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496B1 - 체인블록 - Google Patents

체인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496B1
KR102575496B1 KR1020210084864A KR20210084864A KR102575496B1 KR 102575496 B1 KR102575496 B1 KR 102575496B1 KR 1020210084864 A KR1020210084864 A KR 1020210084864A KR 20210084864 A KR20210084864 A KR 20210084864A KR 102575496 B1 KR102575496 B1 KR 10257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sprocket
hand
pulle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3708A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084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4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0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6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operated by an endless chain passing over a pulley or a spro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핸드체인풀리 및 이와 연동하여 구비되는 로드체인풀리가 축결합되는 본체; 상기 로드체인풀리에 권취되어 로드체인풀리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되, 단부에 중량물을 연결하는 견인후크가 구비되는 로드체인; 상기 핸드체인풀리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권취된 상태로 본체 하방으로 현수되어, 로드체인풀리에 회전력을 공급해 로드체인의 승강을 조작하는 핸드체인; 상기 본체 좌우에 상호 대칭하여 구비되는 체인 조절기어부; 및, 상기 체인 조절기어부에 각각 맞물리는 고정체인;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인은, 일단에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인 조절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삽입되어 본체 하방으로 현수된 타단을 잡아당겨 체인 조절기어 상에서 위치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에 관한 것으로써, 중량물 상부 정위치에 체인블록 설치를 하기 힘든 장소에도 설치 가능하고 무게중심 및 수평조절이 용이하며, 전동공구를 이용해 적은 힘으로도 작업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인블록{Chain block}
본 발명은 체인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대칭하여 구비되는 한 쌍의 체인조절 기어 및 체인블록 본체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회전 보조유닛을 구비하여, 체인블록을 중량물 상부 정위치에 고정하기 힘든 환경에서도 무게중심 및 수평조절이 가능하도록 체인블록을 설치할 수 있고, 전동공구를 이용해 적은 힘으로도 작업이 용이한 체인블록에 관한 것이다.
체인블록은 기중기 등과 같은 대형 리프팅 장치의 사용이 곤란한 작업여건에서 작업자가 직접 들기에는 무거운 중소형의 중량물을 인력과 같은 작은 인장력으로도 견인후크에 걸린 중량물의 큰 하중을 들 수 있는 장치로서, 소형이지만 비교적 큰 힘을 낼 수 있어 기계 조립, 강 구조물의 조립, 하물의 이동 등에 널리 이용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수동 체인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체인블록(1)은 본체(2) 상단에 구비된 계지후크(3)를 작업장 천장의 구멍쇠(pad eye)에 걸어서 사용하거나 작업장에 별도의 지지대와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지지대에 체인블록의 본체를 걸어 놓고 로드체인(4) 하단에 구비된 견인후크(5)에 중량물을 걸어 인양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자세히는, 체인블록(1) 본체(2)에 구비된 핸드체인(7)을 수동으로 당기면, 핸드체인의 인장력이 감속기어장치를 거쳐 풀리(6)에 전달되며, 결과적으로 풀리에 감긴 로드체인(4)이 감아 올려지게 되며 로드체인의 견인후크(5)에 걸린 중량물을 인양하게 되는 원리이다.
체인블록을 작업장의 천장 또는 별도의 지지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구멍쇠(pad eye), 러그(lug) 등의 고정구가 필수적이며 슬링벨트, 와이어로프, 샤클 등의 줄걸이 용구도 부가적으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나 줄걸이 용구는 체인블록의 설치뿐 아니라 체인블록에 중량물을 연결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한편, 복잡한 형상의 중량물을 안전하게 인양하기 위해서는 체인블록의 설치 및 중량물을 견인후크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무게중심 및 수평 설정이 중요하며, 체인블록의 설치를 위한 고정구는 중량물의 무게중심에 맞도록 중량물 상부의 적절한 위치에 기울어지지 않도록 수평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도 2는 종래 체인블록을 이용한 중량물 인양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그런데 도 2와 같이, 중량물의 바로 위 정위치에 체인블록이 설치되어야 하는데, 체인블록 설치를 위한 고정구가 중량물 상부 천장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환경, 예를 들면 함정 내부 격실과 같이 장애물이 많고 협소한 작업환경에서는 적절한 위치에 고정구를 부가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많은 줄걸이 용구가 필요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구멍쇠(pad eye)를 추가로 용접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인력소모 및 작업시간이 크게 소요된다.
