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447B1 - 온도 측정이 가능한 배설물 수집기 및 이를 활용한 배설 정보 알람 방법 - Google Patents

온도 측정이 가능한 배설물 수집기 및 이를 활용한 배설 정보 알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447B1
KR102581447B1 KR1020230002626A KR20230002626A KR102581447B1 KR 102581447 B1 KR102581447 B1 KR 102581447B1 KR 1020230002626 A KR1020230002626 A KR 1020230002626A KR 20230002626 A KR20230002626 A KR 20230002626A KR 102581447 B1 KR102581447 B1 KR 102581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rement
patient
adhesive
main shee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두한
Original Assignee
전두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두한 filed Critical 전두한
Priority to KR1020230002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7Closure means other than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둔부에 부착되어 환자의 배설물을 수집하는 배설물 수집기이에 관한 것이며, 배설물을 수용하는 배설물 수용부와,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싸거나 또는 사용자 피부에 점착되는 장착부 및, 배설물 수용부에 수용된 배설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배설물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에 의하면, 구성이 간단하고, 환자에게로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능숙히 이용할 수 있는 배설물 수집기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조치 없이도 자동으로 사용자의 배설물 온도를 체크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편리하게 체크할 수 있는 배설물 수집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도 측정이 가능한 배설물 수집기 및 이를 활용한 배설 정보 알람 방법{Excreta collector capable of measuring temperature and excretion information alarm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설물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환자의 둔부에 부착되어, 환자의 배설물을 수집하는 배설물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소변 및 대변 처리장치는 실금 환자 및 특히, 누워만 있는 환자가 주로 착용하도록 설계된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대변 처리장치들은 착용자의 인체 항문 또는 생식기 영역에 부착되어, 대소변 및 다른 신체 배설물을 포집하여 즉시 수용하게 된다. 오늘날 주로 알려져 있는 이러한 장치들은 비교적 길고 좁은 튜브로 구성되며, 그 끝단에 구멍부와 접착제일 수 있는 피부 부착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장치들은 하반신의 움직임에 따라 착용자의 대퇴부 주위로 쉽게 비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중에 착용자로부터 이 장치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일으킬 수 있어 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의 배설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기능이 없어서, 배설물의 온도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을 체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거동이 어려운 환자의 둔부에 부착되어, 환자의 배설물을 수집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배설물 수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배설물의 온도를 별도 조치 없이도 자동으로 측정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체크에 유용한 배설물 수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는, 사용자의 둔부에 부착되어 환자의 배설물을 수집하는 배설물 수집기이며, 배설물을 수용하는 배설물 수용부와,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싸거나 또는 사용자 피부에 점착되는 장착부 및, 배설물 수용부에 수용된 배설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에 있어서, 장착부는 장착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포함하고, 장착부는 연통부의 연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부 및 고정부를 포함하고, 고정부는 외부로부터 장착부의 내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연통부를 고정할 수 있고, 온도 측정부는, 온도 센서,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 히트 싱크부 열 전달부 및, 열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열 접촉부는 배설물 수용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히트 싱크부는 장착부 내에 배치되고, 온도 센서는 히트 싱크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온도 센서는 연통부를 통해 장착부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온도 센서는 가이드부에 끼움 고정되어 히트 싱크부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열 전달부의 양단은 각각 열 접촉부와 히트 싱크부에 연결되고,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는, 온도 센서에 연결되어 외부의 중계기와 유선 연결되거나, 또는 외부 장치로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에 있어서, 장착부는 메인 시트부 및 점착 시트부를 포함하고, 메인 시트부는 환자의 둔부와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둔부 형상부 및 둔부 형상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를 포함하고, 둔부 형상부는, 테두리로부터 상기 관통부를 향해 활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 오목부의 일측과 연결된 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관통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볼록부, 오목부의 타측과 연결된 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관통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2 볼록부 및,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볼록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오목부는, 환자의 성기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환자의 성기와 점착 시트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제1 볼록부 및 제2 볼록부는, 점착 시트부와 환자의 둔부와의 점착 면적을 넓히고, 점착 시트부는 메인 시트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메인 시트부의 일면에 부착되어 환자의 둔부에 메인 시트부가 점착되도록 하고, 배설물 수용부는 메인 시트부의 타면에 접착되되, 관통부를 규정하는 테두리에 접착되어 관통부를 통해 배설된 환자의 배설물을 수집하고, 점착 시트부는 그 일면에 도포되어 