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985B1 - 쌀 즉석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쌀 즉석면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4985B1 KR102584985B1 KR1020230028411A KR20230028411A KR102584985B1 KR 102584985 B1 KR102584985 B1 KR 102584985B1 KR 1020230028411 A KR1020230028411 A KR 1020230028411A KR 20230028411 A KR20230028411 A KR 20230028411A KR 102584985 B1 KR102584985 B1 KR 1025849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ce plate
- dough
- noodle
- instant
- extruder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7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7
- 235000008446 instant noodle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140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1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1007 puff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2437 puffed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0000003183 Manihot esculent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6735 Manihot esculenta subsp esculen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85 electric 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92 potato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626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QXNVGIXVLWOKEQ-UHFFFAOYSA-N Disodium Chemical compound [Na][Na] QXNVGIXVLWOK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0 FEMA 2235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17020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9 Patinopecten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38 extruded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982 garlic powder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702 grapefruit seed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36 ribonucleot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7 scallo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3490 sodium glutam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ZDQYSKICYIVCPN-UHFFFAOYSA-L sodium succin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Na+].[Na+].[O-]C(=O)CCC([O-])=O ZDQYSKICYIVCPN-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3—Parboiled or instant pasta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23P20/17—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by dipping in a bat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을 원료로 제조되는 즉석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쌀을 원료로 사용하여 즉석면을 제조하되, 제조과정에서 경화현상이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이 최소화되어 제조된 면류제품의 조리시 전분용출이 크게 감소하고, 조리 후에는 식감이 뛰어난 쌀 즉석면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쌀을 사용하여 즉석면을 제조하는 쌀 즉석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쌀을 원료로 사용하여 즉석면을 제조하되, 제조과정에서 경화현상이 발생하지 않거나 경화현상 발생이 최소화되어 조리시 전분용출이 크게 감소하고, 조리 후에는 식감이 뛰어난 쌀 즉석면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면류 제품인 국수나 라면의 경우에는 조리용기의 끓는 물에 면류를 넣어서 익히는 방법으로 조리하게 되며, 따라서 별도의 열원을 사용하여 물에 담겨있는 면류를 일정 시간 가열시켜야 섭취할 수 있는 상태로 조리되게 된다.
그와는 달리 즉석면은 뜨거운 물을 부은 후 짧은 시간 동안만 기다리면 먹을 수 있게 되는 컵라면과 같은 종류의 면류 제품을 말하는 것이다. 즉석면은 특히 별도로 외부에서 열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제품 용기에 부은 뜨거운 물만으로도 조리가 가능한 면류 제품이다.
즉석면이 위와 같은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국수나 라면과는 달리 면류 제품의 조직 중에 수분이 흡수될 수 있는 기공이 충분히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그 기공을 통해 뜨거운 물이 면류 제품의 조직 속으로 침투하여 짧은 시간 동안에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출원에 앞서 사용되거나 공개된 쌀을 원료로 사용하여 즉석면을 제조하던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국내 특허공보 제10-1994-0008950호(공고일; 1994.09.28.)는 쌀가루와 소맥분을 혼합한 곡물가루로 제조하는 즉석 쌀국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선행기술1이라 함)으로서, 점성의 부족으로 인한 성형곤란의 문제, 성형 후 국수가닥과 국수가닥이 달라붙는 문제, 건조과정에서의 부스러짐 등의 문제가 있어 익힌 쌀국수의 제조는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던 문제들을 해결한 즉석 쌀국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선행기술은 점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밀가루와 전분을 보강하되 제면과 동시에 익힘으로써 제면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익혀 제면된 국수가닥들이 서로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를 완만히 건조시킨 후 냉동시키며 다시 완건한 후 일광건조하므로서 끓는 물을 부어 먹을 수 있는 즉석 쌀국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861901호(등록일; 2018.05.21.)는 '즉석 쌀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에 관한 것(선행기술2라 함)이며, 이 선행기술의 설명 중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기재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의 즉석 쌀국수 제조방법는 쌀, 소맥분, 타피오카 전분, 정제소금을 혼합한 후 반죽하여 제조한 면과 분말스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상기 쌀은 새고아미 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면은 쌀 70중량부에 있어서, 소맥분 20중량부, 타피오카 전분 9 내지 10중량부, 정제소금 0.5 내지 1 중량부를 혼합, 반죽하여 제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말스프는 호박산이나트륨, 소고기농축분말, 비프조미분,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이산화규소, 글리신, 카라멜 색소분말, 건당근, 건파, 양파분말, 건마늘분말, 까스오부시향, 멸치분말, 건미역, 고춧가루, L-글루타민산나트륨, 간장분말, 포도당, 정제소금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행기술2의 즉석 쌀국수 제조방법은 쌀을 수세한 후 불리는 제1단계; 상기 불린 쌀을 분쇄하여 쌀가루로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쌀가루에 소맥분, 타피오카 전분, 정제소금을 혼합한 후 물을 더 첨가하여 반죽하는 제3단계; 상기 반죽을 성형기에서 쌀국수 면 형상으로 압출성형하는 제4단계; 상기 압출성형한 쌀국수 면을 절단하는 제5단계; 상기 절단한 쌀국수 면을 냉장실에서 숙성하는 제6단계; 상기 숙성한 쌀국수 면을 냉동하는 제7단계; 상기 냉동한 쌀국수 면을 건조하는 제8단계; 상기 건조한 쌀국수 면을 분말스프와 용기에 넣어 포장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375174호(등록일; 2022.03.11.)는 전자레인지용 즉석 쌀국수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선행기술3이라 함)으로, 쌀가루, 소금, 첨가제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반죽제조단계, 상기 반죽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반죽을 제면기에 투입하고 압출하여 면을 제조하는 제면단계, 상기 제면단계를 통해 제조된 면을 숙성하는 숙성단계, 상기 숙성단계를 통해 숙성된 면에 면수를 혼합하고 포장하는 면수혼합포장단계 및 상기 면수혼합포장단계를 통해 제조된 포장물을 열수에 침지하는 면삶음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석면은 별도의 가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뜨거운 물만 부어도 조리가 될 수 있는 특징을 구비하여야 하는 것이며, 그렇게 조리가 되려면 면류 제품의 조직 중에 충분한 정도로 기공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쌀만을 원료로 사용하여 즉석면을 제조할 경우 재료의 점성이 부족하여 성형이 곤란한 문제 또는 국수가닥이 서로 달라붙는 문제 등이 있어서, 종래에는 쌀가루에 소맥분 또는 전분을 함께 사용하여 즉석면을 제조하는 기술이 주로 사용되었다.