또한, 천장이 낮은 환경에서는 중량물과 체인블록의 이격 거리를 감안하더라도, 체인블록과 연결된 와이어 로프나 슬링벨트의 처짐 현상으로 인양을 위한 체인블록 설치가 불가한 경우도 발생한다.
한편, 높은 위치에 설치된 구멍쇠(pad eye)에 체인블록을 체결하려면 작업자가 최소 20kg의 무게가 넘는 체인블록을 들고 사다리를 오르내려야 하며, 사다리를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체인블록의 무게에 의해 중심을 잃고 사다리에서 미끄러지거나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설치하기가 쉽지 않다.
그밖에도 체인블록 설치 보조도구인 와이어 로프와 슬링벨트는 체인블록 후크나 체인보다는 강도가 낮기 때문에 모서리에 사용 시 와이어 로프 소선 절단, 비틀림 또는 슬링벨트 파단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동 체인블록의 경우 중량물 인양을 위해 작업자가 핸드체인을 무수히 손으로 잡아당겨 작동하게 되므로 반복작업에 따라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안전사고 발생 및 작업자가 근골격계 질환에 노출되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협소공간 등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설치가 용이하고 무게중심 및 수평조절이 가능하며, 적은 힘으로도 중량물의 인양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체인블록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멍쇠(pad eye) 부재시에도 줄걸이 용구의 추가 설치가 필요없고, 장애물이 많거나 협소한 공간에서도 체인블록 설치 및 무게중심 및 수평조절이 용이해 중량물의 인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체인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적은 힘으로도 중량물을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는 체인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핸드체인풀리 및 이와 연동하여 구비되는 로드체인풀리가 축결합되는 본체; 상기 로드체인풀리에 권취되어 로드체인풀리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되, 단부에 중량물을 연결하는 견인후크가 구비되는 로드체인; 상기 핸드체인풀리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권취된 상태로 본체 하방으로 현수되어, 로드체인풀리에 회전력을 공급해 로드체인의 승강을 조작하는 핸드체인; 상기 본체 좌우에 상호 대칭하여 구비되는 체인 조절기어부; 및, 상기 체인 조절기어부에 각각 맞물리는 고정체인;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인은, 일단에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인 조절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삽입되어 본체 하방으로 현수된 타단을 잡아당겨 체인 조절기어 상에서 위치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체인 조절기어부는, 상기 고정체인(30)이 양측에 맞물려 삽입되도록 상호 인접하여 구비되는 한쌍의 조절기어; 상기 한 쌍의 조절기어가 맞물려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조절기어 일측 기엇니에 맞물리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상기 기엇니로부터 해제하는 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핸드체인풀리와 이격하여 설치되되, 상기 핸드체인의 회전궤도에 삽입하여 핸드체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보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보조유닛은, 상기 핸드체인이 외주연에 맞물리는 스프로킷; 상기 스프로킷의 외주연이 개방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 및, 상기 스프로킷 회전축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에 외삽되는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스프로킷 회전축과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전동공구 접속 시 전동공구의 회전력을 스프로킷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프로킷 전후면을 각각 커버하도록 형성되되, 외주면 직경이 상기 스프로킷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로킷에 체결된 핸드체인의 회전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양방향 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프로킷은, 다단 스프로킷이 구비된 기어박스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전동공구의 회전동력이 일정하게 제공되더라도 변속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체인블록에 따르면, 체인블록을 중량물 상부 정위치에 고정하기 힘든 환경에서도 무게중심 및 수평조절이 가능하도록 체인블록의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인블록은 인양과정에서 기존 전동공구의 이용이 가능하므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적은 힘만으로도 중량물의 신속하고 안전한 인양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체인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체인블록을 이용한 중량물 인양과정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을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도 3a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b의 부분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조절기어부 및 고정체인을 부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보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에 도 6의 회전 보조유이 적용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을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도 3a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3b의 부분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조절기어부(140) 및 고정체인(30)을 부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인블록(100)은,
