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043B1 - 렌즈 외경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외경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043B1
KR102584043B1 KR1020230013843A KR20230013843A KR102584043B1 KR 102584043 B1 KR102584043 B1 KR 102584043B1 KR 1020230013843 A KR1020230013843 A KR 1020230013843A KR 20230013843 A KR20230013843 A KR 20230013843A KR 102584043 B1 KR102584043 B1 KR 102584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haft
spindle unit
hol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태
김기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오엠
Priority to KR1020230013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B24B9/146Accessories, e.g. lens m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24B41/061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axially supporting turning workpieces, e.g. magnetically, pneu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B24B9/14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electrically, e.g. numerically,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외경 가공 장치는 작업 테이블(T)과;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제1 샤프트(1)가 설치된 제1 스핀들 유니트(3); 상기 제1 샤프트(1)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되 단부에 가공 렌즈(L)의 전면이 고정되는 제1 렌즈 홀더(5); 상기 제1 스핀들 유니트(3)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샤프트(1)을 축 회전시켜 상기 제1 렌즈 홀더(5)와 가공 렌즈(L)를 회전시키는 제1 샤프트 회전 수단(7); 상기 제1 렌즈 홀더(5)와 제1 샤프트(1) 중앙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9); 상기 제1 관통홀(9) 입구를 통해 특정 문양의 평행광을 조사하는 평행광 조사 수단(15); 상기 제1 관통홀(9)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렌즈 홀더(5) 단부에 가공 렌즈(L)가 흡착되도록 하는 진공 흡착 수단; 상기 제1 스핀들 유니트(3)와 일렬 배치된 제1 전후 이동 부재(25);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전후 이동 부재(25)를 제1 스핀들 유니트(3)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제1 스핀들 유니트(3) 반대 방향으로 후진시키는 제1 전후 이동 수단(27); 상기 제1 전후 이동 부재(25)에 조립 설치된 제2 스핀들 유니트(29);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에 관통 결합되되 양단이 제2 스핀들 유니트(29)의 바깥으로 노출된 제2 샤프트(31);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샤프트(31)를 회전시키는 제2 샤프트 회전 수단(33); 상기 제1 렌즈 홀더(5)를 마주보는 제2 샤프트(31)의 전단에 고정 설치되고 제2 샤프트(31)를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1 전후 이동 수단(27)이 전진되었을 때 가공 렌즈(L)의 후면과 맞닿는 제2 렌즈 홀더(35); 상기 가공 렌즈(L)를 통과한 평행광이 통과되도록 상기 제2 샤프트(31)와 제2 렌즈 홀더(35)를 관통한 제2 관통홀(37); 상기 가공 렌즈(L)의 측부와 소정 간격 떨어져 설치된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가공 렌즈(L) 방향으로 이동시켜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가 가공 렌즈(L)의 측단을 밀어내도록 하거나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가공 렌즈(L)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13);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조립 설치되되 가공 렌즈(L)와 제2 관통홀(37)을 통과한 후 가공 렌즈(L)의 광축 연장선상에 놓인 특정 문양의 평행광과 제2 관통홀(37)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21); 및 상기 제2 렌즈 홀더(35)가 가공 렌즈(L)의 후면과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샤프트 회전 수단(7)을 제어하여 가공 렌즈(L)를 한 바퀴 회전시키되 소정 단위의 회전 각도마다 상기 촬영 수단(21)을 제어하여 제2 관통홀(37)과 가공 렌즈(L)의 광축 연장선상에 놓인 특정 문양의 평행광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가공 렌즈(L)의 제1 회전각(A)을 검출하며, 제1 전후 이동 부재(25)를 전진시켜 제2 렌즈 홀더(35)가 가공 렌즈(L)의 후면과 맞닿도록 하고, 상기 제1 회전각(A)을 이용하여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을 잇는 연장선과 교차되는 가상 렌즈(L)의 측단이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마주보도록 제1 샤프트 회전 수단(7)과 제2 샤프트 회전 수단(33)을 제어하며,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13)을 제어하여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마주보는 가상 렌즈(L)의 측단이 제1 렌즈 홀더(5)의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 사이의 최대 거리가 설정된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 외경 가공 장치{Lens outer diameter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렌즈 외경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 렌즈의 광축과 가공 렌즈를 회전시키는 제1 샤프트의 중심을 자동으로 맞추어주는 오토(Auto) 센터링 작업과, 가공 렌즈의 편심과 틸팅(Tilting) 값을 검출하고 렌즈의 외경을 가공 수행하는 렌즈 외경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용 렌즈는 합성 수지나, 유리 소재의 성형을 통해 제조되며, 사용 용도에 맞게 크기 및 형태가 가공되는데 주로 구면의 형태로 제작 된다.
이때, 구면 형태로 가공된 렌즈는 곡률에 따라 광축(光軸)을 가지며 광축을 기준으로 외경 가공을 실시한다.
