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347B1 - 티백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티백 제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3347B1 KR102573347B1 KR1020210141068A KR20210141068A KR102573347B1 KR 102573347 B1 KR102573347 B1 KR 102573347B1 KR 1020210141068 A KR1020210141068 A KR 1020210141068A KR 20210141068 A KR20210141068 A KR 20210141068A KR 102573347 B1 KR102573347 B1 KR 1025733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erial storage
- unit
- tea
- storage unit
- mix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B65B29/028—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packaging infusion material into filter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2—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gravity fl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65B57/145—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fo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내부 저장 공간에 차 원료를 보관하고, 하단부에 상기 내부 저장 공간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가림막이 형성된 다수의 재료 보관함, 상기 재료 보관함과 연결되어, 상기 재료 보관함에 형성된 상기 가림막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각각의 재료 보관함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차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로부터 공급된 혼합 원료를 티백 펄프에 저장하고 이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밀봉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밀봉부로부터 공급된 티백을 보관하는 티백 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티백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 원료를 즉석에서 배합하여 티백을 제조하는 티백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티백(tea bag)이란 사각 또는 피라미드 형상의 티백 펄프에 차 원료를 담아 밀봉한 제품으로, 차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전에 티백은 녹차, 보리차와 같이 하나의 차 원료만을 담아낸 단일 제품으로 제조되었으나, 요즘은 다양한 허브를 혼합하거나 미량의 차 원료를 추가하는 등 맛과 향을 다양화 시킨 제품이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648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8375호 등 자신의 기호대로 차 원료를 적절히 혼합, 배합할 수 있는 가정용 티백 제조 장치들이 발표되었다.
하지만 상기의 티백 제조 장치들은 단순히 저장되어 있는 차 원료를 티백으로 제조하는 방법만을 제공할 뿐, 차 원료를 마이크로 그램 단위로 측정하고, 이를 자동으로 혼합하여 하나의 장치로 여러 종류의 티백을 제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차 원료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를 배합하여 여러가지 티백을 제조할 수 있는 티백 제조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차 원료를 저장하고, 저장된 원료를 마이크로 그램 단위로 분리하여 혼합할 수 있는 티백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저장된 차 원료의 온도와 습도를 적정한 범위로 유지하여 차 원료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티백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 저장 공간에 차 원료를 보관하고, 하단부에 상기 내부 저장 공간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가림막이 형성된 다수의 재료 보관함, 상기 재료 보관함과 연결되어, 상기 재료 보관함에 형성된 상기 가림막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각각의 재료 보관함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차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로부터 공급된 혼합 원료를 티백 펄프에 저장하고 이를 밀봉하는 밀봉부 및 상기 밀봉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밀봉부로부터 공급된 티백을 보관하는 티백 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료 보관함은, 제1 재료 저장부 및 상기 제1 재료 저장부 하단과 연통되는 제2 재료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재료 저장부에 형성된 내부 저장 공간은 상기 제1 재료 저장부에 형성된 내부 저장 공간보다 더 좁을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료 보관함은, 상기 제1 재료 저장부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 재료 저장부 가림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재료 저장부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 재료 저장부 가람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 저장부 가람막은 상기 제2 재료 저장부에 저장된 차 원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1 무게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료 저장부는, 상기 제1 재료 저장부 가림막이 폐쇄되어 상기 제1 재료 저장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차 원료를 보관하는 단계, 상기 제1 재료 저장부 가림막이 개방되어 상기 제1 재료 저장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의 차 원료를 상기 제2 재료 저장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2 재료 저장부로 공급된 차 원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재료 저장부로 공급된 차 원료가 소정 중량 이상이면, 상기 제1 재료 저장부 가림막을 폐쇄하는 단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혼합원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2 무게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 센서를 통해 상기 제2 재료 저장부에 저장된 각각의 차 원료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고, 상기 제2 무게 센서를 통해 상기 혼합부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여 기 저장된 배합비율에 따라 재료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티백 제조 장치는, 상기 다수의 재료 보관함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재료 보관함의 온도 습도를 조절하는 온습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재료 보관함을 14 내지 20℃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티백 제조 장치는 상기 다수의 재료 보관함 하단 또는 재료 보관함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재료 보관함에서 상기 혼합부로 공급되는 차 원료를 즉석에서 미세화 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티백 제조 장치는, 기 저장된 데이터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차 원료의 혼합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티백 제조 장치는 재료 보관함을 상기 재료 보관함을 제1 재료 저장부 및 제2 재료 저장부로 나누어, 좀 더 정밀하게 차 원료의 