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841B1 - 조절 가능한 슬라이딩 평면을 구비하는 프린터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슬라이딩 평면을 구비하는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841B1
KR102579841B1 KR1020207008707A KR20207008707A KR102579841B1 KR 102579841 B1 KR102579841 B1 KR 102579841B1 KR 1020207008707 A KR1020207008707 A KR 1020207008707A KR 20207008707 A KR20207008707 A KR 20207008707A KR 102579841 B1 KR102579841 B1 KR 102579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fixed support
printer
support plane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530A (ko
Inventor
알레싼드로 마네스
지오바니 나탈리스
로베르토 마네스
Original Assignee
알레프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레프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알레프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0004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7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8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41J11/005Guides in the printing zone, e.g. guides for preventing contact of conveyed sheets with print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8Printing on tex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 B65H5/22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by suction devices
    • B65H5/224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by suction devices by suctio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1Suction box; Suction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10Ensuring correct operation
    • B65H2601/12Compensating; Taking-up
    • B65H2601/122Play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측벽들(21, 22)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2); 기판(9)을 진행 방향(x)으로 전진시키기 위해 슬라이딩 가능한 운송 장치(3)로, 상기 운송 장치(3)는 컨베이어 벨트(30) 및 고정 지지 평면(31)을 포함하며, 컨베이어 벨트(30)는 기판(9)과 접촉하도록 의도되는 외부 표면(303) 및 고정 지지 평면(31)과 접촉하도록 의도되는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운송 장치(3); 컨베이어 벨트(30)의 외부 표면(303)의 근방에 배치되며, 진행 방향(x)과 수직인 인쇄 방향(y)을 따라 작동하는 인쇄 헤드(41)를 포함하는 인쇄기기(4); 기판(9)을 컨베이어 벨트(30)에 대해 부착 및 고정 유지하기에 적합한 유지 수단(5); 운송 장치(3)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6);을 포함하고, 고정 지지 평면(31)은 2개의 측면 단부들(311, 312)를 포함하고; 및 고정 지지 평면(31)의 측면 단부들(311, 312)은 지지 구조물(2)의 측벽(21, 22) 위에 안착하고 있는, 프린터에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운송 장치(3)의 조절 수단은 측벽들 중 하나의 측벽(21)과 고정 지지 평면(31)의 각 측면 단부(311)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조절 조립체(6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슬라이딩 평면을 구비하는 프린터
본 발명은 조절 가능한 슬라이딩 평면을 갖는 대형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탄도 및 배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대형 기판 위에 디지털 인쇄를 위해 산업용 프린터,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용도를 위한 프린트 기판은 일반적으로 종이, 폴리머 또는 섬유 재료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포스터, 광고판, 배너, 의류 직물, 가구 직물 등을 인쇄하는 데에 사용된다.
삭제
이러한 유형의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인쇄하는 동안에 진행 방향으로 기판을 전진시키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운송 장치를 포함한다.
운송 장치에 부착된 기판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제공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방식으로, 기판이 운송 장치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유지 수단은 접착제 층 또는 정전기 전하를 사용할 수 있다.
유지 수단에 관한 다른 공지된 해결책은, 흔하지는 않지만, 진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진행(advancement) 및 인쇄 단계에서 운송 장치에 대해 기판을 고정 상태로 유지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공지된 유형의 대형 산업용 프린터를 도시한다.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아래의 일부 규칙이 참조된다. 프린터는 중력 가속도 g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사용되도록 의도되기 때문에, 중력 가속도 g는 고유하게 수직 방향을 정의하도록 의도된다. 마찬가지로, 중력 가속도 g에 기초하여 , "높은(high)", "더 높은(higher)", "위에(above)" 등의 용어는 명백하게 "낮은(low)", "더 낮은(lower)", "아래에(below)" 등이 정의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중력 가속도 g는 중력 가속도와 직교하는 수평방향 평면을 고유하게 정의한다.
기판이 진행하는 수평 방향을 x로 호칭하고, x에 수직하는 수평 방향을 y로 호칭한다. x 및 y로 오른손 트리플릿을 형성하는 수직 방향을 z라고 호칭한다. 이러한 규칙에 따라 z와 g는 방향이 같고, g는 음수 값을 갖는다.
기판 전진과 관련하여, "전방(front)", "앞으로(forward)" 등의 용어는 "후방(back)", "뒤로(behind)" 등과 같은 용어가 정의된다.
프린터의 중요한 특징은 인쇄 영역의 폭이다. 폭은 y 방향의 인쇄 영역 크기를 의미한다. 기판은 종종 롤 형태로 배열되기 때문에, 인쇄 영역의 최대 길이(즉, x 방향으로 측정된 치수)는 거의 무한하며 가장 일반적인 요구사항을 훨씬 초과하는 한계를 갖는다. 반대로, 인쇄 영역의 최대 폭은 프린터의 치수, 특히 운송 장치의 폭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으로, 프린터가 넓을수록 시장에서 더 다재다능한 것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가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린터의 폭을 증가시키는 것은 몇몇 문제를 야기한다. 그 중에서 중요한 문제는 슬라이딩 운송 장치의 평탄도 및 올바른 배향을 보장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슬라이딩 운송 장치의 실제 표면이 최고로 가능한 평면(평탄도)에 근접하고, 이 평면이 두 방향(x, y)(배향)에 의한 기하 관점에서 엄격하게 정의되는 인쇄 평면(xy)에 평행해야 한다는 것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근사하려고 하는 인쇄 평면(xy)은 수평방향 평면이다.