앞에서 살펴본 선행기술들의 경우에도 쌀가루와 소맥분을 혼합한 곡물가루로 즉석 쌀국수를 제조하는 방법(선행기술1), 또는 쌀, 소맥분, 타피오카 전분 등을 혼합 반죽하여 즉석 쌀국수를 제조하는 방법(선행기술2)이 사용되었고, 쌀가루, 소금, 첨가제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되 상기 첨가제는 셀룰로오스 100 중량부, 유화유지 30 내지 50 중량부 및 자몽종자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고, 반죽제조시에는 상기 쌀가루 100 중량부 대비 전분 5 내지 10 중량부 및 당알코올 1 내지 5 중량부가 더 함유되며, 상기 전분은 옥수수 전분, 찰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감자 전분 및 고구마 전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여 전자레인지용 즉석 쌀국수면을 제조하는 방법(선행기술2) 등이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쌀가루와 함께 다른 재료들을 사용하여 즉석면을 제조하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쌀가루만을 원료로 사용하여 쌀 즉석면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쌀만을 사용하여 즉석면을 제조하면서도, 제조된 즉석면에 기공이 잘 형성되어 있어서 뜨거운 물을 부어서 조리할 경우, 면 조직의 내부로 수분이 잘 침투하여 짧은 시간에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쌀 즉석면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분된 쌀가루를 사용하거나 물에 침지시켜 불린 쌀을 분쇄한 쌀가루를 사용하여 쌀 즉석면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종래기술로 제조된 즉석면에 비해 전분 용출량이 크게 감소되는 쌀 즉석면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면류에서 전분 용출량이 감소할 경우, 조리된 국물의 탁도가 개선되고 식감이 우수하여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조리시간이 감소되는 등의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쌀 즉석면을 제조하되 쌀만을 사용하여 즉석면을 제조하면서도 밀을 사용하여 제조한 즉석면 못지않은 우수한 식감을 갖는 쌀 즉석면을 제조함으로써, 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향상시켜서 쌀의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는 쌀 즉석면 제조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쌀 즉석면 제조과정 중에 면발들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하여 면류제품의 제조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쌀 즉석면 제조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쌀 즉석면 제품에서 발생하는 전분용출량이 많은 문제와 쌀 즉석면의 제조공정 중에 면판, 면가닥에 끈적거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제조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쌀 즉석면의 제조 효율을 크게 높이고 품질과 맛이 우수한 쌀 즉석면을 제조하여, 쌀의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쌀 즉석면 제조방법은 쌀을 원료로 사용하여 즉석면을 제조하되, 제조된 면류 조직의 내부에 기공이 잘 형성되도록 하고, 즉석면 제조시에 발생하는 반죽물의 찐득거림에 의한 공정 수행상의 문제를 제거하며, 쌀 즉석면 제조과정 중에 면판 또는 면가닥에 경화현상이 발생되지 않거나 경화현상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품질이 우수한 쌀 즉석면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쌀 즉석면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 S10 내지 단계 S90가 차례로 수행된다.
가장 먼저 수행되는 단계 S10에서는 쌀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동작이 수행되게 된다.
그다음에 수행되는 단계 S20에서는 압출기(extruder)의 내부에서 반죽물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복수로 설치되는 전기 히터로 가열하여 반죽물의 내부에 수많은 기공이 형성되도록 한 후 면판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반죽물이 팽화되는 과정이 수행되고, 팽화가 이루어진 반죽물을 압출기의 출구를 통해 면판으로 성형하야 배출시키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팽화과정은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압출기의 내부에서 이루어진다. 압출기 내부의 원통면에는 복수의 전기히터가 구비되어 있어서 압출기 내부를 가열하게 되고, 회전스크류에 의해 반죽물이 출구측으로 이동되는 동안에 반죽물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반죽물에서는 전기가열에 의한 열과 내부마찰에 의한 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반죽물이 팽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팽화가 이루어진 후 압출기에서 면판 형상으로 배출되는 반죽물(이것을 '팽화물'이라고 칭함)의 조직 중에는 수많은 기공이 형성되게 된다.
그다음 단계인 단계 S30에서는 앞의 단계에서 팽화된 후 배출된 면판이 냉각장치의 내부에서 냉각되는 단계이다. 앞의 단계(S20)에서 팽화된 후 압출기를 통해 배출되는 면판의 온도는 80~90℃로 매우 높은 상태이며, 이와 같이 높은 온도의 면판이 공기 중에 바로 노출될 경우, 그 표면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경화현상이 급격하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경화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면판이 높은 습도를 유지하는 냉각장치의 내부로 진입되도록 하여, 경화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냉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계 S40에서는 앞의 단계(S30)에서 냉각된 면판을 쌀 즉석면을 제조하기 용이한 폭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면판으로 분할한다. 이 단계에서는 넓은 폭으로 제조된 면판을 분할하여 1인분의 쌀 즉석면 제조에 적합한 폭의 복수의 면판으로 제조하게 된다.
단계 S50에서는 앞의 단계(S40)에서 복수로 분할하여 제조된 면판에 대하여 예비건조를 수행하게 되며, 예비건조는 면판이 예비건조실의 내부를 지나는 동안에 수행되게 된다.
단계 S60에서는 앞의 단계(S50)에서 예비건조된 복수의 분할면판을 길이 방향으로 절출하여 면가닥으로 제조하게 된다.
단계 S70에서는 앞 단계(S60)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절출된 면가닥을 1인 분량씩 절단한 후, 1인분의 즉석면 가닥을 담을 수 있도록 제조된 버킷에 차례로 수용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앞의 단계 S40에서 제조되어 공급되는 면판의 수에 따라 버킷이 배치되게 되고, 각각의 버킷에 1인분씩의 즉석면이 담겨 수용되게 된다.
단계 S80에서는 버킷에 수용되어 있는 즉석면 가닥이 최종 건조되며, 이 단계를 본건조 단계라고 한다. 이 단계(S80)는 앞의 단계(S70)에서 1인분씩의 즉석면이 담겨진 버킷이 면판의 수에 맞추어 복수의 열로 형성된 상태에서, 버킷이 차례로 본건조 장치의 내부로 진입한 후, 장치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각각 담겨진 면가닥을 건조시키게 된다.
단계 S90은 버킷에 수용된 상태에서 최종 건조된 즉석면 가닥을 1인분씩 포장하여 반출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버킷에 수용된 상태에서 최종 건조된 쌀 즉석면 가닥이 1인용 즉석면 용기에 담겨진 후에 각각 포장되어 반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쌀 즉석면은 쌀을 원료로 사용하여 즉석면을 제조하되, 제조된 면류 조직의 내부에 기공이 잘 형성되게 되어, 밀로 만들어진 즉석면 못지 않은 맛과 식감을 갖는 즉석면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쌀 즉석면은 제조과정에서 경화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최소화시킴으로써 종래의 쌀로 제조된 즉석면에 비해 전분 용출량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쌀 즉석면은 종래의 쌀로 제조된 즉석면에 비해 전분 용출량이 감소되어, 조리시 국물의 탁도가 개선되고, 조리시간도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쌀 즉석면 제조공정 중에 면가닥을 1인분씩 절단한 후 버킷에 담은 상태에서 건조시키면서도 즉석면 가닥들이 서로 달라붙지 않게 되고, 향후 조리시에도 면가닥들이 잘 분리되도록 쌀 즉석면을 제조함으로써 제조 효율이 크게 개선될 수 있고, 상품성이 우수한 쌀 즉석면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쌀 즉석면은 밀로 제조한 즉석면에 못지 않은 우수한 식감을 갖게 되어, 쌀 즉석면 제품의 선호를 높여서 쌀의 소비를 촉진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쌀 즉석면의 제조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쌀을 원료로 제조되는 즉석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쌀을 원료로 사용하여 즉석면을 제조하되, 제조 효율이 높으면서, 제조된 면류제품의 조리시 전분용출이 크게 감소하고, 조리 시 식감이 뛰어난 쌀 즉석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쌀 즉석면 제조방법은 면류 제품의 조직 내부에 기공이 잘 형성되도록 하고, 쌀을 원료로 면류 제품을 제조할 때 발생하는 반죽물의 찐득거림에 의한 공정 수행상의 문제를 제거하며, 또한, 제조과정 중에 면판 또는 면가닥 등에서 경화현상이 발생되지 않거나 경화현상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방법으로 쌀 즉석면을 제조하도록 구성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쌀을 원료로 사용하여 면류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국수나 라면 또는 숙면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경우 쌀가루를 증숙시킨 후, 그 증숙된 반죽물 즉 증숙물을 냉각시키고 면판으로 성형한 후 면가닥으로 절출하고 건조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하게 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국수나 라면 또는 숙면 등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쌀가루에 대한 증숙과정이 필요하며, 이 경우에는 믹서기 내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여 반죽물을 익히는 증숙과정이 수행되게 된다.
