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919B1 - 전기 버스 충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버스 충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919B1
KR102582919B1 KR1020210059052A KR20210059052A KR102582919B1 KR 102582919 B1 KR102582919 B1 KR 102582919B1 KR 1020210059052 A KR1020210059052 A KR 1020210059052A KR 20210059052 A KR20210059052 A KR 20210059052A KR 102582919 B1 KR102582919 B1 KR 102582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bus
parking
control unit
charg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458A (ko
Inventor
김철수
김황근
이재석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59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919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4Panto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7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e.g.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8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버스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충전 스테이션의 지정된 주차 구획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바퀴의 위치와 각도를 검출하는 차량 바퀴 감지부;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정보 출력부; 및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 버스의 지붕에 설치된 버스 컨택트 단자에 접촉하여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팬터그래프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버스 충전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HARGING ELECTRIC B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버스 충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고지의 충전 스테이션에 병렬 주차되는 복수의 전기 버스를, 주차 안내를 통해 운전자가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각도로 정확하게 주차시킬 수 있게 하여, 팬터그래프(Pantograph) 방식으로 자동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버스 충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자동차의 개발이 확대되면서 전기 버스의 충전 방식으로 팬터그래프 방식의 충전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팬터그래프 방식은 버스의 지붕에 설치되는 컨택트 단자(즉, 전기 버스측 양극 단자, 음극 단자)와 충전 장치의 팬터그래프에 설치되는 충전 단자(즉, 팬터그래프측 양극 단자, 음극 단자)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충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철도에서 열차에 사용되는 팬터그래프는 열차가 레일 위를 주행하기 때문에 팬터그래프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으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그러나 버스는 레일 위를 주행하는 것이 아니라 도로를 자유롭게 주행하면서 주차하기 때문에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버스에 팬터그래프 방식으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버스의 주차 위치나 주차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버스의 주차 위치나 주차 각도에 대응하여 팬터그래프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버스의 주차 위치나 주차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버스의 주차 위치나 주차 각도에 대응하여 팬터그래프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팬터그래프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작 단가가 상승하며, 또한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할 요소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팬터그래프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전기 버스에 안정적으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기 버스가 지정된 주차 위치에 지정된 주차 각도로 정확하게 주차가 이루어지면 되므로, 버스 주차 시 주차 안내를 통해 운전자가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각도로 정확하게 주차시킬 수 있게 하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66145호(2012.07.10. 등록, 스마트 정거장 분산 충전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차고지의 충전 스테이션에 병렬 주차되는 복수의 전기 버스를, 주차 안내를 통해 운전자가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각도로 정확하게 주차시킬 수 있게 하여, 팬터그래프(Pantograph) 방식으로 자동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버스 충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 버스 충전 장치는, 충전 스테이션의 지정된 주차 구획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바퀴의 위치와 각도를 검출하는 차량 바퀴 감지부;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정보 출력부; 및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 버스의 지붕에 설치된 버스 컨택트 단자에 접촉하여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팬터그래프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바닥에 복수의 주차 구획이 도시되며, 상기 주차 구획을 표시하는 구획선의 일 측 상부에 설치되되, 전륜 바퀴의 측면 중 고무 재질로 형성된 부분을 감지할 수 있는 높이로 제한되며, 상기 