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146B1 -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 Google Patents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146B1
KR102030146B1 KR1020180102717A KR20180102717A KR102030146B1 KR 102030146 B1 KR102030146 B1 KR 102030146B1 KR 1020180102717 A KR1020180102717 A KR 1020180102717A KR 20180102717 A KR20180102717 A KR 20180102717A KR 102030146 B1 KR102030146 B1 KR 102030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ortion
sliding
handle
footrest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0516A (ko
Inventor
구동한
최재영
박준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
기아자동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 기아자동차(주)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
Priority to KR1020180102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146B1/ko
Publication of KR20180100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바퀴가 구비되고,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로 구성되며,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는 힌지구조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서로 접혀지는 발판부; 및 상단에 회전중심부가 마련되고 회전중심부의 양측에 좌측핸들 및 우측핸들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딩을 통해 길이가 변화되고, 하단이 발판부측으로 졉혀짐이 가능한 핸들부;를 포함하고, 후방발판부가 힌지구조를 통하여 전방발판부의 상면에 포개어지도록 접혀지고, 핸들부가 슬라이딩으로 길이가 축소된 상태에서 후방발판부에 포개어지도록 접혀짐으로써 후방발판부가 핸들부 및 전방발판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핸들부는 좌측핸들과 우측핸들이 회전에 의해 서로 모아짐으로써 접혀진 후방발판부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FOLDING PERSONAL MOBILITY}
본 발명은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편리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에 관한 기술이다.
환경에 오염 문제 및 사용상의 재미에 따른 수요 증가로 인해 최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라는 1인용 차량의 개발이 증대되고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의 일례로 킥 보드(kick board)라는 운송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킥 보드의 구성은 크게 바퀴가 구비된 발판부 및 핸들이 구비된 핸들부로 구성되며, 핸들부의 길이는 통상적으로 발판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성된다.
킥 보드와 같이 발판부와 핸들부로 구성된 종래 대부분의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은 접이식 구조가 아니어서 휴대시 불편함이 따르고, 또한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예로 일반적인 힌지 타입의 접이식 구조는 접혀져서 중첩을 이루는 구성부품 사이에 빈공간이 존재하는 구조로, 상기와 같은 빈공간으로 인해 접혀진 상태에서도 부피가 최소한으로 줄어들지 않음에 따라 이 역시 보관 및 운반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WO 2016-043556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발판부와 핸들부 사이의 사공간을 제거하여 콤팩트한 사이즈의 구현이 가능하여 이동 및 수납이 편리한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는 바퀴가 구비되고,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로 구성되며,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는 힌지구조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서로 접혀지는 발판부; 및 상단에 회전중심부가 마련되고 회전중심부의 양측에 좌측핸들 및 우측핸들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딩을 통해 길이가 변화되고, 하단이 발판부측으로 졉혀짐이 가능한 핸들부;를 포함하고, 후방발판부가 힌지구조를 통하여 전방발판부의 상면에 포개어지도록 접혀지고, 핸들부가 슬라이딩으로 길이가 축소된 상태에서 후방발판부에 포개어지도록 접혀짐으로써 후방발판부가 핸들부 및 전방발판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전방발판부의 상면 전방 및 핸들부의 하부에는 접혀진 상태에서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바퀴홈이 형성되고,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 및 핸들부가 접혀지는 경우 후방발판부의 후방에 마련된 뒷바퀴가 각각의 바퀴홈에 삽입됨으로써 후방발판부가 전방발판부 및 핸들부의 사이에서 평행한 상태로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방발판부가 핸들부 및 전방발판부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핸들부와 후방발판부 및 후방발판부와 전방발판부가 서로 나란하게 인접할 수 있다.
발판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핸들부의 측면과 발판부의 하면이 인접하도록 접혀지되, 핸들부와 후방발판부 및 후방발판부와 전방발판부가 서로 나란하게 인접할 수 있다.
전방발판부는 전방에 바퀴캐리어가 마련되고 바퀴캐리어에 앞바퀴가 마련되고, 후방발판부는 후방에 뒷바퀴가 마련되며,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는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핸들부는 힌지락킹기구를 매개로 바퀴캐리어에 결합되어 후방발판부가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전방발판부에 접혀지고 핸들부가 슬라이딩으로 길이가 축소된 상태에서 힌지락킹기구를 매개로 회전하여 후방발판부에 접혀질 수 있다.
핸들부는 바퀴캐리어와 힌지락킹수단을 매개로 결합된 하단핸들부, 하단핸들부와 슬라이딩수단을 매개로 결합된 상단핸들부 및 상단핸들부를 기준으로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단핸들부의 상단에는 회전중심부가 설치되고, 회전중심부의 양측에는 좌측핸들 및 우측핸들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중심부에는 좌측핸들의 회전축을 공유하는 좌측기어와 우측핸들의 회전축을 공유하는 우측기어가 구비되고, 좌측기어와 우측기어는 치합되도록 설치되어, 좌측핸들과 우측핸들 중 어느 하나의 핸들만 회전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핸들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회전중심부에는 핸들의 회전을 저지하는 고정핀이 락해제바에 거치되고, 락해제바와 연결되어 회전중심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락해제버튼이 구비되며, 핸들에는 고정핀이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락해제버튼의 가압시 락해제바가 가압되어 고정핀이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핸들의 회전이 가능해질 수 있다.