믹시기의 내부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여 반죽물을 익히는 증숙과정을 사용하여 라면 또는 국수 등의 면류 제품 제조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스팀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반죽물에 흡수되게 되어, 반죽물의 조직 중에 기공이 잘 형성되기 어렵다.
한편, 즉석면은 면류 제품의 조직 중에 기공이 잘 형성되어 있어야만 그 기공으로 뜨거운 물이 스며들게 되어 짧은 시간 내에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스팀을 사용하여 반죽물을 익히는 증숙과정을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전기히터를 사용하여 압출기의 내부를 가열하고 그 열로 인해 반죽물이 익혀지도록 하며, 가열과 동시에 회전스크류를 사용하여 반죽물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반죽물의 내부에 수많은 기공이 형성되는 팽화현상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쌀을 원료로 사용하여 기공이 잘 형성되어 있어서 즉석면의 특성을 갖는 면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즉석면의 제조과정 중에 반죽물 또는 면판의 표면 등에서 경화현상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종래의 쌀로 제조된 즉석면에 비해 전분 용출량이 크게 감소되는 쌀 즉석면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쌀 즉석면 제조방법은,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쌀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S10)와, 반죽물을 팽화시킨 후 면판으로 성형하는 단계(S20)와, 높은 습도의 냉각장치 내부에서 면판을 냉각시키는 단계(S30)와, 냉각된 면판을 복수의 면판으로 분할하는 단계(S40)와, 복수의 분할면판을 예비건조하는 단계(S50)와, 예비건조된 면판을 면가닥으로 절출하는 단계(S60)와, 면가닥을 1인분씩 절단하여 버킷에 수용하는 단계(S70)와, 버킷에 담겨있는 즉석면 가닥을 본건조하는 단계(S80)와, 쌀 즉석면을 용기에 담아 1인분씩 포장 및 반출하는 단계(S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단계 S10 내지 S90을 차례로 거치면서 쌀 즉석면을 제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에서는 아래와 같은 내용의 동작이 수행되게 된다.
(1) 쌀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본 발명의 첫째 단계인 S10에서는 쌀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 사용되는 쌀가루는 미리 제분된 쌀가루이거나 또는 물에 침지시켜서 불린 쌀을 분쇄한 쌀가루일 수 있다. 불린 쌀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 단계 이전에 쌀을 분쇄하는 과정이 포함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믹서기 내에 쌀가루와 물을 투입한 후, 이들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게 되며, 제조된 반죽물은 다음 단계(단계 S20)의 수행을 위하여 압출기로 공급되어, 그 내부로 투입되게 된다.
(2) 반죽물 팽화 및 면판 성형 단계(S20)
본 발명의 둘째 단계인 S20에서는 압출기(extruder)의 내부로 투입된 반죽물이 압출기의 내부를 이동하는 동안에 가열되어 익혀지고 그와 동시에 반죽물에 가해지는 압력 및 마찰열에 의해 반죽물이 팽화되고, 팽화가 이루어진 반죽물이 압출기의 출구를 통해 면판으로 성형되어 배출되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압출기 내부에는 반죽물을 가열하기 위한 복수의 전기히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압출기의 내부에는 그 내부에 투입된 반죽물에 압력을 가하여 출구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스크류가 구비되어 있다. 전기히터는 단계별로 복수로 설치되어 각각 반죽물을 가열하여 익히게 되고, 회전스크류는 압출기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가열되는 반죽물을 가압하여 반죽물이 팽화되도록 동작하게 된다. 위와 같이 팽화가 이루어진 반죽물은 압출기의 출구를 통해 면판 형상으로 성형되어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압출기의 내부에서 반죽물에 대한 팽화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반죽물이 회전스크류에 의해 압박되어 출구측으로 밀려가면서 압출기의 내부를 지나는 동안에 열과 압력에 의해 반죽물이 팽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참고로, 팽화(puffing, 膨化)는 곡류 등을 가압, 가열하여 급격히 상압으로 되돌려서 그 부피를 팽창시킴으로써 곡류 등의 조직이 다공질 형상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대상물을 급속가열시켜서 그 내부에서 물의 증발이 급격히 일어나면서 다공질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되는 압출기의 길이를 길게 구성하거나, 또는 압출기 내부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하고자 할 경우, 압출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히터의 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출기의 수평 길이가 2,000mm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3개 또는 4개의 전기히터를 압출기 원통의 내부면에 구비시켜서 압출기 내부를 통과하는 반죽물을 가열하여 익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압출기 원통의 내부면에 500mm 이상 650mm 이하 길이의 원통형 전기히터 3개를 동일 간격으로 구비시키거나, 또는 400mm 이상 490mm 이하 길이의 원통형 전기히터 4개를 동일 간격으로 구비시킬 수 있다. 압출기 내부의 온도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위보다 짧게 형성된 더 많은 수의 전기히터가 구비되도록 압출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비되어 있는 전기히터에 전력을 공급할 경우, 압출기의 내부에서는 출구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반죽물이 가열되면서 익혀지게 되고, 또한, 이 과정에서 반죽물이 회전스크류에 의해 높은 압력으로 가압되게 되는데, 이때 반죽물에 가해지는 열과 압력에 의해 반죽물의 내부에는 수많은 기공들이 생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반죽물이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익혀지고 회전스크류에 의해 높은 압력으로 가압되는 과정에서 반죽물의 내부에 수많은 기공들이 형성되는 팽화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반죽물이 압출기의 내부에서 팽화되는 과정에서는 압출기 내부의 온도 및 그 내부를 통과하는 반죽물의 온도가 적정 범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압출기 내부의 온도가 100℃ 이상 130℃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압출기 내부의 온도가 130℃를 넘으면 반죽물이 타게 되어 팽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그 온도가 100℃ 이하가 되면, 팽화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기히터를 사용하여 압출기의 내부를 가열함에 있어서는 압출기의 내부온도가 위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전기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야 한다.