점착력을 형성하는 점착부 및, 점착부에 부착되고, 점착부로부터 이탈되면 점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이형 필름부를 포함하고, 이형 필름부는, 점착 시트부의 일측 끝단에 부착된 제1 리드 필름부, 점착 시트부의 타측 끝단에 부착된 제2 리드 필름부 및 제1 리드 필름부와 제2 리드 필름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부착된 베이스 필름부를 포함하고, 배설물 수용부는, 관통부를 규정하는 메인 시트부의 테두리로부터, 관통부의 형성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관통부를 기준으로 수집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부 및 공간 형성부와 메인 시트부가 상호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성이 간단하고, 환자에게로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능숙히 이용할 수 있는 배설물 수집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조치 없이도 자동으로 사용자의 배설물 온도를 체크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편리하게 체크할 수 있는 배설물 수집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의 메인 시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의 메인 시트부, 배설물 수용부 및 온도 측정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의 메인 시트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의 점착 시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의 배설물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재되는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치수와 수치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값 및 이것을 포함하는 동등한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라는 수치는 '약 1℃'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더라도, 이는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는 사용자의 둔부에 부착되어 환자의 배설물을 수집하는 배설물 수집기이며, 배설물을 수용하는 배설물 수용부와,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싸거나 또는 사용자 피부에 점착되는 장착부 및, 배설물 수용부에 수용된 배설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는 거동이 어려운 환자의 둔부에 부착되어 환자의 배설물을 수집하는 대략 봉투 형태의 배설물 수집기일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는 유아 또는 노인이 착용하는 기저귀 형태의 배설물 수집기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둔부에 부착되고, 배설물을 수용하는 배설물 수용부와,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싸거나 또는 사용자 피부에 점착되는 장착부 및, 배설물 수용부에 수용된 배설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형태이면 어떤 형태라도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1)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1)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1)는 환자의 둔부에 부착되어, 환자의 배설물을 수집하는 기구일 수 있다.
배설물 수집기(1)는, 메인 시트부(10), 점착 시트부(20) 및 배설물 수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배설물 수집기(1)의 장착부는 메인 시트부(10) 및 점착 시트부(20)에 해당한다.
메인 시트부(10)는, 환자의 둔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둔부 형상부(11) 및 상기 둔부 형상부(11)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둔부 형상부(11)는, 환자의 둔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13)는, 둔부 형상부(11)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원형으로 형성되고, 환자의 배설물이 배설물 수용부(30)로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점착 시트부(20)는, 메인 시트부(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메인 시트부(10)의 일면에 형성되어 환자의 둔부에 메인 시트부(10)가 점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점착은 접착과 다른 의미로, 접착은 접착제에 의해 피착물의 표면이 계면의 결합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계면의 결합력은 양자의 표면 분자 간의 화학적 상호작용과 기계적 결합에 의존하는 개념이며, 점착은 끈끈하게 달라붙는 정도의 개념으로, 접착의 정도보다는 약한 의미이다.
배설물 수용부(30)는, 메인 시트부(10)의 타면에 접착되되, 관통부(13)를 규정하는 테두리에 접착되어 관통부(13)를 통해 배설된 환자의 배설물을 수집할 수 있다.
배설물 수용부(30)는, 유동성 있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밀폐가 가능한 소재, 일례로 썩는 비닐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밑넓이는 상기 관통부(13)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1)는, 누워있는 환자가 그 자리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구로서, 관통부(13)가 환자의 항문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한 채, 점착 시트부(20)를 환자의 둔부에 점착시켜, 환자가 용변을 보는 시간 동안 메인 시트부(10) 및 배설물 수용부(30)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환자의 배설물이 배설물 수용부(30)에 수집되면, 환자의 둔부에 점착된 점착 시트부(20)를 떼어 내어 환자의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의 메인 시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1)의 둔부 형상부(11)는, 오목부(111), 제1 볼록부(112), 제2 볼록부(114) 및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111)는, 둔부 형상부(11)의 외측면을 규정하는 테두리로부터 관통부(13)를 향해 활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11)는, 둔부 형상부(11)가 환자의 몸에 부착되었을 때 환자의 성기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환자의 성기와 점착 시트부(20)가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볼록부(112)는, 오목부(111)의 일측과 연결된 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관통부(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볼록부(114)는, 오목부(111)의 타측과 연결된 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관통부(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13)는,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제1 볼록부(112)와 제2 볼록부(114)를 연결할 수 있으며, 오목부(111)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목부(111)의 중심과 연결부(113)의 중심을 연결하여, 그 연결선으로 둔부 형상부(11)를 접으면 꼭 맞게 중첩된다. 다시 말해, 연결선을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형성된다.
