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429B1 - 자동 접이식 스쿠터 - Google Patents

자동 접이식 스쿠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429B1
KR101128429B1 KR1020090029885A KR20090029885A KR101128429B1 KR 101128429 B1 KR101128429 B1 KR 101128429B1 KR 1020090029885 A KR1020090029885 A KR 1020090029885A KR 20090029885 A KR20090029885 A KR 20090029885A KR 101128429 B1 KR101128429 B1 KR 101128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handle
handle shaft
battery
folding scoo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449A (ko
Inventor
이국환
이순정
Original Assignee
이순정
이국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정, 이국환 filed Critical 이순정
Priority to KR1020090029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429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14Handlebar constructions, or arrangements of controls thereon, specially adapt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접이식 스쿠터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축을 분리형성하여 상?하부 핸들축을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 핸들축의 연결부분에는 회전축과 스토퍼를 장착하여 회동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발판은 분리형성하여 전?후방 발판을 구성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을 형성하여 배터리와 충격방지블록을 적층 장착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전방 발판은 상기 핸들축에 고정장착되는 연결판에 힌지 결합하고 후방 발판은 상기 전방 발판과 힌지 결합하여 회동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발판의 하부에는 회전수단을 장착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판을 접었다 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이식 스쿠터, 핸들축, 발판, 연결판, 배터리, 충격방지블록, 회전수단.