슬라이딩 운송 장치는 보통 2개의 롤러 위에 장착된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한다. 2개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두 롤러는 y 방향에 평행한 축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컨베이어 벨트는 운송 부분(상부) 및 복귀 부분(하부)을 정의한다. 운송 부분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기판 위에 잉크가 효과적으로 적층되는 인쇄 영역이 정의된다. 복귀 부분에서,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의 세정, 세척 및/또는 건조를 위한 서비스 영역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컨베이어 벨트의 운송 부분 및 이에 따라 인쇄 영역은 벨트 자체 아래에 배치된 고정 지지 평면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 평면은 컨베이어 벨트가 두 롤러 사이에서 오목한 모양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품질 인쇄를 보장하는 데 필요한 강성을 부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송 장치에 진공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컨베이어 벨트는 다수의 작은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유사하게, 고정 지지 평면은 진공 시스템과 연통하는 개구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린터가 작동하는 중에, 진공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부압(depression)에 의해 운송 장치 위에 놓인 기판이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유지, 드래그 및 제 위치에 유지된다.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고품질 인쇄를 위해 필요한 조건들 중 하나는 운송 장치, 특히 인쇄 영역의 평탄도 및 배향을 보장하는 것이다. 실제로, 최종 인쇄 품질은 다른 요인들 중에서도 프린트 헤드 노즐을 기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인쇄 품질이 균일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운송 장치의 평탄도 및 방향은 인쇄 영역 전체에 걸쳐 이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인쇄 영역의 평탄도 및 배향을 결정하는 지지 평면의 평탄도 및 배향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지지 평면의 평탄도는 적어도 두 가지 요인이 문제가 된다. 우선, 지지 평면은, 진공 시스템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천공된 구조를 가져야 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운송 장치의 폭을 증가시키려는 경향이 현저하다.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 출원 WO 2017/060875호는 평탄도만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흡인 운송 장치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를 개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출원의 해법에 따르면, 컨베이어 박스 아래에 진공 박스가 제공된다. 진공 박스는 프린터가 놓여 있는 프린터 측벽 사이에 다리처럼 연장되어 있다. 진공 박스는 컨베이어 벨트의 고정 지지 평면을 구성하는 상부 벽에 의해 상부에서 폐쇄된 대야(basin)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터의 폭으로 인해, 두 측벽 사이의 굴곡 변형을 제한하기 위해 박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WO 2017/060875호의 진공 박스는 더 큰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y 방향으로 한 측면에서 다른 측면으로 완전히 연장하는 중앙 격막을 또한 포함한다. 그렇지만, 굽힘으로 인한 진공 박스의 변형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진공 박스 내부에 지지 평면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한다. 개념적으로, 이들 수단은 2개의 쐐기 표면에 의해 형성된 블록을 포함하는데, 그 중 하나는 진공 박스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적절한 가이드 나사의 작용에 의해 y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y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2개의 쐐기 표면은 z 방향으로 블록의 전체 높이의 변화를 결정한다. 블록의 높이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굽힘으로 인한 편향을 보상하기 위해 2개의 측벽 사이의 중간 추력이 지지 평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중앙 격막의 존재는 평탄도 조절 수단이 최적의 위치, 즉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이유로, 공지된 해결책에서, 평탄도 조절 수단을 두 배로 하여 중앙 격벽의 양측에 각각 자체 가이드 나사를 갖는 2개의 동일한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WO 2017/060875호는 굽힘으로 인해 편향되지 않게 할 가능성을 제공하여, 지지 평면의 평탄성을 상당히 개선시킨다. 이 솔루션은 널리 인정되었지만, 일부 개선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우선, 이 솔루션은 프린터가 지지 평면 방향의 관점에서 완벽하게 장착되었다고 가정한다. 즉, 이 솔루션은 동시에 다음을 가정한다.
- 진공 박스가 안착되는 측벽에 의해 제공되는 2개의 받침대 각각은 완벽하게 수평이다(x 방향과 평행); 및
- 측벽에 의해 제공되는 2개의 받침대는 z 방향으로 서로 완벽하게 정렬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만 측벽에 의해 제공되는 두 개의 받침대가 완벽하게 수평방향 평면을 정의한다. 이러한 가정에 기초하여, 지지 평면의 정확한 배향이 확실한 것으로 가정되고, 진공 박스의 굽힘으로 인한 편향을 방지함으로써 평탄도가 상당히 개선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그러나 이런 사실의 현실은 매우 다르다. 먼저, 프린터의 크기와 전체 질량을 고려할 때, 최고 표준에 따른 설치가 상당히 어렵다.
또한, 최고 표준에 따라 설치하는 경우에도, 후속해서 침하가 일어날 가능성이 여전히 있다. 프린터의 목공사와 그것을 유지하는 토목 공사(기초 및 포장)는 방향 x에 대한 각 받침대의 정렬 및/또는 두 개의 받침대의 서로에 대한 정렬과의 타협과 같은 합의를 겪을 수 있다. 당연히, 이러한 받침대들이 없으면, 지지 평면의 배향이 상실되므로, 굽힘으로 인한 편향의 상쇄는 유용하지만 불충분하다.
또한, 이중 조정 수단의 소인은 자연적으로 상대 비용 및 무엇보다도 질량의 배가를 수반한다. 이와 관련하여, 진공 박스는 자주 유지보수 주기를 거쳐야 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조작자가 분해하고 취급해야 하기 때문에, 진공 박스는 가능하면 가벼워야 한다.
또한, 이중 조정 수단의 제공은 평탄도 및 배향의 조정 단계가 더 복잡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진행 방향(x)으로 지지 평면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 블록 모두 조정되어야 하고 서로에 대해 정렬되어야만 한다.
또한, 특정 시험 과정에서, 출원인은 지지 평면의 평탄도를 조정하기 위한 공지된 수단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실제로, 지지 평면의 하부 표면을 가압하기 위해, 이러한 수단은 반드시 동일하고 반대의 구속 반응을 발생시킨다. 특정 경우에, 이 구속 반응은 진공 박스의 바닥 벽에 의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 바닥 벽은 상부 벽에 비교할만한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평탄도 조정 작업은 평탄도 조정 수단이 작동되는 양 벽의 변형을 부과한다. 이 때문에, 평탄도 조정 수단의 작용은 특별하게 효율적이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강조된 공지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이 목적 내에서, 본 발명의 과제는 슬라이딩 운송 장치를 구비하고, 공지된 해결책에서 이미 인식되어 있는 품질을 유지하고 비-최적화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선시키는 평탄도 및 배향 조정 수단을 구비한 프린터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과제는 슬라이딩 운송 장치의 평탄도 및 배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이 프린터의 측벽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대의 임의의 정렬불량(misalignment)을 보상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슬라이딩 운송 장치의 평탄도 및 배향을 조정하는 수단이 효율적이고 사용하기 쉽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상적인 유지 보수를 위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평탄도 및 배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운송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이러한 과제는 청구항 1에 따른 프린터에 의해 달성된다.
