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813B1 -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 - Google Patents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813B1
KR102584813B1 KR1020210081844A KR20210081844A KR102584813B1 KR 102584813 B1 KR102584813 B1 KR 102584813B1 KR 1020210081844 A KR1020210081844 A KR 1020210081844A KR 20210081844 A KR20210081844 A KR 20210081844A KR 102584813 B1 KR102584813 B1 KR 102584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footrest
scaffold
scaffolding
dete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5770A (ko
Inventor
이웅균
나민권
김성래
이진아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115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발생부에 의해 작업자 시선이 향하는 천장 또는 벽면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으로 세이프라인이 표시되어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육안으로 인식함에 따라 작업자가 발판부 외측 영역으로 발을 헛디뎌 추락하는 낙상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SCAFFOLDING FOR CONSTRUCTION WORKS TO PROVIDE FALL RISK NOTIFICATIONS}
본 발명은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발생부에 의해 작업자 시선이 향하는 천장 또는 벽면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으로 세이프라인이 표시되어 작업자가 이동가능한 거리를 육안으로 인식함에 따라 작업자가 발판부 외측 영역으로 발을 헛디뎌 추락하는 낙상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시공현장에는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 발판이 설치된다. 이러한 작업발판은 시공되는 건축물의 벽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강관에 걸쳐서 설치되는 비계발판과 지지다리로 설치되는 작업발판이 있다.
작업자는 작업발판 위에 올라서서 정면 또는 상측을 바라보고 작업을 하므로, 발판의 디딤 영역을 잘 살펴보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작업발판 위에서 이동 중에 발을 헛딛거나 중심이 기울어지게 딛는 경우 발판에서 추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항상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허로는, 등록특허 제10-1546702호에서는 작업자가 추락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이 발이 위치하는 경우, 경고를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10-2008252호에서는 발판의 양 말단에는 호각이 내삽 된 소리발생구가 포함됨으로써, 작업자가 말단을 밟을 경우 공기가 배출되면서 경고음이 발생되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공사장에서는 상시 큰 소음이 발생되고 있어 작업자가 경고음을 듣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에, 다른 방법을 통해 위험사실을 통보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KR 10-1546702 B1 (2015.08.24.) KR 10-2008252 B1 (2019.08.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 시선이 향하는 천장 또는 벽면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으로 세이프라인이 표시되어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는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밟고 좌우로 이동가능한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의 아래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건축공사용 발판에 있어서, 상기 건축공사용 발판은 발판부의 양측 가장자리부 영역에 설치되어 작업자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감지모듈; 및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발판부 양측 가장자리부 영역에서 작업자 이동이 검출되면,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모듈은, 발판부 상면에 설치되어 작업자 이동 답압을 검출하는 압력센서로 형성되거나, 발판부에 설치되어 작업자 이동을 감지하는 비접촉식 근접센서로 형성되거나, 발판부에 설치되어 작업자 하체에 터치되어 이동을 감지하는 접촉식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림수단은 레이저발생부로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발생부은 발판부 양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되고, 천장 또는 벽면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으로 레이저를 출력하여 세이프라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이프라인은 발판부 영역과 같거나 좁게 표시되어, 작업자가 세이프라인을 통하여 발판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모듈은 광반사부로 형성되어, 발판부 폭방향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알림수단은 레이저발생부로 형성되어 광반사부와 대향하는 발판부 폭방향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발생부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는 발판부 상면을 경유하여 광반사부 측으로 횡형라인을 형성하며 이동되고, 상기 광반사부는 레이저를 굴절 출력하여 천장 또는 벽면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에 복수의 