Description

자동 접이식 스쿠터{Foldable Scooter}
본 발명은 자동 접이식 스쿠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축과 발판을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용이하게 운반하면서도 보관 시 그 소요공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 접이식 스쿠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용 스쿠터는 어린이를 포함한 사용자가 한쪽 발로 땅을 차면서 전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구이다.
이와 같은 스쿠터는 킥보드(kickboard)라고도 불리는데, 발판의 바닥에 바퀴가 장착되고 핸들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핸들을 잡은 상태로 한쪽 발을 발판에 올려놓고 다른 쪽 발로 땅을 차면서 앞쪽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도 1을 종래의 스쿠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스쿠터(100)는 수직형태로 기립하는 핸들축(110)의 하단부에 바퀴(130a)가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핸들(15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퀴(130a)가 설치된 핸들축(110)의 부분은 발판(190)의 전면 측에 결합된 브라켓(170)에 지지되고, 상기 발판(190)의 후면측에는 바퀴(130b)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쿠터(100)는 발판(190)에 사용자의 한쪽 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쪽 발로 땅을 차면서 핸들축(110)을 조절하면 스쿠터가 주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륜식 스쿠터는 초보 사용자가 이용할 경우, 주행하는 도중에 중심 잡기가 쉽지 않아서 타다가 넘어지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여 부상당할 위험이 있고, 또한 별도의 구동 장치와 제동 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특허 제0163268호는 발판에 장착되는 뒷바퀴를 2개로 구성하여 주행 안정성이 좋고, 뒷바퀴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와 제동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이륜식 스쿠터에 비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상기 스쿠터는 전체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거워서 스쿠터를 운반하거나 보관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쿠터의 보관에 있어서도 많은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체적으로 장착되는 배터리와 회전수단의 작동을 통해 발판을 손쉽게 접었다 펼 수 있도 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핸들축과 발판을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용이하게 운반하면서도 보관시 그 소요공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 하에 핸들과 바퀴가 장착되는 핸들축과 상기 핸들축의 도중에 장착되고 후방에는 두 개의 바퀴가 장착되는 발판으로 구성되는 스쿠터 겸용 이동식 전기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을 분리형성하여 상?하부 핸들축을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 핸들축의 연결부분에는 회전축과 스토퍼를 장착하여 회동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발판은 분리형성하여 전?후방 발판을 구성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을 형성하여 배터리와 충격방지블록을 적층 장착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전방 발판은 상기 핸들축에 고정장착되는 연결판에 힌지 결합하고 후방 발판은 상기 전방 발판과 힌지 결합하여 회동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발판의 하부에는 회전수단을 장착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판을 접었다 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축과 발판을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시 부품을 탈착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소요공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장착되는 배터리의 전원과 회전수단의 연동작동을 통해 발판을 손쉽게 접었다 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이식 스쿠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이식 스쿠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 - 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축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축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방지블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 접이식 스쿠터(10)는 핸들(21)과 바퀴(22)가 상, 하에 형성되고 분리형성되는 핸들축(20)과, 상기 핸들축(20)에 고정장착되는 연결판(40)과 결합되고 분리형성되는 발판(30)과, 상기 발판(3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삽입되고 회전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0)와, 상기 발판(3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삽입되면서 배터리(50)의 상부에 안착되는 충격방지블록(60)과, 상기 발판(30)의 하부에 위치하고 배터리(5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상기 발판(30)을 회동작동시키는 회전수단(70)으로 구성된다.
핸들(21)과 바퀴(22)가 상?하에 형성되는 핸들축(20)은 상?하부 핸들축(20a, 20b)으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핸들축(20a, 20b)의 연결부분에는 회동과 고정을 위한 회전축(23)과 스토퍼(24)가 장착된다.
즉, 분리형성되는 상?하부 핸들축(20a, 20b)은 연결부분에 결합부(22a, 22b)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2a, 22b)에는 회전축(23)이 끼움 결합되어 상기 상부 핸들축(20a)을 내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 핸들축(20a, 20b)은 하부 핸들축(20b)에 스프링(24a) 에 탄성지지되는 스토퍼(24)가 장착되고 상기 스토퍼(24)와 대응하는 상부 핸들축(20a)에는 끼움 결합공(25)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24)에 의해 상부 핸들축(20a)이 고정지지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축(20)은 도시된 도 6과 같이 상기 상?하부 핸들축(20a, 20b) 중 어느 한쪽에 상기 핸들(2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바(26)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높이조절바(26)의 내부와 상기 높이조절바(26)에 결합되는 상?하부 핸들축(20a, 20b)의 연결부(27)에 기어, 나사, 스크류 등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바(26)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핸들(2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핸들축(20)에 고정장착되는 연결판(4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금속판을 사용용도에 맞게 절단하여 형성한 후 상기 핸들축(20)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핸들축(20)에 고정결합되는 연결판(40)의 반대 측에는 상기 발판(30)과 회전축(44)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4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판(40)에 연결되는 발판(30)은 분리형성되는 전?후방 발판(30a, 30b)과 상기 전?후방 발판(30a, 30b)의 내부에 형성되는 장착공간(32)과, 상기 전 ?후방 발판(30a, 30b)의 연결부위에 장착되는 힌지(34)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발판(30)은 후방이 개방되는 전방 발판(30a)에 전방이 개방되고 두 개의 바퀴(34b)가 구비된 후방 발판(30b)을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한 것이다.
상기 발판(30)의 장착공간(32)에 장착되는 배터리(50)는 전기 충전이 용이한 배터리로 형성되고 그 크기와 면적은 상기 발판(30)의 작동과 장착공간(32)의 면적을 고려하여 형성된다.