내부에 핸드체인풀리(120) 및 이와 연동하여 구비되는 로드체인풀리(130)가 축결합되는 본체(110);
상기 로드체인풀리에 권취되어 로드체인풀리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되, 단부에 중량물을 연결하는 견인후크(112)가 구비되는 로드체인(10);
상기 핸드체인풀리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권취된 상태로 본체 하방으로 현수되어, 로드체인풀리에 회전력을 공급해 로드체인의 승강을 조작하는 핸드체인(20);
상기 본체 좌우에 상호 대칭하여 구비되는 체인 조절기어부(140); 및,
상기 체인 조절기어부에 각각 맞물리는 고정체인(30);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인(30)은, 일단에 고정부(31)가 구비되고 상기 체인 조절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삽입되어 본체 하방으로 현수된 타단을 잡아당겨 체인 조절기어 상에서 위치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 상부에는 체인블록을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물에 걸어주기 위한 계지후크(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인(30)은, 도3b를 참조한 바 상기 체인 조절기어부(140)가 본체(110) 좌우에 상호 대칭하여 구비되므로 각각 양 단락을 가지는 제1고정체인(30a) 및 제2고정체인(30b)이 별도로 맞물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체인(30)은 양 단락이 형성된 일자형태의 금속체인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으로 구비되는 고정체인(30)은 종래 체인블록 설치 보조도구인 와이어 로프와 슬링벨트와 달리 강도가 높아 늘어나거나 파단되지 않으므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체인블록 본체(110) 양 좌우에 위치하는 체인 조절기어부(140) 및 고정체인(30)은, 중량물이 위치하는 상부 천장 또는 구조물에 체인블록 고정을 위한 구멍쇠(pad eye)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환경이라 하더라도 체인블록을 중량물 상부의 정위치에 오도록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계속해서 도 3b 및 도 4를 참조한 바, 상기 체인 조절기어부(140)는,
상기 고정체인(30)이 양측에 맞물려 삽입되도록 상호 인접하여 구비되는 한쌍의 조절기어(141);
상기 한 쌍의 조절기어가 맞물려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조절기어 일측 기엇니에 맞물리는 스토퍼(142); 및,
상기 스토퍼(142)를 상기 기엇니로부터 해제하는 레버(143);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142)는 상기 조절기어(141)의 적어도 일측 기엇니에 맞물리며 역회전을 저지할 수 있도록, 조절기어의 적어도 일측 둘레부에 인접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량물 바로 위에 계지후크를 고정할 만한 구멍쇠(pad eye)가 천장에 없는 경우라도(도 2 참조), 바로 본 발명의 본체와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고정체인(30a, 30b) 일단에 형성된 고정구(31a, 31b)를 각각 적당한 천장 고정물에 설치함으로써 체인블록 본체(110)를 중량물 상부 정위치에 오도록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고정체인(30)의 양 단락의 각 일단은 고정부(31a, 31b)가 구비되어 본체에 계지후크(111)가 없더라도 각각의 고정부(31a, 31b)가 체인블록 본체를 인양작업을 위해 어느 구조물에 걸리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계지후크(111) 및 각각의 고정부(31a, 31b)가 모두 상부 구조물에 걸리는 경우, 3개의 고정부가 체인블록 본체(11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110) 좌우에 상호 대칭하여 구비되는 체인 조절기어부(140) 및 각각의 고정체인(30)은 중량물의 인양과정에 있어서 무게중심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통해 상기 체인 조절기어 및 고정체인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무게중심 및 수평조절 원리에 따른 안전한 인양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체인블록은 본체 상부에 형성된 계지후크를 중량물의 상부 정위치에 오도록 고정해야 하며, 따라서 종래 계지후크 역시 중량물의 상부 정위치의 상부 구조물 또는 천장에 연결해야 한다. 그러나 좁고 복잡한 상부구조물을 갖는 장소에서는 체인블록을 중량물의 정위치 상부에 고정하는 것이 어려우며, 별도의 구멍쇠를 설치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는, 종래 설치방법인 도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와이어 로프나 슬링벨트 같은 줄걸이 용구를 적절한 위치에 매단 후에 체인블록의 계지후크를 이에 연결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려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체인블록은 중량물의 상부 정위치에 계지후크(111)를 고정할 상부 구조물이 없는 경우에라도 상기 체인 조절기어부(140) 및 고정체인(30)의 구성이 체인블록을 고정하게 되므로 별도의 줄걸이 용구나 추가 고정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체인블록은 상기 고정체인(30)의 양 고정부(31)를 적당한 위치의 상부 구조물에 고정하기만 하면 체인블록이 중량물의 상부 정위치에 오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중량물의 인양작업을 위해서는 먼저 중량물로부터 수직한 천장의 구멍쇠 또는 상부 구조물에 계지후크(111)를 설치해야 하는데, 도 5a에서와 같이 중량물(P)이 놓여진 상부 천장 정위치에 구멍쇠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작업환경이 있을 수 있다.
