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067A - 전도성 부재가 입체적으로 배치된 스마트 기저귀 - Google Patents

전도성 부재가 입체적으로 배치된 스마트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067A
KR20220047067A KR1020200130543A KR20200130543A KR20220047067A KR 20220047067 A KR20220047067 A KR 20220047067A KR 1020200130543 A KR1020200130543 A KR 1020200130543A KR 20200130543 A KR20200130543 A KR 20200130543A KR 20220047067 A KR20220047067 A KR 20220047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mart diaper
conductive member
absorption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9519B1 (ko
Inventor
박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Priority to KR1020200130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5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7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radio-opaque material or signalling means for residu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gro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면에 센싱모듈(200)이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마트 기저귀로서, 내면에 착용자의 배뇨가 흡수되는 흡수층(110);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안감층(150); 및 착용자의 배뇨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수 재질을 포함하는 방수층(170); 을 포함하며, 상기 흡수층(110), 안감층(150) 및 방수층(170)은, 전도성 물질이 도포되어 상기 전도성 물질이 입체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어느 한 부위 이상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기저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도성 부재가 입체적으로 배치된 스마트 기저귀{Smart diaper with three-dimensionally arranged conductive members}
본 발명은 전도성 부재가 입체적으로 배치된 스마트 기저귀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기저귀는 소변 및 대변을 가릴 수 없는 사람(예를 들어, 유아 및 치매 환자)이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예를 들어, 환자 및 노약자)의 대소변을 받기 위해 사용된다. 기저귀를 착용하는 사람은 대소변을 본 후, 자기 스스로 기저귀를 갈지 못하며, 대개 보호자(예를 들어, 부모, 가족, 간호사, 보육사 등)가 기저귀를 갈아주게 된다.
이러한 기저귀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아용 기저귀와, 성인이 되었으나 질병, 장애, 노환 등으로 인해 기저귀 이용이 필요한 성인용 기저귀로 구분된다.
그런데, 의사표현을 할 수 없는 유아는 물론이거니와, 성인용 기저귀를 이용하는 성인 중에서도 대소변을 본 후에도 의사 표현을 제대로 할 수 없는 경우 또는 대소변 후에도 대소변 여부를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기저귀 착용자가 배설물이 묻은 기저귀를 장시간 착용하고 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배설물의 독성 및 배설물에 함유된 수분으로 인해 일회용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에 손상을 줄 위험이 있다. 장시간 배설물이 묻은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으면, 피부 발진이나 습진, 심할 경우에는 욕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피부병이 발생할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일회용 기저귀 착용자의 보호자 측면에서는, 기저귀 착용자가 배설물이 묻은 기저귀를 장시간 착용하고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회용 기저귀 착용자가 대소변을 보았는지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문제가 되었다.
