 일단부 측에서 연통하는 배기 유로(50)가 형성된 중공형상의 통부(52)와, 통부(52)의 타단부에 부착된 캡부(54)와, 통부(52)의 내벽면에 부착된 소음부(56)와, 통부(52)의 축방향으로 배기 유로(50)를 통과한 압력유체를 축방향과 직교하는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64a 내지 64d)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소음기 및 소음기를 이용한 이젝터 {SILENCER AND EJECTOR IN WHICH SILENCER IS USED}
본 발명은, 유체압기기로부터 배출되는 압력유체의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silencer) 및 그러한 소음기를 이용한 이젝터(ejector)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젝터 등의 유체압기기로부터 배출되는 압력유체(압축공기)의 배기소음이 크기 때문에, 유체압기기의 배기 포트 측에 소음기를 설치함으로써 배기소음의 저감이 성취될 수 있다(일본 공개특허 특개2012-218099호 공보 참조). 이런 종류의 소음기는, 유체압기기의 배기 포트와 연통하는 배기 유로가 형성된 중공형상의 통부와, 배기 유로 내에 제공된 소음부와, 배기 유로의 종단 위치에 배치된 배기구를 구비한다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배기구는 소음기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배기 유로 내를 통과한 압력유체는 축방향을 따라 배출되는 구성이었다. 이 때문에, 유체압기기에 소음기를 조립할 때, 배기구로부터의 배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소음기의 배기구를 벽면 등의 장애물로부터 이격시켜 유체압기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유체압기기의 설치 장소가 제한되고 있었다. 또, 배기구가 단지 하나의 위치에만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소음기를 이젝터에 부착시켰을 경우에는, 배기구가 막히면, 흡입 유량이나 진공압의 성능이 저하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음기를 부착시키는 유체압기기의 설치 장소가 제한되지 않고, 배기구로부터의 배기가 지장 없이 수행되어, 배기소음이 저감되는 소음기 및 소음기를 이용한 이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음기는, 압력유체를 배출하는 유체압기기의 배기 포트와 일단부 측에서 연통하는 배기 유로가 형성된 중공형상의 통부와, 통부의 타단부에 부착된 캡부와, 통부의 내벽면에 부착된 소음부와, 통부의 축방향으로 배기 유로를 통과한 압력유체를 축방향과 직교하는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음기에 의하면, 소음기를 부착시킨 유체압기기의 설치 장소가 제한되지 않고, 배기구로부터의 배기가 지장 없이 수행되어, 배기소음이 저감된다. 구체적으로는, 소음기를 부착시킨 유체압기기를 어떠한 방향으로 설치했을 경우에도, 배기가스를 통부의 축방향에 대해서 직교방향으로 복수의 배기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고, 더욱이, 유체압기기를 벽면 등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지 않고 소음기를 설치할 수 있다. 또, 소음기에는 복수의 배기구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구가 단지 하나의 위치에만 제공된 경우와는 달리, 외부로부터 막히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복수의 배기구가 분산하여 압력유체를 배출하기 때문에, 배기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소음 효과가 현저하다.
또, 본 발명의 소음기에 있어서, 복수의 배기구는 캡부에 제공되고, 반경방향을 지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배기 포트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배기소음의 저감에 도움이 된다.
또, 본 발명의 소음기에 있어서, 통부는, 캡부의 부근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배기 유로를 구획하는 통 형상의 격벽부를 가지며, 배기 유로는, 시작단부가 배기 포트를 향하고, 격벽부의 내측의 벽면을 따라 캡부의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1 배기 유로와, 제1 배기 유로의 종결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유동방향을 변경하고, 캡부의 내벽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캡부의 반대쪽으로 되접어 꺾인 제2 배기 유로와, 제2 배기 유로의 종결단부로부터 격벽부의 외측의 벽면을 따라 통부의 일단부 측으로 연장되는 제3 배기 유로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배기구는, 제3 배기 유로의 종결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기 유로가 캡부의 반대쪽으로 되접어 꺾여, 소음부와 압력유체가 서로 접하는 구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소음력(sound absorbing power)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소음기에 있어서, 소음부는, 제1 배기 유로를 따라 배치되는 제1 소음부와, 제2 배기 유로 및 제3 배기 유로를 따라 배치되는 제2 소음부와, 제3 배기 유로의 종결단부에 배치되는 제3 소음부로 이루어지며, 제2 소음부는, 제2 배기 유로의 종결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통부의 내부에 격벽부를 따라 제3 소음부, 제1 소음부, 및 제2 소음부를 차례로 설치한 후, 캡부를 부착시킴으로써 소음기를 조립할 수 있다. 또, 소음기의 분해를 용이하게 수행하여, 부품 단위에서의 교환도 용이하다.