락해제바에는 락해제버튼을 항상 외측으로 가압하는 형태로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락해제버튼에 작용되는 외력의 해제시 고정핀이 탄성부재에 의해 고정홈에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단핸들부와 하단핸들부 사이에는 중간핸들부가 구비되고, 상단핸들부는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중간핸들부에 삽입되고, 중간핸들부는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하방핸들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단핸들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테이퍼부에 중간핸들부가 거치되어 결합되며, 상단핸들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중간핸들부에는 내측 상단에 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어, 슬라이딩돌기가 슬라이딩홈 내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중간핸들부에 상단핸들부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할 수 있다.
중간핸들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테이퍼부에 하단핸들부가 거치되어 결합되며, 중간핸들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하단핸들부에는 내측 상단에 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어, 슬라이딩돌기가 슬라이딩홈 내를 슬라이딩함으로써 하단핸들부에 중간핸들부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할 수 있다.
상단핸들부와 중간핸들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홈의 상측과 하측에는 슬라이딩홈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는 높이를 갖는 슬라이딩방지홈이 형성되며, 중간핸들부와 하단핸들부의 상단의 내측에는 슬라이딩방지돌기가 형성된 락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슬라이딩방지돌기가 슬라이딩방지홈에 삽입됨으로써 상단핸들부와 중간핸들부 또는 중간핸들부와 하단핸들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다.
락장치의 슬라이딩방지돌기는 슬라이딩방지홈에서 인출된 상태일 때에는, 슬라이딩홈 내에 위치되어 상단핸들부 또는 하단핸들부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중간핸들부의 상단 및 하단핸들부의 상단에는 고정슬롯이 각각 형성되고, 락장치에는 락키홀이 형성되며, 락키홀에는 돌출돌기가 형성된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돌출돌기가 고정슬롯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락장치와 중간핸들부 또는 락장치와 하단핸들부가 상대회전 가능하되 축방향으로 이동은 방지될 수 있다.
상단핸들부의 하단과 중간핸들부의 하단에는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전방발판부 상에 후방발판부가 접혀지고, 후방발판부 상에 하단핸들부가 접혀지며,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의 일측으로 핸들이 위치될 수 있다.
하단핸들부는 힌지락킹수단에 의해 접혀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바퀴캐리어의 상단과 하단핸들부의 하단은 힌지결합되어 핸들부의 접힘동작이 가능하고, 하단핸들부에는 슬라이딩부가 구비되며, 바퀴캐리어에는 하단핸들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이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는 하단핸들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슬라이딩버튼과, 슬라이딩버튼에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지지부재 및 슬라이딩버튼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슬롯을 포함하고, 지지부재가 바퀴캐리어의 상단에 접촉되는 경우, 회전축의 회전이 차단되고, 슬라이딩버튼이 슬라이딩슬롯 내를 이동하여 지지부재와 바퀴캐리어의 상단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어 핸들부가 발판부측으로 접힘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슬라이딩버튼은 핸들부의 접힘동작을 위해 슬라이딩슬롯 내에서 이동되고, 핸들부의 접힘동작의 완료 후, 다시 슬라이딩되어 바퀴캐리어의 상단을 가로막는 위치에 위치되어 핸들부의 회전이 저지될 수 있다.
전방발판부의 후방 상단 모서리부와 후방발판부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가 서로 중첩되면서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발판부에는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의 펴짐상태를 고정시키는 발판락킹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발판락킹수단은 전방발판부의 후방 하단 모서리부에 레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락킹레버; 락킹레버의 일단에 형성된 락킹돌기가 삽입되어서 걸려지도록 후방발판부의 전방 하단 모서리부에 형성된 락킹돌기홈; 및 락킹돌기가 락킹돌기홈 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락킹레버가 회전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레버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스프링은 레버축에 감겨지면서 일단은 전방발판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락킹레버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에 따르면, 완전히 접게 되면, 차량의 도어에도 수납이 가능한 정도의 콤팩트한 사이즈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완전히 접힌 상태로 들고 이동이 가능하며, 혹은 핸들부의 일부를 인출한 상태에서 앞바퀴를 이용하여 끌면서 이동도 가능하여 이동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을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이 접혀지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핸들이 접혀지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핸들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11은 락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3은 고정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5는 핸들부의 락킹 전/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4 내지 15의 단면도.