외경 가공은 렌즈가 장착되는 각종 화상기록분야의 정밀한 광학장치에 요구되는 형상에 맞춰 렌즈의 외경을 가공하는 것으로, 렌즈를 홀더에 로딩 및 홀딩한 후 연삭 휠을 회전시켜 렌즈의 외경을 가공하고, 가공된 렌즈를 배출시키는 공정으로 렌즈의 외경을 가공한다.
그러나 외경 가공시 렌즈의 광축을 홀더의 중심에 맞추는 센터링 작업이 앞서 수행되지 않을 경우 렌즈에 편심이 발생될 수 있다.
편심(偏心)이란 렌즈의 구면 중심이 광축 위에 있지 않은 것으로, 렌즈에 편심이 발생될 경우 프리즘 작용에 의해 상의 위치가 상면 내에서 옆으로 미끄러지고, 수차에 편심 특유의 수차가 가해져 렌즈를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외경 가공을 수행하더라도 렌즈에 편심이 발생되면 불량 렌즈로 판단되어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렌즈를 가공할 때에는 센터링 작업을 통해 편심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는 출원번호 "10-2020-0077993"호의 "편심 조절과 제동 기능을 겸비하는 벨트 방식 광학계 연마 장치"가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상기 편심 조절과 제동 기능을 겸비하는 벨트 방식 광학계 연마 장치는 반사경이나 렌즈 및 프리즘과 같은 광학계를 자동으로 연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를 수용하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광학계를 설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광학계와 마주보게 장착되고 상기 광학계를 포용하는 크기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노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광학계를 연마하는 툴이 연결되는 스핀들, 상기 하우징의 하단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핀들을 자전 및 편심 이동 가능하게 잡아주는 편심 홀더, 상기 하우징의 상단 중심과 후방에 각각 이격 장착되고 상기 스핀들의 자전동력과 공전동력을 각각 부가하는 자전/공전모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자전/공전모터와 편심 홀더에 연결되어 자전과 공전 동력을 스핀들로 동시 전달하는 벨트 방식 연마 미션, 상기 편심 홀더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스핀들의 편심거리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 상기 편심 홀더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스핀들의 편심 이동을 단속하는 제동 수단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2326725" (2021.11.16)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렌즈 외경 가공시 렌즈 중앙과 렌즈 광축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범주안에 들어오도록 렌즈를 가공하는 렌즈 외경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외경 가공 장치는 작업 테이블(T)과;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제1 샤프트(1)가 설치된 제1 스핀들 유니트(3); 상기 제1 샤프트(1)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되 단부에 가공 렌즈(L)의 전면이 고정되는 제1 렌즈 홀더(5); 상기 제1 스핀들 유니트(3)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샤프트(1)을 축 회전시켜 상기 제1 렌즈 홀더(5)와 가공 렌즈(L)를 회전시키는 제1 샤프트 회전 수단(7); 상기 제1 렌즈 홀더(5)와 제1 샤프트(1) 중앙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9); 상기 제1 관통홀(9) 입구를 통해 특정 문양의 평행광을 조사하는 평행광 조사 수단(15); 상기 제1 관통홀(9)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렌즈 홀더(5) 단부에 가공 렌즈(L)가 흡착되도록 하는 진공 흡착 수단; 상기 제1 스핀들 유니트(3)와 일렬 배치된 제1 전후 이동 부재(25);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전후 이동 부재(25)를 제1 스핀들 유니트(3)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제1 스핀들 유니트(3) 반대 방향으로 후진시키는 제1 전후 이동 수단(27); 상기 제1 전후 이동 부재(25)에 조립 설치된 제2 스핀들 유니트(29);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에 관통 결합되되 양단이 제2 스핀들 유니트(29)의 바깥으로 노출된 제2 샤프트(31);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샤프트(31)를 회전시키는 제2 샤프트 회전 수단(33); 상기 제1 렌즈 홀더(5)를 마주보는 제2 샤프트(31)의 전단에 고정 설치되고 제2 샤프트(31)를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1 전후 이동 수단(27)이 전진되었을 때 가공 렌즈(L)의 후면과 맞닿는 제2 렌즈 홀더(35); 상기 가공 렌즈(L)를 통과한 평행광이 통과되도록 상기 제2 샤프트(31)와 제2 렌즈 홀더(35)를 관통한 제2 관통홀(37); 상기 가공 렌즈(L)의 측부와 소정 간격 떨어져 설치된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가공 렌즈(L) 방향으로 이동시켜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가 가공 렌즈(L)의 측단을 밀어내도록 하거나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가공 렌즈(L)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13);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조립 설치되되 가공 렌즈(L)와 제2 관통홀(37)을 통과한 후 가공 렌즈(L)의 광축 연장선상에 놓인 특정 문양의 평행광과 제2 관통홀(37)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21); 및 상기 제2 렌즈 홀더(35)가 가공 렌즈(L)의 후면과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샤프트 회전 수단(7)을 제어하여 가공 렌즈(L)를 한 바퀴 회전시키되 소정 단위의 회전 각도마다 상기 촬영 수단(21)을 제어하여 제2 관통홀(37)과 가공 렌즈(L)의 광축 연장선상에 놓인 특정 문양의 평행광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가공 렌즈(L)의 제1 회전각(A)을 검출하며, 제1 전후 이동 부재(25)를 전진시켜 제2 렌즈 홀더(35)가 가공 렌즈(L)의 후면과 맞닿도록 하고, 상기 제1 회전각(A)을 이용하여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을 잇는 연장선과 교차되는 가상 렌즈(L)의 측단이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마주보도록 제1 샤프트 회전 수단(7)과 제2 샤프트 회전 수단(33)을 제어하며,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13)을 제어하여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마주보는 가상 렌즈(L)의 측단이 제1 렌즈 홀더(5)의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 사이의 최대 거리가 설정된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외경 가공 장치는 렌즈 외경 가공시 렌즈 중앙과 렌즈 광축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범주안으로 들어오도록 하여 불량률을 낮출 수 있고, 렌즈의 생산성 또한 높일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가공 렌즈의 편심을 맞추어 주어 일정 기준의 렌즈를 생산할 수 있다.