특히, 성인용 기저귀 착용자는 대부분 성인이기 때문에, 보호자의 대소변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이 반복될 경우 정서적으로 불쾌감을 표현하는 경우도 있어, 기저귀 착용자의 보호자로서는 기저귀를 열어보지 않고도 대소변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필요가 대두되는 상황이었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74806호인 기저귀의 배뇨 경보장치가 개시된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도전성 검출선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장되고, 검출선의 연장선이 밴드부상에 자성체로 이루어진 탈부착단자에 연결된 구성을 갖는 기저귀와, 기저귀의 탈부착단자에 부착될 수 있도록 일단으로 형성된 탈부착단자와, 상기 탈부착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검출선의 전류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변화에 따라 배뇨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IC와, 제어IC의 제어에 따라 배뇨 경보를 스피커를 통해 멜로디로 발생시키는 멜로디IC와, 멜로디IC의 음량조절을 위한 음량조절스위치와 교체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감지장치로 구성된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대소변을 즉시 감지하여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검출선이 동선 또는 도전성 도료 등을 도포한 것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인체의 피부와 접촉될 경우 여전히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금속선으로 형성된 검출선은 대소변과 반응할 경우 더욱 쉽게 산화되므로 유아나 환자의 연약한 피부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하고 기저귀 표면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 검출선은 굵은 동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이물감을 유발하고 쉽게 구부러지지 않아 착용감이 불량한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고가인 동선의 소요량 증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기저귀의 무게 또한 증가하는 단점이 역시 존재한다. 또한 전도성 물질이 일정한 위치에 한정됨에 따라, 탈부착단자의 부착 위치가 고정적이며, 따라서 탈부착단자의 부착 상태에 따른 배뇨 여부에 대한 센싱 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착용자의 피부에도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착용자의 보호자에게도 배뇨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 기저귀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1)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74806호
(특허문헌2)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33588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되, 이러한 전도성 물질이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된 스마트 기저귀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배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센싱모듈을 포함하되, 전도성 부재가 입체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센싱모듈이 특정한 위치에만 고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센싱모듈을 기저귀의 다양한 위치에 가변적으로 부착하여도 배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도성 물질이 배치되는 스마트 기저귀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저귀에 사물 인터넷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착용자의 보호자에게 착용자의 배뇨 상태 확인의 간편성을 더욱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기저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외면에 센싱모듈(200)이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마트 기저귀로서, 내면에 착용자의 배뇨가 흡수되는 흡수층(110);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안감층(150); 및 착용자의 배뇨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수 재질을 포함하는 방수층(170); 을 포함하며, 상기 흡수층(110), 안감층(150) 및 방수층(170)은, 전도성 물질이 도포되어 상기 전도성 물질이 입체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어느 한 부위 이상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기저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흡수층(110)은, 상기 내면이 상방을 향하는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중심 측에 위치되고, 상기 안감층(150)은, 상기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방수층(170)은, 상기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흡수층(110), 안감층(150) 및 방수층(170) 각각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형태로 배치된 전도성 부재를 포함한 상태로 적층되어 접합되되, 상기 흡수층(110), 안감층(150) 및 방수층(170) 각각에 포함된 전도성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대면하는 층에 포함된 전도성 부재와 맞닿도록 배치됨으로써,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저귀는, 상기 흡수층(1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고, 착용자의 배뇨를 상기 흡수층(110)로 확산시키는 흡수확산층(13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감층(150)은, 상기 흡수확산층(13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수확산층(130)에 포함된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흡수층(110), 안감층(150) 및 방수층(170) 중 적어도 일부가 대면하는 층에 포함된 전도성 부재와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감층(150)은, 최상단에 탑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층(110)은, 펄프, 고분자 흡수체,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층(170)은, 최하단에 겉감층(190)을 포함하며, 방수막, 고무줄부, 옆샘방지층, 테잎부 및 허리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감층(150), 흡수확산층(130), 흡수층(110) 및 방수층(170) 각각에 포함된 전도성 부재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스마트 기저귀의 외면에 배치된 상기 