상기 발판(30)의 장착공간(32)에 장착되는 충격방지블록(60)은 상기 배터리(5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자동 접이식 스쿠터(10)의 사용시 충격이 배터리(50)에 가해지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충격방지블록(60)은 상?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하부 받침판(61, 62)과, 상기 상?하부 받침판(61, 62) 사이에 다수개수로 장착되고 내부에는 가동부(63a)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완충부(63)와, 상기 상?하부 받침판(61, 62)과 완충부(63) 사이에 각각 장착되는 완충스프링(6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그리고 상기 하부 받침판(62)의 중앙부분으로는 충격완화와 강도흡수를 위해 곡면돌출부(65)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충격방지블록(60)은 상부 받침판(61)에 전달되는 충격을 상?하부 받침판(61, 62)과 완충부(63) 사이에 각각 장착되는 완충스프링(64)을 통해 이중으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발판(30)의 하부에 위치하고 배터리(5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상기 발판(30)을 회동작동시키는 회전수단(70)은 상기 배터리(50)와 연결되는 연결케 이블(71)과, 상기 연결케이블(71)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회전작동하는 모터(72)와, 끝단에 회전브라켓(74)을 결합하여 상기 후방 발판(30b)과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연결소켓(73)과, 기어, 나사봉, 스크류 등을 택일하여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모터(72)와 결합되는 회전봉(75)에 결합되고 반대 측이 상기 연결소켓(73)에 결합되는 연결봉(76)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72)의 작동은 일측에 장착되는 스위치(77)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 접이식 스쿠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이식 스쿠터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상부 핸들축(20a)의 상부에 핸들(21)을 형성하고 하부 핸들축(20b)의 하부에 바퀴(22)를 장착한 후 상기 상?하부 핸들축(20a, 20b)의 연결부분에 결합부(22a, 22b)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결합부(22a, 22b)에 회전축(23)을 끼움 결합하여 상기 상부 핸들축(20a)이 내측을 향해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핸들축(20a, 20b)은 하부 핸들축(20b)에 스프링(24a) 에 탄성지지되는 스토퍼(24)를 장착하고 상기 스토퍼(24)와 대응하는 상부 핸들축(20a)에는 끼움 결합공(25)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핸들축(20a)이 상기 스토퍼(24)에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축(20)의 일측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일측에 결합공(42) 이 형성되는 연결판(40)을 고정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판(40)에 전?후방 발판(30a, 30b)으로 분리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32)이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발판(30a, 30b)의 연결부위에는 힌지(34)이 장착되는 발판(30)을 결합한다.
즉, 상기 전방 발판(30a)의 전방에 형성되는 결합공(32a)과 연결판(40)의 결합공(42)을 동일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축(44)을 결합하여 전방 발판(30a)과 연결판(40)이 지지 및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발판(30)의 장착공간(32)에 회전수단(7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0)와 충격이 배터리(5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방지블록(60)를 순차적으로 적층 삽입한다.
이때, 상기 충격방지블록(60)은 상?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하부 받침판(61, 62)과, 상기 상?하부 받침판(61, 62) 사이에 다수개수로 장착되고 내부에는 가동부(63a)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완충부(63)과, 상기 상?하부 받침판(61, 62)과 완충부(63) 사이에 각각 장착되는 완충스프링(64)으로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발판(30)의 하부에 배터리(5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발판(30)을 회동작동시키는 회전수단(70)을 장착하면 자동 접이식 스쿠터(10)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70)은 상기 배터리(50)와 연결되는 연결케이블(71)과, 상기 연결케이블(71)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회전작동하는 모터(72)와,끝단에 회전브라켓(74)을 결합하여 상기 후방 발판(30b)과 회동할 수 있 도록 구성한 연결소켓(73)과, 기어, 나사봉, 스크류 등을 택일하여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모터(72)와 결합되는 회전봉(75)에 결합되고 반대 측이 상기 연결소켓(73)에 결합되는 연결봉(76)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동 접이식 스쿠터(10)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한쪽 발을 상기 발판(30)이나 충격방지블록(6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한쪽 발로 땅을 차면서 전진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자동 접이식 스쿠터(10)는 핸들축(20)에 장착되는 바퀴(21)와 발판(30)에 장착되는 두 개의 뒷바퀴(34b)를 통해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자동 접이식 스쿠터(10)를 운반이나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회전수단(70)을 구성하는 모터(72) 스위치(77)를 조작하여 상기 발판(30)을 회동작동시켜 접으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연결케이블(71)을 통해 전원이 상기 모터(72)에 전달되면, 상기 전기 모터(72)는 회전봉(75)을 회전작동시키고 상기 회전봉(75)과 결합된 연결봉(76)은 연동회전작동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후방 발판(30b)가 결합되는 연결소켓(73)을 당기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후방 발판(30b)과 결합된 회전브라켓(74)은 연결소켓(73)의 결합부분에서 회전작동하면서 전진 작동함으로써 상기 후방 발판(30b)을 당기고 상기 후방 발판(30b)은 힌지(34)을 중심으로 회동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터리(50)와 충격방지블록(60)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발판(30)을 통해 손쉽게 장착공간(32)에서 탈착한 후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76)과 연결소켓(73)이 모터(72)의 작동에 의해 전방으로 더욱더 이동하게 되면, 상기 후방 발판(30b)은 더 이상 회동하지 않고 전방 발판(30a)을 당기게 되고 상기 전방 발판(30a)은 연결판(40)과 결합되는 회전축(44)을 중심으로 회동작동하여 상기 발판(30)은 이중으로 접힘이 발생하여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핸들축(20)은 연결부분에 형성되는 스토퍼(24)를 하부로 향해 당긴 상태에서 상부 핸들축(20a)을 하부 방향으로 회동작동시키면 자동 접이식 스쿠터(10)의 공간을 더욱더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접이식 스쿠터(10)는 핸들축(20)과 발판(30)을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고 공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자동 접이식 스쿠터(1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과정을 반대로 진행하면 손쉽게 자동 접이식 스쿠터(10)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접이식 스쿠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이식 스쿠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이식 스쿠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 - 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축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축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방지블록을 나타낸 평면도.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이식 스쿠터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 접이식 스쿠터, 20 : 핸들축,
21 : 핸들, 22 : 바퀴,
23 : 회전축, 24 : 스토퍼,
30 : 발판, 32 : 장착공간,
34 : 힌지, 40 : 연결판,
50 : 배터리, 60 : 충격방지블록,
61, 62 : 상?하부 받침판, 63 : 완충부,
64 : 완충스프링, 70 : 회전수단,
71 : 연결케이블, 72 : 모터,
73 : 연결소켓, 74 : 회전브라켓,
75 : 회전봉, 76 : 연결봉.

