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281Y1 - 비닐하우스용 양방향 윈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양방향 윈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78281Y1 KR200178281Y1 KR2019990024257U KR19990024257U KR200178281Y1 KR 200178281 Y1 KR200178281 Y1 KR 200178281Y1 KR 2019990024257 U KR2019990024257 U KR 2019990024257U KR 19990024257 U KR19990024257 U KR 19990024257U KR 200178281 Y1 KR200178281 Y1 KR 20017828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utch plate
- reverse
- hole
- fixed
- threaded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윈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의 측면치마를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릴 때에 사용되는 양방향 윈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정방향 동작 클러치와 역방향 동작 클러치를 결합하여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을 모두 외부에서 행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비닐하우스용 양방향 윈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평기어가 정방향 클러치 또는 역방향 클러치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윈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의 측면치마를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릴 때에 사용되는 양방향 윈치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면치마를 감아 올리는 방식으로 환기를 하고 있다. 비닐하우스의 측면치마를 감은 감개파이프를 소형 윈치로 감아올리는 구조인데, 측면치마(11)의 인접 측면에 기둥(12)을 세워 놓고 기둥(12)을 타고 오르내릴 수 있는 윈치(13)를 설치하는데, 윈치(13)에서는 회전축(14)이 나와 있어서 측면치마(11)를 감는 감개파이프(15)와 결합된다. 따라서, 윈치(13)의 핸들(16)을 돌리면 회전축(14)과 연결된 감개파이프(15)가 회전하면서 비닐하우스의 측면치마(11)를 감아올릴 수 있다. 측면치마(11)가 감겨 올라간 모습을 도1에서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여기서, 기둥(12)의 역할은 회전축(14)에 대한 윈치(13)의 고정점으로서의 역할과 윈치(13)가 상하로 오르내릴 수 있는 가이드레일로서의 역할을 한다.
적정하게 올라간 상태에서 윈치(13)의 위치를 잡고 싶으면, 돌리던 핸들(16)을 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윈치(13)가 그 자리에서 고정된다. 이는 래칫 기구(ratchet mechanism)를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16)에 연결된 주기어(25)가 회전하면 이에 맞물린 종기어(22)가 회전하면서, 이 종기어(22)와 일체인 래칫휠(ratchet wheel, 21)이 회전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래칫휠(21)은 래칫(rachet, 23) 때문에 한 방향으로만 회전한다. 즉, 도2에서 볼 때 래칫휠(21)은 반시계방향(CCW)으로는 래칫(23)에 걸리지 않고 회전하지만, 시계방향(CW)으로는 래칫휠(21)의 톱니(21a)가 래칫(23)에 걸려서 회전하지 않는다. 래칫(23)은 압축스프링(24)에 의해 래칫회전축(26)의 반대끝(23b)을 바깥쪽으로 항상 밀고 있기 때문에 래칫부(23a)는 항상 래칫휠(21)의 톱니(21a)와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핸들(16)을 돌려서 래칫휠(21)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회전축(14)이 회전하여 비닐하우스의 측면치마(11)를 감아 올릴 수 있고, 원하는 높이에서 멈추기 위해서 단순히 핸들(16)을 놓기만 하면 감개파이프(15)의 무게에 의해 회전축이 시계방향으로 역회전하려 하지만 래칫(23)에 의해 래칫휠(21)이 고정되기 때문에 감개파이프(15)는 내려가지 않고 제자리에 멈춰있게 된다.
비닐하우스 측면치마(11)를 내리려면 윈치케이스(13) 외부로 노출된 래칫 반대끝(23b)을 안으로 누르면 된다. 그러면, 래칫부(23a)가 톱니(21a)로부터 멀어지면서 래칫휠(21)이 아무런 저항없이 역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감개파이프(15)가 회전하여 그 자체의 무게로 비닐하우스 측면치마(11)가 풀리면서 내려온다.
이 때에, 감개파이프(15)의 무게 때문에 래칫휠(21)은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래칫휠(21)에 일체로 형성된 종기어(22)와 맞물린 주기어(25)도 함께 회전하여 케이스 밖으로 노출된 핸들(16)도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비닐하우스 및 윈치의 기구적 손상은 물론, 핸들(16)의 회전에 의한 인체적 손상의 우려가 매우 크다.