혼합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조합으로 차 원료를 혼합할 수 있으며, 혼합된 차 원료를 즉석에서 티백으로 제조하여 다양한 조합의 차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백 제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백 제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부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봉부 및 티백 보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보관함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백 제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부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봉부 및 티백 보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보관함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이 있는 티백 제조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은 내부 공간에 차 원료를 저장하고 이를 정량 혼합하여 즉석에서 티백을 제조하는 티백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티백 제조 장치는 다양한 차 원료를 보관하는 다수의 재료 보관함과, 상기 재료 보관함의 개방과 차단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재료 보관함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차 원료를 혼합하는 혼합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각자의 레시피에 따라 차 원료를 혼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은 상기 재료 보관함을 제1 재료 저장부 및 제2 재료 저장부로 나누어, 좀 더 정밀하게 차 원료의 혼합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2 재료 저장부에 저장된 차 원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1 무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에 위치한 혼합 원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2 무게 센서를 포함하여 제2 재료 저장부와 혼합부의 중량 변화를 마이크로 그램(μg)단위로 비교하여 더욱 정밀하게 혼합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만의 기호에 맞는 레시피대로 티백을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기 저장된 레시피를 다운로드 받아 자신이 원하는 티백을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백 제조 장치는 다수의 재료 보관함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재료 보관함의 온도와 습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온습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 재료의 신선도를 향상시키고 맛과 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백 제조 장치는 재료 보관함 하단 또는 재료 보관함 내부에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티백을 제조하기 전에 상기 차 원료를 미세하게 파쇄시켜 차의 향미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의 rpm을 조절하여 동일한 혼합비의 차라도 풍미를 다양화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 1 내지 6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백 제조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백 제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백 제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부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봉부 및 티백 보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백 제조기(1000)는 다수의 재료 보관함(100), 혼합부(200), 밀봉부(300) 및 티백 보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 보관함(100)은 차 원료를 보관하는 함으로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2에는 상기 재료 보관함(100)이 6개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 환경에 따라 2 내지 6개, 또는 그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차 원료는 차(茶, tea)를 만들기 위한 각각의 재료를 의미하며, 찻잎, 꽃, 과일, 허브 등 차를 만들수 있는 재료를 의미한다. 상기 차 원료는 건조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수 ㎜의 분말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재료 보관함(100)은 내부에 차 원료를 보관할 수 있는 소정 부피의 내부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밑면에는 상기 내부 저장 공간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가림막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재료 보관함(100)에는 동일한 차 원료 또는 각각 다른 차 원료를 보관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차 원료라도 분말의 크기, 건조 정도 등에 따라 다른 상태의 차 원료를 보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재료 보관함(100)은 내부 직경이 동일한 하나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내부 직경이 다른 두 부분이 포함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료 보관함(100)은 상대적으로 더 큰 내부 직경(d1)을 갖는 부분과, 상대적으로 더 작은 내부 직경(d2)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재료 보관함(100) 내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내부 직경(d1)을 갖는 부분을 제1 재료 저장부(110)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더 작은 내부 직경(d2)를 갖는 부분을 제2 재료 저장부(130)로 정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재료 보관함(100)은 제1 재료 저장부(110) 및 제2 재료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료 보관함(100) 상부에 제1 재료 저장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재료 저장부(110) 하단에 제2 재료 저장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재료 저장부(110)와 상기 제2 재료 저장부(130)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재료 보관함(100)은 상기 제1 재료 저장부(110)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 재료 저장부 가림막(1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재료 저장부(130)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 재료 저장부 가람막(1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재료 저장부 가림막(115)과 제2 재료 저장부 가람막(135)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면에는 개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재료 저장부 가림막(115)은 소정의 개방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재료 저장부(110)를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재료 저장부 가림막(135)은 소정의 개방장치를 통해 상기 제2 재료 저장부(130)를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는 코크 벨브(Cock Valve), 회전 나사, 회전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어떠한 방법으로 변형하여도 무방하다.