또, 본 발명의 소음기에 있어서, 소음부와 캡부와의 사이에, 개구부의 직경이 소음부의 내경보다 큰 소음 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캡부에 형성된 배기구의 부근 위치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흐름을 방해하는 일 없이, 배기소음을 더욱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소음기에 있어서, 통부는, 외주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클립 부착부를 가지며, 클립 부착부는, 유체압기기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클립 부재를 걸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클립 부재를 클립 부착부에 부착시킴으로써, 소음기와 유체압기기를 일체화시킬 수 있어, 소음기가 유체압기기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클립 부재를 이용하여, 유체압기기에 소음기를 간단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소음기에 있어서, 통부는, 유체압기기에 형성된 암 나사부에 대해서 나사결합 및 고정되는 수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유체압기기에 대해서 소음기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젝터는, 급기 포트 및 흡인 포트와 연통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이젝터 몸체와,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급기 포트로부터 공급된 압력유체를 분사하여, 흡인 포트로부터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부압을 생성하는 노즐과, 노즐보다 하류 측에서 내부공간에 제공되고, 압력유체를 유체와 함께 배출하는 배기 포트를 가지는 디퓨저와, 배기 포트를 향하고, 이젝터 몸체에 부착되는 소음기를 포함하며, 소음기는, 배기 포트와 일단부 측에서 연통하는 배기 유로가 형성된 중공형상의 통부와, 통부의 타단부에 부착된 캡부와, 통부의 내벽면에 부착된 소음부와, 통부의 축방향으로 배기 유로를 통과한 압력유체를 축방향과 직교하는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젝터에 의하면, 소음기가 부착된 이젝터의 설치 장소가 제한되지 않고, 배기구로부터의 배기가 지장 없이 수행되어, 배기소음이 저감된다. 구체적으로는, 소음기가 부착된 이젝터를 어떠한 방향으로 설치했을 경우에도, 배기가스를 복수의 배기구로부터 통부의 축방향에 대해서 직교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기는 이젝터를 벽면 등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또, 소음기에는 복수의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구가 단지 하나의 위치에만 제공되는 경우와 달리, 외부로부터 막히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복수의 배기구가 분산하여 압력유체를 배출하기 때문에, 배기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소음 효과가 현저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음기가 부착된 유체압기기의 설치 장소가 제한되지 않고, 배기구로부터의 배기가 지장 없이 수행되고, 배기소음이 저감되는 소음기 및 소음기를 이용한 이젝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된 그리고 또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도시되는 첨부 도면들과 함께 이어지는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기가 부착된 이젝터를 포함하는 진공 발생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젝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음기 및 이젝터의 III-III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소음기의 IV-IV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소음기의 VI-VI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소음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에 대해, 소음기가 조립되는 이젝터와의 관계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들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기(10)가 부착된 이젝터(12)를 포함하는 진공 발생 유닛(14)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젝터(1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음기(10) 및 이젝터(12)의 III-III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소음기(10)의 IV-IV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발생 유닛(14)은, 진공 발생 기구로서 기능하는 이젝터(12)와, 진공 파괴용 파일럿 밸브(16) 및 진공 공급용 파일럿 밸브(18)를 가지는 전자 밸브부(20)와, 전환 밸브부(28)와, 진공 포트(30)로부터 유입된 유체 중의 먼지 등을 내부에 제공된 필터(32)에 의해 제거하는 필터 유닛(34)으로 구성된다. 전환 밸브부(28)는, 피스톤(22), 진공 공급 밸브(24), 및 진공 파괴 밸브(26)를 포함하며, 파일럿 에어의 공급작용 하에 변위하여 부압이 발생한 진공 발생 상태와 부압이 대기압으로 해제된 진공 파괴 상태 사이에서 전환된다. 진공 공급 밸브(24)와 진공 파괴 밸브(26)와의 사이에는, 진공 공급 밸브(24)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68)이 제공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12)는, 이젝터 몸체(36), 노즐(38), 디퓨저(40), 및 소음기(10)를 포함한다. 이젝터 몸체(36)에는, 급기 포트(42) 및 흡인 포트(44)가 제공되며, 이러한 포트와 연통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노즐(38)은, 이젝터 몸체(36)의 내부공간에 있어서 급기 포트(42)와 흡인 포트(44) 사이에 배치되고, 급기 포트(42)로부터 공급된 압력유체(압축공기)를 디퓨저(40)를 향하여 분사하여, 진공 포트(30)에 인도되는 유체(공기)를 흡인 포트(44)로부터 흡인하기 위한 부압을 생성한다.