이에, 본 출원인은 측면치마를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리는 작업을 모두 수동으로 핸들을 돌려서 할 수 있다면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평기어와 맞물림 클러치 및 리드스크류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로써 자동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변환할 수 있는 장치를 고안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정방향 동작 클러치와 역방향 동작 클러치를 결합하여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을 모두 외부에서 행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비닐하우스용 양방향 윈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 종래의 비닐하우스 측면치마를 감아올리는 장치의 사시도.
도2: 종래의 비닐하우스용 윈치의 원리도.
도3: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윈치의 조립상태 내부측면도.
도4: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윈치의 분해사시도.
도5a, b, c: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판의 상세도.
도6: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판의 사시도.
<주요부분의 설명>
측면치마(11) 기둥(12) 윈치(13) 회전축(14) 감개파이프(15) 핸들(16) 주기어(25) 종기어(22) 래칫휠(21) 래칫(23) 압축스프링(24) 케이스(100) 엠보싱(101a,101b,101a',101b') 너트(102) 회전축(200) 나사부(202) 정방향 클러치부(300)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 정방향 스페이서(303)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 톱니(305) 톱니(305') 스프링(304a,304b,604a,604b) 금속판(51) 절개부(52) 평기어(400) 핸들기어(500) 역방향 클러치부(600) 역방향 고정클러치판(601) 역방향 스페이서(603)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 톱니(605) 톱니(605') 핸들(700) 핸들봉(701) 손잡이(702)
1. 구성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윈치의 조립된 내부의 측면도이고, 도4는 분해사시도이다.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케이스(100):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윈치(이하, '윈치')의 몸체를 이루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회전축(200)과 핸들을 고정하며, 도1의 기둥(12)에 결합되어 상하로 오르내릴 수 있다. 도4에서는 도면 표현상 좌측 케이스(100a)와 우측 케이스(100b)로 나눠 그렸지만, 실제는 도3에서와 같이 일체의 케이스로서 본 고안에 따른 부품을 내장하고 있다. 케이스에는 회전축(200)과 핸들기어(500)가 결합되는 관통공과 스프링(304a, 304b, 604a, 604b)이 고정되는 엠보싱(101a, 101b, 101a', 101b')이 형성되어 있다. 나중에 설명할 것이다.
회전축(200): 비닐하우스의 측면치마가 감기는 감개파이프(도1의 15)와 결합되어 감개파이프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주요부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하지만, 관통구멍(201)이 형성된 끝부분은 케이스(100)의 외부로 나와 감개파이프(15)에 형성된 구멍에 스크류에 의해 결합된다. 회전축(200)에는 나사부(20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부(202)는 나중에 설명할 평기어(400)가 결합되어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리드스크류(lead screw) 개념과 마찬가지 개념으로 평기어(400)가 결합된다.
이 나사부(202)는 일반적인 스퍼기어의 나사산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헬리컬기어의 나사산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헬리컬기어 나사산으로 형성하게 되면, 평기어(400)의 회전각도에 비해 직선이동 거리가 스퍼기어 나사산의 경우보다 커지므로, 빠른 시간에 평기어(400)를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절하게 선택하여 설계할 수 있는 주지기술이다. 회전축의 끝부분(203)은 너트(102)를 거쳐 케이스(100)에 회전가능토록 고정된다.
정방향 클러치부(300): 회전축(200)에는 정방향 클러치부(300)가 결합되는데, 정방향 클러치부(300)는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과 정방향 스페이서(303)와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으로 구성된다.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고리모양으로서, 한 면에는 경사진 톱니(305)가 다수 형성되고 반대면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전체적으로 회전축(200)의 나사산에 결합되지 않고 케이스(10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것으로서, 케이스(100)와 스프링(304a, 304b)에 의해 일정거리 떨어져 있다. 조립의 편의를 위해 도4에서는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오목하게 엠보싱(101a, 101b) 처리를 하고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의 반대면에는 보스(306a, 306b)를 돌출시켜서 스프링(304a, 304b)을 통해 케이스(100) 쪽으로 조립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 말고도 다른 방식으로도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을 스프링(304a, 304b)을 통해 케이스(100a)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에 엠보싱 처리 대신 관통공을 뚫고, 클러치판에 보스(306a, 306b)를 돌출시키는 대신에 케이스의 관통공에 볼트를 삽입하여 스프링을 통해 클러치판을 케이스에 고정할 수도 있다.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은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의 톱니(305)와 마주보는 위치에 같은 형상의 톱니(305')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으로서,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리 형상이다.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의 톱니(305')면 반대면은 평탄면(311)으로서 일정한 평탄도로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과 가동클러치판(302)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데, 도4에 나타낸 클러치판들은 고리형상의 금속판 중 일부를 절개하여 소정 각도로 벤딩한 것으로, 자세한 형상을 도5a, 5b, 5c에 나타내었다. 이 방식은 고리형상의 금속판(51)에 디귿자 모양으로 다수의 절개부(52)를 형성한 후 절개부를 소정 각도로 세워서 제작한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하면, 간단한 공정과 저렴한 원가로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판을 제작할 수 있다. 절개부(52)의 벤딩 각도는 임의적이지만, 금속판(51)의 두께 t와 같은 정도로만 돌출되도록 벤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c).