또한, 압출기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지 않고, 전기가열만을 사용하여 반죽물을 익힘과 동시에 팽화시켜서 쌀 즉석면을 제조하는 본 발명에서는 반죽물 자체의 온도 역시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압출기 내부의 온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압출기의 내부에서 익혀지는 반죽물의 온도가 일정 범위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압출기 내부를 통과하는 반죽물 자체의 온도는 80℃ 이상 100℃ 이하의 범위를 유지하여야 한다. 반죽물의 온도가 100℃를 초과하여 상승할 경우에는 반죽물 자체가 경화되거나, 팽화가 잘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단계에서는 압출기의 내부에 3단계로 나누어 형성된 전기히터 즉, 1, 2, 3차 히터로 반죽물을 가열하여 익히면서 반죽물을 가압하여 팽화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1차 히터는 압출기의 입구측에 형성되는 것이고, 3차 히터는 그 출구측에 형성되는 것이며, 2차 히터는 그 사이에 형성되는 히터이다. 히터의 수를 증가시킬 경우에는 입구측과 출구측의 사이에 히터가 더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출기가 구성될 경우, 가열 및 가압동작이 시작되는 초기에는 1, 2, 3차 히터 모두에 전력을 공급하여 반죽물을 가열하여 압출기 내부의 온도 및 반죽물의 온도가 위에서 설명한 범위에 도달하도록 하고, 이후 반죽물이 압축되면서 내부에서 마찰열이 발생하여 반죽물 자체의 온도가 높아질 경우에는, 단계적으로 3차 히터 또는 2차 히터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압출기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반죽물을 팽화시킨 후 압출하는 단계 S20을 수행함에 있어서, 압출기의 입구부분에서는 1차 히터를 사용하여 반죽물을 가열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가열되는 반죽물이 압출기의 회전스크류에 의해 가압되면서 출구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에 회전스크류와 반죽물의 사이 및 반죽물과 반죽물의 사이에서 마찰열이 발생하여 반죽물의 온도가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압출기의 입구로 진입되는 반죽물은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됨과 함께 내부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서도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즉, 반죽물이 출구를 향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전기히터에 의한 열과 반죽물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반죽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압출기의 상부에는 온도센서1이 구비되어 있다. 온도센서1은 압출기를 형성하는 원통의 내부면 즉, 원통면의 가장 상부 위치에 구비되어, 압출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압출기 내부의 온도가 앞에서 설명한 상한값인 130℃에 도달하게 되면, 가장 먼저 3차 히터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차 히터에 대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압출기 내부의 온도가 상한값 이상일 경우에는 2차 히터의 전원을 차단하며, 2차 히터에 대한 전원공급까지 차단하여도 압출기 내부의 온도가 상기 상한값 이상일 경우에는 1차 히터의 전원까지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압출기 내부의 온도센서1이 따라 히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되, 출구측에 구비되어 있는 전기히터의 전원을 먼저 차단하고, 필요시에는 출구측에 인접한 히터의 순으로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압출기 내부에는 반죽물 자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인 온도센서2가 구비되어 있다. 온도센서2는 압출기 원통의 내부면 즉, 원통면 내부의 하단에 설치되되 히터의 수에 맞추어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 히터와 인접한 원통면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온도센서2가 측정하는 반죽물의 온도는 각각의 히터에 대한 전원의 공급 또는 차단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온도센서2 중 3차 히터에 인접한 원통면 내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센서2가 측정한 반죽물의 온도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00℃를 초과하여 상승할 경우에는 3차 히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반죽물의 온도상승을 정지시키게 된다.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온도센서2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작용하여, 해당 히터의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온도센서2는 각각의 전기히터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되 전기히터의 수에 맞추어 설치되어 있어서, 해당 전기히터를 통과하는 반죽물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고, 그 측정된 반죽물의 온도에 따라 해당 히터에 대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가열 및 가압과정을 거치는 동안에 반죽물의 내부에서 팽화현상이 발생하여 반죽물의 조직 중에 수많은 기공이 형성되게 되며, 이와 같이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반죽물을 사용하여 즉석면의 특성을 갖는 면류제품을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팽화가 이루어진 반죽물을 팽화물이라고 칭한다.
본 발명의 이전 단계(S10)에서 제조되는 반죽물의 수분함량은 31 내지 33% 정도의 범위가 된다. 이와 같은 반죽물은 단계 S20에서 이루어지는 팽화과정이 수행되는 동안에 열과 압력에 의해 수분이 증발하여 수분함량이 24 내지 25% 정도의 범위로 크게 감소하게 된다.
압출기를 통과하면서 팽화가 이루어진 팽화물은 면판 형상으로 성형되어 압출기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압출기에서 성형되어 배출되는 면판은 예를 들어 폭이 600mm인 면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조되는 면판의 두께는 1mm 이상 3mm 이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압출기의 출구는 얇은 틈을 갖는 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틈을 통해 팽화물이 얇은 두께로 압축되면서 배출되게 된다. 압출기의 원형 출구 중에서 수직 중심선의 최상단 위치에는 칼날 형상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팽화물이 전체 원형틈을 통해 일정 두께로 압출되는 과정에서 압출물의 최상단 부분을 절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출기를 통해 면판 형태로 성형되는 팽화물 즉 면판의 두께는 1mm 이상 3mm 이하가 될 수 있으며, 압출기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틈의 폭을 조절하면 면판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팽화물이 위와 같이 구성된 압출기의 출구를 통과하게 되면, 압출되는 최상부 즉 상부의 중심에서부터 팽화물이 좌우로 펼쳐지면서 전체 팽화물이 면판 형상으로 변하게 되고, 면판 형상이 된 팽화물 즉 면판이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얹혀진 후,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되는 면판의 폭은 장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600mm의 폭이 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면판을 두께 1mm 이상 3mm 이하로 제조하고, 상기 면판을 이용하여 이후의 단계들을 수행하여 폭이 1mm 이상 10mm 이하인 쌀 즉석면을 제조하게 된다.
(3) 높은 습도의 냉각장치 내부에서 면판을 냉각시키는 단계(S30)
본 발명의 셋째 단계인 S30은 앞의 단계에서 팽화된 후, 넓은 판의 형태로 압출성형된 면판이 높은 습도를 유지하는 냉각장치의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에 냉각되는 면판 냉각 단계이다.
앞의 단계(S20)에서 팽화된 후 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면판은 온도가 80~90℃로서 상당히 높은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그와 같이 높은 온도의 면판이 온도가 낮은 공기 중에 바로 노출될 경우, 그 표면에 비늘이 일어나는 것 같이 딱딱해지는 경화현상이 급격히 발생하게 된다.
즉석면이 제조되는 실내의 온도는 여름에는 30~40℃ 정도이고, 겨울철에는 10~20℃ 정도가 된다. 따라서 온도가 80~90℃ 정도로 높은 면판이 실내의 공기에 바로 노출될 경우, 면판과 실내 공기 사이에는 50~60℃ 또는 70~80℃의 큰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이 큰 온도차가 있는 실내의 공기(이를 ‘외부공기’라 한다) 중에 면판이 노출될 경우에는, 면판의 내외부 특히, 그 표면이 급속하게 경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면판이 경화되면, 그 경화된 부분으로 인해 면류 제품의 내부에 수분이 고르게 퍼지기 어렵게 되어, 면판 또는 면가닥 전체의 수분평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면판 또는 면가닥의 내부에 수분평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이후에 수행되는 예비건조 과정에서 내부의 수분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여 부분적으로 수분이 집중적으로 남아 있는 부분이 생길 수 있으며, 그 결과 이후의 면가닥 절출 등의 단계에서 즉석면 가닥이 고르게 만들어지기 어렵게 되고, 그 이후의 본건조 단계에서도 수분이 고르게 건조되지 않음으로써, 제조된 쌀 즉석면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고 제품의 유통성도 떨어지는 등의 문제(제품유통 중에 변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면가닥 중에 경화된 부분이 있을 경우, 조리 시 전분 용출량이 많아지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 단계(S30)에서는 면판에서 경화현상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거나, 또는 경화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출기에서 면판이 배출된 직후에 컨베이어에 실려 냉각장치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온의 면판이 외부공기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출기의 출구로부터 냉각장치의 입구로 연결되는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을 밀폐구조로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컨베이어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면판은 압출기의 다음에 구비되어 있는 냉각장치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즉, 압출기에서 배출된 면판이 외부공기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어 냉각장치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면판의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 역시 면판이 외부공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밀폐된 공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면판이 진입하는 입구와 냉각을 마친 면판이 배출되는 출구만 형성되고, 다른 부분은 밀폐되게 된다. 본 발명의 냉각장치 내부에는 복수의 컨베이어가 위에서부터 아래로 단계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 면판이 냉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냉각장치 내부에는 7단 이상 15단 이하의 홀수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컨베이어가 상하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면판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복수의 컨베이어를 따라 차례로 이동하면서 냉각되게 된다.
