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992B1 -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 Google Patents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992B1
KR101078992B1 KR1020100034381A KR20100034381A KR101078992B1 KR 101078992 B1 KR101078992 B1 KR 101078992B1 KR 1020100034381 A KR1020100034381 A KR 1020100034381A KR 20100034381 A KR20100034381 A KR 20100034381A KR 101078992 B1 KR101078992 B1 KR 101078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footrest
body frame
tricycle
childr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963A (ko
Inventor
라귀복
Original Assignee
라귀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귀복 filed Critical 라귀복
Priority to KR1020100034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99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3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having a foldable crank or ped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뼈대를 이루는 몸체 프레임(10),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전방에 조향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20), 상기 핸들(20)의 하단에 장착되어 축심에 설치된 한 쌍의 페달(31)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전륜(30),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후방 상측에 착석할 수 있도록 장착된 안장(40), 및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후방 하측에 상기 몸체 프레임(10)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후륜(50)으로 구성되는 어린이용 세발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전륜(30)과 상기 후륜(50) 사이의 몸체 프레임(10) 상에 발을 얹을 수 있는 발받침대(60)를 구비하되, 상기 발받침대(60)는 미사용시 상기 페달(31)을 밟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는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체구가 작은 어린 아동이 탈 때는 발받침대를 펴 발을 얹을 수 있게 하고, 체구가 큰 어린이가 탈 때는 발받침대를 접어 페달을 밟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이면서도 편리하게 세발자전거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Children's tricycle having a foldable foot supporter}
본 발명은 어린이용 세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나 아동들이 스스로 페달을 저어서 이동하거나 또는 유모차와 같이 보호자가 뒤에서 밀어 이동할 때 상황에 맞게 발받침대의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한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는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나 그 아래의 아동들이 이용하는 소형 자전거로서, 기본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몸체 프레임(110), 핸들(120), 전륜(130), 안장(140), 그리고 한 쌍의 후륜(15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후륜(130,150)에 의해 구름 이동 가능하게 지면 위에 지지되며, 전륜(130)에 연결된 핸들(120)로 진행 방향을 조정하면서 안장(140)에 앉은 상태로 페달(131)을 밟아 전륜(130)을 회전시킴으로써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특히, 도시된 경우의 어린이용 세발자전거는 몸체 프레임(110)의 중간 부분 즉, 안장(140) 아래쪽에 발받침대(160)가 부착되어 있고, 안장(140) 뒤쪽의 몸체 프레임(110) 상에 밀대(170)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세발자전거는 사용자인 어린이가 안장(140)에 앉은 상태로 페달(131)을 밟아 구름으로써 스스로 자전거를 이동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발 구름이 여의치 않은 아동의 경우에는 유모차와 같이 안장(140)아 앉아 발받침대(160) 위에 발을 올려놓기만 하고, 보호자가 뒤에서 밀대(170)를 밀거나 당겨 자전거를 이동시킨다. 이때 아동이 직접 핸들(120)에 의해 진행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고, 아니면 조향마저도 밀대(170)를 통해 보호자가 직접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발받침대(160)가 장착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페달(131) 구름이 곤란한 어린 아동의 경우 발을 발받침대(160) 올려놓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반대로 초등학교 저학년 정도 되는 비교적 신장이 큰 어린이의 경우에는 발받침대(160)가 오히려 페달(131) 구름에 방해를 일으켜 원활한 운전을 할 수 없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어린 아동을 안장에 태우고 보호자 자전거를 밀거나 끌 때 아동이 발을 얹을 수 있는 발받침대를 보호자의 도움 없이 스스로 페달을 밟아 자전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상대적으로 신장이 큰 어린이가 자전거를 탈 때는 뒤쪽으로 접어서 페달을 밟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어린이가 스스로 보다 원활하고 안전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뼈대를 이루는 몸체 프레임, 상기 몸체 프레임의 전방에 조향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상기 핸들의 하단에 장착되어 축심에 설치된 한 쌍의 페달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전륜, 상기 몸체 프레임의 후방 상측에 착석할 수 있도록 장착된 안장, 및 상기 몸체 프레임의 후방 하측에 상기 몸체 프레임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후륜으로 구성되는 어린이용 세발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전륜과 상기 후륜 사이의 몸체 프레임 상에 발을 얹을 수 있는 발받침대를 구비하되, 상기 발받침대는 사용시 상기 페달을 밟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는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를 제공한다.