디퓨저(40)는, 직렬로(in tandem) 배열되는 제1 디퓨저(40a)와 제2 디퓨저(40b)로 이루어지며, 이젝터 몸체(36)의 내부공간에 노즐(38)보다 하류 측에 제공된다. 제2 디퓨저(40b)는, 배기 포트(48)를 포함한다.
이젝터 몸체(36)는, 필터 유닛(34) 측에 흡인 포트(44)를 구성하는 제1 흡인 포트(44a)와 제2 흡인 포트(44b)를 포함한다. 제1 흡인 포트(44a)는, 제1 디퓨저(40a)와 노즐(38)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연통하고 있다. 제2 흡인 포트(44b)는, 제1 디퓨저(40a)와 제2 디퓨저(40b)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연통하고 있다. 제2 흡인 포트(44b)와 필터 유닛(34) 사이에는, 필터 유닛(34) 측으로부터 제2 흡인 포트(44b)로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가요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체크밸브(67)가 제공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기(10)의 일단부(도 2에서 좌측 단부)는 배기 포트(48)를 향하고, 그 타단부(도 2에서 우측 단부)는 이젝터 몸체(36)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소음기(10)는, 통부(52), 캡부(54), 및 소음부(56)를 가진다. 통부(52)는, 배기 포트(48)와 일단부 측에서 연통하는 배기 유로(50)를 포함한다. 통부(52)는 중공형상이다. 캡부(54)는, 통부(52)의 타단부(도 2에서 우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소음부(56)는, 통부(52)의 내벽면에 부착되어 있다. 소음부(56)는, 원통형이며, 그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부공간은 캡부(54)에 의해 폐쇄된다. 소음부(56)는, 재료로서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코올 등의 수지를 이용하여 스펀지 형상으로 형성되는 소음재로 구성된다. 또, 캡부(54)와 소음부(56) 사이에는, 소음부(56)의 내경(D1)보다 큰 직경(D2)의 개구부를 가지는 소음 링(58)이 설치되어 있다.
소음기(10)의 통부(52)의 일단측의 외주면에는, 환 형상 홈으로 이루어지는 클립 부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형상의 클립 부착부(60)는, 이젝터 몸체(36)에 형성된 구멍(36a, 36b)에 말단부(62a) 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대략 U자 형상의 클립 부재(62)를 걸어멈추고 있다. 클립 부재(62)의 중앙에 형성된 굴곡부(62b)는, 클립 부착부(60)의 홈 바닥부분을 좌우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맞닿아 있다. 클립 부재(62)의 파지부(62c)는, 이젝터 몸체(36)의 하부면에 맞닿아 있다. 클립 부재(62)를 클립 부착부(60)에 부착시킴으로써, 소음기(10)와 이젝터(12)를 일체화할 수 있어, 소음기(10)가 이젝터 몸체(36)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통부(52)의 외주면과 이젝터 몸체(36)와의 접속 부분에는, 환 형상의 밀봉 부재(63)가 배치되어, 이젝터(12)와 소음기(10) 사이에 있어서의 압력유체의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또,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54)는, 원반 형상의 말단부(54a)와, 말단부(54a)를 지지하는 각기둥부(54b)와, 각기둥부(54b)를 지지하고, 통부(52)에 끼워맞춰지는 환 형상의 접속부(54c)로 이루어진다. 각기둥부(54b)는, 말단부(54a)와 접속부(54c)와의 사이에 다리를 형성하고,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4개의 기둥체(columnar bodies)이며, 그 결과, 4개의 배기구(64a 내지 64d)가 형성되게 된다. 배기구(64a 내지 64d)는, 배기 유로(50)를 축방향(직진 방향)으로 통과한 유체를 축방향과 직교하는 반경방향으로 배출한다. 또한, 배기구의 수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4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음기(10)와 진공 발생 유닛(14)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진공 공급용 파일럿 밸브(18)의 비통전시, 진공 공급 밸브(24) 및 진공 공급용 파일럿 밸브(18)는 폐쇄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전력 공급원에 의해 진공 공급용 파일럿 밸브(18)에 통전시키면, 진공 공급용 파일럿 밸브(18)는 개방되어, 파일럿 압력이 피스톤(22)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22)은 진공 공급 밸브(24) 측(도 1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진공 공급 밸브(24)를 가압해서, 진공 공급 밸브(24)를 개방시킨다. 도시하지 않은 압력유체 공급원에 접속된 공급 포트(66)로부터 전환 밸브부(28)의 내부 유로에 공급된 압력유체(압축공기)는, 진공 공급 밸브(24)를 통과하고, 급기 포트(42)를 통하여 이젝터(12)의 노즐(38)의 일단부 측에 공급된다.
노즐(38)의 일단부 측으로부터 공급된 압력유체는, 노즐(38)에 있어서 내경이 가장 좁은 중앙부에서 교축된 후, 중앙부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내경이 확대되는 타단부 측으로부터 힘차게 분사된다.
