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811B1 - 접이식 킥보드 - Google Patents

접이식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811B1
KR101789811B1 KR1020160053583A KR20160053583A KR101789811B1 KR 101789811 B1 KR101789811 B1 KR 101789811B1 KR 1020160053583 A KR1020160053583 A KR 1020160053583A KR 20160053583 A KR20160053583 A KR 20160053583A KR 101789811 B1 KR101789811 B1 KR 101789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wer unit
unit
present
lock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908A (ko
Inventor
고영승
Original Assignee
고영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06350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033582A/ko
Application filed by 고영승 filed Critical 고영승
Priority to CN201680054315.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8025787A/zh
Priority to EP16846748.8A priority patent/EP3351469A4/en
Priority to PCT/KR2016/008530 priority patent/WO2017047927A1/ko
Priority to US15/760,632 priority patent/US10583887B2/en
Priority to JP2018534448A priority patent/JP6639681B2/ja
Priority to TW105128783A priority patent/TW201711895A/zh
Publication of KR2016013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발판을 2단으로 접을 수 있고, 핸들축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완전히 접혀진 킥보드의 크기가 발판의 길이만큼 축소되는 것이 가능한 접이식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킥보드 {Foldable Kick Board}
본 발명은 접이식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발판 부분을 2단으로 접을 수 있고, 핸들축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완전히 접혀진 킥보드의 크기가 발판의 길이만큼 축소되는 것이 가능한 접이식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어린이들이 타고 다니면서 유희를 즐기는 킥보드는 전방에 외바퀴가 축설되고 후방 발판에 보조바퀴가 축설되어 전방 외바퀴를 핸들로 조작하면서 후발 발판에 발을 올려 높고 타측의 발로서 구동하여 승용감과 속도감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이러한 킥보드의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부가적으로 상기 킥보드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98-520 호(기계식 삼륜 스크우터) 및 등록실용신안공고 등록번호 제 180860 호(두발카)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킥보드는 핸들이 절첩되지 않고 항상 위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보관이나 운반시에 부피가 커져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특히 어린이들이 운반하기에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술한 킥보드는 이동시에 핸들이 그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주변에 놓여진 물건에 부딪혀 손상을 주거나 핸들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도 31 은 종래의 절첩 가능한 킥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절첩 가능한 킥보드의 구성은 통상의 핸들 (100) 을 구비하고 이 핸들 (100) 은 핸들스템 (102) 에 삽입되어 위/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핸들스템 (102)의 끝부분에는 통상의 바퀴 (104)에 조립된다. 또한 위 핸들스템(102)의 하단 후방에는 디긋자 모양의 프레임이 용접고정되며, 이 프레임의 상단면에는 사각구멍 (12)이 형성되고 양측단으로는 직사각형 타입의 장공(16)을 가진다. 한편 상기 장공 (16) 의 위쪽에는 힌지구멍 (14)이 형성되고, 이 힌지구멍(14)에는 레버 (18) 를 조립하기 위한 샤프트 (28) 가 삽입되어진다.
위 레버(18)는 표면에 널링처리된 손잡이(20)를 가지며, 이 손잡이(20)에는 아래쪽으로 신장된 연장부 (22)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22)의 끝부분에는 전술한 샤프트가 끼워지기 위한 결합구멍(24)이 형성된다.
또한 이 결합구멍 (24) 의 끝부분에는 전방으로 절곡진 스토퍼(30)가 안착되기 위해 반시계 방향으로 라운딩진 걸림부 (26) 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레버 (18) 는 프레임 (10) 의 사각구멍 (12) 에 삽입되며 샤프트(28)로 프레임(10)에 조립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스토퍼 (30) 는 레버(18)의 걸림부 (26) 에 안착되고 프레임 (10) 의 장공(16)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프레임 (10) 의 하단부에는 힌지구멍 (17) 이 형성되며, 이 힌지구멍 (17) 은 핸들 (100) 의 핸들스템 (102)과 보드 (108)를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상기 보드 (108) 는 한쪽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평평하게 만들어지게 되고, 후방 끝부분에는 바퀴 (110) 가 부착되며, 이 바퀴 (110) 에는 브레이크흙받이 (112) 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 흙받이 (112) 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다.