또, 제2 렌즈 홀더의 전단에 탄성체를 장착하여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의 중심과 평행도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도 가공 렌즈가 회전하면서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또, 렌즈 가공시 일정한 품질의 렌즈를 제조 생산할 수 있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
도면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면 3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면 4는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과 렌즈 측부 성형 수단이 제거된 본 발명의 측면도,
도면 5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면 6은 본 발명의 가공 렌즈 센터링 작업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7과 도면 8은 제1 전후 이동 수단과 완충 수단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9는 탄성체의 사시도,
도면 10은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의 결합 사시도,
도면 11은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면 12는 렌즈 측부 성형 수단의 결합 사시도,
도면 13은 렌즈 측부 성형 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면 14는 촬영 수단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15는 제1 렌즈 홀더와 제2 렌즈 홀더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외경 가공 장치는 도면 1 내지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테이블(T)과;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제1 샤프트(1)가 설치된 제1 스핀들 유니트(3); 상기 제1 샤프트(1)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되 단부에 가공 렌즈(L)의 전면이 고정되는 제1 렌즈 홀더(5); 상기 제1 스핀들 유니트(3)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샤프트(1)을 축 회전시켜 상기 제1 렌즈 홀더(5)와 가공 렌즈(L)를 회전시키는 제1 샤프트 회전 수단(7); 상기 제1 렌즈 홀더(5)와 제1 샤프트(1) 중앙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9); 상기 제1 관통홀(9) 입구를 통해 특정 문양의 평행광을 조사하는 평행광 조사 수단(15); 상기 제1 관통홀(9)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렌즈 홀더(5) 단부에 가공 렌즈(L)가 흡착되도록 하는 진공 흡착 수단; 상기 제1 스핀들 유니트(3)와 일렬 배치된 제1 전후 이동 부재(25);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전후 이동 부재(25)를 제1 스핀들 유니트(3)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제1 스핀들 유니트(3) 반대 방향으로 후진시키는 제1 전후 이동 수단(27); 상기 제1 전후 이동 부재(25)에 조립 설치된 제2 스핀들 유니트(29);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에 관통 결합되되 양단이 제2 스핀들 유니트(29)의 바깥으로 노출된 제2 샤프트(31);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샤프트(31)를 회전시키는 제2 샤프트 회전 수단(33); 상기 제1 렌즈 홀더(5)를 마주보는 제2 샤프트(31)의 전단에 고정 설치되고 제2 샤프트(31)를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1 전후 이동 수단(27)이 전진되었을 때 가공 렌즈(L)의 후면과 맞닿는 제2 렌즈 홀더(35); 상기 가공 렌즈(L)를 통과한 평행광이 통과되도록 상기 제2 샤프트(31)와 제2 렌즈 홀더(35)를 관통한 제2 관통홀(37); 상기 가공 렌즈(L)의 측부와 소정 간격 떨어져 설치된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가공 렌즈(L) 방향으로 이동시켜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가 가공 렌즈(L)의 측단을 밀어내도록 하거나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가공 렌즈(L)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13);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조립 설치되되 가공 렌즈(L)와 제2 관통홀(37)을 통과한 후 가공 렌즈(L)의 광축 연장선상에 놓인 특정 문양의 평행광과 제2 관통홀(37)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21); 및 상기 제2 렌즈 홀더(35)가 가공 렌즈(L)의 후면과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샤프트 회전 수단(7)을 제어하여 가공 렌즈(L)를 한 바퀴 회전시키되 소정 단위의 회전 각도마다 상기 촬영 수단(21)을 제어하여 제2 관통홀(37)과 가공 렌즈(L)의 광축 연장선상에 놓인 특정 문양의 평행광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가공 렌즈(L)의 제1 회전각(A)을 검출하며, 제1 전후 이동 부재(25)를 전진시켜 제2 렌즈 홀더(35)가 가공 렌즈(L)의 후면과 맞닿도록 하고, 상기 제1 회전각(A)을 이용하여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을 잇는 연장선과 교차되는 가상 렌즈(L)의 측단이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마주보도록 제1 샤프트 회전 수단(7)과 제2 샤프트 회전 수단(33)을 제어하며,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13)을 제어하여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마주보는 가상 렌즈(L)의 측단이 제1 렌즈 홀더(5)의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 사이의 최대 거리가 설정된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7과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렌즈 홀더(35)의 전단에 압박이 가해졌을 때 상기 제2 렌즈 홀더(35)와 함께 제2 스핀들 유니트(29)를 탄력적으로 후진시키는 완충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완충 수단은 제1 렌즈 홀더(5)와 제2 렌즈 홀더(35)가 가공 렌즈(L)를 탄력적으로 물어잡을 수 있게 하고, 가공 렌즈(L)의 두께에 비해 제1 렌즈 홀더(5)와 제2 렌즈 홀더(35)의 사이 간격이 좁더라도 가공 렌즈(L)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완충 수단은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와 제1 전후 이동 부재(2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가 제1 전후 이동 부재(25)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5 슬라이딩 수단(40)과, 상기 제1 전후 이동 부재(25)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전방 고정 부재(42),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의 본체 전면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44), 상기 제3 관통홀(44)에 끼워지되 전단이 상기 전방 고정 부재(42)에 연결된 스프링(46), 상기 제3 관통홀(44)에 끼워지되 단부가 상기 스프링(46)의 후단과 연결된 스프링 후단 고정 부재(48),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의 몸체 후면에 고정 설치된 후방 고정 부재(50), 및 상기 스프링 후단 고정 부재(48)의 후단을 상기 후방 고정 부재(50)에 연결시키되 스프링 후단 고정 부재(48)와 후방 고정 부재(5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스프링(46)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 조절 수단(52)을 포함한다.