이밖에, 다이캐스팅이나 주물에 의해서 도6과 같은 형상의 클러치판을 제작할 수 있다. 물론, 다이캐스팅이나 주물 이외에 직접 연삭하여 톱니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적 사항이다.
정방향 스페이서(302)는 회전축(200)의 나사산(202)과 나사결합하도록 중앙에 암나사(309)가 형성되어 있다. 정방향 스페이서(302)는 큰외경원판(307)과 작은외경원판(30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큰외경원판(307)의 외경은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 중앙의 관통공에 삽입될 정도의 직경이어야 하고, 작은외경원판(308)의 외경은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 중앙의 관통공과 맞는 정도의 직경이어야 한다.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 관통공 및 작은외경원판(308)의 직경이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 관통공 및 큰외경원판(307)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은 스페이서(303)의 큰직경원판(307)의 측면(310)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작은외경원판(308)의 두께 t는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 관통공에 삽입된 작은외경원판(308)이 평탄면(311)보다 더 튀어나와서는 안 될 정도의 두께이어야 한다.
평기어(400): 회전축(200)의 나사산(202)에 나사결합되는 기어로서, 양측면이 평탄하게 가공되어 있어야 한다. 평기어(400)의 중심공은 회전축(200)의 나사산(202)과 결합하여 회전축(20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한다.
핸들기어(500): 핸들(700)에 의해 회전하여 평기어(400)를 회전시킨다. 핸들기어(500)의 축은 케이스(100)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된다. 결합부에는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이 함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기어(500) 축의 한쪽 끝에는 핸들(700)과 고정되는 관통공(50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에 핸들(700)이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역방향 클러치부(600): 평기어(400)를 사이에 두고 정방향 클러치부(300)와 대칭되어 역방향 클러치부(600)가 위치한다. 역방향 클러치부(600)는 역방향 고정클러치판(601)과 역방향 스페이서(603)와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으로 구성된다.
역방향 고정클러치판(601)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고리모양으로서, 한 면에는 경사진 톱니(605)가 다수 형성되고 반대면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전체적으로 회전축(200)의 나사산에 결합되지 않고 케이스(100b)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는 것으로서, 케이스(100b)와 스프링(604a, 604b)에 의해 일정거리 떨어져 있다. 조립의 편의를 위해 도4에서는 케이스(100b)의 내부에서 외부로 오목하게 엠보싱(101a', 101b') 처리를 하고 역방향 고정클러치판(601)의 반대면에는 보스(606a, 606b)를 돌출시켜서 스프링(604a, 604b)을 통해 케이스(100b) 쪽으로 조립되도록 하였다. 보스와 엠보싱 대신에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 있다.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은 역방향 고정클러치판(601)의 톱니(605)와 마주보는 위치에 같은 형상의 톱니(605')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으로서,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리 형상이다.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의 톱니(605')면 반대면은 평탄면(611)으로서 일정한 평탄도로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의 톱니를 형성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다.
역방향 스페이서(603)는 회전축(200)의 나사산(202)과 나사결합하도록 중앙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역방향 스페이서(602)도 정방향 스페이서(602)와 마찬가지로 큰외경원판(607)과 작은외경원판(60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큰외경원판(607)의 외경은 역방향 고정클러치판(601) 중앙의 관통공에 삽입될 정도의 직경이어야 하고, 작은외경원판(608)의 외경은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 중앙의 관통공과 맞는 정도의 직경이어야 한다.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 관통공 및 작은외경원판(608)의 직경이 역방향 고정클러치판(601) 관통공 및 큰외경원판(607)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은 역방향 스페이서(603)의 큰직경원판(607)의 측면(610)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작은외경원판(608)의 두께는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 관통공에 삽입된 작은외경원판(608)이 평탄면(611)보다 더 튀어나와서는 안 될 정도의 두께이어야 한다.