구획선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는, 별도의 지지대를 통해 전기 버스의 전방 상부에 각 차로별로 설치되게 구현되거나, 각 차로의 전방 바닥에 매설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게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전진, 후진, 좌로 이동, 우로 이동, 및 정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안내를 표시하며, 상기 정보들의 표시를 위해 화살표 이미지와 텍스트를 조합하며, 부가적으로 이동해야 할 거리 정보와 각도 정보를 추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송부를 통해 충전 스테이션에 설치된 지지대 및 이송레일을 따라 상기 팬터그래프 충전부를 목적지로 이송시키며, 이송을 통해 상기 팬터그래프 충전부가 목적지에 도착할 경우, 상기 팬터그래프 충전부의 충전 단자부를 하강시켜 상기 전기 버스의 지붕에 설치된 상기 버스 컨택트 단자에 접촉시켜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팬터그래프 충전부의 이송을 위하여 목적지를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충전 스테이션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를 촬영하여 상기 전기 버스의 종류나 크기를 판단하여, 상기 전기 버스의 종류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 포함된 센서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는, 중심에 설치되는 센서를 기준으로 양 측의 센서를 이동시켜 센서간 이격 거리를 조정하기 위하여, 전동 모터와 이 전동 모터의 회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기구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 중 차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설치된 센서(D3, D2)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바퀴 측면이 감지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에서도 바퀴 측면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기 버스가 정위치에 주차되기 전에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전방으로 더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에서 감지된 거리가 동일하더라도, 만약 상기 감지된 거리가 미리 지정된 거리(Dth)를 오차 범위 이상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고, 반대로 상기 감지된 거리가 미리 지정된 거리(Dth)보다 오차 범위 이상 가까울 경우에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에서 모두 바퀴 측면을 감지한 다음, 상기 복수의 센서(D1 ~ D3) 중 차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설치된 센서(D1, D2)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바퀴 측면이 감지되면, 상기 전기 버스가 정위치를 넘어서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버스가 우측 방향으로 치우쳐 주차될 경우,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좌측으로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고, 상기 전기 버스가 어느 일 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바르게 주차될 경우,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정위치에 지정된 각도로 정확하게 주차되었음을 안내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며, 상기 전기 버스가 좌측 방향으로 치우쳐 주차될 경우,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우측으로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버스 충전 방법은, 제어부가 충전 스테이션에 전기 버스가 진입하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차량 바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정상 상태(OK)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팬터그래프 충전부를 목적지인 충전 전원을 인가할 전기 버스의 상부로 이송시켜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전기 버스가 진입하는지 여부는, 상기 제어부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버스가 충전 스테이션에 진입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종류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판단한 전기 버스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차량 바퀴 감지부에 설치된 센서들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 중 차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설치된 센서(D3, D2)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바퀴 측면이 감지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에서도 바퀴 측면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기 버스가 정위치에 주차되기 전에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전방으로 더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에서 감지된 거리가 동일하더라도, 만약 상기 감지된 거리가 미리 지정된 거리(Dth)를 오차 범위 이상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고, 반대로 상기 감지된 거리가 미리 지정된 거리(Dth)보다 오차 범위 이상 가까울 경우에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에서 모두 바퀴 측면을 감지한 다음, 상기 복수의 센서(D1 ~ D3) 중 차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설치된 센서(D1, D2)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바퀴 측면이 감지되면, 상기 전기 버스가 정위치를 넘어서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버스가 우측 방향으로 치우쳐 주차될 경우,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좌측으로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고, 상기 전기 버스가 어느 일 