위에서 상기 발받침대는 상기 몸체 프레임의 상기 전륜과 상기 후륜 사이의 상기 안장 하측에 돌출된 지지브래킷, 상측부가 상기 지지브래킷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봉, 발을 받치도록 상기 연결봉의 하측부에 장착된 발받침, 및 상기 연결봉을 접거나 편 상태로 상기 지지브래킷에 고정시키도록 된 위치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위에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브래킷에 형성된 한 쌍의 홈, 상기 홈 중 어느 한 쪽에 선택적으로 끼워맞춤되어 상기 연결봉을 거치위치 또는 수납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핀, 및 상기 걸림핀에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봉 내에 장착되어 상기 걸림핀을 스냅식으로 동작시키는 조작부로 구성되되, 상기 홈은 상기 연결봉을 내려 펴진 거치위치에 위치시키는 거치홈과 상기 연결봉을 접혀 올라간 수납위치에 위치시키는 수납홈으로 구분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봉 내에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상단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상기 걸림핀을 상기 연결봉의 축선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당김쇠, 상기 연결봉의 안내슬롯에 끼워진 지지핀을 통해 상기 당김쇠에 연결되되 상기 연결봉 외주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지지핀에 의해 상기 당김쇠를 상기 연결봉의 축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손잡이, 및 상기 연결봉 내에 장착되어 상기 당김쇠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위에서, 상기 발받침은 발을 올릴 수 있게 상기 연결봉 좌우로 연장되되, 상기 연결봉을 향해 마주 보도록 접힐 수 있게 일단이 상기 연결봉 하부에 피벗 장착된 한 쌍의 받침판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에 의하면, 페달을 밟아 스스로 자전거를 탈 수 없는 아동을 태울 때는 보호자가 보호자 조향장치를 이용해 자전거를 뒤에서 이동 및 조정하여 마치 유모차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안장에 앉은 아동은 거치위치에 있는 발받침대 위에 발을 얹어 편한 자세로 자전거를 탈 수 있게 되고, 반대로 발받침대가 페달을 밟는 데 방해가 될 정도로 신장이 큰 어린이의 경우에는 방해를 받지 않고 페달을 밟아 스스로 자전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발받침대를 수납위치로 접어 올림으로써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자전거를 탈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발받침대를 갖는 어린이용 세발자전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발받침대를 상세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거치위치에서 도 7의 수납위치로 이동하는 상태로 발받침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수납위치의 발받침대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어린이용 세발자전거는 전체적인 뼈대를 이루는 몸체 프레임(10), 방향 전환할 때 사용하는 핸들(20), 몸체 프레임(10) 앞뒤로 장착되는 전륜(30)과 후륜(50), 및 착석을 위한 안장(40)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어린이용 세발자전거로서, 전륜(30)과 후륜(50) 사이의 안장(40) 아래쪽에 발받침대(60)가 장착되어 있으며, 안장(40) 뒤쪽의 몸체 프레임(10) 상에 보호자 조향장치(7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핸들(20)은 몸체 프레임(10)의 전방에 장착되어 양단에 끼워진 그립(21)을 잡고 전륜(30)을 조정하여 진행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전륜(30)과 후륜(50)은 세발자전거가 굴러갈 수 있게 몸체 프레임(10) 앞뒤에 장착되는데, 전륜(30)은 핸들(20)의 하단에 장착되며, 회전 축심에 크랭크 형태로 장착된 한 쌍의 페달(31)을 밟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후륜(50)은 몸체 프레임(10)의 후방 하측에 