역방향 클러치부(600)의 구성은 정방향 클러치부(3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평기어(400)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핸들(700): 핸들기어(500)의 축에 연결되어 핸들기어(500)를 돌리는 역할을 한다. 핸들(700)은 핸들봉(701)과 손잡이(702)로 이루어지는데, 핸들봉(701)은 핸들기어(500)의 축에 형성된 결합공(501)에 볼트(703)로써 결합되도록 관통공(704)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702)는 핸들봉(701)에 너트로써 결합될 수 있다.
2. 작용
이하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윈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정방향 동작: 핸들(700)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핸들 쪽에서 보았을 때) 핸들기어(500)에 맞물린 평기어(4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정방향 클러치부(300)를 동작시키는 정방향 동작을 한다. 물론, 이 때에 비닐하우스의 측면치마를 감아올릴 것인지 풀어내릴 것인지는 측면치마 고정용 감개파이프(15)에 측면치마 끝단을 어떻게 감아놓았는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본 윈치의 정방향 동작 및 역방향 동작은 측면치마의 오르내림과는 서로 무관하다. 그러나, 본 설명에서는 윈치의 정방향 동작이 비닐하우스의 측면치마를 감아 올리는 동작임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핸들기어(5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평기어(4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평기어(400)는 회전축(200)의 오른나사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4의 좌측, 즉 정방향 가동클러치(302) 쪽으로 움직인다. 평기어(400)가 움직이면서 정방향 가동클러치(302)를 좌측으로 밀면 정방향 가동클러치(302)는 정방향 스페이서(303)의 작은외경원판(309)에 삽입된다.
계속해서 평기어(400)가 회전하면, 평기어(400)와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과 정방향 스페이서(303)가 밀착되어 회전축의 나사산에 의해 더욱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과 결합된다. 이 때에, 정방향 스페이서(303)의 큰외경원판(307)이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의 중앙공을 관통하기 때문에 좌측으로 밀린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의 톱니(305')가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의 톱니(305)와 맞물린다. 이렇게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과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이 맞물린 상태에서 정방향 클러치부(300) 전체와 평기어(400)가 함께 회전축(200)의 나사부(202) 끝까지 이동하면 더 이상 좌측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평기어(400)와 정방향 스페이서(303)와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의 회전과 함께 회전축(200)이 회전한다. 결국, 회전축(200)에 연결된 측면치마 감개 감개파이프(15)가 회전하여 비닐하우스의 측면치마를 감게 된다.
정방향 동작에 있어서,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은 스프링(304a, 304b)을 통하여 케이스(10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 쪽으로 밀리는 힘을 받고, 따라서 항상 양측의 톱니(305, 305')는 맞물려 있다. 따라서, 핸들(700)을 돌리면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이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과 맞물린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끼리리릭' 소리를 내면서 회전하게 된다.
적당하게 측면치마를 감은 다음에 핸들(700)을 돌리던 손을 놓으면, 감개파이프(15)의 무게에 의해 정방향 클러치부(300)에는 역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 힘은 회전축(200)을 오른나사 방향으로 정방향 스페이서(303) 쪽으로 미는 힘으로서, 곧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을 역회전시키는 힘이다. 그러나,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의 톱니(305)와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의 톱니(305')는 서로 역결합되기 때문에 더이상 정방향 스페이서(303)와 함께 회전축(200) 전체는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 정지된 위치에서 측면치마를 감은 감개파이프(15)와 윈치가 내려가지 않고 정지해 있게 된다.
역방향 동작: 위와 같이 정방향 동작을 행한 후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측면치마를 풀어내리기 위해서 종래에는 래칫을 래칫휠로부터 이탈시켜서 측면치마 감개파이프의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게 하였다고 이미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에서는 측면치마를 풀어내리기 위해서도 핸들(700)을 역방향으로 돌려서 수동으로 천천히 풀어내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역방향이라 함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핸들쪽에서 봤을 때 시계방향을 일컫는다.
