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816B1 - 체인블록 - Google Patents

체인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816B1
KR101750816B1 KR1020160010588A KR20160010588A KR101750816B1 KR 101750816 B1 KR101750816 B1 KR 101750816B1 KR 1020160010588 A KR1020160010588 A KR 1020160010588A KR 20160010588 A KR20160010588 A KR 20160010588A KR 101750816 B1 KR101750816 B1 KR 101750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hain
pulley
mai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수경
김법래
김성규
김종태
송영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0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6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operated by an endless chain passing over a pulley or a spr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체인블록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체인블록은,제1 체인과 제2 체인에 걸린 장력에 의해 물체를 드는 체인블록으로서,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주동축; 주동축에 결합되고, 풀체인을 당기는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풀리; 주동풀리와 함께 회전하도록 주동축에 결합된 주동기어; 주동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제1 체인이 걸리고, 제1 기어유닛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풀리; 및 제2 체인이 걸리고, 제2 기어유닛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풀리를 포함하고, 주동축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주동기어의 회전력이 제1 기어유닛 또는 제2 기어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체인과 제2 체인의 길이가 각각 조정됨으로써, 높은 위치에 설치하더라도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체인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인블록{CHAIN BLOCK}
본 발명은 체인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체인과 제2 체인에 걸린 장력에 의해 물체를 들되 제1 체인과 제2 체인의 길이를 각각 조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체인블록에 관한 것이다.
체인블록(chain block)은 인력과 같은 작은 인장력으로도 훅에 걸린 큰 하중을 들 수 있는 장치로서, 풀 체인(pull chain)을 감아 올린 후 풀 체인에서 손을 떼도 감아 올려진 하중이 그대로 유지되는 장치이다.
체인블록은 풀 체인을 수동으로 당기면, 풀 체인의 인장력이 감속기어장치를 거쳐 풀리에 전달되며, 결과적으로 풀리에 감긴 체인이 감아 올려지게 된다. 체인블록은 소형이지만 비교적 큰 힘을 낼 수 있고 양정도 비교적 크기 때문에 기계 조립, 강 구조물의 조립, 하물의 이동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톤 내지 수십 톤의 큰 하중을 드는데에 사용되는 체인블록은 25kg 이상의 무게가 나가기 때문에 설치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구멍쇠(padeye)에 체인블록을 체결하려면 작업자가 25kg 이상의 무게가 나가는 체인블록을 들고 사다리를 오르내려야 하며, 사다리를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체인블록의 무게에 의해 중심을 잃고 사다리에서 미끄러지거나 추락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위치에 설치하더라도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체인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체인과 제2 체인에 걸린 장력에 의해 물체를 드는 체인블록으로서,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주동축; 상기 주동축에 결합되고, 풀체인을 당기는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풀리; 상기 주동풀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주동축에 결합된 주동기어; 상기 주동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상기 제1 체인이 걸리고, 제1 기어유닛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풀리; 및 상기 제2 체인이 걸리고, 제2 기어유닛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주동축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주동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제1 기어유닛 또는 상기 제2 기어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 기어유닛은, 상기 주동축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주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1-1 전달기어와, 상기 제1 풀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풀리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1-2 전달기어와, 상기 제1-1 전달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1-2 전달기어에 전달하는 제1-3 전달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유닛은, 상기 주동축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주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1 전달기어와, 상기 제1 풀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풀리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2-2 전달기어와, 상기 제2-1 전달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2-2 전달기어에 전달하는 제2-3 전달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풀리의 회전축 및 상기 제2 풀리의 회전축에는 각각 래칫이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기어유닛 및 상기 제2 기어유닛이 설치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주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주동축의 축방향으로 고정부와 회전부가 서로 나사결합된 간격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회전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제2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조작체인을 