프린터는 다음의 바람직한 특징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터는 또한 기판이 운송 장치에 부착되도록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인쇄 방향(y)은 진행 방향(x)에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 방향(x, y)은 인쇄 평면(xy)을 정의한다. 바람직하게는, 진행 방향(x), 인쇄 방향(y) 및 인쇄 평면(xy)은 수평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프린트 헤드는 실질적으로 기판의 전체 폭을 커버하도록 인쇄 방향(y)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프린트 헤드는 고정되고 기판의 전체 폭을 덮을 수 있는 연장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운송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 및 고정 지지 평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 벨트는 기판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외부 표면을 갖는 운송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 벨트는 또한 고정 지지 평면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쇄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의 외부 표면 근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수단은 기판을 컨베이어 벨트에 대해 부착 및 고정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 구조물은 2개의 측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지지 평면은 2개의 측면 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지지 평면의 측면 단부는 지지 구조물의 측벽 위에 안착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운송 장치의 조절 수단은 고정 지지 평면의 측벽과 각각의 측면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조절 조립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조절 조립체는 고정 지지 평면의 각 측면 단부에 인쇄 평면(xy)에 수직인 조절 방향(z)으로 이동 운동을 과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조절 조립체는 인쇄 방향(y)에 대해 고정 지지 평면의 각각의 측면 단부 주위에 회전 운동을 부과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조절 조립체는 필요에 따라 진행 방향(x)을 따라 구별될 수 있는 조절 방향(z)(예를 들어 수직)으로 병진을 부과하기에 적합하다. 조절 방향(z)으로의 병진은 측면 단부의 전방 부분과 측면 단부의 후방 부분 사이에서 구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면 조절 조립체는 조절 방향(z)에 평행한 축을 갖는 한 쌍의 나사, 풀링 나사 및 푸시 나사를 포함한다. 풀링 나사는 고정 지지 평면의 측면 단부에서 매끄러운 관통 보어 내로 자유롭게 활주하고 지지 구조물의 측벽에서 나선형 보어 내로 나사 결합된다. 푸싱 나사는 측면 단부에서 나선형 보어에 나사 결합되고 측벽 표면에 대해 축 방향으로 지지된다. 두 나사의 결합된 조임에 따라 고정 지지 평면의 측면 단부의 블로킹이 결정된다. 두 개의 나사 중 하나를 풀고 다른 나사를 조이면 측면 단부가 조절 방향(z)을 따라 이동하여 측벽과 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립 조절 조립체는 2개의 서브-조립체: 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 및 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측면 조절 서브-조립체 각각은 한 쌍의 나사: 풀링 나사 및 푸시 나사를 포함한다. 양 나사는 모두 조절 방향(z)에 평행한 축을 갖는다. 각 측면 조절 서브-조립체의 각 나사 쌍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하여, 측면 단부의 각 부분의 조절 방향(z)을 따른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구조물의 측벽은, 위에 고정 지지 평면의 측면 단부가 지지되고 구속되는 받침대(abutment)를 정의한다. 측면 조절 조립체는 받침대를 진행 방향(x)으로 정렬하기 위해, 받침대에 회전-이동(roto-translation)을 부과할 수 있다. 측면 단부가 받침대 위에 놓이기 때문에, 받침대의 회전-이동은 측면 단부에 동일하게 전달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운송 장치의 조절 수단은 2개의 측면 조절 조립체: 전술한 제1 측면 조절 조립체 및 제2 측면 조절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1 측면 조절 조립체는 고정 지지 평면의 제1 측면 단부와 제1 측벽 사이에 위치되고; 제2 측면 조절 조립체는 고정 지지 평면의 제2 측면 단부와 제2 측벽 사이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2개의 측면 조절 조립체 중 하나는 각각의 측면 단부에 회전-이동을 부과하기에 적합하고, 2개의 측면 조절 조립체 중 다른 하나는 상대적으로 측면 단부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간단한 병진이동을 부과하기에 적합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측면 조절 조립체의 구조는 제1 측면 조절 조립체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2개의 구조는 평면(xz)에 대해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측면 조절 조립체가 2개의 서브-조립체: 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 및 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측면 조절 서브-조립체 각각은 한 쌍의 나사: 풀링 나사 및 푸시 나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 나사는 조절 방향(z)에 평행한 축을 갖는다.
제1 측면 조립체 및 그의 가능한 서브-조립체에 대해 전술한 특징, 작동 모드 및 조정 가능성이 제2 조립체 및 그의 가능한 서브 조립체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송 장치의 조절 수단은 고정 지지 평면 각각의 각도에 대한 특정 조절 서브-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구조물은 2개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크로스 빔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운송 장치의 조절 수단은 중앙 조절 조립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조절 조립체는 크로스 빔과 고정 지지 평면의 중앙 부분 사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조절 조립체는 인쇄 평면(xy)에 수직인 조절 방향(z) 으로 이동 운동을 고정 지지 평면의 중앙 부분에 부과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측면 조절 조립체는,
- 인쇄 평면(xy)에 대해 경사지고 고정 지지 평면의 제1 측면 단부에 고정된 표면; 및
- 경사면과 지지 구조물의 제1 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 가능한 쐐기를 포함한다.
경사면은 인쇄 평면(xy)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의 각도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쐐기는 경사면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쐐기의 이동은 인쇄 방향(y)에 평행한 축을 갖는 하나 이상의 나사 쌍(풀링 나사 및 푸시 나사)에 의해 얻어진다.
풀링 나사는 이동 가능한 쐐기의 매끄러운 관통 보어 내로 자유롭게 미끄러 져 들어가고 측벽의 나선형 보어에 나사 체결된다. 푸시 나사는 이동 가능한 쐐기의 나선형 보어에 나사 체결되고 측벽 표면 위에 축 방향으로 지지된다. 두 나사의 조합된 조임은 이동 가능한 쐐기의 블로킹을 결정한다. 반대로, 두 개의 나사 중 하나를 풀고 다른 나사를 조임으로써 이동 가능한 쐐기를 인쇄 방향(y)을 따라 이동시켜 측벽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동 가능한 쐐기는 진행 방향(x)을 따라 상기 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 및 상기 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연장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각 측면 조절 서브 조립체는 한 쌍의 나사를 포함하고, 각 나사 쌍은 풀링 나사 및 푸시 나사를 포함한다. 양 나사는 인쇄 방향(y)에 평행한 축을 갖는다.
제1 측면 조립체 및 그 한 쌍의 나사에 대해 전술한 특징, 작동 모드 및 조정 가능성은 2개의 서브 조립체 및 각각의 나사 쌍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동 가능한 쐐기의 상부 표면은 고정 지지 평면의 측면 단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전술한 받침대를 구성한다.
제2 측면 조절 조립체의 구조는 제1 측면 조절 조립체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평면(xz)에 대해 대칭이라는 점만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조절 조립체는,
- 인쇄 평면(xy)에 대해 경사지고 고정 지지 평면의 중앙 부분에 고정된 표면; 및
- 경사면과 지지 구조물의 크로스 빔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 가능한 쐐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조절 조립체는 인쇄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한 쐐기를 병진 이동시켜 그 자체와 평행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단 하나의 조절 나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터는 기판이 운송 장치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된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지 수단은 진공 시스템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진공 시스템은 진공 박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진공 박스는 개방작업 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개방작업 벽은 고정 지지 평면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조절 조립체는 진공 박스 외부, 예를 들어 크로스 빔과 진공 박스의 중앙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고 그 장점을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형태들 중 일부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슬라이딩 운송 장치를 구비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슬라이딩 운송 장치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의 사시도로,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인쇄 부재 및 컨베이어 벨트는 생략하였다.
도 3은 도 2의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V로 표시된 세부 사항의 확대도로,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 직접 연관되지 않은 일부 요소는 생략하였다.