제1 볼록부(112)와 제2 볼록부(114)는, 상기 연결선을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점착 시트부(20)와 환자의 둔부와의 점착 면적을 넓힐 수 있다.
한편, 메인 시트부(10)는 테두리로부터 관통부(13)를 향해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15)는, 환자의 둔부 형상에 따라 메인 시트부(10)가 변형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메인 시트부(10)의 환자 둔부로의 점착 면적을 넓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의 둔부는 굴곡진 형태이므로 평면 형태로 제작된 메인 시트부(10)가 굴곡진 환자의 둔부에 점착되기 위해서는 변형이 될 수 밖에 없는데, 이 때 변형에 의한 겹쳐짐 또는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개부(15)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메인 시트부(10)가 환자의 둔부에 점착되는 과정에서 겹쳐지는 경우, 절개부(15)에 의해 이격된 메인 시트부(1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절개부(15)를 통해 상호 중첩되도록 하여 메인 시트부(10)의 환자의 둔부로의 점착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시트부(10)가 환자의 둔부에 점착되는 과정에서 늘어나는 경우 절개부(15)에 의해 이격된 메인 시트부(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이격 거리를 늘림으로써, 늘어짐에 의한 점착력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절개부(15)는, 오목부(111)에 절개되는 오목 절개편(151), 오목부(111)와 제1 볼록부(112) 사이에 절개되는 제1-1 절개편(152), 제1 볼록부(112)와 연결부(113) 사이에 절개되는 제1-2 절개편(153), 연결부(113)에 절개되는 연결부 절개편(154), 연결부(113)와 제2 볼록부(114) 사이에 절개되는 제2-1 절개편(155) 및 제2 볼록부(114)와 오목부(111) 사이에 절개되는 제2-2 절개편(156)을 포함할 수 있다.
오목 절개편(151)은, 오목부(111) 영역의 겹쳐짐 또는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1 절개편(152)은, 오목부(111)와 제1 볼록부(112) 사이 영역의 겹쳐짐 또는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2 절개편(153)은, 제1 볼록부(112)와 연결부(113) 사이 영역의 겹쳐짐 또는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 절개편(154)은, 연결부(113) 영역의 겹쳐짐 또는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1 절개편(155)은, 연결부(113)와 제2 볼록부(114) 사이 영역의 겹쳐짐 또는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2 절개편(156)은, 제2 볼록부(114)와 오목부(111) 사이 영역의 겹쳐짐 또는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1)의 메인 시트부(10), 배설물 수용부(30) 및 온도 측정부(40)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측정부(40)는 온도 센서(41),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42), 히트 싱크부(43), 열 전달부(44) 그리고 열 접촉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측정부(40)의 온도 센서(41),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42) 그리고 히트 싱크부(43)는 메인 시트부(10)에 부착될 수 있고, 온도 측정부(40)의 열 접촉부(45)는 배설물 수용부(30)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온도 측정부(40)의 열 전달부(44)는 그 일단이 열 접촉부(45)에 연결되고, 타단이 히트 싱크부(43)에 연결될 수 있다. 열 전달부(44)는 배설물 수용부(30)의 바닥면 및 내주면을 따라 밀착된 채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열 전달부(44)는 배설물 수용부(30)가 펼쳐진 상태에서 배설물 수용부(30) 내주면에 부착되고, 배설물 수용부(30)가 접혀질 때 함께 접힌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 접촉부(45)는 배설물이 수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배설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배설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다. 열 접촉부(45)가 배설물로부터 전달받은 열은 열 전달부(44)를 통해 히트 싱크부(43)로 전달된다.
