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758B1 -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 Google Patents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758B1
KR102575758B1 KR1020220024864A KR20220024864A KR102575758B1 KR 102575758 B1 KR102575758 B1 KR 102575758B1 KR 1020220024864 A KR1020220024864 A KR 1020220024864A KR 20220024864 A KR20220024864 A KR 20220024864A KR 102575758 B1 KR102575758 B1 KR 102575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ing
support
central
handle
fron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7502A (ko
Inventor
장현석
이윤걸
이설영
하영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오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오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오닉스
Priority to KR1020220024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758B1/ko
Publication of KR20230127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4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readily releas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26Handleba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1Frames adapted to be easily dismant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는, 앞바퀴 및 뒷바퀴를 구비하는 발판부(100)와, 상기 앞바퀴의 상측에서 수직하여 결합되는 지지부(200)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100)는, 일측 발판부(110), 중앙 발판부(120), 타측 발판부(130) 및 힌지부(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부(140)는 타측 발판부와 중앙 발판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부에 의해 타측 발판부(130)는 중앙 발판부(120)의 상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일측 발판부(110)는, 일측에 통공을 가지며 하향 라운드 형상을 갖는 바디(111)와, 상기 바디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앞바퀴(112)와, 상기 통공에 설치되며, 앞바퀴를 지지하는 지지대(113)와, 상기 지지대의 전측에 설치되는 보호커버(114)와, 상기 바디의 타측에 설치되는 결합구(11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FOLDING LAST-MILE MOBILITY}
본 발명은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이식 구조 및 경량화 구조를 갖는 라스트마일 모빌리티에 관한 것이다.
라스트마일 모빌리티는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등 개인 전동형 이동수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목적지까지 남은 1마일을 이동할 수 있는 최후의 이동수단을 의미한다. 버스나 전철 등 대중교통수단이 가기 힘든 단거리를 빠르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어 현대인에게는 그 필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또한, 출퇴근길 불특정 다수와의 밀접 접촉이 이뤄질 수밖에 없는 대중교통보다는 야외에서 혼자 탈수 있는 라스트마일 모빌리티를 선호하는 사람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자동차 회사에서는 라스트마일 모빌리티를 이동 서비스의 연결고리로 보고 있으며, 라스트마일 모빌리티가 활성화될 경우 교통혼잡 완화, 연료 소비 절감 및 이산화탄소 배출저감,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대기오염 감소, 이동시간 절약 등 다양한 사회적 편익 증대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대중교통과 연결성이 나쁜 지역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대체 교통수단으로 주목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1995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3880호,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접이식 킥보드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34643호, 주행 모드 변경이 가능한 소형 모빌리티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15535호, 쇼크업소버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장치
본 발명은 휴대시 또는 운반시에 사용자가 손쉽게 접어서 이송시킬 수 있는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는, 앞바퀴 및 뒷바퀴를 구비하는 발판부(100)와, 상기 앞바퀴의 상측에서 수직하여 결합되는 지지부(200)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100)는, 일측 발판부(110), 중앙 발판부(120), 타측 발판부(130) 및 힌지부(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부(140)는 타측 발판부와 중앙 발판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부에 의해 타측 발판부(130)는 중앙 발판부(120)의 상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일측 발판부(110)는, 일측에 통공을 가지며 하향 라운드 형상을 갖는 바디(111)와, 상기 바디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앞바퀴(112)와, 상기 통공에 설치되며, 앞바퀴를 지지하는 지지대(113)와, 상기 지지대의 전측에 설치되는 보호커버(114)와, 상기 바디의 타측에 설치되는 결합구(11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00)는, 손잡이부 몸체(310)와, 상기 손잡이부 몸체 내측에 설치되는 좌우측 기어(320L,320R)와, 상기 좌우측 기어에 설치되는 좌우측 손잡이(330L,330R)와, 상기 손잡이부 몸체를 상측에서 마감하는 손잡이부 커버(340)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측 기어(320L,320R)는 맞물림 구조를 가지며, 상기 좌우측 기어(320L,320R)에 설치된 좌우측 손잡이(330L,330R)는 동시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는 접이 구조를 갖는다. 