좌우로 쌍을 이루면서 장착되는데, 몸체 프레임(10)에서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균형 잡힌 상태로 몸체 프레임(10)을 지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안장(40)은 자전거를 탈 때 사용자가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몸체 프레임(10)의 후방 상측에 장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세발자전거는 전륜(30)과 후륜(50) 사이의 몸체 프레임(10) 외주면 아래쪽에 발을 얹을 수 있게 되어 있는 발받침대(60)가 장착되는데,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이 발받침대(60)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페달(31)을 밟는 발이나 다리에 방해나 간섭이 되지 않도록 후상방으로 접어 올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몸체 프레임(10)의 외주면 아래쪽에 돌출되어 부착된 지지브래킷(61), 이 지지브래킷(61) 밑으로 결합되는 연결봉(63), 이 연결봉(63) 하단에 장착된 발받침(65), 및 연결봉(63)과 지지브래킷(61)을 임의의 위치 즉, 거치 또는 수납위치에서 상호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하는 위치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때, 도 3 내지 도 7에서 지지브래킷(61)은 전체적으로 외부 케이스(66)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고, 몸체 프레임(10)의 전륜(30)과 후륜(50) 사이 외주면 중간 부분에서 안장(40) 아래쪽에 부착되어 있는데,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정면 형상이 원에 가까운 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판체로서, 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오목한 부분(64)에 연결봉(63)을 끼워 중심 부분에 삽입되는 고정핀(62)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고정한다.
도 3 내지 도 7에서 연결봉(63)은 중공의 원통체로서, 발받침(65)을 몸체 프레임(1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데, 도시된 것처럼 상단 외주면에 마치 골무처럼 짧은 원통 형태의 안내블록(67)이 끼워져 지지브래킷(61)의 오목한 부분(64) 안쪽에 밀착 결합됨으로써 안정감 있는 피벗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위해, 안내블록(67)은 저면에 연결봉(63)을 끼우기 위한 삽입공(86) 형성된다. 또, 연결봉(63)은 그 상단에 고정핀(62)이 통과하는 한 쌍의 고정공(68)이 관통되어 이 고정핀(62)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이 고정공(68) 아래로 걸림핀(73)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안내슬롯(78)이 길게 관통되어 있다. 이때, 안내블록(67)은 이들 고정공(68)과 안내슬롯(78)이 안내블록(67) 밖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삽입공(86)의 좌우로 한 쌍의 노출슬릿(87)이 삽입공(86)을 따라 끝까지 길게 절결되어 있다. 또 안내슬롯(78)의 아래쪽 연결봉(63)의 중단부분에는 조작부(75)의 지지핀(79)이 당김쇠(77)의 이동에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슬롯(93)이 축방향으로 길게 절결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7에서 발받침(65)은 사용자인 어린이가 발을 올려 걸칠 수 있는 부분으로 연결봉(63)의 하단에 장착되는데, 발을 올리기 충분하게 연결봉(63)의 좌우로 길게 연장된다. 또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발받침(65)은 일단이 힌지핀(88)에 의해 연결봉(63) 하부에 피벗 장착된 한 쌍의 받침판(85)으로 이루지는데, 따라서 각각의 받침판(85)은 도 7과 같이 연결봉(63)을 향해 마주 보도록 접힐 수 있으며,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연결봉(63)과 직각을 이루도록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는 힌지핀(88)을 둘러싸고 있는 힌지케이스(89)를 통해 더 이상 아래쪽으로 돌아가 쳐지지 않도록 지지된다.