도 17은 락장치와 고정장치가 결합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18 내지 도 19는 발판부의 접힘 전/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이 힌지락킹수단에 의해 접혀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의 수납 및 이동 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1)가 접혀지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는 바퀴(2,3)가 구비되고, 전방발판부(6)와 후방발판부(7)로 구성되며, 전방발판부(6)와 후방발판부(7)는 힌지구조(5)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서로 접혀지는 발판부(4); 및 핸들(16,17)이 구비되고, 슬라이딩을 통해 길이가 변화되며 발판부(4)측으로 졉혀짐이 가능한 핸들부(16,17);를 포함하고, 후방발판부(7)가 힌지구조(5)를 통하여 전방발판부(6)에 접혀지고 핸들부(16,17)가 슬라이딩으로 길이가 축소된 상태에서 후방발판부(7)에 접혀짐으로써, 접혀진 상태에서 후방발판부(7)가 핸들부(16,17) 및 전방발판부(6)의 사이에 위치된다. 즉, 바퀴(2,3)가 구비된 발판부(4) 및 핸들(16,17)이 구비된 핸들부(54)를 포함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에 있어서, 발판부(4)는 힌지구조(5)를 이용해서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핸들부(54)는 슬라이딩된 후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발판부(4)가 접혀진 후, 핸들부(54)가 발판부(4)를 감싸는 상태가 되도록 접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는 핸들부(54) 사이에 발판부(4)가 위치하도록 접혀진 상태일 때, 중첩된 방향을 따라 핸들부(54)와 발판부(4) 사이 및 발판부(4)와 발판부(4) 사이에 빈공간이 존재하지 않도록 서로 밀착된다. 즉, 발판부(4)가 접혀진 상태에서 핸들부(54)가 접혀진 발판부(4)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고, 핸들부(54)의 측면과 발판부(4)의 하면이 밀착되도록 접혀짐으로써, 후방발판부(7)가 핸들부(16,17) 및 전방발판부(6)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핸들부(16,17)와 후방발판부(7) 및 후방발판부(7)와 전방발판부(6)가 서로 나란하게 인접되는 것이다. 따라서, 발판부(4)가 접혀진 상태에서 핸들부(16,17)는 접혀진 발판부(4)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고, 핸들부(16,17)의 측면과 발판부(4)의 하면이 인접하도록 접혀지되, 핸들부(16,17)와 후방발판부(7) 및 후방발판부(7)와 전방발판부(6)가 서로 나란하게 인접함으로써, 본 발명의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1)는 차량의 도어(D)에 수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의 상태에서 사용자(H)는 핸들부(54)의 핸들(16,17)을 90도 회전하여 접는다. 핸들(16,17)이 접혀지면, 핸들부(54)가 슬라이딩되어 순차적으로 수납됨으로써, 도 3의 상태에서처럼 길이가 짧아진다. 핸들부(54)의 수납이 끝나면, 발판부(4)의 힌지구조(5)를 이용하여 접되, 발판부(4)와 발판부(4) 사이에는 빈공간이 존재되지 않도록 서로 밀착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접혀진 발판부(4)에 핸들부(54)가 접혀져 발판부(4)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고, 핸들부(54)의 측면과 발판부(4)의 하면이 인접하여 접혀지되, 핸들부(16,17)와 후방발판부(7) 및 후방발판부(7)와 전방발판부(6)가 서로 나란하게 인접해지도록 접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1)는 종래에 발판부에 대하여 핸들부를 접었을 때, 발판부와 핸들부 사이에 존재하던 사공간을 제거하여 전체 크기를 축소할 수 있어, 필요에 의해 사용자(H)가 직접 이동하거나, 차량의 도어(D)에 수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는 바퀴(2,3)가 구비된 발판부(4) 및 핸들(16,17)이 구비된 핸들부(54)를 포함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로서, 발판부(4)는 전방에 바퀴캐리어(8)가 결합되고, 바퀴캐리어(8)에 앞바퀴(2)가 결합된 전방발판부(6) 및 전방발판부(6)와 힌지축(35)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에 뒷바퀴(3)가 결합되며, 전방발판부(6) 상에 밀착되도록 접혀지는 후방발판부(7)로 구성되며, 핸들부(54)는 바퀴캐리어(8)와 힌지락킹수단(9)을 매개로 결합된 하단핸들부(26), 하단핸들부(26)와 슬라이딩수단(28)을 매개로 결합된 상단핸들부(21) 및 상단핸들부(21)를 기준으로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핸들(16,17)로 구성된다. 따라서, 후방발판부(7)가 힌지축(35)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전방발판부(6)에 접혀지고 핸들부(16,17)가 슬라이딩으로 길이가 축소된 상태에서 힌지락킹수단(9)을 매개로 회전하여 후방발판부(7)에 접혀짐으로써, 접혀진 상태에서 후방발판부(7)가 핸들부(16,17) 및 전방발판부(6)의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먼저, 핸들부(54)를 살펴보도록 한다. 핸들부(54)는 바퀴캐리어(8)와 힌지락킹수단(9)을 매개로 결합된 하단핸들부(26), 하단핸들부(26)와 슬라이딩수단(28)을 매개로 결합된 상단핸들부(21)와 상단핸들부(21)를 기준으로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핸들(16,17)로 구성된다.