도 6은 그림 7의 VI-V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a는 조립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b는 작동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a는 조립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b는 작동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c는 유지보수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체가 도면부호 1로 지시되어 있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프린터(1)는 잉크젯 타입일 수 있다. 또한, 프린터(1)는 섬유, 종이, 폴리머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 기판(9)을 인쇄하기에 적합한 유형일수 있다. 프린터(1)는,
- 지지 구조물(2);
- 진행 방향(x)으로 기판(9)을 진행시키기 위한 운송 장치(3);
- 인쇄 방향(y)을 따라 작동하는 인쇄 헤드(41)를 포함하는 인쇄기기(4); 및
- 운송 장치(3)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6);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터(1)는 또한 운송 장치(3)에 부착된 기판(9)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 수단(5)을 포함한다.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인쇄 방향(y)은 진행 방향(x)과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방향(x, y)은 인쇄 평면(xy)을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진행 방향(x), 인쇄 방향(y) 및 인쇄 평면(xy)은 수평이다. 인쇄기기(4)가 운송 장치(3) 위에 배치된 이러한 구성이 유일하게 가능한 구성은 아니지만 특정 장점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은 가능한 중력 가속도 g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의 흐름을 관리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기판(9)의 폭 전체(인쇄 방향(y)으로 기판(9)의 연장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인쇄 헤드(41)는 인쇄 방향(y)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인쇄 헤드(41)는 고정되어 있고 인쇄 방향(y)으로 연장되어 모든 경우에서 인쇄되는 기판(9)의 전체 폭을 커버한다.
운송 장치(3)가 컨베이어 벨트(30) 및 고정 지지 평면(3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 벨트(30)는 기판(9)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외부 면(303) 및 고정 지지 평면(31)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내부 면을 갖는 운송 부분(301)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인쇄기기(4)는 컨베이어 벨트(30)의 외부 면(303) 근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수단(5)은 기판(9)을 컨베이어 벨트(30)에 대해 부착 및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 구조물(2)은 2개의 측벽(21, 22)을 포함하고, 고정 지지 평면(31)은 2개의 측면 단부(311, 312)를 포함한다. 고정 지지 평면(31)의 측면 단부(311, 312)는 지지 구조물(2)의 측벽(21, 22) 위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1)에서, 운송 장치(3)의 조절 수단(6)은 측벽(21)과 고정 지지 평면(31)의 각각의 측면 단부(311)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조절 조립체(61)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측면 조절 조립체(61)는 고정 지지 평면(31)의 각각의 측면 단부(311)에 인쇄 평면(xy)에 수직인 조절 방향(z)으로의 병진 이동 및/또는 인쇄 방향(y) 주위에서의 회전 운동을 부과하기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조절 조립체(61)는 실제로 필요에 따라 진행 방향(x)을 따라 구별될 수 있는 조절 방향(z)(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병진을 부과하기에 적합하다. 즉, 조절 방향(z)으로의 병진은 측면 단부(311)의 전방 부분(3111)과 측면 단부(311)의 전방 부분(3112) 사이에서 다를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절 방향(z)으로 균일하게 병진하면 고정 지지 평면(31)의 측면 단부(311)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하게 한다. 반대로, 진행 방향(x)을 따라 차별화된 조절 방향(z)에서의 병진은 측면 단부(311)가 인쇄 방향(y)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움직임도 부과한다.
조절 방향(z)을 따른 위치는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높이(height)'라고도 부른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측면 조절 조립체(61)는 한 쌍의 나사 즉 풀링 나사(pulling screw)와 푸싱 나사(pushing screw)를 포함하는데, 이들 모두는 조절 방향(z)에 평행한 축을 구비한다. 풀링 나사는 측면 단부(311)의 바람직스럽게 매끈한 관통 보어 내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하고, 측벽(21)의 나선형 보어 내로 나사 체결된다. 푸싱 나사는 측면 단부(311) 내 나선형 보어 내로 나사 체결되고, 측면 단부의 헤드와 인접하는데 즉 측면 벽 면(21) 위에서 측면 단부들 중 한 단부와 축 방향으로 인접한다. 두 나사의 조합된 조임은 측면 단부(311)의 블로킹을 결정한다. 반대로, 두 나사 중 하나를 풀고 다른 나사를 조임으로써, 측면 단부(311)를 조절 방향(z)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어서 궁극적으로 측벽(21)으로부터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조절 방향(z)을 따라 측벽(21)에서부터 측면 단부(311)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측면 단부(311)의 블로킹 상태에서 시작하여 풀링 나사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푸싱 나사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푸싱 나사를 조임으로써, 측면 단부(311)가 측벽(21)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된다. 조절 방향(z)을 따라 희망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풀링 나사를 조임으로써 측면 단부(311)가 다시 블로킹된다. 반대로, 동일한 잠금 상태에서 출발하여, 조절 방향(z)을 따라 측면 단부(311)를 측벽(21)에 근접시키기 위해서는, 푸싱 나사를 풀러서 풀링 나사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야 한다. 풀링 나사를 조임으로써, 측면 단부(311)가 측벽(21)에 접근하게 된다. 조절 방향(z)을 따라 희망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푸싱 나사 조임으로써 측면 단부(311)가 다시 블로킹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면 조절 조립체(61)는 진행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611) 및 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612)인 2개의 서브-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서브-조립체(611, 612) 각각은 조절 방향(z)과 평행한 축을 갖는 한 쌍의 나사 즉 풀링 나사 및 푸싱 나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측면 조절 조립체의 나사 쌍들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하여, 측면 단부(311)의 각 부분의 조절 방향(z)을 따라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611)의 나사 쌍은 조절 방향(z)을 따라 측면 단부(311)의 전방 부분(31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이와 유사하게, 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612)의 나사 쌍은 조절 방향(z)을 따라 측면 단부(311)의 후방 부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서브-조립체(611, 612)의 동일한 규제는 측면 단부(311)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는 병진 이동하게 한다. 반대로, 2개의 서브-조립체(611, 612) 상에서 조절 작업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측면 단부(311)를 인쇄 방향(y) 주위를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측면 조절 조립체(61)의 기능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한다. 도 8a는 완전하게 수평이 아닌 베이스 위에 설치되어 있는 프린터(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프린터(1)의 고정 지지 평면(31)이 (일점쇄선으로 표기되어 있는) 수평 방향에 대해 정렬불량되어 있다. 도 8a에서, 수평방향에 대한 정렬불량은, 독자들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과장되어 있다. 실제에서 발생하는 정렬불량은 이보다는 상당히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측면 조절 조립체(61) 상에서 다른 방식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측면 단부(311)를 진행 방향(x)을 따라 다른 정도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되어, 측면 단부(311)가 수평 방향으로 완벽하게 정렬되어 있는 도 8b의 상태로 될 수 있다.