센싱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모듈(200)은, 상기 스마트 기저귀의 내면에 착용자의 배뇨가 흡수될 경우, 상기 전도성 부재를 통한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배뇨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저귀의 외면에는, 상기 센싱모듈(200)이 부착되는 센싱모듈부착영역(192)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170) 중 상기 센싱모듈부착영역(192)과 대면하는 측에는, 전도성 부재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센싱모듈(200)이 상기 센싱모듈부착영역(192)에 부착될 경우, 상기 센싱모듈(200) 및 상기 방수층(170)의 전도성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감층(150), 흡수확산층(130), 흡수층(110) 및 방수층(170)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전도성 부재는, 기설정된 크기의 메쉬 형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감층(150), 흡수확산층(130), 흡수층(110) 및 방수층(170)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전도성 부재는, 수평 방향 중 일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직선 형상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한 상태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감층(150)에는, 착용자의 배뇨의 유동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슬릿부(152)가 형성되고, 상기 안감층(150), 흡수확산층(130), 흡수층(110) 및 방수층(170)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슬릿부(15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저귀는, 상기 흡수층(110)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되, 상기 흡수확산층(130) 내에 위치되는 흡수층포장층(112); 및 상기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안감층(150)의 양 측부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는 옆샘방수층(160);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되, 이러한 전도성 물질이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된 스마트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배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센싱모듈을 포함하되, 센싱모듈이 특정한 위치에만 고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기저귀에 포함된 소정의 영역 어디에 부착하더라도 배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도성 물질이 배치되는 스마트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저귀에 사물 인터넷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착용자의 보호자에게 착용자의 배뇨 상태 확인의 간편성을 더욱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를 이용한 배뇨 확인 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의 수직 단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로서, 센싱모듈부착영역의 일 예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에 포함되는 전도성 물질의 평면을 기준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스마트 기저귀'가 영유아가 착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시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성인이나 노약자 및 거동이 불편한 자들에게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한다. 또한, 여성용 생리대에도 본 발명에 따른 개념 및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사용할 수 있다. 소정의 공간(예를 들어, 각 가정)에 구비된 무선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착용자의 스마트 기저귀에는 센싱모듈(200)이 부착되며, 센싱모듈(200)은 무선중계기(30)를 통해, 보호자의 개인단말기(400)로 착용자의 배뇨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보호자의 개인단말기는 가령,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착용자의 배뇨 정보는 저장, 분석 및 관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자가 배뇨를 한 경우, 보호자의 개인단말기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배뇨 정보는 누적하여 저장되는 바, 착용자의 배뇨 패턴 역시 분석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센싱모듈(20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의 전류 정보를 이용하여 배뇨를 센싱할 수 있는 바, 전류 정보의 변화를 이용하여 착용자 배뇨의 상태, 착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들이 취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의 수직 단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전도성 부재가 도포된 부위는 '화살표'로 표시하였으며, 각 층들은 '실선'으로 표시한다.
일 예시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을 기준으로, 흡수층(110), 흡수층포장층(112), 흡수확산층(130), 방수층(170), 안감층(150) 및 겉감층(190)으로 구성된다.
흡수층(110)는 스마트 기저귀의 중심 측에 위치되며, 착용자의 배뇨를 흡수하는 것이 주된 기능이다. 흡수확산층(130)과는 달리, 배뇨를 확산시키지 않고, 머금고 있도록 구성된다. 흡수층포장층(112)은 흡수층(110)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며, 흡수층포장층(112)을 통해, 흡수층(110)와 다른 층들 사이의 경계가 구분된다. 여기서, 흡수층(110) 및 흡수층포장층(112) 사이에는 제3 전도성 부재(c3)가 위치된다. 전도성 부재(c1)는 흡수층(110) 및 흡수층포장층(112) 등 각 자재에 포함되는 것으로 전도성 부재는 접착제 또는 잉크 등에 혼합되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전도성 부재가 접합 기능을 함께 수행함을 전제로 설명한다.
흡수층포장층(112)의 외측에는 흡수확산층(130)이 위치된다. 착용자의 배뇨는 안감층(150)으로부터 흡수되어 내측으로 확산되며, 흡수확산층(130)은 배뇨를 흡수층(1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흡수확산층(130)은 흡수층(110) 보다 더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흡수층(110)의 상측 중앙에 위치되어 흡수층(110)로의 배뇨 확산을 집중시킬 수 있다.
여기서 흡수층포장층(112) 및 흡수층(110) 사이에는 제2 전도성 부재(c2)가 위치된다. 제2 전도성 부재(c2)는 상기의 흡수층포장층(112) 및 흡수층(110) 사이가 접합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넓게 배치된다.