도 6 내지 도 8은 핸들(16,17)이 접혀지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상단핸들부(21)의 상단에는 회전중심부(41)가 설치된다. 회전중심부(41)에는 속도, 배터리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LCD 화면이 노출된다. LCD 화면의 하방에는 핸들(16,17)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회전축(18,2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좌측핸들(16)에는 회전축(18)을 공유하는 좌측기어(19)가 설치되고, 우측핸들(17)에는 회전축(20)을 공유하는 우측기어(22)가 설치된다. 특히, 좌측기어(19)와 우측기어(22)는 치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좌측핸들(16)과 우측핸들(17) 중 어느 하나의 핸들(16,17)만 회전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핸들(16,17)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동작하여 사용자(H)가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회전중심부(41)에는 핸들(16,17)의 회전을 저지하는 고정핀(42)이 구비되고, 핸들(16,17)에는 고정핀(42)에 대응되는 지점에, 고정핀(42)이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43)이 형성된다. 고정핀(42)은 회전중심부(41)에 구비된 락해제바(44)에 거치되고, 락해제바(44)에는 락해제바(44)와 연결되어 회전중심부(41)의 외측으로 돌출된 락해제버튼(45)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H)가 락해제버튼(45)의 가압시, 락해제바(44)가 가압되어 고정핀(42)이 고정홈(43)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핸들(16,17)의 회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락해제바(44)에는 락해제버튼(45)을 항상 외측으로 가압하는 형태로 탄성부재(46)가 설치된다. 그러므로 락해제버튼(45)의 작동시 탄성부재(46)는 계속 압축상태이므로, 사용자(H)가 한손으로 계속 누른 상태에서 핸들(16,17)을 접어야 한다.
따라서, 핸들(16,17)을 접은 후, 사용자(H)가 락해제버튼(45)에 작용되는 외력의 해제시, 고정핀(42)이 탄성부재(46)에 의해 고정홈(43)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락해제버튼(45)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핸들(16,17)이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여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핸들부(54)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핸들부(54)는 바퀴캐리어(8)와 힌지락킹수단(9)을 매개로 결합된 하단핸들부(26), 하단핸들부(26)와 슬라이딩수단(28)을 매개로 결합된 상단핸들부(21)로 구성된다. 핸들부(5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단핸들부(21) 및 하단핸들부(26)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단핸들부(21)와 하단핸들부(26) 사이에 중간핸들부(25)가 구비되어 3단으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단핸들부(21), 중간핸들부(25) 및 하단핸들부(26)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파이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상단핸들부(21)에서 하단핸들부(26)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되어 상단핸들부(21)는 슬라이딩수단(28)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중간핸들부(25)에 삽입되고, 중간핸들부(25)는 슬라이딩수단(29)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하단핸들부(26)에 삽입되어 핸들부(54)의 높이를 축소시킬 수 있어 콤팩트한 사이즈의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1)의 구현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면에서처럼, 상단핸들부(21)는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부(23)가 형성되어, 테이퍼부(23)에 중간핸들부(25)가 거치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단핸들부(21)를 중간핸들부(25)로부터 모두 인출하였을 때에만, 상단핸들부(21)의 하측과 중간핸들부(25)의 상측이 서로 면접촉하여 보다 튼튼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특히, 중간핸들부(25)의 내측에도 상단핸들부(21)의 테이퍼부(23)에 대응되는 형상의,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부(58)가 형성되어 두 군데의 테이퍼부(28,58)가 면접촉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단핸들부(21)의 하단에는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부재(53)가 구비되는데, 만약 상단핸들부(21)가 중간핸들부(25)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지 않고 중간의 위치에 있게 되면, 중간핸들부(25)는 미끄럼방지부재(53)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중간핸들부(25)로부터 상단핸들부(21)의 인출 시, 동작을 부드럽게 해주며, 소음을 감소시키며, 수납 시 급하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단핸들부(21)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24)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홈(24)의 상측 및 하측에는 슬라이딩방지홈(52)이 상단핸들부(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슬라이딩방지홈(52)은 슬라이딩홈(24)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미끄럼방지부재(53)는 오링일 수 있으며,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단핸들부(21)와 같이 중간핸들부(25)에도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부(31)가 형성되어, 테이퍼부(31)에 하단핸들부(26)가 거치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중간핸들부(25)를 하단핸들부(26)로부터 모두 인출하였을 때에만, 중간핸들부(25)의 하측과 하단핸들부(26)의 상측이 서로 면접촉하여 보다 튼튼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특히, 하단핸들부(26)의 내측에도 중간핸들부(25)의 테이퍼부(31)에 대응되는 형상의,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부(59)가 형성되어 두 군데의 테이퍼부(31,59)가 면접촉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중간핸들부(25)의 하단에도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부재(53)가 구비되는데, 만약 중간핸들부(25)가 하단핸들부(26)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지 않고 중간의 위치에 있게 되면, 하단핸들부(26)는 미끄럼방지부재(53)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하단핸들부(26)로부터 중간핸들부(25)의 인출 시, 동작을 부드럽게 해주며, 소음을 감소시키며, 수납 시 급하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간핸들부(25)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32)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홈(32)의 상측 및 하측에는 슬라이딩방지홈(52)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슬라이딩방지홈(52)은 슬라이딩홈(3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미끄럼방지부재(53)는 오링일 수 있으며,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중간핸들부(25)와 하단핸들부(26)의 내측 상단에는 슬라이딩돌기(27,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중간핸들부(25)의 슬라이딩돌기(27)는 상단핸들부(21)의 슬라이딩홈(24) 내를 슬라이딩하여 상단핸들부(21)가 회전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슬라이딩되어 중간핸들부(25)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단핸들부(26)의 슬라이딩돌기(30)는 중간핸들부(25)의 슬라이딩홈(32) 내를 슬라이딩하여 중간핸들부(25)가 회전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슬라이딩되어 하단핸들부(26)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된다.
하단핸들부(26)의 외측에는 하우징(57) 별물로 설치되고, 하우징(57)에 바퀴캐리어(8)가 설치되어 내구성 및 조종안정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하우징(57)에는 전방발판부(6)의 바퀴홈(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바퀴홈(34)이 형성되어, 뒷바퀴(3)가 삽입되게 된다.