정방향 동작 후 윈치가 정지해 있는 상태, 즉, 회전축(200)에 정방향 클러치부(300)가 물려서 더 이상 내려오지 않는 상태에서 핸들(700)을 역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핸들기어(500)가 시계방향으로 돌고 이에 맞물린 평기어(4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서 앞서 정방향 동작 때에 정방향 클러치부(300)의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에 접촉되어 있던 평기어(400)가 풀리면서 회전축(200)을 타고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는 곧 리드스크류(lead screw)의 작용과 같다. 이 때, 평기어(400)가 재빠르게 역방향 클러치부(600)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서는 회전축(200)의 나사부(202)를 헬리컬기어로 형성하면 된다.
평기어(400)가 정방향 클러치부(300)측으로부터 멀어져 반대쪽으로 이동하면, 역방향 클러치부(600)의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를 역방향 스페이서(603)를 향해 밀면서, 역방향 스페이서(603)와 함께 역방향 고정클러치판(601)과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의 톱니를 맞물리게 한다. 이후의 동작은 앞에서 설명한 정방향 동작과 동일하다.
즉, 평기어(400)가 움직이면서 역방향 가동클러치(602)를 우측으로 밀면 역방향 가동클러치(602)는 역방향 스페이서(603)의 작은외경원판(608)에 삽입된다.
계속해서 평기어(400)가 회전하면, 평기어(400)와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과 역방향 스페이서(603)가 밀착되어 회전축의 나사산에 의해 더욱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역방향 고정클러치판(601)과 결합된다. 이 때에, 역방향 스페이서(603)의 큰외경원판(607)이 역방향 고정클러치판(601)의 중앙공을 관통하기 때문에 우측으로 밀린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의 톱니(605')가 역방향 고정클러치판(601)의 톱니(605)와 맞물린다. 이렇게 역방향 고정클러치판(601)과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이 맞물린 상태에서 역방향 클러치부(600) 전체와 평기어(400)가 함께 회전축(200)의 나사부(202) 끝까지 이동하면 더 이상 우측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평기어(400)와 역방향 스페이서(603)와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의 회전과 함께 회전축(200)이 회전한다. 결국, 회전축(200)에 연결된 측면치마 감개파이프(15)가 역회전하여 비닐하우스의 측면치마를 풀게 된다.
변형: 비록 본 고안이 위에서 구체적인 예로서 설명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이외에 천막 등에도 응용할 수 있고, 간판 등을 들어올리는 용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수동식 핸들 대신에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개념과 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윈치의 정방향 동작과 역방향 동작을 모두 외부에서 해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닐하우스의 측면치마를 풀어내릴 때에 감개파이프의 무게에 의해 자연낙하함에 따라 측면치마가 빠른 속도로 떨어지면서 발생하던 기구적, 인체적 손상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나사부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로 이루어진 회전축(200),회전축(200)의 나사부쪽으로 삽입되되 나사부와 결합되지 않는 고리형상의 원판으로서, 회전축(200)의 나사부를 향한 면에는 경사진 톱니(305)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톱니(305) 반대면은 케이스(100)에 스프링을 통해 탄성력을 갖도록 고정되는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의 톱니(305) 형성면 방향으로 삽입되어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의 중앙관통공에 관통되며, 회전축(200)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정방향 스페이서(303),정방향 스페이서(303) 쪽에서 삽입되되 회전축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지 않는 고리형상의 원판으로서, 그 중앙관통공에 상기 정방향 스페이서(303)가 삽입되고,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의 톱니(305)를 향한 면에는 동일한 형상의 톱니(305')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면은 평탄면인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의 평탄면 쪽에서 삽입되어 회전축(200)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평기어(400),평기어(400) 쪽으로 삽입되되, 회전축(200)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지 않는 고리형상의 원판으로서, 평기어(400)를 향한 면은 평탄면이고 그 반대면은 경사진 톱니(605')가 복수개 형성되는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의 톱니(605') 형성면 방향으로 삽입되어,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의 중앙 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고, 회전축(200)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역방향 스페이서(603),역방향 스페이서(603) 쪽에서 삽입되되 회전축(200)의 나사부와 결합되지 않는 고리형상의 원판으로서, 그 중앙 관통공의 직경은 역방향 스페이서(603)에 삽입될 정도로 형성되고,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의 톱니(605')를 향한 면에는 동일한 형상의 톱니(605)가 반대방향으로 복수개 경사지게 형성되고, 톱니(605) 반대면은 케이스(100)에 스프링을 통해 탄성력을 갖도록 고정되는 역방향 고정클러치판(601),회전축(200)의 나사부에 최종적으로 결합되어 역방향 스페이서(603)가 빠지지 않게 하는 너트(102),상기 평기어(400)와 맞물려서 평기어를 회전시키는 핸들기어(500)로 구성되는 양방향 윈치.