당기는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조작풀리;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1 조작기어; 및 상기 조작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제1 조작기어에 전달하는 제2 조작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체인과 제2 체인의 길이가 각각 조정됨으로써, 높은 위치에 설치하더라도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체인블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인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체인블록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체인블록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체인블록은, 높은 위치에 설치하더라도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인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체인블록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체인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인블록(10)은, 제1 체인(C1)과 제2 체인(C2)에 걸린 장력에 의해 물체를 들되 제1 체인(C1)과 제2 체인(C2)의 길이를 각각 조정하도록 이루어지며, 하우징(100), 주동축(200), 주동풀리(300), 주동기어(400), 이동유닛(500), 제1 풀리(600), 제1 기어유닛(700), 제2 풀리(800) 및 제2 기어유닛(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좌표축에서 X는 주동축(200)의 축방향을 의미하고, Y는 수평면에서 X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의미하며, Z는 세로방향을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다른 구성의 명확한 도시를 위해 풀체인(PC), 제1 체인(C1), 제2 체인(C2) 및 조작체인(W)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풀체인(PC)은 주동풀리(300)에, 제1 체인(C1)은 제1 풀리(600)에, 제2 체인(C2)은 제2 풀리(800)에, 조작체인(W)은 조작체인(W)에 걸린 상태에서 도 1과 같이 하우징(100)의 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우징(100)은 주동축(200), 주동풀리(300), 주동기어(400), 이동유닛(500), 제1 풀리(600), 제1 기어유닛(700), 제2 풀리(800) 및 제2 기어유닛(9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틀을 형성하며, 복수의 격판이 볼트와 부싱(또는 회전부(132))에 의해 서로 이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격판은 제1 격판(N1), 제2 격판(N2), 제3 격판(N3), 제4 격판(N4), 제5 격판(N5) 및 제6 격판(N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하우징(110)은 제1 기어유닛(700), 제2 기어유닛(900), 제1 풀리(600) 및 제2 풀리(8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틀을 형성하며, 제1 격판(N1), 제2 격판(N2), 제3 격판(N3) 및 제4 격판(N4)이 볼트와 부싱에 의해 서로 이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하우징(120)은 주동축(200), 주동풀리(300) 및 이동유닛(5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틀을 형성하며, 제5 격판(N5)과 제6 격판(N6)이 회전부(132)와 핀(S)에 의해 서로 이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하우징(110)에는 제1 커버(111)가 씌워지고, 제2 하우징(120)에는 제2 커버(121)가 씌워진다. 제1 커버(111)와 제2 커버(121)에는 풀체인(PC), 제1 체인(C1), 제2 체인(C2) 및 조작체인(W)이 출입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간격조절부(130)에 의해 간격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간격조절부(130)는 고정부(131) 및 회전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131)는 제1 하우징(110)(제4 격판(N4))에 고정되고, 회전부(132)는 제2 하우징(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부(131)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회전부(132)에는 암나사부 형성되어 주동축(200)의 축방향으로 서로 나사결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동축(200)은 풀체인(PC)의 회전력을 주동기어(40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제2 하우징(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5 격판(N5) 및 제6 격판(N6)에는 주동축(200)이 삽입되는 홀이 각각 형성된다. 홀에는 (주동축(200)의 회전시 주동축(200)과 제5 격판(N5) 및 제6 격판(N6)과의 마찰력 형성이 방지되도록)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다.
주동축(200)에는 제6 격판(N6)의 양쪽으로 각각 핀(S)이 결합된다. 주동축(200)은 핀(S)과 제6 격판(N6)의 양면 사이의 간섭에 의해 축방향으로 제2 하우징(120)과의 상대이동이 방지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동풀리(300)는 풀체인(PC)에 의해 회전된다. 풀체인(PC)은 주동풀리(300)의 상부에 감긴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당겨진다. 따라서 주동풀리(300)는 풀체인(PC)을 당기는 외력에 의해 회전된다.
주동기어(400)는 풀체인(PC)의 회전력을 제1 기어유닛(700) 또는 제2 기어유닛(90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주동축(200)에 결합되어 주동풀리(300)와 함께 회전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유닛(500)은 주동축(200)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간격조절부(130)의 회전부(132)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동유닛(500)은 조작풀리(510), 제1 조작기어(520) 및 제2 조작기어(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작풀리(510)는 제2 하우징(120) 또는 주동축(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작풀리(510)는 조작체인(W)에 의해 회전된다. 조작체인(W)은 조작풀리(510)의 상부에 감긴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양방향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조작풀리(510)는 조작체인(W)을 당기는 외력에 의해 회전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작기어(520)는 회전부(132)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제2 조작기어(530)는 조작풀리(5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조작풀리(510)와 함께 회전하고, 제1 조작기어(520)와 제2 조작기어(530)는 서로 맞물려 회전한다.