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바르게 주차될 경우,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정위치에 지정된 각도로 정확하게 주차되었음을 안내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며, 상기 전기 버스가 좌측 방향으로 치우쳐 주차될 경우,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우측으로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고지의 충전 스테이션에 병렬 주차되는 복수의 전기 버스를, 주차 안내를 통해 운전자가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각도로 정확하게 주차시킬 수 있게 하여, 팬터그래프(Pantograph) 방식으로 자동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버스 충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버스 충전 장치가 설치된 충전 스테이션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팬터그래프 충전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주차 구획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주차 구획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위치를 감지하여 주차 안내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주차 구획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주차 각도를 감지하여 주차 안내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버스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버스 충전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버스 충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버스 충전 장치가 설치된 충전 스테이션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팬터그래프 충전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버스 충전 장치(100)는, 차량 바퀴 감지부(110), 제어부(120), 안내정보 출력부(130), 및 팬터그래프 충전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팬터그래프 충전부(140)는 전기 버스(210)의 지붕에 설치된 버스 컨택트 단자(220)에 접촉하여 충전 전원을 인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버스 충전 장치(100)가 설치된 충전 스테이션은, 복수의 전기 버스(210)가 병렬 주차될 수 있는 차고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바닥에는 복수의 주차 구획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주차 구획은 일반 도로의 차로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거나, 좀 더 안정적인 주차를 위하여 일반 도로의 차로 폭보다 더 넓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구획(또는 주차 영역)을 표시하는 구획선(즉, 주차 영역의 구획을 표시하는 선)은 일반 차로를 구분하기 위하여 도시되는 차선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선 일 측(예 : 주차되는 전기 버스의 일 측 바퀴의 측면) 상부에는 바퀴의 위치와 각도를 감지(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D1 ~ D3)가 포함된 차량 바퀴 감지부(110)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는 전기 버스의 전륜 일 측(예 : 전기 버스의 우측 전륜) 바퀴의 측면 중 고무 재질로 형성된 부분을 감지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며, 구획선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두께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가 높게 설치되어 바퀴의 림 부분을 감지하게 할 경우, 상기 바퀴의 림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기 때문에 거리(바퀴의 측면 거리)가 정확하게 감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전기 버스(210)가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에 충돌하더라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기 위한 목적이 있다.
참고로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를 통해 바퀴의 위치와 각도를 감지하는 이유는, 상기 전기 버스 충전 장치(100)의 팬터그래프 충전부(140)로부터 충전 전원을 인가받기 위하여 상기 전기 버스(210)에 설치되는 버스 컨택트 단자(220)는, 전기 버스의 전륜 두 바퀴의 중심을 가상의 라인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전기 버스 지붕의 중심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전기 버스 충전 장치(100)의 안내정보 출력부(130)는, 운전자가 전기 버스(210)를 주차 구획 내의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각도로 정확하게 주차시킬 수 있게 하는 주차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별도의 지지대를 통해 전기 버스(210)의 전방 상부에 복수(즉, 각 차로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 차로의 바닥에 매설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130)를 통해, 전진, 후진, 좌로 이동, 우로 이동, 및 정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안내를 표시할 수 있으며(도 5 참조), 상기 정보들의 표시를 위해 화살표 이미지와 텍스트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이동해야 할 거리 정보와 각도 정보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팬터그래프 충전부(140)는 이송부(141)와 충전 단자부(142)를 포함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이송부(141)를 통해 충전 스테이션에 설치된 지지대 및 이송레일을 따라 상기 팬터그래프 충전부(140)를 이동(이송)시키며, 이동(이송)을 통해 상기 팬터그래프 충전부(140)가 목적지(예 : 충전 전원을 인가할 전기 버스의 상부)에 도착할 경우, 상기 충전 단자부(142)를 하강시켜 상기 전기 버스(210)의 지붕에 설치된 상기 버스 컨택트 단자(220)에 접촉시키고, 전기 버스(210)의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 단자부(142)를 상승시킨다.