상기 제3 관통홀(44)을 마주보는 상기 전방 고정 부재(42)에는 제4 관통홀(54)이 관통되고, 상기 제4 관통홀(54)에는 제4 관통홀(54)을 제4 관통홀(54)의 지름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스프링 고정바(56)가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46) 전단은 상기 스프링 고정바(56)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력 조절 수단(52)은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후단 고정 부재(48)와 후방 고정 부재(50)에 나사 결합된 볼트(58)로 이루어져 볼트(58)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프링 후단 고정 부재(48)와 후방 고정 부재(50) 사이의 간격이 조정된다.
또한, 상기 제2 렌즈 홀더(35)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탄성체(41)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체(41)는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 렌즈(L)와 제2 관통홀(37) 간의 센터링 작업시 가공 렌즈(L)의 전후면을 제1 렌즈 홀더(5)와 제2 렌즈 홀더(35)로 눌러주었을 때 제1 스핀들 유니트(3)에 장착된 제1 샤프트(1)와, 제2 스핀들 유니트(29)에 장착된 제2 샤프트(31) 간에 동심이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자유도가 생기도록 하고, 가공 렌즈(L)의 외경 가공시 가공 렌즈(L)의 광축이 제1 샤프트(1) 또는 제2 샤프트(31)의 중심에서 벗어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가공 렌즈(L)의 일면과 마주 접하는 제2 렌즈 홀더(35)의 단부를 별도 가공하지 않고도 탄성체(41)가 가공 렌즈(L)의 후면에 탄력적으로 맞닿게 되어 제1 샤프트(1)와 제2 샤프트(31)의 회전 시 가공 렌즈(L)의 광축이 일정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체(41)는 고무 또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다.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13)은 도면 10과 도면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의 측부와 이격 설치된 제1 좌우 이동 부재(43)와,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좌우 이동 부재(43)를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방향 또는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1 좌우 이동 부재 좌우 이동 수단(45), 상기 제1 좌우 이동 부재(43)에 고정 설치되되 제3 샤프트가 갖추어진 제3 스핀들 유니트(49), 상기 제3 샤프트를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시키는 제3 샤프트 회전 수단(51), 및 상기 제3 스핀들 유니트(49)와 제1 좌우 이동 부재(43) 사이에 설치되어 제3 스핀들 유니트(49)를 제1 좌우 이동 부재(43)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3 스핀들 유니트 전후 이동 수단(53)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는 제3 샤프트의 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 좌우 이동 부재 좌우 이동 수단(45)은 도면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좌우 이동 부재(43)와 작업 테이블(T)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좌우 이동 부재(43)가 작업 테이블(T)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방향이나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되도록 하는 제1 슬라이딩 수단(55)과, 상기 제1 좌우 이동 부재(43)와 작업 테이블(T) 사이에 설치되고 제1 좌우 이동 부재(43)를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방향이나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선형 이동 수단(57)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슬라이딩 수단(55)은 도면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좌우 이동 부재(43)의 밑면에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설치된 2개 이상의 제1 LM(Linear Motion) 블럭(59)과, 상기 제1 LM 블럭(59)을 마주보는 작업 테이블(T)의 상면에 조립 설치되되 제1 LM 블럭(59)이 레일 결합되는 2개 이상의 제1 LM(Linear Motion) 레일(61)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스핀들 유니트 전후 이동 수단(53)은 도면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스핀들 유니트(49)를 제1 좌우 이동 부재(43)에 연결시키되 상기 제3 스핀들 유니트(49)가 상기 제1 좌우 이동 부재(43)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되도록 하는 제2 슬라이딩 수단(83)과, 상기 제3 스핀들 유니트(49)와 제1 좌우 이동 부재(43)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3 스핀들 유니트(49)를 제1 좌우 이동 부재(43)의 전후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는 제2 선형 이동 수단(65)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슬라이딩 수단(83)은 도면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롤러 가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를 사이에 두고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와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13)을 마주보는 작업 테이블(T)에는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 렌즈(L)의 측부를 성형하는 렌즈 측부 성형 수단(67)이 장착된다.