접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이동시 또는 적재시 작은 부피로 좁은 공간에 보관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 발판부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부를 접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를 접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는 앞바퀴 및 뒷바퀴를 구비하는 발판부(100)와, 상기 앞바퀴의 상측에서 수직하여 결합되는 지지부(200)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모빌리티는 발판부에 배터리가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100)는 일측 발판부(110), 중앙 발판부(120), 및 타측 발판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측 발판부와 중앙 발판부 사이에는 힌지부(140)가 설치되며, 상기 힌지부에 의해 타측 발판부는 중앙 발판부의 상측으로 접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 발판부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상기 일측 발판부(110)는 일측에 통공을 가지며 하향 라운드 형상을 갖는 바디(111)와, 상기 바디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앞바퀴(112)와, 상기 통공에 설치되며, 앞바퀴를 지지하는 지지대(113)와, 상기 지지대의 전측에 설치되는 보호커버(114)와, 상기 바디의 타측에 설치되는 결합구(115)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11)는 일측에 통공을 갖는 평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하향으로 라운드 경사진 라운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라운드부의 상부는 타측 발판부를 중앙 발판부의 상측으로 접었을 때 뒷바퀴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앞바퀴(112)는 바디의 평면부에 형성된 통공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통공에는 지지대(113)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앞바퀴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113)는 통공에 쓰러스터 베어링(미도시)으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는 앞바퀴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는 지지대 몸체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 몸체에는 지지부(200)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지지대 몸체로부터 회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호커버(114)는 지지부(200)를 후측으로 접었을 때 지지부의 하측 단부를 보호한다.
상기 바디(111)의 타측에는 결합구(115)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구는 일측 발판부의 바디(111)와 중앙 발판부(120)를 결합시킨다.
되돌아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일측 발판부(110)의 후측에는 중앙 발판부(120), 힌지부(140), 타측 발판부(13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앙 발판부(120)와 타측 발판부(130)는 운전자의 발을 지지한다. 상기 중앙 발판부(120)는 운행시 충격 흡수를 높이기 위해 다공 격자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공 격자 구조물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로 삼차원 프린팅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타측 발판부(130)는 배터리 보관대(131)와 뒷바퀴(132)로 이루어지며, 배터리 보관대에 장착된 배터리는 뒤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부를 접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앙 발판부(120)와 타측 발판부(130)의 사이에는 힌지부(140)이 설치되며, 상기 힌지부(140)는 타측 발판부를 중앙 발판부의 상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측 발판부를 중앙 발판부 상측으로 접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이동시 또는 적재시 작은 부피로 좁은 공간에 보관이 가능하다.
한편, 도 4(c)를 참조하면, 타측 발판부(130)를 중앙 발판부(120)의 상측으로 접었을 때, 상기 바디(111)의 라운드부 상부에는 타측 발판부의 뒤바퀴가 위치하게 된다. 즉 바디의 라운드부 상부는 뒷바퀴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200)는 접이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부(200)는 하측 지지부(210)와, 중앙 지지부(220)와, 상측 지지부(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 지지부(220)는 하측 지지부(210)의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고, 상기 상측 지지부(230)는 중앙 지지부(220)의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오른 쪽 이미지는 완전히 지지부를 끼워 작은 길이를 갖는 것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측 지지부(210)의 타측 하부에는 개방부(210V)가 구비된다. 상기 개방부(210V)는 지지대(200)를 타측으로 회동시켜 접었을 때, 뒷바퀴(132)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부(300)는 손잡이부 몸체(310)와, 상기 손잡이부 몸체 내측에 설치되는 좌우측 기어(320L,320R)와, 상기 좌우측 기어에 설치되는 좌우측 손잡이(330L,330R)와, 상기 손잡이부 몸체를 상측에서 마감하는 손잡이부 커버(340)을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 기어(320L,320R)는 맞물림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좌우측 기어(320L,320R)에 설치된 좌우측 손잡이(330L,330R)는 동시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를 접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완전히 펼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상태에서 운전자는 주행이 가능하다.