전술한 보드(108)의 상단면에는 부채꼴 모양의 플레이트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격설치되며, 상기 각 플레이트의 둘레면에는 제1 고정홈과 제 2 고정홈 (42a, 42b) 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 1, 2 고정홈 (40, 42) 은 플레이트 (36) 의 중심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부채꼴의 중심방향으로 깊게 파여져 형성되며, 이 제 1, 2 고정홈 (40, 42) 에는 전술한 스토퍼(30)가 걸려지게 된다. 즉, 상기 제 1 고정홈(40a,40b)에 스토퍼 (30) 가 삽입되어 있으면 핸들 (100) 은 위로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스토퍼 (30) 가 제 2 고정홈 (42a, 42b) 에 삽입되어 있으면 핸들 (100) 은 보드 (108) 에 밀착되어 접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끝으로, 전술한 플레이트 (36a, 36b) 의 중심에는 힌지구멍 (38a, 38b) 이 형성되며, 이 힌지구멍 (38a, 38b) 과 전술한 프레임 (10) 의 힌지구멍 (17) 에는 샤프트(34)가 삽입되며 이에 따라 프레임 (10) 은 플레이트 (36) 에 조립되어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스토퍼 (30) 와 샤프트 (34) 는 스프링(32)에 의해 서로 텐션력을 받으면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 (32) 의 걸고리 (32a) 에는 스토퍼 (30) 가 결합되고 걸고리 (32b) 에는 샤프트(34)가 결합되어 서로 탄성을 받으면서 스프링(32) 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의 선행기술 문헌으로는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19854, 공고일자 2001년 04월 16일, 고안의 명칭: 킥보드의 조향대 절첩부구조가 있고, 또 다른 문헌으로는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04403, 공고일자 2000년 11월 15일, 고안의 명칭: 절첩 가능한 킥보드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킥보드를 간단히 접어서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는 접이식 킥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는,
사용자가 발이 발판부에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핸들부를 잡고 타는 핸들축부가 접혀지는 접이식 킥보드로서, 상기 핸들축부는 2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핸들축부는, 각각의 일 단부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 1 상부유닛과 제 1 하부유닛; 및
상기 제 1 상부유닛과 제 1 하부유닛속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제 2 상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판부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된 부분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풋프런트와 발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풋프런트와 발판의 밑면에는 락킹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락킹샤프트가 풋프런트와 발판의 밑면을 동시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풋프런트와 발판이 서로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 앞바퀴가 설치되고 발판과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핸들축부; 및, 상기 핸들축부 상단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양손을 잡게되는 핸들부로 구성된 킥보드로서,
상기 핸들축부는, 각각의 일 단부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 및 상기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의 상단측면에는 각각 서로 분리된 제 1 락킹밴드와 제 2 락킹밴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이 전부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의 안쪽으로 슬라이딩이 되어 삽입되면 상기 제 1 락킹밴드와 제 2 락킹밴드의 위치가 서로 달리하도록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는 킥보드의 핸들축바가 2 개의 별개의 유닛으로 분리되어 각각 슬라이딩되면서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또한 접혀지게 구성되고, 발판 역시 2 단으로 완전히 접혀지도록 구성되어 킥보드의 길이가 발판의 길이와 거의 같게 되어 사용자가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동시에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핸들축바의 길이의 조절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연령에 상관없이 킥보드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과 풋프런트가 접혀지게 하는 1 단계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과 풋프런트가 접혀지게 하는 2 단계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과 풋프런트가 접혀지게 하는 3 단계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의 밑부분 설치되는 락킹모듈의 분해된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의 밑부분 설치되는 락킹바디가 정지된 상태에서 풋프런트와 고정을 위한 락킹봉이 락킹홈의 외부로 돌출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의 밑부분 설치되는 락킹바디가 뒤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풋프런트와 고정을 위한 락킹봉이 락킹홈의 안쪽으로 삽입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의 밑부분 설치되는 락킹바디가 정지된 상태에서 풋프런트와 고정을 위한 락킹봉이 락킹홈의 외부로 돌출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의 밑부분 설치되는 락킹바디가 뒤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풋프런트와 고정을 위한 락킹봉이 락킹홈의 안쪽으로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몸체부에 대해 풋프런트가 접히도록 하는 락커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풋프런트가 몸체부에 대해 접혀진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 발판과 풋프런트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핸들축부의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의 