상기 렌즈 측부 성형 수단(67)은 도면 12와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의 측부와 이격 설치된 제2 좌우 이동 부재(69)와,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좌우 이동 부재(69)를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방향 또는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2 좌우 이동 부재 좌우 이동 수단(71), 상기 제2 좌우 이동 부재(69)에 고정 설치되되 제4 샤프트가 갖추어진 제4 스핀들 유니트(75), 상기 제4 샤프트의 전단에 고정 설치되어 가공 렌즈(L)의 측부를 성형하는 가공 렌즈 성형 수단(77), 상기 제4 샤프트를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시키는 제4 샤프트 회전 수단(79), 및 상기 제4 스핀들 유니트(75)와 제2 좌우 이동 부재(69) 사이에 설치되어 제4 스핀들 유니트(75)를 제2 좌우 이동 부재(69)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4 스핀들 유니트 전후 이동 수단(81)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좌우 이동 부재 좌우 이동 수단(71)은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좌우 이동 부재(69)와 작업 테이블(T)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좌우 이동 부재(69)가 작업 테이블(T)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방향이나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되도록 하는 제3 슬라이딩 수단(711)과, 상기 제2 좌우 이동 부재(69)와 작업 테이블(T) 사이에 설치되고 제2 좌우 이동 부재(69)를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방향이나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선형 이동 수단(712)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슬라이딩 수단(711)은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좌우 이동 부재(69)의 밑면에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설치된 2개 이상의 제2 LM(Linear Motion) 블럭(87)과, 상기 제2 LM 블럭(87)을 마주보는 작업 테이블(T)의 상면에 조립 설치되되 제2 LM 블럭(87)이 레일 결합되는 2개 이상의 제2 LM(Linear Motion) 레일(89)을 포함한다.
상기 제4 스핀들 유니트 전후 이동 수단(81)은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4 스핀들 유니트(75)를 제2 좌우 이동 부재(69)에 연결시키되 상기 제4 스핀들 유니트(75)가 상기 제2 좌우 이동 부재(69)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되도록 하는 제4 슬라이딩 수단(811)과, 상기 제4 스핀들 유니트(75)와 제2 좌우 이동 부재(69)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4 스핀들 유니트(75)를 제2 좌우 이동 부재(69)의 전후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는 제4 선형 이동 수단(812)을 포함한다.
상기 제4 슬라이딩 수단(811)은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롤러 가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수단(21)은 도면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상기 제2 관통홀(37)을 마주보게 설치된 촬영 수단측 렌즈부(19)와, 상기 촬영 수단측 렌즈부(19)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광학상을 반사경(RM)을 이용하여 카메라(107) 렌즈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103)과,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상기 반사 수단(103)의 출구와 일렬 배치된 카메라 설치 부재(105), 및 상기 카메라 설치 부재(105)에 장착되고 상기 반사경(RM)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의 광학상이 결상되는 CCD(Charge Coupled Device)를 통해 피사체의 광학상을 영상 신호로 광전 변환시키는 카메라(107)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 수단측 렌즈부(19)를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관통홀(37)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반사 수단(103) 방향으로 후진시켜 촬영 수단(21)의 초점과 초점 거리를 조정하는 촬영 수단측 렌즈부 이동 수단(9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촬영 수단측 렌즈부 이동 수단(95)은 도면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촬영 수단측 렌즈부(19)를 작업 테이블(T)에 결합시키되 촬영 수단측 렌즈부(19)의 직선 운동시 촬영 수단측 렌즈부(19)를 슬라이딩(Sliding)시키는 제6 슬라이딩 수단(951)과, 상기 촬영 수단측 렌즈부(19)를 제2 관통홀(37)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반사 수단(103) 방향으로 후진시키는 제5 선형 이동 수단(952)을 포함한다.
상기 제6 슬라이딩 수단(951)은 도면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LM(Linear Motion) 가이드를 이용한다.