안감층(150)은 흡수확산층(130) 외측에 배치되며,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도록 상기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상단에 배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감층(150)은 착용자의 배뇨가 1차적으로 흡수되는 부위이다. 배뇨가 스마트 기저귀 바깥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안감층(150) 외측에는 소정의 방향으로 슬릿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릿부(152)는 일종의 배뇨의 유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슬릿부(152)는 스마트 기저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배뇨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넓은 면적에 흡수될 수 있다.
흡수확산층(130) 및 안감층(150) 사이에는 제1 전도성 부재(c1)가 위치된다. 제1 전도성 부재(c1)는 흡수확산층(13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제, 흡수층(110)의 하측을 설명하면, 흡수층포장층(112)의 하부에는 방수층(170)이 위치된다. 흡수층(110)의 하단은 스마트 기저귀의 외면을 의미하는 바, 배뇨가 외면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방수층(170)이 필요하며, 흡수층포장층(112) 및 방수층(170) 사이에는 제5 전도성 부재(c5)가 배치된다.
방수층(170)의 하측(최하단을 의미함)에는 겉감층(190)이 위치된다. 겉감층(190)은 스마트 기저귀의 외면을 구성한다. 여기서 겉감층(190) 및 방수층(170) 사이에는 제6 전도성 부재(c6)가 위치된다.
여기서, 안감층(150), 흡수확산층(130), 흡수층(110) 및 방수층(170) 각각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형태로 배치된 전도성 부재를 포함한 상태로 적층되어 접합되되, 안감층(150), 흡수확산층(130), 흡수층(110) 및 방수층(170) 각각에 포함된 전도성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대면하는 층에 포함된 전도성 부재와 맞닿도록 배치됨으로써,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내지 제6 전도성 부재(c1, c2, c3, c4, c5, c6)는 완전히 동일한 형상으로 포개어지지는 않으나, 대면하는 측에 위치된 전도성 부재 상호간에는 적어도 일부가 맞닿도록 배치됨으로써,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센싱모듈(200)은 착용자의 신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 미세전류를 상시 또는 기설정된 주기로 흘려주며, 이 때, 미세전류 값의 변화를 통해 착용자의 배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안감층(150)의 양 측부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는 옆샘방수층(160)을 더 포함한다. 옆샘방수층(160)이 배치된 측에는 탄성수단 및 주름층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행동에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6 전도성 부재(c1, c2, c3, c4, c5, c6)는 입체적 형상(3D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배뇨가 최초 접촉된 위치와는 무관하게 배뇨를 가장 빠르게 센싱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센싱모듈(200)이 부착 예정 위치를 최대한 넓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배뇨의 면적을 입체적으로 센싱하여 기저귀의 배뇨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겉감층(190)의 외측에는 센싱모듈(200)이 부착되는 센싱모듈부착영역(192)이 형성된다. 센싱모듈부착영역(192)은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서 형성되고, 착용자의 행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또는 착용자, 보호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에서는, 착용자가 스마트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를 기준으로, 스마트 기저귀의 후면에 부착됨을 도시하고 있으나, 센싱모듈부착영역(192)은 후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 기저귀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음을 명시하는 바이다.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6 전도성 부재(c1, c2, c3, c4, c5, c6)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는 각 층의 접합 부위마다 전도성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합지된 상태(라미네이트된 상태)에서는 안감층(150)부터 겉감층(190)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전도성 부재(c1, c2, c3, c4, c5, c6)는 이러한 전기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평면을 기준으로 특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의 (a) 내지 (e)에는 다양한 평면 형상이 도시된다. (a)는 평행한 직선이 다수 배치된 구조, (b)는 격자 구조, (c)는 도트 구조, (d)는 (a)와는 수직인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이 배치되는 구조이며, (e)는 스파이럴 구조를 의미한다.