일부가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에 대해 아래방향으로 삽입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 발판과 풋프런트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핸들축부의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의 전부가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 속으로 삽입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제 1 상부유닛이 삽입된 제 1 하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이 삽입된 제 2 하부유닛이 각각 좌우로 기어에 맞물려 벌어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가 완전히 접혀지기 직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핸들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을 회전시켜 서로 맞닿은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을 회전시켜 서로 맞닿은 모습의 부분절단된 정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을 회전시켜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을 회전시켜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된 모습이 도시된 부분절단 정면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 핸들부를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절단한 절단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 락킹레버를 회전시켜서 제 1 및 제 2 락킹밴드가 쪼여지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 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가 접혀진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24 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제 1 및 제 2 하부유닛이 펼쳐진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25 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양쪽 핸들부가 접혀진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26 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제 1 및 제 2 하부유닛이 서로 결합된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제 1 및 제 2 상부유닛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올라간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28 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제 1 및 제 2 상부유닛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올라간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제 1 상부유닛 및 제 1 하부유닛이 슬라이딩되어 올려진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30 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제 1 상부유닛 및 제 1 하부유닛이 슬라이딩되어 올려진 모습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31 은 종래의 절첩 가능한 킥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는 종래의 킥보드와 같은 구성인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 (10), 앞바퀴 (32) 가 설치되어 움직이는 방향을 조향하는 조향부 (30), 조향부 (30) 와 연결된 핸들축부 (42, 43, 44, 45) 및 상기 핸들축부 (42,43, 44, 45) 상단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양손을 잡게 되는 핸들부 (69) 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과 풋프런트가 접혀지게 하는 1 단계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판 (10) 과 풋프런트 (14) 가 회전축샤프트 (37)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양쪽의 락킹 돌기 (17) 가 돌출되어 락킹 홀 (19) 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에는 발판 (10) 과 풋프런트 (14) 가 회전축샤프트 (37) 를 중심으로 접혀지지 못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과 풋프런트가 접혀지게 하는 2 단계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락킹바디 (15) 를 오른쪽으로 밀게되면 락킹 홀 (19) 에 끼워진 락킹돌기 (17) 가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락킹홀 (19) 에 끼워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풋프런트 (14) 와 발판 (10) 과의 락킹이 해제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과 풋프런트가 접혀지게 하는 3 단계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풋프런트 (14) 와 발판 (10) 과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가 되면 발판 (10) 을 회전축 샤프트 (37) 를 중심으로 회전시켜면서 구부리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의 밑부분 설치되는 락킹모듈의 분해된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 (10) 의 밑면에는 한쌍의 가이드대 (94) 가 설치되어 있고, 한쌍의 가이드대 (94) 사이에는 락킹바디 (15) 가 끼워져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발판 (10) 밑면의 앞부분에는 한쌍의 락킹부 (201, 202) 가 배치되고, 각각의 락킹부 (201, 202) 에는 원통형상의 락킹돌기 (17) 가 각각의 락킹부 (201, 202) 와 고정되게 설치되고, 각각의 락킹돌기 (17) 사이에는 코일스프링 (21) 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락킹부 (201, 202) 의 상부는 직삼각형 모양으로 돌출된 직삼각형부 (20) 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직삼각형부 (20) 는 직삼각형의 높이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대칭된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각각의 락킹돌기 (17) 는 홀 (119) 에 끼워지게 배치되고, 락킹부 (201) 의 직삼각형부 (20) 의 빗변은 락킹바디 (15) 의 앞부분 밑면의 양측면에 구성된 돌기부 (16) 에 맞닿게 된다.