상기 촬영 수단(21)은 도면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107)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107)를 작업 테이블(T)의 가로 방향이나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Y축 이동 수단(111)과, 상기 XY축 이동 수단(111)과 카메라 설치 부재(10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XY축 이동 수단(111)과 카메라(107)를 작업 테이블(T)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 이동 수단(109)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공 렌즈(L)와 맞닿는 상기 제1 렌즈 홀더(5)의 접촉면(CS1)은 원호 형태로 가공되어 양면이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 렌즈나, 양면이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 렌즈와 밀접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 렌즈(L)와 맞닿는 상기 제2 렌즈 홀더(35)의 접촉면(CS2)에는 도면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공 렌즈(L)와 마주 접하는 탄성체(41)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외경 가공 장치는 렌즈 외경 가공시 렌즈 중앙과 렌즈 광축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범주안으로 들어오도록 하여 불량률을 낮출 수 있고, 렌즈의 생산성 또한 높일 수 있다.
T. 작업 테이블 L. 가공 렌즈
1. 제1 샤프트 3. 제1 스핀들 유니트
5. 제1 렌즈 홀더 7. 제1 샤프트 회전 수단
9. 제1 관통홀 11. 렌즈 측부 푸쉬 부재
13.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 15. 평행광 조사 수단
19. 촬영 수단측 렌즈부 21. 촬영 수단
25. 제1 전후 이동 부재 27. 제1 전후 이동 수단
29. 제2 스핀들 유니트 31. 제2 샤프트
33. 제2 샤프트 회전 수단 35. 제2 렌즈 홀더
37. 제2 관통홀 46. 스프링
40. 제5 슬라이딩 수단 41. 탄성체
42. 전방 고정 부재 43. 제1 좌우 이동 부재
45. 제1 좌우 이동 부재 좌우 이동 수단 44. 제3 관통홀
48. 스프링 후단 고정 부재 49. 제3 스핀들 유니트
50. 후방 고정 부재 51. 제3 샤프트 회전 수단
53. 제3 스핀들 유니트 전후 이동 수단 52. 탄성력 조절 수단
54. 제4 관통홀 55. 제1 슬라이딩 수단
56. 스프링 고정바 57. 제1 선형 이동 수단
59. 제1 LM 블럭 61. 제1 LM 레일
65. 제2 선형 이동 수단 67. 렌즈 측부 성형 수단
69. 제2 좌우 이동 부재 79. 제4 샤프트 회전 수단
71. 제2 좌우 이동 부재 좌우 이동 수단 711. 제3 슬라이딩 수단
712. 제3 선형 이동 수단
75. 제4 스핀들 유니트 77. 가공 렌즈 성형 수단
81. 제4 스핀들 유니트 전후 이동 수단 811. 제4 슬라이딩 수단
812. 제4 선형 이동 수단 83. 제2 슬라이딩 수단
87. 제2 LM 블럭
95. 촬영 수단측 렌즈부 이동 수단 89. 제2 LM 레일
951. 제6 슬라이딩 수단 952. 제5 선형 이동 수단
103. 반사 수단 105. 카메라 설치 부재
107. 카메라 109. Z축 이동 수단
111. XY축 이동 수단

Claims (11)

  1. 작업 테이블(T)과;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제1 샤프트(1)가 설치된 제1 스핀들 유니트(3);
    상기 제1 샤프트(1)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되 단부에 가공 렌즈(L)의 전면이 고정되는 제1 렌즈 홀더(5);
    상기 제1 스핀들 유니트(3)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샤프트(1)을 축 회전시켜 상기 제1 렌즈 홀더(5)와 가공 렌즈(L)를 회전시키는 제1 샤프트 회전 수단(7);
    상기 제1 렌즈 홀더(5)와 제1 샤프트(1) 중앙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9);
    상기 제1 관통홀(9) 입구를 통해 특정 문양의 평행광을 조사하는 평행광 조사 수단(15);
    상기 제1 관통홀(9)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렌즈 홀더(5) 단부에 가공 렌즈(L)가 흡착되도록 하는 진공 흡착 수단;
    상기 제1 스핀들 유니트(3)와 일렬 배치된 제1 전후 이동 부재(25);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전후 이동 부재(25)를 제1 스핀들 유니트(3)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제1 스핀들 유니트(3) 반대 방향으로 후진시키는 제1 전후 이동 수단(27);
    상기 제1 전후 이동 부재(25)에 조립 설치된 제2 스핀들 유니트(29);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에 관통 결합되되 양단이 제2 스핀들 유니트(29)의 바깥으로 노출된 제2 샤프트(31);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샤프트(31)를 회전시키는 제2 샤프트 회전 수단(33);
    상기 제1 렌즈 홀더(5)를 마주보는 제2 샤프트(31)의 전단에 고정 설치되고 제2 샤프트(31)를 따라 회전되며 상기 제1 전후 이동 수단(27)이 전진되었을 때 가공 렌즈(L)의 후면과 맞닿는 제2 렌즈 홀더(35);
    상기 가공 렌즈(L)를 통과한 평행광이 통과되도록 상기 제2 샤프트(31)와 제2 렌즈 홀더(35)를 관통한 제2 관통홀(37);
    상기 가공 렌즈(L)의 측부와 소정 간격 떨어져 설치된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가공 렌즈(L) 방향으로 이동시켜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가 가공 렌즈(L)의 측단을 밀어내도록 하거나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가공 렌즈(L)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13);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조립 설치되되 가공 렌즈(L)와 제2 관통홀(37)을 통과한 후 가공 렌즈(L)의 광축 연장선상에 놓인 특정 문양의 평행광과 제2 관통홀(37)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21);
