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162B1 -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 - Google Patents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162B1
KR102576162B1 KR1020210054895A KR20210054895A KR102576162B1 KR 102576162 B1 KR102576162 B1 KR 102576162B1 KR 1020210054895 A KR1020210054895 A KR 1020210054895A KR 20210054895 A KR20210054895 A KR 20210054895A KR 102576162 B1 KR102576162 B1 KR 102576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reous
guide tube
cortex
retina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852A (ko
Inventor
김창룡
임선택
김선호
이준성
문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씨랩
Priority to KR102021005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162B1/ko
Priority to PCT/KR2021/011448 priority patent/WO2022231070A1/ko
Publication of KR2022014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09Instruments for removing foreign bod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망막질환의 치료를 위한 유리체절제 시술시 유리체의 피질을 망막으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는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본체부와,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안구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관과, 본체부에 설치되는 레버와, 가이드관의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레버와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레버의 조작에 의해 가이드관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가이드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가이드관의 외부로 노출시 망막에 부착된 유리체의 피질을 문질러서 망막으로부터 유리체의 피질을 벗겨내는 필링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detachment device of vitreous cortex for ophthalmic surgery}
본 발명은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망막질환의 치료를 위한 유리체절제 시술시 유리체의 피질을 망막으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망막은 안구 벽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여 안구 속 유리체(vitreous body)와 접하고 있는 투명하고 얇은 막으로서, 사물의 광학적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시각신경을 통해 뇌의 중추 시각영역으로 영상을 전달하는 일차 시각정보기관의 역할을 한다.
망막에는 1억 개가 넘는 빛감지세포(광수용체세포, light-sensitive photoreceptor cells)와 1백만 개가 넘는 시각신경세포인 신경절세포(ganglion cells),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전선 역할을 하는 수많은 신경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따라서 우리 몸에서 가장 정교한 조직이다.
우리 뇌세포 중 약 30%가 망막이 보내는 시각정보를 처리하는데 사용되지만, 노화 또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망막에 이상이 발생되면서 서서히 시력과 시야에 문제가 생기는 시각장애와 함께 실명에 이른다.
망막 질환은 망막 주변 조직에 이상이 유발되어 신경망막이 색소 상피세포층으로부터 떨어지면 망막이 안구 후면으로 분리되어 시력 장애를 유발하는 망막 박리(retinal detachment), 망막주변 조직에 이상을 일으키는 주변부 망막 변성 및 황반부에 이상이 생기는 황반변성(macular degeneration) 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망막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안과수술시 후안부(posterior segment)를 채우고 있는 투명한 젤리형 물질인 유리체(vitreous body)를 절개 및 제거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유리체절제술은 유리체를 둘러싸는 피질의 절개 및 제거와 같은 섬세한 작업이 특히 어려울 수 있다.
유리체를 둘러싸는 아주 얇은 막으로 이루어진 피질을 망막으로부터 박리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핀센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피질을 집어서 망막으로부터 떼어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공개특허 제10-2016-0124759호에는 유리체 망막 수술에 사용되는 외과용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외과용 기기는 몸체, 몸체의 제1 단으로부터 연장되며 개방 구성 및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핀서, 핀서 중 적어도 하나의 원위단에 형성되는 파지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외과용 기기는 한쌍의 핀서를 이용하여 망막에 부착된 유리체 피질을 집어서 당기는 방법으로 피질을 망막으로부터 떼어낸다. 피질은 매우 약한 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피질은 핀서로 집힌 부위만 망막으로부터 떨어지고 나머지 부위는 망막에 그대로 부착되어 있는다. 따라서 망막에 부착된 피질을 모두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망막에 부착된 매우 얇은 피질을 한쌍의 핀서로 집는 과정에서 자칫 망막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극도의 주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4759호: 접착 최적화된 에지 상태를 갖는 외과용 기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망막에 부착되어 있는 유리체의 피질을 부드럽게 문지르면서 쓸어내는 방식으로 유리체의 피질을 박리할 수 있어서 빠르고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는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는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안구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관과;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관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관의 외부로 노출시 망막에 부착된 유리체의 피질을 문질러서 망막으로부터 유리체의 피질을 벗겨내는 필링부;를 구비한다.
