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423B1 -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423B1
KR102575423B1 KR1020180096617A KR20180096617A KR102575423B1 KR 102575423 B1 KR102575423 B1 KR 102575423B1 KR 1020180096617 A KR1020180096617 A KR 1020180096617A KR 20180096617 A KR20180096617 A KR 20180096617A KR 102575423 B1 KR102575423 B1 KR 102575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co
acid
surfactant
orga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186A (ko
Inventor
홍채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6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423B1/ko
Priority to US16/209,232 priority patent/US11072762B2/en
Priority to DE102018221019.5A priority patent/DE102018221019A1/de
Priority to CN201811510857.2A priority patent/CN110846667B/zh
Publication of KR20200021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4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1Mono, di- or tri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42Amino alcohols or amino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C11D11/04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by chemical means, e.g. by sulfonating in the presence of 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followed by neutral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86Hydroxy 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3Amino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C11D3/361Phosphonates, phosphinates or phosphon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04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using inhibitors
    • C23G1/06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using inhibitors organic inhibitors
    • C23G1/061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using inhibitors organic inhibitors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08Iron or steel
    • C23G1/088Iron or steel solutions containing orga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16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산을 포함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산세정제에 관한 것으로, 단당류인 육탄당으로부터 유래된 유기산 15~30중량%, 킬레이트제 0.8~1.2중량%, 계면활성제 0.2~0.4중량% 및 용매 75~8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산세정제를 제공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산세정제는 본 발명의 유기산의 혼합물 즉, 글루카릭산칼륨염을 포한하는 혼합물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함으로써, 산 세정 능력이 우수하면서도 악취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작업 환경을 쾌적하게 하므로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Eco-friendly cleaning agent for metal material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산을 포함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부재는 장시간 공기 중에 방치하면 그 표면이 산화되어 산화물 피막층으로 덮이게 되고, 특히 열처리 또는 열간 가공한 금속부재의 표면에는 두꺼운 산화물 피막층의 스케일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기계 가공을 한 금속부재의 표면에도 가공 변질층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그 표면에 산화물 피막층이나 가공 변질층이 형성된 금속부재를 도금처리 등의 2차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금속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 피막층이나 가공 변질층과 같은 불순물층을 제거하여야 하고, 이러한 불순물층을 제거하기 위해서 금속부재의 표면을 세정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금속 부재인 고온 열처리한 철강을 세정할 경우, 철강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 스케일은 표면의 외층이 α-Fe2O3, 중간층이 Fe3O4, 내층이 FeO의 성분으로 구성된 다공질의 3중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철강 부재를 황산 또는 염산 용액에 침적시켜 산세(pickling)를 하면, 철강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 스케일이 용해되어 녹이 없어지지만 황산 또는 염산 용액이 철강부재의 소지까지 침투하여 철강과 산화물 스케일 사이에 국부전지가 발생하여 철강의 용해 및 산화물 표면에서 수소 가스의 발생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산세를 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5~10중량%의 황산이나 염산 용액을 사용하는데, 이와 같은 용액을 사용할 경우 유해가스의 발생으로 인해 심한 악취가 발생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기 때문에 현장에서 산세 작업을 기피하는 경향이 많아 산세 작업을 부실하게 처리할 우려가 있고, 그리고 산세를 하고 난 후의 용액을 그냥 외부로 배출할 경우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어 자연 환경을 파괴하게 되는 문제점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자동차 등의 수리하는 정비공장 등에서는 부품을 세척하거나 윤활유나 화석연료 등에 의해 발생된 기름때 등을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세정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름때 등은 솔벤트나 TCE(Trichloroethylene)등의 유성 용매 등에 쉽게 용해되기 때문에 세정제로서 솔벤트나 TCE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솔벤트나 TCE 등의 세정제에는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메틸시클로헥산 등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을 제한하거나 기피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솔벤트 등을 대체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면서도 무해하며 세정 능력이 우수한 세정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9303호는 산세정 효과를 증진시키는 용액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산세용액 내의 염산, 황산 등의 무기산류에 킬레이트제 및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은 농도의 산세용액으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낮추고 있으나 여전히 염산 및 황산 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악취등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42123호는 저취성을 갖는 기계부품 세정제에 관한 것으로, 유독성 냄새를 제거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일할 수 있게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으나, 환경 및 인체에 해로운 TCE를 사용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9303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42123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금속부재를 세정하는 종래의 세정제와 동일하거나 향상된 성능을 가지면서 악취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산; 킬레이트제;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산은 단당류인 육탄당(Hexose)으로부터 유대된 유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 한다.