이것에 의해, 압력유체의 속도는, 노즐(38)의 타단부 측이 일단부 측보다 빨라져, 타단부 측의 압력이 일단부 측의 압력보다 낮아진다. 이 경우, 이젝터(12)는, 이젝터 몸체(36)에 형성된 제1 흡인 포트(44a)를 통해서 필터 유닛(34)의 내부공간과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이젝터 몸체(36)의 제1 흡인 포트(44a)에서 생성된 부압에 의해, 외기가 진공 포트(30)로부터 흡인된다. 이 때문에, 진공 포트(30)는 부압 상태가 된다. 게다가, 외기는, 필터 유닛(34)의 내부공간에 있어서 필터(32)를 통과하여 미세한 먼지 등이 제거된 후, 제1 흡인 포트(44a)로부터 이젝터(12)로 도입된다.
제1 디퓨저(40a)는, 노즐(38)의 타단부로부터 분사된 압력유체를 제1 흡인 포트(44a)로부터 흡인한 유체와 함께 제2 디퓨저(40b)를 향해 분사한다.
이 결과, 제2 흡인 포트(44b)에도 부압이 발생하고, 제2 디퓨저(40b)에서는, 제1 디퓨저(40a)로부터 분사된 압력유체를 제2 흡인 포트(44b)로부터 흡인한 유체와 함께 배기 포트(48)로부터 소음기(10)의 배기 유로(50)를 향해 분사한다.
진공 포트(30)에 접속된,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흡착도구에 도시하지 않은 워크가 흡착되면, 필터 유닛(34) 및 흡착도구의 내부에 있어서의 진공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필터 유닛(34)의 내부공간의 진공도가 제2 흡인 포트(44b)의 진공도에 비해 높아지면, 그 부압 차이에 의해 제2 흡인 포트(44b)에 제공되는 체크밸브(67)가 폐쇄되기 때문에, 배기 포트(48)로부터 분사되는 유체는, 제1 디퓨저(40a)로부터 분사된 유체만으로 이루어진다.
소음기(10)에서는, 이젝터(12)로부터 분사된 유체가 통부(52)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배기 유로(50)에 공급되면, 이 유체는 통부(52)의 내벽면에 제공되는 소음부(56)에 의해 배기소음이 흡수되면서, 축방향을 따라 캡부(54)를 향하여 직진(도 1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한다. 캡부(54)에 도달한 유체는, 캡부(54)에 제공되어 반경방향을 지향하여 개구되는 복수의 배기구(64a 내지 64d)로부터, 통부(52)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1 및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B방향)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진공 공급용 파일럿 밸브(18)로의 통전을 정지시키면, 진공 공급 밸브(24)와 진공 파괴 밸브(26)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68)의 복귀력에 의해 진공 공급 밸브(24)는 폐쇄 상태로 복귀하여, 이젝터(12)로의 압력유체의 공급이 정지되기 때문에, 진공의 발생은 정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기(10)는, 배기가스를 복수의 배기구(64a 내지 64d)로부터 통부(52)의 축방향에 대해서 직교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체압기기를 벽면 등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지 않고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장소가 제한되지 않는다.
또, 복수의 배기구(64a 내지 64d)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배기구가 단지 하나의 위치에만 제공되는 경우와 달리, 막히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발생 유닛(14)이 이젝터(12)에 부착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하나의 위치가 막히는 경우에도, 흡입 유량이나 진공압 등과 같은 제품 성능의 심각한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배기구(64a 내지 64d)가 압력유체를 분산하여 배출시키기 때문에, 배기구가 단지 하나의 위치에만 제공되는 경우보다 배기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배기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기(10)에 있어서, 복수의 배기구(64a 내지 64d)는, 캡부(54)에서 반경방향을 지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배기 포트(48)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배기소음의 저감에 도움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기(10)에 있어서, 소음부(56)와 캡부(54) 사이에는, 개구부의 직경(D2)이 소음부(56)의 내경(D1)보다 큰 소음 링(58)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캡부(54)에 형성된 배기구(64a 내지 64d)의 부근 위치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흐름을 방해하는 일 없이, 배기소음을 한층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소음기(10)에 있어서, 통부(52)는, 외주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클립 부착부(60)를 포함하며, 클립 부착부(60)는, 이젝터(12)(유체압기기)에 형성된 구멍(36a, 36b)에 삽입된 클립 부재(62)를 걸어맞추고 있다. 