본 발명의 락킹바디 (15) 에는 측면을 관통하는 2 개의 관통홀 (165, 155) 이 형성되고, 전방 관통홀 (165) 에는 회전축샤프트 (37) 가 끼워지고, 후방 관통홀에는 다른 샤프트가 키워지게 되면서 락킹바디 (15) 가 가이드대 (94) 에 설치되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의 밑부분 설치되는 락킹바디가 정지된 상태에서 풋프런트와 고정을 위한 락킹봉이 락킹홈의 외부로 돌출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의 밑부분 설치되는 락킹바디가 뒤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풋프런트와 고정을 위한 락킹봉이 락킹홈의 안쪽으로 삽입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락킹바디 (15) 를 사용자가 뒤로 밀게 되면 한쌍의 락킹부 (201, 202) 의 벌어진 간격이 좁혀지게 되고, 따라서 각각의 락킹부 (201, 202) 와 고정되게 설치된 각각의 락킹봉 (17) 이 각각의 락킹홈 (19)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이드대 (94) 의 외측면 밖으로 본 발명의 락킹봉 (17) 이 돌출되지 않게 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의 밑부분 설치되는 락킹바디가 정지된 상태에서 풋프런트와 고정을 위한 락킹봉이 락킹홈의 외부로 돌출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발판의 밑부분 설치되는 락킹바디가 뒤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풋프런트와 고정을 위한 락킹봉이 락킹홈의 안쪽으로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코일스프링 (21) 의 탄성력에 의해 락킹부 (201, 202) 및 락킹봉 (17) 이 좌우 방향으로 밀려져서 좌우의 락킹봉 (17) 이 가이드대 (94) 에 형성된 홀 (119) 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락킹봉 (17) 이 풋프런트 (14) 의 락킹홀 (19) 에 끼워져 발판 (10) 이 풋프런트 (14) 에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락킹바디 (15) 의 밑면 앞부분에는 한쌍의 돌기부 (16) 가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돌기부 (16) 는 락킹부 (201, 202) 상단에 형성된 직사각형부 (20) 의 빗변에 맞닿아 있게 구성된다.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락킹바디 (15) 를 사용자가 뒤로 밀게 되면 락킹바디 밑면에 형성된 돌기부 (16) 도 뒤로 밀리게 되면서 양 직삼각형부 (20) 사이의 거리가 근접하게 되고, 따라서 한쌍의 락킹부 (201, 202) 의 벌어진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락킹부 (201, 202) 와 고정되게 설치된 각각의 락킹봉 (17) 이 각각의 홀 (119)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이드대 (94) 의 외측면 밖으로 본 발명의 락킹봉 (17) 이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판 (10) 은 풋프런트 (14) 와 락킹이 해제되고, 도 4 와 같이 발판 (10) 이 구부러질 수 있게 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몸체부에 대해 풋프런트가 접히도록 하는 락커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풋프런트가 몸체부에 대해 접혀진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풋프런트 (14) 를 몸체부 (30) 락킹하는 락커부는 본 발명의 몸체부 (30) 의 양측면에 돌출된 누름부 (212) 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면 풋프런트 (14) 의 락킹홈 (216) 에 걸려있는 락킹돌출부 (206) 도 함께 눌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사용자는 풋프런트 (14) 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풋프런트 (14) 를 접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 (212) 와 락킹돌출부 (206) 가 하나의 바디로 구성된 유닛이 각각 1 개씩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코일스프링이 끼워진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락커부의 앞부분은 커버 (221) 에 의해 덮혀지게 구성된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 발판과 풋프런트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핸들축부의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의 일부가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에 대해 아래방향으로 삽입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의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스토핑홈 (46) 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에 설치된 스토핑 레버 (70) 에는 스토핑봉 (72) 이 설치되어 있고, 스토핑봉 (72) 이 스토핑홈 (46) 에 끼워져서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이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에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는 사용상의 안전을 위하여 스토핑레버 (70) 에 의해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을 고정시키는 것외에도 락킹모듈이 1 개 더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의 상단부에는 락킹레버 (84) 가 설치되어 있고, 락킹레버 (84) 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키면 갈고리 모양의 끝단부 (81, 83) 가 서로 걸려져 있는 제 1 락킹밴드 (80) 와 제 2 락킹밴드 (82) 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의 상단부를 쪼이게 되고, 동시에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도 