상기 육탄당은 글루코스, 갈락토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칼륨(K+)이 말단에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글루카릭산, 글루카릭산 칼륨염, 갈락타릭산, 갈락타릭산 캄륨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로는 시트르산, 옥살산, 말산, 글리신, 알라닌, 글루탐산, 아미노부티르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사이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니트릴펜타아세트산, 아미노트리스(메틸렌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일)비스(포스폰산),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메틸렌포스폰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Cation)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계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Dodecyltrimethylammonium bomide: DATB),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Cet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CTAC), 헥사데실피리디움 브로마이드(Hexadecylpyridium bromide: HDPB), 벤질세틸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Benzylcetyldimethylammonium chloride: BCDA),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는 유기산 15중량% 내지 30중량%, 킬레이트제 0.8중량% 내지 1.2중량%, 계면활성제 0.2중량% 내지 0.4중량% 및 용매 75중량% 내지 8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매에 육탄당(Hexose) 및 수산화칼륨(KOH)을 투입하여 반응물을 생성하는 단계; 산소 가스 존재하에서 상기 반응물 내에 귀금속 촉매를 투입한 후 산화 반응을 시켜 유기산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산, 킬레이트제, 계면활성제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육탄당은 글루코스, 갈락토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귀금속 촉매는 카본,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담체에 담지된 금속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원소는 백금, 로듐, 팔라듐, 니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반응물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육탄당은 용매 대비 0.02g/cc 내지 0.2g/cc 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산화칼륨은 상기 육탄당 기준으로 0.9중량부 내지 1.5중량부 투입될 수 있다.
산화 반응 단계에서 상기 귀금속 촉매는 상기 육탄당 기준으로 0.3중량부 내지 0.5중량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산화 반응 단계는 압력 1bar 내지 5.0bar, 온도 30℃ 내지 50℃ 에서 3시간 내지 6시간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산화 반응 단계의 생성물의 수소이온농도는 pH3 내지 pH4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글루카릭산칼륨염을 주원료로 하여 세정제를 제조함으로써 세정 능력이 우수하면서도 악취의 발생이 최소화시킬 수 있는 세정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정 작업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으며 세정 작업 후 발생하는 폐액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는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글루코스(Glucose)로부터 유기산을 합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글루카릭산의 1H-NMR 데이터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유기산을 포함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기산은 단당류인 육탄당(Hexose)으로부터 유래된 유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유기산을 포함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유기산, 킬레이트제,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산은 단당류인 육탄당(Hexose)으로부터 유래된 유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15중량% 내지 30중량%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유기산이 15중량% 미만일 경우 금속부재의 표면에 부착된 녹이나 기름때가 제대로 세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30중량% 초과할 경우 더 이상의 세정 능력의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육탄당은 글루코스, 갈락토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글루카릭산, 글루카릭산 칼륨염, 갈락타릭산, 갈락타릭산 칼륨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유기산은 수산화칼륨(KOH) 및 귀금속 촉매와 함께 용매에 투입되어 산화 반응에 의해 상기 글루코스 또는 갈락토스가 글루카릭산, 글루카릭산 칼륨염, 갈락타릭산 또는 갈락타릭산 칼륨염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육탄당은 글루코스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유기산은 글루카릭산 칼륨염이 될 수 있다. 