    및 상기 제2 렌즈 홀더(35)가 가공 렌즈(L)의 후면과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샤프트 회전 수단(7)을 제어하여 가공 렌즈(L)를 한 바퀴 회전시키되 소정 단위의 회전 각도마다 상기 촬영 수단(21)을 제어하여 제2 관통홀(37)과 가공 렌즈(L)의 광축 연장선상에 놓인 특정 문양의 평행광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가공 렌즈(L)의 제1 회전각(A)을 검출하며, 제1 전후 이동 부재(25)를 전진시켜 제2 렌즈 홀더(35)가 가공 렌즈(L)의 후면과 맞닿도록 하고, 상기 제1 회전각(A)을 이용하여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을 잇는 연장선과 교차되는 가상 렌즈(L)의 측단이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마주보도록 제1 샤프트 회전 수단(7)과 제2 샤프트 회전 수단(33)을 제어하며,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13)을 제어하여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를 마주보는 가상 렌즈(L)의 측단이 제1 렌즈 홀더(5)의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관통홀(37)의 중심점과 특정 문양의 평행광 중심점 사이의 최대 거리가 설정된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13)은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의 측부와 이격 설치된 제1 좌우 이동 부재(43)와,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좌우 이동 부재(43)를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방향 또는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1 좌우 이동 부재 좌우 이동 수단(45),
    상기 제1 좌우 이동 부재(43)에 고정 설치되되 제3 샤프트가 갖추어진 제3 스핀들 유니트(49),
    상기 제3 샤프트를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시키는 제3 샤프트 회전 수단(51),
    및 상기 제3 스핀들 유니트(49)와 제1 좌우 이동 부재(43) 사이에 설치되어 제3 스핀들 유니트(49)를 제1 좌우 이동 부재(43)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3 스핀들 유니트 전후 이동 수단(53)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는 제3 샤프트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외경 가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 홀더(35)의 전단에 압박이 가해졌을 때 상기 제2 렌즈 홀더(35)와 함께 제2 스핀들 유니트(29)를 탄력적으로 후진시키는 완충 수단을 더 포함하는 렌즈 외경 가공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수단은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와 제1 전후 이동 부재(2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가 제1 전후 이동 부재(25)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5 슬라이딩 수단(40)과,
    상기 제1 전후 이동 부재(25)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전방 고정 부재(42),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의 본체 전면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44),
    상기 제3 관통홀(44)에 끼워지되 전단이 상기 전방 고정 부재(42)에 연결된 스프링(46),
    상기 제3 관통홀(44)에 끼워지되 단부가 상기 스프링(46)의 후단과 연결된 스프링 후단 고정 부재(48),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의 몸체 후면에 고정 설치된 후방 고정 부재(50),
    및 상기 스프링 후단 고정 부재(48)의 후단을 상기 후방 고정 부재(50)에 연결시키되 스프링 후단 고정 부재(48)와 후방 고정 부재(5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스프링(46)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 조절 수단(52)을 포함하는 렌즈 외경 가공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 홀더(35)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탄성체(41)가 장착되고,
    상기 탄성체(41)는 고무 또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외경 가공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를 사이에 두고 상기 렌즈 측부 푸쉬 부재(11)와 렌즈 측부 푸쉬 부재 이동 수단(13)을 마주보는 작업 테이블(T)에는 가공 렌즈(L)의 측부를 성형하는 렌즈 측부 성형 수단(67)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외경 가공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측부 성형 수단(67)은 상기 제2 스핀들 유니트(29)의 측부와 이격 설치된 제2 좌우 이동 부재(69)와,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좌우 이동 부재(69)를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방향 또는 제2 스핀들 유니트(29)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2 좌우 이동 부재 좌우 이동 수단(71),
    상기 제2 좌우 이동 부재(69)에 고정 설치되되 제4 샤프트가 갖추어진 제4 스핀들 유니트(75),
    상기 제4 샤프트의 전단에 고정 설치되어 가공 렌즈(L)의 측부를 성형하는 가공 렌즈 성형 수단(77),
    상기 제4 샤프트를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시키는 제4 샤프트 회전 수단(79),
    및 상기 제4 스핀들 유니트(75)와 제2 좌우 이동 부재(69) 사이에 설치되어 제4 스핀들 유니트(75)를 제2 좌우 이동 부재(69)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4 스핀들 유니트 전후 이동 수단(81)을 포함하는 렌즈 외경 가공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21)은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상기 제2 관통홀(37)을 마주보게 설치된 촬영 수단측 렌즈부(19)와,