측벽(21)은 위에 고정 지지 평면(31)의 측면 단부(311)가 지지되고 구속되는 받침대(211)(abutment)를 획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받침대(211)를 진행 방향(x)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측면 조절 조립체(61)는 받침대(211)에 회전 이동을 부여할 수 있다. 측방향 단부(311)가 받침대(211) 위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대(211)의 회전 이동이 측면 단부(311)에 동일하게 전달된다. 측면 조절 조립체(61)가 받침대(211)에 회전 이동을 부여하는 이 해법들에 의해 일부 이점들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실제로, 예를 들어 유지보수를 위해 고정 지지 평면(31)을 분리하더라도 진행 방향(x)으로 완벽하게 정렬되어 있는 받침대(211)의 조절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고정 지지 평면(31)이 재조립될 때, 측면 단부(311)는 받침대(211)에 의해 다시 올바른 위치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특별한 구성으로 인해, 프린터(1) 특히 고정 지지 평면(31)을 더욱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1)에서, 운송 장치(3)의 조절 수단(6)은 2개의 측면 조절 조립체: 전술한 제1 측면 조절 조립체(61) 및 제2 측면 조절 조립체(62)를 포함한다. 제1 측면 조절 조립체(61)는 고정 지지 평면(31)의 제1 측면 단부(311)와 제1 측벽(21)과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측면 조절 조립체(62)는 고정 지지 평면(31)의 제2 측면 단부(312)제2 측벽(22)과 사이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2개의 측면 조절 조립체 중 하나(예를 들어, 제1 측면 조절 조립체(61))는 각각의 측면 단부(동일한 예에서 제1 측면 단부(311))에 회전-이동을 부여하기에 적합한 반면, 2개의 측면 조절 조립체 중 다른 조립체(예에서 제2 측면 조절 조립체(62))는 상대 측면 단부(본 예에서 제2 측면 조절 단부(312))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직선형으로 단순히 병진하게 하는 데에 적합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측면 조절 조립체(62)의 구조는, 평면(xz)에 대해 대칭이라는 유일한 차이가 있을 뿐, 제1 측면 조절 조립체(61)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제2 측면 조절 조립체(62)는 두 개의 서브-조립체: 전방 측 조절 서브-조립체(621) 및 후방 측 조절 서브-조립체(622)를 포함한다. 두 측면 조절 서브-조립체(621, 622) 각각은 한 쌍의 나사: 풀링 나사 및 푸싱 나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링 나사 및 푸싱 나사 모두는 조절 방향(z)에 대해 평행한 축을 구비한다.
제1 측면 조립체(61) 및 가능한 서브-조립체(611 및 612)에 대해 상술된 특징, 작동 모드 및 조절 가능성이 제2 조립체(62) 및 가능한 서브-조립체(621, 6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자명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측면 조절 조립체(61, 62) 각각은 고정 지지 평면(31)의 각 측면 단부(311, 312)의 진행 방향(x)에 완벽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일부 환경에서, 완벽하게 수평방향으로 배향된 두 측면 단부(311, 312)는 고정 지지 평면(31)과 인쇄 평면(xy)의 정렬을 결정하기에 불충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 측면 단부(311, 312)가 모두 완벽하게 수평이더라도 조절 방향(z)을 따라 상이한 높이에 있다면, 고정 지지 평면(31)은 전체적으로 인쇄 평면(xy)에 대해 경사질 것이다. 2개의 측면 조절 조립체(61 및 62)의 존재는 2개의 측면 단부(311, 312)가 서로에 대해 위치되는 2개의 높이(z)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조정은 수평 평면에 대해 두 높이(z) 사이에 차이가 없게 한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 운송 장치(3)의 조절 수단(6)은 고정 지지 평면(31)의 측면 단부들의 각 부분에 대한 특정 조절 서브-조립체를 포함한다. 특히, 제1 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611)는 제1 측면 단부(311)의 전방 부분(3111)과 관련되고; 제1 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612)는 제1 측면 단부(311)의 후방 부분(3112)과 관련되며, 제2 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621)는 제2 측면 단부(312)의 전방 부분(3121)과 관련되고; 제2 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622)는 제2 측면 단부(312)의 후방 부분(3122)과 관련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고정 지지 평면(31)의 측면 단부들의 각 부분의 위치의 미세하고 독립적인 조정 가능성으로부터 유도되는 장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실제로 조정이 다목적성으로 되게 한다.
고정 지탱 표면(31)의 양 측면 단부(311, 312)가 완벽하게 수평이고, 이들이 조절 방향(z)에서 정확히 동일한 높이에 있을 때,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인 인쇄 평면(xy)에 대하여 고정 지지 평면(31)의 완벽한 배향을 보장하기위한 최상의 조건이 설정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을 참조하여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2개의 측면 조절 조립체(61 및 62)에 의해 제공되는 조건은 고정 지지 평면(31)의 평탄성을 보장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 지지 평면(31)이 두 측벽들(21 및 22) 사이의 다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일부 경우에, 중력을 영향을 받아 굽힘으로 인해 평면의 무시할 수 없는 변형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고정 지지 평면(31)의 중앙 부분(310)은 측면 단부들(311, 312)에 대해 조절 방향(z)으로 어느 정도의 높이만큼 떨어질 수 있다("휨(deflection)"으로 불림). 이 특정 문제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도 9a 및 9b를 참조할 것이다. 도 9a는 고정 지지 평면(31)의 수평방향 측면 단부들(311, 312)이 정확하게 동일한 높이(z)에 있지만, 수평면(일점쇄선으로 지시되어 있음)에 대해 무시할 수 없는 변형의 영향을 받는 프린터(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a에서, 수평방향에 대한 휨은 독자들의 용이한 인지를 위해 과장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실제로 발생하는 휠은 훨씬 작다.
지지 구조물(2)은 두 측벽들(21, 22) 사이에서 연장되는 크로스 빔(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송 장치(3)의 조절 수단(6)은 크로스 빔(20)과 고정 지지 평면(31)의 중앙 부분(310)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조절 조립체(60)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중앙 조절 조립체(60)는 고정 지지 평면(31)의 중앙 부분(310)에 인쇄 평면(xy)에 수직인 조절 방향(z)으로 병진 운동을 가하기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앙 조절 조립체(60)의 작용은 휨을 상쇄시키고 중앙 부분(310)을 두 측면 단부들(311, 312)의 동일한 높이로 되돌리도록 한다. 이 구성은, 고정 지지 평면(31)의 완전한 평탄도가 복원된, 도 9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운송 장치(3)의 조절 수단(6)에 대한 특정 실시형태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 형태가 유일한 것은 아니지만,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실시형태는 제1 측면 조절 조립체(6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필요한 부분만 일부 수정한 동일한 설명이 제2 측면 조절 조립체(62) 및 중앙 조절 조립체(60)에 적용된다. 특히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제1 측면 조절 조립체(61)는 바람직하게는 :
- 인쇄 평면(xy)에 대해 경사져 있고, 고정 지지 평면(31)의 제1 측면 단부(311)에 고정된 표면(631); 및
- 경사면(631)과 지지 구조물(2)의 제1 측벽(21)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 가능한 쐐기(641)를 포함한다.