즉, 도 5a에서와 같이 계지후크(111)를 중량물 바로 위에 구멍쇠가 없어서 고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 좌우의 체인 조절기어부(140)에 연결된 고정체인(30a, 30b)의 일단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부(31a, 31b)를 인양하고자 하는 중량물(P)에 근접한 거리의 구멍쇠(40)에 각각 연결한다.(S10)
이때 상기 각각의 고정체인의 양측 상부 고정부(31a, 31b)는 본체 규격보다 폭이 벌어진 상부 구조물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게 되며, 양측 고정부(31a, 31b)의 위치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로부터 좌우 대칭하지 않는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양측 고정부(30)를 통해 천장 구멍쇠에 고정된 체인블록 본체의 견인후크(112)는 중량물(P)의 정위치의 상태가 아니므로, 본체(110) 위치를 중랑물 상부 정위치에 오도록 조절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 견인후크(112) 위치가 중량물에 가까이 오도록 상기 양측 고정체인, 즉 제1고정체인(30a) 및 제2고정체인(30b)의 위치를 체인 조절기어부(140)에서 조절하여 체인블록 본체(110)의 무게중심 조절 및 수평조절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고정체인의 타단부를 하방으로 각각 조금씩 잡아당기면서 체인블록 본체(110)가 중량물(P)의 상부 정위치에 오도록 조절한다.(S20)
도 5a의 실시도면을 참조하면, 중량물(P)보다 우측에 위치한 경우 체인블록을 좌측으로 옮기기 위해, 제2고정체인(30b)보다 제1고정체인(30a)의 하방을 잡아당겨 체인블록 본체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중량물 인양을 위한 무게중심 및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인접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조절기어(141)는 이에 맞물린 고정체인(30)의 타단을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호 맞물려 수렴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고정체인의 일단(고정부)으로부터 조절기어(141)까지의 거리(d1)는 짧아지고 고정체인 타단으로부터 조절기어(141)까지의 거리(d2)는 길어지며 체인블록 본체가 상부 구조물 쪽으로 자동으로 승강하여 도 5b에서와 같이 중량물 인양을 위한 높이까지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체인블록은 상기 양 고정체인(30a, 30b)을 각각 조절기어(141)와의 거리조정을 통한 위치조절이 가능하므로, 체인블록의 무게중심 조절 및 수평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고정체인의 위치를 체인 조절기어 상에서 조절함에 있어서 고정체인(30)이 맞물린 한 쌍의 조절기어(141)가 역회전하게 되면 체인블록을 정위치에 설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역회전 방지를 위한 스토퍼(142)에 의해 상기 조절기어에 맞물린 고정체인(30)의 위치는 고정체인의 타단을 잡아당기는 손을 놓더라도 기어의 회전이 멈추도록 하여 조절기어 상에 맞물린 고정체인(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도 4 참조).
계속해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5b에서와 같이 중량물(P)의 상부 정위치에 체인블록 본체가 위치하도록 설치한 후에는 중랑물(P)을 본체의 견인후크(112)에 고정하도록 핸드체인(20)을 작동시켜 중량물의 인양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S30).
이때, 핸드체인(20)은 본체에 구비된 핸드체인풀리(120)에 무한궤도 형상으로 권취되되, 상부는 핸드체인풀리에 권취되고 하부는 본체 규격보다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어 중력에 의해 본체 하방으로 현수된다. 이렇게 본체 하방으로 현수된 핸드체인의 일측 또는 타측 하부를 잡아 당김에 따라, 본체 핸드체인풀리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핸드체인의 회전방향과 마찬가지로 회전하며, 이에 연동된 로드체인풀리(130)를 회전시켜 로드체인풀리(130)에 감긴 로드체인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며 중량물의 인양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체인블록을 이용한 중량물의 견인작업이 끝난 후에는, 다음 중량물의 견인작업을 위해 상기 고정체인(30)의 길이를 재조절하는 초기화 작업이 필요하다. 즉, 즉 고정부(31)와 조절기어(141) 사이의 구간거리(d1)는 늘리고, 조절기어(141)와 타단사이의 구간거리(d2)를 좁히는 작업이 필요하다(도 5a 및 도 5b 참조).