선과 선 사이에 전도성 부재가 채워지며, 전도성 잉크 역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전도성을 발휘하는 재질이나 방식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스마트 기저귀의 외면에 배치된 상기 센싱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5는 소위 '팬티형 기저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저귀(100)는 중앙에 위치된 안감층(150) 및 안감층(150) 내측에 매립된 흡수층(110)을 포함한다. 안감층(150)에는 착용자의 배뇨의 유동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슬릿부(152)가 형성된다. 도 5에서는 안감층(150)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한 쌍의 슬릿부(152)가 형성됨을 도시한다. 안감층(150)은 허리부(194)가 구비되며, 허리부(194)에는 측방향으로 탄력을 갖도록 형성된 허리밴드부(194b)가 형성된다. 팬티형 기저귀는 허리부(194)가 폐쇄되도록 접합되나, 도 5에서는 접합상태를 해제함을 기준으로 도시하며, 접합부(194a)는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흡수층
130: 흡수확산층
150: 안감층
170: 방수층
190: 겉감층
200: 센싱모듈

Claims (11)

  1. 외면에 센싱모듈(200)이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마트 기저귀로서,
    내면에 착용자의 배뇨가 흡수되는 흡수층(110);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안감층(150); 및
    착용자의 배뇨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수 재질을 포함하는 방수층(170); 을 포함하며,
    상기 흡수층(110), 안감층(150) 및 방수층(170)은,
    전도성 물질이 도포되어 상기 전도성 물질이 입체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어느 한 부위 이상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기저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110)은, 상기 내면이 상방을 향하는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중심 측에 위치되고,
    상기 안감층(150)은, 상기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방수층(170)은, 상기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흡수층(110), 안감층(150) 및 방수층(170) 각각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형태로 배치된 전도성 부재를 포함한 상태로 적층되어 접합되되,
    상기 흡수층(110), 안감층(150) 및 방수층(170) 각각에 포함된 전도성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대면하는 층에 포함된 전도성 부재와 맞닿도록 배치됨으로써,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스마트 기저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저귀는,
    상기 흡수층(1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고, 착용자의 배뇨를 상기 흡수층(110)로 확산시키는 흡수확산층(13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감층(150)은, 상기 흡수확산층(13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수확산층(130)에 포함된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흡수층(110), 안감층(150) 및 방수층(170) 중 적어도 일부가 대면하는 층에 포함된 전도성 부재와 맞닿도록 배치되는,
    스마트 기저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감층(150)은,
    최상단에 탑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층(110)은,
    펄프, 고분자 흡수체,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층(170)은,
    최하단에 겉감층(190)을 포함하며,
    방수막, 고무줄부, 옆샘방지층, 테잎부 및 허리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기저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감층(150), 흡수확산층(130), 흡수층(110) 및 방수층(170) 각각에 포함된 전도성 부재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스마트 기저귀의 외면에 배치된 상기 센싱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기저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200)은,
    상기 스마트 기저귀의 내면에 착용자의 배뇨가 흡수될 경우, 상기 전도성 부재를 통한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배뇨 상태를 센싱하는,
    스마트 기저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저귀의 외면에는,
    상기 센싱모듈(200)이 부착되는 센싱모듈부착영역(192)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170) 중 상기 센싱모듈부착영역(192)과 대면하는 측에는, 전도성 부재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센싱모듈(200)이 상기 센싱모듈부착영역(192)에 부착될 경우, 상기 센싱모듈(200) 및 상기 방수층(170)의 전도성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마트 기저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안감층(150), 흡수확산층(130), 흡수층(110) 및 방수층(170)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전도성 부재는,
    기설정된 크기의 메쉬 형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스마트 기저귀.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안감층(150), 흡수확산층(130), 흡수층(110) 및 방수층(170)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전도성 부재는,
    수평 방향 중 일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직선 형상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한 상태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스마트 기저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감층(150)에는,
    착용자의 배뇨의 유동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슬릿부(152)가 형성되고,
    상기 안감층(150), 흡수확산층(130), 흡수층(110) 및 방수층(170)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슬릿부(15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스마트 기저귀.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저귀는,
    상기 흡수층(110)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되, 상기 흡수확산층(130) 내에 위치되는 흡수층포장층(112); 및
    상기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안감층(150)의 양 측부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는 옆샘방수층(160); 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저귀.