경사면(631)은 인쇄 평면(xy)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의 각도를 형성한다. 이동 가능한 쐐기(641)는 경사면(631)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특히 도 6의 섹션 참조). 각도가 작을수록 더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지만 이동 가능한 쐐기(641)에 대한 더 긴 이동을 필요로 한다. 반대로, 각도가 클수록 이동 가능한 쐐기(641)에 대한 더 짧은 스트로크를 허용하지만 더 급격한 조절을 수반한다.
이동 가능한 쐐기(641)의 (인쇄 방향(y)으로) 이동은 적어도 한 쌍의 나사들: 풀링 나사(64) 및 푸싱 나사(65)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들 모두는 인쇄 방향(y)에 평행한 축을 갖는다. 풀링 나사(64)는 이동 가능한 쐐기(641)의 매끈한 관통 보어 내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하고, 측벽(21)의 나선형 보어 내에서 나사 체결된다. 푸싱 나사(65)는 이동 가능한 쐐기(641) 내의 나선형 보어 내에서 나사 체결되며, 그 헤드 즉 측벽 표면(21) 상에서 이들 단부들 중 하나와 축 방향으로 인접한다. 양 나사들의 조합된 조임이 이동 가능한 쐐기(641)의 블로킹을 결정한다. 반대로, 두 나사 중 하나를 풀고, 다른 나사를 조임으로써, 이동 가능한 쐐기(641)를 인쇄 방향(y)을 따라 이동시켜 측벽(21)에 대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한 쐐기(641)의 블로킹 상태에서 시작하여, 인쇄 방향(y)을 따라 측벽(21)에서 떨어트리기 위해, 풀링 나사(64)를 풀러 느슨하게 하여 푸싱 나사(65)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푸싱 나사(65)를 조이면 이동 가능한 쐐기(641)가 측벽(21)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일단 인쇄 방향(y)을 따라 소망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풀링 나사(64)를 조임으로써 이동 가능한 쐐기(641)가 다시  블로킹된다. 반대로, 동일한 고정 상태에서 시작하여, 인쇄 방향(y)을 따라 이동 가능한 쐐기(641)를 측벽(21)에 더 근접시키기 위해서는, 푸싱 나사(65)를 해제시켜 풀링 나사(64)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풀링 나사(64)를 조임으로써, 이동 가능한 쐐기(641)가 측벽(21)에 접근하게 된다. 일단 인쇄 방향(y)을 따라 소망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푸싱 나사(65)를 조임으로써, 이동 가능한 쐐기(641)가 다시 블로킹된다. 양 나사들의 조합된 조임은 이동 가능한 쐐기(641)의 블로킹을 결정한다. 반대로, 양 나사 중 하나를 느슨하게 하고, 다른 나사는 조임으로써, 인쇄 방향(y)을 따라 이동 가능한 쐐기(64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인쇄 방향(y)을 따른 이동 가능한 쐐기(641)의 병진은 경사면(631)의 조절 방향(z)으로의 병진을 수반한다. 이 병진 이동은 고정 지지 평면(31)의 제1 측면 단부(3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 7에서 특히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측면 조절 조립체(61)는 2개의 서브-조립체: 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611) 및 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612)를 포함한다. 이동 가능한 쐐기(641) 및 결과적으로 그에 결합된 경사면(631)은 진행 방향(x)을 따라 양 서브-조립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연장부(extension)를 구비한다. 또한, 각 측면 조절 서브-조립체는 한 쌍의 나사를 포함한다. 각 나사 쌍은 풀링 나사(64)와 푸싱 나사(65)를 포함하며, 양 나사는 인쇄 방향(y)에 평행한 축을 구비한다.
제1 측면 조립체(61) 및 그 나사 쌍에 대해 상술된 특징, 작동 모드 및 조절 가능성이 2개의 서브-조립체들(611, 612)과 각 나사 쌍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자명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측면 조절 조립체(61, 62) 각각은 고정 지지 평면(31)의 각 측면 단부(311, 312)의 진행 방향(x)에 완벽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서브-조립체(611, 612) 및 각각의 나사 쌍으로 상이한 이동을 부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이동 가능한 쐐기(641)에 진행 방향(x)을 따라 차별화된 인쇄 방향(y)으로의 변환을 부과한다. 이동 가능한 쐐기(641)의 이러한 차별화된 병진은 경사면(631)에 진행 방향(x)을 따라 차별화된 조절 방향(z)으로의 변환을 부과한다. 따라서, 경사면(631)도 인쇄 방향(y)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동이 얻어진다.
이 특정 실시형태에서, 이동 가능한 쐐기(641)의 상부 면은 전술한 받침대(211)를 구성한다.
제2 측면 조절 조립체(62)의 구조는 제1 측면 조절 조립체(61)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평면(xz)에 대해 대칭이라는 점만 다르다.
중앙 조절 조립체(60)는 일반적으로 더 단순한 구조를 갖는다. 중앙 조절 조립체(60)는 다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인쇄 평면(xy)에 대해 경사져 있고, 고정 지지 평면(31)의 중앙 부분(310)에 고정된 표면(630); 및
- 경사면(630)과 지지 구조물(2)의 크로스 빔(20)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 가능한 웨지(640).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중앙 조절 조립체(60)는 전술한 제1 측면 조절 조립체(61)와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표면(630)은 인쇄 평면(xy)과 4° 내지 12°,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가능한 쐐기(640)는 경사면(630)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중앙 조절 조립체(60)는 이동 가능한 쐐기(640)를 인쇄 방향(y)으로 이동시켜 인쇄 방향에 항상 평행하게 유지되게 하는 단 하나의 조절 나사(66)를 포함한다. 인쇄 방향(y)을 따른 이동 가능한 쐐기(640)의 병진은 조절 방향(z)으로 경사면(630)의 병진을 수반한다. 이 병진은 예를 들어 굽힘 및 평탄도 복원으로 인한 편향을 보상하기 위해 고정 지지 평면(31)의 중앙 부분(3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간략히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린터(1)는 운송 장치(3)에 부착된 기판(9)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 수단(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운송 장치가 컨베이어 벨트(30)를 포함하는 경우에, 유지 수단(5)은 컨베이어 벨트(30)에 대해 기판(9)을 접착식 및 고정식으로 유지한다.