중간핸들부(25)와 하단핸들부(26)의 상단에는 별물로 형성된 락장치(47)가 각각 설치된다. 락장치(47)는 중간핸들부(25)와 하단핸들부(26)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 고정슬롯(55,56)에 각각 설치된다. 고정슬롯(55,56)에는 별물로 형성된 고정장치(50)가 락장치(47)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단핸들부(21), 중간핸들부(25) 및 하단핸들부(26)가 슬라이딩되어 삽입된 후 삽입 완료된 상태 또는 인출된 후 인출 완료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1은 락장치(47)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으로서, 락장치(47)의 내측에는 슬라이딩방지돌기(48)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락키홀(49)이 형성된다. 슬라이딩방지돌기(48)는 상단핸들부(21)와 중간핸들부(25)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딩홈(24,3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된 후, 슬라이딩방지홈(52)에 삽입 또는 인출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방지돌기(48)가 슬라이딩방지홈(52)에 삽입됨으로써, 상단핸들부(21)와 중간핸들부(25) 또는 중간핸들부(25)와 하단핸들부(26)의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방지되고, 슬라이딩방지돌기(48)가 슬라이딩방지홈(52)으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상단핸들부(21)와 중간핸들부(25) 또는 중간핸들부(25)와 하단핸들부(26)의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슬라이딩방지홈(52)은 슬라이딩홈(24,3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단핸들부(21)와 중간핸들부(25), 그리고 중간핸들부(25)와 하단핸들부(26)가 충분히 밀착되게 된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3은 고정장치(50)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고정장치(50)는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일측에 돌출돌기(51)가 형성된다. 고정장치(50)의 돌출돌기(51)는 락장치(47)의 락키홀(49)에 관통된 후, 고정슬롯(55,56)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락장치(47)의 회전시 돌출돌기(51)가 고정슬롯(55,56)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핸들부(54)가 수납된 상태에서의 축방향 이동이 방지되고, 인출된 상태에서는 락장치(47)와 중간핸들부(25) 또는 하단핸들부(26)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핸들부(54)의 락킹 전/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 내지 15의 단면도이며, 도 17은 락장치(47)와 고정장치(50)가 결합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는 상단핸들부(21)와 중간핸들부(25)의 결합된 모습을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상기한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고정장치(50)의 돌출돌기(51)가 고정슬롯(56)에 삽입된 상태에서 락장치(47)가 중간핸들부(25)와 상대회전되어 슬라이딩방지돌기(48)가 슬라이딩방지홈(5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중간핸들부(25)와 하단핸들부(26)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고정장치(50)의 돌출돌기(51)가 고정슬롯(55)에 삽입된 상태에서 락장치(47)가 하단핸들부(26)와 상대회전되어 슬라이딩방지돌기(48)가 슬라이딩방지홈(5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단핸들부(21)와 중간핸들부(25) 또는 중간핸들부(25)와 하단핸들부(26) 간의 결합이 공고해지고, 서로 간에 삽입 또는 인출된 상태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장치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의 핸들부(54)는 상단핸들부(21), 중간핸들부(25) 및 하단핸들부(26)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모두 인출되었을 때에는 락장치(47)와 슬라이딩방지홈(52) 및 고정장치(50)에 의해 상단핸들부(21)의 하단과 중간핸들부(25)의 상단 및 중간핸들부(25)의 하단과 하단핸들부(26)의 상단이 고정되어 지지되고, 모두 삽입되었을 때에는 락장치(47)와 슬라이딩방지홈(52) 및 고정장치(50)에 의해 상단핸들부(21)의 상단, 중간핸들부(25)의 상단 및 하단핸들부(26)의 상단이 고정되어 지지되며, 나머지 삽입 중, 인출 중 등의 상태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발판부(4)는 전방에 바퀴캐리어(8)가 결합되고 바퀴캐리어(8)에 앞바퀴(2)가 결합된 전방발판부(6) 및 전방발판부(6)와 힌지축(35)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에 뒷바퀴(3)가 결합되며 전방발판부(6)상에 밀착되도록 접혀지는 후방발판부(7)로 구성된다.
도 18b, 도 18c 및 도 19는 발판부(4)의 접힘 전/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판부(4)는 앞바퀴(2)가 설치된 전방발판부(6)와 뒷바퀴(3)가 설치된 후방발판부(7)로 구성된다. 후방발판부(7)는 전방발판부(6)에 힌지축(35)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발판부(4)에는 전방발판부(6)와 후방발판부(7)의 펴짐상태를 고정시키는 발판락킹수단(33);이 더 포함된다.