KR1020200130543A 2020-10-08 2020-10-08 전도성 부재가 입체적으로 배치된 스마트 기저귀 KR102569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543A KR102569519B1 (ko) 2020-10-08 2020-10-08 전도성 부재가 입체적으로 배치된 스마트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543A KR102569519B1 (ko) 2020-10-08 2020-10-08 전도성 부재가 입체적으로 배치된 스마트 기저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067A true KR20220047067A (ko) 2022-04-15
KR102569519B1 KR102569519B1 (ko) 2023-08-25

Family

ID=8121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543A KR102569519B1 (ko) 2020-10-08 2020-10-08 전도성 부재가 입체적으로 배치된 스마트 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5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067A (ja) * 1998-10-13 2000-07-04 Denso Corp 排泄監視装置、報知装置付おむつ、および排泄監視システム
JP2006296566A (ja) * 2005-04-18 2006-11-02 Ishikawa Pref Gov おむつ及び排泄検出装置
KR20130140515A (ko) * 2012-06-14 2013-12-24 실버레이 주식회사 용변 감지기능을 갖춘 기저귀
KR20170099248A (ko) * 2016-02-23 2017-08-31 (주)크레이더스 스마트 기저귀
KR20190030492A (ko) * 2017-09-14 2019-03-22 (주) 삼보 일회용 기저귀를 이용한 대소변 정보 알림 시스템 및 대소변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067A (ja) * 1998-10-13 2000-07-04 Denso Corp 排泄監視装置、報知装置付おむつ、および排泄監視システム
JP2006296566A (ja) * 2005-04-18 2006-11-02 Ishikawa Pref Gov おむつ及び排泄検出装置
KR20130140515A (ko) * 2012-06-14 2013-12-24 실버레이 주식회사 용변 감지기능을 갖춘 기저귀
KR20170099248A (ko) * 2016-02-23 2017-08-31 (주)크레이더스 스마트 기저귀
KR20190030492A (ko) * 2017-09-14 2019-03-22 (주) 삼보 일회용 기저귀를 이용한 대소변 정보 알림 시스템 및 대소변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519B1 (ko)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10960B (zh) 智能护理耗材及具有其的生理监控装置
TW201201783A (en) Feces collector for humans
US10624795B2 (en)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US11229557B2 (en)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CN101854895A (zh) 用于吸收性物品的感应线圈潮湿传感器
KR20110098739A (ko) 젖음 센서 삽입체
JP6232216B2 (ja) 吸収性物品
US11291591B1 (en) Smart monitoring system with wetness detection
TR201908734T4 (tr) Akıllı bakım sarf malzemesi, buna ait haddelenebilir sensör modülü ve buna ait üretim yöntemi.
US11617689B2 (en)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JP3210792U (ja) 大小便検知センサ、おむつ及び監視システム
KR20210079819A (ko) 대소변 감지 기저귀
JP2014226386A (ja) おむつ用補助シート
JP4159434B2 (ja) 紙おむつカバー及び吸収性物品
KR102569519B1 (ko) 전도성 부재가 입체적으로 배치된 스마트 기저귀
EP2145611A1 (en) Absorptive article, absorptive article system, and care system
KR200321534Y1 (ko) 기저귀용 분뇨 감지기
US10888467B2 (en)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JP2000051270A (ja) 便分離機能付きおむつ及びおむつパッド
US20220151839A1 (en) Diaper with collection pouch
JP2000093455A (ja) 液体誘導具、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下着
JP5996289B2 (ja) 吸収性物品、及びおむつ
WO2021221014A1 (ja) 吸収性物品、及び、排便排尿判定方法
US20200306100A1 (en) Incontinence Detection System
KR20220144170A (ko) 알림 기저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