80℃ 내지 90℃ 정도의 높은 온도로 냉각장치에 진입되는 면판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는 상수돗물 또는 깨끗한 지하수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수돗물 또는 지하수('상수돗물 등'이라 함)는 안개와 같은 미세 분무의 형태로 분무되어 냉각장치 내부의 습도를 높여주게 된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냉각장치는 위와 같이 상수돗물 등을 미세 분무하여 그 내부의 습도가 65% 이상 90% 이하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냉각장치 내부에는 상수돗물 등을 분무하기 위한 복수의 분무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면판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의 내부를 위와 같이 높은 습도로 유지하는 이유는 면판이 냉각되는 동안 그 표면에서 경화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65% 이상 90% 이하의 습도를 유지하는 공간 내에서 면판이 냉각될 경우, 면판의 표면에서 경화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면판이 위와 같이 구성된 냉각장치의 내부를 지나면서 냉각되는 동안에는 면판의 조직이 숙성되는 효과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냉각장치 내부의 온도는 30℃ 이상 50℃ 이하가 되게 되며, 위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냉각장치를 통과하면서 면판은 30℃ 내외의 온도로 냉각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면판의 냉각에는 5분 이상 15분 이하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4) 냉각된 면판이 복수의 분할면판으로 분할되는 단계(S40)
본 발명의 넷째 단계(S40)에서는 앞의 단계(S30)에서 냉각된 면판이 1인분의 쌀 즉석면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폭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면판으로 분할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쌀 즉석면의 제조방법에서는 앞의 단계 S20에서 예를 들어 600mm의 폭으로 제조된 면판(최초면판)을 1인분의 쌀 즉석면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폭인 예를 들어 150mm의 폭으로 이루어진 4개의 면판으로 다시 분할하게 된다.
이 단계(S40)에서는 넓게 제조된 최초면판을 폭이 동일한 복수의 면판으로 다시 분할하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면판을 '분할면판'이라고 칭한다. 분할면판의 폭은 150mm가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그 폭을 변경할 수도 있다.
(5) 복수의 분할면판을 예비건조하는 단계(S50)
다섯째 단계인 S50은 앞의 단계에서 복수로 분할된 분할면판에 대하여 예비건조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예비건조 단계는 앞의 단계(S40)에서 최초면판을 분할하여 분할면판으로 제조한 후에 분할면판 내부의 수분 중 일부를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예비건조 단계는 그 이후에 수행되는 면판을 길이방향으로 절출하여 면가닥으로 만드는 단계(S60)를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이렇게 예비건조된 후 절출된 면가닥은 1인분씩 절단하여 버킷에 담더라도 서로 달라붙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예비건조 단계는 분할면판의 조직 또는 표면에서 경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그 수분함량을 낮추기 위한 과정이다.
앞에서 팽화단계를 마친 쌀가루 팽화물의 수분함량 즉 압출기에서 팽화된 후 성형되어 배출되는 면판의 수분함량은 24%에서 25% 사이가 되는데, 이 경우에는 면판의 표면이 끈적거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상태의 면판을 절출하여 면가닥으로 만들 경우, 면판의 절출이 용이하지 않고, 절출 후에는 인접한 면가닥들이 서로 달라붙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참고로 단계 S20 후에 수행되는 냉각단계(S30)에서는 면판의 수분함량이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예비건조 단계는 면가닥을 길이방향으로 절출한 후에 수행되는 단계인 면가닥을 1인분씩 절단하여 버킷에 수용하는 단계에서 면가닥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예비건조 단계('반건조 단계'라고도 함)는 면판 내부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면판을 건조시키되, 그 표면에서 경화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전체적으로 면판을 건조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본 발명의 예비건조는 외부와 분리된 공간인 예비건조실 내에서 이루어진다. 참고로 본 발명의 예비건조 단계에 대한 설명에 사용되는 면판 또는 분할면판은 동일한 것을 칭한다.
본 발명의 예비건조 단계에서는 각각 면판의 수분함량이 4% 내지 5% 정도 감소되게 된다. 즉, 24 내지 25% 정도이던 면판의 수분함량이 예비건조를 통해 20% 정도 즉, 19% 이상 21% 이하의 수준으로 건조되게 되며, 이때 면판은 말랑말랑한 상태가 되게 된다. 면판이 20% 수준으로 건조될 경우에는, 이후에 수행되는 면판을 길이방향으로 절출하여 면가닥으로 만드는 단계 및 면가닥을 버킷에 1인분씩 담는 단계 등에서 면가닥이 서로 달라붙지 않게 된다.
예비건조에 사용되는 예비건조장치에는 예비건조실이 구비되어 있고, 예비건조실은 외부 공간과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비건조실의 측면에는 그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면서 공기를 급기 및 배기하기 위한 공조설비가 구비되고, 예비건조실의 내부에는 면판에 직접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선풍기가 구비된다. 공조설비는 예비건조실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급기팬과 그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과,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조설비 중 급기팬과 배기팬은 예비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설정치를 벗어날 경우에 동작하며, 급기팬과 배기팬은 동시에 동작하게 되고, 히터는 예비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설정치보다 낮을 경우에 동작하게 된다. 급기팬과 배기팬은 예비건조실 내부의 습도를 조절해야 할 때도 동작한다. 즉, 내부의 습도가 설정치보다 높은 경우, 습도가 낮은 외부(예비건조실의 외부)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여 그 내부의 습도가 설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동작한다.
또한, 본 발명 예비건조실의 내부에는 면판의 표면에 공기를 분사하여 면판의 내부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복수의 선풍기가 구비되어 있다. 선풍기는 예비건조실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그 내부를 지나는 면판의 수분을 건조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예비건조는 온도가 15℃ 이상 40℃ 이하이고 습도는 50% 이상 80% 이하를 유지하는 예비건조실의 내부에서 5분 이상 15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된다.
앞의 냉각단계를 거치면서 30℃ 내외의 온도로 냉각된 면판은 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예비건조실 내부로 이송된 후, 예비건조실 내에서 5분 이상 15분 이하의 시간 동안 예비건조가 수행되며, 예비건조 결과 면판의 온도는 15℃ 이상 30℃ 이하가 되게 된다.
예비건조실의 내부에는 면판이 왕복이동하면서 건조되도록 하기 위한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면판의 왕복이동 횟수와 시간은 면판의 두께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나, 면판의 두께가 1mm 이상 3mm 이하일 경우에는 5분 이상 15분 이하의 시간 동안 예비건조를 수행하게 된다.