힌지축(35)은 전방발판부(6)의 후방 상단 모서리부와 후방발판부(7)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가 서로 중첩되면서 힌지축(35)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발판락킹수단(33)은 전방발판부(6)의 후방 하단 모서리부에 레버축(36)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락킹레버(37);와 락킹레버(37)의 일단에 형성된 락킹돌기(38)가 삽입되어서 걸려지도록 후방발판부(7)의 전방 하단 모서리부에 형성된 락킹돌기홈(39); 및 락킹돌기(38)가 락킹돌기홈(39) 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락킹레버(37)가 회전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레버스프링(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 도 18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레버스프링(40)은 일단이 전방발판부(6)에 고정되고 타단은 락킹레버(37)에 고정되어 락킹돌기(38)가 락킹돌기홈(39) 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락킹레버(37)가 회전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8c에 도시한 것과 같이, 레버스프링(40)은 레버축(36)에 감겨지면서 일단은 전방발판부(6)에 고정되고 타단은 락킹레버(37)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락킹돌기(38)가 락킹돌기홈(39) 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락킹레버(37)가 회전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H)가 레버스프링(40)의 탄성력을 이기는 힘을 가하여 락킹레버(37)를 당겨 레버축(36)을 중심으로 락킹레버(37)를 회전시키면, 전방발판부(6)와 후방발판부(7)는 힌지축(3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분리된다. 분리 후, 후방발판부(7)를 힌지축(35)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전방발판부(6)의 상면과 후방발판부(7)의 상면이 밀착되도록 접힌 후, 접힌 상태가 유지된다.
도 2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1)이 힌지락킹수단(9)에 의해 접혀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는 발판부(4)로 핸들부(54)가 접혀 포개지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발판부(4)에는 전방에 바퀴캐리어(8)가 결합되고, 바퀴캐리어(8)에는 앞바퀴(2)가 결합되며, 하단핸들부(26)는 바퀴캐리어(8)와 힌지락킹수단(9)을 매개로 결합된다.
즉, 바퀴캐리어(8)의 상단과 하단핸들부(26)의 하단은 힌지결합되어, 핸들부(54)의 접힘동작이 가능하고, 하단핸들부(26)에는 슬라이딩부(10)가 구비되며, 바퀴캐리어(8)에는 하단핸들부(26)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11)이 구비된다.
*슬라이딩부(10)는 하단핸들부(26)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슬라이딩버튼(13)과, 슬라이딩버튼(13)에 연결되어 회전축(11)의 회전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지지부재(14) 및 슬라이딩버튼(13)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슬롯(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0에서처럼, 지지부재(14)가 바퀴캐리어(8)의 상단에 접촉되는 경우, 회전축(11)의 회전은 차단되는 상태이다. 특히, 슬라이딩버튼(13)은 핸들부(16,17)의 접힘동작을 위해 슬라이딩슬롯(15) 내에서 이동되고, 핸들부(16,17)의 접힘동작의 완료 후, 다시 슬라이딩되어 바퀴캐리어(8)의 상단을 가로막는 위치에 위치되어 핸들부(16,17)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1에 도시한 것처럼, 슬라이딩버튼(13)을 상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딩슬롯(15) 내를 이동하면, 지지부재(14)가 바퀴캐리어(8)의 상단과 접촉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11)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어 핸들부(54)의 발판부(4)측으로 접힘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2에 도시한 것처럼, 핸들부(54)를 발판부(4)측으로 회전시켜 접어 밀착시킨다.
그 후, 도 23에 도시한 것처럼, 슬라이딩버튼(13)을 슬라이딩슬롯(15) 내에서 바퀴캐리어(8) 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슬라이딩버튼(13)은 바퀴캐리어(8)의 상단을 가로막는 위치에 위치되어 핸들부(54)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즉, 슬라이딩버튼(13)은 핸들부(54)의 접힘동작을 위해 슬라이딩슬롯(15) 내에서 이동되었다가, 핸들부(54)의 접힘동작의 완료 후, 다시 슬라이딩되어 바퀴캐리어(8)의 상단을 가로막는 위치에 위치되어 핸들부(54)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즉, 하단핸들부(26)는 힌지락킹수단(9)에 의해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4에 도시한 것처럼, 전방발판부(6) 상에 후방발판부(7)가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후방발판부(7) 상에 하단핸들부(26)가 밀착되도록 접혀지며, 전방발판부(6)와 후방발판부(7)의 일측으로 핸들(16,17)이 접혀진 상태로 위치되게 된다. 또한, 전방발판부(6)에는 바퀴홈(12)이 형성되고, 하단핸들부(26)의 하우징(57)에도 바퀴홈(34)이 형성되어, 전방발판부(6) 상에 후방발판부(7)가 밀착되도록 접혀졌을 때 뒷바퀴(3)가 바퀴홈(12,34)에 삽입됨으로써, 전방발판부(6)와 후방발판부(7)가 보다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의 수납 및 이동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는 차량의 도어(D)에도 수납이 가능한 정도의 콤팩트한 사이즈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H)가 완전히 접힌 상태로 들고 이동이 가능하며, 혹은 핸들부(54)의 일부를 인출한 상태에서 앞바퀴(2)를 이용하여 끌면서 이동도 가능하여 이동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2 : 앞바퀴 3 : 뒷바퀴
4 : 발판부 5 : 힌지구조
6 : 전방발판부 7 : 후방발판부
8 : 바퀴캐리어 9 : 힌지락킹수단
10 : 슬라이딩부 11 : 회전축
12 : 바퀴홈 13 : 슬라이딩버튼
14 : 지지부재 15 : 슬라이딩슬롯
16 : 좌측핸들 17 : 우측핸들
18 : 회전축 19 : 좌측기어
20 : 회전축 21 : 상단핸들부
22 : 우측기어 23 : 테이퍼부
24 : 슬라이딩홈 25 : 중간핸들부
26 : 하단핸들부 27 : 슬라이딩돌기
28 : 슬라이딩수단 29 : 슬라이딩수단
30 : 슬라이딩돌기 31 : 테이퍼부
32 : 슬라이딩홈 33 : 발판락킹수단
34 : 바퀴홈 35 : 힌지축
36 : 레버축 37 : 락킹레버
38 : 락킹돌기 39 : 락킹돌기홈
40 : 레버스프링 41 : 회전중심부
42 : 고정핀 43 : 고정홈
44 : 락해제바 45 : 락해제버튼
46 : 탄성부재 47 : 락장치
48 : 슬라이딩방지돌기 49 : 락키홀
50 : 고정장치 51 : 돌출돌기