식별라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판부의 상면에서 레이저발생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복수의 레이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횡형라인이 작업자 발에 막혀 광반사부 측으로 이동이 차단되면, 차단된 레이저와 대응하는 위치의 식별라인이 사라진 상태로 빈영역으로 표시되며, 빈영역을 통하여 작업자의 발 위치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 시선이 향하는 천장 또는 벽면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으로 세이프라인이 표시되어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는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의 감지모듈과 알림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의 진동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의 감지모듈과 알림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의 진동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에 관련되며, 이는 작업자가 밟고 좌우로 이동가능한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의 아래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건축공사용 발판에 대한 것으로, 특히 레이저발생부에 의해 작업자 시선이 향하는 천장 또는 벽면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으로 세이프라인이 표시되어 작업자가 이동가능한 거리를 육안으로 인식함에 따라 작업자가 발판부 외측 영역으로 발을 헛디뎌 추락하는 낙상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발판부, 다리부, 감지모듈(100), 알림수단(20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모듈(100)은 상기 발판부 양측 가장자리부 영역에 설치되어 작업자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감지모듈(100)은, 발판부 상면에 설치되어 작업자 이동 답압을 검출하는 압력센서로 형성되거나, 발판부에 설치되어 작업자 이동을 감지하는 비접촉식 근접센서로 형성되거나, 발판부에 설치되어 작업자 하체에 터치되어 이동을 감지하는 접촉식 근접센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감지모듈(100)은 체결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발판부을 철거시 분리하여 별도 보관할 수 있고, 고장이 나면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림수단(200)은 상기 감지모듈(100)에 의해 발판부 양측 가장자리부 영역에서 작업자 이동이 검출되면,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알림수단(200)은 레이저발생부(210)로 형성된다. 상기 레이저발생부(210)은 도 1과 같이 발판부 양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되고, 천장 또는 벽면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으로 레이저를 출력하여 세이프라인(212)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세이프라인(212)은 발판부 영역과 같거나 좁게 표시되어, 작업자가 세이프라인(212)을 통하여 발판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발판부 상에서 작업시, 레이저발생부(210)에 의해 작업자 시선이 향하는 천장 또는 벽면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으로 세이프라인(212)이 표시되고, 세이프라인(212)을 기준으로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인식함에 따라 발판부 외측 영역으로 발을 헛디뎌 추락하는 낙상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 상기 알림수단(20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처럼 상기 감지모듈(100)은 광반사부(110)로 형성되어, 발판부 폭방향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알림수단(200)은 레이저발생부(210)로 형성되어 광반사부(110)과 대향하는 발판부 폭방향 일측 단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레이저발생부(21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는 도 2(a)와 같이 발판부 상면을 경유하여 광반사부(110) 측으로 횡형라인(L1)을 형성하며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발생부(210)은 발판부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광반사부(110)은 소정의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거울과 같은 반사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광반사부(110)은 레이저를 굴절 출력하여 천장 또는 벽면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에 복수의 식별라인(112)을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횡형라인(L1)은 발판부 상면에 위치된 작업자의 발(신발)을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이로 인해 도 3과 같이 상기 발판부 상면에서 레이저발생부(210)을 통하여 출력되는 복수의 레이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횡형라인(L1)이 작업자 발에 막혀 광반사부(110) 측으로 이동이 차단되면, 도 3(b)처럼 차단된 레이저와 대응하는 위치의 식별라인(112)이 사라진 상태로 빈영역(114)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빈영역(114)를 통하여 작업자의 발 위치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스스로 인식하여 발판부 외측 영역으로 발을 헛디뎌 추락하는 낙상사고가 방지된다.
도 4에서, 상기 알림수단(200)은 밴드(222)에 의해 인체에 착용 가능한 진동모듈(220)로 형성된다.
상기 진동모듈(220)은 근거리통신모듈에 의해 감지모듈(100)과 페어링되어, 감지모듈(1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on/off 작동이 제어된다.