앞의 단계 S40에서 분할된 면판은 3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예비건조실 내부로 공급되어 온도가 15℃ 이상 40℃ 이하이고 습도가 50% 이상 80% 이하인 예비건조실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건조되게 된다. 예비건조 중에는 선풍기가 면판을 향하여 분사하는 온도가 15℃ 이상 40℃ 이하인 공기에 의해 면판의 내부로부터 수분이 증발되면서 전체 면판에 대한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예비건조실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면판 내부의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면판을 건조시킨 후 배기팬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예비건조실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공조설비 및 예비건조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선풍기는 그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면판의 표면을 통해 면판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전체 면판의 수분함량을 낮추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두께가 1mm 이상 3mm 이하인 면판에 대하여 5분 이상 15분 이하의 시간 동안 예비건조를 수행하면, 면판의 온도는 15℃ 이상 30℃ 이하가 되게 되고, 면판의 수분함량은 20% 수준으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예비건조를 수행하는 시간은 면판의 두께에 달라질 수 있다. 즉, 면판의 두께가 1mm일 경우에는 5분 이하의 시간 동안 예비건조를 수행하고, 두께가 2mm일 경우에는 5분 이상 1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예비건조를 수행하며, 두께가 3mm일 경우에는 10분 이상 15분 이하의 시간 동안 예비건조를 수행한다. 면판의 두께에 따라 위와 같은 시간 동안 예비건조를 수행하면 면판의 수분함량이 20% 정도에 이르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예비건조가 수행되는 예비건조실 내부의 습도를 50% 이상 80% 이하로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이유는 예비건조 중에 면판의 표면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경화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면판의 표면이 굳어지면(경화되면) 그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기 어려워져서 면판 내부의 수분분포가 균일하지 않게 되며, 그로 인해 향후 단계에서 면가닥들이 고르게 절출되기 어렵고 또한 본건조 단계 수행 중에 면가닥들이 달라붙거나 균일하게 건조되지 않게 된다.
예비건조를 마친 후에는 면판의 내부로부터 상당량의 수분이 배출되어 수분함량이 20% 정도 즉, 19% 이상 21% 이하의 수분함량이 되도록 건조된다. 이렇게 예비건조된 면판은 그 전체가 말랑말랑한 상태가 되어, 손으로 잡아도 달라붙지 않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면판을 예비건조시킴으로써, 이후의 단계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품질이 우수한 쌀 즉석면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6) 예비건조된 분할면판을 면가닥으로 절출하는 단계(S60)
본 발명의 여섯째 단계(S60)는 예비건조된 복수의 분할면판을 면판의 길이 방향으로 절출하여 면가닥의 형상으로 만드는 단계이다.
앞의 단계(S50)에서 수행된 예비건조를 통해 수분함량이 20% 정도로 낮아진 분할면판은 이 단계(S60)에서 면판절출기를 통해 면가닥으로 절출되게 된다.
이 단계(S60)에서는 앞의 예비건조 단계(S50)에서 예비건조된 두께 1mm 이상 3mm 이하로 이루어진 분할면판을 다시 폭이 1mm 이상 10mm 이하가 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출하여 면가닥으로 제조하게 된다. 이 단계를 거치면 면판은 길게 이어진 형태의 쌀 면가닥이 되게 된다.
(7) 면가닥을 1인분씩 절단하여 버킷에 수용하는 단계(S70)
본 발명의 일곱째 단계(S70)는 앞의 단계(S60)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절출되어 길게 연결되어 있는 면가닥을 1인 분량이 되도록 절단한 후, 1인분의 면가닥을 담을 수 있도록 제조된 복수의 버킷에 각각 수용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S70)는 면가닥을 1인분씩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절단된 면가닥이 버킷에 수용되도록 가이드해 주는 면가닥 가이드를 사용하여 수행되게 된다.
앞의 면판을 성형하고 분할하는 단계(S40)에서는 예를 들어 폭 600mm로 제조된 최초면판을 4등분하여 각각 폭이 150mm인 4개의 분할면판으로 제조하는 실시예를 들었는데, 위와 같이 최초면판을 4개로 분할한 이유는, 즉석면 가닥을 수용하는 버킷 4개가 폭 방향으로 한 줄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 각 분할면판에서 절단되는 즉석면 가닥이 1인분씩 분리되어 각각 버킷 안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폭 방향으로 4개의 버킷이 구비되는 장치를 사용하여 쌀 즉석면을 제조할 경우에는, 위와 같이 분할면판의 수에 맞추어 한 줄로 설치되는 버킷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폭 방향으로 4개의 버킷이 한 줄로 배치되어 있고, 그 뒤에 다시 동일한 수의 버킷이 계속 따라오면서 각각 1인분의 즉석면 가닥이 버킷에 담기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버킷은 컨베이어의 위에 놓인 상태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버킷 전용 컨베이어 수단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앞의 단계 S20에서는 두께 1mm 이상 3mm 이하의 면판이 되도록 팽화물을 성형하였고, 단계 S60에서는 위 다시 면판을 폭 1mm 이상 10mm 이하의 면가닥으로 절출한 바 있는데, 이 단계(S70)에서는 위와 같이 절출된 면가닥을 1인분이 되는 길이만큼씩 절단하고, 절단된 1인분의 면가닥이 컨베이어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면가닥 가이드를 따라 낙하하여 버킷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면가닥 가이드는 1인분씩 절단된 후 이동하는 면가닥의 낙하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며, 낙하되는 즉석면 가닥들이 아래에 구비되어 있는 버킷으로 떨어져 각각 모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최초면판의 폭이 600mm이고 분할면판의 폭이 150mm인 경우, 컨베이어의 하단에 4개의 버킷이 대기하도록 장치를 구성하고, 1인분씩 절단된 면가닥이 면가닥 가이드에 의해 각각 다른 버킷으로 낙하하여 수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조되는 최초면판의 폭과 분할면판의 폭은 쌀 즉석면의 제조용량에 따라 다르게 설계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되는 버킷의 수 역시 제조용량 또는 설치 장소의 상황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버킷은 즉석면 가닥을 1인분씩 구분하여 수용하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용기이며, 그 측면을 통해 공기가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후에 수행되는 본건조 단계에서 본건조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선풍기에 의해 송풍하는 공기가 버킷에 담겨있는 면가닥을 향하여 자유롭게 공급되어 면가닥이 잘 건조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버킷은 면가닥이 포장용기에 적합한 형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그 내부에 수용되는 1인 분량의 즉석면 가닥이 원 또는 타원에 가까운 형상이 되도록 한다. 즉석면을 특정한 형상으로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버킷을 그 형상에 맞추어 설계할 수도 있다.
(8) 버킷에 담겨있는 쌀 즉석면 가닥을 본건조하는 단계(S80)
본 발명의 여덟째 단계(S80)는 버킷에 수용되어 있는 쌀 즉석면 가닥을 최종 건조하는 단계이며, 이 단계를 본건조 단계라고 한다. 이 단계(S80)는 앞의 단계(S70)에서 1인분씩의 즉석면 가닥이 수용되는 복수의 버킷이 차례로 본건조 장치의 내부로 진입한 후 본건조 장치의 내부를 지나면서 수행되는 단계이다.