유지 수단(5)의 상이한 실시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수단은 접착제 층을 운송 장치(3) 및/또는 기판(9)에 제어되는 방식으로 적용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가 완료되면, 기판(9)에서 임의의 접착제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지 수단(5)은 운송 장치(3)와 기판(9) 사이에 2 개의 상이한 정전기 전하를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이 경우, 정전기적 인력은 기판(9)을 운송 장치(3)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지 수단(5)은 진공 시스템(50)을 포함한다. 진공 시스템(50)은 궁극적으로 고정 지지 평면(31)을 구성하는 개방작업 벽(531)을 포함하는 진공 박스(5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조절 조립체(60)는 크로스 빔(20)과 진공 박스(53)의 중앙부(530) 사이에서 진공 박스(53)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앙 조절 조립체(60)의 배열 및 구성은 진공 박스(53)의 내부 구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특히, 인쇄 방향(y)에서 진공 박스(53)를 완전히 가로지르는 임의의 격막의 존재는 중앙 조정 조립체(60)의 배치 및 구성에 어떠한 방식으로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이 해결책으로 인해 중앙 조절 조립체(60)의 작용이 특히 효율적이다. 실제로, 진공 박스(53)의 중앙부(530)의 중앙 조절 조립체(60)에 의해 수행되는 스러스트에 이어서 일어나는 구속 반응(constraining reaction)은 직접 크로스 빔(20)에 의해 대향된다.
마지막으로, 진공 박스(53)가 유지보수를 위해 분해되고 분리될 때, 진공 박스(53)와 함께 경사면(630)만이 분리되고, 중앙 조절 조립체(60)의 나머지 부분(특히, 조절 나사(66) 및 이동 가능한 쐐기(640))는 프린터(1) 상에 남아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도 9c 도면을 참조하길 바란다. 이러한 특정 구성은 프린터(1) 특히 진공 박스(53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1)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운송 장치(3)는 컨베이어 벨트(30) 및 2개의 고정 지지 평면, 즉 제1 고정 지지 평면(31) 및 제2 고정 지지 평면(32)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고정 지지 평면(31)은 인쇄 헤드(41)에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고정 지지 평면(32)은 제1 고정 지지 평면(31)의 전술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술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운송 장치(3)의 조절 수단(6)은, 인쇄 평면(xy)에 대해 제2 고정 지지 평면(32)의 평탄도 및/또는 정확한 배향을 보증하기에 적합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절 조립체들을 포함한다. 제1 고정 지지 평면(31)과 관련하여, 제2 고정 지지 평면(32)은 진행 방향(x)을 따라 최후방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도 2와 도 3을 참고하기 바란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을 참조하여 강조된 단점을 극복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이러한 목적 내에서, 본 발명은 슬라이딩 운송 장치를 갖고, 공지된 해결책에서 이미 인식되고 있는 품질을 유지하고 그들의 최적이 아닌 측면을 개선하는 평탄도 및 배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프린터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프린더 측벽에 의해 제공되는지지 장치의 어떠한 정렬불량을 보상할 수 있는 슬라이딩 운송 장치의 평탄도 및 배향을 조절하는 가용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 운송 장치의 평탄도 및 배향 조절 수단은 효율적이고 사용이 쉽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평탄도 및 배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슬라이딩 운송 장치는 일상적인 유지보수를 위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특정 특징들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의도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당연히, 통상의 기술자는 조건부 및 특정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본 발명을 추가로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그로부터 외삽되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직물, 종이, 폴리머 또는 다른 재료로 된 기판(9)을 인쇄하기 위한 잉크젯 프린터(1)로, 상기 잉크젯 프린터(1)는,
    - 2개의 측벽들(21, 22)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2);
    - 기판(9)을 진행 방향(x)으로 전진시키기 위해 슬라이딩 가능한 운송 장치(3)로, 상기 운송 장치(3)는 컨베이어 벨트(30) 및 고정 지지 평면(31)을 포함하며, 컨베이어 벨트(30)는 기판(9)과 접촉하도록 의도되는 외부 표면(303) 및 고정 지지 평면(31)과 접촉하도록 의도되는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운송 장치(3);
    - 컨베이어 벨트(30)의 외부 표면(303)의 근방에 배치되며, 진행 방향(x)과 수직인 인쇄 방향(y)을 따라 작동하는 인쇄 헤드(41)를 포함하는 인쇄기기(4);
    - 기판(9)을 컨베이어 벨트(30)에 대해 부착 및 고정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5);
    - 운송 장치(3)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수단(6);을 포함하고,
    - 고정 지지 평면(31)은 2개의 측면 단부들(311, 312)를 포함하고; 및
    - 고정 지지 평면(31)의 측면 단부들(311, 312)은 지지 구조물(2)의 측벽(21, 22) 위에 안착하고 있는, 프린터에 있어서,
    운송 장치(3)의 조절 수단(6)은 측벽들 중 하나의 측벽(21)과 고정 지지 평면(31)의 각 측면 단부(311)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조절 조립체(61; 62)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 조절 조립체(61; 62)는 고정 지지 평면(31)의 측면 단부(311; 312)에 인쇄 방향(y) 주위로 회전 이동을 부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운송 장치(3)의 조절 수단(6)은 2개의 측면 조절 조립체(61, 62)를 포함하되, 이들 각각은 상기 측벽(21, 22) 중 하나와 고정 지지 평면(31)의 각 측면 단부(311)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조절 조립체(61; 62)는 상기 고정 지지 평면(31)의 측면 단부(311; 312)에 상기 진행 방향(x) 및 상기 인쇄 방향(y)을 포함하는 인쇄 평면(xy)에 직교하는 조절 방향(z)으로 병진 운동을 부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2)은 상기 2개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크로스 빔(20)을 추가로 포함하고; 운송 장치(3)의 조절 수단(6)은 크로스 빔(20)과 고정 지지 평면(31)의 중앙 부분(310) 사이에 배치된 중앙 조절 조립체(60)를 포함하고,
    중앙 조절 조립체(60)는 고정 지지 평면(31)의 중앙 부분(310)에 인쇄 평면(xy)에 수직인 조절 방향(z)으로의 병진 이동을 부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제3항에 있어서, 운송 장치(3)의 조절 수단(6)은 고정 지지 평면(31)에 고정된 인쇄 평면(xy)에 대해 경사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631), 및 경사면(631)과 지지 구조물(2)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쐐기(6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조절 조립체(61)는 지지 구조물(2) 측벽(21)의 나선형 보어에 나사 체결된 풀링 나사(64) 및 측벽(21) 표면 위에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푸싱 나사(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7. 제6항에 있어서, 풀링 나사는 조절 방향(z)에 평행한 축을 가지며, 고정 지지 평면(31)의 측면 단부(311)의 매끄러운 관통 보어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고, 푸싱 나사는 조절 방향(z)에 평행한 축을 가지며 측면 단부(311)의 나선형 보어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8. 제6항에 있어서, 운송 장치(3)의 조절 수단(6)은 고정 지지 평면(31)에 고정된 인쇄 평면(xy)에 대해 경사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631), 및 경사면(631)과 지지 구조물(2)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쐐기(641)를 포함하고, 풀링 나사(64)는 인쇄 방향(y)에 평행한 축을 가지며, 이동 가능한 쐐기(641)의 매끄러운 관통 보어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고, 푸싱 나사(65)는 인쇄 방향(y)에 평행한 축을 가지며, 이동 가능한 쐐기(641)의 나선형 보어 내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조절 조립체(61)는 진행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611) 및 후방 사이드 조절 서브-조립체(6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0. 제1항에 있어서,