운전자가 모빌리티를 접어서 보관하려면,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측 손잡이를 내측으로 접은 후, 지지부(200)을 접는다. 이어서, 타측 발판부를 중앙 발판부의 상측으로 접는다.
마지막으로, 도 7(c)에서, 상기 지지부(200)를 타측으로 회동시켜, 타측 발판부의 상측으로 회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는 접이 구조를 갖는다. 접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이동시 또는 적재시 작은 부피로 좁은 공간에 보관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발판부
110 : 일측 발판부
111 : 바디
112 : 앞바퀴
113 : 지지대
114 : 보호커버
115 : 결합구
120 : 중앙 발판부
130 : 타측 발판부
131 : 배터리 보관대
132 : 뒷바퀴
140 : 힌지부
200 : 지지부
210 : 하측 지지부
210V : (하측 지지부의) 개방부
220 : 중앙 지지부
230 : 상측 지지부
300 : 손잡이부
310 : 손잡이부 몸체
320L, 320R : 좌우측 기어
330L, 330R : 좌우측 손잡이
340 : 손잡이부 커버

Claims (3)

  1. 앞바퀴 및 뒷바퀴를 구비하는 발판부(100)와, 상기 앞바퀴의 상측에서 수직하여 결합되는 지지부(200)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100)는, 일측 발판부(110), 중앙 발판부(120), 타측 발판부(130) 및 힌지부(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 발판부(110)는 일측에 통공을 가지며 하향 라운드 형상을 갖는 바디(111)와, 상기 바디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앞바퀴(112)와, 상기 통공에 설치되고, 앞바퀴를 지지하는 지지대(113)와, 상기 지지대의 전측에 설치되는 보호커버(114)와, 상기 바디의 타측에 설치되는 결합구(115)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111)는 일측에 통공을 갖는 평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하향으로 라운드 경사진 라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라운드부의 상부는 타측 발판부를 중앙 발판부의 상측으로 접었을 때 뒷바퀴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바디(111)의 타측에는 결합구(115)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구는 일측 발판부의 바디(111)와 중앙 발판부(120)을 결합시키며,
    상기 중앙 발판부(120)는 다공 격자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 격자 구조물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소재로 삼차원 프린팅으로 제조되며,
    상기 타측 발판부(130)는 배터리 보관대(131)와 뒷바퀴(132)로 이루어지며, 배터리 보관대에 장착된 배터리는 뒤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힌지부(140)는 타측 발판부와 중앙 발판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부에 의해 타측 발판부(130)는 중앙 발판부(120)의 상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일측 발판부(110)는, 일측에 통공을 가지며 하향 라운드 형상을 갖는 바디(111)와, 상기 바디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앞바퀴(112)와, 상기 통공에 설치되며, 앞바퀴를 지지하는 지지대(113)와, 상기 지지대의 전측에 설치되는 보호커버(114)와, 상기 바디의 타측에 설치되는 결합구(115)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114)는 지지부(200)가 후측으로 접었을 때 상기 지지부의 하측 단부를 보호하며,
    상기 지지부(200)는 하측 지지부(210)와, 중앙 지지부(220)와, 상측 지지부(2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 지지부(210)와, 중앙 지지부(220)와, 상측 지지부(230)는 접이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측 지지부(210)의 타측 하부에는 개방부(210V)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210V)는 지지대(200)를 타측으로 회동시켜 접었을 때, 뒷바퀴(132)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손잡이부(300)는, 손잡이부 몸체(310)와, 상기 손잡이부 몸체 내측에 설치되는 좌우측 기어(320L,320R)와, 상기 좌우측 기어에 설치되는 좌우측 손잡이(330L,330R)와, 상기 손잡이부 몸체를 상측에서 마감하는 손잡이부 커버(340)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측 기어(320L,320R)는 맞물림 구조를 가지며, 상기 좌우측 기어(320L,320R)에 설치된 좌우측 손잡이(330L,330R)는 동시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구조를 갖는 모빌리티.