본건조 장치는 본건조실과 공조설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건조실은 외부 공간과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본건조실의 내부를 즉석면 가닥이 수용되어 있는 버킷이 차례로 이동하면서 즉석면 가닥에 대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쌀 즉석면 제조에 적용되는 본건조 단계에서는 급기팬 및 배기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공조설비와, 본건조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선풍기 등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본건조 단계(S80)는 앞의 단계에서 제조되어 버킷에 담겨있는 면가닥의 수분함량이 12%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이며, 최종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쌀 즉석면의 제조에 관한 본 발명의 본건조 단계(S80)는 온도가 40℃ 이상 60℃ 이하이고, 습도가 50% 이상 80% 이하인 본건조 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되며, 즉석면 가닥의 두께에 따라 45분 이상 6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본건조 장치는 앞의 단계에서 버킷에 1인분씩 담겨있는 즉석면 가닥이 장치의 내부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건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본건조 장치는 본건조실과 공조설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건조실의 내부는 외부 공간과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본건조실의 측면에는 그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면서 공기를 급기 및 배기하기 위한 공조설비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건조실의 내부에는 버킷에 담겨있는 즉석면 가닥에 공기를 직접 분사하여 즉석면 가닥의 내부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복수의 선풍기가 설치되어 있다. 공조설비는 본건조실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급기팬과 그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 및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건조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공조설비 중 급기팬과 배기팬은 본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동작하며, 급기팬과 배기팬은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히터는 본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설정치보다 낮을 경우에 동작하게 된다. 급기팬과 배기팬은 본건조실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도 동작한다. 즉, 본건조실 내부의 습도가 설정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습도가 낮은 외부(본건조실의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여 그 내부의 습도가 설정범위 이내가 되도록 동작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건조실의 내부에는 버킷에 담겨있는 즉석면 가닥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시켜서 즉석면 가닥 중의 수분을 증발시켜주는 복수의 선풍기가 구비되어 있다. 선풍기는 본건조실의 내부에서 동작하면서 즉석면 가닥의 건조를 촉진시켜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인 45분 내지 60분 동안에 즉석면 가닥을 건조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즉석면 가닥을 본건조시킬 수 있는 이유는, 즉석면 가닥을 제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최초에는 600mm 등과 같이 넓게 제조된 면판을 다시 폭 150mm의 분할면판으로 만들고, 그 후에 즉석면 가닥을 1인분씩 절단하여 버킷에 수용한 다음, 즉석면 가닥이 수용된 버킷을 본건조실로 진입시켜서 즉석면 가닥을 건조시키되, 본건조실의 내부에서는 공기가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버킷의 내부로 선풍기를 통해 건조용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신속하게 즉석면 가닥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위와 같이 짧은 시간 동안에 즉석면 가닥을 본건조시킬 수 있는 다른 이유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면판은 팽화과정에서 수분함량이 크게 감소됨으로서 그 수분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고 동시에 면판의 조직 중에 수많은 기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위와 같은 내용의 본건조 단계를 수행하면 쌀 즉석면이 수분함량이 12% 이하로 건조되게 된다. 면류 제품은 수분함량이 12% 이하가 되어야 안전하게 유통될 수 있는데, 수분함량이 위 범위가 되도록 최종 건조시킨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쌀 즉석면은 품질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유통될 수 있게 된다.
(9) 쌀 즉석면을 1인분씩 포장 및 반출하는 단계(S90)
본 발명의 마지막 단계(S90)는 버킷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최종 건조된 쌀 즉석면 가닥을 1인용 즉석면 용기에 담은 후 각각 포장하여 반출하는 단계이다.
쌀 즉석면은 뜨거운 물을 부어서 바로 조리할 수 있는 용기에 담아서 포장하여야 한다. 버킷에 1인분씩 담겨있는 상태에서 본건조 단계를 거쳐 건조된 즉석면은 버킷에서 배출된 후 위와 같이 조리가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 용기에 담겨서 포장되게 된다. 용기에 포장된 쌀 즉석면은 바로 반출되거나 더 큰 단위로 포장되어 반출되게 된다.
위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쌀 즉석면을 제조할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쌀 즉석면은 종래의 쌀 즉석면에 비해 경화부분의 발생이 크게 감소됨으로써, 조리 중에 전분 용출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전분 용출이 감소될 경우, 면류 제품의 조리시 국물의 탁도가 개선되어 음식으로서의 품위가 향상되고, 면 제품의 내부로 수분이 쉽게 침투될 수 있어서 조리시간도 크게 감소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쌀 즉석면을 제조할 경우, 쌀만을 사용하여 즉석면을 제조하면서도 즉석면의 특성이 잘 나타나는 면류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쌀 즉석면은 쌀로 제조되면서도 밀을 사용하여 제조한 즉석면에 못지않은 우수한 식감을 갖게 되어, 쌀 즉석면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할 경우, 쌀 즉석면의 제조 효율이 개선되고 쌀 즉석면 제품의 상품성 및 선호도가 크게 높아져서 쌀의 소비 촉진이 기대되는 품질이 우수한 쌀 즉석면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위에 설명된 내용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특별한 기술적 변경 없이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유사하거나 균등한 것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 쌀가루 또는 물에 침지하여 불린 쌀을 분쇄한 쌀가루를 사용하여 쌀 즉석면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믹서기 내에 쌀가루와 물을 투입한 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반죽물 제조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제조되어 압출기의 내부로 투입된 반죽물이 그 내부를 이동하는 동안에 가열되어 익혀짐과 동시에 반죽물에 가해지는 압력 및 반죽물 자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반죽물이 팽화되고, 팽화된 반죽물이 상기 압출기의 출구를 통해 면판 형상으로 성형되어 배출되는 반죽물 팽화 및 면판 성형 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면판이 65% 이상 90% 이하의 습도를 유지하는 냉각장치의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에 냉각되는 면판 냉각 단계(S30)와,
상기 단계(S30)에서 냉각된 면판이 1인분의 쌀 즉석면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폭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분할면판으로 분할되는 단계(S40)와,
상기 단계(S40)에서 분할된 분할면판이 외부 공간과 분리되도록 구성된 예비건조실을 통과하면서 건조되는 예비건조 단계(S50)와,
상기 단계(S50)에서 예비건조된 분할면판을 길이 방향으로 절출하여 면가닥 형상으로 제조하는 면가닥 절출 단계(S60)와,
상기 단계(S60)에서 절출된 면가닥이 1인분씩 절단되어 버킷에 수용되는 단계(S70)와,
상기 단계(S70)에서 1인분씩의 면가닥이 수용되어 있는 복수의 버킷이 본건조 장치의 내부를 지나는 동안에 면가닥에 대한 최종 건조가 이루어지는 본건조 단계(S80)와,
상기 단계(S80)에서 본건조된 면가닥이 1인용 즉석면 용기에 담긴 후 포장 및 반출되는 단계(S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즉석면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죽물 팽화 및 면판 성형 단계(S20)에서는 상기 압출기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히터에 의해 반죽물이 가열되어 익혀지게 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압출기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스크류가 회전하면서 반죽물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열과 압력에 의해 반죽물의 내부에 다수의 기공히 형성되는 팽화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압출기 내부의 온도는 100℃ 이상 130℃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하고, 상기 압출기 내부를 통과하는 반죽물의 온도는 80℃ 이상 100℃ 이하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기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즉석면 제조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에는 온도센서1 및 온도센서2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센서1은 상기 압출기 원통면 내부의 가장 상부 위치에 구비되어 압출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온도센서2는 상기 압출기 원통면 내부의 하단에 설치되되 상기 전기히터의 수에 맞추어 설치되고, 상기 전기히터와 인접한 상기 원통면 내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어서 해당 전기히터를 통과하는 반죽물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고, 상기 온도센서2가 측정한 반죽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해당 전기히터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즉석면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판 냉각 단계(S30)는 면판이 외부공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밀폐된 공간으로 구성된 냉각장치의 내부에 수행되며,