상기 필링부는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로 삽입시 수축되고 상기 가이드관의 외부로 노출시 팽창될 수 있도록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필링부는 다수의 기공들이 형성된 다공체이다.
상기 필링부는 다수의 섬유들이 얽혀 있는 섬유상 구조이다.
상기 필링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형성되는 브러쉬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망막에 부착되어 있는 유리체의 피질을 필링부로 부드럽게 문지르면서 쓸어내는 방식으로 유리체의 피질을 망막으로부터 벗겨낼 수 있다. 따라서 유리체의 피질 박리를 매우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필링부가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므로 가이드관의 내부에서 수축된 상태로 트로카를 통해 안구 내부로 삽입되고, 안구 내부로 삽입된 후 팽창되어 유리체 피질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질 박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조명기구와 본 발명의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를 안구 내로 삽입할 수 있도록 안구에 트로카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유리체 피질 박기기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의 요부르 발췌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는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안구(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관(20)과, 본체부(10)에 설치되는 레버(30)와, 가이드관(20)의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레버(3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40)와, 연결부재(40)와 결합되어 망막에 부착된 유리체의 피질을 문질러서 망막으로부터 유리체의 피질을 벗겨내는 필링부(50)를 구비한다.
본체부(10)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본체부(10)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위이다. 본체부(10)는 중앙부위에서 후단까지는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부(10)는 2개의 부분으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부(10)는 캡(11)과 몸체(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캡(11)은 몸체(15)의 전단에 나사결합되어 몸체(15)와 분리가 가능하다. 캡(11)의 내부에는 연결부재(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캡(11)의 전단에는 가이드관(2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소켓부(12)가 마련된다. 소켓부(12)의 내측공간은 관통홀과 연결된다. 캡(11)의 후단에는 몸체(15)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홈이 마련된다.
몸체(15)의 내부에는 슬라이딩홀(16)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홀(16)은 몸체(15)의 전단에서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다. 몸체(15)의 전단에는 캡(11)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7)가 마련된다.
가이드관(20)은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관(20)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구조로 이루어진다. 가이드관(20)은 캡(11)의 소켓부(12)에 삽입되어 본체부(10)의 전면에 결합된다. 가이드관(20)은 트로카(7)를 통해 안구(1)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위이다. 가이드관(20)이 트로카(7)를 통과할 수 있도록 가이드관(20)의 외경은 트로카(7)의 내경보다 충분히 작다.
레버(30)는 몸체(15)에 설치된다. 레버(3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몸체에 설치된다. 레버(30)의 하부는 슬라이딩홀(16)에 삽입된 이동블록(18)과 연결된다. 손가락으로 레버(30)를 당기거나 밀면 이동블록(18)은 슬라이딩홀(16)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연결부재(40)는 가이드관(20)의 내부에 삽입된다. 연결부재(40)의 후단부는 레버(30)와 연결된 이동블록(18)에 결합된다. 이동블록(18)이 전후로 이동하면 연결부재(40) 역시 전후로 이동된다. 연결부재(40)의 전단부는 필링부(50)와 연결된다.
도시된 예에서 연결부재(40)는 2가닥의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달리 연결부재는 1가닥의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는 가이드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봉형상의 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링부(50)는 연결부재(40)와 결합된다. 필링부(50)는 망막에 부착된 유리체의 피질을 문질러서 망막으로부터 유리체의 피질을 벗겨내는 역할을 한다.
필링부(50)는 레버(30)의 조작에 의해 가이드관(2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가이드관(20)의 외부로 노출된다.