이때 글루카릭산 칼륨염은 말단에 칼륨(K+) 양이온이 결합된 형태를 띄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귀금속 촉매는 카본,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담체에 백금, 로듐, 팔라듐, 니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 원소를 담지하고 있는 형태를 띄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매로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제는 0.8중량% 내지 1.2중량%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킬레이트제가 0.8중량% 미만일 경우 충분한 킬레이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산 세정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2중량% 초과할 경우 킬레이트제 함량 증대에 따른 킬레이트 효과가 특별히 상승하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제로는 시트르산, 옥살산, 말산, 글리신, 알라닌, 글루탐산, 아미노부티르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사이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니트릴펜타아세트산, 아미노트리스(메틸렌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일)비스(포스폰산),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메틸렌포스폰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킬레이트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0.2중량% 내지 0.4중량%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계면활성제가 0.2중량% 미만일 경우 계면활성제 함량의 부족으로 인해 세정제 조성물의 표면장력이 저하되어 세정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0.4중량% 초과할 경우 표면장력은 증대되나 특별히 더 이상의 세정 능력이 증대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Cation)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계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Dodecyltrimethylammonium bomide: DATB),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Cet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CTAC), 헥사데실피리디움 브로마이드(Hexadecylpyridium bromide: HDPB), 벤질세틸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Benzylcetyldimethylammonium chloride: BCDA),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75중량% 내지 85중량%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용매가 75중량% 미만일 경우 상대적으로 타 성분들의 농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세정 능력이 저하되거나 장기 보관상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85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타 성분들의 농도가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세정 능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바람직하게 물이다.
본 발명은 용매에 육탄당(Hexose) 및 수산화칼륨(KOH)을 투입하여 반응물을 생성하는 단계; 산소 가스 존재하에서 상기 반응물 내에 귀금속 촉매를 투입한 후 산화 반응을 시켜 유기산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산, 킬레이트제,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육탄당은 글루코스, 갈락토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육탄당이 글루코스일 경우 유기산은 글루카릭산 또는 글루카릭산 칼륨염의 형태로 합성되고, 상기 육탄당이 갈락토스일 경우 유기산은 갈락타릭산 또는 갈락타릭산 칼륨염의 형태로 합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글루카릭산을 얻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도 1에는 육탄당인 글루코스가 촉매 산화 반응을 통해 본 발명의 유기산으로 전환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육각고리형 모양을 가진 글루코스(=포도당)를 산소 가스 존재하에서 수산화칼륨(KOH)(a) 및 귀금속 촉매(b)와 함께 용매인 물에 투입한 후 산화 반응을 유도하여 유기산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반응하는 환경의 수소이온농도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유기산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는데, pH3 내지 pH4에서는 한쪽 말단만 칼륨 양이온(K+)이 염 형태로 존재하는 글루카릭산을 얻을 수 있다. pH3 미만일 경우 칼륨 양이온(K+)이 염의 형태로 존재하지 않는 글루카릭산을 얻을 수 있으며, pH4 초과할 경우 양 말단에 칼륨 양이온(K+)이 염 형태로 존재하는 글루카릭산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형태는 한쪽 말단에만 칼륨 양이온(K+)이 염 형태로 존재하는 글루카릭산(=글루카릭산 칼륨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합성된 유기산은 킬레이트제 및 계면활성제와 함께 용매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매에 투입되는 유기산은 15중량% 내지 30중량%, 킬레이트제는 0.8중량% 내지 1.2중량% 이며, 계면활성제는 0.2중량% 내지 0.4중량% 이다. 이때 용매는 75중량% 내지 85중량%의 함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킬레이트제, 계면활성제 및 용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미 앞서서 하였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글루카릭산 칼륨염 제조
반응기 내에 출발물질 글루코스(함수포도당, 한국 대상㈜)를 용매인 물 대비 0.1g/cc 농도로 투입한 다음, 수산화칼륨(미국 Sigma Aldrich㈜)을 글루코스 대비 0.9중량부로 투입한다. 이후 활성 탄소에 담지된 백금 촉매(미국 SigmaAldrich㈜)를 상기 글루코스 대비 0.3중량부만큼 투입하였다. 이후 반응기 온도를 50℃로 유지하고, 산소 가스를 반응기 내로 투입하여 압력이 1bar 수준이 되도록 유지하면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으며, 이때 수소이온농도는 pH4로 유지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칼륨(K+)이 말단에 결합된 형태의 유기산인 글루카릭산 칼륨염을 얻었다.