Claims (4)

  1. 상, 하에 핸들(21)과 바퀴(22)가 장착되는 핸들축(20)과 상기 핸들축(20)의 도중에 장착되고 후방에는 두 개의 바퀴(34b)가 장착되는 발판(30)으로 구성되는 자동 접이식 스쿠터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20)을 분리형성하여 상?하부 핸들축(20a, 20b)을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 핸들축(20a, 20b)의 연결부분에는 회전축(23)과 스토퍼(24)를 장착하여 회동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발판(30)은 분리형성하여 전방?후방 발판(30a, 30b)을 구성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32)을 형성하여 배터리(50)와 충격방지블록(60)을 적층 장착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전방 발판(30a)은 상기 핸들축(20)에 고정장착되는 연결판(40)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후방 발판(30b)은 상기 전방 발판(30a)과 힌지(34) 결합하여 회동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발판(30)의 하부에는 회전수단(70)을 장착하여 상기 배터리(5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판(30)을 접었다 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이식 스쿠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방지블록(60)은,
    상?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하부 받침판(61, 62)과,
    상기 상?하부 받침판(61, 62) 사이에 다수개수로 장착되고 내부에는 가동부(63a)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완충부(63)과,
    상기 상?하부 받침판(61, 62)과 완충부(63) 사이에 각각 장착되는 완충스프링(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이식 스쿠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70)은,
    상기 배터리(50)와 연결되는 연결케이블(71)과,
    상기 연결케이블(71)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회전작동하는 모터(72)와,
    끝단에 회전브라켓(74)을 결합하여 상기 후방 발판(30b)과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연결소켓(73)과,
    기어, 나사봉, 스크류 등을 택일하여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모터(72)와 결합되는 회전봉(75)에 결합되고 반대 측이 상기 연결소켓(73)에 결합되는 연결봉(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이식 스쿠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핸들축(20a, 20b) 중 어느 한쪽에 내부에 스크류가 형성되는 높이조절바(26)를 장착하고 상기 높이조절바(26)에 결합되는 상, 하부 핸들축(20a, 20b)의 연결부(27)에 스크류를 형성하여 상기 높이조절바(26)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핸들(2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이식 스쿠터.
KR1020090029885A 2009-04-07 2009-04-07 자동 접이식 스쿠터 KR101128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885A KR101128429B1 (ko) 2009-04-07 2009-04-07 자동 접이식 스쿠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885A KR101128429B1 (ko) 2009-04-07 2009-04-07 자동 접이식 스쿠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449A KR20100111449A (ko) 2010-10-15
KR101128429B1 true KR101128429B1 (ko) 2012-03-23

Family

ID=4313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885A KR101128429B1 (ko) 2009-04-07 2009-04-07 자동 접이식 스쿠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7029B (zh) * 2013-08-13 2015-11-25 北京健行天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电动车
KR20160033582A (ko) * 2014-09-18 2016-03-28 고영승 접이식 킥보드
EP4043327A1 (en) * 2017-01-04 2022-08-17 Hangzhou Chic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Man-machine interaction somatosensory vehicle
KR102361737B1 (ko) * 2021-01-08 2022-02-14 주식회사 누모 전동킥보드의 프레임 방식 모듈구조
KR102575758B1 (ko) * 2022-02-25 2023-09-06 주식회사 라오닉스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1484A1 (en) 1998-04-03 1999-10-14 Slade Penoyre Motorised collapsible scoo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1484A1 (en) 1998-04-03 1999-10-14 Slade Penoyre Motorised collapsible scoo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449A (ko) 201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429B1 (ko) 자동 접이식 스쿠터
EP3063056B1 (en) Foldable electric vehicle
EP2106993B1 (en) Motorized foldable scooter
US6851498B1 (en) Lightweight compact collapsible folding personal transporter
US9272739B2 (en) Urban vehicle
EP2673185B1 (en) A foldable scooter
US20180015978A1 (en) Convertible Scooter and Handcart
US20180037244A1 (en) Flatbed trolley with casters capable of not folding when handle rotates
CN102267525B (zh) 一种便携式代步车
US20160347397A1 (en) Foldable electric vehicle
KR101840583B1 (ko) 가변형 접이식 전기 스쿠터
KR101206502B1 (ko) 배터리 및 페달 구동용 접이식 자전거
WO2015010634A1 (zh) 一种带可收合手把的自平衡电动独轮车
US20100187035A1 (en) Electric golf bag cart
CN103963894B (zh) 多功能电动车
KR100999649B1 (ko) 접이형 자전거
CN113212625A (zh) 折叠电动车
WO2020111937A1 (en) Cargo bike
WO2003055737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fold up a means of transport
KR20120001071U (ko) 절첩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이동식 호스릴
EP3826909A1 (en) Foldable step-through mid-drive e-bike and folding bike fastened by steering assembly
KR100965546B1 (ko) 접이식 자전거
KR101359339B1 (ko) 전동자전거
KR101234800B1 (ko) 접철식 퀵보드
CN216102581U (zh) 折叠电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