도면에는 개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티백 제조기(1000)는 상기 재료 보관함(100)의 상부에는 뚜껑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재료 보관함(100)에 차 원료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재료 저장부 가람막(135)은 상기 제2 재료 저장부(130)에 저장된 차 원료의 중량 변화를 마이크로 그램(μg)단위로 비교할 수 있는 제1 무게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상기 제2 재료 저장부(130)에서 방출되는 차 원료를 마이크로 그램 단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혼합부(200)는 일 측면이 개방된 몸체(210)와 스크래퍼(23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몸체(210)의 밑면과 상기 스크래퍼(230) 및 상기 몸체(210)의 개방면으로 이루어진 혼합 공간(O)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부(200)는 상기 다수의 재료 보관함(100)에서 공급된 차 원료를 상기 혼합 공간(O)에 혼합하여 혼합 원료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혼합부(200)는 상기 혼합 공간(O)에 각각의 재료 보관함(100)에 보관된 차 원료를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혼합 공간(O)에 원하는 차 원료가 모두 공급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스크래퍼(230)를 이동하여 상기 몸체(210)의 개방된 공간으로 상기 혼합 원료를 후술할 밀봉부(300)에 공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래퍼(230)는 하면이 상기 몸체(210)의 바닥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개방된 공간으로 전진 또는 후진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래퍼(230) 상부에는 연결핀(2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핀(235)과 연결되는 이동 레일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크래퍼(230)는 상기 이동 레일에 따라 상기 몸체(210)의 개방된 공간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부(200)는 상기 혼합 원료의 중량 변화를 마이크로 그램(μg)단위로 비교할 수 있는 제2 무게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혼합 공간(O)에 공급되는 차 원료의 공급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무게 센서를 통해 상기 혼합부의 중량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재료 보관함에서 방출되는 차 원료의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인 조절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면에는 개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스크래퍼(230) 일 단에는 브러쉬 솔을 부착하여 상기 혼합 원료가 상기 혼합 공간(O)에 일부 남아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정량을 밀봉부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300)는 상기 혼합부(200)로부터 공급된 혼합 원료를 기 저장된 티백 펄프에 저장하고 이를 밀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밀봉부(300)는 융착모듈(310), 절단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부(300)는 티백 펄프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펄프 공급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펄프 공급부는 상기 밀봉부 상부에 설치된 홈에 티백 펄프를 고정하여 티백 펄프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펄프 공급부는 사용자로부터 공급받은 하나의 티백 펄프를 고정할 수 있으며, 또는 기 저장된 다수의 티백 펄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티백 펄프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융착모듈(310)은 상기 밀봉부의 일 면에 위치하며 상기 혼합 원료가 공급된 티백 펄프를 소정 온도로 열 융착하여 밀봉할 수 있다.
상기 절단기(330)는 상기 융착모듈(310)에 의해 융착된 티백 펄프를 절단하여 티백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티백을 상기 밀봉부(300) 하부에 위치한 티백 보관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티백 보관부(400)는 상기 밀봉부(300)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밀봉부(300)로부터 공급된 티백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백 보관부(400)의 일 측면에는 상기 티백 보관부(400)에 저장된 티백을 꺼낼 수 있는 서랍(410)이 형성되어 완성된 티백을 꺼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티백 제조기(1000)는 온습도 제어부(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온습도 제어부(500)은 상기 다수의 재료 보관함(100a, 100b, 100c ....)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재료 보관함(100)의 외부를 감싸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온습도 제어부(500)는 상기 다수의 재료 보관함(100)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습도 제어부(500)는 열선 등 가열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상기 재료 보관함(100)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로 유지되면, 상기 재료 보관함(100)에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재료 보관함(100)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면 측면부에 위치한 냉각팬(510)을 가동하여 상기 재료 보관함(10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온습도 제어부(500)는 재료 보관함(100)의 온도를 14 내지 20℃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재료 보관함(100)의 온도가 14℃ 미만으로 유지되면, 지나치게 낮은 온도로 차 원료가 신선함을 잃고 쉽게 파쇄될 수 있으며, 티백을 제조하였을 때 물의 온도를 중화시켜 풍부한 맛과 향을 발산하기 어렵다.