가령, 레버(30)를 후방으로 당기면 연결부재(40)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도 3과 같이 가이드관(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필링부(50)는 도 4와 같이 가이드관(20)의 내부로 완전 삽입된다. 그리고 레버(30)를 전방으로 밀면 연결부재(4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내부로 삽입되어 있던 필링부(50)는 도 3과 같이 가이드관(40)의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은 필링부(50)가 유리체의 피질을 부드럽게 문질러서 쓸어내는 방식으로 피질을 망막으로부터 벗겨내므로 필링부(50)는 유리체 피질과의 접촉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필링부(50)의 부피를 크게 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이 경우 트로카(7)를 통과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필링부(50)가 수축 및 팽창가능하도록 형성하여 필링부의 부피가 변하는 특성을 갖는다. 즉, 필링부(50)를 가이드관(20)의 내부로 삽입시키고자 할때는 필링부(50)가 수축이 되어 가이드관(2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이 가능하며, 필링부(50)를 가이드관(20)의 외부로 노출시킬 때에는 필링부가 최대한 팽창되어 피질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필링부(50)는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링부(50)는 수축이 가능하므로 가이드관(20)이 트로카(7)를 통과할때는 수축된 상태로 가이드관(20)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가이드관(20)이 트로카(7)를 통과해 안구(1) 내부로 삽입된 후에 필링부(50)가 가이드관(20)의 외부로 노출되면 필링부(50)는 팽창하여 부피가 커진다.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 필링부(50)는 다수의 셀들이 형성된 다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공체의 필링부(50)는 동일한 부피의 비다공체 구조에 비해 피질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다공체는 내부와 표면에 다수의 기공들이 형성된 해면구조를 갖는다. 기공들은 서로 연결된 오픈셀(open cell) 또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독립된 클로즈드셀(closed cell)일 수 있다.
다공체의 일 예로 스펀지(sponge)를 들 수 있다. 스펀지는 많은 기공들이 형성된 해면체로서, 신축성이 우수하다. 스펀지로 인체에 무해한 고분자 물질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물질로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을 들 수 있다.
또한, 필링부(50)는 다수의 섬유들이 얽혀 있는 섬유상 구조일 수 있다. 섬유는 유연한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어 필링부가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섬유상 구조는 섬유들이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얽혀 있을 수 있다. 섬유상 구조의 필링부는 피질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피질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섬유상 구조로서 솜 또는 부직포, 직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필링부(50)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필링부(50)는 비정형화된 형태의 필링부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의 사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본다.
견인기(3)를 이용하여 눈꺼풀을 강제로 벌린 다음 수술현미경을 사용하여 시각을 확보한 상태에서 공막과 각막 사이에 2개의 트로카(5)(7)를 삽입한다. 하나의 트로카(5)에는 조명기구가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트로카(7)에는 본 발명의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의 가이드관(20)이 삽입된다.
필링부(50)가 가이드관(2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술자가 본체부(10)를 한 손으로 파지한 후 가이드관(20)을 트로카(7)로 삽입한다. 가이드관(20)이 안구(1) 내부로 진입되면 레버(30)를 밀어서 필링부(50)를 가이드관(20)의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망막에 부착된 유리체 피질(2)로 필링부(50)를 조심스럽게 접근시킨 다음 필링부(50)를 지그재그로 이동시키면서 피질(2)을 부드럽게 문지른다.
이와 같이 피질을 문지르는 방식으로 쓸어내리면 짧은 시간에 매우 용이하게 피질을 분리해낼 수 있다.
도 6은 구형으로 형성된 필링부(60)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필링부(60)는 유연한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어, 다공체 구조 또는 섬유상 구조로 이루어진다. 필링부(60)의 일측에 연결부재(40)가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에 의해 필링부(60)는 가이드관(20)으로 삽입되거나 가이드관(20)의 외부로 노출된다.
필링부의 또 다른 모습을 도 7에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필링부(70)는 연결부재(40)와 결합되는 헤드(71)와, 헤드에 형성되는 브러쉬부(75)를 구비한다.
헤드(71)는 연결부재(40)와 결합된다. 헤드(71)는 탄성력이 있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쉬부(75)는 유리체의 피질과 접촉되어 피질을 문지르는 부위이다. 브러쉬부(75)는 다수의 탄성모들로 이루어진다. 탄성모는 유연한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다. 탄성모는 다공체 구조 또는 섬유상 구조로 이루어진다.