도 3 내지 도 7에서 위치고정수단은 연결봉(63)을 도 3에서와 같이 펴거나 반대로 도 7에서와 같이 접은 상태로 지지브래킷(61)에 고정되게 되는데,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지지브래킷(61)에 형성된 한 쌍의 홈(71,72)과 이 홈(71,72) 중 어느 한 쪽에 선택적으로 끼워맞춤되는 걸림핀(73), 그리고 이 걸림핀(73)을 탄력적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조작부(75)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홈(71,72) 중 거치홈(71)은 도 3에서와 같이 연결봉(63)이 아래로 내려 펴져 사용 어린이가 받침판(85) 위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거치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며, 반대로 수납홈(72)은 도 7에서와 같이 연결봉(63)이 몸체 프레임(10)과 인접하도록 나란하게 접혀 올라간 수납위치에 고정되게 한다. 이때, 이들 홈(71,72) 상호간의 걸림핀(73)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홈(71,72) 사이의 지지브래킷(61) 에지부분이 고정핀(62)으로부터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절결되어 안내홈(91)을 형성한다.
도 3 내지 도 7에서 걸림핀(73)은 지지브래킷(61)을 관통하여 거치홈(71)이나 수납홈(72) 중 필요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한 쪽에 끼워맞춤되는데, 조작부(75)에 의해 스냅 동작되어 현재 위치하는 홈(71,72)에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홈(91)을 따라 이동하여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다른 쪽 홈(72,71)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걸림핀(73)을 홈(71,72)에 스냅식으로 끼워맞춤되도록 고정하기 위해서, 조작부(7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핀(73)에 직접 연결되어 걸림핀(73)을 홈(71,72)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당김쇠(77), 이 당김쇠(77) 하측에 연결되어 당김쇠(77)를 통해 걸림핀(73)을 스냅 동작시키는 손잡이(81), 그리고 손잡이(81)의 하향이동에 반발하도록 당김쇠(77)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8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당김쇠(77)는 걸림핀(73)을 연결봉(63)의 축선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연결봉(63) 내에 축방향으로 길게 배열된 판재로 되어 있으며, 상단측에 걸림핀(73)을 끼워 넣기 위한 관통공(74)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74)은 손잡이(81)를 조작하지 않은 무부하 상태에서 안내슬롯(78)의 상단부분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이때 걸림핀(73)은 최상단에 있게 된다. 또 중단부분에는 고정공(82)이 관통되어 지지핀(79)을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데, 마찬가지로 고정공(82)은 무부하 상태에서 안내슬롯(93)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이때 지지핀(79)도 최상단에 있게 된다. 또 당김쇠(77)는 하단에 가압판(84)이 형성되어 아래쪽에 배치된 탄성부재(83)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 손잡이(81)는 사용자가 걸림핀(73)을 아래로 밀어 내릴 때 사용하는 링체로서, 연결봉(63) 외주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연결봉(63)의 안내슬롯(78)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지지핀(79)의 양단에 결합됨으로써 당김쇠(77)와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81)를 통해 연결봉(63) 내의 당김쇠(77)를 축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탄성부재(83)는 연결봉(63) 하단에 장착되어 가압판(84)을 지지함으로써 당김쇠(77)가 아래로 당겨질 때 압축되면서 탄력적으로 반발하게 되는데, 물론 이외에 다른 반발수단이 채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세발자전거에 의하면, 발받침대(6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연결봉(63)을 지면을 향해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하는데, 이때 걸림핀(73)은 거치홈(71)에 끼워맞춤되어 고정핀(62)을 중심으로 하는 연결봉(63)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연결봉(63)을 거치위치에 고정시키며, 받침판(85)은 연결봉(63)과 직각을 이루도록 완전히 펴져 안장(40)에 앉은 사용자 어린이가 발을 올려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자전거는 보호자 조향장치(70)를 조정하는 보호자에 의해 움직인다.
반대로, 보호자 없거나 보호자가 있어도 어린이가 페달(31)을 저을 수 있을 때 발받침대(60)는 오히려 어린이가 페달(31)을 돌리는 데 방해가 되므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봉(63)을 뒤로 접어 수납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또는 보호자는 연결봉(63)을 회전시키기에 앞서 조작부(75)를 동작시켜 거치홈(71)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걸림핀(73)을 거치홈(71)으로부터 빼내기 위해 조작부(75)의 손잡이(81)를 잡고 아래로 당겨 손잡이(81)가 당김쇠(77)와 함께 연결봉(63)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당김쇠(77)는 압축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83)를 가압판(84)을 통해 압축시키면서 연결봉(63) 아래로 밀려 내려가며, 이때 당김쇠(77) 상단에 결합된 걸림핀(73)도 아래로 당겨지면서 거치홈(71)으로부터 이탈한다.