상기 냉각장치의 내부에는 7단 이상 15단 이하의 홀수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컨베이어가 상하로 배치되어, 면판이 위에서부터 아래로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냉각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즉석면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면판으로 분할되는 단계(S40)에서는 상기 단계 S30에서 냉각된 면판을 1인분의 쌀 즉석면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150mm의 폭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면판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즉석면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비건조 단계(S50)에서 수행되는 상기 예비건조는 온도가 15℃ 이상 40℃ 이하이고 습도가 50% 이상 80% 이하를 유지하는 예비건조실의 내부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예비건조 단계(S50)는 5분 이상 15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되, 면판의 두께가 1mm일 경우에는 5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고, 두께가 2mm일 경우에는 5분 이상 1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며, 두께가 3mm일 경우에는 10분 이상 15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예비건조 단계(S50)를 수행한 후에는 상기 분할면판의 수분함량이 19% 이상 21% 이하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즉석면 제조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예비건조 단계(S50)가 수행되는 상기 예비건조실은 외부 공간과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예비건조실의 측면에는 외부 공기를 그 내부로 송풍하는 급기팬과 그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이 포함된 공조설비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예비건조실의 내부에는 각각 복수의 선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선풍기는 상기 분할면판의 표면에 공기를 분사시켜서 면판의 내부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즉석면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가닥 절출 단계(S60)에서는 예비건조된 두께 1mm 이상 3mm 이하로 이루어진 상기 분할면판을 폭이 1mm 이상 10mm 이하가 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출하여 면가닥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즉석면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건조 단계(S80)는 본건조실과 공조설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건조 장치의 내부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본건조실의 내부는 외부 공간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되, 온도 40℃ 이상 60℃ 이하 및 습도 50% 이상 80% 이하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본건조 단계(S80)는 즉석면 가닥의 두께에 따라 45분 이상 6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본건조 단계의 수행결과 즉석면 가닥의 수분함량이 12% 이하가 되도록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즉석면 제조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본건조실의 내부에는 버킷에 담겨있는 즉석면 가닥에 공기를 직접 분사하여 면가닥의 내부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선풍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공조설비는 상기 본건조실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급기팬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 및 상기 본건조실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기팬과 배기팬은 상기 본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설정치를 벗어날 경우 동시에 동작하고, 상기 히터는 본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설정치보다 낮을 경우에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즉석면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8411A KR102584985B1 (ko) | 2023-03-03 | 2023-03-03 | 쌀 즉석면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8411A KR102584985B1 (ko) | 2023-03-03 | 2023-03-03 | 쌀 즉석면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4985B1 true KR102584985B1 (ko) | 2023-10-04 |
Family
ID=8829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28411A KR102584985B1 (ko) | 2023-03-03 | 2023-03-03 | 쌀 즉석면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4985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8950A (ko) | 1992-10-08 | 1994-05-16 | 마이클 피이. 리베라 | 감소된 전력의 대기모드를 보유하는 코오드화 철도트랙회로의 성능 |
JPH08308730A (ja) * | 1995-05-22 | 1996-11-26 | Kenji Murakami | 麺の加工装置 |
KR20110123310A (ko) * | 2010-05-07 | 2011-11-15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과 제조용 진공팽화장치, 그로부터 제조된 진공팽화 유과 및 그 제조방법 |
KR101187551B1 (ko) * | 2012-05-07 | 2012-10-02 | 이주현 | 즉석 쌀라면 제조공정 |
KR101556074B1 (ko) * | 2015-01-30 | 2015-09-30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건농 | 식품 건조기 |
KR20160007773A (ko) * | 2014-06-27 | 2016-01-21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색미면 | 100%순 쌀가루를 사용한 쌀국수 제조장치 |
KR101861901B1 (ko) | 2015-12-15 | 2018-07-05 | 경상남도 고성군 | 즉석 쌀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375174B1 (ko) | 2021-03-05 | 2022-03-16 | 주식회사 아우리움 | 전자레인지용 즉석 쌀국수면의 제조방법 |
-
2023
- 2023-03-03 KR KR1020230028411A patent/KR1025849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8950A (ko) | 1992-10-08 | 1994-05-16 | 마이클 피이. 리베라 | 감소된 전력의 대기모드를 보유하는 코오드화 철도트랙회로의 성능 |
JPH08308730A (ja) * | 1995-05-22 | 1996-11-26 | Kenji Murakami | 麺の加工装置 |
KR20110123310A (ko) * | 2010-05-07 | 2011-11-15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과 제조용 진공팽화장치, 그로부터 제조된 진공팽화 유과 및 그 제조방법 |
KR101187551B1 (ko) * | 2012-05-07 | 2012-10-02 | 이주현 | 즉석 쌀라면 제조공정 |
KR20160007773A (ko) * | 2014-06-27 | 2016-01-21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색미면 | 100%순 쌀가루를 사용한 쌀국수 제조장치 |
KR101556074B1 (ko) * | 2015-01-30 | 2015-09-30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건농 | 식품 건조기 |
KR101861901B1 (ko) | 2015-12-15 | 2018-07-05 | 경상남도 고성군 | 즉석 쌀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375174B1 (ko) | 2021-03-05 | 2022-03-16 | 주식회사 아우리움 | 전자레인지용 즉석 쌀국수면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ou et al. | Noodle processing technology | |
MX2008013118A (es) | Procedimiento para producir pellas expandibles a base de arroz y bocadillos similares a galleta. | |
JP2011030501A (ja) | 即席麺の製造方法 | |
US3537862A (en) | Process for preparing an alimentary paste product | |
US20100247731A1 (en) | Fresh pasta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
JPH0430264B2 (ko) | ||
US4876104A (en) | Method for preparing and preserving fresh pasta | |
KR100669977B1 (ko) | 비유탕 한과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 |
ZA200303354B (en) | Instant pasta with improved cooking quality. | |
EP0968659A1 (en) | Cooked, acidified noodles | |
US5922387A (en) | Method of making dried extruded gnocchi | |
KR102584985B1 (ko) | 쌀 즉석면 제조방법 | |
EP0953293A1 (en) | Cooked, acidified pasta | |
US20070254077A1 (en) | Extruded foodstuff and method of making | |
KR102546354B1 (ko) | 쌀국수 제조방법 | |
KR100189505B1 (ko) | 막대형 섬유상 어묵의 조미건포 제조방법 | |
KR101913130B1 (ko) | 비유탕식 유과형 한과의 제조방법 | |
US3252805A (en) | Process for preparing quickcooking pasta | |
US10412982B2 (en) | Method for producing instant noodles | |
EP1428439B1 (en) | Frozen pasta product | |
KR102579010B1 (ko) | 쌀숙면 제조방법 | |
KR102562474B1 (ko) | 쌀라면 제조방법 | |
JP2013051924A (ja) | 錠剤状食品とその製造方法 | |
KR102608566B1 (ko) | 완두 단백을 첨가한 쌀국수 제조방법 | |
JP6724015B2 (ja) | 冷凍調理済み調味麺類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