이처럼 상기 감지모듈(100)에 의해 발판부 양측 가장자리부 영역에서 작업자 이동이 검출되면, 진동모듈(220) on 작동 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진동 방식으로 경고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소음이 심하고 작업자 시선이 작업 영역을 향하지 않더라도 진도에 의해 경고신호를 감지하여 낙상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98 : 다리부 99 : 발판부
100 : 감지모듈 110 : 광반사부
200 : 알림수단 210 : 레이저발생부
220 : 진동모듈

Claims (5)

  1. 작업자가 밟고 좌우로 이동가능한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의 아래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건축공사용 발판에 있어서,
    상기 건축공사용 발판은 발판부의 양측 가장자리부 영역에 설치되어 작업자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감지모듈(100); 및
    상기 감지모듈(100)에 의해 발판부 양측 가장자리부 영역에서 작업자 이동이 검출되면,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알림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모듈(100)은 발판부 상면에 설치되어 작업자 이동 답압을 검출하는 압력센서와 발판부에 설치되어 작업자 이동을 감지하는 비접촉식 근접센서 및 발판부에 설치되어 작업자 하체에 터치되어 이동을 감지하는 접촉식 근접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알림수단(200)은 레이저발생부(210)로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발생부(210)은 발판부 양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되고, 천장 또는 벽면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으로 레이저를 출력하여 세이프라인(212)을 표시하고,
    상기 세이프라인(212)은 발판부 영역과 같거나 좁게 표시되어, 작업자가 세이프라인(212)을 통하여 발판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알림수단(200)은 밴드(222)에 의해 인체에 착용 가능한 진동모듈(220)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모듈(220)은 근거리통신모듈에 의해 감지모듈(100)과 페어링되어,감지모듈(1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on/off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100)은 광반사부(110)로 형성되어, 발판부 폭방향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알림수단(200)은 레이저발생부(210)로 형성되어 광반사부(110)과 대향하는 발판부 폭방향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발생부(21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는 발판부 상면을 경유하여 광반사부(110) 측으로 횡형라인(L1)을 형성하며 이동되고,
    상기 광반사부(110)은 레이저를 굴절 출력하여 천장 또는 벽면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에 복수의 식별라인(112)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횡형라인(L1)은 발판부 상면에 위치된 작업자의 신체를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발판부의 상면에서 레이저발생부(210)을 통하여 출력되는 복수의 레이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횡형라인(L1)이 작업자 발에 막혀 광반사부(110) 측으로 이동이 차단되면, 차단된 레이저와 대응하는 위치의 식별라인(112)이 사라진 상태로 빈영역(114)로 표시되며, 빈영역(114)를 통하여 작업자의 발 위치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
  4. 삭제
  5. 삭제
KR1020210081844A 2021-02-09 2021-06-23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 KR102584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18660 2021-02-09
KR1020210018660 2021-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770A KR20220115770A (ko) 2022-08-18
KR102584813B1 true KR102584813B1 (ko) 2023-10-06

Family

ID=8311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844A KR102584813B1 (ko) 2021-02-09 2021-06-23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483B1 (ko) 2023-01-31 2024-02-28 김기두 추락 방지 수단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발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797B2 (ja) * 1992-07-21 2001-03-1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797U (ja) * 2008-08-07 2008-10-23 協立技研株式会社 工事現場の仮設足場監視システム
KR101546702B1 (ko) 2015-05-22 2015-08-24 박정규 안전 말비계
KR101978815B1 (ko) * 2017-09-14 2019-05-16 (주) 성일앤풍아산업 위험 경보 발판
KR102008252B1 (ko) 2018-03-28 2019-08-07 쓰리에스코리아(주) 추락방지용 경고음 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작업대
KR102192754B1 (ko) * 2019-05-22 2020-12-18 미소에이스 주식회사 이동형 보안펜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797B2 (ja) * 1992-07-21 2001-03-1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770A (ko)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9461B2 (en) Safety device
KR101667569B1 (ko)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KR101082533B1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KR102584813B1 (ko) 추락위험 알림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발판
US20130153333A1 (en) Safety device for an aerial lift,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 aerial lift having the safety device, a kit of parts and a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for providing the safety device in an aerial lift
JP6274665B2 (ja) 高所作業車用上部衝突防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衝突防止方法
KR101145438B1 (ko)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JP6513855B1 (ja) 脚立作業状況判定システム、脚立作業状況判定方法及び脚立作業状況判定プログラム
GB2482853A (en) Portable anti collision sensor
KR102237088B1 (ko) 스마트 타워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솔루션 시스템
US8730030B2 (en) Hazard/perimeter safety system
CN107922168B (zh) 输送机装置
JP5259676B2 (ja) 乗客コンベア
JP4848840B2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KR101858995B1 (ko)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JP2012207333A (ja) 衝突防止機能付きヘルメット
JP6429482B2 (ja) 侵入検出システム
KR102206921B1 (ko) 고소작업 하부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
KR20070092882A (ko) 음성알림장치를 갖춘 고가 소방인명구조장비
ES2221718T3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una escalera mecanica.
JP6513851B1 (ja) 脚立作業状況判定システム、脚立作業状況判定方法及び脚立作業状況判定プログラム
KR102591473B1 (ko) 이동식 접근 경보장치
JP2005096891A (ja) エレベータかご上の安全装置
KR102638014B1 (ko)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
KR100250943B1 (ko) 붐 및 사다리소방차용 모니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