거치홈(71)에서 이탈한 걸림핀(73)이 안내홈(91)에 이르면 사용자는 손잡이(81)를 끌어내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걸림핀(73)이 안내홈(91) 위로 완전히 올라올 때까지 연결봉(63)을 뒤쪽으로 피벗 회전시킨다.
곧이어 걸림핀(73)이 안내홈(91) 위에 올라오면, 손잡이(81)를 놓고 걸림핀(73)이 수납홈(72)에 다다를 때까지 연결봉(63)을 계속해서 회전시킨다.
곧이어 걸림핀(73)이 수납홈(72)에 이른 순간 연결봉(63)은 몸체 프레임(10)과 나란하게 뒤로 접혀지며, 탄성부재(83)의 복원력에 의해 당김쇠(77)와 걸림핀(73)이 동시에 연결봉(63) 내의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에 따라 걸림핀(73)은 수납홈(72)에 스냅식으로 끼워맞춤된다.
이렇게 걸림핀(73)이 수납홈(72)에 끼워지고 난 뒤에는 다시 고정핀(62), 걸림핀(73), 수납홈(72), 그리고 연결봉(6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연결봉(63)은 더 이상 피벗 회전하지 못하고 수납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받침판(85)을 연결봉(63)을 향해 마주 보도록 접으면 발받침대(60)의 수납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발받침대(60)를 거치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위와 역순으로 조작부(75)를 조작하여 연결봉(63)을 지면을 향하도록 펴고 걸림핀(73)이 거치홈(71)에 끼워맞춤되도록 하면 된다.
10 : 몸체 프레임 20 : 핸들
30 : 전륜 31 : 페달
40 : 안장 50 : 후륜
60 : 발받침대 61 : 지지브래킷
63 : 연결봉 65 : 발받침
67 : 안내블록 70 : 보호자 조향장치
71 : 거치홈 72 : 수납홈
73 : 걸림핀 75 : 조작부
77 : 당김쇠 81 : 손잡이
83 : 탄성부재 85 : 받침판

Claims (4)

  1. 뼈대를 이루는 몸체 프레임(10),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전방에 조향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20),
    상기 핸들(20)의 하단에 장착되어 축심에 설치된 한 쌍의 페달(31)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전륜(30),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후방 상측에 착석할 수 있도록 장착된 안장(40), 및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후방 하측에 상기 몸체 프레임(10)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후륜(50)으로 구성되는 어린이용 세발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전륜(30)과 상기 후륜(50) 사이의 몸체 프레임(10) 상에 발을 얹을 수 있는 발받침대(60)를 구비하되, 상기 발받침대(60)는 미사용시 상기 페달(31)을 밟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받침대(60)는 상기 몸체 프레임(10)의 상기 전륜(30)과 상기 후륜(50) 사이의 상기 안장(40) 하측에 돌출된 지지브래킷(61),
    상측부가 상기 지지브래킷(61)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봉(63),
    발을 받치도록 상기 연결봉(63)의 하측부에 장착된 발받침(65), 및
    상기 연결봉(63)을 접거나 편 상태로 상기 지지브래킷(61)에 고정시키도록 된 위치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브래킷(61)에 형성된 한 쌍의 홈(71,72),
    상기 홈(71,72) 중 어느 한 쪽에 선택적으로 끼워맞춤되어 상기 연결봉(63)을 거치위치 또는 수납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핀(73), 및
    상기 걸림핀(73)에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봉(63) 내에 장착되어 상기 걸림핀(73)을 스냅식으로 동작시키는 조작부(75)로 구성되되,
    상기 홈(71,72)은 상기 연결봉(63)을 내려 펴진 거치위치에 위치시키는 거치홈(71)과 상기 연결봉(63)을 접혀 올라간 수납위치에 위치시키는 수납홈(72)으로 구분되며,
    상기 조작부(75)는 상기 연결봉(63) 내에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상단의 관통공(74)에 끼워지는 상기 걸림핀(73)을 상기 연결봉(63)의 축선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당김쇠(77),
    상기 연결봉(63)의 안내슬롯(78)에 끼워진 지지핀(79)을 통해 상기 당김쇠(77)에 연결되되 상기 연결봉(63) 외주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지지핀(79)에 의해 상기 당김쇠(77)를 상기 연결봉(63)의 축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손잡이(81), 및