열 전달부(44)는 열 접촉부(45)로부터의 열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열 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설물 수용부(30)가 접힐 때 함께 접힐 수 있도록 얇고 유연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열 전달부(44)는 알루미늄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트 싱크부(43)는 열의 전도와 복사에 특화된 재질을 갖고 있어, 배설물로부터 열 접촉부(45)에 전달된 열을 효과적으로 빼앗을 수 있다. 히트 싱크부(43)는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히트 싱크부(43)는 또한, 구리 합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히트 싱크부(43)의 재질이 알루미늄 또는 구리 합금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 접촉부(45)로부터 효과적으로 열을 빼앗을 수 있도록 열의 전도와 복사에 특화된 재질이면 어떤 것이라도 무관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히트 싱크부(43)의 일면에는 시온 안료가 도포될 수 있다. 히트 싱크부(43)가 열 접촉부(45)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온도가 상승하면, 시온 안료의 색상이 변해 온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센서(41)는 히트 싱크부(43)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온도 센서(41)는, 히트 싱크부(43)로 전달된 열을 통해 배설물의 온도를 센싱한다. 이와 같이 온도 센서(41)가 배설물 수용부(30)에 직접 부착되지 않고, 장착부인 메인 시트부(10)에 위치하여 열 접촉부(45)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한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온도 센서(41)가 배설물 수용부(30)에 배치될 경우 온도 센서(41)가 오염될 가능성이 커서 1회 사용 후 재사용이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이는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또한, 배설물 수용부(30)가 유동성 있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밀폐가 가능한 소재(예컨대 비닐)로 이루어진 실시예에서는 배설물 수용부(30)에 온도 센서(41)를 설치할 마땅한 위치도 없어 그러한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 센서(41)를 오염될 염려가 적고 그 설치가 용이한 위치, 즉, 메인 시트부(10)에 설치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온도 센서(41)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비용적인 이점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센서(41)에는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42)가 연결될 수 있다.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42)는 온도 센서(41)가 검출한 온도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달한다.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42)는 외부 중계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온도 센서(41)로부터 검출된 온도 신호를 외부 단말기 등의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42)는 또한 온도 센서(41)로부터 검출된 온도 신호를 외부 장치로 무선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된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이거나 소정의 온도 이하일 경우, 온도 신호를 수신한 외부 장치는 알람을 울려 다른 사람이 배설물 수집기(1) 사용자 배설물의 온도 이상을 즉각 알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1)의 메인 시트부(10)는 제1 및 제2 볼록부(114, 116)에 연통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부(16)는 메인 시트부(10)의 일면을, 그 반대면인 타면까지 관통하지 않도록 일부만 절개하여 형성된다. 즉, 메인 시트부(10)의 일면을 절개하여 메인 시트부(10)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된다. 연통부(16)를 벌리면 메인 시트부(10) 내부로의 통로가 형성되고, 메인 시트부(10) 내부에 온도 센서(41),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42) 및 히트 싱크부(43) 등의 구성을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1)의 메인 시트부(10)는 그 일면에, 메인 시트부(10) 내부를 시인할 수 있는 투명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부(19)는 메인 시트부(10) 내부를 시인 가능하도록, 예컨대 투명한 비닐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시트부(10)의 내부에서 투명부(19)에 대응하는 위치에 히트 싱크부(4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투명부(19)를 통해 히트 싱크부(43)를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투명부(19)를 향하는 히트 싱크부(43)의 일면에는 시온 안료가 도포될 수 있다. 시온 안료는 열 접촉부(45)로부터 히트 싱크부(43)가 열을 전달받으면 온도 변화에 따라 색이 변화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투명부(19)를 통해 히트 싱크부(43)의 색 변화를 쉽게 시인 가능하고, 이를 통해 배설물 수집기(1) 착용자가 배설물을 배설했는지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1)의 메인 시트부(10)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1)에 있어서 연통부(16)의 연부에는 가이드부(17) 및 고정부(18)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부(17)는 연통부(16)의 연부에 위치하고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42)를 일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부(17)는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수직부를 포함하고, 두 개의 수직부 사이에 전선 형태의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42)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42)의 일단에 연결된 온도 센서(41)도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41)가 히트 싱크부(43)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7)는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42)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시트부(10)는 예컨대 두 겹의 시트면이 겹친 형태일 수 있다. 