반대로, 상기 재료 보관함(100)의 온도가 20℃를 초과한 온도로 유지되면, 차 원료가 변색되기 쉬우며, 차 원료 내에 포함된 엽록소 등 몸에 유익한 물질을 분해하여 영양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온습도 제어부(500)는 상기 다수의 재료 보관함(100)을 14 내지 20℃로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온습도 제어부(500)는 다수의 재료 보관함(100)을 동일한 온도 및 습도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는 각각의 재료 보관함(100)을 14 내지 20℃ 중 선택되는 특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습도 제어부(500)는 갈변하기 쉬운 녹차가 보관된 재료 보관함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15℃ 내외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우엉차 등 볶아진 상태의 차 원료가 보관된 재료 보관함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인 20℃를 유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티백 제조기(1000)는 블레이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재료 보관함(100)의 하단 또는 재료 보관함(100)의 내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재료 저장부(130)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재료 보관함(100)에서 배출되는 각각의 차 원료를 즉석에서 미세화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티백을 제조하기 전에 상기 차 원료를 미세하게 파쇄시켜 차의 향미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의 rpm을 조절하여 동일한 혼합비의 차라도 풍미를 다양화 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온습도 제어부의 온도 제어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으나, 이와 유사한 과정으로 습도 또한 조절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백 제조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 8을 통해 티백 제조 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보관함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티백 제조 장치는 앞서 설명한 다수의 재료 보관함(100), 혼합부(200), 밀봉부(300) 및 티백 보관부(400) 외에 입력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기 저장된 데이터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차 원료의 혼합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정보를 후술할 제어부에 전송하여 제어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터치형 디스플레이, 버튼, 조이스틱, 키보드, 음성인식장치 등 통상적인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인터넷 등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 저장된 레시피를 선택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레시피를 입력부에 직접 입력하여 티백을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공개된 레시피 중 원하는 레시피를 다운로드 하여 티백을 제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만의 레시피를 제조할 수 있으며, 내가 제조한 레시피를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다른사람들에게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앞서 설명한 재료 보관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전송된 혼합비에 따라 상기 재료 보관함에 형성된 상기 가림막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재료 보관함 중 상기 레시피에 포함되는 차 원료가 보관된 재료 보관함을 선택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재료 보관함의 제1 재료 저장부 가림막을 개방하여 상기 제1 재료 저장부에 보관된 차 원료를 제2 재료 저장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동일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재료 저장부를 차단하고 제2 재료 저장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2 재료 저장부에 저장된 차 원료를 혼합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재료 저장부에 저장된 차 원료는 중력에 의해 상기 제2 재료 저장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재료 저장부로 이동한 차 원료는 중력에 의해 상기 혼합부까지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재료 보관함 중 특정 재료 보관함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재료 보관함에 저장된 차 원료를 혼합부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제2 재료 저장부 가림막에 위치한 제1 무게 센서를 통해 상기 제2 재료 저장부에 저장된 차 원료의 중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무게 센서와 혼합부에 위치한 상기 제2 무게 센서를 연동하여 혼합 원료의 혼합비를 마이크로 그램(μg)단위로 비교하여 혼합되는 차 원료를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산출된 혼합비에 따라 특정한 차 원료가 보관된 재료 보관함(100)을 선택할 수 있다. 