꽉 쪼여지게 된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 발판과 풋프런트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핸들축부의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의 전부가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 속으로 삽입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이 완전히 아래로 슬라이딩되어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속으로 삽입이 되게 되면 제 1 락킹밴드 (80) 는 제 2 락킹밴드 (82) 로부터 이탈되면서 아래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본 발명의 제 2 상부유닛 (44) 에는 돌출부 (144) 가 형성되어 있고, 본 발명의 제 2 상부유닛 (44) 이 아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돌출부 (144) 의 밑면에 의해 제 1 락킹밴드 (80) 가 가이드홀 (181) 을 따라 아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기 때문에 제 1 락킹밴트 (80) 는 제 1 상부유닛 (42) 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락킹밴드 (82) 로부터 이탈되어 아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락킹밴트 (80) 가 제 1 상부유닛 (42) 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락킹밴드 (82) 로부터 이탈되어 아래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4) 은 각각 독립하여 좌우로 기어 (90) 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제 1 상부유닛이 삽입된 제 1 하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이 삽입된 제 2 하부유닛이 각각 좌우로 기어에 맞물려 벌어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의 각각의 끝단부는 몸체부 (30) 와 연결되는 부분이 기어 (90) 로 구성되어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의 각각의 기어 (90) 는 동시에 회전하면서 움직이게 구성된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가 완전히 접혀지기 직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른쪽 손잡이 (69) 및 파이프 (68) 와 왼쪽 손잡이 및 파이프 (168) 까지도 각각 접혀지게 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가 완전히 접혀지게 된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핸들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의 핸들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제작되는 손잡이 (69) 가 끼워지는 좌측 및 우측의 핸들파이프 (169, 69), 본 발명의 좌측 및 우측의 핸들파이프 (169, 69) 를 각각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에 고정시키는 고정힌지 (100) 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힌지 (100) 에 결합된 좌측 및 우측의 핸들파이프 (169, 69) 는 한개의 샤프트에 끼워지기 때문에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를 완전히 펼쳐서 접이식 킥보드를 타는 경우에 좌측 및 우측의 핸들파이프 (169, 69) 가 고정되지 않고 회전을 한다면 위험하기 때문에 우측의 핸들파이프 (68) 속에는 파이프 형상의 핸들락커 (64) 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측의 핸들파이프 (68) 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의 홈이 형성되고, 사각형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된 핸들 락커 (64) 가 핸들 파이프 (62) 속으로 삽입되게 구성되고, 핸들락커 (64) 는 우측의 핸들파이프 (62) 에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된 홈 (67) 을 따라 이동하는 락킹버튼 (62) 과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형상의 핸들락커 (64) 내부에는 스프링과 연결된 니플버튼 (66) 이 설치되고, 사용자가 락킹버튼 (62) 을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 인하여, 락킹버튼 (62) 과 연결된 핸들락커 (64) 역시 왼쪽으로 이동하여 핸들락커 (64) 가 오른쪽 핸들파이프 (168) 의 내부와 왼쪽 핸들파이프 (69) 의 내부에 동시에 위치하게 되어 좌측 및 우측의 핸들파이프 (169, 69) 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을 회전시켜 서로 맞닿은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을 회전시켜 서로 맞닿은 모습의 부분절단된 정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을 회전시켜 서로 맞닿은 배치를 하게 되면 제 1 락킹밴드 (80) 와 제 2 락킹밴드 (82) 는 서로 다른 위치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상부유닛 (44) 에 형성된 돌출부 (144) 의 밑면에 의해 제 1 락킹밴드 (80) 가 가이드홀 (181) 의 아래부분에 눌려져 있기 때문에 제 1 락킹밴트 (80) 는 제 1 상부유닛 (42) 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락킹밴드 (82) 와 서로 다른 위치에 있게 된다.