즉, 메인 시트부(10)는 제1 시트면과 제2 시트면이 겹쳐져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시트부(10)의 제1 시트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연통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통부(16)를 통해 제1 시트면과 제2 시트면 사이의 공간, 즉, 메인 시트부(1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시트면을 향하는 제1 시트면의 일면의 연통부(16)의 연부인 제1 위치에 고정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시트면을 향하는 제2 시트면의 일면이며 상기 제1 위치에 대향하는 제2 위치에도 고정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8)는 단추와 단추구멍, 찍찍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18)끼리 부착 내지는 결합하여 연통부(16)를 폐쇄하고 메인 시트부(1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폐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1)의 점착 시트부(2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점착 시트부(20)는, 절개부(15)와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로 절개되는 대응 절개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대응 절개부(25)는, 이형 필름부(23)의 메인 시트부(10)로부터의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메인 시트부(10)를 환자의 둔부에 점착시키기 위해서, 이형 필름부(23)를 메인 시트부(10)로부터 떼어낸 후, 점착부(2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 때, 대응 절개부(25)는 메인 시트부(10)와 밀착된 이형 필름부(23)의 끝단을 찾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대응 절개부(25)는, 오목 절개편(151)과 대응되는 오목 대응 절개편(251), 제1-1 절개편(152)과 대응되는 제1-1 대응 절개편(252), 제1-2 절개편(153)과 대응되는 제1-2 대응 절개편(253), 연결부 절개편(154)과 대응되는 연결부 대응 절개편(254), 제2-1 절개편(155)과 대응되는 제2-1 절개 대응편(255) 및 제2-2 절개편(156)과 대응되는 제2-2 절개 대응편(25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1)의 점착 시트부(20)는, 점착부(21) 및 이형 필름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부(21)는, 메인 시트부(10)의 일면에 도포되어 점착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형 필름부(23)는, 점착부(21)에 부착되되, 점착부(21)로부터 이탈되면 점착부(2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형 필름부(23)는, 제1 리드 필름부(231), 제2 리드 필름부(232) 및 베이스 필름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드 필름부(231)는, 메인 시트부(10)의 일측 끝단, 예컨대 제1 볼록부(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리드 필름부(232)는, 메인 시트부(10)의 타측 끝단, 예컨대 제2 볼록부(114)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부(235)는, 제1 리드 필름부(231)와 제2 리드 필름부(232)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리드 필름부(231)와 상기 제2 리드 필름부(232)는, 사용자가 상기 메인 시트부(10)를 환자의 둔부에 부착하는 경우 그립(grib)하는 부분일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시트부(10)로부터 제1 리드 필름부(231) 및 제2 리드 필름부(232)는 남겨두고, 베이스 필름부(235)를 제거하여 베이스 필름부(235)와 대응하는 위치의 점착부(2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드 필름부(231)와 상기 제2 리드 필름부(232)를 그립한 상태에서 노출된 점착부(21)가 환자의 둔부에 점착되도록 한다. 그 다음, 제1 리드 필름부(231)와 제2 리드 필름부(232)를 메인 시트부(10)로부터 제거하여, 제1 리드 필름부(231)와 제2 리드 필름부(232)와 대응되는 위치의 점착부(21)가 환자의 둔부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메인 시트부(10)를 환자의 둔부에 부착하는 경우 점착부(21)의 신체 접촉에 의한 점착력 저하 없이 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의 배설물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1)의 배설물 수용부(30)는 관통부(13)를 규정하는 메인 시트부(10)의 테두리로부터, 관통부(13)의 형성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관통부(13)를 기준으로 수집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부(31) 및 공간 형성부(31)와 메인 시트부가 상호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설물 수용부(30)는 관통부(13)의 관통 방향으로 형성되다가 메인 시트부(10)가 형성하는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는, 등을 바닥에 대고 누운 환자의 둔부에 본 발명의 메인 시트부(10)가 부착된 경우, 환자의 양다리 사이로 배설물 수용부(30)가 배치되도록 하여 배설물 수용부(30)가 굴곡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공간 형성부(31)는, 수집 공간 내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자바라 형태로 접힌 채, 메인 시트부(10)의 타면에 밀착되며 관통부(13)를 통해 환자의 배설물이 유입되면 상기 수집 공간이 확장되면서 펼쳐질 수 있다.