클립 부재(62)를 클립 부착부(60)에 부착시킴으로써, 소음기(10)와 이젝터(12)를 일체화시킬 수 있어, 소음기(10)가 이젝터 몸체(36)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클립 부재(62)를 이용하여, 이젝터(12)에 소음기(10)를 간단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기(1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기(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소음기(100)의 VI-VI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소음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기(100)에 있어서, 통부(52)는, 축방향을 따라 배기 유로를 구획하는 원통형의 격벽부(52a)를 포함하여, 이중구조의 형태를 갖는다. 이 때문에, 통부(52)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 유로의 형상이 제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기 유로는, 제1 배기 유로(70), 제2 배기 유로(72), 및 제3 배기 유로(74)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기 유로(70)의 시작단부(starting end)는 배기 포트(48)를 향하고, 제1 배기 유로(70)는 통부(52)의 축방향(도 5에서 화살표 P 방향)으로 격벽부(52a)의 내측의 벽면을 따라 캡부(54)의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배기 유로(72)는, 제1 배기 유로(70)의 종결단부(terminal end)로부터 통부(52)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유동방향을 변경하고, 캡부(54)의 내벽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캡부(54)의 반대쪽(도 5에서 화살표 Q 방향)으로 되접어 꺾이고 있다. 제3 배기 유로(74)는, 제2 배기 유로(72)의 종결단부로부터 축방향과 평행(도 5에서 화살표 R 방향)하게 격벽부(52a)의 외측의 벽면을 따라 통부(52)의 일단부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통부(52)의 격벽부(52a)의 반경방향 내측의 벽면에는, 제1 배기 유로(70)를 따라 제1 소음부(76)가 배치되어 있다. 또, 통부(52)의 반경방향 외측의 내벽면 및 캡부(54)의 내벽면에는, 제2 배기 유로(72) 및 제3 배기 유로(74)를 따라 제2 소음부(78)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소음부(78)는, 제2 배기 유로(72)의 종결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만곡부(78a)를 가진다. 또, 제1 배기 유로(70)에서는 제1 소음부(76)의 종결단부(76a)의 모서리 부분, 그리고 제3 배기 유로(74)에서는 격벽부(52a)의 종결단부(53)의 모서리 부분이, 각각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배기 유로(74)의 종결단부에는, 제3 소음부(80)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소음부(76), 제2 소음부(78), 및 제3 소음부(80)는, 재료로서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코올 등의 수지를 사용하여, 스펀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소음부(80)는, 제1 환형상부(80a), 4개의 연결부(80b) 및 제2 환형상부(80c)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환형상부(80a)의 내경은, 배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제3 배기 유로(74)의 단면의 외경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제2 환형상부(80c)의 내경은, 통부(52)의 격벽부(52a)의 단면의 외경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제3 소음부(80)의 외주에는, 제3 배기 유로(74)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S 방향)으로 복수의 배기구(82a~82d)가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기(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부(52)의 내부에서 격벽부(52a)를 따라, 환 형상의 제3 소음부(80), 원통형의 제1 소음부(76), 컵 형상의 제2 소음부(78)를 차례로 설치한 후, 캡부(54)를 부착시킴으로써 조립할 수 있다. 소음기(100)의 분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품 단위에서의 교환도 용이하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기(100)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소음기(100)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동작 및 작용은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소음기(100)에 있어서, 이젝터(12)로부터 분사된 유체가 통부(52)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배기 유로(70)에 공급되면, 유체는, 통부(52)의 격벽부(52a)의 내벽면에 제공된 제1 소음부(76)에 의해 배기소음이 흡수되면서, 축방향을 따라 캡부(54)를 향하여 직진(도 5에서 화살표 P 방향)한다.