52 : 슬라이딩방지홈 53 : 미끄럼방지부재
54 : 핸들부 55 : 고정슬롯
56 : 고정슬롯 57 : 하우징

Claims (25)

  1. 바퀴가 구비되고,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로 구성되며,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는 힌지구조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서로 접혀지는 발판부; 및
    상단에 회전중심부가 마련되고 회전중심부의 양측에 좌측핸들 및 우측핸들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딩을 통해 길이가 변화되고, 하단이 발판부측으로 졉혀짐이 가능한 핸들부;를 포함하고,
    후방발판부가 힌지구조를 통하여 전방발판부의 상면에 포개어지도록 접혀지고, 핸들부가 슬라이딩으로 길이가 축소된 상태에서 후방발판부에 포개어지도록 접혀짐으로써 후방발판부가 핸들부 및 전방발판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전방발판부의 상면 전방 및 핸들부의 하부에는 접혀진 상태에서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바퀴홈이 형성되고,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 및 핸들부가 접혀지는 경우 후방발판부의 후방에 마련된 뒷바퀴가 각각의 바퀴홈에 삽입됨으로써 전방발판부의 상면과 후방발판부의 상면이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후방발판부 상에 핸들부가 밀착되도록 접혀지며, 후방발판부가 전방발판부 및 핸들부의 사이에서 평행한 상태로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방발판부가 핸들부 및 전방발판부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핸들부와 후방발판부 및 후방발판부와 전방발판부가 서로 나란하게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발판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핸들부의 측면과 발판부의 하면이 인접하도록 접혀지되, 핸들부와 후방발판부 및 후방발판부와 전방발판부가 서로 나란하게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방발판부는 전방에 바퀴캐리어가 마련되고 바퀴캐리어에 앞바퀴가 마련되고, 후방발판부는 후방에 뒷바퀴가 마련되며,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는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핸들부는 힌지락킹기구를 매개로 바퀴캐리어에 결합되어 후방발판부가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전방발판부에 접혀지고 핸들부가 슬라이딩으로 길이가 축소된 상태에서 힌지락킹기구를 매개로 회전하여 후방발판부에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5. 청구항 4에 있어서,
    핸들부는 바퀴캐리어와 힌지락킹수단을 매개로 결합된 하단핸들부, 하단핸들부와 슬라이딩수단을 매개로 결합된 상단핸들부 및 상단핸들부를 기준으로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단핸들부의 상단에는 회전중심부가 설치되고, 회전중심부의 양측에는 좌측핸들 및 우측핸들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7. 청구항 6에 있어서,
    회전중심부에는 좌측핸들의 회전축을 공유하는 좌측기어와 우측핸들의 회전축을 공유하는 우측기어가 구비되고, 좌측기어와 우측기어는 치합되도록 설치되어, 좌측핸들과 우측핸들 중 어느 하나의 핸들만 회전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핸들이 동시에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8. 청구항 6에 있어서,
    회전중심부에는 핸들의 회전을 저지하는 고정핀이 락해제바에 거치되고, 락해제바와 연결되어 회전중심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락해제버튼이 구비되며, 핸들에는 고정핀이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락해제버튼의 가압시 락해제바가 가압되어 고정핀이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핸들의 회전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9. 청구항 8에 있어서,
    락해제바에는 락해제버튼을 항상 외측으로 가압하는 형태로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락해제버튼에 작용되는 외력의 해제시 고정핀이 탄성부재에 의해 고정홈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단핸들부와 하단핸들부 사이에는 중간핸들부가 구비되고, 상단핸들부는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중간핸들부에 삽입되고, 중간핸들부는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하방핸들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단핸들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테이퍼부에 중간핸들부가 거치되어 결합되며, 상단핸들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중간핸들부에는 내측 상단에 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어, 슬라이딩돌기가 슬라이딩홈 내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중간핸들부에 상단핸들부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중간핸들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테이퍼부에 하단핸들부가 거치되어 결합되며, 중간핸들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하단핸들부에는 내측 상단에 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어, 슬라이딩돌기가 슬라이딩홈 내를 슬라이딩함으로써 하단핸들부에 중간핸들부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단핸들부와 중간핸들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홈의 상측과 하측에는 슬라이딩홈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는 높이를 갖는 슬라이딩방지홈이 형성되며, 중간핸들부와 하단핸들부의 상단의 내측에는 슬라이딩방지돌기가 형성된 락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슬라이딩방지돌기가 슬라이딩방지홈에 삽입됨으로써 상단핸들부와 중간핸들부 또는 중간핸들부와 하단핸들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락장치의 슬라이딩방지돌기는 슬라이딩방지홈에서 인출된 상태일 때에는, 슬라이딩홈 내에 위치되어 상단핸들부 또는 하단핸들부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중간핸들부의 상단 및 하단핸들부의 상단에는 고정슬롯이 각각 형성되고, 락장치에는 락키홀이 형성되며, 락키홀에는 돌출돌기가 형성된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돌출돌기가 고정슬롯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락장치와 중간핸들부 또는 락장치와 하단핸들부가 상대회전 가능하되 축방향으로 이동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단핸들부의 하단과 중간핸들부의 하단에는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17. 청구항 5에 있어서,