  2. 삭제
  3. 삭제
KR1020220024864A 2022-02-25 2022-02-25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KR102575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864A KR102575758B1 (ko) 2022-02-25 2022-02-25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864A KR102575758B1 (ko) 2022-02-25 2022-02-25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502A KR20230127502A (ko) 2023-09-01
KR102575758B1 true KR102575758B1 (ko) 2023-09-06

Family

ID=8797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864A KR102575758B1 (ko) 2022-02-25 2022-02-25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7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164A (ja) 2001-11-05 2003-05-14 Katsumi Inoue 自転車用折りたたみハンドル
US20040145141A1 (en) 2003-01-23 2004-07-29 The Electric Transportation Company, Llc Vehicle hinge assembly
US20090278327A1 (en) 2008-05-08 2009-11-12 Choi Wan Chan Foldable Scooter
WO2016043556A1 (ko) 2014-09-18 2016-03-24 고영승 접이식 킥보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429B1 (ko) * 2009-04-07 2012-03-23 이순정 자동 접이식 스쿠터
KR101789811B1 (ko) * 2015-05-06 2017-10-25 고영승 접이식 킥보드
KR101918368B1 (ko) 2016-12-16 2018-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KR102299340B1 (ko) 2017-06-09 2021-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 모드 변경이 가능한 소형 모빌리티
KR102299341B1 (ko) 2017-06-30 2021-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
KR102053432B1 (ko) * 2018-08-30 2019-12-06 현대자동차(주)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KR20210015535A (ko) 2019-08-02 2021-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쇼크업소버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164A (ja) 2001-11-05 2003-05-14 Katsumi Inoue 自転車用折りたたみハンドル
US20040145141A1 (en) 2003-01-23 2004-07-29 The Electric Transportation Company, Llc Vehicle hinge assembly
US20090278327A1 (en) 2008-05-08 2009-11-12 Choi Wan Chan Foldable Scooter
WO2016043556A1 (ko) 2014-09-18 2016-03-24 고영승 접이식 킥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502A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4541B2 (en) Convertible scooter
US8887852B2 (en) Foldable scooter
JP5722763B2 (ja) 動力式折り畳みスクーター
TWI274006B (en) Straddle-seat four-wheeled vehicle
US7159681B1 (en) Personal transporter
CN105992727B (zh) 可折叠车辆
US9469366B2 (en) Draw-bar box type portable folding electro-tricycle with folding chair function
JP6206189B2 (ja) 小型移動体
KR20170018302A (ko) 접이식 스쿠터
JP2006507176A (ja) 個人用移動手段
KR102575758B1 (ko)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US7278507B2 (en) Collapsible personal transportation vehicle
WO2019033015A1 (en) FOLDING TROTTINETTE
US11975789B2 (en) Cargo bike
US11827300B1 (en) Butterfly folding seat mechanism for personal transport device
CN105416483B (zh) 微型折叠电动车
KR101560500B1 (ko) 접이식 탑승부가 구비되는 전동 골프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운행 방법
CN106627938A (zh) 一种x形折叠便携式三轮电动车
CN108622284B (zh) 一键折叠式交通代步车
KR20240054688A (ko) 슬라이딩 홈 접이 구조를 갖는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CN207985077U (zh) 一种折叠电动拉杆自行车结构
FR2731670A1 (fr) Vehicule multi-usages de petite taille et apte a transporter une charge et l'utilisateur
JP3122139U (ja) 走行補助車の折り畳み収納機構
TWM524301U (zh) 折疊式電動自行車
TWM540090U (zh) 折疊式電動自行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