따라서, 이를 위해 상기 체인조절기어부(140)는, 상기 스토퍼(142)를 상기 기엇니로부터 해제하는 레버(143);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면을 참조한 바, 상기 레버(143)는 작업자가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체인블록 본체(110) 외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레버(143)는 스토퍼(142)를 상기 조절기어(141)로부터 해제하여 기어의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정체인(30)의 위치조절을 역방향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에서 상기 고정체인(30)을 상기 한 쌍의 조절기어(141)에 지그재그로 맞물리도록 한 것은 상기 조절기어에 맞물린 고정체인의 풀림 및 체인조절기어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체인이 상기 한 쌍의 조절기어에 맞물리는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상기 체인블록을 통한 중량물의 인양작업이 끝나게 되면, 상기 레버(143)를 통해 스토퍼(142)를 조절기어(141)로부터 해제하여, 상기 고정체인(30)의 타단을 잡아당겼던 위치를 복귀시켜 재인양 작업이 가능하도록 고정체인(30)의 위치를 체인 조절기어부(140) 상에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고정체인(30)은, 본체 좌우의 체인 조절기어부(140)에 각각 연결되고 일단의 고정부(31)가 본체(110)로부터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체인블록 설치를 위해 종래 와이어 로프나 슬링벨트 같은 부가적인 줄걸이 용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설치 시 늘어나거나 처지는 현상이나 강도가 낮아 파단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종래 로프나 슬링벨트와 비교하여 금속 소재의 고강도 고정체인(30)을 사용하므로 체인블록의 설치나 중량물의 인양과정에 있어서 작업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종래 전동 체인블록 방식은 모터가 본체에 구비되어 로드체인풀리 축에 직접적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체인블록 본체가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에 있는 경우 조작이 어렵고, 리모컨 등을 이용해 원격으로 제어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체인블록이 작업자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라도, 하방으로 현수된 핸드체인(20) 하단부에 걸리도록 하는 회전 보조유닛(200)을 이용해 작업자가 닿는 위치에서 핸드체인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보조유닛(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사용상태도로, 각각 측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에 도 6의 회전 보조유닛(200)이 적용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인블록은, 상기 핸드체인풀리(120)와 이격하여 설치되되, 상기 핸드체인(20)의 회전궤도에 삽입하여 핸드체인(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보조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보조유닛(200)은 휴대 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드체인 구동을 위한 회전 보조 유닛(200)으로 구비되어, 필요시 본 발명에 따른 체인블록(100)뿐만 아니라, 핸드체인이 하방으로 현수된 일반적인 수동 체인블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 보조유닛(200)은,
상기 핸드체인(20)이 외주연에 맞물리는 스프로킷(210);
상기 스프로킷의 외주연이 개방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220); 및,
상기 스프로킷 회전축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에 외삽되는 접속부(23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부(230)는, 스프로킷 회전축과 베어링(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전동공구(50) 접속 시 전동공구의 회전력을 스프로킷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전동공구(50)는 일반적인 전동드릴과 같은 일반적인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공구일 수 있으며, 실시도면에서 상기 접속부(230)를 육각 볼트머리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접속부(230)의 형상은 일반적인 전동공구 접속을 통한 스프로킷 회전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부(23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소켓 형상 또는 볼트머리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접속부(230)가 본 발명의 실시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각 볼트머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전동드릴에 소켓 비트를 연결하여 접속부(230)에 접속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부(230)의 형태가 육각 볼트 머리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전동공구의 비트를 상기 육각 볼트 규격에 맞는 육각 소켓 형상의 비트를 연결하여 상기 접속부(230)에 삽입해 전동공구의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일반적으로 전동 드릴의 경우 다양한 규격의 비트 형상을 척에 체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접속부(230)가 육각 소켓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소켓 규격에 맞는 육각 드라이버 비트를 전동드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220)은,
상기 스프로킷(210) 전후면을 각각 커버하도록 형성되되, 외주면 직경이 상기 스프로킷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로킷에 체결된 핸드체인의 회전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양방향 가이드부(221);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240);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40)는 상기 스프로킷(210)에 맞물린 고정체인(30)의 탈착 및 접속부(230)에 전동공구(50)의 접속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스프로킷(210)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되,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접속부(230)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 하우징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핸드체인풀리(120)에 무한궤도 형상으로 핸드체인(20)이 권취됨에 있어서, 상기 핸드체인의 길이는 본체 규격보다 길게 형성되며 중력에 의한 처짐 현상에 의해 하단부가 원형의 곡률을 이루며 본체 하방으로 현수된다.