    전방발판부 상에 후방발판부가 접혀지고, 후방발판부 상에 하단핸들부가 접혀지며,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의 일측으로 핸들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18. 청구항 5에 있어서,
    하단핸들부는 힌지락킹수단에 의해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19. 청구항 5에 있어서,
    바퀴캐리어의 상단과 하단핸들부의 하단은 힌지결합되어 핸들부의 접힘동작이 가능하고, 하단핸들부에는 슬라이딩부가 구비되며, 바퀴캐리어에는 하단핸들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슬라이딩부는 하단핸들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슬라이딩버튼과, 슬라이딩버튼에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지지부재 및 슬라이딩버튼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슬롯을 포함하고,
    지지부재가 바퀴캐리어의 상단에 접촉되는 경우, 회전축의 회전이 차단되고, 슬라이딩버튼이 슬라이딩슬롯 내를 이동하여 지지부재와 바퀴캐리어의 상단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어 핸들부가 발판부측으로 접힘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슬라이딩버튼은 핸들부의 접힘동작을 위해 슬라이딩슬롯 내에서 이동되고, 핸들부의 접힘동작의 완료 후, 다시 슬라이딩되어 바퀴캐리어의 상단을 가로막는 위치에 위치되어 핸들부의 회전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방발판부의 후방 상단 모서리부와 후방발판부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가 서로 중첩되면서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23. 청구항 1에 있어서,
    발판부에는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의 펴짐상태를 고정시키는 발판락킹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발판락킹수단은 전방발판부의 후방 하단 모서리부에 레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락킹레버; 락킹레버의 일단에 형성된 락킹돌기가 삽입되어서 걸려지도록 후방발판부의 전방 하단 모서리부에 형성된 락킹돌기홈; 및 락킹돌기가 락킹돌기홈 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락킹레버가 회전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레버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레버스프링은 레버축에 감겨지면서 일단은 전방발판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락킹레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KR1020180102717A 2018-08-30 2018-08-30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KR102030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17A KR102030146B1 (ko) 2018-08-30 2018-08-30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17A KR102030146B1 (ko) 2018-08-30 2018-08-30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536A Division KR101937010B1 (ko) 2017-01-04 2017-01-04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516A KR20180100516A (ko) 2018-09-11
KR102030146B1 true KR102030146B1 (ko) 2019-10-08

Family

ID=6359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717A KR102030146B1 (ko) 2018-08-30 2018-08-30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1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399A2 (ko) 2017-08-28 2019-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
CN109774842B (zh) * 2019-01-23 2024-03-29 永康市锐鹰工贸有限公司 一种联动机构
KR102079902B1 (ko) * 2019-08-30 2020-04-07 (주)크로스오버존 폴더블 전동킥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164A (ja) * 2001-11-05 2003-05-14 Katsumi Inoue 自転車用折りたたみハンド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811B1 (ko) * 2015-05-06 2017-10-25 고영승 접이식 킥보드
KR20160033582A (ko) 2014-09-18 2016-03-28 고영승 접이식 킥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164A (ja) * 2001-11-05 2003-05-14 Katsumi Inoue 自転車用折りたたみハンド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516A (ko)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432B1 (ko)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KR101937010B1 (ko)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KR102030146B1 (ko)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CN108202810B (zh) 折叠式个人移动式车辆
US6478328B1 (en) Locking device with safety mechanism for collapsible stroller
EP1092608B1 (en) Baby carriage folding mechanism for a folding baby carriage
EP2990298B1 (en) Zero play hinge for a stroller
US6536785B2 (en) Roller skate shoes
US6877760B2 (en) Foldable stroller
KR20030014649A (ko) 삼중 절첩식 유모차
CN110448099A (zh) 折叠式摇篮
US7694431B2 (en) Wheeled distance measuring device
US20200216108A1 (en) Vehicle frame and baby stroller
KR20230016669A (ko) 캐리어 프레임
US20020180184A1 (en) Foldable pushcart
EP1170193A1 (en) Stroller with a fold actuator
EP3915862A1 (en) Stem assembly and electric vehicle
US20060138270A1 (en) Portable cord station
CN210707570U (zh) 婴儿推车架和婴儿推车
CN207875745U (zh) 一种婴儿车扶手解锁机构
TWI670000B (zh) 可插拔裝置及其把手
CN217593788U (zh) 一种游戏手柄
CN116001898B (zh) 收折关节和儿童载具
CN211001369U (zh) 一种可折叠拉杆式推车
CN219619198U (zh) 儿童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