이 때 상기 팬터그래프 충전부(140)를 목적지에 정확하게 이동(이송)시키기 위하여 카메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충전 스테이션의 지정된 주차 구획에 주차된 전기 버스(210)의 상부로 상기 팬터그래프 충전부(140)를 이동(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충전 스테이션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210)를 촬영하고, 상기 전기 버스(210)의 종류(즉, 크기)를 판단한다. 왜냐하면 버스의 종류(즉, 크기, 길이)에 따라 폭도 다르고 사용(장착)되는 타이어의 크기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승용차도 경형, 소형, 준중형, 중형, 준대형, 준중대형, 대형 등 차급이 세분화되어 있듯이, 버스도 공식적이진 않지만, 소형, 중형, 대형 등의 차급이 있다. 예컨대 소형 버스는 일명 마이크로버스 또는 25인승 버스라고도 하며, 중형 버스는 보통 9m 급 버스 또는 35인승 버스라고도 하고, 대형 버스는 보통 11m 급 버스 또는 45인승 버스라고도 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충전 스테이션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210)의 종류(즉, 크기)에 따라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에 설치되는 센서(D1 ~ D3)간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는 중심에 설치되는 센서(D2)를 기준으로 양 측의 센서(D1, D3)를 전동 모터(미도시)와 이 전동 모터(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기구물(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 버스(210)의 주차 상태(즉,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를 판단하여,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130)를 통해 주차 안내(즉, 정위치 주차를 위한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안내)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주차 구획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주차 구획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위치를 감지하여 주차 안내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주차 구획에 전기 버스(210)가 진입하면,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를 통해 상기 전기 버스(210)의 전륜 일 측(예 : 전기 버스의 우측 전륜) 바퀴의 측면(즉, 고무 재질로 형성된 부분)을 감지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에서 바퀴 측면이 모두 감지되면, 전기 버스(210)가 정위치(지정된 위치)에 주차된 것으로 판단한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 중 차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설치된 센서(D3, D2)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바퀴 측면이 감지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에서도 바퀴 측면이 감지되지 않으면(도 5의 (a),(b),(c) 참조), 전기 버스(210)가 정위치(지정된 위치)에 주차되기 전에 정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전기 버스(210)가 정위치(지정된 위치)에 주차되기 전에 정지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도 5의 (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130)를 통해 전방으로 더 이동(주행)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한다.
도 4의 (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에서 바퀴 측면이 모두 감지되면(도 5의 (d) 참조), 전기 버스(210)가 정위치(지정된 위치)에 주차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전기 버스(210)가 정위치(지정된 위치)에 주차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130)를 통해 정위치(지정된 위치)에 주차 되었다는 주차 안내를 출력한다.
다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에서 감지된 거리가 동일하더라도, 만약 상기 감지된 거리가 미리 지정된 거리(Dth)를 오차 범위 이상 초과할 경우에는 좌로 이동(즉, 차량 바퀴 감지부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고, 반대로 상기 감지된 거리가 미리 지정된 거리(Dth)보다 오차 범위 이상 가까울 경우에는 우로 이동(즉, 차량 바퀴 감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주차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e)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에서 모두 바퀴 측면을 감지한 다음, 상기 복수의 센서(D1 ~ D3) 중 차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설치된 센서(D1, D2)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바퀴 측면이 감지되면(도 5의 (e) 참조), 전기 버스(210)가 정위치(지정된 위치)를 넘어서 정지(주차)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전기 버스(210)가 정위치(지정된 위치)를 넘어서 주차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130)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주행)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한다.
도 6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주차 구획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주차 각도를 감지하여 주차 안내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전기 버스(210)가 우측 방향으로 치우쳐 주차될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130)를 통해 좌측으로 이동(주행)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전기 버스(210)가 어느 일 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바르게 주차될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130)를 통해 정위치(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각도로 정확하게 주차되었음을 안내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한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전기 버스(210)가 좌측 방향으로 치우쳐 주차될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130)를 통해 우측으로 이동(주행)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한다.
참고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에서 차량 바퀴까지 측정된 거리를 바탕으로 전기 버스(210)가 주차된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에서 차량 바퀴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하여, 운전자는 충전 스테이션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210)의 스티어링 휠을 조정하여 전륜 양 바퀴가 11자 형태로 진입하게 하거나, 주차 시 11자 형태가 되도록 스티어링 휠을 조정해야 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버스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충전 스테이션에 전기 버스(210)가 진입하는지 감지(검출)한다(S101).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전기 버스(210)가 진입하는지 여부는, 상기 제어부(120)가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기 버스(210)가 충전 스테이션에 진입할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진입하는 전기 버스(210)의 종류(즉, 크기)를 판단한다(S102).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판단한 전기 버스(210)의 종류에 따라, 차량 바퀴 감지부(110)에 설치된 센서들(D1 ~ D3)의 이격 거리를 조절한다(S103).