이 후, 도 8의 (b)와 같이 해당 차 원료가 저장된 재료 보관함(100)의 제1 저장부 가림막(115)을 개방하여 제1 저장부(110)에 저장된 차 원료를 제2 재료 저장부(13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무게 센서를 통해 상기 제2 재료 저장부(130)에 소정량의 차 원료가 이동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저장부 가림막을 닫아 상기 제2 저장부(130)에 필요 이상의 차 원료가 포함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2 재료 저장부 가람막(135)을 개방하여 상기 제2 재료 저장부에 저장된 차 원료를 혼합부(2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게 센서를 통해 상기 혼합부(200)의 중량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차 원료가 상기 혼합부(200)에 원하는 중량만큼 공급되면 상기 제2 재료 저장부 가람막(135)을 차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재료 보관함이 하나의 단일 저장부로 제공되면, 상기 재료 보관함 하단부의 가림막을 개방하였을 때 상기 재료 보관함에 저장된 차 원료 전부가 동시에 방출되어 차 원료의 혼합량을 미세 조정 하기 어렵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티백 제조 장치는 상기 재료 보관함(100)을 상대적으로 직경(d1)이 넓은 제1 재료 저장부(110)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좁은 제2 재료 저장부(130)로 나누고, 각 재료 저장부에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가림막을 설치하여 상기 재료 보관함(100)내에 저장된 차 원료가 동시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재료 저장부(130)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좁게 구성하여, 상기 제1 재료 저장부(110)에 저장된 차 원료의 병목 현상을 유발하고, 차 원료의 더욱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차 원료를 마이크로 그램(μg) 단위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조합 비율이 마이크로 그램(μg) 단위로 차이가 발생하여도 그 향미가 크게 달라지는 민감한 차에 아주 유용한 기능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대로 상기 차 원료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온습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재료 보관함 하단 또는 재료 보관함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여 상기 티백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 기호에 맞는 차 원료를 정량적으로 혼합하고, 즉석에서 티백을 제조하여 다양한 맛과 향기를 가진 차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0: 티백 제조 장치
100: 재료 보관함
110: 제1 재료 저장부
130: 제2 재료 저장부
200: 혼합부
300: 밀봉부
400: 티백 보관부
500: 온습도 제어부
100: 재료 보관함
110: 제1 재료 저장부
130: 제2 재료 저장부
200: 혼합부
300: 밀봉부
400: 티백 보관부
500: 온습도 제어부
Claims (11)
- 내부 저장 공간에 차 원료를 보관하고, 하단부에 상기 내부 저장 공간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가림막이 형성된 다수의 재료 보관함;
상기 재료 보관함과 연결되어, 상기 재료 보관함에 형성된 상기 가림막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각각의 재료 보관함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차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로부터 공급된 혼합 원료를 티백 펄프에 저장하고 이를 밀봉하는 밀봉부; 및
상기 밀봉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밀봉부로부터 공급된 티백을 보관하는 티백 보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료 보관함은,
제1 재료 저장부; 및 상기 제1 재료 저장부 하단과 연통되는 제2 재료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재료 저장부에 형성된 내부 저장 공간은 상기 제1 재료 저장부에 형성된 내부 저장 공간보다 더 좁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재료 저장부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 재료 저장부 가림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재료 저장부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 재료 저장부 가람막이 형성되며,
상기 혼합부는, 상기 혼합원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2 무게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게 센서를 통해 상기 혼합부의 중량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제2 재료 저장부 가람막을 차단하고,
상기 재료 보관함은, 상기 재료 보관함의 온도 습도를 조절하는 온습도 제어부를 포함하여, 각각의 상기 재료 보관함을 14 내지 20℃ 중 선택되는 특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제조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 저장부 가람막은 상기 제2 재료 저장부에 저장된 차 원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제1 무게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제조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저장부는,
상기 제1 재료 저장부 가림막이 폐쇄되어 상기 제1 재료 저장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차 원료를 보관하는 단계;
상기 제1 재료 저장부 가림막이 개방되어 상기 제1 재료 저장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의 차 원료를 상기 제2 재료 저장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2 재료 저장부로 공급된 차 원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재료 저장부로 공급된 차 원료가 소정 중량 이상이면, 상기 제1 재료 저장부 가림막을 폐쇄하는 단계;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제조 장치. - 삭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 센서를 통해 상기 제2 재료 저장부에 저장된 각각의 차 원료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고,