    상기 촬영 수단측 렌즈부(19)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광학상을 반사경(RM)을 이용하여 카메라(107) 렌즈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103),
    상기 작업 테이블(T)에 설치되되 상기 반사 수단(103)의 출구와 일렬 배치된 카메라 설치 부재(105),
    및 상기 카메라 설치 부재(105)에 장착되고 상기 반사경(RM)을 통해 반사된 피사체의 광학상이 결상되는 CCD(Charge Coupled Device)를 통해 피사체의 광학상을 영상 신호로 광전 변환시키는 카메라(107)를 포함하는 렌즈 외경 가공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측 렌즈부(19)를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관통홀(37)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반사 수단(103) 방향으로 후진시켜 촬영 수단(21)의 초점과 초점 거리를 조정하는 촬영 수단측 렌즈부 이동 수단(95)을 더 포함하는 렌즈 외경 가공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07)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107)를 작업 테이블(T)의 가로 방향이나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Y축 이동 수단(111)과,
    상기 XY축 이동 수단(111)과 카메라 설치 부재(10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XY축 이동 수단(111)과 카메라(107)를 작업 테이블(T)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 이동 수단(109)을 더 포함하는 렌즈 외경 가공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렌즈(L)와 맞닿는 상기 제1 렌즈 홀더(5)의 접촉면(CS1)은 원호 형태로 가공되고,
    상기 가공 렌즈(L)와 맞닿는 상기 제2 렌즈 홀더(35)의 접촉면(CS2)에는 상기 가공 렌즈(L)와 마주 접하는 탄성체(41)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외경 가공 장치.
KR1020230013843A 2023-02-01 2023-02-01 렌즈 외경 가공 장치 KR102584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3843A KR102584043B1 (ko) 2023-02-01 2023-02-01 렌즈 외경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3843A KR102584043B1 (ko) 2023-02-01 2023-02-01 렌즈 외경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043B1 true KR102584043B1 (ko) 2023-10-05

Family

ID=8829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3843A KR102584043B1 (ko) 2023-02-01 2023-02-01 렌즈 외경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0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9292A (ja) * 2001-07-23 2003-02-12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の心取り装置
KR20090084716A (ko) * 2008-02-01 2009-08-05 유겐가이샤 코지마 엔지니어링 렌즈가공장치
KR20130047610A (ko) * 2011-10-28 2013-05-08 나카무라 토메 세이미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심취기의 심출 방법 및 장치
KR102326725B1 (ko) 2020-06-25 2021-11-16 주식회사 단단광학 편심조절과 제동기능을 겸비하는 벨트방식 광학계 연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9292A (ja) * 2001-07-23 2003-02-12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の心取り装置
KR20090084716A (ko) * 2008-02-01 2009-08-05 유겐가이샤 코지마 엔지니어링 렌즈가공장치
KR20130047610A (ko) * 2011-10-28 2013-05-08 나카무라 토메 세이미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심취기의 심출 방법 및 장치
KR102326725B1 (ko) 2020-06-25 2021-11-16 주식회사 단단광학 편심조절과 제동기능을 겸비하는 벨트방식 광학계 연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59982A (zh) 研磨机
KR102584043B1 (ko) 렌즈 외경 가공 장치
JP2837541B2 (ja) レーザ材料加工装置用の偏向鏡ハウジング及び光線分離フィルター
CN111633510A (zh) 一种用于透镜抛光检测夹持设备
JP4370064B2 (ja) レンズの心取り装置
CN211662371U (zh) 一种双凸透镜切割装置
CN215942404U (zh) 一种复合式定心磨边机
KR102588804B1 (ko) 렌즈 하우징 가공 장치
CN218746593U (zh) 一种空心轴承表面打磨组件
CN116297540A (zh) 检测设备
CN113953927A (zh) 一种用于双边磨边机的伺服追踪式玻璃安全角加工装置
US6855042B1 (en) Retaining device for a block or suction element
CN113172535B (zh) 一种抛光机
KR20160091647A (ko) 렌즈 센터링장치
WO2021181631A1 (ja) ガイドレール研削装置、ガイドレールの研削方法、およびガイドレール研削装置の調整方法
CN117641082B (zh) 车载摄像头aa自动调芯设备
CN216265089U (zh) 一种用于双边磨边机的伺服追踪式玻璃安全角加工装置
JPS58114851A (ja) レンズ芯取機
CN117641082A (zh) 车载摄像头aa自动调芯设备
US3212370A (en) Apparatus for forming a surface of predetermined cross-section
US8550883B2 (en) Abrasion apparatus
JPS5823059A (ja) 複写機の倍率変換装置
CN218272883U (zh) 一种激光反射镜装置
CN218427432U (zh) 一种双凸透镜外壳去毛边装置
CN213616026U (zh) 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