따라서 조작체인(W)을 당기면 조작풀리(510)의 회전력이 제2 조작기어(530) 및 제1 조작기어(520)를 통해 회전부(132)에 전달되어 회전부(132)가 회전함으로써,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됨과 동시에 주동축(20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은 주동기어(400)가 제1 기어유닛(700)의 제1-1 전달기어(710)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주동기어(400)가 제2 기어유닛(900)의 제2-1 전달기어(910)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다. 주동기어(400)의 회전력은 주동축(20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제1 기어유닛(700) 또는 제2 기어유닛(900)으로 전달된다.
제1 기어유닛(700) 및 제2 기어유닛(900) 각각은 감속을 통해 회전력을 증대시키는 감속기어장치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유닛(700)은 주동기어(400)의 회전력을 감속을 통해 제1 풀리(60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제1-1 전달기어(710), 제1-2 전달기어(720) 및 제1-3 전달기어(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1 전달기어(710)는 주동축(20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주동기어(40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제1-2 전달기어(720)는 제1 풀리(60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1 풀리(600)와 함께 회전한다. 제1-3 전달기어(730)는 제1-1 전달기어(7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1-2 전달기어(720)와 맞물린다. 따라서, 주동기어(400)와 제1-1 전달기어(710)가 맞물린 상태에서 주동기어(400)의 회전력은 제1-1 전달기어(710), 제1-3 전달기어(730) 및 제1-2 전달기어(720)를 통해 제1 풀리(600)에 전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유닛(700)은 주동기어(400)와 제1 풀리(600) 사이에서 회전력을 원활하게 전달하도록 주동기어(400)의 양쪽에 서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기어유닛(700)의 회전력은 한 쌍의 제1 기어유닛(700)을 통해 분산되어 제1 풀리(600)로 전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어유닛(900)은 주동기어(400)의 회전력을 감속을 통해 제2 풀리(80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제2-1 전달기어(910), 제2-2 전달기어(920) 및 제2-3 전달기어(9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1 전달기어(910)는 주동축(20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주동기어(40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제2-2 전달기어(920)는 제2 풀리(80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2 풀리(800)와 함께 회전한다. 제2-3 전달기어(930)는 제2-1 전달기어(9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2-2 전달기어(920)와 맞물린다.
따라서, 주동기어(400)와 제2-1 전달기어(910)가 맞물린 상태에서 주동기어(400)의 회전력은 제2-1 전달기어(910), 제2-3 전달기어(930) 및 제2-2 전달기어(920)를 통해 제2 풀리(800)에 전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어유닛(900)은 주동기어(400)와 제2 풀리(800) 사이에서 회전력을 원활하게 전달하도록 주동기어(400)의 양쪽에 서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기어유닛(900)의 회전력은 한 쌍의 제2 기어유닛(900)을 통해 분산되어 제2 풀리(800)로 전달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풀리(600)의 회전축 및 제2 풀리(800)의 회전축에는 각각 래칫(R)이 결합된다. 아래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제1 풀리(600)가 제1 체인(C1)을 감는 회전방향(제2 풀리(800)가 제2 체인(C2)을 감는 회전방향)을 '정방향'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래칫(R)은 폴(P)에 의해 정방향으로만 회전한다. 따라서 제1 풀리(600) 및 제2 풀리(800)의 역방향 회전이 방지되며, 제1 체인(C1) 및 제2 체인(C2)은 끌어 올려진 물품의 하중에 의해 제1 풀리(600) 및 제2 풀리(800)로부터 풀리지 않게 된다. 체인블록에서 래칫과 폴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풀리(600)는 풀체인(PC)을 당기는 인장력을 회전력으로 전달받아 제1 체인(C1)을 감는 구성으로서, 제1 하우징(110)(제3 격판(N3) 및 제4 격판(N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3 격판(N3) 및 제4 격판(N4)에는 제1 풀리(600)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홀이 각각 형성된다. 홀에는 (제1 풀리(600)의 회전시 회전축과 제3 격판(N3) 및 제4 격판(N4)과의 마찰력 형성이 방지되도록)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다. 제1 풀리(600)의 회전축은 중공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주동축(200)은 제1 풀리(600)의 회전축 안쪽에서 회전 및 이동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체인(C1)은 제1 풀리(600)의 상부에 감기며, 제1 체인(C1)의 양단부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지게 된다. 