만약, 환자가 용변을 보기 전에 상기 배설물 수용부(30)가 펼쳐진다면, 펼쳐진 수집공간 내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용변이 수집 공간에 유입되었을 때 밀폐된 수집 공간으로의 용변 유입으로 인해 배설물 수용부(30)가 손상되거나 배설물 수용부(30)의 환자의 둔부로부터의 이탈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수집기(1)는 수집 공간 내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자바라 형태로 접힌 채 메인 시트부(10)의 타면에 밀착되며 관통부(13)를 통해 환자의 배설물이 유입되면 수집 공간이 확장되면서 펼쳐지기 때문에, 수집 공간 내로 공기가 유입을 방지하고 환자의 용변이 수집 공간에 유입되었을 때 밀폐된 수집 공간으로의 용변 유입으로 인해 배설물 수용부(30)가 손상되거나 배설물 수용부(30)의 환자의 둔부로부터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내지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배설물 수집기
10: 메인 시트부
20: 점착 시트부
30: 배설물 수용부
40: 온도 측정부
41: 온도 센서
42: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
43: 히트 싱크부
44: 열 전달부
45: 열 접촉부

Claims (3)

  1. 사용자의 둔부에 부착되어 환자의 배설물을 수집하는 배설물 수집기이며,
    배설물을 수용하는 배설물 수용부와,
    사용자 피부에 점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배설물 수용부에 수용된 배설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메인 시트부 및 점착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시트부는 제1 시트면과 제2 시트면이 겹쳐져 결합된 것이고,
    상기 메인 시트부는 상기 메인 시트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메인 시트부의 제1 시트면의 일부가 절개된 부분이고,
    상기 메인 시트부는 상기 연통부의 연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부 및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시트면을 향하는 상기 제1 시트면의 일면의 상기 연통부의 연부인 제1 위치 및 상기 제1 시트면을 향하는 상기 제2 시트면의 일면이며 상기 제1 위치에 대향하는 제2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 형성된 고정부끼리 부착 내지는 결합하여 상기 연통부를 폐쇄할 수 있고,
    상기 온도 측정부는,
    온도 센서,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
    히트 싱크부
    열 전달부 및,
    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 접촉부는 상기 배설물 수용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히트 싱크부는 상기 장착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히트 싱크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연통부를 통해 상기 장착부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가이드부에 끼움 고정되어 상기 히트 싱크부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열 전달부의 양단은 각각 상기 열 접촉부와 상기 히트 싱크부에 연결되고,
    상기 온도 센싱 신호 전달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연결되어 외부의 중계기와 유선 연결되거나, 또는 외부 장치로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메인 시트부는 상기 메인 시트부의 내부를 시인 가능한 투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 싱크부는 상기 투명부를 통해 외부에서 시인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 싱크부의 일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시온안료가 도포되고,
    상기 메인 시트부는 환자의 둔부와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둔부 형상부 및 상기 둔부 형상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둔부 형상부는,
    테두리로부터 상기 관통부를 향해 활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 상기 오목부의 일측과 연결된 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볼록부, 상기 오목부의 타측과 연결된 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2 볼록부 및,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볼록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환자의 성기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성기와 상기 점착 시트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2 볼록부는,
    상기 점착 시트부와 상기 환자의 둔부와의 점착 면적을 넓히고,
    상기 점착 시트부는 상기 메인 시트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 시트부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환자의 둔부에 상기 메인 시트부가 점착되도록 하고,
    상기 배설물 수용부는 상기 메인 시트부의 타면에 접착되되, 상기 관통부를 규정하는 테두리에 접착되어 상기 관통부를 통해 배설된 환자의 배설물을 수집하고,
    상기 점착 시트부는 그 일면에 도포되어 점착력을 형성하는 점착부 및, 상기 점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점착부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점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이형 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 필름부는,
    상기 점착 시트부의 일측 끝단에 부착된 제1 리드 필름부, 상기 점착 시트부의 타측 끝단에 부착된 제2 리드 필름부 및 상기 제1 리드 필름부와 상기 제2 리드 필름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부착된 베이스 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설물 수용부는,
    상기 관통부를 규정하는 상기 메인 시트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관통부의 형성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관통부를 기준으로 수집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부 및 상기 공간 형성부와 상기 메인 시트부가 상호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시트부는,
    테두리로부터 상기 관통부를 향해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개부는,
    환자의 둔부 형상에 따라 상기 메인 시트부가 변형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메인 시트부의 환자 둔부로의 점착 면적을 넓히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오목부에 절개되는 오목 절개편, 상기 오목부와 상기 제1 볼록부 사이에 절개되는 제1-1 절개편,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절개되는 제1-2 절개편, 상기 연결부에 절개되는 연결부 절개편,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볼록부 사이에 절개되는 제2-1 절개편 및, 상기 제2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 사이에 절개되는 제2-2 절개편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 시트부는,
    성기 절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로 절개되는 대응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 절개부는,
    상기 이형 필름부의 상기 메인 시트부로부터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는,
    배설물 수집기.