캡부(54)에 도달한 유체는, 캡부(54)의 반대쪽(도 5에서 화살표 Q 방향)으로 되접어 꺾인 만곡 형상의 제2 배기 유로(72)를 통과하고, 그 후, 제3 배기 유로(74)에 유입된다. 제3 배기 유로(74)에 유입된 유체는, 제1 배기 유로(70)와는 역방향(도 5에서 화살표 R 방향)으로 직진하고, 이 유체는, 제3 배기 유로(74)의 종결단부에 위치된 제3 소음부(80)에 제공되는 배기구(82a~82d)로부터, 통부(52)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S 방향)으로 배출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음기(100)에 의하면,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비해, 배기 유로(제2 배기 유로(72))가 캡부(54)의 반대쪽으로 되접어 꺾여, 유체(배기가스)가 소음 부재(제1 소음부(76), 제2 소음부(78), 및 제3 소음부(80))와 접하는 구간이 길어진다. 이 때문에, 소음력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1 소음부(76)의 종결단부(76a) 및 격벽부(52a)의 종결단부(53)의 모서리 부분이 각각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제2 소음부(78)의 만곡부(78a)가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배기 유로(70)의 종결단부와 제3 배기 유로(74)의 시작단부와의 사이에서, 배기가스는 제1 소음부(76)의 종결단부(76a) 및 격벽부(52a)의 종결단부(53)의 모서리 부분과 제2 소음부(78)의 만곡부(78a)를 원활히 통과할 수 있어, 제3 배기 유로(74) 측을 향한 방향전환(도 5에서 화살표 Q 방향)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배기 유로(70)로부터 제3 배기 유로(74)까지의 구간에 걸쳐 유체를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는, 전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함 없이,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택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음기(10)는, 클립 부재(62)를 통하여 이젝터(12)에 고정되고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 몸체(36) 측에 암 나사부(84)가 제공되고, 암 나사부(84)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수 나사부(86)가 소음기(10) 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클립 부재(62)와 같은 접속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소음기(10)를 간단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또, 전술한 2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소음기(10, 100)를 이젝터(12)에 대해서 부착시키는 경우를 각각 설명했지만, 소음기(10, 100)를 다른 유체압기기에 부착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10: 소음기, 12: 유체압기기, 36: 이젝터 몸체, 38: 노즐, 40: 디퓨저, 42: 급기 포트, 44: 흡인 포트, 48: 배기 포트, 50: 배기 유로, 52: 통부, 52a: 격벽부, 54: 캡부, 56: 소음부, 58: 소음 링, 60: 클립 부착부, 62: 클립 부재, 64a 내지 64d, 82a 내지 82d: 배기구, 70: 제1 배기 유로, 72: 제2 배기 유로, 74: 제3 배기 유로, 76: 제1 소음부, 78: 제2 소음부, 78a: 만곡부, 80: 제3 소음부, 84: 암 나사부, 86: 수 나사부.

Claims (8)

  1. 압력유체를 배출하는 유체압기기(12)의 배기 포트(48)와 일단부 측에서 연통하는 배기 유로(50)가 형성된 중공형상의 통부(52)와;
    상기 통부(52)의 타단부에 부착된 캡부(54)와;
    상기 통부(52)의 내벽면에 부착된 소음부(56)와;
    상기 통부(52)의 축방향으로 상기 배기 유로(50)를 통과한 압력유체를 상기 축방향과 직교하는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64a 내지 64d);
    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배기구(64a 내지 64d)는, 상기 캡부(54)에 제공되고, 상기 반경방향을 지향하여 개구되고, 또한 복수의 상기 배기구(64a 내지 64d)는, 둘레방향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기둥체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구(64a 내지 64d)는, 상기 소음부(56)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상기 배기 유로(50)에 직결되어 있는, 소음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부(52)는, 상기 캡부(54)의 부근까지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기 유로(50)를 구획하는 통 형상의 격벽부(52a)를 가지며;
    상기 배기 유로(50)는:
    시작단부가 상기 배기 포트(48)를 향하고, 상기 격벽부(52a)의 내측의 벽면을 따라 상기 캡부(54)의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1 배기 유로(70)와;
    상기 제1 배기 유로(70)의 종결단부로부터 상기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유동방향을 변경하고, 상기 캡부(54)의 내벽면을 따라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캡부(54)의 반대쪽으로 되접어 꺾인 제2 배기 유로(72)와;
    상기 제2 배기 유로(72)의 종결단부로부터 상기 격벽부(52a)의 외측의 벽면을 따라 상기 통부(52)의 일단부 측으로 연장되는 제3 배기 유로(74);
    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상기 배기구(82a 내지 82d)는, 상기 제3 배기 유로(74)의 종결단부에 형성되는, 소음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음부(76, 78, 80)는:
    상기 제1 배기 유로(70)를 따라 배치되는 제1 소음부(76)와;
    상기 제2 배기 유로(72) 및 상기 제3 배기 유로(74)를 따라 배치되는 제2 소음부(78)와;
    상기 제3 배기 유로(74)의 종결단부에 배치되는 제3 소음부(8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소음부(78)는, 상기 제2 배기 유로(72)의 종결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만곡부(78a)를 포함하는, 소음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음부(56)와 상기 캡부(54)와의 사이에, 상기 소음부(56)의 내경보다 큰 직경의 개구부를 갖는 소음 링(58)이 제공되는, 소음기.
  6. 청구항 1, 3, 4 및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52)는, 외주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클립 부착부(60)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 부착부(60)는, 상기 유체압기기(12)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클립 부재(62)를 걸어맞추는, 소음기.
  7. 청구항 1, 3, 4 및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52)는, 상기 유체압기기(12)에 형성된 암 나사부(84)에 대해서 나사결합 및 고정되는 수 나사부(86)를 포함하는, 소음기.