제1 체인(C1)의 단부에는 끌어올려야 하는 물품이나 자재 또는 장치에 걸기 위한 제1 후크(H1)가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풀리(800)는 풀체인(PC)을 당기는 인장력을 회전력으로 전달받아 제2 체인(C2)을 감는 구성으로서, 제1 하우징(110)(제1 격판(N1) 및 제2 격판(N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격판(N1) 및 제2 격판(N2)에는 제2 풀리(800)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홀이 각각 형성된다. 홀에는 (제2 풀리(800)의 회전시 회전축과 제1 격판(N1) 및 제2 격판(N2)과의 마찰력 형성이 방지되도록)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체인(C2)은 제2 풀리(800)의 하부에 감긴다. 제2 체인(C2)의 일단부에는 구멍쇠(미도시)에 걸기 위한 제2 후크(H2)가 결합된다. 제2 체인(C2)의 타단부는 제1 하우징(110)에 형성된 구멍을 빠져나온 후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체인(C1)과 제2 체인(C2)의 길이가 각각 조정됨에 따라, 높은 위치의 구멍쇠에 제2 체인(C2)의 제2 후크(H2)를 걸어야 하더라도 무게가 많이 나가는 하우징(100)을 지면에 놓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2 체인(C2)만 들고 걸면 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체인블록(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는 제2 후크(H2)를 구멍쇠에 건 후 (풀체인(PC)을 당겨서) 제2 체인(C2)을 감아 하우징(100)을 끌어올린다. 이후 작업자는 이동유닛(500)을 조작하여 제1 체인(C1)을 감을 준비를 한다. 그리고 나서 작업자는 제1 후크(H1)에 들어야 할 짐을 걸고 다시 풀체인(PC)을 당겨서 제1 체인(C1)을 감아 짐을 들어올린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 체인블록
100 : 하우징 700 : 제1 기어유닛
110 : 제1 하우징 710 : 제1-1 전달기어
111 : 제1 커버 720 : 제1-2 전달기어
120 : 제2 하우징 730 : 제1-3 전달기어
121 : 제2 커버 800 : 제2 풀리
N1 : 제1 격판 C2 : 제2 체인
N2 : 제2 격판 H2 : 제2 후크
N3 : 제3 격판 900 : 제2 기어유닛
N4 : 제4 격판 910 : 제2-1 전달기어
N5 : 제5 격판 920 : 제2-2 전달기어
N6 : 제6 격판 930 : 제2-3 전달기어
130 : 간격조절부 600 : 제1 풀리
131 : 고정부 C1 : 제1 체인
132 : 회전부 H1 : 제1 후크
200 : 주동축 R : 래칫
300 : 주동풀리 P : 폴
PC : 풀체인 400 : 주동기어
500 : 이동유닛 510 : 조작풀리
520 : 제1 조작기어 530 : 제2 조작기어
W : 조작체인

Claims (5)

  1. 제1 체인과 제2 체인에 걸린 장력에 의해 물체를 드는 체인블록으로서,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주동축;
    상기 주동축에 결합되고, 풀체인을 당기는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풀리;
    상기 주동풀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주동축에 결합된 주동기어;
    상기 주동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상기 제1 체인이 걸리고, 제1 기어유닛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풀리; 및
    상기 제2 체인이 걸리고, 제2 기어유닛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주동축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주동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제1 기어유닛 또는 상기 제2 기어유닛으로 전달되는 체인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유닛은, 상기 주동축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주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1-1 전달기어와, 상기 제1 풀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풀리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1-2 전달기어와, 상기 제1-1 전달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1-2 전달기어에 전달하는 제1-3 전달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유닛은, 상기 주동축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주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1 전달기어와, 상기 제1 풀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풀리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2-2 전달기어와, 상기 제2-1 전달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2-2 전달기어에 전달하는 제2-3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체인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풀리의 회전축 및 상기 제2 풀리의 회전축에는 각각 래칫이 결합되는 체인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기어유닛 및 상기 제2 기어유닛이 설치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주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주동축의 축방향으로 고정부와 회전부가 서로 나사결합된 간격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회전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체인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제2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조작체인을 당기는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조작풀리;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1 조작기어; 및
    상기 조작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제1 조작기어에 전달하는 제2 조작기어를 포함하는 체인블록.