예컨대 전기 버스(210)의 종류(즉, 크기)에 따라 장착된 바퀴의 크기도 다르기 때문에 만약 바퀴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에 설치된 센서들(D1 ~ D3)의 이격 거리를 조절해 주지 않을 경우,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의 정확한 측정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충전 스테이션에 진입한 전기 버스(210)의 종류(즉,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에 설치된 센서들(D1 ~ D3)의 이격 거리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 버스(210)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한다(S104).
이에 따라 상기 전기 버스(210)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S104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20)는 안내정보 출력부(130)를 통해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주차 안내를 출력한다(S105).
반면에 상기 전기 버스(210)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 경우(S104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안내정보 출력부(130)를 통해 정상 상태(OK) 주차 안내를 출력한다(S106).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팬터그래프 충전부(140)를 목적지(예 : 충전 전원을 인가할 전기 버스의 상부)로 이동(이송)시켜 충전 전원을 인가한다(S107).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팬터그래프 충전부(140)가 목적지에 도착할 경우, 충전 단자부(142)를 하강시켜 상기 전기 버스(210)의 지붕에 설치된 상기 버스 컨택트 단자(220)에 접촉시킨 후 충전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전기 버스(210)의 충전이 완료될 경우 상기 충전 단자부(142)를 상승시켜 충전 전원의 인가를 종료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차고지의 충전 스테이션에 병렬 주차되는 복수의 전기 버스를, 주차 안내를 통해 운전자가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각도로 정확하게 주차시킬 수 있게 하여, 팬터그래프(Pantograph) 방식으로 자동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00 : 전기 버스 충전 장치 110 : 차량 바퀴 감지부
120 : 제어부 130 : 안내정보 출력부
140 : 팬터그래프 충전부 141 : 이송부
142 : 충전 단자부 210 : 전기 버스
220 : 버스 컨택트 단자

Claims (18)

  1. 충전 스테이션의 지정된 주차 구획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바퀴의 위치와 각도를 검출하는 차량 바퀴 감지부;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정보 출력부; 및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 버스의 지붕에 설치된 버스 컨택트 단자에 접촉하여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팬터그래프 충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 중 차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설치된 센서(D3, D2)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바퀴 측면이 감지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에서도 바퀴 측면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기 버스가 정위치에 주차되기 전에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전방으로 더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장치.
  2. 충전 스테이션의 지정된 주차 구획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바퀴의 위치와 각도를 검출하는 차량 바퀴 감지부;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정보 출력부; 및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 버스의 지붕에 설치된 버스 컨택트 단자에 접촉하여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팬터그래프 충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바닥에 복수의 주차 구획이 도시되며,
    상기 주차 구획을 표시하는 구획선의 일 측 상부에 설치되되,
    전륜 바퀴의 측면 중 고무 재질로 형성된 부분을 감지할 수 있는 높이로 제한되며, 상기 구획선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는,
    별도의 지지대를 통해 전기 버스의 전방 상부에 각 차로별로 설치되게 구현되거나, 각 차로의 전방 바닥에 매설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게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전진, 후진, 좌로 이동, 우로 이동, 및 정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안내를 표시하며,
    상기 정보들의 표시를 위해 화살표 이미지와 텍스트를 조합하며,
    부가적으로 이동해야 할 거리 정보와 각도 정보를 추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송부를 통해 충전 스테이션에 설치된 지지대 및 이송레일을 따라 상기 팬터그래프 충전부를 목적지로 이송시키며,
    이송을 통해 상기 팬터그래프 충전부가 목적지에 도착할 경우, 상기 팬터그래프 충전부의 충전 단자부를 하강시켜 상기 전기 버스의 지붕에 설치된 상기 버스 컨택트 단자에 접촉시켜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팬터그래프 충전부의 이송을 위하여 목적지를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충전 스테이션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를 촬영하여 상기 전기 버스의 종류나 크기를 판단하여,
    상기 전기 버스의 종류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 포함된 센서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장치.