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을 회전시켜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을 회전시켜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된 모습이 도시된 부분절단 정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의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스토핑홈 (46) 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에 설치된 스토핑 레버 (70) 에는 스토핑봉 (72) 이 설치되어 있고, 스토핑봉 (72) 이 스토핑홈 (46) 에 끼워져서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이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의 슬라이딩 되는 길이가 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는 사용상의 안전을 위하여 스토핑레버 (70) 에 의해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을 고정시키는 것 외에도 락킹모듈이 1 개 더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본 발명의 제 2 상부유닛 (44) 에 형성된 돌출부 (144) 가 더이상 제 1 락킹밴드 (80) 를 누르지 않게 되기 때문에 내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 (88) 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락킹밴트 (80) 가 가이드홀 (181) 을 따라 상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고 제 1 상부유닛 (42) 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락킹밴드 (82) 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 경우에 제 1 락킹밴드 (80) 와 제 2 락킹밴드 (82) 의 갈고리 모양의 끝단부 (81, 83) 는 서로 맞물려 있게 된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을 더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2 하부유닛 (45) 의 상단부에 설치된 락킹레버 (84) 를 회전을 시키면 갈고리 모양의 끝단부 (81, 83) 가 서로 걸려져 있는 제 1 락킹밴드 (80) 와 제 2 락킹밴드 (82) 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의 상단부를 쪼이게 되고, 동시에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도 꽉 쪼여지게 된다.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 핸들부를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절단한 절단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 락킹레버를 회전시켜서 제 1 및 제 2 락킹밴드가 쪼여지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서 핸들부를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한 내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가장 안쪽에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이 배치되어 있고,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이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을 감싸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의 상단부 측면에는 제 1 락킹밴드 (80) 와 제 2 락킹밴드 (82) 가 설치되어 있고, 제 1 락킹밴드 (80) 와 제 2 락킹밴드 (82) 의 끝단부 (81, 83) 는 갈고리 모양을 하고 서로 걸려져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락킹레버 (84) 는 제 2 락킹밴드 (82) 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고, 락킹레버 (84) 에는 돌출된 쪼임돌기 (85)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락킹레버 (84) 를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돌출된 쪼임돌기 (85) 가 제 1 하부유닛 (43) 의 표면을 누르면서 쪼임돌기 (85) 의 돌출된 부분만큼 제 2 락킹밴드 (82) 가 제 1 하부유닛 (43) 의 표면과 이격되게 되고, 동시에 2 락킹밴드 (82) 와 끝단부 (81, 83) 가 서로 걸려져 있는 제 1 락킹밴드 (80) 도 쪼여지게 되어 궁극적으로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그리고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을 모두 함께 쪼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은 견고하게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에 고정되게 된다.
도 23 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가 접혀진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24 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제 1 및 제 2 하부유닛이 펼쳐진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25 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양쪽 핸들부가 접혀진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제 1 및 제 2 하부유닛이 서로 결합된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제 1 및 제 2 상부유닛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올라간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의 핸들축부 (40) 는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은 각각 하단부에 기어 (90) 가 설치되어 몸체부 (30) 에 대해 회전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상부유닛 (42) 과 제 2 상부유닛 (44) 은 접혀진 제 1 하부유닛 (43) 과 제 2 하부유닛 (45) 이 서로 펼쳐져 결합이 된 상태에서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28 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제 1 및 제 2 상부유닛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올라간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28 을 참조하면, 제 1 상부유닛 (42) 은 제 1 하부유닛 (43) 속에 끼워지게 