  8. 급기 포트(42) 및 흡인 포트(44b)와 연통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이젝터 몸체(36)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급기 포트(42)로부터 공급된 압력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흡인 포트(44b)로부터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부압을 생성하는 노즐(38)과;
    상기 노즐(38)보다 하류 측에서 상기 내부공간에 제공되고, 상기 압력유체를 상기 유체와 함께 배출하는 배기 포트(48)를 가지는 디퓨저(40)와;
    상기 배기 포트(48)를 향하고, 상기 이젝터 몸체(36)에 부착되는 소음기(10);
    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기(10)는:
    상기 배기 포트(48)와 일단부 측에서 연통하는 배기 유로(50)가 형성된 중공형상의 통부(52)와;
    상기 통부(52)의 타단부에 부착된 캡부(54)와;
    상기 통부(52)의 내벽면에 부착된 소음부(56)와;
    상기 통부(52)의 축방향으로 상기 배기 유로(50)를 통과한 압력유체를 상기 축방향과 직교하는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64a 내지 64d);
    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배기구(64a 내지 64d)는, 상기 캡부(54)에 제공되고, 상기 반경방향을 지향하여 개구되고, 또한 복수의 상기 배기구(64a 내지 64d)는, 둘레방향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기둥체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구(64a 내지 64d)는, 상기 소음부(56)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상기 배기 유로(50)에 직결되어 있는, 이젝터.
KR1020180065945A 2017-06-09 2018-06-08 소음기 및 소음기를 이용한 이젝터 KR102586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14261A JP6767711B2 (ja) 2017-06-09 2017-06-09 サイレンサおよびサイレンサを用いたエジェクタ
JPJP-P-2017-114261 2017-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770A KR20180134770A (ko) 2018-12-19
KR102586603B1 true KR102586603B1 (ko) 2023-10-10

Family

ID=6256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945A KR102586603B1 (ko) 2017-06-09 2018-06-08 소음기 및 소음기를 이용한 이젝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25889B2 (ko)
EP (1) EP3412920B1 (ko)
JP (1) JP6767711B2 (ko)
KR (1) KR102586603B1 (ko)
CN (1) CN109036361B (ko)
TW (1) TWI7626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0821B2 (ja) * 2018-06-15 2020-11-04 Smc株式会社 真空エジェクタ及び封止弁ユニット
CN112761931B (zh) * 2019-10-21 2023-07-04 安徽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连接结构、排气消音器、消音器以及压缩机
KR102572306B1 (ko) * 2021-04-02 2023-08-30 (주)엔에스브이 다중 구조 디퓨저를 이용한 가스 방산탑용 소음기
IT202200010490A1 (it) * 2022-05-20 2023-11-20 Ecosys S R L Dispositivo silenziatore
CN115234524B (zh) * 2022-07-03 2024-05-17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三研究所 一种可拆卸式低噪声蒸汽喷射压缩器
EP4339047A1 (en) * 2022-09-13 2024-03-2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ilencer with skirt for compressed gas systems
EP4339048A1 (en) * 2022-09-13 2024-03-2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Improved silencer for compressed gas system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9058A (en) 1986-11-07 1988-06-07 Trainor John B Muffler
JP2003120530A (ja) * 2001-10-17 2003-04-23 Osaka Gas Co Ltd パージガス用消音装置
JP2003278699A (ja) * 2002-03-19 2003-10-02 Nippon Pisuko:Kk 真空発生装置
KR100868328B1 (ko) 2005-01-13 2008-11-12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소음기
JP2010203317A (ja) 2009-03-03 2010-09-16 Koganei Corp 真空発生装置
US20160258472A1 (en) 2015-03-03 2016-09-08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Override For An Automatic Release Vacuum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5088A (en) * 1955-12-21 1957-12-03 Stephen J Gibel Muffler
US3208551A (en) * 1963-11-18 1965-09-28 Carls William Combined air muffler and metering valve with replaceable cartridge
US3561561A (en) * 1969-11-28 1971-02-09 John B Trainor Sound attenuating device
US3949828A (en) * 1974-08-30 1976-04-13 Barry Wright Corporation Fluid exhaust silencer
US4073602A (en) 1976-04-12 1978-02-14 Sahlin International Inc. Vacuum producing device
US4134472A (en) * 1977-08-29 1979-01-16 Trainor John B Combination muffler and air filter