  7. 충전 스테이션의 지정된 주차 구획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바퀴의 위치와 각도를 검출하는 차량 바퀴 감지부;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정보 출력부; 및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 버스의 지붕에 설치된 버스 컨택트 단자에 접촉하여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팬터그래프 충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는,
    중심에 설치되는 센서를 기준으로 양 측의 센서를 이동시켜 센서간 이격 거리를 조정하기 위하여, 전동 모터와 이 전동 모터의 회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기구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장치.
  8. 삭제
  9. 충전 스테이션의 지정된 주차 구획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바퀴의 위치와 각도를 검출하는 차량 바퀴 감지부;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정보 출력부; 및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 버스의 지붕에 설치된 버스 컨택트 단자에 접촉하여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팬터그래프 충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에서 감지된 거리가 동일하더라도, 만약 상기 감지된 거리가 미리 지정된 거리(Dth)를 오차 범위 이상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고,
    반대로 상기 감지된 거리가 미리 지정된 거리(Dth)보다 오차 범위 이상 가까울 경우에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장치.
  10. 충전 스테이션의 지정된 주차 구획에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바퀴의 위치와 각도를 검출하는 차량 바퀴 감지부;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정보 출력부; 및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 버스의 지붕에 설치된 버스 컨택트 단자에 접촉하여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팬터그래프 충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에서 모두 바퀴 측면을 감지한 다음, 상기 복수의 센서(D1 ~ D3) 중 차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설치된 센서(D1, D2)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바퀴 측면이 감지되면, 상기 전기 버스가 정위치를 넘어서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버스가 우측 방향으로 치우쳐 주차될 경우,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좌측으로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고,
    상기 전기 버스가 어느 일 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바르게 주차될 경우,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정위치에 지정된 각도로 정확하게 주차되었음을 안내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며,
    상기 전기 버스가 좌측 방향으로 치우쳐 주차될 경우,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우측으로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장치.
  12. 제어부가 충전 스테이션에 전기 버스가 진입하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차량 바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정상 상태(OK)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팬터그래프 충전부를 목적지인 충전 전원을 인가할 전기 버스의 상부로 이송시켜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 중 차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설치된 센서(D3, D2)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바퀴 측면이 감지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에서도 바퀴 측면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기 버스가 정위치에 주차되기 전에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전방으로 더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전기 버스가 진입하는지 여부는,
    상기 제어부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버스가 충전 스테이션에 진입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진입하는 전기 버스의 종류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판단한 전기 버스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차량 바퀴 감지부에 설치된 센서들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방법.
  15. 삭제
  16. 제어부가 충전 스테이션에 전기 버스가 진입하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차량 바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정상 상태(OK)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팬터그래프 충전부를 목적지인 충전 전원을 인가할 전기 버스의 상부로 이송시켜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에서 감지된 거리가 동일하더라도, 만약 상기 감지된 거리가 미리 지정된 거리(Dth)를 오차 범위 이상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고,
    반대로 상기 감지된 거리가 미리 지정된 거리(Dth)보다 오차 범위 이상 가까울 경우에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방법.
  17. 제어부가 충전 스테이션에 전기 버스가 진입하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차량 바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정상 상태(OK)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팬터그래프 충전부를 목적지인 충전 전원을 인가할 전기 버스의 상부로 이송시켜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바퀴 감지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D1 ~ D3)에서 모두 바퀴 측면을 감지한 다음, 상기 복수의 센서(D1 ~ D3) 중 차량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설치된 센서(D1, D2)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바퀴 측면이 감지되면, 상기 전기 버스가 정위치를 넘어서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버스의 주차 위치와 주차 각도가 정상 상태인지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버스가 우측 방향으로 치우쳐 주차될 경우,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좌측으로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고,
    상기 전기 버스가 어느 일 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바르게 주차될 경우,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정위치에 지정된 각도로 정확하게 주차되었음을 안내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며,
    상기 전기 버스가 좌측 방향으로 치우쳐 주차될 경우, 상기 안내정보 출력부를 통해 우측으로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주차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충전 방법.