도 2는 글루카릭산의 1H-NMR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1H-NMR 그래프에서 X축 4.39에서의 피크는 글루카릭산 칼륨염의 2번 수소, 4.32에서의 피크는 글루카릭산 칼륨염의 5번 수소, 4.19에서의 피크는 글루카릭산 칼륨염의 3번 수소, 4.03에서의 피크는 글루카릭산 칼륨염의 4번 수소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렇게 4개의 위치에서 피크를 나타내는 1H-NMR 그래프를 통해 한쪽 말단에 칼륨(K+)이 결합된 형태의 유기산인 글루카릭산 칼륨염이 합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6, 비교예 1~8>
하기 표 1에 나타낸 비율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의 세정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킬레이트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이고,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이다. 또한 비교예에서 사용된 황산의 순도는 60%, 염산의 순도는 20%이다. 제조 방법은 우선 물과 글루카릭산 칼륨염을 하기 표 1의 비율로 혼합하여 3000rpm의 고속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계면활성제와 EDTA를 하기 표 1의 비율로 첨가하여 최종 목적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6 7 8
글루카릭산 칼륨염 16 15 20 30 30 0 0 5 10 16 15 10 40
황산 9
염산 9
EDTA 0.8 1.2 0.8 1.2 0.8 0.8 0.8 0.4 2.0 0.8 0.8
계면활성제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82.9 83.5 78.9 68.5 68.9 87.9 87.9 95 90 83.3 82.7 63.9 58.9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의 조성물에 금속부재 시험편인 두께 2㎛의 산화피막이 형성된 금속부재를 상온에서 5분간 침지(dipping)시킨 후 꺼내어 건조시키고 1시간 방치 후에 금속부재 표면을 관찰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윤활유 및 기름때 제거 성능 평가를 위해 금속 부재 시험편 표면에 인위적으로 윤활유 및 기름때를 부착시킨 시험편을 5분간 침지(dipping)시킨 후 꺼내어 건조시키고 1시간 방치 후에 금속부재 표면을 관찰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된 금속부재의 시험편은 두께 2㎛의 산화피막이 형성된 철강 판재(냉연강판)를 사용하였다.
평가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6 7 8
산화피막층 제거 성능 O O O O O O O X X O X O
윤활유 및 기름때 제거 성능 O O O O O X X X X O O X O
악취발생 정도 5 4 5 4 5 1 1 5 5 5 5 5 5
평가방법
관능검사 요원 10명이 평가한 점수의 평균을 반영.

평가기준(산화피막층, 윤활유 및 기름때 제거 성능):
금속부재 표면의 제거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산화피막층이 완전히 제거된 경우(O)
산화피막층이 일부 제거되지 않은 경우 (△)
대부분 제거되지 않는 경우 (X)

평가기준(악취발생 정도):
5점: 악취의 발생이 거의 없음.
4점: 약간의 악취가 밸생됨.
3점: 악취의 발생이 보통임.
2점: 악취의 발생이 약간 심함.
1점: 악취의 발생이 매우 심함.