  2. 삭제
  3. 삭제
KR1020230002626A 2023-01-09 2023-01-09 온도 측정이 가능한 배설물 수집기 및 이를 활용한 배설 정보 알람 방법 KR102581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626A KR102581447B1 (ko) 2023-01-09 2023-01-09 온도 측정이 가능한 배설물 수집기 및 이를 활용한 배설 정보 알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626A KR102581447B1 (ko) 2023-01-09 2023-01-09 온도 측정이 가능한 배설물 수집기 및 이를 활용한 배설 정보 알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447B1 true KR102581447B1 (ko) 2023-09-21

Family

ID=8818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626A KR102581447B1 (ko) 2023-01-09 2023-01-09 온도 측정이 가능한 배설물 수집기 및 이를 활용한 배설 정보 알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572B1 (ko) * 2023-10-16 2024-02-14 주식회사 우창엠피 실시간 건강 상태 모니터링 및 알람을 제공하는 배설물 수집기의 제조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501A (ja) * 2006-08-14 2008-02-28 Nakamura Minoru 自動排便処理装置
KR20110031061A (ko) * 2009-09-18 2011-03-24 한메딕스 주식회사 인체용 대변 수집기
JP2011087825A (ja) * 2009-10-23 2011-05-06 Unicharm Corp 排便検出装置
KR101786495B1 (ko) * 2016-10-26 2017-10-20 류용승 인체용 대변 수집기
KR20190055188A (ko) * 2016-09-22 2019-05-22 미토 메디컬 프로덕츠 비.브이. 살아 있는 포유동물 신체 부위의 열화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14599B1 (ko) * 2020-01-08 2020-05-22 전두한 배설물 수집기
US20200188161A1 (en) * 2018-12-13 2020-06-18 11 Health and Technologies Inc. Ostom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501A (ja) * 2006-08-14 2008-02-28 Nakamura Minoru 自動排便処理装置
KR20110031061A (ko) * 2009-09-18 2011-03-24 한메딕스 주식회사 인체용 대변 수집기
JP2011087825A (ja) * 2009-10-23 2011-05-06 Unicharm Corp 排便検出装置
KR20190055188A (ko) * 2016-09-22 2019-05-22 미토 메디컬 프로덕츠 비.브이. 살아 있는 포유동물 신체 부위의 열화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86495B1 (ko) * 2016-10-26 2017-10-20 류용승 인체용 대변 수집기
US20200188161A1 (en) * 2018-12-13 2020-06-18 11 Health and Technologies Inc. Ostom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2114599B1 (ko) * 2020-01-08 2020-05-22 전두한 배설물 수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572B1 (ko) * 2023-10-16 2024-02-14 주식회사 우창엠피 실시간 건강 상태 모니터링 및 알람을 제공하는 배설물 수집기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1274B2 (ja) ヒト糞便用収集器
KR102581447B1 (ko) 온도 측정이 가능한 배설물 수집기 및 이를 활용한 배설 정보 알람 방법
KR101445575B1 (ko) 인체용 대변 수집기
JP4732519B2 (ja) 体液の収集及び分析装置
JP2000093448A (ja) おむつ用センサおよびこれを内蔵したおむつ
KR101237882B1 (ko) 인체용 대변 수집기
KR102114599B1 (ko) 배설물 수집기
JPS6323660A (ja) 大便失禁用袋
US6375643B1 (en) Urine/fecal collection undergarment
JP3491198B2 (ja) 排便感知システム
JP5154136B2 (ja) 吸収性物品
JPH1133055A (ja) おむつ、予備パッド並びに水分検知装置
US20200330079A1 (en) Infant Urine Collector
JPH11295250A (ja) おむつ用センサ
JP7289481B2 (ja) 排便検知装置
KR200321534Y1 (ko) 기저귀용 분뇨 감지기
JP2002282292A (ja) 男性用尿とりパッド
KR101287859B1 (ko) 요검사용 보조기구
KR102636572B1 (ko) 실시간 건강 상태 모니터링 및 알람을 제공하는 배설물 수집기의 제조 방법
KR101800077B1 (ko) 유아용 소변채취장치
CN213047603U (zh) 一种适用于婴幼儿患儿的接尿用具及其接尿组件
CN213883725U (zh) 婴儿尿液收集结构
JPH0994262A (ja) 男性用採尿袋
KR20220047067A (ko) 전도성 부재가 입체적으로 배치된 스마트 기저귀
JP2004305599A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