따라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한 손으로는 핸들(240)을 잡고, 상기 본체 하방으로 현수되어 원호형상으로 곡률을 이루는 하단부에 상기 회전 보조유닛(200),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전 보조유닛(200)의 원형의 스프로킷(210)에 하방으로 곡률지게 형성된 핸드체인 하단부에 맞물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프로킷에 맞물린 핸드체인(2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핸들(240)을 잡고 중력방향인 아래로 힘을 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는 전동공구(50)를 이용해 회전 보조유닛(200)의 접속부(230)에 접속하여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스프로킷(210)이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핸드체인(20)을 회전시키게 되며, 결과적으로 핸드체인풀리(120)에 연동된 로드체인풀리(1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로드체인(10)이 승하강 된다.
이때, 일반적인 전동공구(50)의 회전작동에 있어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공구를 정방향 회전하는 경우 상기 핸드체인(20) 역시 정방향 회전하며 상기 로드체인(10)이 승강 운동하며 로드체인 하단 후크에 걸린 중량물(P)을 들어 올리는 승강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전동공구가 역방향 회전하는 경우 상기 핸드체인(20) 역시 역방향 회전하며 상기 로드체인(10)이 하강 운동하며 로드체인 하단 후크에 걸린 중량물(P)의 하강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로킷(210)은, 다단 스프로킷이 구비된 기어박스(미도시)로 구성되어 상기 접속부(230)에 접속된 전동공구(50)의 회전동력이 일정하게 제공되더라도 변속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스프로킷(210)은 변속이 가능하도록 다단 기어스프로킷이 구비된 기어박스 형태로 구성되면, 회전수 조작기능이 없는 전동 드릴을 상기 접속단자(230)에 접속해 작동시킨다고 할 지라도 상기 변속기능을 통해 스프로킷(210)에 맞물린 고정체인(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결과적으로 로드체인(10)의 승강속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회전 보조유닛(200)은, 유동성 있는 체인을 탈착 가능하게 걸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 외에도 일반적인 핸드체인이 현수된 수동 체인블록에 호환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체인블록은, 체인 조절기어 및 고정체인을 포함하여, 중량물 상부 구조물의 정위치에 구멍쇠(pad eye) 부재시에도 체인블록을 중량물 상부 정위치에 설치가 가능하고, 체인블록 설치 시 무게중심 및 수평조절이 용이하여 중량물의 원활한 인양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핸드체인에 전동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보조유닛을 포함하여 고중량물의 인양이 필요한 경우 적은 힘으로도 중량물의 안전한 인양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 로드체인 20: 핸드체인
30: 고정체인 31: 고정부
50: 전동공구 100: 체인블록
110: 본체 111: 계지후크
120: 핸드체인풀리 130: 로드체인풀리
140: 체인 조절기어부 141: 조절기어
142: 스토퍼 143: 레버
200: 회전 보조유닛 210: 스프로킷
221: 가이드부 220: 하우징
230: 접속부 240: 핸들

Claims (5)

  1. 내부에 핸드체인풀리(120) 및 상기 핸드체인풀리(120)와 연동하여 구비되는 로드체인풀리(130)가 축결합되는 본체(110);
    상기 로드체인풀리에 권취되어 로드체인풀리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되, 단부에 중량물을 연결하는 견인후크(112)가 구비되는 로드체인(10);
    상기 핸드체인풀리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권취된 상태로 본체 하방으로 현수되어, 로드체인풀리에 회전력을 공급해 로드체인의 승강을 조작하는 핸드체인(20);
    상기 본체의 좌우에 상호 대칭하여 구비되는 체인 조절기어부(140);
    상기 체인 조절기어부에 각각 맞물리는 고정체인(30);
    상기 고정체인(30)이 양측에 맞물려 삽입되도록 상호 인접하여 구비되는 한쌍의 조절기어(141);
    한 쌍의 상기 조절기어가 맞물려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조절기어 일측 기엇니에 맞물리는 스토퍼(142); 및
    상기 스토퍼(142)를 상기 기엇니로부터 해제하는 레버(143);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인(30)은, 일단에 고정부(31)가 구비되고, 상기 체인 조절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삽입되어 본체 하방으로 현수된 타단을 잡아당겨 체인 조절기어 상에서 위치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체인풀리(120)와 이격하여 설치되되, 상기 핸드체인(20)의 회전궤도에 삽입하여 핸드체인(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보조유닛(2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보조유닛(200)은, 상기 핸드체인(20)이 외주연에 맞물리는 스프로킷(210);