    - 지지 구조물(2)의 측벽(21)은 받침대(211)를 획정하고;
    - 측면 조절 조립체는 받침대(211)에 회전병진 이동을 부과하도록 구성되고; 및
    - 고정 지지 평면(31)의 측면 단부(311)는 받침대(211)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1. 제1항에 있어서, 기판(9)을 컨베이어 벨트(30)에 대해 부착 및 고정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 수단(5)이 진공 시스템(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진공 시스템(50)은 고정 지지 평면(31)을 구성하는 개방작업 벽(531)을 포함하는 진공 박스(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2)은 상기 2개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크로스 빔(20)을 추가로 포함하고; 운송 장치(3)의 조절 수단(6)은 크로스 빔(20)과 고정 지지 평면(31)의 중앙 부분(310) 사이에 배치된 중앙 조절 조립체(60)를 포함하고,
    중앙 조절 조립체(60)는 고정 지지 평면(31)의 중앙 부분(310)에 인쇄 평면(xy)에 수직인 조절 방향(z)으로의 병진 이동을 부과하도록 구성되고,
    중앙 조절 조립체(60)는 진공 박스(53)의 중앙 부분(530)과 크로스 빔(20) 사이에서 진공 박스(53)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4. 삭제
  15. 삭제
KR1020207008707A 2017-08-29 2018-08-28 조절 가능한 슬라이딩 평면을 구비하는 프린터 KR102579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097133 2017-08-29
IT102017000097133A IT201700097133A1 (it) 2017-08-29 2017-08-29 Stampante con piano scorrevole regolabile
PCT/IB2018/056542 WO2019043566A1 (en) 2017-08-29 2018-08-28 ADJUSTABLE SLIDING PRI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530A KR20200045530A (ko) 2020-05-04
KR102579841B1 true KR102579841B1 (ko) 2023-09-18

Family

ID=6100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707A KR102579841B1 (ko) 2017-08-29 2018-08-28 조절 가능한 슬라이딩 평면을 구비하는 프린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72190B2 (ko)
EP (1) EP3676101B1 (ko)
JP (1) JP7123126B2 (ko)
KR (1) KR102579841B1 (ko)
IT (1) IT201700097133A1 (ko)
WO (1) WO2019043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2106A (zh) * 2019-12-14 2020-06-19 方武填 一种柔性太阳能薄膜组件定位输送设备
CN115476598B (zh) * 2022-10-11 2024-02-13 青岛铭洋数控设备有限公司 喷墨印花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226A (ja) * 1999-08-24 2001-03-13 Julius Blum Gmbh 家具調度用ヒンジ
US20040201168A1 (en) * 2003-04-14 2004-10-14 Martin Greive Device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a printing machine
US20060132573A1 (en) 2004-12-20 2006-06-22 Hajime Nishid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djusting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7060875A1 (en) * 2015-10-08 2017-04-13 Aleph S.R.L. Inkjet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8374A (en) * 1994-02-08 2000-05-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3286059B2 (ja) * 1994-02-08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該装置用搬送ベルトの着脱装置および方法
JP2001018382A (ja) 1999-07-05 2001-01-23 Sankyo Seiki Mfg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装置
IT1316139B1 (it) * 2000-09-15 2003-03-28 Durst Phototechnik Ag Dispositivo di stampa a getto di inchiostro.
JP5804922B2 (ja) 2011-12-07 2015-11-04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印刷装置
JP5962091B2 (ja) 2012-03-15 2016-08-03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967793B2 (en) * 2012-03-15 2015-03-03 Ricoh Company, Ltd. Sheet transport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WO2015185085A1 (en) * 2014-06-02 2015-12-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zone assembly, print platen device, and large format prin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226A (ja) * 1999-08-24 2001-03-13 Julius Blum Gmbh 家具調度用ヒンジ
US20040201168A1 (en) * 2003-04-14 2004-10-14 Martin Greive Device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a printing machine
US20060132573A1 (en) 2004-12-20 2006-06-22 Hajime Nishid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djusting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7060875A1 (en) * 2015-10-08 2017-04-13 Aleph S.R.L. Inkjet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23126B2 (ja) 2022-08-22
US20200198372A1 (en) 2020-06-25
KR20200045530A (ko) 2020-05-04
WO2019043566A1 (en) 2019-03-07
EP3676101A1 (en) 2020-07-08
EP3676101B1 (en) 2022-08-24
US11072190B2 (en) 2021-07-27
IT201700097133A1 (it) 2019-03-01
JP2020532445A (ja)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9841B1 (ko) 조절 가능한 슬라이딩 평면을 구비하는 프린터
RU2538864C2 (ru) Однопроходный струйный принтер
CN101570080B (zh) 刮墨刀系统
JP6518329B2 (ja) プリントヘッドモジュール
US10046580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 plurality of print head units
CN113733761B (zh) 一种双面喷墨打印机
JP5912119B2 (ja) 接触クリーニング用の幅広粘着シートロール
US20080273910A1 (en) Print Head Shuttle with Active Cooling
JP2018531167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GB2281251A (en) Squeegee apparatus for screen printing machine
JP2018531167A6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101387955B1 (ko)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용 접착재 도포 장치
US8661974B2 (en) Moving-out and adjustment device for screen
US7216970B2 (en) Mounting assembly for a print head of an ink jet printer
JP5627937B2 (ja) 塗工装置
CN209504053U (zh) 一种平面二维角度调节装置
CN209735842U (zh) 一种弧形金属硬幕表面蜂窝涂层的喷涂设备
CN209616597U (zh) 一种多色印刷设备的网板升降结构
CN219467330U (zh) 一种喷墨印刷机
CN216330739U (zh) 一种便于调节的印刷设备用印刷辊
CN215557663U (zh) 一种印花机进布口压辊间隙调节结构
CN212895156U (zh) 纺纱器用纺杯座
EP0505444B1 (de) Anordnung zum mechanischen koppeln von baueinheiten eines elektrofotografischen druck- oder kopiergerätes
CN202139508U (zh) 将幕帘涂布站的喷嘴梁转移到涂布开始/结束位置的装置
CN217293888U (zh) 一种防止物料粘附的印刷金属网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