- 청구항 1에서상기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의 중앙관통공은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의 중앙관통공보다 크고, 이들 사이에 삽입되는 정방향 스페이서(303)는 정방향 고정클러치판(301)의 중앙관통공에 삽입되는 큰외경원판(307)과 정방향 가동클러치판(302)의 중앙관통공에 삽입되는 작은외경원판(308)이 2층으로 적층되며,상기 역방향 고정클러치판(601)의 중앙관통공은 역방향 가동클러치판(602)의 중앙관통공보다 크고, 이들 사이에 삽입되는 역방향 스페이서(603)는 역방향 고정클러치판(601)의 중앙관통공에 삽입되는 큰외경원판(607)과 정방향 가동클러치판(602)의 중앙관통공에 삽입되는 작은외경원판(608)이 2층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윈치.
- 청구항 1에서, 상기 회전축(200)의 나사부는 스퍼기어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윈치.
- 청구항 1에서, 상기 회전축(200)의 나사부는 헬리컬기어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윈치.
- 청구항 1~4 중 한 항에서, 상기 정방향 고정.가동클러치판(301, 302), 역방향 고정.가동클러치판(601, 602)의 톱니(305, 305', 605, 605')는 원판면을 디귿자 모양으로 절개하여 소정 각도로 절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윈치.
- 청구항 1~4 중 한 항에서, 상기 정방향 고정.가동클러치판(301, 302), 역방향 고정.가동클러치판(601, 602)의 톱니(305, 305', 605, 605')는 다이캐스팅 또는 주물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윈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4257U KR200178281Y1 (ko) | 1999-11-08 | 1999-11-08 | 비닐하우스용 양방향 윈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4257U KR200178281Y1 (ko) | 1999-11-08 | 1999-11-08 | 비닐하우스용 양방향 윈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78281Y1 true KR200178281Y1 (ko) | 2000-04-15 |
Family
ID=1959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24257U KR200178281Y1 (ko) | 1999-11-08 | 1999-11-08 | 비닐하우스용 양방향 윈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828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0816B1 (ko) | 2016-01-28 | 2017-06-2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체인블록 |
-
1999
- 1999-11-08 KR KR2019990024257U patent/KR20017828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0816B1 (ko) | 2016-01-28 | 2017-06-2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체인블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219037A1 (en) | Bidirectional self-locking device | |
KR200178281Y1 (ko) | 비닐하우스용 양방향 윈치 | |
US5156377A (en) | Lever-operated hoist | |
JP2594912Y2 (ja) | 両軸受リール | |
JPS61286678A (ja) | バルブのスピンドル駆動機構 | |
CN112845880B (zh) | 一种用于模具保护的冲压模具 | |
US5932944A (en) | Electric motor assembly with braking arrangement | |
CN217486075U (zh) | 一种带有螺套的汽车线束用固定带 | |
NL2028195B1 (en) | Microgenerator of a flat design, clutch system suitable for such microgenerator, stand-alone electric device provided with an integrated microgenerator. | |
JPS5813910Y2 (ja) | 走行玩具の駆動装置 | |
CN215569591U (zh) | 一种投影机升降设备的限位保护装置 | |
JP2000291767A (ja) | 電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 |
JP2507526Y2 (ja) | 音響機器の駆動装置 | |
JPS5937859Y2 (ja) | 遠隔制御装置 | |
CN214328616U (zh) | 一种房屋建筑用警示灯 | |
CN214476359U (zh) | 一种机芯动力转化驱动系统 | |
JP2549136Y2 (ja) | ボールねじ移動装置 | |
CN215558107U (zh) | 一种柔性多圈转角限位结构及自动绕线模块 | |
CN209749534U (zh) | 一种纺车式渔线轮用刹车切换装置 | |
JPH0315874Y2 (ko) | ||
JPS5856141Y2 (ja) | プツシユドライバ | |
JPS5821919Y2 (ja) | ロ−ルスクリ−ンの巻上げ制動装置 | |
JP2930630B2 (ja) | 電動リール用クラッチ | |
JPH0253594B2 (ko) | ||
KR200269860Y1 (ko) | 양방향 제동기능을 갖는 비닐개폐기에 있어서동력전달축과 기어의 결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20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