    상기 스프로킷의 외주연이 개방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220); 및,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축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에 외삽되는 접속부(230);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230)는,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축과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전동공구(50) 접속 시 전동공구의 회전력을 스프로킷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20)은,
    상기 스프로킷(210)의 전후면을 각각 커버하도록 형성되되, 외주면 직경이 상기 스프로킷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로킷에 체결된 핸드체인의 회전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양방향 가이드부(221);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2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210)은,
    다단 스프로킷이 구비된 기어박스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접속부(230)에 접속된 전동공구(50)의 회전동력이 일정하게 제공되더라도 변속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
KR1020210084864A 2021-06-29 2021-06-29 체인블록 KR10257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864A KR102575496B1 (ko) 2021-06-29 2021-06-29 체인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864A KR102575496B1 (ko) 2021-06-29 2021-06-29 체인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708A KR20230003708A (ko) 2023-01-06
KR102575496B1 true KR102575496B1 (ko) 2023-09-08

Family

ID=8492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864A KR102575496B1 (ko) 2021-06-29 2021-06-29 체인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4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9687A (ja) 2000-07-14 2002-01-29 Toyo Kuki Seisakusho:Kk エアホイスト
KR101750816B1 (ko) 2016-01-28 2017-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체인블록
CN107522123A (zh) 2017-06-30 2017-12-29 褚双慧 一种高效防爆可测距电梯安装手拉葫芦
KR102046407B1 (ko) 2019-08-15 2019-11-19 차용식 유리판 양중 장치
CN112645231A (zh) 2020-12-30 2021-04-13 江苏核电有限公司 一种防误动型吊具紧急脱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17Y2 (ko) * 1989-01-20 1993-01-27
JPH11180690A (ja) * 1997-12-22 1999-07-06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チェーンブロック駆動装置および駆動方法
EP2733108A1 (en) * 2012-11-16 2014-05-21 Reino Savela Hand operated hoist
KR101670905B1 (ko) * 2014-10-14 2016-11-01 주식회사 원흥스틸 체인블록
KR102500475B1 (ko) * 2018-04-10 2023-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프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9687A (ja) 2000-07-14 2002-01-29 Toyo Kuki Seisakusho:Kk エアホイスト
KR101750816B1 (ko) 2016-01-28 2017-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체인블록
CN107522123A (zh) 2017-06-30 2017-12-29 褚双慧 一种高效防爆可测距电梯安装手拉葫芦
KR102046407B1 (ko) 2019-08-15 2019-11-19 차용식 유리판 양중 장치
CN112645231A (zh) 2020-12-30 2021-04-13 江苏核电有限公司 一种防误动型吊具紧急脱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708A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558792U (zh) 一种电梯用高安全性钢丝绳卷绕装置
KR101598016B1 (ko) 수동 겸용 전동체인블럭
CA1260042A (en) Lifting devices
KR102575496B1 (ko) 체인블록
JP7137115B2 (ja) クレーンの過巻検出用重錘
CN203418489U (zh) 单梁行车起升电机减速机拆装吊挂器
US6517131B1 (en) Suspended load rotary device
EP1634847A2 (en) Crane
US4576363A (en) Lever-operated hoist or puller
US6082793A (en) Thread-on collared yoke for power riser pipes
JPH061585A (ja) 軸受箱付きロールの自動玉掛吊具
JPH0769585A (ja) クレーンブーム組立体
CN210505261U (zh) 一种铝锻件吊装安全夹具
CN209338012U (zh) 一种新型舟桥吊杆提升装置
CN221165696U (zh) 一种泵体吊装装置
CN110253183B (zh) 一种辅助焊接机器人
JPH10338476A (ja) 軽量電動チェーンブロック
US5415450A (en) Load lifter hook construction
CN1919375A (zh) 楼房火灾自救器
JP3064585B2 (ja) ロール自動玉掛吊具
CN209963531U (zh) 便于吊装的配电柜
JP2003095585A (ja) チェーンブロックおよび手動チェーンブロックの脱着式駆動装置
CN218371253U (zh) 一种锁紧装置
CN219860119U (zh) 一种钢结构构件吊装设备
CN213505600U (zh) 一种u形梁用吊装固定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