구성되고,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제 2 상부유닛 (44) 은 제 2 하부유닛 (45) 속에 끼워지게 구성되고, 동일하게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29 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제 1 상부유닛 및 제 1 하부유닛이 슬라이딩되어 올려진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30 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에서 제 1 상부유닛 및 제 1 하부유닛이 슬라이딩되어 올려진 모습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29 및 도 30 을 참조하면, 제 1 상부유닛 (42) 이 제 1 하부유닛 (43) 속에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었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않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발판 14: 풋프런트
15: 락킹바디 16: 돌기부
17: 락킹봉 19: 락킹홀
20: 직삼각형부 21: 코일스프링
30: 몸체부 36, 37: 회전축 샤프트
42: 제 1 상부유닛 43: 제 1 하부유닛
44: 제 2 상부유닛 45: 제 2 하부유닛
46: 스토핑홈
70: 스토핑레버 72: 스토핑 봉
80: 제 1 락킹밴드 82: 제 2 락킹밴드
81L 83: 갈고리형 끝단부
84: 락킹레버 85: 쪼임돌기
86: 상부커버 88: 코일스프링
100: 고정힌지 119: 홀
144: 돌출부 181: 가이드홀
371: 회전축 샤프트 홈

Claims (6)

  1. 사용자가 발이 발판부에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핸들부를 잡고 타는 핸들축부가 접혀지는 접이식 킥보드로서,
    상기 핸들축부와 상기 발판부는 각각 2단으로 접혀지게 구성되고,
    상기 핸들축부는, 각각의 일 단부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 및
    상기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속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은 상기 접이식 킥보드의 정면을 기준으로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의 각각의 하단부에는 각각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의 기어가 서로 맞물려지게 구성되어 상기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된 부분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풋프런트와 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판의 아래부분에는 락킹봉이 고정되게 설치된 한쌍의 락킹부가 설치되고, 한쌍의 락킹부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면 풋프런트의 락킹홀에 삽입된 락킹봉이 상기 락킹홀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한쌍의 락킹부는, 앞부분에는 한쌍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락킹바디의 상기 한쌍의 돌기부와 맞닿게 구성되고, 상기 락킹바디가 이동을 하면 상기 한쌍의 돌기부가 상기 한쌍의 락킹부를 안쪽 방향으로 밀면서 상기 한쌍의 락킹부의 간격을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의 상단측면에는 각각 서로 분리된 제 1 락킹밴드와 제 2 락킹밴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이 전부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의 안쪽으로 슬라이딩이 되어 삽입되면 상기 제 1 락킹밴드와 제 2 락킹밴드의 높이 위치가 서로 달리하도록 분리되어 각각의 갈고리형 끝단부가 서로 맞물리지 않게 되고,
    상기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이 전부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의 바깥쪽으로 슬라이딩이 되어 빠져 나오게 되면 상기 제 1 락킹밴드와 제 2 락킹밴드의 높이 위치가 서로 같게 되어 각각의 갈고리형 끝단부가 서로 맞물리는 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5.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
    앞바퀴가 설치되고 발판과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핸들축부; 및,
    상기 핸들축부 상단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양손을 잡게되는 핸들부로 구성된 접이식 킥보드로서,
    상기 핸들축부는
    각각의 일 단부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 및
    상기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에 각각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의 각각의 하단부에는 각각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의 기어가 서로 맞물려지게 구성되어 상기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의 상단측면에는 각각 서로 분리된 제
    1 락킹밴드와 제 2 락킹밴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이 전부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의 안쪽으로 슬라이딩이 되어 삽입되면 상기 제 1 락킹밴드와 제 2 락킹밴드의 높이 위치가 서로 달리하도록 분리되어 각각의 갈고리형 끝단부가 서로 맞물리지 않게 되고,
    상기 제 1 상부유닛과 제 2 상부유닛이 전부 제 1 하부유닛과 제 2 하부유닛의 바깥쪽으로 슬라이딩이 되어 빠져 나오게 되면 상기 제 1 락킹밴드와 제 2 락킹밴드의 높이 위치가 서로 같게 되어 각각의 갈고리형 끝단부가 서로 맞물리는 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KR1020160053583A 2014-09-18 2016-04-29 접이식 킥보드 KR101789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54315.1A CN108025787A (zh) 2014-09-18 2016-08-02 折叠式滑板车