KR1020160010588A 2016-01-28 2016-01-28 체인블록 KR101750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588A KR101750816B1 (ko) 2016-01-28 2016-01-28 체인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588A KR101750816B1 (ko) 2016-01-28 2016-01-28 체인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816B1 true KR101750816B1 (ko) 2017-06-26

Family

ID=5928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588A KR101750816B1 (ko) 2016-01-28 2016-01-28 체인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8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167B1 (ko) 2017-11-03 2018-12-06 조광호 체인 블록
KR20230003708A (ko) * 2021-06-29 2023-01-06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체인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281Y1 (ko) 1999-11-08 2000-04-15 박효근 비닐하우스용 양방향 윈치
JP2001072386A (ja) 1999-09-07 2001-03-21 Kito Corp 逆吊りチェーンホイスト
KR100277291B1 (ko) 1998-01-24 2001-04-02 배평암 시 앵커 권양기
JP2014024673A (ja) 2012-07-30 2014-02-06 Kito Corp チェーン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291B1 (ko) 1998-01-24 2001-04-02 배평암 시 앵커 권양기
JP2001072386A (ja) 1999-09-07 2001-03-21 Kito Corp 逆吊りチェーンホイスト
KR200178281Y1 (ko) 1999-11-08 2000-04-15 박효근 비닐하우스용 양방향 윈치
JP2014024673A (ja) 2012-07-30 2014-02-06 Kito Corp チェーンブロッ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167B1 (ko) 2017-11-03 2018-12-06 조광호 체인 블록
KR20230003708A (ko) * 2021-06-29 2023-01-06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체인블록
KR102575496B1 (ko) 2021-06-29 2023-09-08 대한민국 체인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7280B2 (en) Length adjustable wire rope rigging device and lifting system employing the same
US20170067447A1 (en) Wind Turbine Blade Removal and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KR101750816B1 (ko) 체인블록
CN113581995B (zh) 一种工程设备安装用吊装装置
JP2012012223A (ja) 風車のタワー壁部分を持ち上げるための装置及び風車のタワー壁部分を持ち上げるための方法
WO2000002807A1 (fr) Transporteur, entrainement de transporteur et utilisation du transporteur
CN108149928B (zh) 斜拉索的塔端安装方法
CN116332023A (zh) 一种预制构件转运用安全型调平装置
CN114148895A (zh) 一种海洋工程用结构管吊装装置
CN201580930U (zh) 集中拉绳器
JP2013233396A (ja) 屋内の空間部へのネットの吊り張り移動方法及び屋内の空間部へのネットの吊り張り移動装置
CN210944505U (zh) 一种起吊装置
CN110626967A (zh) 一种具有过载锁定装置的起重机
CN201744087U (zh) 一种空中降落器
CN111646354B (zh) 一种5g通讯基站建造设备及建造方法
CN210241070U (zh) 一种升降式物联网网关固定装置
CN104069590B (zh) 一种高楼逃生装置
CN113548572B (zh) 一种建筑施工用的钢结构起吊施工方法
CN110921581B (zh) 高层钢结构模块化吊装设备及施工方法
CN102008786A (zh) 一种空中降落器
CN204474139U (zh) 变速箱快装吊具及变速箱起吊结构
CN203989527U (zh) 一种高楼逃生装置
CN217235079U (zh) 一种便于调节的固定式5g基站
CN211266123U (zh) 一种便于吊装的箱式变电站
RU2630266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грузовой тяговой лебедки и грузовая тяговая лебед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