헤드(71)에 연결부재(40)가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에 의해 브러쉬부(75)는 가이드관(20)으로 삽입되거나 가이드관(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부 20: 가이드관
30: 레버 40: 연결부재
50: 필링부

Claims (5)

  1.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안구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관과;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관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관의 외부로 노출시 망막에 부착된 유리체의 피질을 문질러서 망막으로부터 유리체의 피질을 벗겨내는 필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링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형성되는 브러쉬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쉬부는 신축성 소재의 다수의 탄성모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모는 다수의 기공들이 형성된 다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모는 다수의 섬유들이 얽혀 있는 섬유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
  5. 삭제
KR1020210054895A 2021-04-28 2021-04-28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 KR102576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895A KR102576162B1 (ko) 2021-04-28 2021-04-28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
PCT/KR2021/011448 WO2022231070A1 (ko) 2021-04-28 2021-08-26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895A KR102576162B1 (ko) 2021-04-28 2021-04-28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852A KR20220147852A (ko) 2022-11-04
KR102576162B1 true KR102576162B1 (ko) 2023-09-07

Family

ID=8384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895A KR102576162B1 (ko) 2021-04-28 2021-04-28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6162B1 (ko)
WO (1) WO202223107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35221A1 (en) 2001-12-18 2003-07-17 Sabet Sina J. Lenticular net instruments and methods of cataract surgery using a lenticular net
JP2003210511A (ja) 2002-01-24 2003-07-29 Kazuhisa Okada 網膜ブラシ
US20070282348A1 (en) * 2006-06-05 2007-12-06 Lumpkin Christopher F Ophthalmic microsurgical instrument
WO2019108061A1 (en) * 2017-11-30 2019-06-06 Netvlieschirurg B.V. Retina-cleaning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2666A (en) * 1992-09-30 1998-06-30 Staar Surgical Company, Inc. Deformable intraocular lens injecting apparatus with deformable tip plunger
US7326220B1 (en) * 2003-09-02 2008-02-05 University Of South Florida Tool for removing intraocular foreign bodies
KR20080094366A (ko) * 2007-04-20 2008-10-23 김한규 수정체 제거기
AU2013295781B2 (en) * 2012-07-24 2017-10-05 Blephex, Llc Device for treating an ocular disorder
US9039718B2 (en) * 2012-07-24 2015-05-26 Blephex, Llc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an ocular disorder
US10973682B2 (en) 2014-02-24 2021-04-13 Alcon Inc. Surgical instrument with adhesion optimized edge cond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35221A1 (en) 2001-12-18 2003-07-17 Sabet Sina J. Lenticular net instruments and methods of cataract surgery using a lenticular net
JP2003210511A (ja) 2002-01-24 2003-07-29 Kazuhisa Okada 網膜ブラシ
US20070282348A1 (en) * 2006-06-05 2007-12-06 Lumpkin Christopher F Ophthalmic microsurgical instrument
WO2019108061A1 (en) * 2017-11-30 2019-06-06 Netvlieschirurg B.V. Retina-cleaning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1070A1 (ko) 2022-11-03
KR20220147852A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7532A (en) Vacuum forcep and method of using same
US6254607B1 (en) IOL inser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030034047A (ko) 무봉합 안과 수술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기구
KR20100058620A (ko) 눈물 임플랜트용 삽입 및 적출 기구
US107295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urgical tissue manipulator
KR102576162B1 (ko) 안과수술용 유리체 피질 박리기구
JP2019524278A (ja) 網膜下液排出器具、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20110649A1 (en) Forceps
JP4095044B2 (ja) 眼内観察用内視鏡
CN112716689A (zh) 眼科手术器械
CN114469509B (zh) 眼科手术镊
CN214318161U (zh) 一种无创眼球固定器
AU2019240207B2 (en) Intracanalicular dissolvable punctum plug inserter
JP3115747U (ja) 虹彩レトラクター
JP3101460U (ja) 眼科用手術器具
RU213513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нутриглазных операций
JP2018175573A (ja) マイクロ鉗子
BR102018007536A2 (pt) instrumento para cirurgia de catar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