    상기 연결봉(63) 내에 장착되어 상기 당김쇠(77)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탄성부재(8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발받침(65)은 발을 올릴 수 있게 상기 연결봉(63) 좌우로 연장되되, 상기 연결봉(63)을 향해 마주 보도록 접힐 수 있게 일단이 상기 연결봉(63) 하부에 피벗 장착된 한 쌍의 받침판(8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KR1020100034381A 2010-04-14 2010-04-14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KR101078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381A KR101078992B1 (ko) 2010-04-14 2010-04-14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381A KR101078992B1 (ko) 2010-04-14 2010-04-14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963A KR20110114963A (ko) 2011-10-20
KR101078992B1 true KR101078992B1 (ko) 2011-11-01

Family

ID=4502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381A KR101078992B1 (ko) 2010-04-14 2010-04-14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9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358B1 (ko) * 2012-08-28 2013-06-04 조용훈 뒤보기가 가능한 자전거
WO2020210927A1 (zh) * 2019-04-15 2020-10-22 嘉兴小虎子车业有限公司 可折叠的儿童车
FR3123036B1 (fr) * 2021-05-18 2024-02-02 Id Development Ltd Véhicule pour enfa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288Y1 (ko) * 2006-01-10 2006-04-06 김미강 세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KR200431279Y1 (ko) 2006-08-11 2006-11-2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헬스기구의 페달장치
KR100893405B1 (ko) 2007-02-22 2009-04-15 권혁숙 핸들과 페달의 접힘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288Y1 (ko) * 2006-01-10 2006-04-06 김미강 세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KR200431279Y1 (ko) 2006-08-11 2006-11-2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헬스기구의 페달장치
KR100893405B1 (ko) 2007-02-22 2009-04-15 권혁숙 핸들과 페달의 접힘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963A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679B2 (en) Pivot mechanism for scooters, tricycles and the like
EP1647477B1 (en) Convertible riding toy
EP3333057A1 (en) Foldable personal vehicle
WO2005123493A1 (en) A front- wheel drive vehicle having no chain
KR101078992B1 (ko) 접이식 발받침대를 구비한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KR102038032B1 (ko) 무동력 차체용 구동유닛을 구비한 탑승장치
CN112693516B (zh) 婴儿车
US8864150B2 (en) Foot propelled vehicle
CN108583666B (zh) 一种童车
KR20110124666A (ko) 세 발 킥보드
JP2005096500A (ja) 電動三輪キックスケータ
CN210822589U (zh) 电动车车架及电动车
WO2015043148A1 (zh) 手摇式扭扭车
KR20110103532A (ko) 절첩식 자전거
WO2010116126A1 (en) Foot propelled vehicle
CN209757230U (zh) 一种带有靠背和脚踏板的儿童推车
KR200142081Y1 (ko) 외바퀴 자전거
CN213676862U (zh) 一种方便折叠的儿童推车
JP3186475U (ja) 自転車用後輪支持装置
RU2782541C1 (ru) Складное персональ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CN217227819U (zh) 儿童车
JPS6020552Y2 (ja) 乗用玩具
JP3149735U (ja) 座椅子付きの幼児用自転車
KR101758015B1 (ko) 스텝자전거
CN114013498A (zh) 多功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