상기 제2 무게 센서를 통해 상기 혼합부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여 기 저장된 배합비율에 따라 재료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제조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티백 제조 장치는 상기 다수의 재료 보관함 하단 또는 재료 보관함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재료 보관함에서 상기 혼합부로 공급되는 차 원료를 즉석에서 미세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제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백 제조 장치는,
기 저장된 데이터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차 원료의 혼합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제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1068A KR102573347B1 (ko) | 2021-10-21 | 2021-10-21 | 티백 제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1068A KR102573347B1 (ko) | 2021-10-21 | 2021-10-21 | 티백 제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7079A KR20230057079A (ko) | 2023-04-28 |
KR102573347B1 true KR102573347B1 (ko) | 2023-08-30 |
Family
ID=8614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1068A KR102573347B1 (ko) | 2021-10-21 | 2021-10-21 | 티백 제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334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22925A (ja) * | 2004-10-26 | 2006-05-18 | Toyota Motor Corp | 粉末成形プレスの給粉装置 |
JP2016078925A (ja) * | 2014-10-22 | 2016-05-16 | 株式会社夕原テクノグループ | 多品種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品種搬送包装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21774A (ja) * | 2002-04-16 | 2006-01-26 | Kenji Nomi | 小袋包装における秤量機構と包装機構の一体化の方法 |
KR20180078375A (ko) | 2016-12-29 | 2018-07-10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티백제조장치 |
KR101936489B1 (ko) | 2017-01-09 | 2019-01-09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정용 티백 제조장치 |
KR20200001367U (ko) * | 2018-12-14 | 2020-06-24 | 유광채 | 자동 약 제공 기계 |
-
2021
- 2021-10-21 KR KR1020210141068A patent/KR1025733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22925A (ja) * | 2004-10-26 | 2006-05-18 | Toyota Motor Corp | 粉末成形プレスの給粉装置 |
JP2016078925A (ja) * | 2014-10-22 | 2016-05-16 | 株式会社夕原テクノグループ | 多品種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品種搬送包装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7079A (ko) | 2023-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40754B1 (en) | Apparatus for dispensing mixed beverages from frozen ingredients | |
US8900648B2 (en) | Single-serve coffee pod | |
CN205392657U (zh) | 冲泡材料磨碎机 | |
JP3104362U (ja) | コーヒーミルおよびコーヒーミル付きのコーヒーディスペンサー | |
US20210196074A1 (en) | Juic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 |
KR940009300B1 (ko) | 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 | |
KR102392777B1 (ko) | 제어된 액체 식품 또는 음료 제품 생산을 위한 시스템 | |
KR102573347B1 (ko) | 티백 제조 장치 | |
CN107888692A (zh) | 一种基于胶囊咖啡系统的个性化饮料网络服务和分享方法 | |
CN101541189B (zh) | 新的粥烹调方法 | |
KR101797875B1 (ko) | 스마트 믹서기 | |
KR102056632B1 (ko) | 양념 자동 공급장치 | |
KR101448524B1 (ko) |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원두공급유닛 | |
EP2430954A1 (en) | Dispenser producing beverages from powder | |
KR20220114831A (ko) | 붕어빵 자동판매기 | |
KR101855649B1 (ko) |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 | |
JPH07285597A (ja) | 飲料自動供給機 | |
KR102274461B1 (ko) | 양념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 |
EP3870006B1 (en) | Coffee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coffee machine | |
KR200335109Y1 (ko) | 커피분말 정량 공급장치 | |
TW201821003A (zh) | 可調配咖啡口味之咖啡裝置及其操作方法 | |
KR102409676B1 (ko) | 라이스 쿠커 | |
KR200404735Y1 (ko) | 팝콘 자동 판매기용 옥수수 공급장치 | |
KR200304954Y1 (ko) | 분말 커피 배출 조절 장치 | |
KR200251439Y1 (ko) | 커피자판기의 커피유출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