KR1020210059052A 2021-05-07 2021-05-07 전기 버스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2582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052A KR102582919B1 (ko) 2021-05-07 2021-05-07 전기 버스 충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052A KR102582919B1 (ko) 2021-05-07 2021-05-07 전기 버스 충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458A KR20220152458A (ko) 2022-11-16
KR102582919B1 true KR102582919B1 (ko) 2023-09-26

Family

ID=8423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052A KR102582919B1 (ko) 2021-05-07 2021-05-07 전기 버스 충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9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4952A (ja) * 2003-09-18 2005-04-07 Akira Nomura 集電装置
JP2015154538A (ja) 2014-02-12 2015-08-24 株式会社デンソー 非接触充電システム
US20190315244A1 (en) * 2016-11-07 2019-10-17 Cpt Group Gmbh Method for guiding a motor vehicle into a charging position at an inductive charging station, and control device and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194A (ko) * 2003-09-09 2005-03-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주차 감지시스템
KR20090088210A (ko) * 2008-02-14 2009-08-19 주식회사 만도 두 개의 기준점을 이용한 목표주차위치 검출 방법과 장치및 그를 이용한 주차 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4952A (ja) * 2003-09-18 2005-04-07 Akira Nomura 集電装置
JP2015154538A (ja) 2014-02-12 2015-08-24 株式会社デンソー 非接触充電システム
US20190315244A1 (en) * 2016-11-07 2019-10-17 Cpt Group Gmbh Method for guiding a motor vehicle into a charging position at an inductive charging station, and control device and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458A (ko)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67461B (zh) 用于车辆的泊车系统
CN105882661B (zh) 机动车弯道驾驶辅助系统的运行方式
WO2018167366A1 (en) Monitoring container transfer device on lowering container onto transport platform or lifting away from transport platform
CN102216732A (zh) 用于机动车的控制装置和用于泊车支持的方法
WO2020241955A1 (ko) 차량용 전자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08437955B (zh) 一种车辆姿态的调整方法及装置
CN106080595A (zh) 车辆行驶控制装置
CN105189189A (zh) 车辆供电系统
CN111287526B (zh) 机动车的停车机械手系统以及运行停车机械手系统的方法
CN107585052B (zh) 一种电动车辆无线充电对位控制装置与方法
CN108225790A (zh) 一种无人驾驶车制动性能检测平台以及检测方法
JP7185612B2 (ja) 車両搬送制御装置、車両搬送制御方法および車両搬送システム
KR102582919B1 (ko) 전기 버스 충전 장치 및 방법
CN106428024B (zh) 一种公交站台车辆停靠引导系统及引导方法
JP3991731B2 (ja) 車両用駐車方向設定装置
CN104266627A (zh) 车辆静止状态下测量轴距的装置及方法
KR20130010718A (ko) 내비게이션 및 그의 주행차선에 기반한 경로 안내 방법
JP2020051116A (ja) 機械式駐車設備の自動駐車支援システム
CN104019792A (zh) 车至车距离计算装置和方法
US20230050922A1 (en) Road-guided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raising the pantograph of a power collector of a road-guided motor vehicle
CN110422178B (zh) 驾驶信息获取方法、装置及信息获取系统
KR20120046565A (ko) 자동운전차량 측면충돌 방지 조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19528573U (zh) 停车装置
JP2020090117A (ja) 駐車制御システム、車載装置、駐車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センサユニット、及び給電システム
CN105818859A (zh) 车辆用的转向辅助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