EP16846748.8A EP3351469A4 (en) 2014-09-18 2016-08-02 FOLDING KICKBOARD
PCT/KR2016/008530 WO2017047927A1 (ko) 2014-09-18 2016-08-02 접이식 킥보드
US15/760,632 US10583887B2 (en) 2014-09-18 2016-08-02 Foldable kick board
JP2018534448A JP6639681B2 (ja) 2014-09-18 2016-08-02 折り畳み式キックボード
TW105128783A TW201711895A (zh) 2014-09-18 2016-09-06 摺疊式滑板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507A KR20160033582A (ko) 2014-09-18 2015-05-06 접이식 킥보드
KR1020150063507 2015-05-06
KR1020150131937 2015-09-17
KR1020150131937A KR20160033634A (ko) 2014-09-18 2015-09-17 접이식 킥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200A Division KR20170081582A (ko) 2014-09-18 2017-05-22 접이식 킥보드
KR1020170063201A Division KR20170081583A (ko) 2014-09-18 2017-05-22 접이식 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908A KR20160131908A (ko) 2016-11-16
KR101789811B1 true KR101789811B1 (ko) 2017-10-25

Family

ID=5758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583A KR101789811B1 (ko) 2014-09-18 2016-04-29 접이식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078A (ko) 2018-11-14 2020-05-22 주식회사 씨티엔에스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힘가능한 킥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010B1 (ko) 2017-01-04 2019-0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KR102053432B1 (ko) * 2018-08-30 2019-12-06 현대자동차(주)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KR102030146B1 (ko) * 2018-08-30 2019-10-08 현대자동차(주)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CN110001848B (zh) * 2019-04-29 2024-03-05 胡仁东 一种滑板车折叠机构
CN111483541A (zh) * 2020-05-13 2020-08-04 浙江飞神车业有限公司 可折叠滑板车
KR102399527B1 (ko) * 2020-11-27 2022-05-18 주식회사 타바라 킥보드를 포함하는 이륜차의 앞바퀴에 대한 외팔 지지 및 조향장치
KR102585658B1 (ko) * 2021-08-20 2023-10-10 주식회사 서진오토모티브 휴대가 용이한 전동 킥보드의 접이식 구조
KR102575758B1 (ko) * 2022-02-25 2023-09-06 주식회사 라오닉스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5141A1 (en) 2003-01-23 2004-07-29 The Electric Transportation Company, Llc Vehicle hinge assembly
US20090278327A1 (en) 2008-05-08 2009-11-12 Choi Wan Chan Foldable Scoo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854Y1 (ko) 2000-08-21 2001-04-16 조순암 킥보드의 조향대 절첩부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5141A1 (en) 2003-01-23 2004-07-29 The Electric Transportation Company, Llc Vehicle hinge assembly
US20090278327A1 (en) 2008-05-08 2009-11-12 Choi Wan Chan Foldable Scoo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078A (ko) 2018-11-14 2020-05-22 주식회사 씨티엔에스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힘가능한 킥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908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1583A (ko) 접이식 킥보드
KR101789811B1 (ko) 접이식 킥보드
US8500147B2 (en) Folding scooter
US8313115B2 (en) Stroller
US9796443B2 (en) Conversion scooter
TWI680072B (zh) 可折疊三輪車
GB2403898A (en) Collapsible high chair for children
RU74552U1 (ru) Улучш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равления первых шагов ребенка
CA2356501C (en) Child activity device
BR112017017829B1 (pt) Assento para criança dobrável e carrinho de criança
EP1593545A2 (en) Seat for carrying children in cars
US20180257727A1 (en) Foldable three-wheeled scooter
US8720936B1 (en) Twin baby carriage
US7147242B2 (en) Folding mechanism for a front wheel of a golf cart
US20130309938A1 (en) Toy vehicle having variable heights
KR101078992B1 (ko)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KR20160033574A (ko) 접이식 킥보드
US20140333106A1 (en) Carrier for Infant Car Seat
CN215851656U (zh) 一种踏板车
CN108297924B (zh) 一种具有转向调节功能的童车
KR200479615Y1 (ko)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
JPH0320219Y2 (ko)
JP2023163798A (ja) 前輪二輪式乗用玩具
TWM486332U (zh) 兩用式兒童安全座椅
JPH0818592B2 (ja) 一輪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