상기 실험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경우 종래의 황산 또는 염산을 사용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동일한 산화피막층 제거 능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악취 발생 정도와 관련하여 글루카릭산 칼륨염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경우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동등한 세정 능력을 갖고 있음에도 악취의 발생이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3 및 비교예 4는 킬레이트제 및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세정제로 악취를 제외한 산화피막층, 윤활유 및 기름때 제거 성능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비교하였을 때 킬레이트제인 EDTA의 함량 외에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실험한 것이다. 비교예 5의 경우 산화피막층 제거 성능이 낮았으며, 비교예 6의 경우 킬레이트제의 함량을 증가시켰음에도 실시예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비교예 7 및 비교예 8은 실시예 1과 유기산인 글루카릭산 칼륨염의 함량외에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실험한 것이다. 비교예 7의 글루카릭산 칼륨염의 함량은 본 발명의 기준치 보다 적을 경우로 산화피막층, 윤활유 및 기름때 제거 성능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비교예 8의 글루카릭산 칼륨염의 함량은 본 발명의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로 산화피막층, 윤활유 및 기름때 제거 성능면에 있어서 실시예와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발명은 글루카릭산 칼륨염을 주원료로 하여 세정제를 제조할 경우 세정 능력에 있어서 우수하며 악취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장점은 세정 작업 후 발생되는 폐액을 관리하는 측면에 있어서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a: KOH
b: 귀금속 촉매

Claims (20)

  1. 유기산;
    킬레이트제;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산은 칼륨(K+)이 한쪽 말단에만 결합된 형태의 글루카릭산 칼륨염인 것이고,
    상기 킬레이트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인 것이고,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는 유기산 15중량% 내지 30중량%, 킬레이트제 0.8중량% 내지 1.2중량%, 계면활성제 0.2중량% 내지 0.4중량% 및 용매 68.5중량% 내지 83.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Cation)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Dodecyltrimethylammonium bomide: DATB),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Cet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CTAC), 헥사데실피리디움 브로마이드(Hexadecylpyridium bromide: HDPB), 벤질세틸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Benzylcetyldimethylammonium chloride: BCDA),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11. 삭제
  12. 용매에 글루코스 및 수산화칼륨(KOH)을 투입하여 반응물을 생성하는 단계;
    산소 가스 존재하에서 상기 반응물 내에 귀금속 촉매를 투입한 후 산화 반응을 시켜 유기산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산 15중량% 내지 30중량%, 킬레이트제 0.8중량% 내지 1.2중량%, 계면활성제 0.2중량% 내지 0.4중량% 및 용매 68.5중량% 내지 83.5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산은 칼륨(K+)이 한쪽 말단에만 결합된 형태의 글루카릭산 칼륨염인 것이고,
    상기 산화 반응 단계의 생성물의 수소이온농도는 pH3 내지 pH4 인 것이며,
    상기 킬레이트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귀금속 촉매는 카본,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담체에 담지된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원소는 백금, 로듐, 팔라듐, 니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반응 단계는 압력 1bar 내지 5.0bar, 온도 30℃ 내지 50℃ 에서 3시간 내지 6시간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제조방법.
  20. 삭제
KR1020180096617A 2018-08-20 2018-08-20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575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617A KR102575423B1 (ko) 2018-08-20 2018-08-20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US16/209,232 US11072762B2 (en) 2018-08-20 2018-12-04 Eco-friendly cleaning agent for metal memb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DE102018221019.5A DE102018221019A1 (de) 2018-08-20 2018-12-05 Umweltfreundliches reinigungsmittel für metallbauteil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201811510857.2A CN110846667B (zh) 2018-08-20 2018-12-11 用于金属件的环保清洗剂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617A KR102575423B1 (ko) 2018-08-20 2018-08-20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186A KR20200021186A (ko) 2020-02-28