US4241805A (en) * 1979-04-02 1980-12-30 Vibration And Noise Engineering Corporation High pressure gas vent nois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4316523A (en) * 1980-06-04 1982-02-23 Boretti Napoleon P Silencer for gas discharge devices
JPS59160900U (ja) * 1983-04-15 1984-10-27 株式会社 妙徳 真空発生装置
JPH0353040Y2 (ko) * 1987-05-30 1991-11-19
JPH0622109Y2 (ja) 1987-10-22 1994-06-08 株式会社日米 消音器
US5007499A (en) * 1990-02-23 1991-04-16 Carrier Corporation Silencer for a centrifugal compressor
JP3421701B2 (ja) * 1993-03-31 2003-06-30 Smc株式会社 多段エゼクタ装置
US5683227A (en) * 1993-03-31 1997-11-04 Smc Corporation Multistage ejector assembly
US6109387A (en) * 1999-07-19 2000-08-29 Boretti; Napoleon P. Silencer for gas discharge devices
JP3994002B2 (ja) 2001-12-25 2007-10-17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エジェクタ
JP2005163619A (ja) * 2003-12-02 2005-06-23 Smc Corp 真空発生用ユニット
JP4551781B2 (ja) * 2005-01-31 2010-09-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排気マフラー
US7540309B2 (en) 2005-07-11 2009-06-02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Auto-release vacuum device
SE0502371L (sv) * 2005-10-27 2006-09-19 Xerex Ab Ejektor med monteringshylsa, samt monteringsförfarande
CN201794743U (zh) * 2010-07-30 2011-04-13 丹佛斯制冷设备(天津)有限公司 消音器
GB201018721D0 (en) 2010-11-05 2010-12-22 Transvac Systems Ltd Improved ejector and method
WO2012132047A1 (ja) * 2011-03-28 2012-10-04 株式会社コガネイ エジェクタ
JP5938595B2 (ja) 2011-04-06 2016-06-22 Smc株式会社 エジェクタ付吸着装置
JP2014218924A (ja) * 2013-05-07 2014-11-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消音器遮音構造
JP6498086B2 (ja) * 2015-09-07 2019-04-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汎用エンジンのマフラ
CN207048844U (zh) * 2017-06-02 2018-02-27 绍兴柯桥骏达针纺织品有限公司 一种汽车废气处理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9058A (en) 1986-11-07 1988-06-07 Trainor John B Muffler
JP2003120530A (ja) * 2001-10-17 2003-04-23 Osaka Gas Co Ltd パージガス用消音装置
JP2003278699A (ja) * 2002-03-19 2003-10-02 Nippon Pisuko:Kk 真空発生装置
KR100868328B1 (ko) 2005-01-13 2008-11-12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소음기
JP2010203317A (ja) 2009-03-03 2010-09-16 Koganei Corp 真空発生装置
US20160258472A1 (en) 2015-03-03 2016-09-08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Override For An Automatic Release Vacuum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36361A (zh) 2018-12-18
JP6767711B2 (ja) 2020-10-14
US20180355773A1 (en) 2018-12-13
CN109036361B (zh) 2024-01-26
JP2018204590A (ja) 2018-12-27
KR20180134770A (ko) 2018-12-19
TW201905320A (zh) 2019-02-01
TWI762657B (zh) 2022-05-01
EP3412920A1 (en) 2018-12-12
US11225889B2 (en) 2022-01-18
EP3412920B1 (en)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6603B1 (ko) 소음기 및 소음기를 이용한 이젝터
JP4142323B2 (ja) 空気による噴霧ノズル組立体のエアキャップとスプレーガン装置
TWI545266B (zh) 引射器
KR101942639B1 (ko) 대직경 롱 백 필터 탈진장치
TWI716626B (zh) 切換閥及間歇吹氣槍
KR101251825B1 (ko) 진공펌프
US7213735B1 (en) Staple-driving gun capable of ensuring attachment of a seal washer to a sleeve
KR101471809B1 (ko) 서로 분리된 2개의 제어밸브와 압축공기관을 갖는 집진기 백필터 탈진 시스템
KR100645273B1 (ko) 진공 펌프 및 진공 펌프용 필터와 소음기 조립체
CN111140414A (zh) 密封性优异的谐振器
ES2720204T3 (es) Válvula de recirculación y dispensación de fluido
US11103824B2 (en) Vacuum pump and array thereof
WO1991011266A1 (en) Liquid pulverizer
KR200389049Y1 (ko) 초기 흡입유량을 증가시킨 진공 발생기
WO2003091096A1 (fr) Tuyere a cavitation
US20160199855A1 (en) Nozzle assembly capable of performing suction and high pressure blowing
CN215141145U (zh) 喷嘴头及喷嘴
KR100488698B1 (ko) 공기 브레이크 시스템의 소음 방지장치
JP2002047911A (ja) サイレンサー
CN116637736A (zh) 空气喷嘴
KR100386251B1 (ko) 진공청소기의 이젝터
RU1771818C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JP6380154B2 (ja) 洗浄用ノズル及び洗浄装置
KR100496235B1 (ko) 공압시스템의 슬라이드밸브
KR20180057336A (ko) 에어클리너용 디퓨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