KR102575423B1 true KR102575423B1 (ko) 2023-09-05

Family

ID=6932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617A KR102575423B1 (ko) 2018-08-20 2018-08-20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72762B2 (ko)
KR (1) KR102575423B1 (ko)
CN (1) CN110846667B (ko)
DE (1) DE1020182210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7827A (zh) * 2021-06-07 2021-09-03 山东惠中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型除锈剂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7298A1 (de) * 2016-07-05 2018-01-11 Henkel Ag & Co. Kgaa Geschirrspülmittel enthaltend zuckersäure und aminocarbonsäu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2040B1 (en) * 1997-07-16 2003-03-05 Nippon Shokubai Co., Ltd. Use of Chelating compositions for cleaning
US6686325B2 (en) * 2002-03-15 2004-02-03 Ecolab Inc. Alkaline sensitive metal cleaning composition, method for cleaning an alkaline sensitive metal surface, and washing facility
KR100778424B1 (ko) * 2006-02-23 2007-11-28 주식회사 삼정산업 금속부재용 산세정제
KR100642123B1 (ko) 2006-07-27 2006-11-10 서강오씨아이 주식회사 저취성 기계부품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JP5968898B2 (ja) * 2010-11-11 2016-08-10 リバートツプ・リニユーワブルズ 腐食抑制組成物
CN103649290B (zh) * 2011-04-21 2015-08-05 里弗领袖可再生能源公司 钙螯合组合物
JP2014141669A (ja) * 2012-12-27 2014-08-07 Sanyo Chem Ind Ltd 電子材料用洗浄剤
KR101679914B1 (ko) * 2014-08-18 2016-1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글루카릭산 제조법
WO2018080836A1 (en) * 2016-10-26 2018-05-03 S. C. Johnson & Son, Inc. Disinfectant cleaning composition with quaternary ammonium hydroxycarboxylate salt
KR101709303B1 (ko) 2016-11-10 2017-02-22 우지훈 산세정 효과를 증진시키는 용액조성물
US20190226094A1 (en) * 2018-01-19 2019-07-25 Baker Hughes, A Ge Company, Llc Phosphorous-free, and iron activating agent-free rust removal, inhibition, and passiv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7298A1 (de) * 2016-07-05 2018-01-11 Henkel Ag & Co. Kgaa Geschirrspülmittel enthaltend zuckersäure und aminocarbonsä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46667A (zh) 2020-02-28
DE102018221019A1 (de) 2020-02-20
KR20200021186A (ko) 2020-02-28
CN110846667B (zh) 2023-06-20
US20200056119A1 (en) 2020-02-20
US11072762B2 (en)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283340T1 (de) Reinigungsmittel für porzellan- und keramikoberflächen sowie hierfür geeignete verfahren
US7723251B2 (en) Method of regeneration of SCR catalyst
GB1602368A (en) Cleanser concentrate with content of ionic and nonionic tensides
CN104388961B (zh) 一种铜清洗剂及其制备方法
KR102575423B1 (ko) 금속부재용 친환경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EP2961822B1 (de) Formulierungen, ihre verwendung als oder zur herstellung von geschirrspülmitteln und ihre herstellung
DE602004009584T2 (de) Halbleiterreinigungslösung
EP1452582B1 (en) Detergent for metallic product
US3242093A (en) Composition for removing surface oxidation from metal surfaces
CN111304021A (zh) 一种中性清洁剂及其制备方法
CN113201416B (zh) 一种碱性多功能清洁剂、制备方法及其应用
US5019288A (en) Cleaning composition for copper and copper alloy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S5920479A (ja) 酸性洗浄剤組成物
KR100748054B1 (ko) 질소 산화물 방출로부터의 위험이 없는 금속 표면의브라이트닝화/부동화
US3969260A (en) Corrosive inhibitor compositions
JP3253815B2 (ja) ステンレス鋼製器材の洗浄方法、及びその洗浄剤
KR100778424B1 (ko) 금속부재용 산세정제
JPS6148583A (ja) スケ−ル除去剤
JP2017088981A (ja) 合金鋼の脱スケール促進添加剤、これを含有する酸洗浄液組成物ならびに酸洗浄方法
JPH02189398A (ja) 清浄用組成物
KR102397700B1 (ko) 세정제 조성물
SU633896A1 (ru) Средства дл удалени накипи с эмалированной и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оверхности
JP3106016B2 (ja) 低泡性中性洗浄剤
JP2969421B2 (ja) 鉄系金属用洗浄剤組成物
CN108107142A (zh) 一种除蜡水的分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